KR20210060112A -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112A
KR20210060112A KR1020190147739A KR20190147739A KR20210060112A KR 20210060112 A KR20210060112 A KR 20210060112A KR 1020190147739 A KR1020190147739 A KR 1020190147739A KR 20190147739 A KR20190147739 A KR 20190147739A KR 20210060112 A KR20210060112 A KR 20210060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amera module
moving
tilt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엽
정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7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112A/ko
Publication of KR2021006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의 소켓부; 상기 복수의 소켓부의 각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복수의 소켓부의 각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부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APPARATUS FOR TESTING CAMERA MODULE}
실시예는 다모델 및 다방향의 해상력 동시 검사가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센서가 장착된 하우징과 이미지센서의 전방에 장착된 렌즈로 구성되어,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 및 이미지를 이미지센서로 디지털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 중 AF(Auto Focus Type)형 카메라 모듈은 기본적인 고정 초점거리는 정해져 있으나, 전류 또는 전압을 렌즈부에 인가하여 렌즈부내에 구성된 액추에이터(Actuator)를 작동시켜 초점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모듈이다. AF형 카메라 모듈은 다수 개의 렌즈로 렌즈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VCM(Voice Coil Motor)등의 구동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각각의 렌즈를 이동시켜 그 상대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적인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제품에 장착하기 전에 정상 유무 및 광학적인 초점거리의 조정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고정 초점 조정 검사, 해상력 검사, 자동 초점 조정 검사 등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기기를 사용해야 했다.
또한 제품이 변경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소켓의 얼라인이 맞지 않고 SFR(Spatial Frequency Response) 검사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각 방향에 대한 얼라인 제어가 필요하다.
실시예는, 다모델 및 다방향의 해상력 동시 검사가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의 소켓부; 상기 복수의 소켓부의 각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복수의 소켓부의 각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부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다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소켓부는 상기 다면체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켓부는 상기 다면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소켓부를 평면 상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소켓부를 상기 평면 상에서 상기 제1축 방향과 수직인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는 상기 소켓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부를 지지하는 지지 기판; 및 상기 지지 기판의 복수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모서리에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틸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절부는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 일체형 볼트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의 소켓부, 상기 소켓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소켓부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를 포함하는 회전 수단; 및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소켓부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을 각각 검사하는 복수의 검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소켓부를 평면 상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소켓부를 상기 평면 상에서 상기 제1축 방향과 수직인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는 상기 소켓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부를 지지하는 지지 기판; 및 상기 지지 기판의 복수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모서리에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틸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가능한 회전부에 복수의 소켓부를 구비하여 소켓부에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검사하도록 함으로써, 다모델 및 다방향에 대한 해상력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다양한 검사가 동시에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소켓부를 평면 상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팅 각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제품 변경에 따른 얼라인먼트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켓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켓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틸팅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3에 도시된 이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회전 가능한 회전부에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소켓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소켓부를 각각 평면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와 틸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부를 구비하도록 한, 새로운 검사 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회전 수단(100), 구동 수단(200), 지지 수단(300) 및 검사 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수단(100)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일정한 각도로 장착되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다양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구동 수단(200)은 회전 수단(100)에 연결되고 회전 수단(10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수단(200)은 회전 수단(100)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거나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지지 수단(300)은 회전 수단(100)과 구동 수단(2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수단(300)은 회전 수단(100)을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 이상이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검사 수단(400)은 카메라 모듈의 해상력을 측정하기 위한 차트(chart)일 수 있다. 검사 수단(40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해상력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 수단(400)은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따라 검사 거리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수단(100)은 회전 조립체(110) 및 소켓 조립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조립체(110)는 회전체(111)와 회전축(11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111)는 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회전체(111)는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2)은 회전체(111)의 서로 마주보는 두 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체(111)가 육면체로 형성된 경우 회전체(111)의 여섯 면 중 회전축(112)이 관통하는 두 면을 제외한 네 면에는 소켓 조립체(120)가 배치되어 소켓 조립체(120)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향을 0도, 90도, 180도, 270도로 설정하여 해상력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이때, 90도와 270도의 경우에는 동일한 SFR 검사 방향을 갖기 때문에 실시예에서는, 회전체(111)의 세 면에 소켓 조립체(120)가 배치되어 소켓 조립체(120)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향을 0도, 90도, 180도로 설정하여 해상력을 검사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소켓 조립체(120)는 소켓부(121), 틸팅부(122), 이동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121)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소켓부(121)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제품에 따라 크기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검사를 위한 얼라인 제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얼라인 제어를 위해 틸팅부(122)는 소켓부(121)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동부(123)는 소켓부(121)를 평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x축, y축, z축, △x, △y의 5축 가변 유닛을 구현하고자 하는데, 이러한 5축 가변 유닛을 틸팅부(122)와 이동부(123)를 이용하여 구현하려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켓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조립체(120)는 소켓부(121), 틸팅부(122), 이동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121)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회전체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소켓부(121)에는 제품에 따라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각종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틸팅부(122)는 소켓부(1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소켓부(121)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동부(123)는 틸팅부(122)의 하부에 배치되고, 소켓부(121)를 평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123)는 제1 이동부(123a)와 제2 이동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23a)는 평면 상에서 소켓부(121)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이동부(123b)는 평면 상에서 소켓부(121)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축 방향은y축 방향이고, 제2축 방향은 x축 방향이거나 제1축 방향은 x축 방향이고, 제2축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제1 이동부(123a)는 틸팅부(1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정 범위 내 이동하고, 제2 이동부(123b)는 제1 이동부(123a)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정 범위 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틸팅부(122)의 크기는 소켓부(12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이동부(123a)의 크기는 틸팅부(12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이동부(123b)의 크기는 제1 이동부(123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켓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틸팅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도 3에 도시된 이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121)는 상부 소켓(121-1a), 하부 소켓(121-1b), 지지 기판(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소켓(121-1a)과 하부 소켓(121-1b) 사이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부 소켓(121-1a)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장착된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부 소켓(121-1a)과 하부 소켓(121-1b)은 지지 기판(12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122)는 지지 기판(122-1), 4개의 틸팅 유닛(122-2a, 122-2b, 122-2c, 122-2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122-1)의 상부에는 소켓부(121)가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4개의 틸팅 유닛(122-2a, 122-2b, 122-2c, 122-2d)은 지지 기판(122-1)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각 모서리에서 소켓부(121)가 고정된 지지 기판(122-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4개의 틸팅 유닛(122-2a, 122-2b, 122-2c, 122-2d)은 z축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예컨대,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 일체형 볼트일 수 있다.
그 일예로, 4개의 틸팅 유닛(122-2a, 122-2b, 122-2c, 122-2d)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z축 방향으로 지지 기판(122-1)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함으로써, 지지 기판(122-1)에 배치된 소켓부(12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4개의 틸팅 유닛(122-2a, 122-2b, 122-2c, 122-2d) 중 적어도 하나의 틸팅 유닛을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지지 기판(122-1)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지지 기판(122-1)에 배치된 소켓부(121)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부(123a)는 지지 기판(123a-1)과 네 개의 가이드홀(123a-1a, 123a-1b, 123a-1c, 123a-1d)와 네 개의 가이드핀(123a-2a, 123a-2b, 123a-2c, 123a-2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123a-1)은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지지 기판(123a-1)의 모서리에 형성된 네 개의 가이드홀(123a-1a, 123a-1b, 123a-1c, 123a-1d)에 네 개의 가이드핀(123a-2a, 123a-2b, 123a-2c, 123a-2d)이 삽입 결합되어 네 개의 가이드홀(123a-1a, 123a-1b, 123a-1c, 123a-1d)의 길이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가이드홀(123a-1a, 123a-1b, 123a-1c, 123a-1d)은 지지 기판(123a-1)이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네 개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가이드홀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부(123b)는 지지 기판(123b-1)과 네 개의 가이드홀(123b-1a, 123b-1b, 123b-1c, 123b-1d)와 네 개의 가이드핀(123b-2a, 123b-2b, 123b-2c, 123b-2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123b-1)은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지지 기판(123b-1)의 모서리에 형성된 네 개의 가이드홀(123b-1a, 123b-1b, 123b-1c, 123b-1d)에 네 개의 가이드핀(123b-2a, 123b-2b, 123b-2c, 123b-2d)이 삽입 결합되어 네 개의 가이드홀(123b-1a, 123b-1b, 123b-1c, 123b-1d)의 길이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가이드홀(123a-1a, 123a-1b, 123a-1c, 123a-1d)은 지지 기판(123a-1)이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네 개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가이드홀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회전 수단(100)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향을 0도, 90도, 180도로 설정하여 해상력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장착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해상력을 측정하기 위한 차트(chart)가 장착된 검사 수단(400)의 검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회전 수단
110: 회전 조립체
111: 회전체
112: 회전축
120: 소켓 조립부
121: 소켓부
122: 틸팅부
123: 이동부
200: 구동 수단
300: 지지 수단
400: 검사 수단

Claims (9)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의 소켓부;
    상기 복수의 소켓부의 각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복수의 소켓부의 각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부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다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소켓부는,
    상기 다면체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켓부는,
    상기 다면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소켓부를 평면 상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소켓부를 상기 평면 상에서 상기 제1축 방향과 수직인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소켓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부를 지지하는 지지 기판; 및
    상기 지지 기판의 복수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모서리에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틸팅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부는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 일체형 볼트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7.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의 소켓부, 상기 소켓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소켓부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를 포함하는 회전 수단; 및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소켓부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을 각각 검사하는 복수의 검사 수단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소켓부를 평면 상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소켓부를 상기 평면 상에서 상기 제1축 방향과 수직인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소켓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부를 지지하는 지지 기판; 및
    상기 지지 기판의 복수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모서리에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틸팅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20190147739A 2019-11-18 2019-11-18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20210060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739A KR20210060112A (ko) 2019-11-18 2019-11-18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739A KR20210060112A (ko) 2019-11-18 2019-11-18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12A true KR20210060112A (ko) 2021-05-26

Family

ID=7613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739A KR20210060112A (ko) 2019-11-18 2019-11-18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1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594B1 (ko) * 2021-07-06 2023-01-10 임경철 휴대폰 카메라의 성능 평가를 위한 휴대폰 홀더 장치
KR20230173464A (ko) * 2022-06-17 2023-12-27 팸텍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594B1 (ko) * 2021-07-06 2023-01-10 임경철 휴대폰 카메라의 성능 평가를 위한 휴대폰 홀더 장치
KR20230173464A (ko) * 2022-06-17 2023-12-27 팸텍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0112A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JP6273131B2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1871648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유닛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US9194906B2 (en) Probe apparatus
KR100475658B1 (ko) 광학장치의 실시간 사용 중에 원 대칭을 달성함과 아울러광학결함 및 일탈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CN102395875A (zh) 用于以45°的极视角对电路板上的对象进行成像的旋转图像采集单元的布置
KR101570215B1 (ko) 전자 디바이스의 검사장치
KR101792543B1 (ko) 기판 검사 장치
JPH0735645A (ja) 液晶パネルの検査装置
KR101693614B1 (ko) 엑스레이 촬영용 지그
TWI656350B (zh) 探測站
WO2011138938A1 (ja) 支持装置及び露光装置
JP4867219B2 (ja) 検査装置及び検査装置の位置決め方法
US20190302580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ojection apparatus
JP3501661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US73975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amining a disk-shaped sample on an X-Y-theta stage
KR102179191B1 (ko)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CN114384085B (zh) 视觉检测系统及其调节方法和面板检测装置
KR101974541B1 (ko) 렌즈 검사장치
JP2006222325A (ja) 光照射装置
JP2007005690A (ja) 半導体装置用検査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
KR101131442B1 (ko) 마스크리스 노광기의 디지털 미러 디바이스 정렬방법
EP3531190B1 (en) Pattern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having plurality of different pattern light sources installed thereon and inspection device
KR102177331B1 (ko) 부품 검사 장치
KR20210095290A (ko) 프로브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