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012A - Repeelable adhesive sheet - Google Patents

Repeelable adhesive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012A
KR20210060012A KR1020190147533A KR20190147533A KR20210060012A KR 20210060012 A KR20210060012 A KR 20210060012A KR 1020190147533 A KR1020190147533 A KR 1020190147533A KR 20190147533 A KR20190147533 A KR 20190147533A KR 20210060012 A KR20210060012 A KR 20210060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adhesive
layer
adhesive sheet
mask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5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4557B1 (en
Inventor
조형준
조영석
윤근영
최재원
신범석
김진범
Original Assignee
(주)이녹스첨단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녹스첨단소재 filed Critical (주)이녹스첨단소재
Priority to KR102019014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557B1/en
Publication of KR20210060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repeelable adhesive sheet including a base layer, a first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wherein some surface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non-adhesive layer surfaces.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pixel defects and warpage.

Description

재박리성 점착 시트{REPEELABLE ADHESIVE SHEET}Re-peelable adhesive sheet {REPEELABL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재박리성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UV 경화 후 박리강도가 서로 다른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을 포함으로써 UV 경화 후 선택적인 박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에어 블로잉(air blowing) 공정에 의한 박리시 재박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easable adhesive shee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having different peel strengths after UV curing, so that selective peeling after UV curing is possible. It relates to a re-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at can improve peelability.

유기발광소자(OLED)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표시 장치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수 개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 중에서도 OLED 봉지재 합지 공정 진행시 OLED 패널과 캐리어 글래스(carrier glass) 간의 임시 고정 공정이 필요하다. 임시 고정 공정을 위해,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A light-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OLED) is manufactured through several sequential processes. Among them, a temporary fixing process between the OLED panel and the carrier glass is required when the OLED encapsulant lamination process is in progress. For the temporary fixing proces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can be used.

양면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패널과 캐리어 글래스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는 캐리어 글래스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has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layer, so that the panel and the carrier glass can be simultaneously fixed. Meanwhile, after the fixing process is completed,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must be separated from the carrier glass.

이와 관련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가열에 의한 발포 공정이 일어나 가열 후 점착력이 떨어지면서 캐리어 글래스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발포형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점착층 내에 포함된 발포체가 가열시 발포함으로써 점착력이 낮아지고 캐리어 글래스와 점착층 간에 틈을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글래스로부터 분리되는 원리이다. In this regard, a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a foaming type adhesive tape that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a carrier glass is used while a foaming process by heating occurs and the adhesive strength falls after heating. This is the principle that the foam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is foamed when heated, thereby lowering the adhesive force and providing a gap between the carrier glass and the adhesive layer, thereby being separated from the carrier glass.

하지만, 발포형 점착 테이프에서 필수적인 열 처리 공정은 100℃ 이상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동안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과정에서 화소가 열화되어 손상됨으로써 화소 표시 장치의 화면 불량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봉지는 일반적으로 무기 봉지층으로 금속층을 구비하는데 상술한 열 처리 공정에 의해 무기 봉지층에 휨(warpage)이 발생됨으로써 표시 장치의 불량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가열에 의한 발포형 점착 테이프로부터 야기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재박리성 점착 테이프가 개발되어야 한다.However, in the foamed adhesive tape, an essential heat treatment process is general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0° C. or higher for 3 hours or more. In this process, the pixels are deteriorated and damaged, so that there may be a screen defect of the pixel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encapsulation generally includes a metal layer as an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and warpage may occur in the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by the above-described heat treatment process, so that a display device may be defective. Therefore, a re-peelable adhesive tap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ventional foamed adhesive tape by heating must be develop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007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80073 and the like.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블로잉 공정에 의한 박리시 높은 재박리성을 제공하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peelable adhesive sheet that provides high re-peelability upon peeling by an air blowing proce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V 경화 후 서로 다른 박리강도를 갖는 2종의 점착층을 구비함으로써 선택적인 박리가 가능하도록 한,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at enables selective peeling by providing two types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peel strengths after UV cu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 발포에 의한 열처리 공정 대신에 UV 경화에 의한 패널과의 합지 공정에 적용될 수 있어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한 화소 불량, 휨(warpage)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applied to a lamination process with a panel by UV curing instead of a heat treatment process by thermal foaming, so that a re-peelable adhesive that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pixel defects and warpage caused by the heat treatment process. It is to provide a sheet.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점착층,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 중 일부면에는 비점착층면이 형성되어 있다.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layer, a first adhesive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 non-adhesive layer surface is formed on some surfaces.

일 구체예에서, 상기 비점착층면은 마스킹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on-adhesive layer surface may be formed by a masking film.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스킹 필름은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에 함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sking film may be formed in a state that is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면적에 대한 상기 마스킹 필름의 총 면적의 면적비 S3/S2(S2는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면적, S3은 상기 마스킹 필름의 총 면적)는 0.01 내지 0.5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rea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masking film to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S3/S2 (S2 is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S3 is the total area of the masking film ) May be 0.01 to 0.5.

일 구체예에서, 상기 면적비 S3/S2는 0.14 내지 0.31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rea ratio S3/S2 may be 0.14 to 0.31.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스킹 필름은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 중 외곽면의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sking film may be formed at a corner of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스킹 필름은 각이 진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sking film may have an angled corner.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스킹 필름은 UV에 대한 투과율이 50%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sking film may have a UV transmittance of 50% or more.

일 구체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유색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layer may include a colored film.

일 구체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헤이즈가 20% 이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layer may have a haze of 20% or less.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제2점착층은 25℃에서 저장 모듈러스가 서로 다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have different storage modulus at 25°C.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제2점착층은 점착력이 다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have different adhesive strength.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제2점착층은 각각 UV 경화형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each include a UV-curable (meth)acrylic adhesive layer.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2점착층과 상기 마스킹 필름 사이에 제3점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third adhes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masking film.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3점착층은 NON UV 경화형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rd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NON UV curable (meth) acrylic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에어 블로잉 공정에 의한 박리시 높은 재박리성을 제공하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제공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at provides high re-peelability upon peeling by an air blowing process.

본 발명은 UV 경화 후 서로 다른 박리강도를 갖는 2종의 점착층을 구비함으로써 선택적인 박리가 가능하도록 한,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제공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at enables selective peeling by providing two types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peel strengths after UV curing.

본 발명은 열 발포에 의한 열처리 공정 대신에 UV 경화에 의한 패널과의 합지 공정에 적용될 수 있어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한 화소 불량, 휨(warpage)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제공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eelable adhesive sheet that can be applied to a lamination process with a panel by UV curing instead of a heat treatment process by thermal foaming,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pixel defects and warpage caused by the heat treatment proces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에서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에서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leasabl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lower surface of a second adhesive layer in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of FIG. 1.
3 is a plan view of a lower surface of a second adhesive layer in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leasabl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길이, 두께 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도면에서 기재된 길이, 두께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y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drawings, the length, thickness, and the like of each component are illustrat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ength, thicknes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pper part" and "lower part"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upper part" may be changed to "lower part" and "lower part" may be changed to "upper part"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view, and "on" or What is referred to as "on" may include a case where other structures are interposed not only above but also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th)acrylic" may mean acrylic and/or methacrylic.

본 명세서에서 수치 범위 기재시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X≤ 그리고 ≤Y)를 의미한다.When describing the numerical rang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X to Y" means X or more and Y or less (X≤ and ≤Y).

본 발명의 발명자는 발광표시장치용 패널 예를 들면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피착체 예를 들면 캐리어 기판(예: 캐리어 유리 기판)에 일시적으로 고정하였다가 재박리하기 위한 재박리성 점착 테이프로서 캐리어 기판 쪽에 점착되는 점착층의 일부면에 비점착성면을 형성하였다. 이를 통해 에어 블로잉 공정에 의한 피착체로부터 점착 시트의 재박리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점착층으로서 UV 경화형 점착층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발포체를 포함하는 점착층과 같이 열 처리 공정이 필요없어 소자 불량, 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UV 경화 후 서로 다른 박리강도를 갖는 2종의 점착층을 구비함으로써 선택적인 박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rier substrate as a re-peelable adhesive tape for temporarily fixing a panel for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anel, to an adherend, e.g., a carrier substrate (e.g., a carrier glass substrate), and then peeling it again. A non-adhesive surface was formed on a part of the adhesive layer adhered to the side. Through thi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easily peeled off from the adherend by the air blowing process. In addition, by using the UV-curable adhesive layer as the adhesive lay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vice defects and warpage because a heat treatment process is not required as in the adhesive layer including a conventional foam. In addition, by providing two types of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peel strengths after UV curing, selective peeling was possible.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점착층,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 중 일부면에는 비점착층면이 형성되어 있다.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layer, a first adhesive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 non-adhesive layer surface is formed on some surfaces.

바람직하게는 비점착성면은 마스킹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non-adhesive surface may be formed by a masking film.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도 1,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에서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평면도이다.Hereinafter, a releasabl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leasabl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lower surface of a second adhesive layer in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of FIG. 1.

도 1을 참조하면,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기재층(100), 기재층(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점착층(110), 기재층(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120), 제2점착층(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마스킹 필름(masking film)(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includes a base layer 100, a first adhesive layer 1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00,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00. 120 and a masking film 13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마스킹 필름(130)에 의해 제2점착층(120)의 하부면에 비점착성면이 일부 형성되게 된다.In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a non-adhesive surface is parti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by the masking film 130.

피착체로부터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재박리하고자 할 경우 에어 블로잉 공정에 의해 외부에서 에어를 주입하게 된다. 종래 발포제 또는 발포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는 에어가 침투할 수 있는 시발점(starting point)을 제공할 수 있으나 점착층과 피착체 간의 결합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발포제는 열에 의해 작용하므로 열 처리 공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 점착층만으로 이루어진 점착 시트는 에어가 침투할 수 있는 시발점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다고 에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고자 서로 이격된 패턴 형식으로 점착층을 형성하는 경우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이 높지 않아 점착 시트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우며 제조가 어려워 공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In the case of attempting to re-peel the re-peelabl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air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by the air blowing process. A conventional adhesive sheet having a foaming agent or a foaming layer can provide a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air can penetrate, bu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nd may be reduced, and since the foaming agent acts by heat, a heat treatment process is essential.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de of only an adhesive lay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air can penetrate. However, in the case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in the form of a patter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move, the adhesive strength to the adherend is not high, so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dhesive sheet, an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so fairness may be degraded.

마스킹 필름은 외부에서 에어를 공급하였을 때 피착체와 점착 시트 사이에 에어가 침투할 수 있는 시발점 제공이 용이하며, 동시에 에어가 공급되는 적정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피착체로부터 점착 시트가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킹 필름은 제2점착층의 하부면 중 일부에만 형성됨으로써 제2점착층과 피착체 간의 점착력도 어느 정도 확보함으로써 점착 시트 본연의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되도록 한다.When ai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masking film makes it easy to provide a starting point where air can penetrate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adhesive sheet,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an appropriate space for air to be supplied so that the adhesive shee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adherend. I can. In addition, since the masking film is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nd is also secured to some extent, so that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dhesive sheet can be easily achieved.

일 구체예에서, 마스킹 필름은 에어가 침투할 수 있는 시발점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도록 제2점착층의 피착면인 하부면 중에서 외곽면에 형성되어 있다. 마스킹 필름이 제2점착층의 피착면 중에서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 피착체와의 결합 정도가 미약할 수 있고, 에어가 침투할 수 있는 시발점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sking film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which is the adhesion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sufficient to provide a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air can penetrate. When the masking film is formed inside of the adherend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degree of bonding with the adherend may be weak, and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air can penetrate.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각 부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Each part of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기재층Base layer

기재층(100)은 제1점착층(110), 제2점착층(120) 사이에 형성되어,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을 지지하며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The base layer 10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1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supports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can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

기재층(100)은 피착체에 점착한 후 재박리시켰을 때 피착체의 변형 및/또는 휘어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피착체보다는 모듈러스나 경도가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체예에서, 기재층(10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 필름 및/또는 금속제의 필름 중 1종 이상의 적층체일 수 있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금속제의 필름은 티타늄, 구리 등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When the substrate layer 100 is adhered to the adherend and then peeled again, it is preferable to have a lower modulus or hardness than the adherend in order to suppress deformation and/or warpage of the adherend. In one embodiment, the base layer 100 may be a laminate of at least one of an optically transparent resin film and/or a metal film. The optically transparent resin film may include a polyester resin film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tal film may include a film such as titanium or copp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기재층(100)은 두께가 10㎛ 내지 1mm, 구체적으로 12.5㎛ 내지 125㎛, 더 구체적으로 25㎛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 시트를 다루기가 쉽고, 피착체로부터 점착 시트의 박리시 점착 시트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base layer 100 may have a thickness of 10 μm to 1 mm, specifically 12.5 μm to 125 μm, and more specifically 25 μm to 50 μm.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easy to hand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peeled from the adherend, th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an be maintained.

기재층(100)은 광학적으로 투명하여 점착 시트를 점착시켰을 때 점착 상태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100)은 UV에 대한 투과도가 높아 UV 경화형인 제1점착층, 제2점착층을 점착 시트에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기재층은 파장 200nm 내지 450nm에서 광 투과율이 50% 이상, 구체적으로 50% 내지 80%가 될 수 있다.The base layer 100 is optically transparent, so that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adhered, the adhesive state can be easily confirmed. In addition, the base layer 100 has a high transmittance to UV so that it is easy to use the UV-curabl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for the adhesive sheet. In one embodiment, the base layer may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50% or more, specifically 50% to 80% at a wavelength of 200 nm to 450 nm.

기재층(100)은 무색으로서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도 있으나, 점착 시트를 피착체에 점착시켰을 때 피착 상태는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다. 카메라에 대한 인식율을 높이기 위하여, 기재층(100)은 유색이 되거나 소정 범위의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The base layer 100 may be colorless and optically transparent, but when the adhesive sheet is adhered to the adherend, the adhered state is recognized by the camera.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for the camera, the base layer 100 may be colored or may have a haze in a predetermined range.

일 구체예에서, 기재층은 카메라 인식율을 높이기 위하여 유색 필름 또는 시트로서 녹색 색상의 필름 또는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녹색 색상은 기재층 제조시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에 녹색의 염료 또는 안료를 투입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base layer may use a green colored film or sheet as a colored film or sheet in order to increase the camera recognition rate. The green color may be implemented by adding a green dye or pigment to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base layer when preparing the base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구체예에서, 기재층은 헤이즈가 20% 이하, 구체적으로 1%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카메라 인식율을 높여 피착 상태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상술 헤이즈를 갖는 기재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층에 유기 입자,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포함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무기 입자는 지르코니아, 실리카(silica), 티타니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유기 입자는 실리콘(silicone) 입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입자 등을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입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입자는 코어 쉘 형 입자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기재층에 실리콘 입자 등의 유기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고 기재층 형성용 수지와의 상용성도 좋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층은 유기 입자,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기재층 중 1중량% 내지 50중량%, 구체적으로 20중량% 내지 3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카메라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ase layer may have a haze of 20% or less, specifically 1% to 10%. 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check the deposition state by increasing the camera recognition rate. The substrate layer having the above-described haze may be implement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organic particles, inorganic particles, and/or organic-inorganic hybrid particles in the base layer. Inorganic particles include at least one of zirconia, silica, and titania, and organic particles are at least one of (meth)acrylic particles including silicon particle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articles, etc. Including, the organic-inorganic hybrid particles may include core-shell type particl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by including organic particles such as silicon particles in the substrate layer, damage to the adherend can be prevented and compatibility with the resin for forming the substrate layer can be improved. For example, the base layer may include organic particles, inorganic particles, and/or organic-inorganic hybrid particles in an amount of 1% to 50% by weight, specifically 20% to 35% by weight of the base layer.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amera recognition rate.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재층의 상부면,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프라이머층 등을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됨으로써, 기재층에 제1점착층 또는 제2점착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by forming a functional coating layer including a primer layer, etc.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layer,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on the substrate layer. have.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First adhesive layer and second adhesive layer

제1점착층(110)과 제2점착층(120)은 각각 기재층(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되어,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가 양면 점착형 점착 시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1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layer 100, respectively, so that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double-sided adhesive-type adhesive sheet. have.

마스킹 필름(130)은 제2점착층(120)의 하부면에만 형성되고, 제1점착층(110)의 상부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마스킹 필름도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제2점착층 중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점착층에서 마스킹 필름의 형성 유무에 따른 단차를 낮추기 위하여, 마스킹 필름은 제2점착층 중에 함몰된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의 모듈러스는 서로 다르게 해야 한다. 상기 "모듈러스"는 25℃에서 저장 탄성률을 의미한다.The masking film 130 is formed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and is no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110. The masking film also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only in part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ste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mation of the masking film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masking film be included in the form recessed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refore, th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should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odulus" means a storage modulus at 25°C.

일 구체예에서, 제2점착층의 모듈러스와 제1점착층의 모듈러스는 하기 식 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dulu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have a relationship of Equation 1:

[식 1][Equation 1]

G1 > G2G1> G2

(상기 식 1에서, (In Equation 1 above,

G1은 제1점착층의 모듈러스, G1 is th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G2는 제2점착층의 모듈러스).G2 is the modulu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상기 식 1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제2점착층 하부면에 마스킹 필름 적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점착 시트의 강도도 유지하면서 진공 압착 공정에서도 점착 시트를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By having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formula (1), it is possible to easily laminate the masking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adhesive sheet, it is possible to use the adhesive sheet even in the vacuum pressing process.

예를 들면, 제2점착층의 모듈러스에 대한 제1점착층의 모듈러스의 비(G1/G2)는 2이상, 구체적으로 2 내지 3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2점착층 하부면에 마스킹 필름 적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점착 시트의 강도도 유지하면서 진공 압착 공정에서도 점착 시트를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atio of th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o the modulu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G1/G2) may be 2 or more, specifically 2 to 3.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asily laminate the masking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adhesive sheet, it is possible to use the adhesive sheet in a vacuum pressing process.

예를 들면, 제1점착층의 모듈러스는 0.1MPa 이상, 구체적으로 0.1MPa 내지 0.15MPa, 더 구체적으로 0.1MPa 내지 0.12MPa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피착체 접합시 진공 압착에 의하더라도 점착 시트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be 0.1 MPa or more, specifically 0.1 MPa to 0.15 MPa, and more specifically 0.1 MPa to 0.12 MPa. In the above range, the shap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an be maintained even by vacuum compression when bonding the adherend.

예를 들면, 제2점착층의 모듈러스는 0.04MPa 이상, 구체적으로 0.04MPa 내지 0.06MPa, 더 구체적으로 0.04MPa 내지 0.05MPa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2점착층에 마스킹 필름이 잘 함몰되어 적층될 수 있고, 마스킹 필름 형성에 의한 단차를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modulu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0.04 MPa or more, specifically 0.04 MPa to 0.06 MPa, and more specifically 0.04 MPa to 0.05 MPa. In the above range, the masking film may be well depressed and laminated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a step differenc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masking film may be reduced.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은 각각 피착체가 서로 다르며, 점착 시트 적용시 점착 시트에 UV를 조사하였을 때 제1점착층으로부터는 패널이 분리되고 제2점착층은 캐리어 글라스 상에서 점착되어야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은 UV 조사 후 점착력이 달라야 한다.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have different adherends, and when the adhesive sheet is irradiated with UV when the adhesive sheet is applied, the panel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ust be adhered on the carrier glass. . Therefore,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ust have different adhesive strength after UV irradiation.

상기 "점착력"은 제1점착층 또는 제2점착층에 UV 조사하고 피착체 예를 들면 무알칼리 유리판에 대하여 25℃에서 300mm/min의 박리 속도로 박리 각도 180°로 박리시 박리 강도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점착 시트는 UV 경화 후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 간의 점착력이 달라 선택적인 박리가 가능할 수 있다. The "adhesive force" refers to the peel strength when UV irradiation is appli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peeled at a peeling angle of 180° at a peel rate of 300 mm/min at 25° C. for an adherend, for example, an alkali-free glass plate. . Through thi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have different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fter UV curing, so that selective peeling may be possible.

구체적으로, 제2점착층의 UV 조사 후 점착력과 제1점착층의 UV 조사 후의 점착력은 하기 식 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adhesive force after UV irradiatio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force after UV irradiatio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have a relationship of Equation 2 below:

[식 2][Equation 2]

PS2 > PS1PS2> PS1

(상기 식 2에서, (In Equation 2 above,

PS1은 제1점착층의 UV 조사 후의 점착력, PS1 is the adhesio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fter UV irradiation,

PS2는 제2점착층의 UV 조사 후의 점착력).PS2 is the adhesio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fter UV irradiation).

상기 식 2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점착 시트를 패널의 임시 고정 용도의 양면 점착 시트로 사용할 수 있다.By having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formula 2,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an be used as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temporary fixing of panels.

예를 들면, 제2점착층의 UV 조사 후의 점착력에 대한 제1점착층의 UV 조사 후의 점착력의 비(PS2/PS1)는 2.4 이상, 구체적으로 2.4 내지 6.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점착층, 제2점착층을 각각 UV 경화형 점착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atio (PS2/PS1) of the adhesive force after UV irradiatio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o the adhesive force after UV irradiatio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PS2/PS1) may be 2.4 or more, specifically 2.4 to 6.0. In the above range, each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as a UV-curable adhesive layer.

예를 들면, 제1점착층의 UV 조사 후의 점착력은 4gf/in 이상, 구체적으로4gf/in 내지 12gf/in, 더 구체적으로 4gf/in 내지 10gf/in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점착층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이 낮아서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fter UV irradiation may be 4 gf/in or more, specifically 4 gf/in to 12 gf/in, and more specifically 4 gf/in to 10 gf/in. In the above range, the adhesio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o the adherend is low, and thus fairness can be secured.

예를 들면, 제2점착층의 UV 조사 후의 점착력은 11gf/in 이상, 구체적으로 11gf/in 내지 30gf/in, 더 구체적으로 11gf/in 내지 24gf/in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UV 경화 후, 패널을 먼저 분리한 후 에어 블로잉을 통해 Glass에서 Tape 을 떼어내는 선택적 박리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fter UV irradiation may be 11 gf/in or more, specifically 11 gf/in to 30 gf/in, and more specifically 11 gf/in to 24 gf/in. In the above range, after UV curing, the panel may be first separated, and then the effect of selective peeling of removing the tape from the glass through air blowing may be obtained.

제1점착층, 제2점착층의 각각의 두께는 점착 시트의 용도, 기재층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30㎛, 구체적으로 1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제2점착층의 두께는 제1점착층의 두께 대비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두께는 20㎛ 내지 80㎛, 구체적으로 20㎛ 내지 4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 시트의 제조가 용이하고, 피착체에 대한 박리력을 확보할 수 있다.Each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adhesive sheet,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be 10 μm to 30 μm, specifically 10 μm to 20 μm.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thickness may be 20 μm to 80 μm, specifically 20 μm to 40 μm. In the above range,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peeling force on the adherend.

제1점착층, 제2점착층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층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점착층, 제2점착층은 UV 경화형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일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layers.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a UV-curable (meth)acrylic adhesive layer.

상기 "UV 경화"는 제1점착층, 제2점착층에 대해 파장 200nm 내지 450nm의 조건에서 세기 300mJ/cm2 내지 3,000mJ/cm2의 광을 조사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UV curing" means for irradiating a first adhesive layer, second adhesive layer wavelength of 200nm and the light intensity of 300mJ / cm 2 to 3,000mJ / cm 2 under the conditions of about 450nm.

마스킹 필름(130)은 제2점착층(120)의 하부면에만 형성되고, 제1점착층(110)의 상부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마스킹 필름은 제2점착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마스킹 필름도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제2점착층 중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점착층에서 마스킹 필름의 형성 유무에 따른 단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점도가 조절되어야 한다. 상기 점도는 점착층용 조성물에 대하여 25℃에서 측정된 점도를 의미한다.The masking film 130 is formed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and is no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110. The masking film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masking film also has a certain thickness, and is formed only in part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the ste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masking film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ust be adjusted. The viscosity refers to the viscosity measured at 25°C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일 구체예에서, 제2점착층용 조성물의 점도는 제1점착층용 조성물의 점도는 하기 식 3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have a relationship of Equation 3:

[식 3][Equation 3]

V1 > V2V1> V2

(상기 식 3에서, (In Equation 3 above,

V1은 제1점착층용 조성물의 점도,V1 is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V2는 제2점착층용 조성물의 점도).V2 is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상기 식 3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제2점착층 하부면에 마스킹 필름 적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점착 시트의 강도도 유지하면서 에어 블로잉 공정에 의한 재박리성을 높일 수 있다.By having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formula (3), it is possible to easily laminate the masking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peelability by the air blowing process.

예를 들면, 제2점착층용 조성물의 점도에 대한 제1점착층용 조성물의 점도의 비(V1/V2)는 2 이상, 구체적으로 2 내지 3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점착층, 제2점착층을 각각 UV 경화형 점착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atio (V1/V2) of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to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V1/V2) may be 2 or more, specifically 2 to 3. In the above range, each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as a UV-curable adhesive layer.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은 각각 UV 경화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점착층일 수 있다. 상술한, 제1점착층, 제2점착층 각각의 모듈러스, 점착력, 점도는 점착층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각의 성분의 함량 및/또는 종류 등을 조절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제1점착층, 제2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층용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Each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a UV-curable (meth)acrylate-based adhesive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modulus, adhesion, and viscosity of each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can be achieved by adjusting the content and/or type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Hereinafter, a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for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will be described.

점착층용 조성물은 UV 경화형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으로서, 발광 파장 200nm 내지 450nm으로 금속 할라이드 램프나 고압 수은 램프 등에서 발광되는 연속적 파장 또는 UV LED에서 발광되는 파장 200nm 내지 450nm에서의 특정 파장에 대해 경화되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is a UV-curable (meth)acrylic adhesive layer, which is cured for a specific wavelength at a continuous wavelength emitted from a metal halide lamp or a high-pressure mercury lamp, or a wavelength emitted from a UV LED at 200 nm to 450 nm with an emission wavelength of 200 nm to 450 nm. It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점착층용 조성물은 UV 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 경화제,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점착층용 조성물은 충전제, UV 반응성 올리고머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includes a UV-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a curing agent, and a photoinitiator.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filler and a UV-reactive oligomer.

UV 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이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급 용이성, UV 경화성 등을 고려하여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측쇄에 (메트)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10중량% 내지 50중량% 부가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등의 통상의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UV 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개시제는 인계 광개시제 등 통상의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충전제는 점착층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점착층의 모듈러스를 높이는 것으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또는 하이브리드 충전제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유기 충전제는 실리콘 입자,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UV 반응성 올리고머는 UV 경화시 점착층의 경화율을 높이는 것으로 UV 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 대비 분자량이 낮은 종류로 사용할 수 있다.The UV 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may be a (meth)acrylic resin, a silicone resin, or the like, but preferably may include a (meth)acrylic resi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upply and demand and UV curability. In one embodiment, the (meth)acrylic resin may be a resin in which 10% to 50% by weight of a (meth)acrylate functional group is added to the side chain. The curing agent may be a conventional curing agent such as an isocyanate curing agent or an epoxy curing agent,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UV 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The photoinitiator may be a conventional type such as a phosphorus photoinitiator. The filler is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to increase th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and at least one of an organic filler, an inorganic filler, or a hybrid filler may be used. In one embodiment, the organic filler may use particles formed of at least one of silicone particles and polymethyl (meth)acrylate. The UV-reactive oligomer increases the curing rate of the adhesive layer during UV curing and can be used in a type having a lower molecular weight compared to the UV-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일 구체예에서, 제1점착층용 조성물은 UV 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광개시제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충전제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점착층의 모듈러스, UV 조사 후의 점착력에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contains 1 part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0.1 part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and 10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of a fill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I can. In the above range, th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force after UV irradiation can be easily reached.

상기 제1점착층용 조성물은 UV 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UV 반응성 올리고머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1 part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of a UV-reactive olig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일 구체예에서, 제2점착층용 조성물은 UV 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광개시제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UV 반응성 올리고머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2점착층의 모듈러스, UV 조사 후의 점착력에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0.1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0.1 parts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10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of a UV reactive oligomer Can include. In the above range, the modulu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force after UV irradiation can be easily reached.

상기 제2점착층용 조성물은 UV 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충전제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10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of a fill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일 구체예에서, 점착층용 조성물은 가열에 의한 발포성이 있는 발포체 또는 발포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may not include a foam or a foaming agent having foamability by heating.

마스킹 필름Masking film

마스킹 필름(130)은 제2점착층(120)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제2점착층(120)의 일부에 비점착성면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피착체와 점착 시트 간의 사이에 에어를 주입시 에어가 침투될 수 있는 시발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UV 조사 후 피착체와 제2점착층 간의 점착력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재박리성과 점착성의 양립을 동시에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 The masking film 130 is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to provide a non-adhesive surface to a part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Through this, when air is injected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adhesive sheet, it provides a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air can penetrate, and at the same time, it ensures the adhesion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fter UV irradiation, thereby achieving both re-peelability and adhesiveness. To achieve.

특히,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마스킹 필름이 제2점착층과는 별개의 독립된 층으로 존재함으로써 제2점착층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재박리성을 얻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sking film exists as an independent layer separate from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o the adherend is not affected and re-peelability is obtained.

도 1의 점착 시트는 제2점착층의 일부에 비점착성면을 형성하고자 마스킹 필름을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점착층 상에 비점착성면을 형성할 수 있다면 마스킹 필름에 제한되지 않은 공지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마스킹 필름은 하기 상술되는 바와 같이 필름 소재로서 제2점착층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에어 블로잉에 의한 들뜸이 유리하여 비점착성면을 제공하고 재박리를 위해서는 바람직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FIG. 1 is obtained by applying a masking film to form a non-adhesive surface on a part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known means not limited to the masking film may be applied if a non-adhesive surface can be formed on the second adhesive layer. However, the masking film is a film material, as described below, and is advantageous for lifting by air blowing without affecting the adhesio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o the adherend, providing a non-adhesive surface and may be preferable for re-peelability. have.

마스킹 필름(130)은 제2점착층(120) 상에 형성됨으로써 제2점착층의 점착력 중 일부를 가리우는 역할을 한다. 일 구체예에서, 도 1과 같이, 마스킹 필름은 제2점착층에 함몰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마스킹 필름은 제2점착층에 함몰되지 않은 상태로 제2점착층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sking film 130 is formed on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to cover part of the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masking film may be formed in a state that is recessed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In another embodiment, the masking film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without being depressed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제2점착층(130)의 하부면 중 마스킹 필름(130)이 차지하는 면적비 S3/S2(S2는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면적, S3은 제2점착층에 형성된 마스킹 필름의 총 면적)는 0.01 내지 0.5, 구체적으로 0.06 내지 0.3, 더 구체적으로 0.14 내지 0.31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에어 블로잉 공정시 재박리성과 제2점착층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성의 양립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면적"은 제2점착층 중 마스킹 필름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면적과 제2점착층 중 마스킹 필름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의 총 합을 의미한다.The area ratio S3/S2 occupied by the masking film 130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30 (S2 is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S3 is the total area of the masking film formed on the second adhesive layer) It may be 0.01 to 0.5, specifically 0.06 to 0.3, more specifically 0.14 to 0.31.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achieve both re-peelability and adhesio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o the adherend during the air blowing process.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means the total sum of the area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where the masking film is not formed and the area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where the masking film is formed.

마스킹 필름(130)은 에어가 침투할 수 있는 시발점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도록 제2점착층의 피착면 중에서 외곽면에 형성되어 있다. 마스킹 필름이 제2점착층의 피착면 중에서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 피착체와의 결합 정도가 미약할 수 있고, 에어가 침투할 수 있는 시발점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The masking film 13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rend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o be sufficient to provide a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air can penetrate. When the masking film is formed inside of the adherend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degree of bonding with the adherend may be weak, and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air can penetrate.

일 구체예에서, 마스킹 필름은 제2점착층이 각이 진 부분을 포함하는 모서리 부분을 갖는 형상인 경우,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에어 블로잉 투입시 에어가 침투될 수 있는 시발점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econd adhesive layer has a shape having an edge portion including an angled portion, the masking film may be formed to include an edge por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air can penetrate when air blowing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에서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평면도이다.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G. 2 is a plan view of a lower surface of a second adhesive layer in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점착 시트가 사각형 형상인 경우, 점착 시트는 제2점착층의 하부면(120A)을 구비하고, 마스킹 필름(130)은 제2점착층의 하부면(120A)의 모서리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마스킹 필름(130)은 제2점착층(120A)의 외곽면 중 일부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에어 블로잉 공정시 에어가 침투할 수 있는 시발점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adhesive sheet has a rectangular shape, the adhesive sheet has a lower surface 120A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masking film 130 is a corn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120A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It is formed only. The masking film 130 is not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A.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ovide a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air can penetrate during the air blowing process.

마스킹 필름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형상 이외에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등의 N(N은 4 내지 10의 정수)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sking film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ddition to a triangular shape, N (N is an integer of 4 to 10) such as a square, a rectangle, and a pentagon may be included.

도 2를 참조하면, 제2점착층이 사각형 형상이라고 할 경우, 사각형 일 변 중 마스킹 필름이 없는 영역의 길이 c와 상기 사각형 일 변과 이웃하는 다른 일 변 중 마스킹 필름이 없는 영역의 길이 d는 서로 다르고, c에 대한 d의 비는 1 초과 예를 들면 1.4 내지 2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에어 블로잉 공정시 에어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피착체에 대한 점착도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second adhesive layer has a rectangular shape, a length c of an area without a masking film among one side of the rectangle and a length d of an area without a masking film among the other sid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rectangle are They are different, and the ratio of d to c may be greater than 1, for example from 1.4 to 20.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air during the air blowing process, and can also be adhered to the adheren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점착 시트가 사각형 형상인 경우, 마스킹 필름의 외곽면은 각진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s a rectangular shape, an angled corner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ing film.

마스킹 필름(130)은 제2점착층의 일부에 비점착성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스킹 필름의 하부면이 비점착성인 것이라면 재질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마스킹 필름(13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material of the masking film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lower surface of the masking film is non-adhesive so as to provide a non-adhesive surface to a part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For example, the masking film 130 may include an optically transparent resin film,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a polyester resin film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마스킹 필름(130)은 두께가 9㎛ 내지 100㎛, 구체적으로 9㎛ 내지 50㎛, 더 구체적으로 9㎛ 내지 38㎛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마스킹 필름으로 적용될 수 있고, 제2점착층 대비 단차 형성으로 인한 불량을 막을 수 있다.The masking film 130 may have a thickness of 9 μm to 100 μm, specifically 9 μm to 50 μm, and more specifically 9 μm to 38 μm. In the above range, it may be applied as a masking film, and defects due to formation of a step compared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prevented.

마스킹 필름(130)은 활성 에너지선 예를 들면 UV에 대한 투과율이 50% 이상, 예를 들면 50% 내지 9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점착층, 제2점착층이 UV 경화형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일 경우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의 제조 공정성을 높일 수 있다.The masking film 130 may have a transmittance of 50% or more, for example, 50% to 90%, to an active energy ray, for example, UV. In the above range, wh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UV-curable (meth)acrylic adhesive layer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processability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에서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평면도이다.Hereinafter,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plan view of a lower surface of a second adhesive layer in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점착 시트 중 제2점착층(120A)의 하부면에 마스킹 필름(130)이 형성되어 있다. 마스킹 필름(130)은 제2점착층(120A)의 하부면 중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점착층(120A)의 외곽면 중 일부에는 형성되지 않다. 마스킹 필름(130)의 모서리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점착 시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3, a masking film 130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A of the adhesive sheet. The masking film 130 is formed on a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A, and is not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A.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FIG. 1 except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masking film 130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도 2와 같이 마스킹 필름이 각진 모서리 형상인 경우 대비, 도 3과 같이 마스킹 필름의 모서리가 곡면인 경우, 에어 블로잉 공정에 의한 에어 침투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masking film has an angled corner shape as shown in FIG. 2, when the corner of the masking film is curved as shown in FIG. 3, air penetration by the air blowing process may be more easily performed.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Referring to Figure 4, a re-release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점착 시트는 기재층(100), 제1점착층(110), 제2점착층(120), 마스킹 필름(130), 및 제3점착층(140)을 포함한다. 제2점착층(120)과 마스킹 필름(130) 사이에 제3점착층(140)이 추가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점착성 시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4, the adhesive sheet includes a base layer 100, a first adhesive layer 110, a second adhesive layer 120, a masking film 130, and a third adhesive layer 140.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dhesive sheet of FIG. 1 except that the third adhesive layer 140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and the masking film 130.

제3점착층(140)은 마스킹 필름(130)과 제2점착층(120) 사이에 형성되어, 에어 블로잉 시 마스킹 필름이 제 2 점착층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third adhesive layer 140 may be formed between the masking film 13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masking film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adhesive layer during air blowing.

제3점착층(140)은 두께가 10㎛ 내지 50㎛,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더 구체적으로 20㎛ 내지 3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마스킹 필름의 이탈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third adhesive layer 140 may have a thickness of 10 μm to 50 μm, specifically 10 μm to 30 μm, and more specifically 20 μm to 30 μm.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masking film.

제3점착층(140)은 NON-UV형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ON-UV형 점착층"은 상술한 UV형 점착층과는 달리 UV 이외의 방법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점착층용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점착층(120)은 UV 경화형 점착층인데 비하여, 제3점착층(140)은 NON-UV형 점착층으로 함으로써 UV 조사에 의한 점착층의 점착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third adhesive layer 140 may include a NON-UV type adhesive layer. Unlike the above-described UV-type adhesive layer, the "NON-UV-type adhesive layer" refers to an adhesive layer formed of a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that can be cured by a method other than UV.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hesive layer 120 is a UV-curable adhesive layer, whereas the third adhesive layer 140 is a NON-UV-type adhesive layer, thereby preventing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from decreasing due to UV irradiation. You can get it.

일 구체예에서, 제3점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UV에 의해 경화되지 않은 점착 바인더 수지, 상술한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V에 의해 경화되지 않은 점착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third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adhesive binder resin that is not cured by UV and the above-described curing agent. For example, it may include 0.1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binder resin not cured by UV.

이하,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기재층의 상부면에 제1점착층을 위한 조성물을 코팅하고, 기재층의 하부면에 제2점착층을 위한 조성물을 코팅하고 해당 코팅층에 마스킹 필름을 적층하고, 건조시킨 다음 소정의 크기로 타발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ats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coats 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and laminates a masking film on the coating layer. , Dried and then punched into a predetermined size.

또한,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기재층의 상부면에 제1점착층을 위한 조성물을 코팅하고, 기재층의 하부면에 제2점착층을 위한 조성물을 코팅하고 건조시킨 다음 소정의 크기로 타발하고, 해당 코팅층에 마스킹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ats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coats 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then dries a predetermined size. It can be produced by punching and laminating a masking film on the coating layer.

그외,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형성하는 방법에서 각 단계는 변경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추가적인 공정을 추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step in the method of forming 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nd additional process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added.

이하,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널을 캐리어 글래스에 임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rocess of temporarily fixing a light emitting device panel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o a carrier glass.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사용하는 방법은 캐리어 글래스의 일면에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위치시키고, 상기 재박리성 점착 시트 상에 발광소자 패널을 배치한 후 압착시키고 이때 제1점착층이 발광소자 패널쪽으로 향하도록 하고, 재박리성 점착 시트 중 제1점착층, 제2점착층을 활성 에너지선 경화시키고, 상기 재박리성 점착 시트로부터 상기 발광소자 패널을 분리하고, 상기 캐리어 글래스로부터 상기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using 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fter placing the re-release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one side of a carrier glass, and dispo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panel on the re-release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layer was directed toward the light emitting device panel,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were cured with active energy rays,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panel was removed from the re-releaseable adhesive sheet. And separating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from the carrier glass.

상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제1점착층, 제2점착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발광소자 패널, 캐리어 글래스로부터 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조사는 파장 200nm 내지 450nm, 세기 300m J/cm2 이상의 조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step of irradiating the active energy ray,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cured to facilitate peeling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panel and the carrier glass. For example, the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may include irradiation with a wavelength of 200 nm to 450 nm and an intensity of 300 m J/cm 2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캐리어 글래스로부터 상기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분리하는 단계는 에어 블로잉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블로잉 공정은 캐리어 글래스와 재박리성 점착 시트 사이에 에어를 주입하는 공정 예를 들면 에어 나이프 공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tep of separating 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rom the carrier glass may be performed by an air blowing process. Specifically, the air blowing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injecting air between the carrier glass and 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for example, an air knife proc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but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제1점착층용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UV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AK-DA(애경화학사) 2 중량부, 실리콘 입자로서 KMP-601(신에츠사) 25중량부 및 광 개시제로서 IRGACURE 819(Ciba사) 1.52 중량부를 함유한 UV 경화형 제1점착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UV 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로는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의 주쇄에 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측쇄로 35 wt% 부가한 고분자 수지(Mw 550,000)를 사용하였다.2 parts by weight of AK-DA (Aekyung Chemical) as an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25 parts by weight of KMP-601 (Shin-Etsu) as a silicone particle and 1.52 parts by weight of IRGACURE 819 (Ciba) as a photoinitiator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UV-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A UV curable first adhesive layer composition containing was prepared. As the UV-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a polymer resin (Mw 550,000) in which 35 wt% of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was added as a side chain to the main chain of an acrylic base resin was used.

제조예 2:Preparation Example 2: 제1점착층용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제조예 1 에서 UV 반응성 올리고머로서 M150(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 3.8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제1점착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In Preparation Example 1, 3.8 parts by weight of M150 (Miwon Specialty Chemical) was further added as a UV-reactive oligomer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a first adhesive layer.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제2점착층용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UV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AK-DA(애경화학사) 0.8중량부, UV반응성 올리고머 M150(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 25중량부 및 광개시제로서 IRGACURE 819(Ciba사) 1.6 중량부를 함유한 UV 경화형 제2점착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광경화형 점착 바인더 수지로는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의 주쇄에 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측쇄로 40 wt% 부가한 고분자 수지(Mw 550,000)를 사용하였다.Contains 0.8 parts by weight of AK-DA (Aekyung Chemical Co., Ltd.), 25 parts by weight of UV-reactive oligomer M150 (Miwon Specialty Chemical Co., Ltd.), and 1.6 parts by weight of IRGACURE 819 (Ciba Co., Ltd.) as a photoinitiator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UV-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One UV-curable second adhesive layer composition was prepared. As the photocurable adhesive binder resin, a polymer resin (Mw 550,000) in which 40 wt% of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was added as a side chain to the main chain of an acrylic base resin was used.

제조예 4:Preparation Example 4: 제2점착층용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제조예 3 에서 실리콘 입자 KMP-601(신에츠사) 20중량부를 첨가하여 제2점착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In Preparation Example 3, 20 parts by weight of silicone particles KMP-601 (Shin-Etsu) were added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a second adhesive layer.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제3점착층용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for the third adhesive layer

Non-UV점착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AK-DA(애경화학사) 0.8 중량부를 함유한 Non UV 경화형 제3점착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 바인더 수지로는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의 주쇄에 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측쇄로 40 wt% 부가한 고분자 수지(Mw 550,000)를 사용하였다.A composition for a non-UV curable third adhesive layer containing 0.8 parts by weight of an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AK-DA (Aekyung Chemical Co., Ltd.)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a non-UV adhesive binder resin was prepared. As the adhesive binder resin, a polymer resin (Mw 550,000) in which 40 wt% of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was added as a side chain to the main chain of an acrylic base resin was used.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 대한 물성 평가][Physical property evaluation for Preparation Examples 1 to 4]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2의 제1점착층용 조성물에 대하여 25℃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Rheometer 방법(ASTM D4440)으로 점도를 측정하였다.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2 was measured at 25°C. Specifically, the viscosity was measured by the Rheometer method (ASTM D4440).

제조예 1내지 제조예 2의 제1점착층용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50㎛, 제품명: SH34, 제조사: SKC)에 두께 20㎛로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시켜 두께 20㎛의 제1점착층이 형성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2 was applied to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thickness: 50 μm, product name: SH34, manufacturer: SKC) to a thickness of 20 μm and dried at 120° C. for 3 minutes. A laminate having a first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was prepared.

제조예 3 내지 제조예 4의 점착층용 조성물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도를 측정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20㎛의 점착층이 형성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For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s of Preparation Examples 3 to 4, the viscosity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a laminate having an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조한 적층체를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저장 모듈러스, UV 조사 후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Using the prepared laminate, the storage modulus of Table 1 below and adhesion after UV irradiation were evaluated.

(1)저장 모듈러스: 상기 제조한 적층체 중 점착층을 지름 8mm x 두께 20㎛의 원형의 시편으로 절단한 복수개를 50층으로 적층시켜 저장 모듈러스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저장 모듈러스 측정 장치(TA Instruments, ARES-G2)을 이용하여 주파수 스윕 테스트에 의하여 측정 온도 0℃ 내지 70℃, 승온 속도 10℃/분, 측정 주파수 0.796Hz으로 측정하였다. 이중 25℃에서의 값을 취하였다.(1) Storage Modulus: Among the laminates prepared above,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cut into circular specimens having a diameter of 8 mm x 20 μm were stacked into 50 layers to prepare a specimen for measuring a storage modulus. A storage modulus measuring device (TA Instruments, ARES-G2) was used to measure a measurement temperature of 0° C. to 70° C.,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10° C./min, and a measurement frequency of 0.796 Hz by a frequency sweep test. Of these, the value at 25°C was taken.

(2)UV 조사 후 점착력: 상기 제조한 적층체를 길이 100mm x 폭 1inch 으로 절단하고, 점착층면을 무알칼리 유리판에 2 kg 롤러로 2회 왕복 부착하여 점착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편에 금속 할라이드 램프로 UV 를 300mJ/cm2의 세기로 조사하였다. 점착력 측정 장치(CHEMI LAB, SurTA)를 이용하여, 박리 각도 180°, 박리 온도 25℃, 박리 속도 300mm/min로 무알칼리 유리판으로부터 Tape을 박리시켰을 때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2) Adhesion after UV irradiation: The prepared laminate was cut into a length of 100 mm x 1 inch in width, and the adhesive layer surface was reciprocally attached to an alkali-free glass plate with a 2 kg roller twice to prepare a specimen for measuring adhesion. UV was irradiated on the specimen with a metal halide lamp at an intensity of 300 mJ/cm 2. Using an adhesion measuring device (CHEMI LAB, SurTA), the peel strength when the tape was peeled from the alkali-free glass plate was measured at a peeling angle of 180°, a peeling temperature of 25° C., and a peeling speed of 300 mm/min.

제1점착층First adhesive layer 제2점착층Second adhesive layer 제조예 1Manufacturing Example 1 제조예 2Manufacturing Example 2 제조예 3Manufacturing Example 3 제조예 4Manufacturing Example 4 점도(Pa.s)Viscosity (Pa.s) 26,04626,046 21,27021,270 8,6828,682 10,63510,635 저장 모듈러스(MPa)Storage modulus (MPa) 0.120.12 0.10.1 0.040.04 0.050.05 UV 조사 후 점착력(gf/in)Adhesion after UV irradiation (gf/in) 1010 44 2424 1111

실시예 1Example 1

기재층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50㎛, SH34, SKC)의 상부면에 제조예 1의 제1점착층용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켜 제1점착층을 위한 도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PET 필름의 하부면에 제조예 3의 제2점착층용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고 제2점착층을 위한 도막을 형성하였다. As a base layer,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thickness: 50 μm, SH34, SKC)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dried to form a coating film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ed. 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3 wa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T film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coating film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was formed.

제1점착층을 위한 도막 / 기재층 / 제2점착층을 위한 도막의 적층체를 도 2와 같이 길이 30mm x 폭 30mm의 정사각형 형상으로 타발하였다. 마스킹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 SM-38D, UNITIKA사)을 도 2의 형상으로 절단한 다음, 제2점착층을 위한 도막의 하부면에 도 2와 같이 접합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The laminate of the coating film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 the base layer / the coating film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was punched into a square shape having a length of 30 mm x a width of 30 mm as shown in FIG. 2. As a masking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hickness: 38 μm, SM-38D, UNITIKA) was cut into the shape of FIG. 2, and then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ating film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as shown in FIG. 2 to attach 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7Examples 2 to 7

실시예 1에서 마스킹 필름의 크기 및/또는 형상 및/또는 점착층 조성을 하기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In Example 1,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ize and/or shape and/or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of the masking film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8Example 8

기재층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50㎛, SH34, SKC)의 상부면에 제조예 2의 제1점착층용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켜 제1점착층을 위한 도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PET 필름의 하부면에 제조예 4의 제2점착층용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고 제2점착층을 위한 도막을 형성하였다. 제2점착층을 위한 도막의 하부면 중 일 부분에 도 4와 같이 제조예 5의 제3점착층용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고 제3점착층을 위한 도막을 형성하였다.As a base layer, the composition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2 wa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thickness: 50 μm, SH34, SKC)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dried to form a coating film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ed. The composition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4 wa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T film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coating film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was formed. As shown in FIG. 4, the composition for a third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5 wa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ating film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coating film for the third adhesive layer was formed.

제1점착층을 위한 도막 / 기재층 / 제2점착층을 위한 도막/제3점착층을 위한 도막의 적층체를 도 4와 같이 길이 30mm x 폭 30mm의 정사각형 형상으로 타발하였다. 마스킹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 SM-38D, UNITIKA사)을 도 2의 형상으로 절단한 다음, 제3점착층을 위한 도막의 하부면에 도 4와 같이 접합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The laminate of the coating film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 the base layer / the coating film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 the coating film for the third adhesive layer was punched into a square shape having a length of 30 mm x a width of 30 mm as shown in FIG. 4. As a masking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hickness: 38 μm, SM-38D, UNITIKA) was cut into the shape of FIG. 2, and then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ating film for the third adhesive layer as shown in FIG. 4 to attach 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5에서 제2점착층의 하부면에 마스킹 필름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In Example 5, 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a masking film was no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 시트에 대하여 하기 재박리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The following re-peelability was evaluated f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재박리성: 상기 제조한 적층체를 길이 x 폭(100mm x 1inch )으로 절단하고, 제 2 점착층면을 무알칼리 유리판에 2 kg 롤러로 2회 왕복 부착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금속 할라이드 램프로 UV 를 300m J/cm2의 세기로 조사한 후 에어건으로 압력0.4MPa, 각도 45 ˚ 로 2초 동안 공기를 분사하여 무알칼리 유리판으로부터 적층체가 박리되는 여부를 측정하였다. 상기 적층체가 무알칼리 유리판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양호", 박리되지 않는 경우 "불가"로 평가하였다.Re-peelability: The prepared laminate was cut into length x width (100 mm x 1 inch),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surface was reciprocated twice with a 2 kg roller on an alkali-free glass plate to prepare a specimen. After irradiating the prepared specimen with UV with a metal halide lamp at an intensity of 300 m J/cm 2 , air was sprayed with an air gun at a pressure of 0.4 MPa and an angle of 45 ˚ for 2 seconds to measure whether the laminate was peeled from the alkali-free glass plate. When the laminate was peeled from the alkali-free glass plate, it was evaluated as "good", and if it was not peeled off, it was evaluated as "not possible."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88 1One 마스킹 필름 형상Masking film shape 삼각형triangle 삼각형triangle 삼각형triangle 삼각형triangle 삼각형triangle 삼각형triangle 삼각형triangle 삼각형triangle -- 제1점착층First adhesive layer 제조예1Manufacturing Example 1 제조예1Manufacturing Example 1 제조예1Manufacturing Example 1 제조예1Manufacturing Example 1 제조예2Manufacturing Example 2 제조예2Manufacturing Example 2 제조예2Manufacturing Example 2 제조예2Manufacturing Example 2 제조예2Manufacturing Example 2 제2점착층Second adhesive layer 제조예3Manufacturing Example 3 제조예3Manufacturing Example 3 제조예3Manufacturing Example 3 제조예3Manufacturing Example 3 제조예4Manufacturing Example 4 제조예4Manufacturing Example 4 제조예4Manufacturing Example 4 제조예 4Manufacturing Example 4 제조예4Manufacturing Example 4 제3점착층3rd adhesive layer -- -- -- -- -- -- -- 제조예 5Manufacturing Example 5 -- 도 2의 aFig. 2 a 5mm5mm 5mm5mm 11mm11mm 8mm8mm 5mm5mm 5mm5mm 11mm11mm 8mm8mm -- 도 2의 bFigure 2b 14.5mm14.5mm 12.5mm12.5mm 12.5mm12.5mm 12.5mm12.5mm 14.5mm14.5mm 12.5mm12.5mm 12.5mm12.5mm 12.5mm12.5mm -- 도 2의 cFig. 2c 1mm1mm 5mm5mm 5mm5mm 5mm5mm 1mm1mm 5mm5mm 5mm5mm 5mm5mm -- 도 2의 dFigure 2 d 20mm20mm 20mm20mm 8mm8mm 14mm14mm 20mm20mm 20mm20mm 8mm8mm 14mm14mm -- 면적비Area ratio 0.160.16 0.140.14 0.310.31 0.220.22 0.160.16 0.140.14 0.310.31 0.220.22 -- 재박리성Re-peelability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불가Impossible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재박리성 평가시 에어 블로잉 공정에 의해 재박리성 점착 시트가 캐리어 글래스로부터 용이하게 재박리되었다.As shown in Table 2 above, in the re-peelabl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easily peeled off from the carrier glass by the air blowing process when evaluating the re-peelability.

반면에, 마스킹 필름을 구비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재박리성이 좋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 1 without a masking film had poor re-peelability.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점착층,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점착층 중 일부면은 비점착층면인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
A base layer, a first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Some surface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non-adhesive layer surfaces, the re-peelable adhesive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착층면은 마스킹 필름에 의해 형성된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adhesive layer surface is formed by a masking fil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필름은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에 함몰된 상태로 형성된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sking film is formed in a state that is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면적에 대한 상기 마스킹 필름의 총 면적의 면적비 S3/S2(S2는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의 면적, S3은 상기 마스킹 필름의 총 면적)는 0.01 내지 0.5인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rea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masking film to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S3/S2 (S2 is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S3 is the total area of the masking film. Area) is 0.01 to 0.5, the re-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비 S3/S2는 0.14 내지 0.31인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rea ratio S3/S2 is 0.14 to 0.3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필름은 상기 제2점착층의 하부면 중 외곽면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sking film is formed at a corner of an outer surface of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필름은 각이 진 모서리를 갖는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asking film has an angled corner, 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필름은 UV에 대한 투과율이 50% 이상인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sking film has a transmittance to UV of 50%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유색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comprises a colored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헤이즈가 20% 이하인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has a haze of 20%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제2점착층은 25℃에서 저장 모듈러스가 서로 다른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that the storage modulu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25 ℃, the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제2점착층은 UV 조사 후 점착력이 서로 다른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will have different adhesive strength after UV irradiation, the re-peelable adhesive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제2점착층은 각각 UV 경화형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each comprising a UV-curable (meth)acrylic adhesive layer, the re-peelable adhesive she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착층과 상기 마스킹 필름 사이에 제3점착층이 더 형성된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third adhesive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masking fil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점착층은 NON UV 경화형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The releasabl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third adhesive layer comprises a NON UV curable (meth)acrylic adhesive layer.
KR1020190147533A 2019-11-18 2019-11-18 Repeelable adhesive sheet KR102324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533A KR102324557B1 (en) 2019-11-18 2019-11-18 Repeelable adhesive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533A KR102324557B1 (en) 2019-11-18 2019-11-18 Repeelable adhesive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012A true KR20210060012A (en) 2021-05-26
KR102324557B1 KR102324557B1 (en) 2021-11-10

Family

ID=7613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533A KR102324557B1 (en) 2019-11-18 2019-11-18 Repeelable adhesive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5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6629A1 (en) * 2021-07-26 2023-02-02 Tesa Se Web-shaped adhesive compound containing a polyurethane- and/or silicone-based filler
WO2023084689A1 (en) * 2021-11-11 2023-05-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Coated memb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4821A (en) * 2000-04-11 2001-10-23 Sekisui Chem Co Lt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ouble coated tape
JP2007308523A (en) * 2006-05-16 2007-11-29 Mitsubishi Electric Corp Double-sided tape, member adhering method and peeling method of double-sided tape
WO2014054632A1 (en) * 2012-10-05 2014-04-10 三菱樹脂株式会社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repeel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repeeling same
JP2015108121A (en) * 2013-10-21 2015-06-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Pressure adhesive type double-sided adhesive sheet capable of position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4821A (en) * 2000-04-11 2001-10-23 Sekisui Chem Co Lt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ouble coated tape
JP2007308523A (en) * 2006-05-16 2007-11-29 Mitsubishi Electric Corp Double-sided tape, member adhering method and peeling method of double-sided tape
WO2014054632A1 (en) * 2012-10-05 2014-04-10 三菱樹脂株式会社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repeel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repeeling same
JP2015108121A (en) * 2013-10-21 2015-06-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Pressure adhesive type double-sided adhesive sheet capable of position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6629A1 (en) * 2021-07-26 2023-02-02 Tesa Se Web-shaped adhesive compound containing a polyurethane- and/or silicone-based filler
WO2023084689A1 (en) * 2021-11-11 2023-05-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Coated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557B1 (en)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3084B (en) Articles having optical adhesive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215105B1 (en) An adhesive sheet for a stealth dicing and a production method of a semiconductor wafer device
JP2011093977A (en) Adhesive sheet with decorative printing lay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ortable terminal appliance
KR20160119783A (en) Ultraviolet-curabl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optical member production method using same, cured product, and touch panel
KR102324557B1 (en) Repeelable adhesive sheet
KR20150126905A (en) Adhesive sheet, and production method for processed device-related members
CN114761228A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33296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member
KR20230035012A (en) Pattered Adhesive tape, Release film for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Release film
KR20170012630A (en)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use and adhesive film for optical use
KR20230098045A (en) 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sealing sheet
KR102644545B1 (en)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compositions, adhesive sheets, and workpieces
KR102213491B1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member and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used in same
KR102362764B1 (en) Repeelable adhesive sheet
CN110295013A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direct junction film, display body and display body
TWI715652B (en) Film for forming protective film and composite sheet for forming protective film
CN115397870A (en) Sheet for sealing 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KR102324558B1 (en) Repeelable adhesive sheet
KR101715049B1 (en) Multi-layered adhesive film for removing optical clear adhesives,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and remove method of optical clear adhesives on touch screen panel
WO2018181510A1 (en) Adhesive sheet
CN114514299A (en)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7447035B2 (en) Sheet for encapsulating optical semiconductor devices
JP6703430B2 (en) Adhesive sheet for glass dic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661438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glass dic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200007245A (en) Adhesive film and adhesive tape for moisture prot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