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828A - 통합 연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연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828A
KR20210059828A KR1020190146459A KR20190146459A KR20210059828A KR 20210059828 A KR20210059828 A KR 20210059828A KR 1020190146459 A KR1020190146459 A KR 1020190146459A KR 20190146459 A KR20190146459 A KR 20190146459A KR 20210059828 A KR20210059828 A KR 20210059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component
measurement value
equipment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591B1 (ko
Inventor
지문영
홍상훈
김선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5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05B19/4186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by protocol, e.g. MAP, TOP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은, 부품들 각각에 장착되어 부품들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 감지 센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부품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부품의 상태 측정값을 수신하면, 수신된 부품 상태 측정값의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 타입 및 기준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통합 연계 장치; 및 통합 연계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부품 상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부품의 이상 여부를 비롯한 부품 분석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부품 분석 정보에 따라 부품 또는 부품이 장착된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비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연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APPARATUS OF INTEGRATED INTERCONNECTION AND EQUIP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합 연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를 비롯하여 각종 물품을 생산하기 위한 사업장에는 물품을 생산하기 위한 모든 공정에 다양한 종류의 장비가 배치되어 있으며, 장비들 각각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장비에는 모터, 실린더, 팬 등 다양한 부품이 장착되는데, 복수의 부품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물품 생산이 중단되거나, 또는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센서를 이용하여 부품의 상태를 측정하는 기술도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다양한 장비 또는 부품에 장착된 센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타입이 상이하고, 장비와 타 구성 간에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서로 간에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용이하지 않다는 의견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비 별 부품 상태를 감지하여 부품 및 부품이 장착된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 연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은 부품들 각각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들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 감지 센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부품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부품의 상태 측정값을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의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 타입 및 기준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통합 연계 장치; 및 상기 통합 연계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부품의 이상 여부를 비롯한 부품 분석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부품 분석 정보에 따라 상기 부품 또는 상기 부품이 장착된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비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계 장치는, 외부 장치와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하여 상기 통합 연계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 타입 및 기준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부품 또는 상기 장비의 제어 정보를 관련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부품 또는 장비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장비 내 부품에 장착된 센서 들로부터 부품 상태 측정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부품 상태 측정값의 데이터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에 맞게 변경하여 서버로 전달하기 때문에, 부품 상태 측정값의 수집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부품 상태 측정값을 분석하여 이상이 발생한 부품 또는 장비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비가 복수 개 구현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계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계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교 분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교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비가 복수 개 구현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장비 관리 시스템(10)은 부품(110) 및 부품(110)들 각각에 장착된 부품 감지 센서(130)를 포함하는 장비(100), 통합 연계 장치(200), 장비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품(110)은 팬, 모터, 실린더 등 장비(100)에 적용되는 모든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개시하는 장비(100)는 반도체 제작 관련 장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부품을 포함하는 모든 장비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부품 감지 센서(130)는 부품(110)들로부터 감지된 부품 상태 측정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리 및 점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부품 이상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부품 상태 측정값은 부품(110)이 장착된 장비 식별정보, 부품 식별정보, 부품 감지 센서 식별정보, 부품 감지 센서 위치, 부품(110)으로부터 감지된 정보, 장비가 위치하는 공장 식별정보 및 측정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부품 감지 센서(130)는 부품(110)들 각각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110)들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부품 감지 센서(130)는 가스, 압력, 누수, 누유, 온도, 전압, 전류, 진동, 습도, 조도, 정전기, 오염도, RPM, UV 파장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부품 감지 센서(130)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비(100)에 적용된 부품(11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할 것이다.
하나의 부품(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감지 센서(130)가 장착되어, 부품(110)에서 감지해야 하는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장비(100)가 복수 개의 부품(110)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비(100)에 복수 개의 부품 감지 센서(130)가 장착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통합 연계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부품 감지 센서(130)로부터 전송되는 부품 상태 측정값을 수신하면, 수신된 부품 상태 측정값의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 타입 및 기준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통합 연계 장치(200)는 다양한 부품 감지 센서(130)로부터 수집한 부품 상태 측정값을 수신측(예를 들어, 장비 관리 서버(300))의 사양에 맞게 데이터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 연계 장치(200)가 장비 관리 서버(300)를 비롯하여 부품 상태 측정값을 전달받을 수신 측의 사양을 사전에 저장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만약, 수신 측의 사양이 변경되거나 신규로 추가되는 경우, 통합 연계 장치(200)는 변경되거나 신규로 추가되는 수신 측의 사양을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수신 측의 사양은 부품 감지 센서(130)로부터 발생한 부품 상태 측정값을 전달받을 수 있는 데이터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합 연계 장치(200)가 부품 상태 측정값을 수신 측의 사양에 맞게 변환하여 전달하기 때문에, 부품 감지 센서(130)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장비 관리 서버(300) 측에서의 부품 상태 측정값의 수집이 가능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합 연계 장치(200)는 장비(100)와 일대일로 구비되어, 하나의 장비(1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부품 상태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비(100)가 복수 개 구현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어 통합 연계 장치(200) 역시 복수 개 구현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때, 부품 상태 측정값은 부품(110)이 장착된 장비 식별정보, 부품 식별정보, 부품 감지 센서 식별정보, 부품 감지 센서 위치, 부품(110)으로부터 감지된 정보, 장비가 위치하는 공장 식별정보 및 측정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서버(300)는 통합 연계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부품 상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부품의 이상 여부를 비롯한 부품 분석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하며, 부품 분석 정보에 따라 상기 부품(110) 또는 상기 부품(110)이 장착된 장비(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0)는 통합 연계 장치(200) 또는 장비 관리 서버(3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부품 상태 측정값 및 부품 분석 정보를 비롯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거나, 장비(100) 또는 부품(110)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비 관리 시스템(10)은 장비 별 스펙 정보 및 부품 상태 측정값을 저장 및 관리하고, 장비 별 스펙 정보를 기초로 특정 부품(110)이 특정 장비(110)에 장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하는 장비 정보 저장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비 정보 저장 장치는 통합 연계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부품 상태 측정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부품 상태 측정값을 장비 관리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장비 정보 저장 장치는 생략 가능한 구성으로서, 만약, 장비 관리 시스템(10)에서 장비 정보 저장 장치가 생략되는 경우, 통합 연계 장치(200)가 부품 상태 측정값을 장비 관리 서버(3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정보 저장 장치는 통합 연계 장치(200)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계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계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 연계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디스플레이(220), 메모리(230), 알림부(240), 커넥터(connector)(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외부 장치와 정보 송수신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블루투스 및 근거리무선통신(NF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통합 연계 장치(200)는 장비(100), 장비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600)와 통신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복수의 부품 감지 센서(13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부품 상태 측정값(예를 들어, 냉각 팬 감지, 누수 감지, 누유 감지, 조도 감지, 온도 감지, RPM 감지, 정전기 감지 및 진동 감지 등을 통해 획득한 부품 상태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요청에 따라, 메모리(230)에 저장된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한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20)는 식별정보 A004 장비(100)에 설치된 팬의 감지 센서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통합 연계 장치(200)는 전면(제1 측면)이 화면으로 구현되어,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장비(100)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별도의 단말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통합 연계 장치(20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한 각종 정보를 화면 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합 연계 장치(200)가 사용자의 제어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부를 구비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메모리(230)는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하여 통합 연계 장치(2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부품 상태 측정값은 부품이 장착된 장비 식별정보, 부품 식별정보, 부품 감지 센서 식별정보, 부품 감지 센서 위치, 부품으로부터 감지된 정보, 장비가 위치하는 공장 식별정보 및 측정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230)에 저장된 부품 상태 측정값이 관련된 부품 또는 장비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제어부(26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 타입 및 기준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장비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부품(110) 또는 장비(100)의 제어 정보를 관련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부품(110) 또는 장비(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부품 감지 센서(130)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형태의 부품 상태 측정값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부품 상태 측정값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장비 관리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60)가 부품 상태 측정값을 전달받을 장비 관리 서버(300)의 사양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및 부품 상태 측정값의 타입을 변환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알림부(240)는 부품 상태 측정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문자, 소리, 영상 및 점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형태의 부품 이상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커넥터(250)는 복수의 부품 감지 센서(130)가 각각 체결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커넥터(250)는 IC 소켓(IC socket) 타입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통합 연계 장치(200)는 후면(제2 측면)에 다수의 커넥터(250)가 구현되어, 각각의 커넥터(250)에 부품 감지 센서(13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250)는 IC 소켓 타입이기 때문에 슬롯(slot) 타입 등의 커넥터에 비해 콤팩트한 사이즈(Compact size)로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통합 연계 장치(200)는 일 측면(제3 측면)(도 7의 (a)) 및 타 측면(제4 측면)(도 7의 (b)) 각각에 열 배기용 커튼 슬라이드를 구비하여, 통합 연계 장치(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교 분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인 도 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교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인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장비 관리 서버(300)는 호스트(400) 및 비교 분석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호스트(400) 및 비교 분석 장치(500)는 서로 근접한 영역 또는 동일 영역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원격지에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400)는 서로 다른 공장에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호스트(400)가 비교 분석 장치(5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호스트(400)는 복수의 부품 감지 센서(130)별 측정값 기준치를 저장하고, 통합 연계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부품 상태 측정값을 측정값 기준치와 비교하여 측정값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600)로 부품 이상 알림 메시지 또는 메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문자, 소리, 영상 및 점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부품 이상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측정값 기준치는 복수의 기준레벨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준레벨 구간은 측정값 A 내지 B는 레벨 1, C 내지 D는 레벨 2, E 내지 F는 레벨 3과 같이 각 측정값 대비 부품 이상 알림의 중요도를 변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구간을 나눈 것이다.
호스트(400)는 복수의 기준레벨 구간 중 부품 상태 측정값이 매칭되는 기준레벨 구간의 중요도에 따라 알림의 형태 및 포함하는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400)는 부품 상태 측정값에 대응되는 기준레벨 구간의 중요도에 따라 부품 이상 알림 메시지 또는 메일만을 전송하거나, 부품 이상 알림 메시지 또는 메일을 전송하고 이에 더하여 문자, 소리, 영상 및 점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이상 알림을 추가로 더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호스트(400)는 측정값 기준치로 하한 경고 기준 및 하한 에러 기준을 사전에 설정하고, A008 장비 내 팬으로부터 측정된 부품 상태 측정값인 팬의 RPM(S1, S2)을 하한 경고 기준 및 하한 에러 기준과 비교하여 해당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부품 이상 알림 메시지, 부품 이상 알림 메일, 부품 이상 알림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호스트(400)는 통합 연계 장치(200)로부터 전달된 식별정보 A004, A005, A006, A007, A008 및 A009의 장비(100)들 각각에 설치된 팬의 감지 센서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각의 장비(100) 내 팬에 장착된 부품 감지 센서가 5개씩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부품 감지 센서의 식별정보는 해당 부품 식별정보, 장비 식별정보 또는 부품 감지 센서 위치와 매칭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호스트(400)는 각 부품(예를 들어, 팬)의 부품 상태 측정값과 측정값 기준치를 비교한 결과를 감지 센서 현황에 반영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부품별로 부품 상태 측정값에 대응되는 기준레벨 구간별로 색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기준레벨은 L1에 부여되는 색상으로, 중간 기준레벨은 L2에 부여되는 색상으로, 하이 기준레벨은 L3에 부여되는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부품 상태 측정값에 대응되는 기준레벨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은 색상에 한정되지 않고,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식별기호, 강조표시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장비 별 부품 감지 센서 현황은 호스트(400)에 저장되는 것뿐만 아니라 비교 분석 장치(500)의 메모리(530)에 저장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비교 분석 장치(500) 측에서 부품 상태 측정값과 측정값 기준치를 비교한 결과를 감지 센서 현황에 반영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비교 분석 장치(500)는 통신 인터페이스(510), 디스플레이(520), 메모리(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10)는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520)는 부품 분석 정보를 비롯하여 비교 분석 장치(500)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부품(110)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기준 및 통합 연계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하여 비교 분석 장치(5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통합 연계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부품 상태 측정값을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부품(110)의 이상여부를 비롯하여 부 품별 상태 측정값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해당 부품(110) 또는 해당 부품(110)이 장착된 장비(100)로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해당 부품(110) 또는 장비(100)의 동작 정지, 해당 부품(110)의 회전 속도 조정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제어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540)는 장비(100) 내 포함된 복수의 부품(110) 중 이상이 발생된 부품(110)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장비(100)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하는 동작 제어 정보를 발생시키되, 장비(100)의 동작 정지를 포함하는 동작 제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어부(540)는 장비(100) 내 포함된 복수의 부품(110) 중 이상이 발생된 부품(110)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장비(100)의 동작을 정지할지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되는 회신 메시지에 따라 장비(100)로의 동작 제어 정보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현재 부품 상태 측정값, 부품 상태 측정 이력, 부품 상태 변경 이력, 부품 이상, 장비 별 전체 부품 상태 및 장비 별 동일 부품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부품 분석 정보를 파악하여 메모리(5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부품 상태 측정값은 부품이 장착된 장비 식별정보, 부품 식별정보, 부품 감지 센서 식별정보, 부품 감지 센서 위치, 부품(110)으로부터 감지된 정보, 장비가 위치하는 공장 식별정보 및 측정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부품 상태 측정값을 분석하여 부품(110) 또는 장비(100)의 수명 및 이상 예측 알고리즘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540)는 장비 별(A004, A005, A006, A007, A008 등) 부품(예를 들어, 팬 01, 팬 02 등) 상태 측정값의 데이터 이력을 기초로 모든 부품에 이상이 발생하는 시기를 평균 산출하여 부품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으며,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540)는 부품별 수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가 반영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540)는 장비(100) 내 설치된 부품(110)의 종류별 수명, 부품 설치 수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장비 수명을 예측하는 방법 역시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장비 관리 시스템 100: 장비
110: 부품 130: 부품 감지 센서
200: 통합 연계 장치 210, 510: 통신 인터페이스
220, 520: 디스플레이 230, 530: 메모리
240: 알림부 250: 커넥터
260, 540: 제어부 300: 장비 관리 서버
400: 호스트 500: 비교 분석 장치
6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23)

  1. 부품들 각각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들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 감지 센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부품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부품의 상태 측정값을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의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 타입 및 기준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통합 연계 장치; 및
    상기 통합 연계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부품의 이상 여부를 비롯한 부품 분석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부품 분석 정보에 따라 상기 부품 또는 상기 부품이 장착된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비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연계 장치는,
    외부 장치와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하여 상기 통합 연계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 타입 및 기준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부품 또는 상기 장비의 제어 정보를 관련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부품 또는 장비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연계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한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문자, 소리, 영상 및 점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형태의 부품 이상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연계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부품 감지 센서가 각각 체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IC 소켓(IC socket) 타입인 장비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부품 감지 센서별 측정값 기준치를 저장하고, 상기 통합 연계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상기 측정값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부품 이상 알림 메시지 또는 메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문자, 소리, 영상 및 점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부품 이상 알림을 출력하는 호스트;
    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 기준치는 복수의 기준레벨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는,
    상기 복수의 기준레벨 구간 중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이 매칭되는 기준레벨 구간의 중요도에 따라 알림의 형태 및 포함하는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관리 서버는,
    상기 부품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기준 및 상기 통합 연계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하여 비교 분석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통합 연계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상기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부품의 이상여부를 비롯하여 상기 부품별 상태 측정값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해당 부품 또는 해당 부품이 장착된 장비로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교 분석 장치;
    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부품 또는 상기 장비의 동작 정지, 상기 해당 부품의 회전 속도 조정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동작 제어 정보를 발생시키는 장비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비 내 포함된 복수의 부품 중 이상이 발생된 부품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장비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하는 동작 제어 정보를 발생시키되, 상기 장비의 동작 정지를 포함하는 동작 제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비 내 포함된 복수의 부품 중 이상이 발생된 부품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장비의 동작을 정지할지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회신 메시지에 따라 상기 장비로의 동작 제어 정보 발생을 결정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부품 상태 측정값, 부품 상태 측정 이력, 부품 상태 변경 이력, 부품 이상, 장비 별 전체 부품 상태 및 장비 별 동일 부품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부품 분석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분석하여 상기 부품 또는 상기 장비의 수명 및 이상 예측 알고리즘을 파악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은,
    상기 부품이 장착된 장비 식별정보, 부품 식별정보, 부품 감지 센서 식별정보, 부품 감지 센서 위치, 부품으로부터 감지된 정보, 장비가 위치하는 공장 식별정보 및 측정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연계 장치 또는 상기 장비 관리 서버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 및 상기 부품 분석 정보를 비롯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거나, 상기 장비 또는 상기 부품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감지 센서는,
    가스, 압력, 누수, 누유, 온도, 전압, 전류, 진동, 습도, 조도, 정전기, 오염도, RPM, UV 파장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부품 감지 센서인 장비 관리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감지 센서는,
    상기 부품들로부터 감지된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리 및 점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부품 이상 알림을 출력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장비 별 스펙 정보 및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장비 별 스펙 정보를 기초로 특정 부품이 특정 장비에 장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하는 장비 정보 저장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정보 저장 장치는,
    상기 통합 연계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저장하고,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20. 외부 장치와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하여 상기 통합 연계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 타입 및 기준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부품 또는 상기 장비의 제어 정보를 관련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부품 또는 장비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합 연계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통합 연계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부품 상태 측정값을 비롯한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부품 상태 측정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문자, 소리, 영상 및 점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형태의 부품 이상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통합 연계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품 감지 센서가 각각 체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IC 소켓(IC socket) 타입인 통합 연계 장치.
KR1020190146459A 2019-11-15 2019-11-15 통합 연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KR102356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59A KR102356591B1 (ko) 2019-11-15 2019-11-15 통합 연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59A KR102356591B1 (ko) 2019-11-15 2019-11-15 통합 연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828A true KR20210059828A (ko) 2021-05-26
KR102356591B1 KR102356591B1 (ko) 2022-02-03

Family

ID=7613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459A KR102356591B1 (ko) 2019-11-15 2019-11-15 통합 연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818B1 (ko) * 2021-12-10 2022-08-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감시장비 상태 확인장치 및 상태 확인방법
KR102482240B1 (ko) * 2021-09-03 2022-12-28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장비 이상 탐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206A (ko) * 2014-02-26 2015-09-03 (주)우광에스디에스 설비 직결형 실시간 모니터링 고장 진단 및 고장 시기 예측 진단장치와 그에 따른 고장 진단 및 예측 진단방법
KR20190031385A (ko) * 2017-09-15 2019-03-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반도체 제조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90079917A (ko) * 2017-12-28 2019-07-08 (주)시그너스 산업용 IoT 기반 설비데이터와 센서데이터 취득 시스템 및 장치
KR20190102885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206A (ko) * 2014-02-26 2015-09-03 (주)우광에스디에스 설비 직결형 실시간 모니터링 고장 진단 및 고장 시기 예측 진단장치와 그에 따른 고장 진단 및 예측 진단방법
KR20190031385A (ko) * 2017-09-15 2019-03-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반도체 제조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90079917A (ko) * 2017-12-28 2019-07-08 (주)시그너스 산업용 IoT 기반 설비데이터와 센서데이터 취득 시스템 및 장치
KR20190102885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240B1 (ko) * 2021-09-03 2022-12-28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장비 이상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432818B1 (ko) * 2021-12-10 2022-08-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감시장비 상태 확인장치 및 상태 확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591B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215B1 (ko) 클린룸 계측장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US10533920B2 (en) Automatic rotating-machine fault diagnosis with confidence level indication
JP6823576B2 (ja) 異常検出システムおよび異常検出方法
KR102017561B1 (ko) 기계학습 기법에 기반한 기계의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방법
KR101949305B1 (ko) 도로 전광판(vms) 시스템의 vcu와 mcu 통합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장진단 방법
US20130197698A1 (en) HVAC System Fault Root Cause Self-Determination
JP4981479B2 (ja) 機器の故障診断システム
JP2005025751A (ja) モータ監視システム
HU223725B1 (hu) Állapotfigyelő rendszer és eljárás villamos motorokhoz, továbbá modellalapú hibajelző és diagnosztikai eljárás
KR20210059828A (ko) 통합 연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KR20210012200A (ko) 환경시험 장비의 성능이상 감지장치를 이용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0643A (ko) 관리 장치 및 설비의 관리 방법
KR20160019119A (ko) 스테이지 모니터링 및 진단 시스템, 스테이지 장치 및 제조, 계측 및 검사 장비
JP6975679B2 (ja) 回転機診断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回転機診断方法
CN108622664B (zh) 一种气力数据检测系统
KR20200079652A (ko) 에너지시스템용 ar기반 운영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66101B1 (ko) 통계적 품질 검사 및 관리 시스템
JP2008002752A (ja) 空気調和機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空気調和機
CN110806537A (zh) 一种空气开关的状态监测方法及系统
KR101151674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아크검출장치 및 아크검출방법
KR102162422B1 (ko) 계수기 숫자 모니터링 시스템
US20160223237A1 (en) User interface for predictive failure analysis of a cooling device
KR101999781B1 (ko) 사물 인터넷 미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047458B1 (ko) 공용 배기 시스템의 무선 IoT 원격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