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701A - 표시체, 전사박, 점착 라벨 및 라벨 부착 물품 - Google Patents

표시체, 전사박, 점착 라벨 및 라벨 부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701A
KR20210059701A KR1020217004956A KR20217004956A KR20210059701A KR 20210059701 A KR20210059701 A KR 20210059701A KR 1020217004956 A KR1020217004956 A KR 1020217004956A KR 20217004956 A KR20217004956 A KR 20217004956A KR 20210059701 A KR20210059701 A KR 2021005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ortions
linear
display bod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요 미카미
유코 마스나가
도모코 고테가와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4Diffraction gratin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ne or more further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or other diffraction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4Reli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1Translucent or partly translucent parts, e.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3Metall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4Diffraction gratin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ne or more further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or other 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9Plural gratings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e.g. array of gratings
    • G02B5/1823Plural gratings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e.g. array of gratings in an overlapping or superposed mann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42Gratings for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61Reflection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step profile, contours of substrate or grooves, pitch variations,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1/0011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for security o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36Form or shape of the hologram when not registered to the substrate, e.g. trimming the hologram to alphanumerical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4Hologram nature or properties
    • G03H1/0244Surface relief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52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5/00Cards, e.g. identity cards, credit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4/00Paper of special types, e.g. bankno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76Replicating a master hologram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8Replicating a master hologram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by embos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04Object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10Modulation characteristics, e.g. amplitude, phase, polarisation
    • G03H2210/13Coloured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202D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303D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50Nature of the object
    • G03H2210/54For individualisation of produ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23Diffrac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1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arranged to be transferred onto a carrier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34Colour lay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35Adhesive lay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39Protective lay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42Reflective lay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70/00Substrate bearing the hologram
    • G03H2270/10Composition
    • G03H2270/12Fibrous, e.g. paper, text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회절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체를 제공 가능하게 한다. 표시체 (1) 는, 입체물의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가 일방의 주면에 형성된 릴리프 구조 형성층과, 상기 주면 중 상기 회절 구조가 형성된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은 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영역은, 제 1 및 제 2 영역 (R1, R2)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 중 상기 제 1 영역 (R1) 에 형성된 부분은, 제 1 격자를 형성한 제 1 및 제 2 선상부와 제 1 격자의 간극에 배치된 제 1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 선상부는 실선상인 제 1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회절 구조 중 상기 제 2 영역 (R2) 에 형성된 부분은,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제 3 및 제 4 선상부로 이루어지고, 제 3 선상부는 파선상이고, 제 4 선상부는 파선상 또는 점선상인 제 2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표시체, 전사박, 점착 라벨 및 라벨 부착 물품
본 발명은, 표시체, 전사박, 점착 라벨 및 라벨 부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물품이 진정품인 것을 증명하는 목적으로, 위조나 복제가 곤란한 홀로그램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얼굴 화상 등의 개인 정보가 기록된 카드에, 홀로그램을 포함한 투명 필름을 첩합 (貼合) 하면, 개인 정보를 개찬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지폐나 유가 증권에 있어서 홀로그램을 사용하면, 그것들의 부정한 복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최근, ID (identification) 카드 등에,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얼굴 화상을 기록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및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87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6418호
인물, 동물, 식물, 건조물, 및 풍경 등의 입체물의 화상을 표시하는 홀로그램은, 위조가 어렵다. 즉, 그러한 홀로그램이 표시하는 화상과 완전하게 일치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홀로그램을 위조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홀로그램이 입체물의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화상의 차이가 미소하더라도, 관찰자에게 위화감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화상의 원화상이 널리 알려져 있는 경우, 위조품으로서의 홀로그램이 표시하는 화상이, 진정품으로서의 홀로그램이 표시하는 화상만큼, 원화상을 충실히 재현하고 있지 않은 경우, 관찰자는, 전자가 위조품이라고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진정품으로서의 홀로그램이 인물의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정 등의 미소한 차이로부터, 진정품과 위조품을 판별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자들은, 이하의 사실을 알아내었다. 즉, 입체물의 화상을 표시하는 홀로그램은, 양눈 시차를 이용한 삼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을 채용하지 않는 한, 관찰자에게 입체감을 주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래서, 제 1 발명은,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회절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체를 제공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자들은, 이하의 사실을 알아내었다. 즉, 홀로그램이 표시하는 얼굴 화상은, 생생하게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제 2 발명은, 회절 화상으로서 생생하게 보이는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체를 제공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입체물의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가 일방의 주면에 형성된 릴리프 구조 형성층과, 상기 주면 중 상기 회절 구조가 형성된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은 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영역은, 제 1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 중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교차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함께 제 1 격자를 형성한 복수의 제 2 선상부와, 상기 제 1 격자의 복수의 간극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제 1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선상부의 각각은 실선상인 제 1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회절 구조 중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제 3 선상부 및 복수의 제 4 선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의 각각은 파선상이고, 상기 복수의 제 4 선상부의 각각은 파선상 또는 점선상인 제 2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표시체에서는, 상기와 같이, 회절 구조는, 제 1 및 제 2 패턴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패턴은, 서로 교차하여 제 1 격자를 형성한 제 1 및 제 2 선상부와, 제 1 격자의 간극에 배치된 제 1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 선상부의 각각은 실선상이다. 한편, 제 2 패턴은,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제 3 및 제 4 선상부로 이루어지고, 제 3 선상부의 각각은 파선상이고, 제 4 선상부의 각각은 파선상 또는 점선상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이들의 구조의 차이를 이용하여, 회절 화상 중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에, 밝기의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대응한 부분을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밝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의 차이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 제 1 패턴은 제 1 및 제 2 선상부를 포함하고, 제 1 선상부는 폭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 선상부는, 제 1 선상부와 함께 제 1 격자를 형성하도록,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제 2 패턴은 제 3 및 제 4 선상부로 구성되고, 제 3 및 제 4 선상부는,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도,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표시체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회절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인접해 있는,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영역이 인접해 있는 경우, 관찰자는, 회절 화상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밝기의 차이를 지각하기 쉽다. 또, 이 경우, 관찰자는, 제 1 패턴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선상부의 구조 및 배치와, 제 2 패턴에 있어서의 제 3 및 제 4 선상부의 구조 및 배치의 일치점 및 상이점을 지각하기 쉽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영역이 인접해 있는 경우, 이와 같은 배치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강하게 느끼는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의 1 이상은,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의 1 이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는, 예를 들어, 입체물의 표면 형상의 연속적인 변화나, 그 화상의 밝기의 연속적인 변화를, 회절 화상에 있어서 재현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2 패턴의 면적의 비율은,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1 패턴의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는,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대응한 부분을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밝게 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반사층 중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상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 패턴만을 피복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표시체는, 예를 들어, 종이 등의 광 산란성을 가지고 있는 물품 상에 설치한 경우, 관찰자는, 표시체로부터의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는,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응한 영역 중, 제 1 및 제 2 패턴에 대응한 부분으로부터의 광을 지각하지 않고, 그 밖의 부분으로부터의 산란광을 지각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대응한 부분이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밝게 보이는 경우,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는, 표시체 중, 제 1 영역에 대응한 부분은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어둡게 보인다. 이와 같은 밝기의 차이는,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에 대하여,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패턴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상부의 상기 배치는,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에 대하여,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표시체는,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도,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표시체는, 회절광이 보이는 관찰 조건하에서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회절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도,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화상은, 명암이 반전된 관계에 있다. 즉, 이 표시체는, 관찰 조건에 구애되지 않고,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이 화상은, 관찰 조건에 따라 명암이 반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가 형성된 상기 영역은, 제 3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 중 상기 제 3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5 선상부와, 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제 5 선상부와 교차하여, 상기 복수의 제 5 선상부와 함께 제 2 격자를 형성한 복수의 제 6 선상부와, 상기 제 2 격자의 복수의 간극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5 선상부의 각각은 실선상 또는 파선상이고, 상기 복수의 제 6 선상부의 각각은 파선상 또는 점선상인 제 3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표시체에서는, 상기와 같이, 회절 구조는, 제 3 패턴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제 3 패턴은, 제 1 패턴의 구조와 제 2 패턴의 구조의 중간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이들의 구조의 차이를 이용하여, 회절 화상 중 제 1 내지 제 3 영역에 대응한 부분에, 밝기의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대응한 부분을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밝게 하고, 제 3 영역에 대응한 부분을, 제 1 영역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와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의 중간의 밝기로 할 수 있다. 즉, 이 표시체에서는, 회절 화상의 계조수를 3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제 1 패턴은 제 1 및 제 2 선상부를 포함하고, 제 1 선상부는 폭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 선상부는, 제 1 선상부와 함께 제 1 격자를 형성하도록,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제 2 패턴은 제 3 및 제 4 선상부로 구성되고, 제 3 및 제 4 선상부는,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패턴은 제 5 및 제 6 선상부를 포함하고, 제 5 선상부는 폭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6 선상부는, 제 5 선상부와 함께 제 2 격자를 형성하도록,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도,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표시체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보다 강하게 느낄 수 있는 회절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3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는,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영역이 제 3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는 경우, 관찰자는, 회절 화상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밝기의 차이를 지각하기 쉽다. 또, 이 경우, 관찰자는, 제 1 패턴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선상부의 구조 및 배치와, 제 2 패턴에 있어서의 제 3 및 제 4 선상부의 구조 및 배치와, 제 3 패턴에 있어서의 제 5 및 제 6 선상부의 구조 및 배치의 일치점 및 상이점을 지각하기 쉽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영역이 제 3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는 경우, 이와 같은 배치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강하게 느끼는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의 1 이상과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의 1 이상은, 상기 복수의 제 5 선상부의 1 이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는, 예를 들어, 입체물의 표면 형상의 연속적인 변화나, 그 화상의 밝기의 연속적인 변화를, 회절 화상에 있어서 재현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1 패턴의 면적의 비율은, 상기 제 3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3 패턴의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크고,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2 패턴의 면적의 비율은, 상기 제 3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3 패턴의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는,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대응한 부분을 제 3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밝게 하고,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을 제 3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어둡게 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반사층 중 상기 제 1 내지 제 3 영역 상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만을 피복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표시체는, 예를 들어, 종이 등의 광 산란성을 가지고 있는 물품 상에 설치한 경우, 관찰자는, 표시체로부터의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영역에 대응한 영역 중, 제 1 내지 제 3 패턴에 대응한 부분으로부터의 광을 지각하지 않고, 그 밖의 부분으로부터의 산란광을 지각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대응한 부분이 제 3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밝게 보이고,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이 제 3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어둡게 보이는 경우,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는, 표시체 중, 제 1 영역에 대응한 부분은 제 3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어둡게 보이고,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은 제 3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밝게 보인다. 이와 같은 밝기의 차이는,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에 대하여,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패턴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상부의 상기 배치는,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에 대하여,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표시체는,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도,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표시체는, 회절광이 보이는 관찰 조건하에서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회절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정반사광 및 회절광의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관찰 조건하에서도,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화상은, 명암이 반전된 관계에 있다. 즉, 이 표시체는, 관찰 조건에 구애되지 않고,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이 화상은, 관찰 조건에 따라 명암이 반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1 부분은,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복수의 제 2 선상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파선 또는 점선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제 1 격자의 각 간극은,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다. 상기의 구성을 채용한 경우, 예를 들어, 제 1 부분을 상기 사각형의 대각선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배치에 의하면, 제 1 부분의 길이에 대한 제약이 작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4 선상부의 1 이상은 점선상이고, 상기 점선을 구성하고 있는 점의 1 이상과 다른 1 이상은 형상이 상이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대다수의 입체물은,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또, 색도 균일하지 않다. 그러므로, 그 이미지에는, 확대하여 보았을 경우에 밝기 등이 불균일한 영역이 존재한다. 상기의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에, 확대하여 보았을 경우에 밝기가 불균일한 영역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 회절 화상은,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보다 자연스럽게 보인다.
상기 점선을 구성하고 있는 점의 상기 1 이상은,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사각 형상이다. 한편, 상기 점선을 구성하고 있는 점의 상기 다른 1 이상은, 예를 들어, 갈고리 형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4 선상부는, 단위 길이에서 차지하는 간극의 비율이 상이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4 선상부는, 단위 길이에서 차지하는 간극의 비율이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이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회절 화상 중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가 형성된 상기 영역은 제 4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절 화상 중 상기 제 4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7 선상부와, 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제 7 선상부와 교차하여, 상기 복수의 제 7 선상부와 함께 제 3 격자를 형성한 복수의 제 8 선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7 및 제 8 선상부는, 실선상, 파선상 또는 점선상인 제 4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제 4 패턴은, 회절 화상에 밝기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또, 제 4 패턴을 구성하고 있는 제 7 및 제 8 선상부의 배치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표시체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보다 강하게 느낄 수 있는 회절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4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과 인접해 있는,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제 4 영역이 제 1 영역과 인접해 있는 경우, 관찰자는, 회절 화상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밝기의 차이를 지각하기 쉽다. 또, 이 경우, 관찰자는, 제 1 패턴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선상부의 구조 및 배치와, 제 4 패턴에 있어서의 제 7 및 제 8 선상부의 구조 및 배치의 일치점 및 상이점을 지각하기 쉽다. 그러므로, 제 4 영역이 제 1 영역과 인접해 있는 경우, 이와 같은 배치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강하게 느끼는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7 선상부의 1 이상은,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의 1 이상 또는 상기 복수의 제 2 선상부의 1 이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는, 예를 들어, 입체물의 표면 형상의 연속적인 변화나, 그 화상의 밝기의 연속적인 변화를, 회절 화상에 있어서 재현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1 패턴의 면적의 비율은, 상기 제 4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4 패턴의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큰,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는,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대응한 부분을 제 4 영역에 대응한 부분보다 밝게 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7 선상부 및 상기 복수의 제 8 선상부의 적어도 일방은 파선상 또는 점선상이고, 상기 복수의 제 7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8 선상부는, 단위 길이에서 차지하는 간극의 비율이 상이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제 7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8 선상부는, 단위 길이에서 차지하는 간극의 비율이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이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회절 화상 중 제 2 영역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가 형성된 상기 영역은 제 5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 중 상기 제 5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9 선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9 선상부는 실선상인 제 5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제 5 패턴은, 예를 들어, 회절 화상에 있어서 모발을 표현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선상부는, 폭이 10 ㎛ 내지 100 ㎛ 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선상부의 폭을 지나치게 작게 하면, 선상부의 형상이나 배치가 입체감을 강하게 하는 효과가 작아진다. 선상부의 폭이 지나치게 크면, 관찰자는, 화질이 낮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부분은, 폭 또는 직경이 10 ㎛ 내지 10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도, 폭 또는 직경이 10 ㎛ 내지 10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선상부의 1 이상은,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선상부의 2 이상은, 폭이 서로 상이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 중 어느 것에 있어서, 1 이상의 선상부의 폭을, 각 선상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증가시키면,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를,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패턴 중 어느 것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선상부의 폭을, 그들 선상부의 배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증가시키면,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를,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선상부의 1 이상은, 그 선상부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은,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회절광에 의해 그것들을 서로로부터 구별 가능하게 구성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의 일방은, 그들의 타방의 그림자와 같이 보인다. 즉, 이 구조를 채용한 선상부는, 그 자체가 입체적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이 구조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강하게 느끼는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이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회절광에 의해 그것들을 서로로부터 구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은,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이, 동일한 관찰 조건하에서, 상이한 색이라고 인식될 수 있을 정도로 파장이 상이한 회절광을 사출함과 함께, 서로로부터 구별 가능한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은, 특정한 관찰 조건하에서, 파장이 15 ㎚ 이상 상이한 회절광을 사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의 각각의 폭 방향의 치수는, 2 ㎛ 내지 5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의 일방을 타방의 그림자와 같이 보이는 데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은, 폭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의 폭 중 보다 작은 것이, 제 1 선상 영역의 폭과 제 2 선상 영역의 폭의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 % 이상 50 % 미만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선상부의 2 이상이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들 선상부는,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의 배열 방향 및 배열순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을 관찰한 관찰자는, 강한 입체감을 보다 느끼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는, 상기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체는, 회절 화상으로서 단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체를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 경우, 상기 선상부의 1 이상은, 파장이 상이한 회절광을 사출하고, 그들 회절광의 가법 혼색에 의한 색 표현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선상부 중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것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은, 이들 서브 영역을 포함한 상기 선상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이 경우, 상기 선상부 중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것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은, 이들 서브 영역을 포함한 상기 선상부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상기 선상부 중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것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은, 이들 서브 영역을 포함한 상기 선상부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서브 영역에는, 여러 가지 배치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의 각각은, 그들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3 ㎛ 내지 4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치수를 작게 하면, 밝은 회절 화상의 표시가 어려워진다. 이 치수가 큰 경우, 파장이 상이한 회절광을 사출하는 서브 영역이 별개의 영역으로서 지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역의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전체에 걸쳐 대략 동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역의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색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역의 다른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전체에 걸쳐 대략 동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역의 다른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색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영역의 상기 1 개와 상기 영역의 상기 다른 1 개가 인접해 있는 경우, 상기 영역의 상기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 및 상기 영역의 상기 다른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 중, 그들 영역의 경계 근방에 위치한 것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대략 동색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보다 자연스러운 계조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역의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또는 제 2 부분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전체에 걸쳐 대략 동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역의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또는 제 2 부분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색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역의 다른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전체에 걸쳐 대략 동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역의 다른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색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영역의 상기 1 개와 상기 영역의 상기 다른 1 개가 인접해 있는 경우, 상기 영역의 상기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 및 상기 복수의 제 1 또는 제 2 부분, 그리고, 상기 영역의 상기 다른 1 개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선상부 중, 그들 영역의 경계 근방에 위치한 것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대략 동색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보다 자연스러운 계조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1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부분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전체에 걸쳐 대략 동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1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부분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색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3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제 5 및 제 6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전체에 걸쳐 대략 동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3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제 5 및 제 6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배열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색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3 영역이 인접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 1, 제 2, 제 5 및 제 6 선상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부분 중, 그들 영역의 경계 근방에 위치한 것은, 상기 회절 화상에 있어서 대략 동색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보다 자연스러운 계조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주면은, 상기 패턴의 1 이상과 각각이 이웃한 1 이상의 간극부를 포함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1 이상의 간극부의 각각은, 평탄면이어도 되고, 릴리프 구조가 형성된 면이어도 된다. 일례에 의하면, 상기 릴리프 구조는, 서로 교차하는 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다.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릴리프 구조는, 랜덤으로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다.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예를 들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홈 또는 능선과 비교하여, 폭에 대한 깊이 또는 높이의 비가 보다 크다. 또,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예를 들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홈 또는 능선과 비교하여, 중심간 거리가 보다 작다.
상기 릴리프 구조를 형성하면,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을 패터닝된 층으로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절 구조와 상기 릴리프 구조가 형성된 상기 주면에, 스퍼터링이나 진공 증착 등의 기상 퇴적법에 의해, 알루미늄 등의 반사층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층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그 위에, 스퍼터링이나 진공 증착 등의 기상 퇴적법에 의해, 무기 산화물 등의 반사층의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층을 형성한다. 제 2 층은, 릴리프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부의 바닥의 위치 또는 릴리프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볼록부의 경계의 위치에서 개구되도록, 충분히 얇게 형성한다. 그 후, 제 2 층에 대하여 에칭제를 공급하고, 이로써, 제 1 및 제 2 층 중, 릴리프 구조 상에 위치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반사층을, 패터닝된 층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입체물의 화상은, 인물, 동물, 식물, 건조물, 및 풍경의 화상의 1 이상을 포함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서술한 기술은, 입체물의 화상이, 인물, 동물, 식물, 건조물, 및 풍경의 화상의 1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입체물의 화상은 인물의 초상, 바람직하게는 얼굴 화상을 포함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인간의 뇌에는, 「얼굴 반응성 세포 (또는 얼굴 세포)」라고 불리는 신경 세포의 영역이 있다. 얼굴 세포는, 눈, 코, 및 입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얼굴 세포는, 눈, 코, 및 입에 더하여, 볼이나 윤곽 등의 그것들 주위의 부위를 포함하는 얼굴 전체의 화상으로부터, 인물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얼굴 화상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정밀도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입체물의 화상이 인물의 초상, 특히 얼굴 화상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인간은, 진정품으로서의 표시체와, 위조품으로서의 표시체를, 회절 화상의 미소한 차이에 기초하여,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영역 또는 제 1 내지 제 3 영역은, 인물의 얼굴에 대응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물의 얼굴의 피부에 대응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인물의 얼굴의 피부에 대응한 영역으로서, 코, 볼, 이마, 관자놀이, 미간, 상검, 하검, 입, 및 턱의 1 이상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는, 상기 인물의 코 또는 눈으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각각이 연장된 복수의 선 상에 위치하도록, 및,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가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상기 인물의 코 또는 눈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는, 상기 인물의 코 또는 눈으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각각이 연장된 복수의 선 상에 위치하도록, 및,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가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와 상기 인물의 코 또는 눈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 회절 화상이 포함하고 있는 얼굴 화상을 관찰한 관찰자는, 입체감을 보다 강하게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홈 또는 능선으로 이루어지는 회절 격자를 포함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500 ㎚ 내지 200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혹은 전자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한다. 열 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또는 비닐 수지를 사용한다. 열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반응성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폴리올 혹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가교제로서 첨가하여 가교시킨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 수지를 사용한다. 자외선 또는 전자선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에폭시아크릴, 에폭시메타크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은,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층에, 릴리프 구조가 형성된 원판을, 열을 인가하면서 눌러 대고, 그 후, 열 가소성 수지층으로부터 원판을 제거한다. 혹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형성하고, 이것에 원판을 눌러 대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그 후, 도막으로부터 원판을 제거한다. 혹은,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형성하고, 이것에 원판을 눌러 대면서 가열하여 열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그 후, 도막으로부터 원판을 제거한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 이상 25 ㎛ 이하로 할 수 있다.
반사층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금, 및 그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반사층으로서, 릴리프 구조 형성층과는 굴절률이 상이한 유전체층을 사용해도 된다. 혹은, 반사층으로서, 이웃하는 것끼리의 굴절률이 상이한 유전체층의 적층체, 즉, 유전체 다층막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유전체 다층막이 포함하는 유전체층 중, 릴리프 구조 형성층과 접촉하고 있는 것의 굴절률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굴절률과는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층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및 스퍼터링법 등의 기상 퇴적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층 또는 유전체 다층막에는,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산화물, 황화물, 및 질화물을 들 수 있다.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이나 실리콘산화물 (SiO) 을 사용할 수 있다. 질화물로는, 예를 들어, 금속 질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황화물로는, 예를 들어, 금속 황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티탄산화물 (TiO), 산화아연 (ZnO), 또는 알루미나를 사용할 수 있다. 황화물로는, 예를 들어, 황화아연 (ZnS) 또는 황화알루미늄 (AlS) 을 사용할 수 있다. 질화물로는, 예를 들어, 질화칼슘 (CaN) 을 사용할 수 있다.
반사층의 릴리프 구조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반사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반사 보호층을 부분적으로 개구된 층으로서 형성하고, 이 반사 보호층을 에칭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반사층 중 반사 보호층으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을 선택적으로 에칭함으로써, 릴리프 구조면을 부분적으로 덮은 반사층을 얻을 수 있다.
반사 보호층에는, 예를 들어, 무기 화합물, 폴리머, 또는 그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물은, 예를 들어, 실리콘산화물 (SiO) 또는 알루미나이고, 질화물은, 예를 들어, 질화칼슘 (CaN), 질화티탄 (TiN) 또는 질화알루미늄 (AlN) 이다. 폴리머는,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이다.
반사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이상 500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를 포함한 전사재층과, 상기 전사재층을 박리 가능하게 지지한 지지체를 구비한 전사박이 제공된다.
일례에 의하면, 전사재층은, 서로 인접한 전사부 및 비전사부를 포함하고 있다. 전사부는, 전사재층 중, 물품에 전사되는 부분으로서, 상기의 표시체를 포함하고 있다. 비전사부는, 전사재층 중, 물품에 전사되지 않고 잔류하는 부분이다. 비전사부는, 전사부와 마찬가지의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
지지체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 또는 시트이다. 지지체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지지체의 전사재층을 지지하고 있는 주면에는, 예를 들어 불소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한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체의 두께는, 4 ㎛ 이상 50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전사재층은, 상기 표시체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개재한 박리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한 상기 측면에 관련된 전사박이 제공된다.
박리 보호층은, 전사부의 지지체로부터의 박리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박리한 전사부, 즉, 표시체의 표면을 손상 및 열화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박리 보호층은, 예를 들어, 광 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박리 보호층은, 예를 들어 수지로 이루어진다. 박리 보호층을 구성하고 있는 수지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한 수지, 열 경화한 수지, 또는, 열 가소성 수지이다. 이 수지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보호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 이상 5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전사재층을 피복한 접착층을 추가로 구비한 전사박이 제공된다.
접착층은,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열 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 이상 20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와, 상기 표시체의 일방의 주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구비한 점착 라벨이 제공된다.
점착층은, 감압 접착제 등의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계, 부틸 고무계, 천연 고무계, 실리콘계 혹은 폴리이소부틸계 점착제를 사용한다.
점착제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비닐에스테르, 아크릴니트릴, 스티렌 및 비닐 모노머 등의 응집 성분 ; 불포화 카르복실산, 하이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및 아크릴니트릴 등의 개질 성분 ; 중합 개시제 ; 가소제 ; 경화제 ; 경화 촉진제 ; 산화 방지 ; 또는 그들의 2 이상을 포함한 혼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와, 상기 표시체를 지지한 물품을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물품은, 어떠한 방법으로 표시체를 지지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체는, 물품의 표면에 첩부되어 있어도 되고, 물품 내에 매립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물품 상에 형성된 인쇄층을 추가로 구비한 상기 측면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입체물의 상기 화상을 인쇄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찰자는, 상기 입체물의 상기 화상과 상기 인쇄 화상을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물품은, 플라스틱, 금속, 종이, 또는 그들의 복합체를 포함한 상기 측면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물품은 종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체는 상기 종이에 떠지고, 상기 종이는 상기 표시체의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라벨 부착 물품은, 지폐, 유가 증권, 증명 서류, 크레디트 카드, 패스포트 및 ID (identification) 카드 등의 개인 인증 매체, 내용물을 포장한 포장체인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제 2 발명>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눈을 포함하는 얼굴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가 일방의 주면에 형성된 릴리프 구조 형성층을 구비하고, 상기 주면은, 상기 눈의 동공에 대응한 제 1 영역과, 상기 눈의 홍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한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는, 상기 제 1 영역의 위치에 제 1 부분을 포함함과 함께, 상기 제 2 영역의 위치에,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제 2 부분을 포함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표시체에서는, 회절 구조는, 눈을 포함하는 얼굴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이 회절 구조는, 눈의 동공에 대응한 제 1 영역에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눈의 홍채에 대응한 제 2 영역에 복수의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 2 부분은,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생생하게 보인다.
또, 인간의 뇌에는, 「얼굴 반응성 세포 (또는 얼굴 세포)」라고 불리는 신경 세포의 영역이 있다. 얼굴 세포는, 눈, 코, 및 입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얼굴 세포는, 눈, 코, 및 입에 더하여, 볼이나 윤곽 등의 그것들 주위의 부위를 포함하는 얼굴 전체의 화상으로부터, 인물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식별의 정밀도에는, 얼굴 화상 중 눈의 화상이 특히 큰 영향을 미친다.
상기와 같이, 이 표시체에서는, 회절 구조 중 눈에 대응한 영역에 상기의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한 표시체가 회절 화상의 일부로서 표시하는 눈의 화상은, 다른 구조를 채용한 표시체가 회절 화상의 일부로서 표시하는 눈의 화상과는 상이하다. 그리고, 인간은, 그것들의 차이를 용이하게 식별한다. 따라서, 이 표시체는, 예를 들어, 위조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얼굴 화상은 인간의 얼굴 화상인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얼굴 화상은 인간 이외의 동물의 얼굴 화상인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인간 이외의 동물은,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또는 어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영역의 전체에 걸쳐 펼쳐져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을 관찰한 관찰자에게, 온화한 표정을 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1 부분은, 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방추 형상을 가지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얼굴 화상에 있어서의 동공의 형상은, 동물의 종류, 얼굴의 방향, 및 눈에 입사하는 광의 강도 등에 따라 상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에서 서로 동일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강한 회절광을 사출한다. 그러므로, 이 구조를 채용한 표시체는, 홈 또는 능선의 배열 방향에 평행인 축의 둘레로 회전시킨 경우에, 제 1 부분으로부터의 회절광의 강도와, 제 2 부분으로부터의 회절광의 강도는 동일하게 변화한다. 즉, 제 1 부분으로부터의 회절광이 강해지면, 제 2 부분으로부터의 회절광도 강해진다. 그리고, 제 1 부분으로부터의 회절광이 약해지면, 제 2 부분으로부터의 회절광도 약해진다. 따라서, 이 구조를 채용한 표시체가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얼굴 화상은, 이 구조를 채용하지 않은 표시체가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얼굴 화상과 비교하여, 관찰 방향 또는 조명 방향을 변화시킨 경우에 보다 자연스럽게 변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에서 서로 동일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상기 제 2 영역의 내주 (內周) 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의 외주 (外周) 로 향하여 감소 또는 증가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상기 제 1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의 외주로 향하여 감소 또는 증가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향하여 홈 또는 능선의 피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면, 예를 들어, 회절 화상의 색을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향하여 홈 또는 능선의 피치를 단계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시키면, 예를 들어, 회절 화상의 색을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혹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향하여 홈 또는 능선의 피치를 연속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시키면, 예를 들어, 회절 화상의 색을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색 변화는, 홍채의 색 및 밝기의 변화에 유사하다. 따라서,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를 적어도 제 2 영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변화시킨 경우,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보다 생생하게 보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주면은, 상기 눈의 강막에 대응한 제 3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는, 상기 제 3 영역의 위치에,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제 3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일부의 동물의 얼굴 화상에서는, 강막 (또는 백안) 은 눈꺼풀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다른 동물의 얼굴 화상에서는, 경막의 일부는, 눈꺼풀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보인다. 후자의 경우, 상기의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에 있어서, 눈이 보다 입체적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보다 생생하게 보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의 폭은,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폭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는, 제 3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복수의 제 3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을, 제 2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복수의 제 2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게 하는 데 적합하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복수의 제 3 부분의 폭은, 복수의 제 2 부분의 폭의 10 내지 7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3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은 20 내지 50 % 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비율이 크면, 회절 화상 중 제 3 영역에 대응한 부분을, 동공 및 광채와의 비교에 의해 백안이라고 인식하는 것이 어렵다. 이 비율을 작게 하면,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으로부터 관찰자가 느끼는 정력이 약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의 이웃한 것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이웃한 것 사이의 거리와 비교하여 보다 큰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는, 제 3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복수의 제 3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을, 제 2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복수의 제 2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게 하는 데 적합하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복수의 제 3 부분의 이웃한 것 사이의 거리는, 복수의 제 2 부분의 이웃한 것 사이의 거리의 150 내지 100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은 실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은 파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도, 제 3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복수의 제 3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을, 제 2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복수의 제 2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게 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에서 서로 동일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를 채용한 표시체가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얼굴 화상은, 이 구조를 채용하지 않은 표시체가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얼굴 화상과 비교하여, 관찰 방향 또는 조명 방향을 변화시킨 경우에 보다 자연스럽게 변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에서 서로 동일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혹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에서 상이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후자의 구조는,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제 1 부분과 제 3 부분에 상이한 색을 표시시키는 데 적합하다.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향하여 홈 또는 능선의 피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면, 예를 들어, 회절 화상의 색을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향하여 홈 또는 능선의 피치를 단계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시키면, 예를 들어, 회절 화상의 색을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혹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향하여 홈 또는 능선의 피치를 연속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시키면, 예를 들어, 회절 화상의 색을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색 변화는, 홍채의 색 및 밝기의 변화에 유사하다. 따라서,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를 적어도 제 2 영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변화시킨 경우,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보다 생생하게 보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홍채의 일부에 대응하고, 상기 얼굴 화상은, 상기 홍채의 나머지 부분과 중복된 캐치 라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주면은, 상기 캐치 라이트에 대응한 제 4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는, 상기 제 4 영역의 위치에 제 4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이웃한 2 이상에 걸치도록 펼쳐져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눈은, 관찰자에게 보다 강한 인상을 준다. 그러므로,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보다 생생하게 보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과 상기 제 4 부분에서 서로 동일한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를 채용한 표시체가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얼굴 화상은, 이 구조를 채용하지 않은 표시체가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얼굴 화상과 비교하여, 관찰 방향 또는 조명 방향을 변화시킨 경우에 보다 자연스럽게 변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과 상기 제 4 부분에서 서로 상이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는, 예를 들어,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제 2 영역이 표시하는 색과 제 4 영역이 표시하는 색을 상이하게 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4 부분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 1 부분의 최대 직경 이상이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눈은, 관찰자에게 더욱 강한 인상을 준다. 그러므로,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보다 생생하게 보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4 부분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 1 부분의 최대 직경의 0.8 내지 1.5 배의 범위 내에 있다. 제 4 부분을 과잉으로 크게 하면,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눈의 인상이 약해지거나, 또는,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눈의 입체감이 작아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4 부분은,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 중 눈머리에 대응한 부분과 눈꼬리에 대응한 부분의 거리는 2 내지 4 ㎜ 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회절 구조 중 상검에 대응한 부분과 하검에 대응한 부분의 최대 거리는 1 내지 1.5 ㎜ 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1 부분은, 30 내지 100 ㎛ 의 범위 내에 있는 최대 직경을 갖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각각은, 그 전체 둘레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폭이 일정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은, 폭이 서로 동일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각각은, 20 내지 80 ㎛ 의 범위 내에 있는 폭을 갖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 중 이웃한 각 2 개는, 5 내지 100 ㎛ 의 범위 내의 거리를 띄우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의 각각은, 그 전체 둘레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폭이 일정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은, 폭이 서로 동일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의 각각은, 2 내지 20 ㎛ 의 범위 내에 있는 폭을 갖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 중 이웃한 각 2 개는, 15 내지 500 ㎛ 의 범위 내의 거리를 띄우고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는, 상기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체는, 회절 화상으로서 단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회절 구조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홈 또는 능선으로 이루어지는 회절 격자를 포함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500 ㎚ 내지 200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재료는,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혹은 전자선 경화성 수지이다. 열 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또는 비닐 수지를 사용한다. 열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반응성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폴리올 혹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가교제로서 첨가하여 가교시킨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 수지를 사용한다. 자외선 또는 전자선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에폭시아크릴, 에폭시메타크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은,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층에, 릴리프 구조가 형성된 원판을, 열을 인가하면서 눌러 대고, 그 후, 열 가소성 수지층으로부터 원판을 제거한다. 혹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형성하고, 이것에 원판을 눌러 대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그 후, 도막으로부터 원판을 제거한다. 혹은,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형성하고, 이것에 원판을 눌러 대면서 가열하여 열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그 후, 도막으로부터 원판을 제거한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 이상 25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은 반사층을 추가로 구비한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반사층을 형성하면, 회절 화상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반사층은, 상기 주면 중, 상기 회절 구조가 형성된 영역을 덮고, 이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덮고 있지 않은 상기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가 제공된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의 시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을 시인 불가능한 조건하에서도, 반사층의 패턴에 대응한 화상을 시인 가능해진다.
또한, 반사층이 상기 주면의 일부만을 덮고 있는 경우, 상기의 회절 구조는, 상기 주면에 형성된 릴리프 구조 중, 반사층에 의해 덮여 있으며 또한 회절광을 사출 가능한 부분이다. 또, 반사층이 상기 주면의 전체를 덮고 있는 경우, 상기의 회절 구조는, 상기 주면에 형성된 릴리프 구조 중, 회절광을 사출 가능한 부분이다.
반사층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금, 및 그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반사층으로서, 릴리프 구조 형성층과는 굴절률이 상이한 유전체층을 사용해도 된다. 혹은, 반사층으로서, 이웃하는 것끼리의 굴절률이 상이한 유전체층의 적층체, 즉, 유전체 다층막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유전체 다층막이 포함하는 유전체층 중, 릴리프 구조 형성층과 접촉하고 있는 것의 굴절률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굴절률과는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층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및 스퍼터링법 등의 기상 퇴적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층 또는 유전체 다층막에는,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산화물, 황화물, 및 질화물을 들 수 있다.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이나 실리콘산화물 (SiO) 을 사용할 수 있다. 질화물로는, 예를 들어, 금속 질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황화물로는, 예를 들어, 금속 황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티탄산화물 (TiO), 산화아연 (ZnO), 또는 알루미나를 사용할 수 있다. 황화물로는, 예를 들어, 황화아연 (ZnS) 또는 황화알루미늄 (AlS) 을 사용할 수 있다. 질화물로는, 예를 들어, 질화칼슘 (CaN) 을 사용할 수 있다.
반사층의 릴리프 구조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반사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반사 보호층을 부분적으로 개구된 층으로서 형성하고, 이 반사 보호층을 에칭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반사층 중 반사 보호층으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을 선택적으로 에칭함으로써, 릴리프 구조면을 부분적으로 덮은 반사층을 얻을 수 있다.
반사 보호층에는, 예를 들어, 무기 화합물, 폴리머, 또는 그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물은, 예를 들어, 실리콘산화물 (SiO) 또는 알루미나이고, 질화물은, 예를 들어, 질화칼슘 (CaN), 질화티탄 (TiN) 또는 질화알루미늄 (AlN) 이다. 폴리머는,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이다.
반사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이상 500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를 포함한 전사재층과, 상기 전사재층을 박리 가능하게 지지한 지지체를 구비한 전사박이 제공된다.
일례에 의하면, 전사재층은, 서로 인접한 전사부 및 비전사부를 포함하고 있다. 전사부는, 전사재층 중, 물품에 전사되는 부분으로서, 상기의 표시체를 포함하고 있다. 비전사부는, 전사재층 중, 물품에 전사되지 않고 잔류하는 부분이다. 비전사부는, 전사부와 마찬가지의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
지지체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 또는 시트이다. 지지체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지지체의 전사재층을 지지하고 있는 주면에는, 예를 들어 불소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한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체의 두께는, 4 ㎛ 이상 50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전사재층은, 상기 표시체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개재한 박리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한 상기 측면에 관련된 전사박이 제공된다.
박리 보호층은, 전사부의 지지체로부터의 박리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박리한 전사부, 즉, 표시체의 표면을 손상 및 열화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박리 보호층은, 예를 들어, 광 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박리 보호층은, 예를 들어 수지로 이루어진다. 박리 보호층을 구성하고 있는 수지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한 수지, 열 경화한 수지, 또는, 열 가소성 수지이다. 이 수지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보호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 이상 5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전사재층을 피복한 접착층을 추가로 구비한 전사박이 제공된다.
접착층은,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열 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 이상 20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와, 상기 표시체의 일방의 주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구비한 점착 라벨이 제공된다.
점착층은, 감압 접착제 등의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계, 부틸 고무계, 천연 고무계, 실리콘계 혹은 폴리이소부틸계 점착제를 사용한다.
점착제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비닐에스테르, 아크릴니트릴, 스티렌 및 비닐 모노머 등의 응집 성분 ; 불포화 카르복실산, 하이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및 아크릴니트릴 등의 개질 성분 ; 중합 개시제 ; 가소제 ; 경화제 ; 경화 촉진제 ; 산화 방지 ; 또는 그들의 2 개 이상을 포함한 혼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표시체와, 상기 표시체를 지지한 물품을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물품은, 어떠한 방법으로 표시체를 지지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체는, 물품의 표면에 첩부되어 있어도 되고, 물품 내에 매립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물품에 형성된 인쇄층을 추가로 구비한 상기 측면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입체물의 상기 화상을 인쇄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찰자는, 상기 입체물의 상기 화상과 상기 인쇄 화상을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물품은, 플라스틱, 금속, 종이, 또는 그들의 복합체를 포함한 상기 측면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물품은 종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체는 상기 종이에 떠지고, 상기 종이는 상기 표시체의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는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라벨 부착 물품은, 지폐, 유가 증권, 증명 서류, 크레디트 카드, 패스포트 및 ID (identification) 카드 등의 개인 인증 매체, 내용물을 포장한 포장체인 상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제 3 발명>
제 3 발명은, 제 1 발명과 제 2 발명의 조합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 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관련된 표시체로서, 상기 입체물의 화상은 인물 및 동물의 화상의 1 이상을 포함하고, 제 2 발명의 1 이상의 측면의 특징을 구비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 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관련된 전사박으로서, 상기 입체물의 화상은 인물 및 동물의 화상의 1 이상을 포함하고, 제 2 발명의 1 이상의 측면의 특징을 구비한 전사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 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관련된 점착 라벨로서, 상기 입체물의 화상은 인물 및 동물의 화상의 1 이상을 포함하고, 제 2 발명의 1 이상의 측면의 특징을 구비한 점착 라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 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으로서, 상기 입체물의 화상은 인물 및 동물의 화상의 1 이상을 포함하고, 제 2 발명의 1 이상의 측면의 특징을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입체물의 화상은, 인물의 초상, 특히 얼굴 화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발명에 관하여 언급한 제 1 및 제 2 영역 또는 제 1 내지 제 3 영역은, 인물의 얼굴에 대응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물의 얼굴의 피부에 대응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인물의 얼굴의 피부에 대응한 영역으로서, 코, 볼, 이마, 관자놀이, 미간, 상검, 하검, 입, 및 턱의 1 이상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제 1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제 2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포함할 수 있는 제 3 영역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포함할 수 있는 제 4 영역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포함할 수 있는 제 5 영역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의 원화상을 얻기 위한 촬영에 있어서의 조명 조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회절광 또는 정반사광이 보이는 조건하에서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의 원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제 5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는, 제 5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는, 제 4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 은, 제 1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은, 제 9 선상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은, 제 9 선상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 는, 제 9 선상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은, 제 9 선상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사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라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 는, 도 24 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단면도이다.
도 26 은, 도 24 및 도 25 의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일방의 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 은, 도 26 에 나타내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 은, 비교예에 관련된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일방의 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일방의 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0 은, 도 29 에 나타내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일방의 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2 는, 도 31 에 나타내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3 은, 본 발명의 제 3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4 는, 도 33 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제조에 이용 가능한 원판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5 는, 본 발명의 제 3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사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라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발명>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제 1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제 2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X 방향 및 Y 방향은, 표시체 (1) 의 주면에 평행이며 또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 Z 방향은,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고, 표시체 (1) 의 두께 방향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과 반사층 (12) 을 포함하고 있다. 이 표시체 (1) 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측이 관찰자와 마주보는 전면이고, 반사층 (12) 측이 배면이다. 이 표시체 (1) 는, 반사층 (12) 측이 관찰자와 마주보는 전면이고,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측이 배면이어도 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반사층 (12)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릴리프면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일방의 주면은,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1) 가 형성된 영역 (Ra) 과, 다른 영역 (Rb) 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릴리프면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회절 구조 (RF1) 가 형성된 주면이다.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1) 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홈 또는 능선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홈 또는 능선은,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1), 예를 들어,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다.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1) 는, 입체물의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여기서, 「회절 화상」은, 회절광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이다. 또, 여기서는, 「입체물」은, 우측에서 조명한 구체이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주면 중, 회절 구조 (RF1) 가 형성된 영역 (Ra)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 (R1) 과 제 2 영역 (R2) 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영역 (R1)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상기 주면 중,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구체의 일부에 대응한 영역이다. 제 1 영역 (R1)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선상부 (LP1) 와 복수의 제 2 선상부 (LP2) 와 복수의 제 1 부분 (PP1) 과 복수의 간극부 (GP) 를 포함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회절 구조 (RF1) 중 도 1 의 제 1 영역 (R1) 에 형성된 부분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선상부 (LP1) 와 복수의 제 2 선상부 (LP2) 와 복수의 제 1 부분 (PP1) 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패턴 (P1) 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선상부 (LP1) 는, 각각이 실선상이고,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2 선상부 (LP2) 는, 각각이 실선상이다. 제 2 선상부 (LP2) 는, 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제 1 선상부 (LP1) 와 교차하여, 제 1 선상부 (LP1) 와 함께 제 1 격자 (LT1) 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부분 (PP1) 은, 각각이 실선상이다. 제 1 부분 (PP1) 은, 점상이어도 된다. 제 1 부분 (PP1) 은, 각각, 제 1 격자 (LT1) 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선상부 (LP1), 제 2 선상부 (LP2) 및 제 1 부분 (PP1) 의 각각은, 상기 서술한 홈 또는 능선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홈 또는 능선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1) 의 일부, 예를 들어,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다.
일례에 의하면,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영역 (R1) 의 1 이상이 포함하고 있는, 제 1 선상부 (LP1), 제 2 선상부 (LP2) 및 제 1 부분 (PP1) 의 배열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전체에 걸쳐 대략 동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의하면, 이 배열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색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영역 (R1) 이 포함하고 있는 간극부 (GP)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 (R1) 중 제 1 패턴 (P1) 과 인접한 부분이다. 이들 간극부 (GP) 는, 평탄면이어도 되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프 구조 (RF2) 가 형성된 면이어도 된다. 일례에 의하면, 릴리프 구조 (RF2) 는, Z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며 또한 서로 교차하는 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다. 다른 예에 의하면, 릴리프 구조 (RF2) 는, 랜덤으로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다. 이들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예를 들어, 회절 구조 (RF1) 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과 비교하여, 폭에 대한 깊이 또는 높이의 비가 보다 크다. 또, 이들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예를 들어, 회절 구조 (RF1) 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과 비교하여, 중심간 거리가 보다 작다. 릴리프 구조 (RF2) 를 형성하면, 예를 들어, 패터닝된 반사층 (12) 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 2 영역 (R2)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상기 주면 중,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구체의 다른 일부에 대응한 영역이다. 제 2 영역 (R2)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3 선상부 (LP3) 와 복수의 제 4 선상부 (LP4) 와 간극부 (GP) 를 포함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회절 구조 (RF1) 중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제 2 영역 (R2) 에 형성된 부분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3 선상부 (LP3) 와 복수의 제 4 선상부 (LP4) 로 이루어지는 제 2 패턴 (P2) 을 형성하고 있다.
제 3 선상부 (LP3) 는, 각각이 파선상이다. 제 4 선상부 (LP4) 는, 각각이 점선상이다. 제 3 선상부 (LP3) 및 제 4 선상부 (LP4) 는,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제 4 선상부 (LP4) 는, 각각이 파선상이어도 된다. 혹은, 제 4 선상부 (LP4) 는, 1 이상이 점선상이고, 나머지가 파선상이어도 된다.
이들 제 3 선상부 (LP3) 및 제 4 선상부 (LP4) 의 각각은, 상기 서술한 홈 또는 능선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홈 또는 능선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1) 의 다른 일부, 예를 들어,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다.
일례에 의하면,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제 2 영역 (R2) 의 1 이상이 포함하고 있는 제 3 선상부 (LP3) 및 제 4 선상부 (LP4) 의 배열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전체에 걸쳐 대략 동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의하면, 이 배열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색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어떠한 예에 있어서도, 제 1 영역 (R1) 이 포함하고 있는, 제 1 선상부 (LP1), 제 2 선상부 (LP2) 및 제 1 부분 (PP1), 그리고, 제 2 영역 (R2) 이 포함하고 있는 제 3 선상부 (LP3) 및 제 4 선상부 (LP4) 중, 제 1 영역 (R1) 과 제 2 영역 (R2) 의 경계 근방에 위치한 것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대략 동색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에 나타내는 제 2 패턴 (P2) 이 포함하고 있는 제 3 선상부 (LP3) 및 제 4 선상부 (LP4) 의 2 이상의 폭 방향은,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패턴 (P1) 이 포함하고 있는 제 1 선상부 (LP1) 의 폭 방향과 동일하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제 2 영역 (R2) 의 면적 S2 에서 차지하는 제 2 패턴 (P2) 의 면적 SP2 의 비율 SP2/S2 는,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영역 (R1) 의 면적 S1 에서 차지하는 제 1 패턴 (P1) 의 면적 SP1 의 비율 SP1/S1 과 비교하여 보다 작다.
제 2 영역 (R2) 이 포함하고 있는 간극부 (GP)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영역 (R2) 중 제 2 패턴 (P2) 과 인접한 부분이다. 이 간극부 (GP) 는, 예를 들어, 제 1 영역 (R1) 이 포함하고 있는 간극부 (GP) 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영역 (Ra) 은, 이하에 설명하는 제 3 내지 제 5 영역의 1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 는,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포함할 수 있는 제 3 영역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포함할 수 있는 제 4 영역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포함할 수 있는 제 5 영역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제 3 영역 (R3) 은, 복수의 제 5 선상부 (LP5) 와 복수의 제 6 선상부 (LP6) 와 복수의 제 2 부분 (PP2) 과 간극부 (GP) 를 포함하고 있다. 제 5 선상부 (LP5), 제 6 선상부 (LP6) 및 제 2 부분 (PP2) 의 각각은, 상기 서술한 홈 또는 능선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홈 또는 능선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1) 의 일부, 예를 들어,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 에 나타내는 회절 구조 (RF1) 중 도 5 의 제 3 영역 (R3) 에 형성된 부분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5 선상부 (LP5) 와 복수의 제 6 선상부 (LP6) 와 복수의 제 2 부분 (PP2) 으로 이루어지는 제 3 패턴 (P3) 을 형성한다.
제 5 선상부 (LP5) 는, 각각이 파선상이고,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5 선상부 (LP5) 는, 각각이 실선상이어도 된다. 제 6 선상부 (LP6) 는, 각각이 파선상이다. 제 6 선상부 (LP6) 는, 각각이 점선상이어도 된다. 제 6 선상부 (LP6) 는, 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제 5 선상부 (LP5) 와 교차하여, 제 5 선상부 (LP5) 와 함께 제 2 격자 (LT2) 를 형성하고 있다. 제 2 부분 (PP2) 은, 각각이 점상이다. 제 2 부분 (PP2) 은, 선상이어도 된다. 제 2 부분 (PP2) 은, 각각, 제 2 격자 (LT2) 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영역 (R3) 은,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제 1 영역 (R1) 과 제 2 영역 (R2)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영역 (R3)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상기 주면 중,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구체의 또 다른 일부에 대응한 영역이다.
일례에 의하면, 도 1 및 도 5 에 나타내는 제 3 영역 (R3) 의 1 이상이 포함하고 있는, 제 5 선상부 (LP5), 제 6 선상부 (LP6) 및 제 2 부분 (PP2) 의 배열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전체에 걸쳐 대략 동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의하면, 이 배열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색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어떠한 예에 있어서도, 제 1 선상부 (LP1), 제 2 선상부 (LP2), 제 1 부분 (PP1), 제 5 선상부 (LP5), 제 6 선상부 (LP6) 및 제 2 부분 (PP2) 중, 제 1 영역 (R1) 과 제 3 영역 (R3) 의 경계 근방에 위치한 것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대략 동색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3 선상부 (LP3), 제 4 선상부 (LP4), 제 5 선상부 (LP5), 제 6 선상부 (LP6) 및 제 2 부분 (PP2) 중, 제 2 영역 (R2) 과 제 3 영역 (R3) 의 경계 근방에 위치한 것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대략 동색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제 3 패턴 (P3) 은,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선상부 (LP1) 의 1 이상과, 도 4 에 나타내는 제 3 선상부 (LP3) 의 1 이상이, 도 5 에 나타내는 제 5 선상부 (LP5) 의 1 이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제 3 영역 (R3) 의 면적 S3 에서 차지하는 제 3 패턴 (P3) 의 면적 SP3 의 비율 SP3/S3 은,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영역 (R1) 의 면적 S1 에서 차지하는 제 1 패턴 (P1) 의 면적 SP1 의 비율 SP1/S1 과 비교하여 보다 작고, 도 4 에 나타내는 제 2 영역 (R2) 의 면적 S2 에서 차지하는 제 2 패턴 (P2) 의 면적 SP2 의 비율 SP2/S2 와 비교하여 보다 크다.
제 3 영역 (R3) 이 포함하고 있는 간극부 (GP)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영역 (R3) 중 제 3 패턴 (P3) 과 인접한 부분이다. 이 간극부 (GP) 는, 예를 들어, 제 1 영역 (R1) 이 포함하고 있는 간극부 (GP) 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제 4 영역 (R4) 은, 복수의 제 7 선상부 (LP7) 와 복수의 제 8 선상부 (LP8) 와 간극부 (GP) 를 포함하고 있다. 제 7 선상부 (LP7) 및 제 8 선상부 (LP8) 의 각각은, 상기 서술한 홈 또는 능선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홈 또는 능선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1) 의 일부, 예를 들어,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 에 나타내는 회절 구조 (RF1) 중 도 6 의 제 4 영역 (R4) 에 형성된 부분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7 선상부 (LP7) 와 복수의 제 8 선상부 (LP8) 로 이루어지는 제 4 패턴 (P4) 을 형성한다.
제 7 선상부 (LP7) 는, 각각이 실선상이고,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7 선상부 (LP7) 는, 각각이 파선상 또는 점선상이어도 된다. 제 8 선상부 (LP8) 는, 각각이 실선상이고,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8 선상부 (LP8) 는, 각각이 파선상 또는 점선상이어도 된다. 제 8 선상부 (LP8) 는, 제 7 선상부 (LP7) 와 교차하여, 제 7 선상부 (LP7) 와 함께 제 3 격자를 형성하고 있다.
제 4 영역 (R4) 은,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영역 (R1) 과 인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에 의하면, 도 6 에 나타내는 제 4 영역 (R4) 의 1 이상이 포함하고 있는, 제 7 선상부 (LP7) 및 제 8 선상부 (LP8) 의 배열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전체에 걸쳐 대략 동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의하면, 이 배열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색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어떠한 예에 있어서도, 제 1 선상부 (LP1), 제 2 선상부 (LP2), 제 1 부분 (PP1), 제 7 선상부 (LP7) 및 제 8 선상부 (LP8) 중, 제 1 영역 (R1) 과 제 4 영역 (R4) 의 경계 근방에 위치한 것은, 회절 화상에 있어서 대략 동색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에 나타내는 제 4 패턴 (P4) 은, 예를 들어, 제 7 선상부 (LP7) 의 1 이상이,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선상부 (LP1) 의 1 이상 또는 제 2 선상부 (LP2) 의 1 이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제 4 영역 (R4) 의 면적 S4 에서 차지하는 제 4 패턴 (P4) 의 면적 SP4 의 비율 SP4/S4 는,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영역 (R1) 의 면적 S1 에서 차지하는 제 1 패턴 (P1) 의 면적 SP1 의 비율 SP1/S1 과 비교하여 보다 작다. 제 7 선상부 (LP7) 및 제 8 선상부 (LP8) 의 적어도 일방이 파선상 또는 점선상인 경우, 제 7 선상부 (LP7) 와 제 8 선상부 (LP8) 는, 단위 길이에서 차지하는 간극의 비율이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 4 영역 (R4) 이 포함하고 있는 간극부 (GP)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영역 (R4) 중 제 4 패턴 (P4) 과 인접한 부분이다. 이 간극부 (GP) 는, 예를 들어, 제 1 영역 (R1) 이 포함하고 있는 간극부 (GP) 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제 5 영역 (R5) 은, 복수의 제 9 선상부 (LP9) 와 간극부 (GP) 를 포함하고 있다. 제 9 선상부 (LP9) 의 각각은, 상기 서술한 홈 또는 능선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홈 또는 능선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1) 의 일부, 예를 들어,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 에 나타내는 회절 구조 (RF1) 중 도 7의 제 5 영역 (R5) 에 형성된 부분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9 선상부 (LP9) 로 이루어지는 제 5 패턴 (P5) 을 형성한다.
제 9 선상부 (LP9) 는, 각각이 실선상이고,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9 선상부 (LP9) 는, 각각이 파선상 또는 점선상이어도 된다. 제 5 패턴 (P5) 은, 예를 들어, 회절 화상에 있어서 모발을 표현하는 데 이용한다.
제 5 영역 (R5) 이 포함하고 있는 간극부 (GP)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영역 (R5) 중 제 5 패턴 (P5) 과 인접한 부분이다. 이 간극부 (GP) 는, 예를 들어, 제 1 영역 (R1) 이 포함하고 있는 간극부 (GP) 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반사층 (12)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릴리프 구조가 형성된 면 중,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선상부 (LP1), 제 2 선상부 (LP2), 제 3 선상부 (LP3), 제 4 선상부 (LP4) 및 제 1 부분 (PP1) 만을 피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층 (14) 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보호층 (14)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주면 중, 반사층 (12) 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보호층 (14) 은, 투명 수지층이다. 보호층 (14)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등을 기계적 손상이나 약품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또, 보호층 (14) 은, 후술하는 전사박의 기재와의 밀착성이 낮은 것인 경우에는, 표시 요소의 전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보호층 (14)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상기의 밀착성을 조정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표시체 (1) 의 반사층 (12) 측의 면에는, 접착층 (13) 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 (13) 은, 표시체 (1) 를 다른 물품에 고정시킴과 함께,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릴리프면이나 반사층 (12) 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8 은,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의 원화상을 얻기 위한 촬영에 있어서의 조명 조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에는, 구형의 입체물 (OB) 이 광원 (LS) 에 의해 조명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형의 입체물 (OB) 을 우측에서 조명하면, 입체물 (OB) 중 우측은 밝게 보이고, 좌측은 어둡게 보인다.
도 9 는,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 는, 접착층 (13) 이 투명하고, 지면 등의 광 산란성을 가지고 있는 표면 상에, 접착층 (13) 이 광 산란면과 접하도록 표시체 (1) 를 재치한 경우에,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접착층 (13) 및 보호층 (14) 은 투명하다. 또, 반사층 (12)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릴리프 구조가 형성된 면 중,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선상부 (LP1), 제 2 선상부 (LP2), 제 3 선상부 (LP3), 제 4 선상부 (LP4) 및 제 1 부분 (PP1) 만을 피복하고 있다. 그러므로,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중, 제 1 영역 (R1) 및 제 2 영역 (R2) 에 대응한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보다 어둡게 보인다.
또, 상기와 같이,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에서는, 비율 SP2/S2 는 비율 SP1/S1 과 비교하여 보다 작다. 그러므로,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중, 제 2 영역 (R2) 에 대응한 부분은, 제 1 영역 (R1) 에 대응한 부분과 비교하여 보다 밝게 보인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하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는, 도 9 에 나타내는 화상 (I1) 을 표시한다.
도 10 은, 회절광 또는 정반사광이 보이는 조건하에서 도 1 및 도 2 의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례에 의하면, 회절광 또는 정반사광이 보이는 조건하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중, 제 1 영역 (R1) 및 제 2 영역 (R2) 에 대응한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보다 밝게 보인다. 제 2 영역 (R2) 에 대응한 부분은, 제 1 영역 (R1) 에 대응한 부분과 비교하여 보다 어둡게 보인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하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는, 예를 들어 회절 화상으로서 도 10 에 나타내는 화상 (I2) 을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중, 그것이 표시하는 구체에 대응한 부분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 (R1) 및 제 2 영역 (R2) 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절 화상에서는, 제 1 영역 (R1) 에 대응한 부분은, 제 2 영역 (R2) 에 대응한 부분과 비교하여 보다 밝다. 이와 같이, 표시체 (1) 는 회절 화상에서의 계조 표현이 가능하고, 이 계조 표현은,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패턴 (P1) 은 제 1 선상부 (LP1) 및 제 2 선상부 (LP2) 를 포함하고, 도 4 에 나타내는 제 2 패턴 (P2) 은 제 3 선상부 (LP3) 및 제 4 선상부 (LP4) 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중, 그것이 표시하는 구체에 대응한 부분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패턴 (P1) 이 포함하고 있는 제 2 선상부 (LP2) 와, 도 4 에 나타내는 제 2 패턴 (P2) 이 포함하고 있는 제 3 선상부 (LP3) 및 제 4 선상부 (LP4) 는, 그것들의 폭 방향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배치도,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표시체 (1) 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회절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가 표시하는 화상의 원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는,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표시체 (1) 의 형상 및 그것이 표시하는 화상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즉, 도 1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는, 원형이다. 이 표시체 (1) 는,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는, 도 11 에 나타내는 원화상 (IM) 과 동일한 화상을 계조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는, 회절광 또는 정반사광이 보이는 조건하에서는, 도 11 에 나타내는 원화상 (IM) 과는 명암이 반전된 관계에 있는 화상을 계조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또한, 원화상 (IM) 은, 계조 화상으로서, 얼굴의 좌측을 경사 상방으로부터 조명한 인물의 얼굴 화상을 포함하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는, 도 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 1 영역 (R1) 과, 도 4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 2 영역 (R2) 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에서는, 도 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 1 영역 (R1) 은, 도 11 에 나타내는 원화상 (IM) 중, 인물의 얼굴의 일부 및 목의 일부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1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에서는, 도 4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 2 영역 (R2) 은, 도 11 에 나타내는 원화상 (IM) 중, 인물의 얼굴의 다른 일부 및 목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선상부 (LP1) 와 도 4 에 나타내는 제 3 선상부 (LP3) 는, 인물의 코 또는 눈으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각각이 연장된 복수의 선 상에 위치하도록, 및, 제 3 선상부 (LP3) 가 제 1 선상부 (LP1) 와 인물의 코 또는 눈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표시체 (1) 도,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 (1) 와 마찬가지로, 회절 화상에서의 계조 표현이 가능하고, 이 계조 표현은,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 이 표시체 (1) 에서도,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 (1) 와 마찬가지로, 제 1 선상부 (LP1), 제 2 선상부 (LP2), 제 3 선상부 (LP3), 제 4 선상부 (LP4) 및 제 1 부분 (PP1) 의 배치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표시체 (1) 도,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회절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 1 패턴 (P1), 제 2 패턴 (P2), 제 3 패턴 (P3), 제 4 패턴 (P4), 및 제 5 패턴 (P5) 에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3 은, 제 5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제 5 영역 (R5) 에서는, 제 9 선상부 (LP9) 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며, 또한,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제 5 영역 (R5) 에서는, 제 9 선상부 (LP9) 는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 화상 중 제 5 영역 (R5) 에 대응한 부분은, 그 전체에 걸쳐 대략 동일한 밝기로 보인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도,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 중 제 5 영역 (R5) 에 대응한 부분은, 그 전체에 걸쳐 대략 동일한 밝기로 보인다.
이에 대하여, 도 13 에 나타내는 제 5 영역 (R5) 에서는, 제 9 선상부 (LP9) 의 각각은,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다. 또, 이들 제 9 선상부 (LP9) 는, 대략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단, 이들 제 9 선상부 (LP9) 는, 폭이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9 선상부 (LP9) 는, 그것들의 배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폭이 증가하고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 중 제 5 영역 (R5)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높일 수 있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 중 제 5 영역 (R5)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4 는, 제 5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제 5 영역 (R5) 에서는, 제 9 선상부 (LP9) 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9 선상부 (LP9) 는,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폭이 증가하고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 중 제 5 영역 (R5)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제 9 선상부 (LP9) 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높일 수 있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 중 제 5 영역 (R5)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제 9 선상부 (LP9) 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5 는, 제 4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제 4 영역 (R4) 에서는, 제 7 선상부 (LP7) 는, 제 1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되고,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8 선상부 (LP8) 는, 제 2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되고, 제 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제 7 선상부 (LP7) 및 제 8 선상부 (LP8) 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며, 또한,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다. 또, 제 7 선상부 (LP7) 는 일정한 피치로 제 2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8 선상부 (LP8) 는 일정한 피치로 제 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 화상 중 제 4 영역 (R4) 에 대응한 부분은, 그 전체에 걸쳐 동일한 밝기로 보인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도,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 중 제 4 영역 (R4) 에 대응한 부분은, 그 전체에 걸쳐 동일한 밝기로 보인다.
이에 대하여, 도 15 에 나타내는 제 4 영역 (R4) 에서는, 제 7 선상부 (LP7) 는, 폭이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7 선상부 (LP7) 는, 그것들의 배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폭이 증가하고 있다.
또, 제 8 선상부 (LP8) 도, 폭이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8 선상부 (LP8) 는, 그것들의 배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폭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는, 지면의 하측에 위치한 제 7 선상부 (LP7) 는, 상측에 위치한 제 7 선상부 (LP7) 와 비교하여 보다 큰 폭을 가지고 있다. 또, 지면의 우측에 위치한 제 8 선상부 (LP8) 는, 좌측에 위치한 제 8 선상부 (LP8) 와 비교하여 보다 큰 폭을 가지고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 중 제 4 영역 (R4)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지면의 좌측 위로부터 우측 아래로 향하여 높일 수 있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 중 제 4 영역 (R4)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지면의 좌측 위로부터 우측 아래로 향하여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6 은, 제 1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영역 (R1) 에서는, 제 1 선상부 (LP1) 는, 제 1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되고,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 선상부 (LP2) 는, 제 2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되고, 제 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선상부 (LP1) 및 제 2 선상부 (LP2) 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며, 또한,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다. 또, 제 1 선상부 (LP1) 는, 일정한 피치로 제 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선상부 (LP2) 는, 일정한 피치로 제 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영역 (R1) 에서는, 제 1 선상부 (LP1) 및 제 2 선상부 (LP2) 의 배열이 형성하고 있는 제 1 격자 (LT1) 의 메시의 위치에 제 1 부분 (PP1) 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부분 (PP1) 은, 면적이 서로 동일하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 화상 중 제 1 영역 (R1) 에 대응한 부분은, 그 전체에 걸쳐 대략 동일한 밝기로 보인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도,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 중 제 1 영역 (R1) 에 대응한 부분은, 그 전체에 걸쳐 대략 동일한 밝기로 보인다.
이에 대하여, 도 16 에 나타내는 제 1 영역 (R1) 에서는,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부분 (PP1) 은, 면적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지면의 상측에 위치한 제 1 부분 (PP1) 은, 하측에 위치한 제 1 부분 (PP1) 과 비교하여 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 중 제 1 영역 (R1)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지면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여 높일 수 있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 중 제 1 영역 (R1)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지면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여 저하시킬 수 있다.
제 1 선상부 (LP1), 제 2 선상부 (LP2), 제 3 선상부 (LP3), 제 4 선상부 (LP4), 제 5 선상부 (LP5), 제 6 선상부 (LP6), 제 7 선상부 (LP7) , 제 8 선상부 (LP8) 및 제 9 선상부 (LP9) 의 어느 선상부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구조는, 다른 선상부에 채용할 수 있다. 또, 제 1 부분 (PP1) 및 제 2 부분 (PP2) 의 일방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구조는, 그들의 타방에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구조는,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 각 제 9 선상부 (LP9) 의 폭을,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예를 들어,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증가시켜도 된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 중 제 5 영역 (R5)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지면의 우측 위로부터 좌측 아래로 향하여 높일 수 있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 중 제 5 영역 (R5)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지면의 우측 위로부터 좌측 아래로 향하여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 제 7 선상부 (LP7) 또는 제 8 선상부 (LP8) 의 폭을, 그것들의 배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증가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 제 8 선상부 (LP8) 의 폭을,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여 증가시켜도 된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 중 제 4 영역 (R4)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지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여 높일 수 있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 중 제 4 영역 (R4)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지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여 저하시킬 수 있다.
혹은,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 제 7 선상부 (LP7) 또는 제 8 선상부 (LP8) 의 폭을,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증가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 제 8 선상부 (LP8) 의 폭을,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증가시켜도 된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 중 제 4 영역 (R4)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지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높일 수 있다. 또,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광 및 정반사광이 보이지 않는 조건하에서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화상 중 제 4 영역 (R4) 에 대응한 부분의 밝기를, 지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저하시킬 수 있다.
제 1 패턴 (P1), 제 2 패턴 (P2), 제 3 패턴 (P3), 제 4 패턴 (P4) 및 제 5 패턴 (P5) 에는, 이하의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 제 9 선상부에 대하여 설명하는 구조는, 제 1 내지 제 8 선상부 그리고 제 1 및 제 2 부분에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 은, 제 9 선상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에 나타내는 제 9 선상부 (LP9) 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 1 선상 영역 (LPa) 및 제 2 선상 영역 (LPb) 을 포함하고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2 선상 영역 (LPb) 은, 제 1 선상 영역 (LPa) 과 비교하여 폭이 보다 좁다.
제 1 선상 영역 (LPa) 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홈 또는 능선 (G1) 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홈 또는 능선 (G1) 은,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예를 들어,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제 2 선상 영역 (LPb) 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홈 또는 능선 (G2) 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홈 또는 능선 (G2) 은,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예를 들어,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다.
홈 또는 능선 (G1) 과 홈 또는 능선 (G2) 은, 길이 방향 및 피치의 적어도 일방이 상이하다. 홈 또는 능선 (G1) 으로 이루어지는 회절 구조와 홈 또는 능선 (G2) 으로 이루어지는 회절 구조는, 동일한 조명 및 관찰 조건하에서, 파장이 상이한 회절광을 사출한다.
제 1 선상 영역 (LPa) 및 제 2 선상 영역 (LPb) 은,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회절광에 의해 그것들을 서로로부터 구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선상 영역 (LPa) 및 제 2 선상 영역 (LPb) 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상이한 색이라고 인식될 수 있을 정도로 파장이 상이한 회절광을 사출함과 함께, 서로로부터 구별 가능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예를 들어, 제 2 선상 영역 (LPb) 은, 제 1 선상 영역 (LPa) 의 그림자와 같이 보인다. 즉, 이 구조를 채용한 제 9 선상부 (LP9) 는, 그 자체가 입체적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이 구조는, 관찰자가 입체감을 강하게 느끼는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표시체 (1) 는, 회절 화상으로서 단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회절 구조를,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하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8 은, 제 9 선상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에 나타내는 제 9 선상부 (LP9) 는,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은, 제 9 선상부 (LP9) 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은, 특정한 조명 및 관찰 조건하에서, 파장이 상이한 회절광을 사출한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영역 (SR1), 제 2 서브 영역 (SR2), 및 제 3 서브 영역 (SR3) 은,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회절광을 사출한다.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은, 그것들이 사출하는 회절광의 가법 혼색에 의한 색 표현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여기서는, 제 9 선상부 (LP9) 의 폭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을 서로로부터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좁다.
이 구조를 제 9 선상부 (LP9) 에 채용하면, 제 9 선상부 (LP9) 중, 그 폭 방향으로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백색으로 보인다.
또, 제 9 선상부 (LP9) 중, 그 폭 방향으로 제 1 서브 영역 (SR1) 및 제 2 서브 영역 (SR2) 만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옐로색으로 보인다. 제 9 선상부 (LP9) 중, 그 폭 방향으로 제 2 서브 영역 (SR2) 및 제 3 서브 영역 (SR3) 만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시안색으로 보인다. 제 9 선상부 (LP9) 중, 그 폭 방향으로 제 1 서브 영역 (SR1) 및 제 3 서브 영역 (SR3) 만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마젠타색으로 보인다.
그리고, 제 9 선상부 (LP9) 중, 제 1 서브 영역 (SR1) 만이 존재하고, 그 폭 방향으로 제 2 서브 영역 (SR2) 및 제 3 서브 영역 (SR3) 의 어느 것도 존재하고 있지 않은 부분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적색으로 보인다. 제 9 선상부 (LP9) 중, 제 2 서브 영역 (SR2) 만이 존재하고, 그 폭 방향으로 제 1 서브 영역 (SR1) 및 제 3 서브 영역 (SR3) 의 어느 것도 존재하고 있지 않은 부분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녹색으로 보인다. 제 9 선상부 (LP9) 중, 제 3 서브 영역 (SR3) 만이 존재하고, 그 폭 방향으로 제 1 서브 영역 (SR1) 및 제 2 서브 영역 (SR2) 의 어느 것도 존재하고 있지 않은 부분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청색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도 18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를 채용하면, 표시체 (1) 에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9 는, 제 9 선상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 에 나타내는 제 9 선상부 (LP9) 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18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 9 선상부 (LP9) 와 동일하다. 즉, 도 19 에 나타내는 제 9 선상부 (LP9) 에서는,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은, 제 9 선상부 (LP9) 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9 선상부 (LP9) 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한 3 개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배열은, 그 제 9 선상부 (LP9) 의 길이 방향을 따른 치수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그들 3 개의 서브 영역, 즉,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을, 서로로부터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작다.
제 9 선상부 (LP9) 에 상기의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도,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도 18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와 마찬가지로, 표시체 (1) 에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0 은, 제 9 선상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에 나타내는 제 9 선상부 (LP9) 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18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 9 선상부 (LP9) 와 동일하다. 즉, 도 20 에 나타내는 제 9 선상부 (LP9) 에서는,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은, 제 9 선상부 (LP9) 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서브 영역 (SR2) 의 일부와 제 3 서브 영역 (SR3) 의 일부는, 제 9 선상부 (LP9)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9 선상부 (LP9) 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의 나머지와 제 3 서브 영역 (SR3) 의 나머지는, 제 9 선상부 (LP9) 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 열과, 제 9 선상부 (LP9) 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된 제 2 서브 영역 (SR2) 의 일부 및 제 3 서브 영역 (SR3) 의 일부는, 제 9 선상부 (LP9) 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9 선상부 (LP9) 의 폭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제 9 선상부 (LP9) 의 폭 방향으로 이웃한 3 개의 서브 영역을, 서로로부터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작다. 또, 제 9 선상부 (LP9) 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한 3 개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배열은, 그 제 9 선상부 (LP9) 의 길이 방향을 따른 치수가, 회절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그들 3 개의 서브 영역, 즉,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을, 서로로부터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작다.
제 9 선상부 (LP9) 에 상기의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도,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도 18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 및 도 19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와 마찬가지로, 표시체 (1) 에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제 1 서브 영역 (SR1) 과 제 2 서브 영역 (SR2) 과 제 3 서브 영역 (SR3) 을 서로로부터 구별할 수 없는 미소 영역에서 차지하는 제 2 서브 영역 (SR2) 의 면적비와, 이 미소 영역에서 차지하는 제 3 서브 영역 (SR3) 의 면적비를, 상기 미소 영역에서 차지하는 제 1 서브 영역 (SR1) 의 면적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청색 및 녹색은, 적색과 비교하여, 피부 톤의 표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회절 화상으로 얼굴 화상을 표현하는 경우, 상기의 구성을 채용하면, 피부가 보다 깨끗하게 보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사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사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에 나타내는 전사박 (2) 은, 지지체 (21) 와 전사재층과 접착층 (13) 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체 (21) 는, 전사재층을 박리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접착층 (13) 은, 전사재층을 피복하고 있다.
전사재층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과 반사층 (12) 과 보호층 (14) 을 포함하고 있다. 보호층 (14) 은, 여기서는 박리 보호층이다. 보호층 (14),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및 반사층 (12) 은, 이 순서로, 지지체 (21) 상에 적층되어 있다.
전사재층은, 서로 인접한 전사부 및 비전사부를 포함하고 있다. 전사부는, 전사재층 중, 물품에 전사되는 부분으로서, 상기의 표시체 (1) 를 포함하고 있다. 비전사부는, 전사재층 중, 물품에 전사되지 않고 잔류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라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라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에 나타내는 점착 라벨 (3) 은, 기재 (15) 와 표시체 (1) 와 점착층 (16) 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2 에 있어서, 또한, 참조 부호 31 은, 대지 (臺紙) 를 나타내고 있다.
기재 (15) 는, 예를 들어, 투명 수지 필름이다. 기재 (15) 는, 그 일방의 주면에, 표시체 (1) 를 지지하고 있다.
점착층 (16) 은, 표시체 (1) 의 일방의 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 (16) 은, 표시체 (1) 를 사이에 두고 기재 (15) 와 마주보고 있다. 점착층 (16) 은, 점착 라벨 (3) 의 사용 직전까지, 대지 (31) 에 의해 보호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 에 나타내는 라벨 부착 물품 (4) 은, 인쇄물이다. 라벨 부착 물품 (4) 으로는, 예를 들어, 상품권, 유가 증권, 지폐, ID (identification) 카드, 및 패스포트를 들 수 있다.
이 라벨 부착 물품 (4) 은, 표시체 (1) 와, 이것을 지지한 물품 (41) 과, 물품 (41) 상에 형성된 인쇄층 (42a 및 42b) 을 포함하고 있다.
물품 (41) 은, 예를 들어, 종이 등의 인쇄 기재이다. 인쇄 기재로는, 예를 들어, 종이 기재, 투명 수지 기재, 또는 불투명 수지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체 (1) 는, 예를 들어, 이 물품 (41) 의 표면에 첩부하거나 또는 이 물품 (41) 내에 매립됨으로써, 물품 (41)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일례에 의하면, 표시체 (1) 는, 점착 라벨 또는 전사박을 사용하여, 물품 (41) 에 첩부된다.
물품 (41) 이 투명한 경우에는, 표시체 (1) 는 물품 (41) 중에 매립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예를 들어, 복수의 투명 수지 기재 사이에 표시체 (1) 를 끼워 넣고, 이들 투명 수지 기재를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인쇄 기재로서 종이 기재나 불투명 수지 기재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물품 (41) 이 불투명한 경우에는, 상기의 구조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종이 기재 또는 불투명 수지 기재 사이에 표시체 (1) 를 끼워 넣고, 이것들을 일체화한다. 다음으로, 표시체 (1) 를 시인 가능하게 되도록, 그들 기재의 표시체 (1) 에 대응하는 1 이상의 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한다.
인쇄층 (42a) 은,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상기 화상의 기원이 되는 화상을 사용하여 작성된 인쇄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인쇄층 (42b) 은, 문자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인쇄층 (42a 및 42b) 의 일방 또는 양방을 생략해도 된다.
인쇄층 (42a) 이 표시하는 인쇄 화상과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상기 화상이 대응하고 있는 경우, 인쇄 화상 및 표시체 (1) 중 어느 일방이 부정하게 교환되었거나 또는 고쳐 기록되었다 하더라도, 부정 행위가 이루어진 것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 는, 도 24 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단면도이다. 도 26 은, 도 24 및 도 25 의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일방의 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X 방향 및 Y 방향은, 표시체 (1) 의 주면에 평행이며 또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 Z 방향은,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고, 표시체 (1) 의 두께 방향이다.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는,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과 반사층 (12) 을 포함하고 있다. 이 표시체 (1) 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측이 관찰자와 마주보는 전면이고, 반사층 (12) 측이 배면이다. 이 표시체 (1) 는, 반사층 (12) 측이 관찰자와 마주보는 전면이고,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측이 배면이어도 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반사층 (12)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릴리프면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일방의 주면, 구체적으로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과 반사층 (12) 의 계면 (IF) 에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 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 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홈 또는 능선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홈 또는 능선은,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 예를 들어,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다. 일례에 의하면, 회절 구조 (RF) 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일정하다. 예를 들어, 회절 구조 (RF) 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X 방향에 평행이다.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 는, 눈을 포함하는 얼굴 화상, 여기서는 인간의 얼굴 화상을, 다색의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 는, 눈을 포함하는 얼굴 화상과, 이 얼굴 화상 이외의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해도 된다. 여기서, 「회절 화상」은, 회절광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이다.
이 회절 구조 (RF) 가 형성된 계면 (IF), 즉,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반사층 (12) 측의 주면은,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 (RR1) 과 제 2 영역 (RR2) 과 제 3 영역 (RR3) 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영역 (RR1) 은, 계면 (IF) 중, 회절 격자 (DF) 가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얼굴 화상이 포함하고 있는 눈의 동공에 대응한 영역이다. 제 1 영역 (RR1) 은, 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 2 영역 (RR2) 은, 계면 (IF) 중, 회절 격자 (DF) 가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얼굴 화상이 포함하고 있는 눈의 홍채에 대응한 영역이다. 제 2 영역 (RR2) 은, 원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 1 영역 (RR1) 을 둘러싸고 있다.
제 3 영역 (RR3) 은, 계면 (IF) 중, 회절 격자 (DF) 가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얼굴 화상이 포함하고 있는 눈의 강막 (백안) 에 대응한 영역이다. 제 3 영역 (RR3) 은, 제 2 영역 (RR2) 을 둘러싸고 있다.
회절 구조 (RF) 는, 제 1 영역 (RR1) 의 위치에 제 1 부분 (PT1) 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부분 (PT1) 은, 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 1 영역 (RR1) 의 전체에 걸쳐 펼쳐져 있다.
제 1 부분 (PT1)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일정하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 (PT1)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X 방향에 평행이다. 또, 제 1 부분 (PT1)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일정하다.
회절 구조 (RF) 는, 제 2 영역 (RR2) 의 위치에, 복수의 제 2 부분 (PT2) 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 2 부분 (PT2) 은, 실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함과 함께, 제 1 부분 (PT1) 을 둘러싸고 있다. 제 2 부분 (PT2) 의 중심은, 위치가 서로 동일하다. 또, 제 2 부분 (PT2) 의 각각의 중심은, 제 1 부분 (PT1) 의 중심과 위치가 동일하다.
제 2 부분 (PT2) 의 각각은, 그 전체 둘레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폭이 일정하다. 또, 이들 제 2 부분 (PT2) 은, 폭이 서로 동일하다.
이웃한 제 2 부분 (PT2) 사이의 거리는, 그 전체 둘레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또, 이웃한 제 2 부분 (PT2) 사이의 거리는, 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있다.
각 제 2 부분 (PT2)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일정하다. 또,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 (PT2) 은,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 일례에 의하면,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은, 제 1 부분 (PT1) 과 복수의 제 2 부분 (PT2) 에서 서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각 제 2 부분 (PT2)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X 방향에 평행이다.
또, 각 제 2 부분 (PT2)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일정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 (PT2) 은,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서로 동일하다. 일례에 의하면,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제 1 부분 (PT1) 과 복수의 제 2 부분 (PT2) 에서 서로 동일하다.
회절 구조 (RF) 는, 제 3 영역 (RR3) 의 위치에, 복수의 제 3 부분 (PT3) 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 3 부분 (PT3) 은, 실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함과 함께, 복수의 제 2 부분 (PT2) 을 둘러싸고 있다. 제 3 부분 (PT3) 의 중심은, 위치가 서로 동일하다. 또, 제 3 부분 (PT3) 의 각각의 중심은, 제 1 부분 (PT1) 의 중심과 위치가 동일하다.
제 3 영역 (RR3) 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복수의 제 3 부분 (PT3) 의 합계 면적의 비율은, 제 2 영역 (RR2) 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복수의 제 2 부분 (PT2) 의 합계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다. 여기서는, 제 3 부분 (PT3) 의 폭은, 제 2 부분 (PT2) 의 폭과 비교하여 보다 작다. 또, 제 3 부분 (PT3) 의 이웃한 것 사이의 거리는, 제 2 부분 (PT2) 의 이웃한 것 사이의 거리와 비교하여 보다 크다.
제 3 부분 (PT3) 의 각각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폭이 일정하다. 또, 이들 제 3 부분 (PT3) 은, 폭이 서로 동일하다.
이웃한 제 3 부분 (PT3) 사이의 거리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이들 제 3 부분 (PT3) 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제 3 부분 (PT3)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일정하다. 또,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 (PT3) 은,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 일례에 의하면,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은, 복수의 제 2 부분 (PT2) 과 복수의 제 3 부분 (PT3) 에서 서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각 제 3 부분 (PT3)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X 방향에 평행이다.
또, 각 제 3 부분 (PT3)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일정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 (PT3) 은,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서로 동일하다. 일례에 의하면,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제 1 부분 (PT1) 과 복수의 제 3 부분 (PT3) 에서 상이하다.
계면 (IF) 은, 제 1 영역 (RR1), 제 2 영역 (RR2) 및 제 3 영역 (RR3) 에 더하여, 다른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회절 구조 (RF) 는, 상기 다른 영역의 일부의 위치에 제 5 부분 (PT5) 을 포함하고 있다. 제 5 부분 (PT5) 은, 회절 격자 (DF) 가 표시하는 회절 화상 중, 눈 이외의 부분, 예를 들어, 안검열의 윤곽 그리고 상안검 및 하안검의 주름 등을 표시하는 데 이용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다른 영역의 나머지 부분은, 제 6 부분 (PT6) 이다. 회절 구조 (RF) 는, 제 6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25 에 나타내는 반사층 (12)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회절 구조 (RF) 가 형성된 면을 피복하고 있다.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표시체 (1) 는,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층 (14) 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보호층 (14)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주면 중, 반사층 (12) 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보호층 (14) 은, 투명 수지층이다. 보호층 (14)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등을 기계적 손상이나 약품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또, 보호층 (14) 은, 후술하는 전사박의 기재와의 밀착성이 낮은 것인 경우에는, 표시 요소의 전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보호층 (14)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상기의 밀착성을 조정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표시체 (1) 의 반사층 (12) 측의 면에는, 접착층 (13) 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 (13) 은, 표시체 (1) 를 다른 물품에 고정시킴과 함께,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릴리프면이나 반사층 (12) 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7 은, 도 26 에 나타내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 에는, 인간 이외의 동물의 얼굴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경우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 에 나타내는 구조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24 내지 도 2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와 대략 동일하다. 즉, 도 26 에 나타내는 구조가 표시하는 회절 화상에서는, 홍채의 일부가 상안검에 의해 가려져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7 에 나타내는 구조가 표시하는 회절 화상에서는, 홍채는, 상안검 및 하안검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가려져 있지 않다. 또, 도 26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제 2 부분 (PT2) 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28 은, 비교예에 관련된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일방의 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 에 나타내는 구조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2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즉, 도 28 의 구조에서는, 회절 구조 (RF) 는, 제 1 영역 (RR1) 의 위치 및 제 2 영역 (RR2) 의 위치에 각각 제 1 부분 (PT1) 및 복수의 제 2 부분 (PT2) 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 대신에, 도 28 의 구조에서는, 회절 구조 (RF) 는, 제 1 영역 (RR1) 과 제 2 영역 (RR2) 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위치에, 부분 (PT12) 을 포함하고 있다. 또, 도 28 의 구조에서는, 회절 구조 (RF) 는, 제 3 영역의 위치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부분 (PT12) 은, 제 1 영역 (RR1) 과 제 2 영역 (RR2) 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전체에 걸쳐 펼쳐져 있다. 부분 (PT12)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일정하다. 예를 들어, 부분 (PT12)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X 방향에 평행이다. 또, 부분 (PT12)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일정하다.
도 28 에 나타내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눈이 입체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 결과, 이 얼굴 화상은, 생생하게 보이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도 24 내지 도 27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에서는, 회절 구조 (RF) 는, 눈의 동공에 대응한 제 1 영역 (RR1) 의 위치에 제 1 부분 (PT1) 을 포함하고, 눈의 홍채에 대응한 제 2 영역 (RR2) 의 위치에 복수의 제 2 부분 (PT2) 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 2 부분 (PT2) 은,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생생하게 보인다.
또, 도 24 내지 도 27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에서는, 회절 구조 (RF) 는, 눈의 강막에 대응한 제 3 영역 (RR3) 에 복수의 제 3 부분 (PT3) 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 3 부분 (PT3) 은,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 (RR3) 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복수의 제 3 부분 (PT3) 의 합계 면적의 비율은, 제 2 영역 (RR2) 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복수의 제 2 부분 (PT2) 의 합계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에 있어서, 눈이 보다 입체적으로 보이고,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보다 생생하게 보인다.
또, 인간의 뇌에는, 「얼굴 반응성 세포 (또는 얼굴 세포)」라고 불리는 신경 세포의 영역이 있다. 얼굴 세포는, 눈, 코, 및 입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얼굴 세포는, 눈, 코, 및 입에 더하여, 볼이나 윤곽 등의 그것들 주위의 부위를 포함하는 얼굴 전체의 화상으로부터, 인물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식별의 정밀도에는, 얼굴 화상 중 눈의 화상이 특히 큰 영향을 미친다.
상기와 같이, 도 24 내지 도 27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표시체 (1) 에서는, 회절 구조 (RF) 중 눈에 대응한 영역에 상기의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한 표시체 (1) 가 회절 화상의 일부로서 표시하는 눈의 화상은, 다른 구조를 채용한 표시체가 회절 화상의 일부로서 표시하는 눈의 화상과는 상이하다. 그리고, 인간은, 그것들의 차이를 용이하게 식별한다. 따라서, 이 표시체 (1) 는, 예를 들어, 위조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일방의 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는, 도 29 에 나타내는 구조를 회절 구조 (RF) 에 채용한 것 이외에는,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 도 29 에 나타내는 구조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2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즉, 도 29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회절 구조 (RF) 는, 제 2 영역 (RR2) 의 위치에, 복수의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은, 실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함과 함께, 제 1 부분 (PT1) 을 둘러싸고 있다.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의 중심은, 위치가 서로 동일하다. 또,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의 각각의 중심은, 제 1 부분 (PT1) 의 중심과 위치가 동일하다.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의 각각은, 그 전체 둘레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폭이 일정하다. 또, 이들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은, 폭이 서로 동일하다.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의 이웃한 2 개 사이의 거리는, 그 전체 둘레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또,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의 이웃한 2 개 사이의 거리는, 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있다.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의 각각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일정하다. 또,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은,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 일례에 의하면,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은, 제 1 부분 (PT1) 과 복수의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에서 서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의 각각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X 방향에 평행이다.
또,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의 각각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일정하다. 단,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은,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서로 상이하다. 여기서는, 제 1 부분 (PT1) 및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의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제 1 영역 (RR1) 의 중심으로부터 제 2 영역 (RR2) 의 외주로 향하여 감소 또는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 1 부분 (PT1) 과 제 2 부분 (PT2a) 은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상이하지만, 그들은,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동일해도 된다.
도 30 은, 도 29 에 나타내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0 에는, 인간 이외의 동물의 얼굴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경우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0 에 나타내는 구조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29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와 대략 동일하다. 즉, 도 29 에 나타내는 구조가 표시하는 회절 화상에서는, 홍채의 일부가 상안검에 의해 가려져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0 에 나타내는 구조가 표시하는 회절 화상에서는, 홍채는, 상안검 및 하안검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가려져 있지 않다. 또, 도 30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제 2 부분 (PT2d) 은 생략되어 있고, 제 2 부분 (PT2a 내지 P2c) 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29 또는 도 30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24 내지 도 27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29 및 도 30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에서는, 제 2 부분 (PT2a 내지 P2d) (또는 제 2 부분 (PT2a 내지 P2c)) 의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제 2 영역 (RR2) 의 내주로부터 외주로 향하여 감소 또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구조를 채용하면, 회절 화상 중 제 2 영역 (RR2) 에 대응한 부분의 색을, 그 내주로부터 외주로 향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색의 변화는, 홍채의 색 및 밝기의 변화에 유사하다. 따라서,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를 적어도 제 2 영역 (RR2) 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변화시킨 경우,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보다 생생하게 보인다.
도 3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일방의 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는, 도 31 에 나타내는 구조를 회절 구조 (RF) 에 채용한 것 이외에는,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 도 31 에 나타내는 구조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2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즉, 도 31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제 2 영역 (RR2) 은, 홍채의 일부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31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회절 구조 (RF) 가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해야 할 얼굴 화상은, 홍채의 나머지 부분과 중복된 캐치 라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회절 구조 (RF) 가 형성된 주면은, 이 캐치 라이트에 대응한 제 4 영역 (RR4) 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회절 구조 (RF) 는, 제 4 영역 (RR4) 의 위치에 제 4 부분 (PT4) 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제 4 부분 (PT4) 은, 복수의 제 2 부분 (PT2) 의 이웃한 2 이상에 걸치도록 펼쳐져 있다. 여기서는, 제 4 영역 (RR4) 및 제 4 부분 (PT4) 의 각각은, 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여기서는, 제 4 부분 (PT4) 의 최대 직경은, 제 1 부분 (PT1) 의 최대 직경 이상이다.
제 4 부분 (PT4)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일정하다. 일례에 의하면, 회절 구조 (RF) 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은, 복수의 제 2 부분 (PT2) 과 제 4 부분 (PT4) 에서 서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 (PT2) 및 제 4 부분 (PT4) 의 각각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이 X 방향에 평행이다.
또, 일례에 의하면, 제 4 부분 (PT4) 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홈 또는 능선의 피치가 일정하다. 단, 회절 구조 (RF) 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복수의 제 2 부분 (PT2) 과 제 4 부분 (PT4) 에서 서로 상이하다.
도 32 는, 도 31 에 나타내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2 에는, 인간 이외의 동물의 얼굴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경우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2 에 나타내는 구조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3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와 대략 동일하다. 즉, 도 31 에 나타내는 구조가 표시하는 회절 화상에서는, 홍채의 일부가 상안검에 의해 가려져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2 에 나타내는 구조가 표시하는 회절 화상에서는, 홍채는, 상안검 및 하안검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가려져 있지 않다. 또, 도 32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제 2 부분 (PT2) 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31 또는 도 32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24 내지 도 27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31 및 도 32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에서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상기 주면은, 캐치 라이트에 대응한 제 4 영역 (RR4) 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또, 회절 구조 (RF) 는, 제 4 영역 (RR4) 의 위치에 제 4 부분 (PT4) 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 4 부분 (PT4) 은, 복수의 제 2 부분 (PT2) 의 이웃한 2 이상에 걸치도록 펼쳐져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눈은, 관찰자에게 보다 강한 인상을 준다. 그러므로,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보다 생생하게 보인다.
또, 도 31 및 도 32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에서는, 회절 구조 (RF) 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복수의 제 2 부분 (PT2) 과 제 4 부분 (PT4) 에서 서로 상이하다. 이 구조는, 예를 들어, 회절 화상에 있어서, 제 2 영역 (RR2) 이 표시하는 색과 제 4 영역 (RR4) 이 표시하는 색을 상이하게 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도 31 및 도 32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에서는, 제 4 부분 (PT4) 의 최대 직경은, 제 1 부분 (PT1) 의 최대 직경 이상이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회절 화상에 있어서의 눈은, 관찰자에게 더욱 강한 인상을 준다. 그러므로,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얼굴 화상은 보다 생생하게 보인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회절 구조 (RF) 중 제 2 영역 (RR2) 에 위치한 부분에,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 대신에, 회절 구조 (RF) 중 제 2 영역 (RR2) 에 위치한 부분에,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제 3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 (1) 에서는, 반사층 (12) 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일방의 주면 중, 회절 구조 (RF) 가 형성된 부분과 회절 구조 (RF)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쌍방을 피복하고 있어도 되고, 회절 구조 (RF) 가 형성된 부분만을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후자의 구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33 은, 본 발명의 제 3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3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접착층 (13) 측의 주면, 즉,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과 접착층 (13) 의 계면 (IF) 에는, 제 1 릴리프 구조 (RRF1) 와 제 2 릴리프 구조 (RRF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는, 회절 구조 (RF) 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홈 또는 능선을 포함하고 있다. 즉,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는, 상기 서술한 회절 구조 (RF) 를 구성하고 있다.
제 2 릴리프 구조 (RRF2) 는, 계면 (IF) 중, 제 1 릴리프 구조 (RRF1)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 2 릴리프 구조 (RRF2) 는, 규칙적으로 또는 랜덤으로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이들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는, 이차원적으로 배열 또는 분포되어 있다.
제 2 릴리프 구조 (RRF2) 가 포함하고 있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깊이 또는 높이와 그들의 평균 중심간 거리와의 비는, 제 1 릴리프 구조 (RRF1) 가 포함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깊이 또는 높이와 그들의 평균 중심간 거리와의 비와 비교하여 보다 크다. 그리고, 계면 (IF) 중 제 2 릴리프 구조 (RRF2) 가 형성된 영역은, 계면 (IF) 중 제 1 릴리프 구조 (RRF1) 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외관상의 면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크다.
도 33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반사층 (12) 은,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및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중,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만을 피복하고 있다.
또, 도 33 에 나타내는 구조는, 반사층 (12) 을 피복한 반사 보호층 (17) 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반사 보호층 (17) 은, 반사층 (12) 과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표시체 (1) 는,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원판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34 는, 도 33 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제조에 이용 가능한 원판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4 에 나타내는 원판 (5) 은, 그 표면에, 제 3 릴리프 구조 (RRF3) 와 제 4 릴리프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제 3 릴리프 구조 (RRF3) 및 제 4 릴리프 구조 (RRF4) 는, 각각,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및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에 대응하고 있다.
즉, 제 3 릴리프 구조 (RRF3) 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능선 또는 홈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능선 또는 홈은,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에, 즉,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 (RF) 의 홈 또는 능선에 대응하고 있다.
제 4 릴리프 구조 (RRF4) 는, 제 3 릴리프 구조 (RRF3) 와 인접해 있다. 제 4 릴리프 구조 (RRF4) 는, 규칙적으로 또는 랜덤으로 배치된 복수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이들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이차원적으로 배열 또는 분포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제 2 릴리프 구조 (RRF2) 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에 대응하고 있다.
제 4 릴리프 구조 (RRF4) 가 포함하고 있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높이 또는 깊이와 그들의 평균 중심간 거리와의 비는, 제 3 릴리프 구조 (RRF3) 가 포함하고 있는 능선 또는 홈의 높이 또는 깊이와 그들의 평균 중심간 거리와의 비와 비교하여 보다 크다. 그리고, 제 4 릴리프 구조 (RRF4) 가 형성된 영역은, 제 3 릴리프 구조 (RRF3) 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외관상의 면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크다.
이 원판 (5) 을 사용하면, 도 3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를,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열 가소성 수지층에, 원판 (5) 의 제 3 릴리프 구조 (RRF3) 및 제 4 릴리프 구조 (RRF4) 가 형성된 면을, 열을 인가하면서 눌러 대고, 그 후, 열 가소성 수지층으로부터 원판 (5) 을 제거한다. 혹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형성하고, 이것에 원판 (5) 을 눌러 대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그 후, 도막으로부터 원판 (5) 을 제거한다. 혹은,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형성하고, 이것에 원판 (5) 을 눌러 대면서 가열하여 열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그 후, 도막으로부터 원판 (5) 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일방의 주면에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및 제 2 릴리프 구조 (RRF2) 가 형성된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을 얻는다.
다음으로,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상기 주면에, 예를 들어 기상 퇴적법에 의해, 반사층 (12) 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층을 형성한다. 제 1 층은, 예를 들어, 그것이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및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의 전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 1 층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상기 주면의 전체에 형성한다.
이어서, 제 1 층 상에, 예를 들어 기상 퇴적법에 의해, 반사 보호층 (17) 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층을 형성한다. 제 2 층의 재료로는, 제 1 층을 에칭하기 위한 에칭제에 대하여 높은 내에칭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선정한다.
제 2 층은, 예를 들어, 그것이 제 1 층을 사이에 두고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및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의 전체와 마주보도록 형성한다. 또, 제 2 층을 형성하기 위한 퇴적에 있어서는, 제 2 층이 제 1 릴리프 구조 (RRF1) 의 위치에 개구를 포함하지 않고,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의 위치에 개구를 갖도록, 단위 면적에 퇴적하는 재료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제 2 릴리프 구조 (RRF2) 가 포함하고 있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깊이 또는 높이와 그들의 평균 중심간 거리와의 비는, 제 1 릴리프 구조 (RRF1) 가 포함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깊이 또는 높이와 그들의 평균 중심간 거리와의 비와 비교하여 보다 크다. 그리고, 계면 (IF) 중 제 2 릴리프 구조 (RRF2) 가 형성된 영역은, 계면 (IF) 중 제 1 릴리프 구조 (RRF1) 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외관상의 면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크다. 그러므로, 단위 면적에 퇴적하는 재료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면, 제 1 릴리프 구조 (RRF1) 에 대응한 부분이 연속막이고,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에 대응한 부분이, 제 2 릴리프 구조 (RRF2) 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측벽의 위치에서 개구된 제 2 층을 얻을 수 있다.
그 후, 제 2 층에 대하여 상기의 에칭제를 공급하여, 제 1 층의 일부를 에칭한다. 예를 들어, 제 1 층의 일부를 웨트 에칭한다.
상기와 같이, 제 2 층은,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의 위치에 개구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의 위치에서는, 에칭제는, 이들 개구를 개재하여 제 1 층에 도달한다. 그 결과, 제 1 층 중, 제 2 릴리프 구조 (RRF2) 를 덮고 있는 부분은 제거된다. 그리고, 이것에 수반하여, 제 2 층 중,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상에 위치한 부분도 제거된다.
한편, 제 2 층은, 제 1 릴리프 구조 (RRF1) 의 위치에 개구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제 1 릴리프 구조 (RRF1) 의 위치에서는, 에칭제는, 제 1 층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층 및 제 2 층 중, 제 1 릴리프 구조 (RRF1) 상에 위치한 부분은 잔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반사층 (12) 및 반사 보호층 (17) 을, 각각, 제 1 층 및 제 2 층의 잔류부로서 얻는다. 또한, 반사 보호층 (17) 은, 제거해도 된다.
도 35 는, 본 발명의 제 3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5 에 나타내는 구조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3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즉, 도 35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제 2 릴리프 구조 (RRF2) 는, 제 1 릴리프 구조 (RRF1) 와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릴리프 구조 (RRF2) 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홈 또는 능선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릴리프 구조 (RRF2) 가 포함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깊이 또는 높이와 그들의 평균 중심간 거리와의 비는, 제 1 릴리프 구조 (RRF1) 가 포함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깊이 또는 높이와 그들의 평균 중심간 거리와의 비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계면 (IF) 중 제 2 릴리프 구조 (RRF2) 가 형성된 영역은, 계면 (IF) 중 제 1 릴리프 구조 (RRF1) 가 형성된 영역과, 외관상의 면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다.
회절 구조 (RF) 는, 계면 (IF) 중, 반사층 (12) 에 의해 덮여 있으며 또한 회절광을 사출 가능한 부분이다. 여기서는, 회절 구조 (RF) 는, 계면 (IF) 에 형성된 릴리프 구조 중 반사층 (12) 에 의해 덮인 부분, 즉, 제 1 릴리프 구조이다.
도 35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구조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먼저, 열 가소성 수지층에, 도시되지 않은 원판의 릴리프 구조가 형성된 면을, 열을 인가하면서 눌러 대고, 그 후, 열 가소성 수지층으로부터 원판을 제거한다. 혹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형성하고, 이것에 원판을 눌러 대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그 후, 도막으로부터 원판을 제거한다. 혹은,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형성하고, 이것에 원판을 눌러 대면서 가열하여 열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그 후, 도막으로부터 원판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일방의 주면에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및 제 2 릴리프 구조 (RRF2) 가 형성된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을 얻는다.
다음으로,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상기 주면에, 예를 들어 기상 퇴적법에 의해, 반사층 (12) 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층을 형성한다. 제 1 층은, 예를 들어, 그것이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및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의 전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 1 층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의 상기 주면의 전체에 형성한다.
이어서, 제 1 층 상에, 반사 보호층 (17) 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층을 형성한다. 제 2 층은, 예를 들어, 그것이 제 1 층을 사이에 두고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및 제 2 릴리프 구조 (RRF2) 의 전체와 마주보도록 형성한다.
제 2 층으로서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이 포토레지스트층의 패턴 노광 및 현상을 실시한다. 이로써, 반사 보호층 (17) 으로서 레지스트 패턴을 얻는다.
제 2 층으로서 다른 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 2 층 상에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제 2 층을 에칭한다. 이로써, 반사 보호층 (17) 으로서, 패터닝된 제 2 층을 얻는다.
혹은, 제 2 층은, 인쇄 패턴으로서 형성한다. 예를 들어, 인쇄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 2 층을 인쇄에 의해 형성한다.
그 후, 반사 보호층 (17) 을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제 1 층을 에칭한다. 이로써, 반사층 (12) 으로서, 패터닝된 제 1 층을 얻는다.
또한, 도 33 및 도 35 에는, 계면 (IF) 에 제 2 릴리프 구조 (RRF2) 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냈지만, 계면 (IF) 에는, 제 2 릴리프 구조 (RRF2) 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계면 (IF) 중 제 1 릴리프 구조 (RRF1) 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은, 평탄면이어도 된다. 이 경우, 반사층 (12) 은, 제 1 릴리프 구조 (RRF1) 만을 피복하고 있어도 되고, 계면 (IF) 중 제 1 릴리프 구조 (RRF1) 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추가로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사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사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 에 나타내는 전사박 (2) 은, 지지체 (21) 와 전사재층과 접착층 (13) 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체 (21) 는, 전사재층을 박리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접착층 (13) 은, 전사재층을 피복하고 있다.
전사재층은,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과 반사층 (12) 과 보호층 (14) 을 포함하고 있다. 보호층 (14) 은, 여기서는 박리 보호층이다. 보호층 (14), 릴리프 구조 형성층 (11), 및 반사층 (12) 은, 이 순서로, 지지체 (21) 상에 적층되어 있다.
전사재층은, 서로 인접한 전사부 및 비전사부를 포함하고 있다. 전사부는, 전사재층 중, 물품에 전사되는 부분으로서, 상기의 표시체 (1) 를 포함하고 있다. 비전사부는, 전사재층 중, 물품에 전사되지 않고 잔류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라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라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7 에 나타내는 점착 라벨 (3) 은, 기재 (15) 와 표시체 (1) 와 점착층 (16) 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37 에 있어서, 또한, 참조 부호 31 은, 대지를 나타내고 있다.
기재 (15) 는, 예를 들어, 투명 수지 필름이다. 기재 (15) 는, 그 일방의 주면에, 표시체 (1) 를 지지하고 있다.
점착층 (16) 은, 표시체 (1) 의 일방의 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 (16) 은, 표시체 (1) 를 사이에 두고 기재 (15) 와 마주보고 있다. 점착층 (16) 은, 점착 라벨 (3) 의 사용 직전까지, 대지 (31) 에 의해 보호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라벨 부착 물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8 에 나타내는 라벨 부착 물품 (4) 은, 인쇄물이다. 라벨 부착 물품 (4) 으로는, 예를 들어, 상품권, 유가 증권, 지폐, ID (identification) 카드, 및 패스포트를 들 수 있다.
이 라벨 부착 물품 (4) 은, 표시체 (1) 와, 이것을 지지한 물품 (41) 과, 물품 (41) 상에 형성된 인쇄층 (42a 및 42b) 을 포함하고 있다.
물품 (41) 은, 예를 들어, 종이 등의 인쇄 기재이다. 인쇄 기재로는, 예를 들어, 종이 기재, 투명 수지 기재, 또는 불투명 수지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체 (1) 는, 예를 들어, 이 물품 (41) 의 표면에 첩부하거나 또는 이 물품 (41) 내에 매립됨으로써, 물품 (41)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일례에 의하면, 표시체 (1) 는, 점착 라벨 또는 전사박을 사용하여, 물품 (41) 에 첩부된다.
물품 (41) 이 투명한 경우에는, 표시체 (1) 는 물품 (41) 중에 매립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예를 들어, 복수의 투명 수지 기재 사이에 표시체 (1) 를 끼워 넣고, 이들 투명 수지 기재를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인쇄 기재로서 종이 기재나 불투명 수지 기재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물품 (41) 이 불투명한 경우에는, 상기의 구조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종이 기재 또는 불투명 수지 기재 사이에 표시체 (1) 를 끼워 넣고, 이것들을 일체화한다. 다음으로, 표시체 (1) 를 시인 가능하게 되도록, 그들 기재의 표시체 (1) 에 대응하는 1 이상의 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한다.
인쇄층 (42a) 은,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상기 화상의 기원이 되는 화상을 사용하여 작성된 인쇄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인쇄층 (42b) 은, 문자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인쇄층 (42a 및 42b) 의 일방 또는 양방을 생략해도 된다.
인쇄층 (42a) 이 표시하는 인쇄 화상과 표시체 (1) 가 표시하는 상기 화상이 대응하고 있는 경우, 인쇄 화상 및 표시체 (1) 중 어느 일방이 부정하게 교환되었거나 또는 고쳐 기록되었다 하더라도, 부정 행위가 이루어진 것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다.
<제 3 발명>
제 3 발명의 실시형태는, 제 1 발명의 실시형태와 제 2 발명의 실시형태의 조합이다. 그러한 조합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에 있어서, 그 회절 구조 중 회절 화상이 포함하는 얼굴 화상의 눈에 관련된 영역에, 제 3 내지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조 중 어느 것을 채용한 것을 포함한다. 더욱이, 이 조합은, 제 3 내지 제 5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관련된 표시체에 있어서, 그 회절 구조 중 회절 화상이 포함하는 얼굴 화상의 피부에 대응한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코, 볼, 이마, 관자놀이, 미간, 상검, 하검, 입, 및 턱의 1 이상에 대응한 위치에,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조 중 어느 것을 채용한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조합은, 그러한 표시체를 각각이 포함한, 전사박, 점착 라벨 및 라벨 부착 물품을 포함한다.
제 3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와, 제 2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의 쌍방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실시형태는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해도 되고, 그 경우, 조합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는 여러 가지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고,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건에 있어서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1 : 표시체, 2 : 전사박, 3 : 점착 라벨, 4 : 라벨 부착 물품, 5 : 원판, 11 : 릴리프 구조 형성층, 12 : 반사층, 13 : 접착층, 14 : 보호층, 15 : 기재, 16 : 점착층, 17 : 반사 보호층, 21 : 지지체, 31 : 대지, 41 : 물품, 42a : 인쇄층, 42b : 인쇄층, G1 : 홈 또는 능선, G2 : 홈 또는 능선, GP : 간극부, I1 : 화상, I2 : 화상, IF : 계면, IM : 원화상, LP1 : 제 1 선상부, LP2 : 제 2 선상부, LP3 : 제 3 선상부, LP4 : 제 4 선상부, LP5 : 제 5 선상부, LP6 : 제 6 선상부, LP7 : 제 7 선상부, LP8 : 제 8 선상부, LP9 : 제 9 선상부, LPa : 제 1 선상 영역, LPb : 제 2 선상 영역, LS : 광원, OB : 입체물, P1 : 제 1 패턴, P2 : 제 2 패턴, P3 : 제 3 패턴, P4 : 제 4 패턴, P5 : 제 5 패턴, PP1 : 제 1 부분, PP2 : 제 2 부분, PT1 : 제 1 부분, PT2 : 제 2 부분, PT2a : 제 2 부분, PT2b : 제 2 부분, PT2c : 제 2 부분, PT2d : 제 2 부분, PT3 : 제 3 부분, PT4 : 제 4 부분, PT5 : 제 5 부분, PT6 : 제 6 부분, PT12 : 부분, R1 : 제 1 영역, R2 : 제 2 영역, R3 : 제 3 영역, R4 : 제 4 영역, R5 : 제 5 영역, Ra : 영역, Rb : 영역, RF : 회절 구조, RF1 : 회절 구조, RF2 : 릴리프 구조, RR1 : 제 1 영역, RR2 : 제 2 영역, RR3 : 제 3 영역, RR4 : 제 4 영역, RRF1 : 제 1 릴리프 구조, RRF2 : 제 2 릴리프 구조, RRF3 : 제 3 릴리프 구조, RRF4 : 제 4 릴리프 구조, SR1 : 제 1 서브 영역, SR2 : 제 2 서브 영역, SR3 : 제 3 서브 영역.

Claims (56)

  1. 입체물의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가 일방의 주면에 형성된 릴리프 구조 형성층과,
    상기 주면 중 상기 회절 구조가 형성된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은 반사층
    을 구비하고,
    상기 영역은, 제 1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 중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교차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함께 제 1 격자를 형성한 복수의 제 2 선상부와, 상기 제 1 격자의 복수의 간극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제 1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선상부의 각각은 실선상인 제 1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회절 구조 중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제 3 선상부 및 복수의 제 4 선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의 각각은 파선상이고, 상기 복수의 제 4 선상부의 각각은 파선상 또는 점선상인 제 2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표시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인접해 있는, 표시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의 1 이상은,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의 1 이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표시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2 패턴의 면적의 비율은,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1 패턴의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표시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중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상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 패턴만을 피복하고 있는, 표시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선상부는, 폭이 10 ㎛ 내지 100 ㎛ 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 부분은, 폭 또는 직경이 10 ㎛ 내지 100 ㎛ 의 범위 내에 있는, 표시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선상부의 1 이상은,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선상부의 2 이상은, 폭이 서로 상이한, 표시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선상부의 1 이상은, 그 선상부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은,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회절광에 의해 그것들을 서로로부터 구별 가능하게 구성된, 표시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구조는, 상기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선상부의 1 이상은, 파장이 상이한 회절광을 사출하고, 그들 회절광의 가법 혼색에 의한 색 표현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표시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선상부 중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것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은, 이들 서브 영역을 포함한 상기 선상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표시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선상부 중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것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은, 이들 서브 영역을 포함한 상기 선상부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표시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선상부 중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것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은, 이들 서브 영역을 포함한 상기 선상부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표시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구조가 형성된 상기 영역은, 제 3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 중 상기 제 3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5 선상부와, 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제 5 선상부와 교차하여, 상기 복수의 제 5 선상부와 함께 제 2 격자를 형성한 복수의 제 6 선상부와, 상기 제 2 격자의 복수의 간극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5 선상부의 각각은 실선상 또는 파선상이고, 상기 복수의 제 6 선상부의 각각은 파선상 또는 점선상인 제 3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표시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3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는, 표시체.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의 1 이상과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의 1 이상은, 상기 복수의 제 5 선상부의 1 이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표시체.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1 패턴의 면적의 비율은, 상기 제 3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3 패턴의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크고,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2 패턴의 면적의 비율은, 상기 제 3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제 3 패턴의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표시체.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중 상기 제 1 내지 제 3 영역 상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만을 피복하고 있는, 표시체.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6 선상부는, 폭이 10 ㎛ 내지 100 ㎛ 의 범위 내에 있는, 표시체.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6 선상부의 1 이상은,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6 선상부의 2 이상은, 폭이 서로 상이한, 표시체.
  21. 제 14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6 선상부의 1 이상은, 그 선상부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선상 영역은,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회절광에 의해 그것들을 서로로부터 구별 가능하게 구성된, 표시체.
  22. 제 14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구조는, 상기 회절 화상으로서 다색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6 선상부의 1 이상은, 파장이 상이한 회절광을 사출하고, 그들 회절광의 가법 혼색에 의한 색 표현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표시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6 선상부 중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것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은, 이들 서브 영역을 포함한 상기 선상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표시체.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6 선상부 중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것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은, 이들 서브 영역을 포함한 상기 선상부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표시체.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6 선상부 중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 것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은, 이들 서브 영역을 포함한 상기 선상부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표시체.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부분은,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복수의 제 2 선상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각각이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파선 또는 점선을 형성하고 있는, 표시체.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4 선상부의 1 이상은 점선상이고, 상기 점선을 구성하고 있는 점의 1 이상과 다른 1 이상은 형상이 상이한, 표시체.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4 선상부는, 단위 길이에서 차지하는 간극의 비율이 상이한, 표시체.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물의 화상은, 인물, 동물, 식물, 건조물, 및 풍경의 화상의 1 이상을 포함한, 표시체.
  31.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물의 화상은 인물의 초상을 포함한, 표시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는, 상기 인물의 코 또는 눈으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각각이 연장된 복수의 선 상에 위치하도록, 및, 상기 복수의 제 3 선상부가 상기 복수의 제 1 선상부와 상기 인물의 코 또는 눈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표시체.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관련된 표시체를 포함한 전사재층과,
    상기 전사재층을 박리 가능하게 지지한 지지체
    를 구비한, 전사박.
  34.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관련된 표시체와,
    상기 표시체의 일방의 주면에 형성된 점착층
    을 구비한, 점착 라벨.
  35.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관련된 표시체와,
    상기 표시체를 지지한 물품
    을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상에 형성된 인쇄층을 추가로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입체물의 상기 화상을 인쇄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라벨 부착 물품.
  38. 눈을 포함하는 얼굴 화상을 회절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릴리프형의 회절 구조가 일방의 주면에 형성된 릴리프 구조 형성층을 구비하고,
    상기 주면은, 상기 눈의 동공에 대응한 제 1 영역과, 상기 눈의 홍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한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는, 상기 제 1 영역의 위치에 제 1 부분을 포함함과 함께, 상기 제 2 영역의 위치에,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제 2 부분을 포함한, 표시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방추 형상을 가지고 있는, 표시체.
  40.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에서 서로 동일한, 표시체.
  41. 제 38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에서 서로 동일한, 표시체.
  42. 제 38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상기 제 2 영역의 내주 (內周) 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의 외주 (外周) 로 향하여 감소 또는 증가하고 있는, 표시체.
  43. 제 38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은, 상기 눈의 강막에 대응한 제 3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는, 상기 제 3 영역의 위치에,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제 3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합계 면적의 비율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표시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의 폭은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폭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표시체.
  45.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은 실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은 파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심원상의 배열을 형성하고 있는, 표시체.
  46. 제 43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3 부분에서 서로 동일한, 표시체.
  47. 제 38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홍채의 일부에 대응하고,
    상기 얼굴 화상은, 상기 홍채의 나머지 부분과 중복된 캐치 라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주면은, 상기 캐치 라이트에 대응한 제 4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절 구조는, 상기 제 4 영역의 위치에 제 4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의 이웃한 2 이상에 걸치도록 펼쳐져 있는, 표시체.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길이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과 상기 제 4 부분에서 서로 동일한, 표시체.
  49. 제 47 항 또는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홈 또는 능선의 피치는, 상기 복수의 제 2 부분과 상기 제 4 부분에서 서로 상이한, 표시체.
  50. 제 38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은 반사층을 추가로 구비한, 표시체.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상기 주면 중, 상기 회절 구조가 형성된 영역을 덮고, 이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덮고 있지 않은, 표시체.
  52. 제 38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관련된 표시체를 포함한 전사재층과,
    상기 전사재층을 박리 가능하게 지지한 지지체
    를 구비한, 전사박.
  53. 제 38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관련된 표시체와,
    상기 표시체의 일방의 주면에 형성된 점착층
    을 구비한, 점착 라벨.
  54. 제 38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관련된 표시체와,
    상기 표시체를 지지한 물품
    을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 형성된 인쇄층을 추가로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얼굴 화상을 인쇄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라벨 부착 물품.
KR1020217004956A 2018-09-10 2019-07-18 표시체, 전사박, 점착 라벨 및 라벨 부착 물품 KR202100597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68560 2018-09-10
JP2018168560 2018-09-10
JP2018231663 2018-12-11
JPJP-P-2018-231663 2018-12-11
PCT/JP2019/028344 WO2020054216A1 (ja) 2018-09-10 2019-07-18 表示体、転写箔、粘着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701A true KR20210059701A (ko) 2021-05-25

Family

ID=6977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956A KR20210059701A (ko) 2018-09-10 2019-07-18 표시체, 전사박, 점착 라벨 및 라벨 부착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91317A1 (ko)
EP (1) EP3851883A4 (ko)
JP (1) JP7338630B2 (ko)
KR (1) KR20210059701A (ko)
WO (1) WO2020054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8137B2 (ja) 2020-05-19 2024-04-16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8746A (ja) 2012-07-02 2014-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個人情報表示体
JP2014016418A (ja) 2012-07-06 2014-01-30 Dainippon Printing Co Ltd 個人情報表示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9784D0 (en) * 1990-09-10 1990-10-24 Amblehurst Ltd Security device
US5784200A (en) * 1993-05-27 1998-07-21 Dai Nippon Printing Co., Ltd. Difraction grating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the same
WO1995002200A1 (en) * 1993-07-09 1995-01-19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Multiple image diffractive device
DE10044403A1 (de) * 2000-09-08 2002-03-21 Giesecke & Devrient Gmbh Datenträger mit Stichtiefdruckbild und Verfahren zur Umsetzung von Bildmotiven in Linienstrukturen sowie in eine Stichtiefdruckplatte
DE10351129B4 (de) * 2003-11-03 2008-12-24 Ovd Kinegram Ag Diffraktives Sicherheitselement mit einem Halbtonbild
EP2119527A1 (en) * 2008-05-16 2009-11-18 Kba-Giori S.A.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intaglio printing plates for the production of security papers
JP5434144B2 (ja) * 2009-03-03 2014-03-05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2123102A (ja) 2010-12-07 2012-06-28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8746A (ja) 2012-07-02 2014-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個人情報表示体
JP2014016418A (ja) 2012-07-06 2014-01-30 Dainippon Printing Co Ltd 個人情報表示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1883A4 (en) 2022-03-30
JPWO2020054216A1 (ja) 2021-08-30
WO2020054216A1 (ja) 2020-03-19
JP7338630B2 (ja) 2023-09-05
EP3851883A1 (en) 2021-07-21
US20210191317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9726B2 (en) Optically variable areal pattern
ES2576679T3 (es) Elemento de seguridad holográfico y método para su producción
JP5434144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WO2011018982A1 (ja) 画像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266770B2 (ja) レリーフ構造形成層からなる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741125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US11511558B2 (en) Optical element, transfer foil, authentication medium, and method of verifying authentication medium
JP5515244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2123102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4191337A (ja) 画像表示体および物品
JPWO2017068769A1 (ja) 表示体、および表示体付き物品、ならびに表示体の観察方法
JP2023160830A (ja) 光学素子、転写箔、および、認証体
JP2015068849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KR20210059701A (ko) 표시체, 전사박, 점착 라벨 및 라벨 부착 물품
JP6977252B2 (ja) 表示体及び物品
JP2009198549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6379547B2 (ja) 画像表示体および情報媒体
JP2009037112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WO2018003989A1 (ja) 表示体、および表示体を備えた物品
JP5949079B2 (ja) 画像表示体および物品
EP3647834B1 (en) Optical structure
RU2811489C1 (ru) Защищенный документ с персонализированным изображением, выполненным при помощи металлической голограмм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16212439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994899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9207319A (ja) 光学素子、発色シート、および、偽造防止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