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076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076A
KR20210059076A KR1020190145117A KR20190145117A KR20210059076A KR 20210059076 A KR20210059076 A KR 20210059076A KR 1020190145117 A KR1020190145117 A KR 1020190145117A KR 20190145117 A KR20190145117 A KR 20190145117A KR 20210059076 A KR20210059076 A KR 2021005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isplay device
substrate
cover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인
이동현
이현아
김병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9076A/ko
Priority to US17/095,806 priority patent/US11227540B2/en
Publication of KR2021005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6Cell terminal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및 신호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배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커버부, 그리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낸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각 화소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화소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데이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화소와 연결되어 있는 신호선 또는 다양한 전압선은 구동 회로부로부터 구동 신호 또는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구동 회로부는 구동 회로칩 또는 인쇄 회로 기판 형태로 표시 패널에 장착되어 표시 패널과 연결될 수 있다.
본 기재는 표시 장치의 데드 스페이스의 면적을 줄이고 표시 영역의 표시 소자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및 신호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배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커버부, 그리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낸다.
상기 커버부는 필름 형태 또는 패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복수의 층 및 상기 복수의 층 사이에 위치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층은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층은 구리 및 그라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커버부의 가장 바깥에 위치하며 엠보싱된 바깥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구멍 형태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구동 회로 칩 형태이고 상기 개구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구멍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며 이웃한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구동 회로 칩 형태이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기판의 한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 사이에는 상기 커버부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배선과 이격된 제2배선, 그리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낼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구멍 형태의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개구 안에서 상기 제2배선의 일부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구멍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배선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며 이웃한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커버부와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선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및 신호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배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커버부, 그리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낸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구멍 형태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구멍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며 이웃한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및 신호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배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커버부, 그리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구리 및 그라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데드 스페이스의 면적을 줄이고 표시 영역의 표시 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의 일면 상의 구조에 대한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의 타면 상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한 공정에서의 표시 장치의 기판의 타면 상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도 6에 도시한 공정 다음 단계에서의 표시 장치의 기판의 타면 상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도 7에 도시한 공정 다음 단계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도 8에 도시한 공정 다음 단계를 도시하고,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의 타면 상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 뷰(in a plan view)는 서로 교차하는 두 방향(예를 들어, 제1방향(DR1) 및 제2방향(DR2))에 평행한 면을 관찰하는 뷰를 의미하고(평면상이라고도 표현함), 단면 뷰(in a cross-sectional view)는 제1방향(DR1) 및 제2방향(DR2)에 평행한 면에 수직인 방향(예를 들어, 제3방향(DR3))으로 자른 면을 관찰하는 뷰를 의미한다. 또한, 두 구성 요소가 중첩한다고 할 때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두 구성 요소가 제3방향(DR3)으로(예를 들어, 기판의 윗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하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의 일면 상의 구조에 대한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의 타면 상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부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영역(display area)(DA), 그리고 표시 영역(DA)의 바깥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peripheral area)(PA)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을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일면인 제1면(10), 그리고 타면인 제2면(20)을 가지는 기판(110)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입력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복수의 화소(PX), 복수의 게이트선(121) 및 복수의 데이터선(171)을 포함한다.
화소(PX)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본 단위로서, 각 화소(PX)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Q)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및 영상의 빛이 표시되는 표시부(E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ER)에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전극은 트랜지스터(Q)와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전기 소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부(ER)는 예를 들어 화소 전극, 공통 전극, 그리고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등의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예를 들어 행렬 형태로 배열되는 등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색을 나타내기 위해서 각 화소(PX)는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고, 이들 기본색의 공간적,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의 영상이 인식될 수 있다. 기본색은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삼원색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백색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게이트선(121)은 게이트 온 전압과 게이트 오프 전압을 포함하는 게이트 신호를 화소(PX)의 트랜지스터(Q)의 게이트 단자에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선(121)은 대체로 제2방향(DR2)에 나란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고, 각 게이트선(121)은 대체로 제1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선(171)은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을 화소(PX)의 트랜지스터(Q)의 소스 단자에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선(171)은 대체로 제1방향(DR1)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고, 각 데이터선(171)은 대체로 제2방향(DR2)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화소(PX)의 트랜지스터(Q)는 게이트선(121)의 게이트 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데이터선(171)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화소 전압이 화소 전극에 인가되어 이에 따라 각 화소(PX)의 표시부(ER)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PX), 게이트선(121) 및 데이터선(171)은 기판(110)의 제1면(10) 상에 위치하는 층(120)에 위치할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대부분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고, 표시 영역(DA)의 주위에 인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주변 영역(PA)을 데드 스페이스라 한다.
주변 영역(PA)에는 전압선, 구동 신호선, 회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은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구동부(400a, 400b) 및 전압선(172)을 예로서 도시한다.
도 1은 구동부(400a, 400b)는 표시 영역(DA)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한다. 구동부(400a, 400b)는 게이트선(121)과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00a, 400b)의 게이트 구동 회로는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화소(PX)의 트랜지스터(Q)와 함께 기판(110)의 제1면(10) 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어느 한 구동부(400a, 400b)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전압선(172)은 표시 영역(DA)의 주위를 따라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선(172)은 기판(110)의 제1면(10) 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기판(110)의 한 가장자리(110E)와 표시 영역(DA) 사이에 위치하는 관통부(THA)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의 가장자리(110E)는 대략 제1방향(DR1)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가장자리일 수 있다.
데이터선(171), 전압선(172), 구동부(400a, 400b)와 연결된 구동 신호선 등은 관통부(THA)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배선(130)을 포함하거나 배선(13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데이터선(171), 전압선(172), 구동부(400a, 400b)와 연결된 구동 신호선 등은 전기적으로 관통부(THA)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배선(130)은 주변 영역(PA)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10)의 제1면(10) 상에서 배선(130)은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데이터선(171), 표시 영역(DA)의 좌우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전압선(172) 및 그 밖의 구동 신호선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10)은 관통부(THA)에서 제3방향(DR3)으로 기판(110)을 관통하는 개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개구(115)는 관통부(THA)에 위치할 수 있다.
개구(115) 안에는 도전성인 연결부(180)가 위치할 수 있다. 기판(110)의 제1면(10) 상에 위치하는 배선(130)은 연결부(180)와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110)의 제2면(20) 상에는 연결부(180)와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선(140)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130)은 연결부(180)를 통해 배선(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부(180)는 배선(130) 또는 배선(140)과 다른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동일한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부(180)가 배선(130) 또는 배선(140)과 동일한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연결부(180)는 배선(130) 또는 배선(140)이 형성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한 연결부(180)와 배선(130) 또는 배선(140) 사이의 경계선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10)의 제2면(20) 상에 배선(150)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배선(150)은 배선(140)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배선(150)의 일부는 배선(140)과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배선(150)은 배선(14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선(150)이 배선(140)과 동일한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배선(150)은 배선(140)이 형성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배선(140)과 배선(150) 상에는(도면에서는 배선(140)과 배선(150)의 아래쪽을 의미하며 이후 동일함) 커버부(cover portion)(200)가 위치한다. 커버부(200)는 방열 및 내충격 특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또는 층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 또는 패널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는 복수의 층(201~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층(201~210)은 적어도 하나의 방열층 및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201)은 구리(Cu) 등의 열 전달율이 좋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고, 층(203)은 그라파이트(graphite)를 포함할 수 있고, 층(205) 및 층(207)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고, 층(209)은 쿠션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층(205)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고, 층(207)은 PET를 포함할 수 있다. 층(207)은 블랙이 인쇄된 PET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재를 포함하는 층(209)은 예를 들어 스펀지, 발포우레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이들 층(201, 203, 205, 207, 209)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 층(201, 203, 205, 207, 209)은 생략될 수도 있고 재료가 다양하게 바뀔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층(201, 203, 205, 207, 209) 중 적어도 두 개는 해당 층들의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층(201, 203, 205, 207, 209) 사이에 위치하는 층(202, 204, 206, 208, 210)은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202, 204, 206, 208, 210)은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층(202, 204, 206, 208, 210)은 점착층이라 한다.
커버부(200)에서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층(210)은 바깥면이 울퉁불퉁한 엠보싱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커버부(200)의 여러 층 중에서 층(210)이 도 3에 도시한 기판(110)에 가장 가까운 층일 수 있다. 즉, 커버부(200)는 층(210)을 통해 기판(110)의 제2면(2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200)는 배선(140) 및 배선(150)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개구(250)를 가진다. 한 표시 장치(1000)의 커버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개구(250)를 가질 수도 있고 복수의 개구(250)를 가질 수도 있다. 개구(250)는 커버부(200)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즉, 개구(250)는 커버부(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멍 형태일 수 있다.
커버부(200)의 개구(250)는 배선(140, 150)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낼 수 있다. 즉, 커버부(200)는 배선(140, 15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140)의 일단(145) 및 배선(150)을 드러낼 수 있다.
개구(250)의 평면 형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일 수도 있고 이와 다른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개구(250)를 제외한 커버부(200)의 외측 가장자리는 기판(110)의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250) 영역을 포함한 커버부(200)의 전체 면적은 기판(110)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개구(250)에 의해 드러난 배선(140)의 일단(145) 상에는 구동부(500)가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부(500)는 예를 들어 구동 회로칩(driving circuit chip) 형태일 수 있고, 표시 패널(100)의 복수의 데이터선(171)에 인가될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배선(150)의 일단(155)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500)는 배선(150)의 일단(155) 상에도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면 뷰에서 커버부(200)의 개구(250)의 크기는 구동부(50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개구(250)에 의해 드러난 배선(150)의 타단(156) 상에는 구동부(600)가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부(600)는 예를 들어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또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형태일 수 있고, 다양한 구동 전압, 구동 신호, 제어 신호 등을 생성하여 구동부(500) 및 표시 패널(1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배면 뷰에서 구동부(600)는 커버부(200)의 개구(250)와 중첩하는 부분 및 개구(250)를 제외한 커버부(200)와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표시 패널(100)의 기판(110)의 제2면(20)에서, 구동부(500, 600)가 배선(140, 150)의 일부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2면(20) 위를 덮고 있을 수 있다. 즉, 커버부(200)는 복수의 트랜지스터가 위치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의 좌우 주변 영역(PA)의 대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기판(110)의 배면인 제2면(20) 상에 부착된 구동부(500, 600)는, 배선(140, 150), 기판(110)을 관통하는 연결부(180), 그리고 기판(110)의 제1면(10) 상에 위치하는 배선(130)을 차례대로 통해 표시 영역(DA)의 데이터선(171), 전압선(172), 구동부(400a, 400b), 다른 여러 구동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신호 및 구동 전압 등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 칩, 가요성 인쇄 회로막 등의 구동부(500, 600)를 화소(PX)가 형성된 기판(110)의 제1면(10) 상의 주변 영역(PA)에 부착하지 않고 기판(110)의 배면인 제2면(20) 상에 부착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구동 회로 칩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 등의 구동부를 부착하기 위한 표시 패널(100)의 기판(110)의 제1면(10) 상의 주변 영역(PA)의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데드 스페이스의 면적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기판(110)의 제2면(20) 상에 구동부(500, 600)가 위치하는 경우 구동부(500, 600)와 배선(140, 150)이 서로 부착된 부분이 표시 영역(DA) 또는 구동부(400a, 400b) 등의 구동 회로와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의 제조 공정에서, 기판(110)의 제2면(20) 상에 구동부(500, 600)를 장착할 때 가열 압착이 진행될 수 있고, 이러한 가열 압착시 발생한 열이 표시 영역(DA)의 화소(PX) 또는 구동부(400a, 400b) 등의 구동 회로로 전달되어 복수의 트랜지스터(Q), 표시 소자, 게이트 구동 회로 등의 전기 소자가 열로 인해 열화되고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10)의 제2면(20) 상에서 커버부(200)가 구동부(500, 600)가 부착되는 영역을 제외한 기판(110)의 제2면(20)의 대부분을 덮고 있고,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의 좌우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200)에 의해 기판(110)의 배면인 제2면(20) 상에서 구동부(500, 600)의 가열 압착시 발생하는 열이 커버부(200)를 통해 방출될 수 있으므로 화소(PX) 또는 구동부(400a, 400b) 등의 여러 전기 소자가 열에 의해 열화되고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표시 장치와 대부분 동일하나, 구동부(600)가 배선(150)의 일부(157)와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구동부(600)가 개구(250)를 제외한 커버부(20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구동부(600)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 또는 구동 회로 칩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선(150)은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배선(140) 상에 구동 회로 칩 형태의 구동부(500)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 형태의 구동부(600) 중 하나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한 공정에서의 표시 장치의 기판의 타면 상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도 6에 도시한 공정 다음 단계에서의 표시 장치의 기판의 타면 상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도 7에 도시한 공정 다음 단계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도 8에 도시한 공정 다음 단계를 도시한다.
먼저 도 1과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10)의 전면인 제1면(10) 상에 복수의 화소(PX), 구동부(400a, 400b), 여러 전압선 및 신호선 등을 형성한 후, 기판(110)의 배면인 제2면(20) 상에 배선(140, 150)을 형성한다. 배선(140)은 일단(145)을 포함하고, 배선(150)은 일단(155) 및 타단(156)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14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110)의 관통부(THA)를 통해 제1면(10) 상의 여러 전압선 및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기판(110)의 제2면(20) 상에 개구(250)를 가지는 커버부(200)를 부착한다. 이때 개구(250)를 통해 배선(140)의 일단(145) 및 배선(150)의 일단(155)과 타단(156)이 드러날 수 있다. 배선(15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커버부(200)의 개구(250)에 의해 드러난 배선(140, 150)의 일단(145, 155) 상에 구동부(500)를 정렬하고 압착 장치(300)를 이용해 압착하여 구동부(500)를 기판(110)의 제2면(20) 상에 장착한다. 이때 가열 압착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커버부(200)의 개구(250)에 의해 드러난 배선(150)의 타단(156) 또는 일부 상에 구동부(600)를 정렬하고 압착 장치(300)를 이용해 압착하여 구동부(600)를 기판(110)의 제2면(20) 상에 장착한다. 이때 가열 압착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열 압착 공정이 이루어질 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부(200)에 의해 기판(110)의 배면인 제2면(20) 상에서 구동부(500, 600)의 가열 압착시 발생하는 열이 커버부(200)를 통해 방출되므로 표시 장치의 화소(PX)의 표시 소자 또는 구동부(400a, 400b) 등의 구동 회로의 전기 소자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도 10 및 도 11을 각각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의 타면 상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표시 장치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0a)이 포함하는 배선(140a) 및 배선(150a)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배선(140) 및 배선(150)과 대부분 동일하나 기판(110)의 가장자리(110E)에 더 가까이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a)는 앞에서 설명한 커버부(200)와 대부분 동일하나 배선(140a) 및 배선(150a)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며, 배선(140a) 및 배선(150a)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며 이웃한 가장자리(200E)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a)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개구는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a)는 구멍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커버부(200a)로 덮이지 않고 드러난 배선(140a, 150a)의 일단(145a, 155a) 상에는 구동부(500)가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커버부(200a)로 덮이지 않고 드러난 배선(150a)의 타단(156a) 상에는 구동부(600)가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0에서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구동부(500)가 투명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배면 뷰에서 구동부(500)와 기판(110)의 가장자리(110E) 사이에는 커버부(200a)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커버부(200)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a)의 가장자리(200E)는 기판(110)의 마주하는 가장자리(110E)와 정렬되거나 일치하지 않고 나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200a)의 면적은 기판(11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효과 외에도 커버부(200a)에 별도의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구동부(500, 600)와 배선(140a, 150a) 간 부착되는 부분이 기판(110)의 가장자리(110E)에 좀더 인접해 위치하므로 표시 영역(DA) 및 구동부(400a, 400b) 등의 구동 회로와 좀더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기판(110)의 제2면(20) 상에 구동부(500, 600)를 장착할 때 가열 압착시 발생한 열이 표시 영역(DA)의 화소(PX)의 표시 소자 또는 구동부(400a, 400b) 등의 구동 회로로 전달될 위험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0에 도시한 표시 장치와 대부분 동일하나 배선(150) 및 구동부(600)가 생략된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효과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10: 기판
115, 250: 개구
121: 게이트선
130, 140, 150: 배선
171: 데이터선
172: 전압선
180: 연결부
200: 커버부
400a, 400b, 500, 600: 구동부
THA: 관통부

Claims (20)

  1. 서로 마주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및 신호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배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커버부, 그리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커버부는 필름 형태 또는 패널 형태인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커버부는 복수의 층 및 상기 복수의 층 사이에 위치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층은 방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방열층은 구리 및 그라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커버부의 가장 바깥에 위치하며 엠보싱된 바깥면을 가지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구멍 형태의 개구를 가지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구동 회로 칩 형태이고 상기 개구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표시 장치.
  9. 제6항에서,
    상기 커버부는 구멍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며 이웃한 가장자리를 가지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구동 회로 칩 형태이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기판의 한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 사이에는 상기 커버부가 위치하지 않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배선과 이격된 제2배선, 그리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구동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구동부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 형태인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구멍 형태의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개구 안에서 상기 제2배선의 일부와 부착되어 있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서,
    상기 커버부는 구멍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배선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며 이웃한 가장자리를 가지는 표시 장치.
  15. 제12항에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커버부와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선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17. 서로 마주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및 신호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배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커버부, 그리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구멍 형태의 개구를 가지는 표시 장치.
  19. 제17항에서,
    상기 커버부는 구멍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며 이웃한 가장자리를 가지는 표시 장치.
  20. 서로 마주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및 신호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배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커버부, 그리고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구리 및 그라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표시 장치.
KR1020190145117A 2019-11-13 2019-11-13 표시 장치 KR20210059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117A KR20210059076A (ko) 2019-11-13 2019-11-13 표시 장치
US17/095,806 US11227540B2 (en) 2019-11-13 2020-11-1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117A KR20210059076A (ko) 2019-11-13 2019-11-1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076A true KR20210059076A (ko) 2021-05-25

Family

ID=7584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117A KR20210059076A (ko) 2019-11-13 2019-11-1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27540B2 (ko)
KR (1) KR20210059076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790A (ja) 1996-11-22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1201727A (ja) 2000-01-19 2001-07-27 Fujitsu Ltd 熱圧着装置および熱圧着方法
EP2942662B1 (en) * 2009-12-23 2017-03-2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JP2014224836A (ja) * 2011-09-16 2014-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デバイス、表示装置、照明装置および発電装置
US9454025B2 (en) 2012-08-31 2016-09-27 Apple Inc. Displays with reduced driver circuit ledges
KR20160020012A (ko) 2014-08-12 2016-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본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26262B1 (ko) * 2015-01-02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키지 기판용 필름, 이를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177323B2 (en) 2016-08-22 2019-01-0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II) and palladium (II) complexes and octahedral iridium complexes employing azepine functional groups and their analogues
JP2018155942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42718A1 (en) 2021-05-13
US11227540B2 (en)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4150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1556199B2 (en) Display device with sensor
US924014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742358B2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8006831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10411208B2 (en) Display device
EP210596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43147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542331B2 (en) Display apparatus
CN112530301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60127276A (ko) 표시 장치
WO2019120168A1 (zh) 基板及其制作方法、电子装置
US10928696B2 (en) Wiring substrate and display panel
JP2008225473A (ja) アレイ基板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パネル
KR102611213B1 (ko) 표시 장치
CN110071146B (zh) 显示面板和电子设备
KR20210059076A (ko) 표시 장치
US20220310766A1 (en) Display device
CN111341744B (zh) 一种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WO2021031836A1 (zh) 像素阵列基板
KR20170023239A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KR101370967B1 (ko) 발광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백라이트 유닛
JP7475116B2 (ja) 発光装置
JP7246534B2 (ja) アレイ基板
KR102287254B1 (ko)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