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385A - 안전 멀티탭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멀티탭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385A
KR20210058385A KR1020190145751A KR20190145751A KR20210058385A KR 20210058385 A KR20210058385 A KR 20210058385A KR 1020190145751 A KR1020190145751 A KR 1020190145751A KR 20190145751 A KR20190145751 A KR 20190145751A KR 20210058385 A KR20210058385 A KR 2021005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rod
rod
clos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306B1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3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를 복수 접속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에서 플러그단자 접속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폐쇄하고,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는 경우에만 개방되어 접속되도록 하여 단자 측으로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플러그단자 접속 구멍이 폐쇄된 상태에서 쉽지 열리지 않게 록킹시켜 유아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접속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플러그 안착홈이 형성되는 콘센트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구성되어 삽입되는 플러그단자와의 접촉과 접촉해제로 상기 플러그단자 접속구멍을 개폐하는 플러그접속구멍 개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전 멀티탭 콘센트 {SAFETY MULTI TAP ELECTRIC SOCKET}
본 발명은 안전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플러그를 복수 접속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에서 플러그단자 접속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폐쇄하고,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는 경우에만 개방되어 접속되도록 하여 단자 측으로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플러그단자 접속 구멍이 폐쇄된 상태에서 쉽지 열리지 않게 록킹시켜 유아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멀티탭 콘센트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여러 개 꽂을 수 있게 한 콘센트로서, 고정된 콘센트에 여러 개의 전기 제품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콘센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다른 일반적인 멀티탭 콘센트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멀티탭(1)은, 홈형태의 플러그 삽입부(2)가 구비된 케이스(3) 및 이 케이스(3)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선과 연결되고 2개가 1조로 된 플러그 핀이 꽂히는 플러그핀 삽입단자(미도시)로 구성되며, 각 플러그핀 삽입단자를 개별 또는 한번에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개별 스위치/메인 스위치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그러나 전기 콘센트 사용에 있어서 가장 많은 사고 중의 하나가 콘센트 내부에 먼지가 쌓이거나 이물질이 들어가서 합선으로 인한 폭발, 화재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8-0002163(2008.06.25.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10287(2009..10.0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10692(2012.10.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10692(2012.10.10.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를 복수 접속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에서 플러그단자 접속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폐쇄하고,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는 경우에만 개방되어 접속되도록 하여 단자 측으로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단자 접속 구멍이 폐쇄된 상태에서 쉽지 열리지 않게 록킹시켜 유아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플러그접속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플러그 안착홈이 형성되는 콘센트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구성되어 삽입되는 플러그단자와의 접촉과 접촉해제로 상기 플러그단자 접속구멍을 개폐하는 플러그접속구멍 개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전원연결 플러그단자가 접속되는 동판이 설치되는 상부 개방의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플러그 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개방의 커버 바디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커버 바디의 플러그 안착홈에 형성되는 플러그단자 접속구멍; 상기 커버 바디의 일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동판으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베이스 바디 또는 커버 바디에 구성되어 삽입되는 플러그단자와의 접촉과 접촉해제로 상기 플러그단자 접속구멍을 개폐하는 플러그접속구멍 개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접속구멍 개폐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 샤프트; 일단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단자 접속구멍 중 하나의 하면에 위치되는 제1 개폐 로드; 일단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타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플러그단자 접속구멍 중 다른 하나의 하면에 위치되는 제2 개폐 로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작용시키는 스프링 부재;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연장되어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간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전원연결 플로그의 끝단과의 접촉으로 상기 제1 개폐로드와 제2 개폐 로드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폐 연동 수단(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각각은 상기 지지 샤프트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로드, 및 상기 제1 연장 로드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 로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제2 연장 로드는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단부가 플러그단자 접속구멍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일단부가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중 다른 하나에 접촉 지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 연동 수단(260)은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플러그단자와 캠 연동하여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가 서로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 연동 수단(260)은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각각의 단부에 캠 경사면으로 형성되되, 측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구성되어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중 적어도 하나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 구속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 구속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성되는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 및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거나,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도록 형성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 구속 유닛은 일측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보다 함몰된 장착홈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커버 시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에 연동하는 링크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상기 상기 제1 개폐 로드 또는 제2 개폐 로드의 측면에 접촉되거나 접촉해제되도록 이루어지거나,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에 구성되어 그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출몰하는 삽입 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 돌기가 상기 제1 개폐 로드 또는 제2 개폐 로드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 홈으로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되도록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출몰하는 "ㄷ"자형 끼움편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개폐 로드 또는 제2 개폐 로드의 상면과 양 측면에 끼움되고 끼움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를 복수 접속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에서 플러그단자 접속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폐쇄하고,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는 경우에만 개방되어 접속되도록 하여 단자 측으로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한 합선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플러그단자 접속 구멍이 폐쇄된 상태에서 쉽지 열리지 않게 록킹시켜 유아가 젖가락 등 삽입하지 못하게 하여 안전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성과 경제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를 구성하는 플러그접속구멍 개폐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를 구성하는 플러그접속구멍 개폐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를 구성하는 플러그접속구멍 개폐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를 구성하는 플러그접속구멍 개폐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같이, 전원연결 플러그단자가 접속되는 동판(미도시)이 설치되는 상부 개방의 베이스 바디(110);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플러그 안착홈(121)이 형성되는 하부 개방의 커버 바디(120); 상기 커버 바디(120)의 플러그 안착홈(121)에 형성되는 플러그단자 접속구멍(122); 상기 커버 바디(120)의 일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동판으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원 스위치(130); 및 상기 베이스 바디(110) 또는 커버 바디(120)에 구성되어 상기 플러그단자 접속구멍(122)을 개폐하는 플러그접속구멍 개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부호 101는 전원연결 케이블이다.
상기 베이스 바디(110)와 커버 바디(120)는 멀티탭 콘텐트의 케이스(100)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플러그단자 접속구멍(122)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플러그 안착홈(12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원연결 플러그단자가 접속되는 동판(미도시)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플러그접속구멍 개폐모듈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지지 샤프트(210)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2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단자 접속구멍(122) 중 하나의 하면에 위치되는 제1 개폐 로드(220)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210)의 타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플러그단자 접속구멍(122) 중 다른 하나의 하면에 위치되는 제2 개폐 로드(230)와,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작용시키는 스프링 부재(240)와,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연장되어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 간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지지하는 스토퍼(250), 및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의 단부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전원연결 플로그의 끝단과의 접촉으로 제1 개폐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폐 연동 수단(26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샤프트(210)는 상기 케이스(100)(즉, 케이스의 커버 바디(120))에 형성되는 플러그 안착홈(121)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샤프트(210)는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거나, 상기 커버 바디(12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바디(110)와 커버 바디(120)의 대향면에서 돌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샤프트(210)는 절연체(예를 들면,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 각각은 지지 샤프트(210)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로드(221, 231), 및 상기 제1 연장 로드(221, 231)의 끝단에서 멀티탭 콘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로드(222, 232)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제2 연장 로드(222, 232)는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단부가 플러그단자 접속구멍(122)의 하부에 위치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스프링 부재(240)는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에 각각 양단부가 결합되어 그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240)는 절연체(예를 들면,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수명 들을 고려할 때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250)는 일단부가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 중 다른 하나에 접촉 지지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50)의 길이는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의 각 단부들이 플러그단자 접속구멍(122)을 폐쇄할 수 있는 간격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 연동 수단(260)은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 각각의 캠 경사면으로 형성되되, 측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캠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는 상기 케이스(100)(즉, 베이스 바디(110) 또는 커버 바디(120))에 구성되어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 중 적어도 하나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 구속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동 구속 유닛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성되는 록킹 스위치(310) 또는 조작 버튼, 및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거나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어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의 회동을 단속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 스위치(310) 또는 조작 버튼은 공지의 푸쉬-풀 타입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토클 스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동 구속 유닛은 일측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은 케이스(100)의 상면보다 함몰된 장착홈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커버 시 그 케이스(10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의 회동 단부의 반대 측 단부에는 사용자가 손톱 등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개방 조작홈(개방 조작 절개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에 연동하는 링크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개폐 로드(220) 또는 제2 개폐 로드(230)의 측면에 접촉되거나 접촉해제되어 제1 개폐 로드(220)와 제2 개폐 로드(230)가 회동 구속 또는 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에 일체로 구성되어 그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출몰하는 삽입 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 돌기가 상기 제1 개폐 로드(220) 또는 제2 개폐 로드(23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 홈으로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개폐 로드(220) 또는 제2 개폐 로드(230)의 회동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에 일체로 구성되어 그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출몰하는 "ㄷ"자형 끼움편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개폐 로드(220) 또는 제2 개폐 로드(230)의 상면과 양 측면에 끼움되고 끼움해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개폐 로드(220) 또는 제2 개폐 로드(230)의 회동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 콘센트에 의하면, 전원 플러그를 복수 접속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에서 플러그단자 접속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폐쇄하고,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는 경우에만 개방되어 접속되도록 하여 단자 측으로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한 합선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단자 접속 구멍이 폐쇄된 상태에서 쉽지 열리지 않게 록킹시켜 유아가 젖가락 등 삽입하지 못하게 하여 안전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성과 경제성을 갖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베이스 바디
120: 커버 바디
121: 플러그 안착홈
122: 플러그단자 접속구멍
130: 전원 스위치
210: 지지 샤프트
220: 제1 개폐 로드
230: 제2 개폐 로드
221, 231: 제1 연장 로드
222, 232: 제2 연장 로드
240: 스프링 부재
250: 스토퍼
260: 삽입 연동 수단
310: 록킹 스위치(조작 버튼)

Claims (9)

  1. 플러그접속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플러그 안착홈이 형성되는 콘센트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구성되어 삽입되는 플러그단자와의 접촉과 접촉해제로 상기 플러그단자 접속구멍을 개폐하는 플러그접속구멍 개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
  2. 전원연결 플러그단자가 접속되는 동판이 설치되는 상부 개방의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플러그 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개방의 커버 바디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커버 바디의 플러그 안착홈에 형성되는 플러그단자 접속구멍;
    상기 커버 바디의 일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동판으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베이스 바디 또는 커버 바디에 구성되어 삽입되는 플러그단자와의 접촉과 접촉해제로 상기 플러그단자 접속구멍을 개폐하는 플러그접속구멍 개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접속구멍 개폐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 샤프트;
    일단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단자 접속구멍 중 하나의 하면에 위치되는 제1 개폐 로드;
    일단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타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플러그단자 접속구멍 중 다른 하나의 하면에 위치되는 제2 개폐 로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작용시키는 스프링 부재;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연장되어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간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전원연결 플로그의 끝단과의 접촉으로 상기 제1 개폐로드와 제2 개폐 로드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폐 연동 수단(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각각은 상기 지지 샤프트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로드, 및 상기 제1 연장 로드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 로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제2 연장 로드는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단부가 플러그단자 접속구멍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일단부가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중 다른 하나에 접촉 지지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연동 수단(260)은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플러그단자와 캠 연동하여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가 서로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연동 수단(260)은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각각의 단부에 캠 경사면으로 형성되되, 측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구성되어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중 적어도 하나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 구속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구속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성되는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 및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거나,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도록 형성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구속 유닛은 일측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보다 함몰된 장착홈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커버 시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에 연동하는 링크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상기 상기 제1 개폐 로드 또는 제2 개폐 로드의 측면에 접촉되거나 접촉해제되도록 이루어지거나,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에 구성되어 그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출몰하는 삽입 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 돌기가 상기 제1 개폐 로드 또는 제2 개폐 로드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 홈으로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되도록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록킹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출몰하는 "ㄷ"자형 끼움편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개폐 로드 또는 제2 개폐 로드의 상면과 양 측면에 끼움되고 끼움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콘센트.
KR1020190145751A 2019-11-14 2019-11-14 안전 멀티탭 콘센트 KR102282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51A KR102282306B1 (ko) 2019-11-14 2019-11-14 안전 멀티탭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51A KR102282306B1 (ko) 2019-11-14 2019-11-14 안전 멀티탭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385A true KR20210058385A (ko) 2021-05-24
KR102282306B1 KR102282306B1 (ko) 2021-07-26

Family

ID=7615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751A KR102282306B1 (ko) 2019-11-14 2019-11-14 안전 멀티탭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3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209Y1 (ko) * 1995-03-24 1998-09-15 정부강 안전콘센트
JP3138121U (ja) * 2007-10-10 2007-12-20 鎰勝工業股▲分▼有限公司 コンセントの防塵蓋構造
KR20080002163U (ko) 2006-12-21 2008-06-25 박민규 먼지 보호덮개 멀티탭
KR20090010287U (ko) 2008-04-04 2009-10-08 김금자 덮개를 갖는 멀티탭
KR20120110692A (ko) 2011-03-30 2012-10-10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탭
KR20170029216A (ko) * 2015-09-07 2017-03-15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101871356B1 (ko) * 2017-02-27 2018-06-26 주식회사 수만테크 다중 안전 장치를 갖는 멀티 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121B2 (ja) * 1993-09-30 2001-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へのインク注入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209Y1 (ko) * 1995-03-24 1998-09-15 정부강 안전콘센트
KR20080002163U (ko) 2006-12-21 2008-06-25 박민규 먼지 보호덮개 멀티탭
JP3138121U (ja) * 2007-10-10 2007-12-20 鎰勝工業股▲分▼有限公司 コンセントの防塵蓋構造
KR20090010287U (ko) 2008-04-04 2009-10-08 김금자 덮개를 갖는 멀티탭
KR20120110692A (ko) 2011-03-30 2012-10-10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탭
KR20170029216A (ko) * 2015-09-07 2017-03-15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101871356B1 (ko) * 2017-02-27 2018-06-26 주식회사 수만테크 다중 안전 장치를 갖는 멀티 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306B1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349B1 (en) Safety electrical receptacle
US7985085B2 (en) Locking protective doors for electrical sockets
US7238028B2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US7455538B2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a protective shutter
US7287994B1 (en) Modular plug device
CN103283093A (zh) 插塞连接器
US20100130042A1 (en)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PL175821B1 (pl) Łącznik elektryczny
KR20030049119A (ko) 콘센트와 플러그 구조체
KR101663405B1 (ko)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
KR20210058385A (ko) 안전 멀티탭 콘센트
KR102285345B1 (ko) 안전 콘센트
WO2008058476A1 (en) International socket
GB2126805A (en) Electrical plug
KR20100105979A (ko) 안전고리를 가지는 콘센트
CN111201679B (zh) 固定端子
KR20080072599A (ko) 콘센트 안전커버
KR101476703B1 (ko) 안전 콘센트
KR102077542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938498B1 (ko) 안전형 콘센트
KR20230149051A (ko) 매입형 콘센트
KR102659261B1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2080918B1 (ko) 콘센트 안전장치
GB2477313A (en) Electrical socket with shutter mechanism
FI124741B (fi) Kaksoispistora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