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278A - 냄비겸용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냄비겸용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278A
KR20210058278A KR1020190145534A KR20190145534A KR20210058278A KR 20210058278 A KR20210058278 A KR 20210058278A KR 1020190145534 A KR1020190145534 A KR 1020190145534A KR 20190145534 A KR20190145534 A KR 20190145534A KR 20210058278 A KR20210058278 A KR 20210058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id
cylinder
container body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옥
Original Assignee
김화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옥 filed Critical 김화옥
Priority to KR102019014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278A/ko
Publication of KR2021005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구와 공기배출밸브를 이용하여 용기몸체와 뚜껑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뚜껑과 용기몸체를 금속 및 강화유리 재질로 하여 진공시 뚜껑과 용기몸체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냄비겸용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냄비겸용 보관용기는 안착홈이 구비된 용기몸체와;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상향 돌출된 지지부가 포함된 뚜껑과;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을 경계로 바깥쪽에 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을 경계로 상측에 절개홈과 밀착유도편이 구비된 패킹과; 상기 뚜껑의 체결공에 결합되며, 복수의 배출구가 구비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구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밀착편으로 이루어진 공기배출밸브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며 상기 공기배출밸브의 동작을 유도하는 흡입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냄비겸용 보관용기{Vessel of custody food for combined pot}
본 발명은 냄비겸용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냄비에 화력을 제공하지 않고 진공상태를 갖도록 하여 세균번식 억제 및 김치, 과일 등 숙성효과를 갖는 냄비겸용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하여 취식하게 되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때 냄비를 밀폐하면 압력이 증가되면서 끓는 온도가 상승하여 맛이 향상되어짐은 물론 에너지도 절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조리된 음식물을 잠시 또는 장기적으로 보관할 경우에 진공보관을 하지 않으면 대기중의 공기가 침투하면서 맛을 변하게 하거나 시간이 경과되면서 부폐가 진행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보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진공유도를 위한 보관방식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의 대부분은 보관시 진공만을 유도함으로 조리시 일정한 압력유지를 위한 수단을 구비치 못 한다는 것이다.
또한 진공을 유도하기 위하여는 대부분 밸브본체의 내부에 탄성재질의 밸브체가 수용되어져 냄비함체의 압력이 떨어질 경우에는 탄성재질의 밸브체가 냄비유로를 차단하면서 진공유도가 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밸브체의 구조는 냄비함체내에서 압력이 발생될 경우에는 바로 상승되면서 증기를 토출하게 됨으로 조리시 일정한 압력유지가 불가능하다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밸브체의 조립구조가 밸브본체와의 조립시 밸브체에는 진공유도를 위한 흡착수단이 구비되고, 밸브 본체에는 이러한 흡착수단이 기밀유지가 가능토록 흡착을 유도하는 받침수단이 사용되고 증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구비되어짐으로 구조자체가 대체적으로 복잡하다라는 것이다.
실용신안 제20-0266145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구와 공기배출밸브를 이용하여 용기몸체와 뚜껑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뚜껑과 용기몸체를 금속 및 강화유리 재질로 하여 진공시 뚜껑과 용기몸체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냄비겸용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냄비겸용 보관용기는 안착홈이 구비된 용기몸체와;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상향 돌출된 지지부가 포함된 뚜껑과;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을 경계로 바깥쪽에 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을 경계로 상측에 절개홈과 밀착유도편이 구비된 패킹과; 상기 뚜껑의 체결공에 결합되며, 복수의 배출구가 구비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구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밀착편으로 이루어진 공기배출밸브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며 상기 공기배출밸브의 동작을 유도하는 흡입구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냄비겸용 보관용기는 흡입구와 공기배출밸브를 이용하여 용기몸체와 뚜껑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뚜껑과 용기몸체를 금속 및 강화유리 재질로 하여 진공시 뚜껑과 용기몸체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겸용 보관용기의 일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겸용 보관용기의 흡입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겸용 보관용기의 흡입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에 뚜껑에 설치된 흡입구와 진공밸브의 동작을 보인 일부 확대도.
본 발명에 따른 냄비겸용 보관용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냄비겸용 보관용기는 용기몸체(10)와, 뚜껑(20)과, 상기 뚜껑(20)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패킹(30)과, 상기 뚜껑(20)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밸브(40)와, 상기 공기배출밸브(40)의 동작을 유도하는 흡입구(5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몸체(10)는 상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파지부(11)가 형성되며, 내부 상측에 안착홈(12)에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바닥면(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몸체(1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응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닥면(13)은 공급되는 열원이 접촉되는 제1곡면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곡면부(14)의 양측에 연이어 소정의 곡면을 갖는 제2곡면부(15)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곡면부(14)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형태로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제1곡면부(14)에 열원이 먼저 전달되는 경우, 직선방향으로 공급되는 열원이 곡면을 따라 양측으로 분산 또는 타고 넘어가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곡면부(15)는 제1곡면부(14)의 양측에 연이어 상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로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제1곡면부(14)에 따라 이동된 열원이 상기 제2곡면부(15)에 접촉되면서 내측으로 열원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곡면부(15)측으로 열원이 먼저 전달되는 경우, 직선방향으로 공급되는 열원이 제2곡면부(15)에 부딪치고, 이어 상기 제1곡면부(14)측을 따라 분산되거나 이동되면서 상기 제1곡면부(14)측에 열원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곡면부(14,15)는 곡면의 직경이 대략 1 : 1,5 ∼ 2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용 팬은 상기 바닥면(13)의 내측 상기 제2곡면부(15)에 음식물이 안착되면, 상기 제1,2곡면부(14,15)을 통해 열원이 골고루 전달되어 음식물이 골고루 익혀짐과 아울러 2차적으로 전달되는 열원에 의해 상기 제2곡면부(15)에 놓여진 음식물이 검게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뚜껑(20)은 금속 및 강화유리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에 손잡이(21)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2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2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22)을 중심으로 상향돌출된 지지편(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킹(30)은 뚜껑(20)의 테두리에 삽입되는 끼움공(3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31)을 경계로 바깥쪽에 밀착면(3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31)을 경계로 상측에 절개홈(33)과 밀착유도편(3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30)의 밀착면(32)과 하부면은 용기몸체의 안착홈(12)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공기배출밸브(40)는 뚜껑(20)의 체결공(22)에 결합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구(43)와, 상기 고정부(41)의 상부에 구비되는 밀착편(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41)는 중앙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에 연통되게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배출구(4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구(43)는 뚜껑(20)의 하부에 걸려져 상기 공기배출밸브(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밀착편(44)은 뚜껑(20)의 상부에 걸려져 상기 배출구(42)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흡입구(50)는 실린더(60)와, 상기 실린더(60)의 상부에 체결되는 피스톤(7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0) 상부에 파이프 형태의 피스톤(70)이 피스톤 결합부재(61)를 통해 체결되어, 실린더(60) 내부와 피스톤(70) 내부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70) 하부에 형성된 오링결합홈(76)에 오링(80)이 체결된 상태에서 실린더(60)에 삽입됨으로써 피스톤(70)과 실린더(60) 내부가 연통되면서 상기 오링(80)이 실린더(60) 내벽과 밀착되므로 실린더(60) 및 피스톤(70) 내부는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70)에는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피스톤가이드(77)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60)의 하부에는 격막(67)이 형성되고, 상기 격막(67)의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돌기부(68)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돌기부(68)는 중앙에 흡입공(69)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69)은 압축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60)의 내부에 스프링부재(120)가 삽입되어서, 상기 스프링부재(120)의 일측단은 격막(67)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스프링부재(120)의 타측단은 피스톤(70)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프링부재(120)가 피스톤(70)을 탄력지지하여 사용자가 피스톤(70)을 가압하면 피스톤(70)이 실린더(60) 내부에 삽입되고, 사용자가 피스톤(70) 가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70)이 실린더(60)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피스톤(70)의 하단 외측으로 환형걸림턱부(71)가 돌출됨으로써 스프링부재(120)가 피스톤(70)을 상향으로 탄성가압하더라도 상기 환형걸림턱부(71)가 피스톤 결합부재(61)에 걸리기 때문에 피스톤(70)이 실린더(6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피스톤 결합부재(61)의 내측에는 피스톤가이드(77)의 승,하강을 유도하는 피스톤 가이드홈(62)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70)의 상부에는 홈 형태로 상단면(74)이 형성되고, 상기 홈 형태의 상단면(74)에는 배기밸브(90) 하단에 돌출된 길이부(92)가 삽입되는 배기구(72)가 관통되며, 상기 상단면(74)에는 수평방햐인 복수개의 공기유로홈(75)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밸브(90)는 탄성력이 있는 원추형경사부(91)가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경사부(91)의 저면에는 상술한 길이부(92)가 돌출되어 구성되는데, 배기밸브(90)의 길이부(92)가 피스톤(70)의 상단면(74) 형성된 배기구(72)에 삽입되면, 배기밸브(90)의 원추형경사부(91)가 피스톤(70)의 상단면(74)에 형성된 배기구(72)를 덮는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70)의 상부에는 뚜껑부재(100)가 체결되어 뚜껑부재(100) 하부에 돌출 형성된 배기밸브(90) 압착부(101)가 배기밸브(90)를 가압하여 배기밸브(90)의 원추형경사부(91)가 피스톤(70)의 상단면(74)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뚜껑부재(100)의 저면에는 결합돌기(102)가 형성되고, 피스톤(70)의 상단면(74)에는 결합돌기홈(73)이 형성됨으로써 뚜껑부재(100)가 피스톤(70)에 결합될 때 상기 결합돌기(102)가 결합돌기홈(73)에 삽입되어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한다.
한편 상기 뚜껑부재(100)와 배기밸브(90)의 원형경사부(91)에는 배기밸브(90)의 승,하강을 유도하는 스프링(110)이 탄성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냄비겸용 보관용기에 대해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지지편(23)의 내측에 상기 흡입구(50)의 하단부를 밀착시킨 후, 사용자는 피스톤(70)을 수직으로 가압하면, 상기 피스톤(70)이 실린더(60)의 내부로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공기배출밸브(40)의 밀착편(44)이 상기 뚜껑(20)의 체결공(22)을 막은 상태가 된다. 이어 상기 피스톤(70)과 실린더(60) 내부에 있는 공기는 압축되어 상기 피스톤(70)의 상단면(74)에 형성된 배기구(72)를 통해 빠져 나가면서 배기밸브(90)의 탄성재질인 원추형경사부(91)를 들어올려 상기 피스톤(70) 상단에 형성된 여러 공기유로홈(7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가 일정량 빠져나가면 상기 스프링(110)에 의해 상기 배기밸브(90)가 상기 배기구(72)를 막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피스톤(70)을 가압한 힘을 해제하면 상기 피스톤(70)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부재(120)에 의해 피스톤(70)이 상승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60)와 피스톤(70) 내부에 음압이 발생되어 상기 공기배출밸브(40)의 밀착편(44)과 고정부(41)가 상승됨과 아울러 상기 뚜껑(20)과 용기몸체(10)내의 공기가 상기 고정부(41)의 배출구(42)를 거쳐 상기 흡입돌기부(68)의 흡입공(69)을 따라 상기 피스(70)과 실린더(60) 내부에 흡입된다. 이어서 상기 뚜껑(20)과 용기몸체(10)내의 공기가 일정량 강제로 흡입시킨 후, 상기 뚜껑(20)과 용기몸체(10)내의 압력이 수축되어 이때 상기 공기배출밸브(40)의 고정부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밀착편이 상기 체결공(22)을 막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상기 뚜껑(20)과 용기몸체(10)내의 진공상태를 만든다.
이때 상기 패킹(30)은 용기몸체(10)의 안착홈(12)에 한 층 더 견고하게 밀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30)은 음식물 조리시 상기 뚜껑(20)과 용기몸체(10)내 압력이 상승되는 경우, 상기 밀착편(44)과 밀착유도편(34)이 상기 용기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뚜껑(2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과 용기몸체(10)의 진공을 해지하기 위해서는 공기배출밸브(40)의 밀착편(44) 윗부분을 일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공기배출밸브(40)의 고정부가 이동되면서 상기 배출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뚜껑(20)과 용기몸체(10)내의 진공상태가 해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용기몸체 20: 뚜껑
30: 패킹 40: 공기배출밸브
50: 흡입구 60: 실린더
70: 피스톤

Claims (3)

  1. 안착홈(12)이 구비된 용기몸체(10)와;
    체결공(22)과, 상기 체결공(22)을 중심으로 상향 돌출된 지지부가 포함된 뚜껑(20)과;
    상기 뚜껑(20)의 테두리에 삽입되는 끼움공(3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31)을 경계로 바깥쪽에 밀착면(3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31)을 경계로 상측에 절개홈(33)과 밀착유도편(34)이 구비된 패킹(30)과;
    상기 뚜껑(20)의 체결공(22)에 결합되며, 복수의 배출구(42)가 구비된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구(43)와, 상기 고정부(41)의 상부에 구비되는 밀착편(44)으로 이루어진 공기배출밸브(40)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 바닥면(13)에 밀착되며 상기 공기배출밸브(40)의 동작을 유도하는 흡입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겸용 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의 바닥면(13)은 제1곡면부(14)와 제2곡면부(15)이 연이어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겸용 보관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50)는 하부는 개구되어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걸림턱부(71)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배기구(72)를 구비한 홈 형태의 상단면(74)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면(74)에는 수평 방향인 소정 개수의 공기유로홈(75)이 형성되고,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피스톤가이드(77)가 형성된 피스톤(70)과, 상기 배기구(72)에 삽입되어 배기밸브(90)를 압착하는 압착부(101)가 하부에 돌출된 뚜껑부재(100)와, 내부에 수평의 격막(67)이 형성된 실린더(60)와, 상기 실린더(60)의 상단에 체결되고 그 중심에 피스톤(70)이 삽입되어 피스톤(70)을 실린더(60)에 결합시키는 피스톤 결합부재(61)와, 상기 피스톤 결합부재(61) 내면에 상기 피스톤 가이드(77)가 삽입되어 피스톤(70)을 안내하는 피스톤 가이드홈(62)과, 상기 피스톤(70)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오링결합홈(76)에 삽입되어 실린더(60) 내면과 밀착되는 오링(80)과, 원추형태로 성형되어 중심부는 두께가 두껍게 성형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성형되며, 평평한 면이 배기구(72)를 덮도록 구성되고, 하부에 길이부(92)가 돌출되어 상기 길이부(92)가 상기 피스톤(70)의 배기구(72)에 삽입되어 배기구(72)와 밀착되는 배기밸브(90)와, 일측이 실린더(60)의 격막(67)에 지지되고 타측은 피스톤(70)의 상부 내측에 접하여 피스톤(70)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부재(120)와, 상기 실린더(60)의 내측에 설치되며 흡입공(69)이 구비된 흡입돌기부(6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냄비겸용 보관용기.
KR1020190145534A 2019-11-14 2019-11-14 냄비겸용 보관용기 KR20210058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534A KR20210058278A (ko) 2019-11-14 2019-11-14 냄비겸용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534A KR20210058278A (ko) 2019-11-14 2019-11-14 냄비겸용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78A true KR20210058278A (ko) 2021-05-24

Family

ID=7615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534A KR20210058278A (ko) 2019-11-14 2019-11-14 냄비겸용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2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145Y1 (ko) 2001-11-24 2002-02-27 서우석 압력냄비용 실리콘 안전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145Y1 (ko) 2001-11-24 2002-02-27 서우석 압력냄비용 실리콘 안전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44106A (ja) 食品保存用真空容器
KR20080060271A (ko) 내부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조절기가 달린 냄비
MX2022002490A (es) Recipiente de almacenamiento y cocinado de alimentos con una válvula.
KR20210058278A (ko) 냄비겸용 보관용기
CN203789739U (zh) 一种电饭煲微压防溢蒸汽阀
CN209285171U (zh) 一种保温提锅
KR101609511B1 (ko) 스팀 조리 용기
KR101433097B1 (ko) 조리용 진공냄비
CN211066219U (zh) 一种多蒸室烹饪器皿、蒸制器具、及蒸箱
CN211911301U (zh) 提供限压排气的锅盖及微压力锅
KR102432516B1 (ko)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KR200387420Y1 (ko) 압력 가마솥
CN210300707U (zh) 蒸汽阀及烹饪器具
CN211911300U (zh) 一种限压阀及微压力锅
KR100675485B1 (ko) 조리 용기
CN110897499B (zh) 分体式蒸汽隔水炖锅
CN212015294U (zh) 一种浮子阀及其锅盖
CN210249392U (zh) 一种带引气装置及玻璃内碗的两用保温壶
KR102003378B1 (ko)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KR20170089105A (ko) 조리용 진공냄비 뚜껑
CN217338203U (zh) 一种锅
CN110897513B (zh) 自带烤盘的方便烤鱼盒
CN215127220U (zh) 一种低压真空蒸笼锅
KR102523956B1 (ko)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CN213248374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