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153A -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153A
KR20210058153A KR1020190145267A KR20190145267A KR20210058153A KR 20210058153 A KR20210058153 A KR 20210058153A KR 1020190145267 A KR1020190145267 A KR 1020190145267A KR 20190145267 A KR20190145267 A KR 20190145267A KR 20210058153 A KR20210058153 A KR 2021005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substituted
bromo
trifluoromethyl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639B1 (ko
Inventor
이창훈
민용기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6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044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 C07D491/048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the oxygen-containing ring being five-memb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056Ortho-condensed systems with two or more oxygen atoms as ring hetero atoms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에 복소환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단일환이 치환된 아마이드 유도체에 비해 진드기 방제 효과가 우수하게 향상된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Novel pyrimidine sulfonamide derivatives and a mite controll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물 방제를 목적으로 다양한 살충제를 사용해 왔으나, 종래 사용되던 살충제는 살충효과가 충분하지 않거나, 살충제 도포 이후에 살충효과가 일정하지 않거나, 대상 생물에 도포한 뒤 단시간에 증발하여 살충효과가 충분히 지속되지 않아 살충제를 반복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살충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거나, 또한 화학작용으로 신경계를 교란시키므로 방제의 목적이 되는 생물에도 유해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가금류를 포함하는 가축의 경우 진드기와 같은 해충의 흡혈로 인하여 가려움증이나 빈혈을 일으키거나 심지어 폐사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양계업자 등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에게 피부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살충력이 우수하면서도 독성이 없어서 기존의 유기합성 화학제들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방제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장기간 지속 가능한 방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닭 진드기(응애, 와구모, poultry red mite, Dermanyssus gallinae)는 거미강 진드기목에 해당하고 가금류에 기생하여 흡혈하는 외부 기생충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질병의 매개체로 가금티푸스, 대장균증 및 계두 발생을 야기하는 혼합감염의 원인체이다.
닭 진드기는 야간에 30분에서 1시간 30분 정도로 극히 짧은 시간동안 흡혈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사료, 계사의 틈이나 계란운반용 벨트, 케이지 등에 숨어 있어서 방제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흡혈하지 않고도 4~5개월 동안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제가 매우 어려운 해충이다. 특히 닭 진드기가 산란계를 흡혈하면 산란율과 계란 품질이 저하되거나, 빈혈유발, 폐사 등을 발생시켜 그 피해가 널리 알려져 있다. 닭 진드기는 가금류 뿐 아니라 사람을 비롯한 포유동물을 흡혈하기도 하여 작업자에게 가려움증, 피부염 등을 야기하는데, 일본에서는 작업자들의 습진 및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여 위생학적으로도 문제가 되었다.
닭 진드기 제거에 효과적이지만 살충제에 속하는 피레드로이드(pyrethroid), 유기인(organo phosphorus) 및 카르바메이트(carbamate) 계열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동물용 살충제 등을 현재까지 사용해 왔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닭에게 극심한 자극을 유발시키고 증체량 감소, 산란율 저하를 야기하며, 진드기의 내성이 증대하고, 환경오염 및 계란 내 잔류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화학약품 처리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살충제에 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닭 등 가금류 생태에 맞는 적절한 방제법을 찾기 위해 속효성과 진드기 방제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독성이 없어 기존의 화학적 방제제를 대체할 수 있는 진드기 방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의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써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2570호에는 유용한 동물 기생충 구제제로서의 아미노벤즈아마이드 유도체를 개시하였고, 한국등록특허 제10-1409077호에는 아마이드 유도체, 그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그 사용방법을 개시하였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259709호에는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아마이드 화합물에 복소환이 치환된 화합물 및 상기 치환기 도입에 따른 항진드기 효과를 개시한 이전 보고는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아마이드 유도체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특정 위치에 복소환이 치환된 아마이드 유도체가 단일환이 치환된 아마이드 유도체에 비해 진드기 방제 효과가 우수하게 향상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2570호, 유용한 동물 기생충 구제제로서의 아미노벤즈아미드 유도체, 2010년 10월 19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409077호,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그 사용방법, 2014년 06월 11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59709호,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2013년 04월 24일, 등록.
이승주 등, 11종의 살비제를 이용한 5개지역 닭진드기의 감수성 평가, Korean J. Appl. Entomol., 56(4), 427-434, 2017. 임천익 등, 산란계에 편백나무 정유 살포가 닭진드기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Poult. Sci., 45(3), 193-200, 2018.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특히 닭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시클로알킬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아릴이 융합된 복소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고,
이때, 상기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치환된 헤테로아릴은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C1-C6 할로알킬, 시아노, 아미노, 니트로, S-(C1-C6 알킬), C1-C6 알킬 및 C1-C6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2는 수소 또는 C1-C6 알킬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3은 수소 또는 할로겐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4는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C1-C6 할로알킬, 시아노, 아미노, 니트로, S-(C1-C6 알킬), C1-C6 알킬 및 C1-C6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n은 1 내지 5의 정수; 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시아마이드(화합물 1);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1H-피롤로[2,3-b]피리딘-5-카르복시아마이드(화합물 2);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4-클로로-1H-피롤로[2,3-b]피리딘-5-카르복시아마이드(화합물 3);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틸)-1,8-나프티리딘-3-카르복시아마이드(화합물 4); 및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6-클로로-2,3-디히드로-[1,4]디옥시노[2,3-b]피리딘-7-카르복시아마이드(화합물 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하기 용어는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하기 의미를 가진다. 정의되지 않은 임의의 용어는 당해 분야에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상기 용어 “알킬”은 단일결합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1-메틸프로필 등이 있다.
상기 용어 “알콕시”는 단일결합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탄화수소가 결합된 산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n-부톡시, tert-부톡시, 1-메틸프로폭시 등이 있다.
상기 용어 “할로겐”은 플루오르(F), 염소(Cl), 브롬(Br), 요오드(I)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할로알킬”은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노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모노클로로메틸, 디클로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모노브로모메틸, 디브로모메틸, 트리브로모메틸, 펜타플루오로에틸, 헵타플루오로-n-프로필, 헵타플루오로-i-프로필, 2,2-디플루오로에틸, 2,2-디클로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1-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1-클로로에틸, 2-클로로에틸, 1-브로모에틸, 2-브로모에틸, 2-요오도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2,2,2-트리브로모에틸, 1,3-디플루오로-2-프로필, 1,3-디클로로-2-프로필, 1-클로로-3-플루오로-2-프로필, 1,1,1-트리플루오로-2-프로필, 2,3,3,3-트리플루오로-n-프로필,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 1,1,1,3,3,3-헥사플루오로-2-클로로-2-프로필, 1,1,1,3,3,3-헥사플루오로-2-브로모-2-프로필, 1,1,2,3,3,3-헥사플루오로-2-클로로-n-프로필, 1,1,2,3,3,3-헥사플루오로-2-브로모-n-프로필, 1,1,2,3,3,3-헥사플루오로-1-클로로-n-프로필, 1,1,2,3,3,3-헥사플루오로-1-브로모-2-프로필, 2,2,3,3,3-펜타플루오로-n-프로필, 3-플루오로-n-프로필, 3-클로로-n-프로필, 3-브로모-n-프로필 등이 있다.
상기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은 N, O, 또는 S와 같은 헤테로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고리모양의 단일결합의 포화탄화수소기를 말하며, 고리에 포함된 헤테로원자의 수 및 종류, 및 탄소수에 따라 아지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폴린일,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등이 있다.
상기 용어 “헤테로아릴”은 N, O, 또는 S와 같은 헤테로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방향족 고리화합물을 말하며, 고리에 포함된 헤테로원자의 수 및 종류, 및 탄소수에 따라 피롤일, 퓨란일, 피리딘일, 피리미딘일, 피란일 등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라세미 형태 및 광학적인 활성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화합물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닭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상기의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액, 에멀젼, 수화제, 수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산제, 분제, 페이스트, 가용성 산제, 가용성 과립제, 살포용 과립제, 에어로졸제, 스프레이제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이들 제제에서 그 제제 유형이나 그에 따른 제제화 방법에 따라 0.01 내지 50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제제화 시, 그 제제 유형이나 그에 따른 제제화 방법에 따라 담체, 유화제, 기타 제제용 보조제를 포함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담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고형 담체는, 특히 예컨대 암모늄염, 및 카올린, 점토, 활석, 쵸크, 석영, 아타펄기트, 몬트모릴로나이트 또는 규조토와 같은 분쇄된 천연 광물, 미분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과립제용 고형 담체는, 예를 들어 방해석, 대리석, 경석, 해포석 및 백운석과 같은 분쇄 및 분류된 천연 암석, 종이, 톱밥, 코코넛 껍질, 옥수수 속대, 담배줄기와 같은 유기물질의 과립이다. 적합한 액체 담체로서는, 예컨대 물,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이나 메틸 에틸 케톤 등의 케톤류, 벤젠이나 톨루엔 그리고 자일렌이나 에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헥산이나 시클로헥산 그리고 등유나 경유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초산 에틸이나 초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토니트릴이나 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디이소프로필 에테르이나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나 N,N-디메틸아세토아미드 등의 산 아미드류, 디클로로메탄이나 트리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메틸술폭시드, 콩기름이나 면실유 등의 식물기름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가스 담체로서는, 예컨대 부탄 가스, LPG(액화석유가스), 디메틸 에테르, 탄산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유화제는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로서 알킬 황산 에스테르류,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 알킬아릴 에테르류 및 그것의 폴리옥시에틸렌화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류, 다가 알콜 에스테르류, 당알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제제용 보조제로는 고착제, 안정화제 등을 들 수 있다. 고착제로서는, 예컨대 카세인, 젤라틴, 전분 등의 다당류, 전분, 아라비아 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알긴산 등), 리그닌 유도체, 벤토나이트, 합성 수용성고분자(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류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안정화제로서는, 예컨대 산성 이소프로필 포스페이트(PAP), 2,6-디-tert-부틸-4-메틸페놀(BHT), 2-tert-부틸-4-메톡시페놀과 3-tert-부틸-4-메톡시페놀의 혼합물(BHA), 식물유, 광물유, 지방산 및 그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진드기에 감염된 동물에 직접 분무, 분사, 도포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자체만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다른 살충제, 살선충제, 살비제, 동물용 사료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에 복소환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단일환이 치환된 아마이드 유도체에 비해 진드기 방제 효과가 우수하게 향상된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합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 확인>
본 발명 아마이드 유도체는 하기 [반응식 1]의 방법을 참고하여 합성하였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7
화합물 1.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은 하기 [반응식 2]의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인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8
1) 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마이드의 합성
2-플루오로-3-니트로벤조산(2.91g, 15.7mM) 및 티오닐클로라이드 6㎖을 톨루엔 15㎖에 혼합하고 디메틸포름 아마이드 2방울을 적가한 다음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90℃로 가온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어진 아실클로라이드를 (2-브로모-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5.5g, 13.1mM), 1,3-디메틸이미다졸리딘-2-온(8.5㎖) 및 디이소프로필아민(6㎖) 혼합액에 더한 다음, 110℃로 가온하여 3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유기층을 추출하고, 이를 1N 염화수소 수용액과 탄산나트륨수용액 소금물로 세척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n-헥산 = 1 : 10 ~ 1 : 5)로 정제하여 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마이드(5g, 수율 60%)를 얻었다.
2)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의 합성
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마이드(4.9g, 8.5mM)를 에탄올 40㎖에 혼합한 다음, 반응액을 냉각시키면서 염화주석(SnCl2, 4.92g, 25.9mM)을 서서히 부가하였다. 냉각시킨 반응액에 염산(5.35g, 9.04mM)을 서서히 적가하면 반응액의 온도가 50℃까지 상승하게 되며, 약 2시간 후 반응액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켜 1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부가한 다음 셀라이트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액을 농축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유기층을 추출하고 이를 물과 포화 소금물로 세척하여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 : n-헥산 = 1 : 9 ~ 1 : 3)로 정제하여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 4.5g을 얻었다.
3)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시아마이드의 합성
톨루엔 5㎖에 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실산(100㎎), 티오닐클로라이드(100㎕) 및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1방울을 혼합하고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농축하여 얻은 아실클로라이드는 추가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테트라히드로퓨란(THF)에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300㎎)와 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실클로라이드를 혼합한 다음, 피리딘 100㎕을 더하여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액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더하고 유기층을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 : n-헥산 = 1 : 9 ~ 1 : 3)로 정제하여 본 발명 화합물 1(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시아마이드)을 얻었다.
화합물 2.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1H-피롤로[2,3-b]피리딘-5-카르복시아마이드
[반응식 3]
Figure pat00009
상기 화합물 1의 합성 과정과 동일하되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300㎎)와 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실클로라이드 대신 상기 [반응식 3]의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300㎎)와 1H-피롤로[2,3-b]피리딘-5-카르복실산(100㎎)을 사용하여 본 발명 화합물 2(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1H-피롤로[2,3-b]피리딘-5-카르복시아마이드)를 얻었다.
화합물 3.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4-클로로-1H-피롤로[2,3-b]피리딘-5-카르복시아마이드
[반응식 4]
Figure pat00010
상기 화합물 1의 합성 과정과 동일하되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300㎎)와 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실클로라이드 대신 상기 [반응식 4]의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300㎎)와 4-클로로-1H-피롤로[2,3-b]피리딘-5-카르복실산(100㎎)을 사용하여 본 발명 화합물 3(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4-클로로-1H-피롤로[2,3-b]피리딘-5-카르복시아마이드)을 얻었다.
화합물 4.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틸)-1,8-나프티리딘-3-카르복시아마이드
[반응식 5]
Figure pat00011
상기 화합물 1의 합성 과정과 동일하되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300㎎)와 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실클로라이드 대신 상기 [반응식 5]의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300㎎)와 2-(트리플루오로메틸)-1,8-나프티리딘-3-카르복실산(100㎎)을 사용하여 본 발명 화합물 4(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틸)-1,8-나프티리딘-3-카르복시아마이드)를 얻었다.
화합물 5.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6-클로로-2,3-디히드로-[1,4]디옥시노[2,3-b]피리딘-7-카르복시아마이드
[반응식 6]
Figure pat00012
상기 화합물 1의 합성 과정과 동일하되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300㎎)와 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실클로라이드 대신 상기 [반응식 6]의 3-아미노-2-플루오로-N-(2-브로모-4-(헵타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300㎎)와 6-클로로-2,3-디히드로-[1,4-디옥시노[2,3-b]-7-카르복실산(100㎎)을 사용하여 본 발명 화합물 5(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6-클로로-2,3-디히드로-[1,4]디옥시노[2,3-b]피리딘-7-카르복시아마이드)를 얻었다.
<실시예 2. 항진드기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진드기에 대한 살충 활성을 확인하였다.
항진드기 활성 확인에 사용한 진드기는 닭 사육시설에서 채집한 닭 진드기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 화합물은 5%의 아세톤 수용액에 100ppm농도로 용해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아세톤 수용액에 용해된 본 발명 화합물 용액에 여과지를 30초간 침치하여 충분히 음건하였다. 이후 음건한 여과지가 깔린 패트리디쉬(직경 8.8cm)에 진드기 성충을 20마리씩 넣고 광조건(16:8시간, 25±1℃) 및 상대습도 50% 조건하에서 72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활동이 멈춰 죽어있는 진드기의 수를 조사하였다.
진드기의 방제가는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때 본 발명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무처리군)의 경우 0%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수학식 1]
방제가 = (죽은 진드기의 수/진드기의 초기 개체 수) × 100
화합물 방제가
화합물 1 A
화합물 2 A
화합물 3 B
화합물 4 B
화합물 5 A
* A: 72시간 방제가가 60~100%에 해당
* B: 72시간 방제가가 30~60%에 해당
상기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닭 진드기에 대해 우수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복소환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단일환이 치환된 아마이드 유도체에 비해 진드기 방제 효과가 보다 더 선택적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시클로알킬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아릴이 융합된 복소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고,
    이때, 상기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치환된 헤테로아릴은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C1-C6 할로알킬, 시아노, 아미노, 니트로, S-(C1-C6 알킬), C1-C6 알킬 및 C1-C6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2는 수소 또는 C1-C6 알킬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3은 수소 또는 할로겐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4는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C1-C6 할로알킬, 시아노, 아미노, 니트로, S-(C1-C6 알킬), C1-C6 알킬 및 C1-C6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n은 1 내지 5의 정수;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Figure pat00014
    ,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퓨라노[3,2-b]피리딘-6-카르복시아마이드(화합물 1);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1H-피롤로[2,3-b]피리딘-5-카르복시아마이드(화합물 2);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4-클로로-1H-피롤로[2,3-b]피리딘-5-카르복시아마이드(화합물 3);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틸)-1,8-나프티리딘-3-카르복시아마이드(화합물 4); 및
    N-(3-((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6-클로로-2,3-디히드로-[1,4]디옥시노[2,3-b]피리딘-7-카르복시아마이드(화합물 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드기는 닭 진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KR1020190145267A 2019-11-13 2019-11-13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KR102582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67A KR102582639B1 (ko) 2019-11-13 2019-11-13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67A KR102582639B1 (ko) 2019-11-13 2019-11-13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153A true KR20210058153A (ko) 2021-05-24
KR102582639B1 KR102582639B1 (ko) 2023-09-22

Family

ID=7615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267A KR102582639B1 (ko) 2019-11-13 2019-11-13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6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961A (ko) * 2005-06-21 2008-02-2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드 유도체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KR20100112570A (ko) 2007-12-21 2010-10-19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유용한 동물 기생충 구제제로서의 아미노벤즈아미드 유도체
KR20110044886A (ko) * 2008-08-08 2011-05-02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아실아미노벤즈아미드 유도체
KR101259709B1 (ko) 2008-08-13 2013-05-06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961A (ko) * 2005-06-21 2008-02-2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드 유도체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KR20100112570A (ko) 2007-12-21 2010-10-19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유용한 동물 기생충 구제제로서의 아미노벤즈아미드 유도체
KR20110044886A (ko) * 2008-08-08 2011-05-02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아실아미노벤즈아미드 유도체
KR101259709B1 (ko) 2008-08-13 2013-05-06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409077B1 (ko) 2008-08-13 2014-06-18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그 사용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승주 등, 11종의 살비제를 이용한 5개지역 닭진드기의 감수성 평가, Korean J. Appl. Entomol., 56(4), 427-434, 2017.
임천익 등, 산란계에 편백나무 정유 살포가 닭진드기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Poult. Sci., 45(3), 193-200, 20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639B1 (ko)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6838B2 (ja) 置換アニリノピリミジン基を含有するe体フェニルアクリル酸エステル化合物及びそれらの使用
KR101715414B1 (ko) 거울상 이성질체가 풍부한 아릴로아졸-2-일 시아노에틸아미노 구충 화합물
KR100374498B1 (ko) 치환된1,2,3,4-테트라하이드로-5-니트로피리미딘
KR101926281B1 (ko) 신규 술포닐아미노벤즈아미드 화합물
US10464889B2 (en) Sulfonylaminobenzamide compounds as anthelmintics
TWI383748B (zh) 有機化合物
JP2020536933A (ja) 殺カタツムリ活性を有するピリジン尿素化合物の用途
KR20230002396A (ko) 트리시클릭 살충 화합물
KR102582639B1 (ko) 신규한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US4311710A (en) Anticoccidial formulation and method
KR102483540B1 (ko) 오가노설퍼기를 포함하는 피라졸 카복사마이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살진드기제 조성물
KR20090024394A (ko) 새로운 불소함유 페닐포름아미딘 유도체 및 살충제로서 이의 용도
NZ744117B2 (en) Novel sulfonylaminobenzamide compounds as anthelmi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