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869A -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869A
KR20210057869A KR1020190144195A KR20190144195A KR20210057869A KR 20210057869 A KR20210057869 A KR 20210057869A KR 1020190144195 A KR1020190144195 A KR 1020190144195A KR 20190144195 A KR20190144195 A KR 20190144195A KR 20210057869 A KR20210057869 A KR 20210057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mulching
manufacturing
skin film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범식
민춘식
Original Assignee
민범식
민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범식, 민춘식 filed Critical 민범식
Priority to KR102019014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869A/ko
Publication of KR2021005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2Agar or agar-agar, i.e. mixture of agarose and agaropecti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52Mul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4Liquid mul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skin film)이 형성되는 스프레이(spray)용 멀칭액(mulching solution) 제조방법을 제공 하는 것으로, 농작물의 잡초 성장억제 와 해충방지 및 생분해성 기능을 가지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천연고분자 5~10wt%,계피 2~5wt%,흑연 5~10wt%,칼슘 0.1~1wt%,계면활성제 1~2wt%,물 50~100wt%,를 포함한 조성물에 물을 5~10배 희석하여 토양에 스프레이 하면 토양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멀칭액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lching solution for spraying with skin film forming on the surface of soil}
본 발명은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어 작물 재배 시 잡초 성장억제와 해충방지 및 생분해성 기능을 가지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 재배에 사용하는 멀칭용 염화비닐(Vinyl chloride)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비닐은 토양의 수분유지 보존과 지온 변화 억제와 토양침식방지 및 잡초성장의 억제효과가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급격하게 줄고 있는 농촌인구와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이 문제되어 비닐 사용후 일부는 수거 되지 않고 토양에 잔존 하거나 논경지 부분에 버려지고 있고 일부는 임의 소각처리 하여 대기오염을 시키고 있어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폐비닐을 매립시 맹독성 다이옥신 검출과 환경호르몬이 누출 되어 최근 친환경 비닐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있다.
그러나, 친환경 비닐로 생 붕괴성 비닐은 석유화학 고분자 수지(Resin)에 전분(Starch)과 같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 가능한 물질을 일부 첨가하여 붕괴하도록 하는 붕괴성 비닐이며 사용 후 조각난 비닐은 일부 토양에 남아 2차오염이 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비닐은 생분해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생물이 생산하는 바이오폴리머(biopolymer)고분자 물질과 바이오케미칼(biochemical)을 합성원료로 사용한 합성고분자 물질도 있다. 천연 화합물을 원료로 한 천연고분자계의 생분해성고분자 등도 있으나 생분해성 비닐은 현재 의료용 봉합사, 퇴비용 쓰레기 봉투 등 일부 분야를 제외하고는 거의 실용화가 부진 하며 가장 큰 이유로는 가격과 기존 비닐의 인장강도 ,내구성등 기능이 부족하고 대량 생산되는 일반 비닐에 비해 4~5배 비싼 수준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대안으로 액상 멀칭액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어 일본 공개특허 JP 2004-313048호 에서는 고분자 에멀젼(Emulsion)수지(Resin)로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hol),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가 사용되고 대한민국 공개특허KR10-1378677호에서도 프로펜아미드(Propenamide),폴리아크릴 아마이드(Polyacrylamide),폴리스틸렌 솔폰네이트(Polystyrene sulfonate)등이 사용되며 이런한 물질들은 천연물질이 아닌 화학합성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에멀젼이며 이것을 멀칭액로 사용할 경우 제2의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제2004-313048호(2004.11.1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제2004-166627호(2004.06.1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31365호(2011.04.1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78577호(2014.03.19.)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원료를 사용하여 제2의 환경 오염이 없도록 농작물의 잡초 성장억제 와 해충방지 및 생분해성 기능을 가지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고분자 5~10wt%,계피 2~5wt%,칼슘 0.1~1wt%,흑연 5~15wt%,물 50~100wt%,계면활성제 1~2wt%를 포함한 조성물에 물을 5~10배 희석하여 토양에 스프레이 하면 토양표면에 스킨막이 형성 된다.
본 발명은 천연고분자를 원료를 사용하여 생분해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농작물의 잡초 성장억제 와 토양의 수분조절이 가능하고 농작물의 성장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에 곤충들의 기피제로 살균, 살충기능이 있는 계피를 첨가하여 진딧물등 해충방지 효과를 주었으며,
또한 본 발명에 칼슘을 첨가 하면 천연고분자의 가교 결합(Cross linking)이 발생되어 스킨 막의 내수성과 내구성이 향상되고 스킨 막이 생분해된 후에도 토양에 칼슘형태로 남아 농작물 성장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주며,
또한 본 발명에 천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환경호르몬 발생이 없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멀칭액을 사용하면 비닐사용으로 발생하는 폐비닐 없어 환경오염을 줄 일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표시한 예시도
[도2] 은 본 발명으로 실시한 비교 사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발명은 천연고분자(Natural polymer) 5~10wt%,계피 ( Cinamon) 2~5wt%,흑연(Graphite)5~15wt%, 칼슘( Calcium )
0.1~1wt%,00wt%,계면활성제( Surfactant) 1~2wt%물 50~100wt%,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천연고분자로는 구약감자(Amorphophallus konjac)를 사용하며 곤약(konjac)의 주원료인 구약감자에는 양질의 수용성 식이섬유 성분인 글루코만난(glucomannan)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국수, 유제품, 어육연제품 등에 사용되고 있는 원료이며 물을 흡수하면 특유의 겔(Gell)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증점성, 필름 형성능력,유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러한 특성이 있어서 멀칭제 원료로 사용할 경우 토양에 스킨막을 형성하는 주요성분으로 토양과의 밀착력과 보수성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계피( Cinamon)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생달나무로 껍질을 사용하며 계피의 성분인 계피알데히드(cinnamaldehyde) 와 계피알콜(cinnamyl alcohol)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이러한 성분들은 살균과 살충기능을 갖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 특히 농작물의 진딧물 억제작용 목적으로 멀칭액에 사용한다.
또한 상기 흑연 ( Graphite )은 토상 흑연(Amorphous Graphite )을 분쇄하여 l~5μ크기로 사용하며 멀칭액을 흑색으로 착색시켜 토양의 보온성을 유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 한다.
또한 상기 칼슘으로는 구약감자의 물성 개량제로 소성한 패각( Oyster shell)분말을 사용하며 사용량에 따라 내수성 및 스킨막의 강도 조절 목적으로 사용한다.또한 상기 계면활성제(Surfactant)로는 코코넛에서 추출한 천연의 라우릴글루코사이드(Lauryl gulucoside)를 사용하여 멀칭액의 기포방지와 흐림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1단계: 구약감자 5~10μ 분말 10wt%을 물 100wt%에 투입 하고 65℃로 가열 30분간 교반하고
2단계:
1단계에서 제조된 액을 10~50rpm 으로 1시간 동안 교반후 실온에 냉각 방치하면 겔타입(gel type)의 점성액체가 만들어지며 여기에 1~5μ 입도의 토상 흑연(Amorphous Graphite )15wt%와 계피 분말 1~10μ5wt%을 투입 교반하고
3단계:
2단계에서 제조된 액을 실온에서 소성한 패각( Oyster shell)
분말10~20μ을 0.3wt% 와 계면활성제( Surfactant)
라우릴글루코사이드(Lauryl gulucoside) 2wt% 투입 교반하고
4단계:
3단계에서 혼합 제조된 액을 24시간 숙성후 완성된 멀칭액이 제조 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멀칭액에 5~10배 물을 희석하여 토양에 스프레이(spray)하면 토양의 표면에 스킨 막(skin film)이 형성되는 것이다.
실시예1
표1)과 같이 본 발명의 멀칭액을 제조하기위해
물 100wt%에 구약감자 5~10μ 분말을 각각5wt%,7wt% 10wt%을 투입하고 65℃로 가열하면서 30분간 교반하고
제조된 액을 10~50rpm 으로 1시간 동안 교반후 실온에 냉각 방치하면 겔타입(gel type)의 점성액체가 만들어지며 여기에 흑연으로는1~5μ입도의 토상 흑연(Amorphous Graphite )을 각각 5wt%,10wt% 5wt%와 계피 분말 1~10μ을 각각 2wt%,3wt%,5wt%을 투입 교반하고
제조된 액을 실온에서 칼슘으로는 소성한 패각( Oyster shell) 분말10~20μ을 각각0.1wt%,0.5wt%,1wt% 과 계면활성제( Surfactant) 라우릴글루코사이드(Lauryl gulucoside)을 각각 1wt%,1.5wt%,2wt% 투입 교반하고 혼합 제조된 액을 24시간 숙성후 완성된 멀칭액이 제조 하였다.
표1)
Figure pat00001
표1)의 실시예1 결과 시험3 이 점도나 외관상 양호 하였다.
실시예2
표1)의 실시예1의 시험3의 조성물을 물600wt%에 조성물100wt%t을 희석하여 1m×1m크기 토양 표면에 스프레이 하고 스킨막이 형성되는 것을 시험하였다.
표2)
Figure pat00002
표2)의 시험결과 1시간 후에는 [도2] 와 같이 보통 비닐과 비교하여 단단한 스킨막이 형성되었다.
본 발명의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스프레이용 멀칭액은 토양에 살포시 건조되어 단단한 멀칭막이 형성되며 토양 강도와 치밀성이 향상되고 토양 밀착성이 향상되며, 또한 농작물이 강풍 또는 폭우에도 유실되지 않고 견고한 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멀칭 막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계피 등 유효성분들은 작물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작물의 생육을 향상시키며, 적절한 투습성과 잡초 성장 억제하여 농가 소득을 증진시키고 환경오염을 줄 일수 있다.

Claims (4)

  1. 천연 고분자 (Natural polymer) 5~10wt%
    계피 ( Cinamon) 2~5 wt%
    흑연 ( Graphite ) 5~15 wt%
    칼슘 ( Calcium ) 0.1~1 wt%
    계면 활성제 ( Surfactant) 1~2 w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천연고분자는 구약감자(Amorphophallus konjac),한천(Agar),전분(Starch),셀룰로오스(Cellulose),젤라틴(Jelatin),키토산(Chitosa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액 조성물.
  3. 청구항 1에서 있어서 칼슘은 소성한 패각( Oyster shell),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산화칼슘(Calcium oxide), 탄산칼슘( Calcium carbonat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액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계피(Cinamon)을 2~5wt%를 사용하며, 계면활성제 중 천연 글루코사이드 계열(Gulucoside)의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ulucoside) 라우릴글루코사이드(Lauryl gulucoside) 팜커넬글루코사이드(Palmkernel gulucoside) 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액 조성물.
KR1020190144195A 2019-11-12 2019-11-12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제조방법 KR20210057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95A KR20210057869A (ko) 2019-11-12 2019-11-12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95A KR20210057869A (ko) 2019-11-12 2019-11-12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869A true KR20210057869A (ko) 2021-05-24

Family

ID=7615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195A KR20210057869A (ko) 2019-11-12 2019-11-12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86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6627A (ja) 2002-11-21 2004-06-17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抑草マルチング組成物
JP2004313048A (ja) 2003-04-14 2004-11-11 Techno Chemie Japan Kk 液状マルチ資材及びマルチ敷設方法
KR101031365B1 (ko) 2010-05-31 2011-04-29 홍석주 생분해성 액상 멀칭용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칭 방법
KR101378577B1 (ko) 2012-04-04 2014-04-01 주식회사 성림에코산업 액상의 멀칭비닐용 성막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6627A (ja) 2002-11-21 2004-06-17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抑草マルチング組成物
JP2004313048A (ja) 2003-04-14 2004-11-11 Techno Chemie Japan Kk 液状マルチ資材及びマルチ敷設方法
KR101031365B1 (ko) 2010-05-31 2011-04-29 홍석주 생분해성 액상 멀칭용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칭 방법
KR101378577B1 (ko) 2012-04-04 2014-04-01 주식회사 성림에코산업 액상의 멀칭비닐용 성막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001B1 (en) Method for mulching an agricultural soil bed using a biodegradable protein material, and a mulched agricultural crop growing plot produced thereby
CN106280334A (zh) 一种诱导缓释可降解粘虫板及其制备方法
KR101378577B1 (ko) 액상의 멀칭비닐용 성막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D148228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lymeren mischung
CA1258225A (en) Artificial fish baits with sustained release properties
Adhikari et al. Effect of viscosity modifiers on soil wicking and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a polyurethane based sprayable biodegradable polymer membrane
WO2012059918A1 (en) Novel solid bait compositions used for protecting fruits from fruit fly pests
DE102014113904A1 (de) Zusammensetzungen für flüssig anwendbare multifunktionale Beschichtungsfilme
JP5977997B2 (ja) 農業用マルチ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210057869A (ko) 토양의 표면에 스킨막이 형성되는 스프레이용 멀칭액 제조방법
JP2004099536A (ja) 忌避活性有機高分子微粒子およびその用途
Geng et al. Improvement on pest resistance of sprayable mulch films by fully utilizing garlic residues
Li et al. Recent Advances of Biodegradable Agricultural Mulches from Renewable Resources
KR101490892B1 (ko) 항균 및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이 함유된 액상도료
US11985970B2 (en) Eco-friendly herbicides containing pelargonic acid for foliar fertilzation and for bactericidal and harmful bird and animal repellent functions
US6153230A (en) Cover scent and wild game lure
Acharya et al. Deltamethrin microencapsulation in emulsion paint binder and its long-term efficacy against dengue vector Aedes aegypti
JP2008035860A (ja) 農業用マルチフィルム代替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キット
JP5752818B1 (ja) 透水性樹脂からなる根鉢隔離用成形体
JPS6315953B2 (ko)
Treinyte et al. Polymer composites from poly (vinyl alcohol), horn meal and crude glycerol for mulching coatings
JPS6361063A (ja) 塗料中に分散したマイクロカプセル殺虫製剤
WO2021070060A1 (en) Insecticide device
CN105230665A (zh) 一种蜡纸基缓释型生物防治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081982B2 (ja) シート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植物の防除用幹巻き、遺体又は動物死体袋並びにシート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