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589A - 경사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경사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589A
KR20210057589A KR1020190144532A KR20190144532A KR20210057589A KR 20210057589 A KR20210057589 A KR 20210057589A KR 1020190144532 A KR1020190144532 A KR 1020190144532A KR 20190144532 A KR20190144532 A KR 20190144532A KR 20210057589 A KR20210057589 A KR 20210057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eight
base frame
reference pin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호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산
Priority to KR102019014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589A/ko
Publication of KR2021005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 B23Q17/09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by measuring features of the machined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경사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경사 측정 장치는, 높이 방향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의 표면 경사도,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공작물의 내경 또는 외경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 단부가 상기 공작물의 측정 표면에 접촉하는 기준 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일 단부가 상기 공작물의 측정 표면에 접촉하는 측정자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핀의 상기 일 단부와 상기 측정자의 상기 일 단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공작물의 내경 또는 외경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 상기 기준 핀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다이얼 핀의 상기 측정자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제2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사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inclination}
본 발명은 높이 방향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의 표면 경사도나 상기 공작물의 내경 또는 외경을 측정하는 경사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물은 인공적 작업에 의하여 만들어진 물건으로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작물은 그 사용 분야에 따라 그 정밀성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작물은 높이 방향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내면 또는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높이 방향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이 발전 설비의 보일러 부품에 사용되는 경우, 공작물의 표면 경사도가 정해진 경사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공작물 자체의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공작물이 사용되는 전체 설비의 고장 또는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공작물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거나 공작물에 대한 가공이 진행되는 도중에, 공작물이 정해진 경사도를 만족하는 표면을 가지는 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높이 방향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의 표면 경사도를 적은 측정 비용 및 시간으로도,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한 경사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방향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의 표면 경사도를 공작물에 대한 가공이 완료된 후는 물론 공작물에 대한 가공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측정이 가능한 경사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는,
높이 방향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의 표면 경사도,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공작물의 내경 또는 외경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 단부가 상기 공작물의 측정 표면에 접촉하는 기준 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일 단부가 상기 공작물의 측정 표면에 접촉하는 측정자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핀의 상기 일 단부와 상기 측정자의 상기 일 단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공작물의 내경 또는 외경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
상기 기준 핀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다이얼 핀의 상기 측정자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제2 홀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공작물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공작물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 접촉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1 접촉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 핀이 삽입되는 제1 지지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2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측정자가 삽입되는 제2 지지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 각각은,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 부분과, 상기 기준 핀 또는 상기 측정자를 지지하며 상기 설치 부분으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다이얼 게이지의 일부와 중첩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높이 방향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의 표면 경사도를 적은 측정 비용 및 시간으로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공작물에 대한 가공이 완료된 후는 물론 공작물에 대한 가공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높이 방향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의 표면 경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의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제1 홀더 및 제2 홀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홀더 및 제2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경사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1)는 높이 방향(Z)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W)의 표면 경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경사 측정 장치(1)의 사용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 측정 장치(1)는 높이 방향(Z)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W)에서 높이 방향(Z)으로 소정 위치의 내경 또는 외경을 측정할 수 있다.
공작물(W)은 원뿔대(truncated cone)의 측면에 대응하는 표면(WS)을 가질 수 있다. 공작물(W)은 발전 설비의 보일러 부품 등에 사용되는 비교적 큰 공작물(W)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작물(W)의 내경 또는 외경은 20 cm 이상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1)는 베이스 프레임(10), 기준 핀(30), 다이얼 게이지(40),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길이 방향(X)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는 측정하고자 하는 공작물(W)의 내경 또는 외경의 최대 크기보다 클 수 있다.
기준 핀(30)은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며, 일 단부(301)가 공작물(W)의 측정 표면(WS)에 접촉한다.
다이얼 게이지(40)는 길이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한 측정자(41)와, 측정자(41)의 이동에 따라 측정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표시부(43)(indicator)를 포함한다. 측정자(41)의 일 단부(401)는 공작물(W)의 측정 표면(WS)에 접촉한다. 다이얼 게이지(4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측정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기준 핀(30)과 다이얼 게이지(4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핀(30)은 제1 홀더(21)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이얼 게이지(40)는 제2 홀더(22)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는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0)에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가이드(110)가 배치되며,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 각각은 슬라이딩 가이드(11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215, 225) 및 이동 부재(215, 225)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217, 227)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110)는 내부로 삽입된 오목 구조를 가지며, 이동 부재(215, 225)는 슬라이딩 가이드(110)에 삽입되는 볼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오목 구조 및 볼록 구조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오목 구조와 볼록 구조의 단면 형상은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상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예로서 슬라이딩 가이드(110)가 외부로 돌출된 볼록 구조이며, 이동 부재(215, 225)가 볼록 구조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 모두 길이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 가능하다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홀더(21)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길이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제2 홀더(22)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홀더(21)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지만 제2 홀더(22)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길이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기준 핀(30)과 다이얼 게이지(4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제1면(101)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제1 홀더(21)는 기준 핀(30)을 베이스 프레임(10)의 제1면(10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 구멍(2130)을 포함한다. 기준 핀(30)은 제1 지지 구멍(21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기준 핀(30)은 고정 부재(F)에 의해 제1 지지 구멍(2130)에 고정될 수 있다.
기준 핀(30)은 단부(301)가 바깥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이 공작물(W)의 내경인지 외경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홀더(22)는 다이얼 게이지(40)의 측정자(41)를 베이스 프레임(10)의 제1면(10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하는 제2 지지 구멍(2230)을 포함한다. 측정자(41)는 제2 지지 구멍(22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측정자(41)는 고정 부재(F)에 의해 제2 지지 구멍(2230)에 고정될 수 있다.
측정자(41)는 단부(401)가 바깥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이 공작물(W)의 내경인지 외경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지지 구멍(2230)의 높이는 제1 지지 구멍(2130)의 높이와 동일하다. 측정자(41)는 제2 지지 구멍(2230)에 삽입되어, 기준 핀(30)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 각각은 베이스 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 부분(211, 221)과, 상기 설치 부분(211, 221)으로부터 높이 방향(Z)으로 연장된 지지 부분(213, 223)을 포함한다.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는 높이 방향(Z)으로 단면 형상이 L자 형상일 수 있다.
설치 부분(211, 221)에 슬라이딩 가이드(110)의 내부에 삽입된 이동 부재(215, 225)가 조립될 수 있다. 설치 부분(211, 221)은 공작물(W)의 상부 표면(TS) 또는 하부 표면(BS)에 접촉하는 접촉면(2110, 2210)을 포함한다.
접촉면(2110, 2210)은 공작물(W)의 상부 표면(TS) 또는 하부 표면(BS)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작물(W)의 상부 표면(TS) 또는 하부 표면(BS)이 평면 형상일 때, 접촉면(2110, 2210)은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제1 홀더(21)의 지지 부분(213)에는 제1 지지 구멍(2130)이 형성되며, 제2 홀더(22)의 지지 부분(223)에는 제2 지지 구멍(2230)이 형성된다. 설치 부분(211)의 접촉면(2110)으로부터 제1 지지 구멍(2130)까지의 높이(H11)는 설치 부분(221)의 접촉면(2210)으로부터 제2 지지 구멍(2230)까지의 높이(H11)와 동일하다.
제1 지지 구멍(2130)에 삽입된 기준 핀(30)과 제2 지지 구멍(2230)에 삽입된 측정자(41)는 접촉면(2110, 2210)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인 제1 높이(H1)에 위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경사 측정 장치(1)의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의 접촉면(2110)을 공작물(W)의 상부 표면(TS) 또는 하부 표면(BS)에 접촉시킬 경우, 기준 핀(30)과 측정자(41)을 공작물(W)의 상부 표면(TS) 또는 하부 표면(BS)으로부터 제1 높이(H1)에 해당하는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 다이얼 게이지(40)의 표시부(43)를 통해 공작물(W)의 제1 높이(H1)에 해당하는 내경 또는 외경을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준 핀(30)과 측정자(41)를 공작물(W)의 상부 표면(TS) 또는 하부 표면(BS)으로부터 제1 높이(H1)와 다른 높이(H2)에 해당하는 표면에 접촉시킨다. 이 때, 다이얼 게이지(40)의 표시부(43)를 통해 공작물(W)의 제2 높이(H2)에 해당하는 내경 또는 외경을 측정할 수 있다.
기준 핀(30)과 측정자(41)를 가공 대상물의 다른 높이에 해당하는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1)의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은 도 7의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서,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경사 측정 장치(1)의 교체 없이, 하나의 경사 측정 장치(1)의 측정 위치를 이동시켜, 다른 높이의 공작물(W)의 표면에 기준 핀(30)과 측정자(41)를 접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경사 측정 장치(1)의 접촉면(2110)을 상부 표면(TS)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부 표면(TS)으로부터 제1 높이(H1)에 해당하는 공작물(W)의 표면(WS)의 내경을 측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사 측정 장치(1)의 접촉면(2110)을 하부 표면(BS)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부 표면(TS)으로부터 제2 높이(H2)에 해당하는 공작물(W)의 표면(WS)의 내경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의 교체 없이, 기준 핀(30)과 측정자(41)의 지지 높이를 변경하여, 제2 높이 영역에서 기준 핀(30)과 측정자(41)를 접촉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홀더(21A) 및 제2 홀더(22A) 각각은 설치 부분(211, 221)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부분(213A, 223A)을 포함한다.
제1 홀더(21A)의 지지 부분(213A)은 기준 핀(30)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몸체(2131)와, 상기 제1 지지 몸체(2131)를 높이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높이 가이드부(2133)와, 제1 지지 몸체(2131)를 소정의 높이에 고정시키는 제1 높이 고정부(2135)를 포함한다.
제1 높이 고정부(2135)는 제1 지지 몸체(2131)에 배치되며, 탄성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높이 고정부(2135)는 복수 개로서, 높이 방향(Z)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높이 고정부(2135)는 복수 개로서, 폭 방향(Y)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높이 고정부(2135)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단수 개이거나 복수 개라도 높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높이 가이드부(2133)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높이 고정부(2135)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제1 높이 결정 홈(2137)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제1 지지 몸체(2131)를 제1 높이 가이드부(2133)를 따라 원하는 높이만큼 이동시킨 후, 제1 높이 고정부(2135)를 소정의 제1 높이 결점 홈에 삽입시켜, 소정의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홀더(22A)의 지지 부분(223A)은 다이얼 게이지(40)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몸체(2231)와 제2 지지 몸체(2231)를 높이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높이 가이드부(2233)와, 제2 지지 몸체(2231)를 소정의 높이에 고정시키는 제2 높이 고정부(2235)를 포함한다.
제2 높이 고정부(2235)는 제2 지지 몸체(2231)에 배치되며, 탄성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높이 고정부(2235)는 복수 개로서, 높이 방향(Z)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높이 고정부(2235)는 복수 개로서, 폭 방향(Y)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높이 고정부(2235)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단수 개이거나 복수 개라도 높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높이 가이드부(2233)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높이 고정부(2235)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제2 높이 결정 홈(2237)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제2 지지 몸체(2231)를 제2 높이 가이드부(2233)를 따라 원하는 높이만큼 이동시킨 후, 제2 높이 고정부(2235)를 소정의 제2 높이 결정 홈(2237)에 삽입시켜, 소정의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홀더(21B) 및 제2 홀더(22B) 각각은 높이 방향(Z)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 구멍(2130, 22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높이(H1)에 해당하는 지지 구멍(2130, 2230)에 기준 핀(30)과 측정자(41)를 삽입하여 측정한 후, 제2 높이(H2)에 해당하는 지지 구멍(2130, 2230)에 기준 핀(30)과 측정자(41)를 삽입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부재(F)는 상부가 아닌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를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로 교체하여, 기준 핀(30)과 측정자(41)의 지지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른 높이의 공작물(W)의 측정 표면(WS)에 기준 핀(30)과 측정자(41)를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이전에 측정했던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와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22)를 사용하여, 다른 높이의 공작물(W)의 표면에 기준 핀(30)과 측정자(41)를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른 높이에서 측정된 공작물(W)의 내경 또는 외경을 기초로, 공작물(W)의 표면 경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경사 측정 장치(1)를 이용하여, 경사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의 차이, 제1 높이(H1)에서 측정된 공작물(W)의 내경(또는 외경)(D1)과 제2 높이(H2)에서 측정된 공작물(W)의 내경(또는 외경)(D2)의 차이를 기초로, 공작물(W)의 내경(또는 외경)의 경사도(θ)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경사 측정 장치(1)를 이용하여 표면 경사도를 측정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예를 들어, 경사 측정 장치(1)는 공작물(W)의 소정의 높이에서 내경 또는 외경을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0)은 다이얼 게이지(40)의 일부와 중첩되는 개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개구부(120)를 통해, 공작물(W)의 내경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다이얼 게이지(40)의 표시부(43)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베이스 프레임(10)의 개구부(120)는 선택적인 구성이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1 : 경사 측정 장치 10 : 베이스 프레임
110 : 슬라이딩 가이드 120 : 개구부
21, 21A, 21B : 제1 홀더 2130 : 제1 지지 구멍
22, 22A, 22B : 제2 홀더 2230 : 제2 지지 구멍
30 : 기준 핀 40 : 다이얼 게이지
41 : 측정자 43 : 표시부

Claims (7)

  1. 높이 방향으로 내경 또는 외경이 달라지는 공작물의 표면 경사도,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공작물의 내경 또는 외경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경사 측정 장치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 단부가 상기 공작물의 측정 표면에 접촉하는 기준 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일 단부가 상기 공작물의 측정 표면에 접촉하는 측정자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핀의 상기 일 단부와 상기 측정자의 상기 일 단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공작물의 내경 또는 외경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
    상기 기준 핀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다이얼 핀의 상기 측정자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제2 홀더;를 포함하는 경사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공작물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공작물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 접촉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접촉면을 가지는, 경사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1 접촉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 핀이 삽입되는 제1 지지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2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측정자가 삽입되는 제2 지지 구멍을 가지는, 경사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경사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경사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 각각은,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 부분과, 상기 기준 핀 또는 상기 측정자를 지지하며 상기 설치 부분으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부분을 포함하는, 경사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다이얼 게이지의 일부와 중첩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사 측정 장치.
KR1020190144532A 2019-11-12 2019-11-12 경사 측정 장치 KR20210057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32A KR20210057589A (ko) 2019-11-12 2019-11-12 경사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32A KR20210057589A (ko) 2019-11-12 2019-11-12 경사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589A true KR20210057589A (ko) 2021-05-21

Family

ID=7615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532A KR20210057589A (ko) 2019-11-12 2019-11-12 경사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5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5616A (ko) 방전 가공 장치에서 테이퍼 가공을 위하여 전극을 측정하고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32749B1 (ko) 볼나사축의 누적 리드 오차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US5671541A (en) Accuracy verification devices for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KR101141668B1 (ko) 핵연료 지지격자 측정용 고정지그 및 측정장치
KR100672059B1 (ko) 3축 굽힘 실험용 지그
JP6453704B2 (ja) 回転対称本体を位置決め及び位置合わせするためのデバイス
CN102914238B (zh) 导轨滚道测量装置及其工作方法
CN110030904A (zh) 一种快速准确检测销钉孔距的检具及方法
KR20210057589A (ko) 경사 측정 장치
KR20140073831A (ko) 듀얼 하이트 게이지
CN115128522B (zh) 一种霍尔探头的封装结构、检测设备及封装精度管控方法
CN115128523B (zh) 一种磁通量检测设备及检测方法
EP3736527B1 (en) Surface shape measurement device
KR20080010754A (ko) 슬라이드 레일의 외측홈 측정장치
CN107860283A (zh) 一种汽车悬架结构件位置度检具的定位结构
CN109557438B (zh) 探针误差检测装置
CN116710729A (zh) Z轴测量夹具和使用该夹具确定物体的平面度的方法
KR101906519B1 (ko) 샤프트의 홈 측정장치
US6434845B1 (en) Dual-axis static and dynamic force characterization device
JP2015150668A (ja) 工作機械及びワークの加工方法
KR101386519B1 (ko) 칫솔 홀 깊이 측정장치
KR20160023401A (ko) 직각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직각도 측정방법
KR20080071677A (ko) 블록 게이지
US10352690B2 (en) Measuring apparatus
CN221006247U (zh) 平面度测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