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314A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314A
KR20210057314A KR1020190143948A KR20190143948A KR20210057314A KR 20210057314 A KR20210057314 A KR 20210057314A KR 1020190143948 A KR1020190143948 A KR 1020190143948A KR 20190143948 A KR20190143948 A KR 20190143948A KR 20210057314 A KR20210057314 A KR 20210057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ontainer
accommodating chamber
door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104B1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9014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104B1/ko
Priority to PCT/KR2019/015639 priority patent/WO2021095939A1/ko
Priority to US17/776,176 priority patent/US20220408976A1/en
Publication of KR2021005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47J43/0465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with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A47J43/255Devices for grating with grating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용기 수용실, 상기 용기 수용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구동부 수용실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도어에 의해 개방된 상기 용기 수용실의 측면을 통해 상기 용기 수용실 내로 반입되거나 상기 용기 수용실로부터 반출되고, 식재료가 투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조; 상기 수용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배기부가 형성된 커버; 상기 구동부 수용실에 구비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용기 수용실 내에서 상기 배기부에 밀착되는 제1 상태와 상기 배기부와 이격되는 제2 상태로 가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진공 펌프와 상기 배기부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배기 라인을 포함하는 진공 포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Food processor}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재료를 가공하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식품 조리기가 존재한다.
식품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용기에 넣은 후에 가공 부재(블레이드, 스크류 등)를 이용해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한다.
최근에는 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내부를 음압 환경이 되도록 진공 배기한 후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하는 조리기들이 등장했다.
그러나 그 밖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새로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용기 수용실, 상기 용기 수용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구동부 수용실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도어에 의해 개방된 상기 용기 수용실의 측면을 통해 상기 용기 수용실 내로 반입되거나 상기 용기 수용실로부터 반출되고, 식재료가 투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조; 상기 수용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배기부가 형성된 커버; 상기 구동부 수용실에 구비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용기 수용실 내에서 상기 배기부에 밀착되는 제1 상태와 상기 배기부와 이격되는 제2 상태로 가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진공 펌프와 상기 배기부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배기 라인을 포함하는 진공 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와 연동하여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도어가 상기 용기 수용실을 개방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진공 포트가 상기 제1 상태에 위치하지 않고는 상기 용기 수용실을 폐쇄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도어가 상기 용기 수용실을 폐쇄하지 않고는 상기 제1 상태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기 수용실의 측면은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기체가 상기 배기부 및 상기 배기 라인을 통해 배기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기부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배기 라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트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조는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식재료를 가공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가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수용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 부재에 영향을 주는 자력을 제공하는 마그넷; 및 상기 구동부 수용실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수용실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냉각판; 및 상기 구동부 수용실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판으로 냉열을 전달하는 냉열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열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진공, 가공, 냉각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용기를 조리기로부터 꺼낼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커버와 이물질 트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진공 흡입 상태에서 배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의 이물질 트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진공 흡입 상태에서 배기 유로가 폐쇄된 상태의 이물질 트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진공 포트가 제2 상태에 위치한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의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용기 수용실(11)과 구동부 수용실(12)이 구비된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베이스(14), 구동부 수용실 측벽(15), 제1 루프(16), 제2 루프(17) 및 격벽(18)을 포함한다.
베이스(14)는 용기 수용실(11)과 구동부 수용실(12)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격벽(18)은 용기 수용실(11)과 구동부 수용실(12)을 구획한다. 용기 수용실(11)과 구동부 수용실(12)은 격벽(18)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루프(16)는 용기 수용실(11)의 천정을 형성하고, 제2 루프(17)는 구동부 수용실(12)의 천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제1 루프(16)와 제2 루프(17)가 구분되어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용기 수용실(11)과 구동부 수용실(12)의 천정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루프(17)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진공 포트(40)가 구비된다.
진공 포트(40)는 제1 상태(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제2 상태(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가변된다.
진공 포트(40)는 제1 상태에서 커버(30)의 배기부(50)에 밀착된다.
진공 포트(40)는 제1 상태에서 커버(30)의 배기부(50)와 진공 펌프(60)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배기 라인(미도시)를 포함한다. 진공 포트(40)는 제1 상태에서 진공 펌프(60)에서 발생하는 진공압에 의해 수용조(22)의 수용 공간 내부의 기체를 커버(30)의 배기부(50)를 통해 진공 펌프(60) 측으로 배기한다.
진공 포트(40)는 제2 상태에서 커버(30)의 배기부(50)와 이격된다(도 7 참고).
진공 포트(40)의 일부는 제1 루프(16)와 함께 용기 수용실(11)의 천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루프(16) 또는 제2 루프(17)는 진공 포트(4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루프(16), 제2 루프 및 진공 포트(40)는 하우징(1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진공 포트(40)는 상부면이 하우징(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용기 수용실(11)의 측면 중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3)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수용실(11)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어(13)는 곡면으로 형성된 원통의 측면부를 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6 참고).
도어(13)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13a)이 형성된다. 돌출편(13a)은 사용자가 도어(13)를 개폐할 때에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용기 수용실(11)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냉각판(81)이 구비된다. 냉각판(81)은 격벽(18)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구동부 수용실(12)에는 냉각판(81)과 인접하도록 냉열 발생부(82)가 구비된다. 냉열 발생부(82)는 냉각판(81)으로 냉열을 전달하여, 용기 수용실(11) 내부를 냉장 또는 냉동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냉열 발생부(82)로는 펠티어 소자와 같은 열전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냉각판(81)이 생략되고 냉열 발생부(82)의 일측(펠티어 소자의 경우 저온부)가 용기 수용실(11)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 수용실(12)에는 냉열 발생부(82)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방열부(83, 84)가 구비될 수 있다.
방열부(83, 84)는 히트 싱크(83)와 방열팬(8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수용실 측벽(15)에는 방열팬(84)의 전방에 복수의 방열홀(15a)이 형성되어 방열팬(84)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방열풍이 하우징(10)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 수용실(12)에는 진공 펌프(60)가 구비된다.
진공 펌프(60)는 진공 포트(40)와 연결되어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에 수용조(22) 내부의 기체를 진공 배기한다.
구동부 수용실(12)에는 구동 모터(7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 모터(70)의 출력축은 베이스(14)를 향해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용기 수용실(11)의 하부측 베이스(14)에는 마그넷(7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마그넷(72)과 구동 모터(70)의 출력축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 부재(71, 예를 들어, 벨트, 체인 등)가 베이스(14)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 모터(70)가 출력축을 회전시키면 동력 전달 부재(71)는 회전력을 마그넷(72)으로 전달하여, 마그넷(72)이 회전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수용실(11)에는 용기(20)가 수용될 수 있다.
용기(20)는 손잡이(21), 수용조(22), 가공 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1) 및 가공 부재(23)는 용기의 종류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수용조(22)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식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조(22)는 외측으로 연장된 손잡이(21)를 포함할 수 있고, 수용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공 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 부재(23)는 마그넷(72)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의 영향을 마그넷(72)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커버(30)의 배기부(50)는 이물질 트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트랩부는 진공 펌프(60)에 의해 수용 공간 내의 기체가 배기부(50) 및 배기 라인을 통해 배기되는 과정에서 배기부(50)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진공 포트(40)의 배기 라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커버와 이물질 트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진공 흡입 상태에서 배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의 이물질 트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진공 흡입 상태에서 배기 유로가 폐쇄된 상태의 이물질 트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트랩부(50)는 커버(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물질 트랩부(50)가 커버(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물질 트랩부(5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2 부재(200)는 커버(30)의 상부로 노출되고, 이물질 트랩부(5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 부재(100)는 커버(30)의 하부로 노출된다.
커버(30)의 상부는 제1 상면부(31), 제2 상면부(32) 및 제3 상면부(33)를 포함한다. 제1 상면부(31)는 커버(30)의 상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3 상면부(33)는 제1 상면부(31)의 내측에 제1 상면부(31)보다 낮게 위치하며, 제2 상면부(32)는 제1 상면부(31)와 제2 상면부(32)를 연결하며 경사면을 형성한다.
커버(3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36)는 제1 상면부(31)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제1 상면부(31)의 외주는 측면부(36)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부(36)에는 복수의 실링 링(37)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30)가 수용조(22)의 개구부에 설치될 때, 측면부(36)는 수용조(2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복수의 실링 링(37)은 수용조(22)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수용조(22)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측면부(36)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상면부(31)의 가장자리는 수용조(22)의 상단에 안착된다.
커버(30)는 제1 상면부(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랩(38)을 포함한다. 플랩(38)은 수용조(22)에 커버(30)를 고정하는 부재로 사용되거나, 사용자가 커버(30)를 수용조(22)로부터 분리할 때에 손가락 등을 끼워 커버(3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제3 상면부(33)의 중앙부에는 트랩 설치홀(34)이 관통 형성된다. 트랩 설치홀(34)은 이물질 트랩부(50)가 설치되는 공간이다. 이물질 트랩부(50)가 트랩 설치홀(3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트랩 설치홀(34)의 내측벽에는 트랩 설치단(3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랩 설치단(35)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가압 돌출편(35a) 및 가압 돌출편(35a)으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저지 돌출편(35b)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돌출편(35a)과 저지 돌출편(35b) 사이에는 이물질 트랩부(50)의 고정편(미도시)이 수용되는 고정편 수용 공간(35c)가 형성된다.
이물질 트랩부(50)를 트랩 설치단(35)에 설치하는 경우, 이물질 트랩부(50)의 고정편을 가압 돌출편(35a)의 일측으로부터 저지 돌출편(35b)을 향해 진입시킨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 트랩부(50)의 일부를 트랩 설치단(35) 내로 삽입한 후, 이물질 트랩부(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편이 가압 돌출편(35a)의 일측으로부터 저지 돌출편(35b)을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돌출편(35a)은 저지 돌출편(35b)에 가까워질수록 고정편 수용 공간(35c)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므로, 고정편은 가압 돌출편(35a)에 의해 가압되고, 이물질 트랩부(50)가 트랩 설치단(35)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만, 저지 돌출편(35b)이 존재하므로, 이물질 트랩부(50)는 고정편이 저지 돌출편(35b)에 의해 저지될 때까지만 시계 방향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힘에 무관하게 커버(30)에 대한 이물질 트랩부(50)의 설치 방향은 동일하게 된다.
이물질 트랩부(50)를 커버(3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물질 트랩부(5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고정편이 가압 돌출편(35a)을 벗어나면 이물질 트랩부(50)를 커버(30)로부터 들어올려 커버(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3에 따른 구성을 통해, 이물질 트랩부(50)의 세척 등을 위해 이물질 트랩부(50)를 커버(30)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조(22) 내의 식재료를 가공 부재(23) 측으로 강제로 이동시키거나 가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물질 트랩부(50)를 커버(30)에서 제거하고, 누름봉(미도시)을 트랩 설치홀(34)을 통해 수용조(22)의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부(50)는 제1 부재(100), 제2 부재(200), 가동 부재(300) 및 체크 밸브(400)를 포함한다. 제1 부재(100)는 이물질 트랩부(50)의 하부를 형성하고, 제2 부재(200)는 이물질 트랩부(50)의 상부를 형성한다. 체크 밸브(400)는 제2 부재(200)에 결합되고, 가동 부재(300)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부재(200)는 포트 접촉면(211)을 포함한다.
포트 접촉면(211)은 대략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포트 접촉면(211)의 외주를 따라 릿지(212)가 상방으로 연장된다. 포트 접촉면(211)은 진공 포트(40, 도 2 참고)가 제1 상태에서 밀착되는 면을 형성한다.
포트 접촉면(211)의 중심부에는 체크 밸브 수용홀(222)이 형성된다. 체크 밸브 수용홀(222) 은 포트 접촉면(211)으로부터 대략 연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크 밸브 수용홀(222)의 바닥에는 설치단 수용홀(223) 및 배기 유로 출구(224)가 형성된다. 배기 유로 출구(224)는 설치단 수용홀(223)의 주변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225)의 하부에는 제1 하향 돌출링(251) 및 제2 하향 돌출링(252)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하향 돌출링(251)은 배기 유로 출구(224)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2 하향 돌출링(252)는 제1 하향 돌출링(251)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 하향 돌출링(251)은 제2 하향 돌출링(252)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포트 접촉면(211)의 하부에는 제2 하향 돌출링(252)을 둘러싸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260)가 형성된다. 측벽부(260)에는 실링 링(231)이 구비된다. 실링 링(231)은 이물질 트랩부(50)가 커버(30)에 설치될 때, 제3 상면부(33, 도 3 참고)에 접하여, 트랩 설치홀(34)과 이물질 트랩부(50) 사이를 밀봉하여 진공압의 유실을 방지한다.
체크 밸브(400)는 개폐 윙(410), 손잡이(420) 및 설치단(430)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400)는 개폐 윙(410) 및 설치단(430)을 포함한다.
개폐 윙(410)은 바닥면은 평평하고, 상부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심부에 비해 주변부로 갈수록 탄성 변형이 용이해진다.
설치단(430)은 개폐 윙(410)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설치단(430)은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식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치단(430)의 최상부는 설치단 수용홀(223)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설치단(430)의 최하부는 설치단 수용홀(22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설치단 수용홀(223)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하여, 체크 밸브(400)가 제2 부재(2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설치단(430)의 중앙부는 설치단 수용홀(223)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설치단 수용홀(223)과 중간끼워맞춤의 공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크 밸브(400)를 상승시켜 설치단(430)의 중앙부가 설치단 수용홀(223)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체크 밸브(40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고 그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개폐 윙(410)과 배기 유로 출구(22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체크 밸브(40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으므로, 배기 유로 출구(224)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 부재(100)는 바닥부(111a, 111b, 112) 및 측벽부(113)를 포함한다.
바닥부에는 승강축 수용홀(111a), 유체 유입홀(111b) 및 스페이서(112)가 형성된다. 승강축 수용홀(111a)은 바닥부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고, 유체 유입홀(111b)은 승강축 수용홀(111a)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된다. 복수의 스페이서(112)는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스페이서(112)는 승강축 수용홀(111a)과 유체 유입홀(111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스페이서(112)는 유체 유입홀(111b)들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측벽부(113)는 바닥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바닥부(111)의 외부로부터 경사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113a)를 포함한다.
경사부(113a)는 후술하는 이물질 쉴드(311)에 의해 가로막힌 이물질을 유체 유입홀(111b)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유체 유입홀(111b)은 경사부(113a)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유체 유입홀(111b)의 일부는 경사부(113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13)의 일부는 경사부(113a) 및 바닥부를 둘러싸며 바닥부보다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1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측벽부(113)의 하단은 수용조(22) 내부의 음식물이 가공 부재(23)의 회전에 의해 수용조(22) 내에서 회전하며 발생하는 와류 등에 의해 이물질이 튀어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동 부재(300)는 대략 링형의 플레이트 형상인 이물질 쉴드(311)를 포함한다.
이물질 쉴드(311)의 외경은 제1 부재(100)의 측벽부(113b)의 내경보다 작지만, 가동 부재(300)가 제1 부재(10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물질 쉴드(311)의 가장자리가 측벽부(113b)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물질 쉴드(311)와 측벽부(113b) 사이의 간극은 2mm 미만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부재(300)는 이물질 쉴드(311)의 상면으로부터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상향 돌출링(313), 상향 돌출링(313)의 내측에 구비되는 차단 플레이트(322) 및 차단 플레이트(32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승강축(323a)과 이탈방지단(323b)을 포함한다.
승강축(323a)은 제1 부재(100)의 승강축 수용홀(111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승강축 수용홀(111a)과 승강축(323a)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승강축 수용홀(111a) 내에 상기 승강축(323a)이 위치하는 이상 가동 부재(300)가 제1 부재(100)에 대해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탈방지단(323b)은 승강축(323a)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승강축(323a)과 단차를 이루며 승강축(323a)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단(323b)은 제1 부재(100)의 승강축 수용홀(111a)의 하부에 위치하여 가동 부재(300)가 제1 부재(1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흡입 상태(제1 상태)에서는 진공 포트(40)가 체크 밸브 수용홀(222)을 둘러싸도록 포트 접촉면(211)에 밀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진공 포트(40)에는 제1 상태에서 체크 밸브(40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체크 밸브(400)가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진공 펌프(1)로부터 진공 포트(40)를 통해 진공압이 제공되므로, 개폐 윙(410)의 가장 자리는, 진공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방으로 들리며 배기 유로 출구(224)를 개방한다.
따라서, 유체 유입홀(111b), 이물질 쉴드(311)와 측벽부(113b) 사이, 제2 하향 돌출링(252)과 상향 돌출링(313) 사이, 제1 하향 돌출링(251)과 상향 돌출링(313) 사이 및 배기 유로 출구(224)로 연결되는 배기 유로를 따라 수용조(22) 내부의 기체가 배기되며, 수용조(22) 내부가 진공 배기된다.
도 4의 상태에서 수용조(22) 내부가 진공 배기되는 중에, 수용조(22) 내부의 액체 등의 이물질 트랩부(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과정에서 식재료가 튀어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되거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거품이 상승하여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될 수 있다.
액체 등의 이물질이 진공 펌프(60)까지 도달하면 진공 펌프(60)가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이물질 트랩부(50)는 액체 등의 이물질이 진공 펌프(6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고체 이물질이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된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경사부(113a)를 따라 다시 유체 유입홀(111b)을 통해 수용조(22)의 내부로 낙하하거나, 제1 부재(100)의 바닥에 잔존하게 된다.
고체 이물질이 진공압에 영향을 받아 배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더라도, 이물질 쉴드(311)와 제1 부재(100)의 측벽부(113b) 사이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이 부분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물질 쉴드(311)에 가로막히게 되고, 결국 자중에 의해 경사부(113a)를 따라 다시 유체 유입홀(111b)을 통해 수용조(21)의 내부로 낙하하거나, 제1 부재(100)의 바닥에 잔존하게 된다.
거품과 같이 다량의 액체 이물질이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된 경우에는, 액체 이물질에 의한 부력으로 가동 부재(300)가 상승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0)가 상승하게 되고, 가동 부재(300)의 차단 플레이트(322)가 제1 하향 돌출링(251)과 접하여 배기 유로의 일부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 유로를 통한 진공 배기가 중단되어 액체 이물질이 진공 펌프(60)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부재(300)의 차단 플레이트(322)이 제1 하향 돌출링(251)이 접하는 것만으로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가동 부재(300)가 상승하면, 상향 돌출링(313)이 제1 하향 돌출링(251) 및/또는 제2 하향 돌출링(252)과 접하도록 하여 1차적으로 배기 유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차단 플레이트(322)가 제1 하향 돌출링(251)이 접하여 2차적으로 배기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지점에서 배기 유로를 차단하므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향 돌출링(313)은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중에 액체가 튀어 소량의 액체 이물질이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된 경우에는, 가동 부재(300)가 부력으로 상승할 수 없다. 따라서, 소량의 액체 이물질은 배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지만, 이물질 쉴드(311)와 제1 부재(100)의 측벽부(113b) 사이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이 부분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물질 쉴드(311)와 측벽부(113b) 사이의 간극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물질 쉴드(311)와 측벽부(113b) 사이의 간극에 수막이 형성되므로, 가동 부재(300)는 상부와 하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승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0)의 차단 플레이트(322)가 제1 하향 돌출링(251)과 접하여 배기 유로의 일부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 유로를 통한 진공 배기가 중단되어 액체 이물질이 진공 펌프(60)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가루형 식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가루형 식재료가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되어 진공 펌프(6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진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진 필터는 유체 유입홀(111b)에 설치되어, 유체 유입홀(111b)을 통해 이물질 트랩부(50) 내로 가루형 식재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분진 필터는 제2 부재(200)와 가동 부재(300) 사이에 설치되고, 제2 부재(200)와 가동 부재(300) 조립된 상태에서 배기 유로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배기 유로를 통과하는 가루형 식재료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분진 필터는 체크 밸브 수용홀(222)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거나, 배기 유로 출구(224)에 설치되어, 이물질 트랩부(50) 내로 유입된 가루형 식재료가 배기 유로 출구(224)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분진 필터는 제2 부재(200)의 포트 접촉면(211) 상에 설치되어, 배기 유로 출구(224)를 통해 배출된 가루형 식재료가 진공 펌프(60)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진공 포트(40)가 제거된 상태(제2 상태)에서는, 개폐 윙(410)의 상부는 대기압 상태이고, 배기 유로는 음압 상태이므로, 압력 차에 의해 개폐 윙(410)은 배기 유로 출구(224)를 폐쇄한다. 따라서, 수용조(21) 내부의 음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를 용기 수용실(11) 내에 위치시킨 후 도어(13)를 닫아 용기 수용실(11)을 폐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진공 펌프(60)를 작동시켜, 수용조(22) 내부를 진공 배기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구동 모터(70)를 작동시켜, 가공 부재(23)를 이용해 수용조(22) 내의 식재료를 가공(예를 들어, 분쇄)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모터(70)가 작동함에 따라 마그넷(72)이 회전하게 되고 가공 부재(23)는 구동 모터(70) 및 마그넷(72)과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마그넷(72)의 자력에 의해 마그넷(72)과 함께 회전하며 수용조(22) 내의 식재료를 가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조(22) 내의 가공 부재(23)가 자력에 의해 회전하므로, 종래의 조리기에서 모터의 출력축과 가공 부재의 회전축을 결합하기 위해 필요했던 노력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용기를 마그넷(72)의 상부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용기의 안착 방향에 관계없이 가공 부재(2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용기에서 가공 부재의 회전축이 모터의 출력축과 결합되기 위해 수용조를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됨에 따른 용기의 밀폐 문제, 회전축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비위생적 문제(예를 들어, 회전축의 회전 구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모 파편)가 해결된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냉열 발생부(82)를 작동시켜, 용기 수용실(11)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수용조(22)에 수용된 식재료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저온 상태에서 식재료를 가공하거나, 가공된 식재료를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도어(13) 등을 통해 용기 수용실(11)의 내부를 폐쇄시킬 수 있으므로,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도 6은 진공 포트가 제2 상태에 위치한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의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도어(13)를 개방하여 용기(20)를 용기 수용실(11)로부터 꺼낼 수 있다.
조리기(1)는 사용자가 도어(13)를 개방하면 진공 포트(40)가 팝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 포트(40)는 제1 상태에서 커버(30)의 배기부(또는 이물질 트랩부(5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도어(13)를 개방한 후 용기(20)를 용기 수용실(11)로부터 꺼내기 전에 진공 포트(40)를 제2 상태로 전환하여야 용기(20)를 쉽게 안전하게 꺼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용기(20)를 용기 수용실(11)로부터 꺼내기 전에 진공 포트(40)를 제2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용기(20)를 꺼낸다면,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용기(20)를 꺼내게 되고, 이 경우 진공 포트(40)와 커버(30) 사이의 밀착력에 의해 용기(20)를 쉽게 꺼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용기(20)를 꺼내는 과정에서 커버(30) 또는 배기부(50)가 수용조(22)로부터 분리되며 수용조(22) 내부의 음식물이 쏟아지거나, 진공 포트(40)가 파손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사용자가 도어(13)를 개방하면 진공 포트(40)가 팝업되며 자동적으로 진공 포트(40)가 제2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리기(1)는 도어(13)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센서에 의해 도어(13)가 용기 수용실(11)을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진공 포트(40)가 팝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공 포트(4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팝업되며 제2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에 탄성 부재는 탄성력을 저장하고, 하우징(10)에는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센서에 의해 도어(13)가 용기 수용실(11)을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유지 수단이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해제하고, 탄성 부재는 저장된 탄성력으로 진공 포트(40)를 팝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와 유지 수단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기계적 구조를 포함하고, 도어(13)가 개방됨에 따라 유지 수단이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해제하고, 탄성 부재는 저장된 탄성력으로 진공 포트(40)를 팝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진공 포트(40)가 팝업되도록 함에 있어서, 탄성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 등의 동력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사용자가 도어(13)를 개방하면 진공 포트(40)가 팝업되며 자동적으로 진공 포트(40)가 제2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진공 포트(40)를 제2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용기(20)를 용기 수용실(11)로부터 꺼낼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1)는 도어(13)가 용기 수용실(11)을 폐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로 유지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지 수단은 도어(13)가 닫힌 상태를 센서가 감지한 경우에만 진공 포트(40)를 제1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와 유지 수단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기계적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유지 수단을 도어가 닫히는 동작에 의해서만 진공 포트(40)를 제1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공 포트(40)가 팝업되도록 함에 있어서, 탄성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 등의 동력원을 사용하는 경우, 동력원은 도어의 닫힘을 전제로 진공 포트(40)를 제1 상태로 전환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리기(1)는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13)가 용기 수용실(11)을 폐쇄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진공 포트(40)가 제2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13)가 닫히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공 포트(40)를 제1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도어(13)가 연계되도록 구성되어, 유지 수단이 진공 포트(40)를 제1 상태로 유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어(13)가 닫힌 상태가 되지 않도록 방해하는 방해 요소가 도어(13)의 개폐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리기(1)는 용기(20)가 용기 수용실(1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베이스(14) 상에 안착되면, 진공 포트(4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20)가 용기 수용실(11) 내에 위치하지 않거나 베이스(14) 상에 안착되지 않은 경우,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로 전환되지 않거나 제1 상태로 유지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가변되는 것은 도어(13)의 개폐 상태와 연동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조리기(1)는 용기(20)가 용기 수용실(11)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베이스(14) 상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진공 포트(40)를 센서의 감지 결과 또는 스위치 상태에 따라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로 유지되지 않도록 하는 방해 요소를 더 포함하고, 조리기(1)는 용기(20)가 용기 수용실(11)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베이스(14) 상에 안착되지 않은 경우, 진공 포트(40)가 제1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해하도록 방해 요소가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해 요소는 용기(20)의 위치에 따라 출몰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0)가 용기 수용실(11)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베이스(14) 상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는 진공 포트(4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로 상에 돌출되어 진공 포트(4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조리기 10: 하우징
11: 용기 수용실 12: 구동부 수용실
13: 도어 14: 베이스
15: 구동부 수용실 측벽 15a: 방열홀
16: 제1 루프 17: 제2 루프
18: 격벽 20: 용기
21: 손잡이 22: 수용조
23: 가공 부재 30: 커버
40: 진공 포트 50: 배기부, 이물질 트랩부
60: 진공 펌프 70: 구동 모터
71: 동력 전달 부재 72: 마그넷
81: 냉각판 82: 냉열 발생부
83: 히트 싱크 84: 방열팬

Claims (10)

  1. 용기 수용실, 상기 용기 수용실의 측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구동부 수용실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도어에 의해 개방된 상기 용기 수용실의 측면을 통해 상기 용기 수용실 내로 반입되거나 상기 용기 수용실로부터 반출되고, 식재료가 투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조;
    상기 수용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배기부가 형성된 커버;
    상기 구동부 수용실에 구비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용기 수용실 내에서 상기 배기부에 밀착되는 제1 상태와 상기 배기부와 이격되는 제2 상태로 가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진공 펌프와 상기 배기부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배기 라인을 포함하는 진공 포트;를 포함하는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와 연동하여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로 가변되는,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도어가 상기 용기 수용실을 개방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조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진공 포트가 상기 제1 상태에 위치하지 않고는 상기 용기 수용실을 폐쇄할 수 없는, 조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도어가 상기 용기 수용실을 폐쇄하지 않고는 상기 제1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 조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용실의 측면은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개폐되는, 조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기체가 상기 배기부 및 상기 배기 라인을 통해 배기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기부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배기 라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트랩부를 포함하는, 조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는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식재료를 가공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가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수용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 부재에 영향을 주는 자력을 제공하는 마그넷; 및
    상기 구동부 수용실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용실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냉각판; 및
    상기 구동부 수용실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판으로 냉열을 전달하는 냉열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열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
KR1020190143948A 2019-11-12 2019-11-12 조리기 KR102257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48A KR102257104B1 (ko) 2019-11-12 2019-11-12 조리기
PCT/KR2019/015639 WO2021095939A1 (ko) 2019-11-12 2019-11-15 조리기
US17/776,176 US20220408976A1 (en) 2019-11-12 2019-11-15 Food proc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48A KR102257104B1 (ko) 2019-11-12 2019-11-12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314A true KR20210057314A (ko) 2021-05-21
KR102257104B1 KR102257104B1 (ko) 2021-05-28

Family

ID=7591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948A KR102257104B1 (ko) 2019-11-12 2019-11-12 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408976A1 (ko)
KR (1) KR102257104B1 (ko)
WO (1) WO2021095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018B1 (ko) * 2021-09-08 2023-10-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152B1 (ko) * 1997-10-07 2000-09-15 전승 화장품 냉장 보관함
WO2013143430A1 (zh) * 2012-03-28 2013-10-03 Wang Xiaodong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JP2014217412A (ja) * 2013-05-01 2014-11-20 株式会社プロスパイン 磁気カップリング式混練機
KR101943098B1 (ko) * 2018-09-14 2019-01-28 이클립스리빙(주) 진공 믹서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949A (en) * 1993-11-30 1995-04-04 Richard D. Ipsen Ice shaving apparatus
US20050023940A1 (en) * 2003-07-28 2005-02-03 Van Beusekom Thomas J. Sound minimizing apparatus
KR101618729B1 (ko) * 2014-06-18 2016-05-09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CN107550218B (zh) * 2017-09-28 2022-10-04 宁波凯普电子有限公司 食品搅拌机
CN208510867U (zh) * 2017-09-30 2019-02-1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隔音罩及用于其的料理机
EP3749157A1 (en) * 2018-02-05 2020-12-16 Koninklijke Philips N.V. Filter and vacuum food processor
CN109419384A (zh) * 2018-07-24 2019-03-05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多功能料理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152B1 (ko) * 1997-10-07 2000-09-15 전승 화장품 냉장 보관함
WO2013143430A1 (zh) * 2012-03-28 2013-10-03 Wang Xiaodong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JP2014217412A (ja) * 2013-05-01 2014-11-20 株式会社プロスパイン 磁気カップリング式混練機
KR101943098B1 (ko) * 2018-09-14 2019-01-28 이클립스리빙(주) 진공 믹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104B1 (ko) 2021-05-28
WO2021095939A1 (ko) 2021-05-20
US20220408976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9705B2 (en) Foreign substance trap device and cooking device using same
KR102096518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US11771265B2 (en)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KR101301367B1 (ko)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US20200281410A1 (en)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KR102257104B1 (ko) 조리기
KR101836074B1 (ko)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
CN213721324U (zh) 排渣装置
CN111281161A (zh) 蒸汽阀及烹饪器具
JP6496394B2 (ja) フードミル
KR102636748B1 (ko) 조리기
KR101401485B1 (ko) 진공기능을 유도하는 쳇크밸브를 구비한 조리되어지는 밀폐냄비.
KR100938237B1 (ko) 구형 압력 추를 갖는 전기압력밥솥 뚜껑
CN212281049U (zh) 蒸汽阀及烹饪器具
KR20220105740A (ko)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KR20200127616A (ko) 조리기 뚜껑
JPH0832251B2 (ja) 電気ジャーポ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