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652A -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6652A KR20210056652A KR1020190143365A KR20190143365A KR20210056652A KR 20210056652 A KR20210056652 A KR 20210056652A KR 1020190143365 A KR1020190143365 A KR 1020190143365A KR 20190143365 A KR20190143365 A KR 20190143365A KR 20210056652 A KR20210056652 A KR 202100566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pole
- piece
- mobile phone
- coupled
- sta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 조립식 및 이동형으로 구성되어 침대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파지된 휴대폰의 위치 및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곡선 형상의 거치 폴대; 상기 거치 폴대의 양 단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기립시키는 기립부; 상기 거치 폴대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거치 폴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타고 이동하는 이동편; 상기 이동편의 외면에 상기 이동편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휴대폰을 파지하는 휴대폰 파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 조립식 및 이동형으로 구성되어 침대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파지된 휴대폰의 위치 및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그를 위한 악세사리나 부속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한편 동영상을 압축하는 기술과 전송하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평상시에도 이동하면서 동영상의 관람이 가능하게 되고 대규모의 모바일 게임의 등장 등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폰을 차량에서 관람할 수 있는 거치대 또는 거실에 설치하는 거치대와 같은 보조기구가 발달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실내에서 편안하게 동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휴대폰용 거치대에 대한 발달은 충분히 이루어지지않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휴대폰 화면의 경우 화면의 크기가 작은 편이어서 일정 이상의 거리가 되면 실제적으로 동영상 관람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81045 등에서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휴대폰 거치대는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없어서 침대 등에서 사용할 수 없는 등 그 사용에 한계가 있고, 분리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편 조립식 및 이동형으로 구성되어 침대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파지된 휴대폰의 위치 및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곡선 형상의 거치 폴대; 상기 거치 폴대의 양 단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기립시키는 기립부; 상기 거치 폴대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거치 폴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타고 이동하는 이동편; 상기 이동편의 외면에 상기 이동편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휴대폰을 파지하는 휴대폰 파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 폴대는, 일측 방향이 절개된 절개부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립부는, 직선 형상의 기립 본체; 상기 기립 본체의 중앙 부분에 상기 기립 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의 말단이 삽입되는 폴대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대 삽입부에는, 상기 거치 폴대의 말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 폴대가 반대 방향으로 이탈시 걸리는 걸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편은, 상기 거치 폴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삽입편; 상기 거치 폴태의 외면을 감싸는 외면 접촉편;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내부 삽입편과 외면 접촉편을 연결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양면 또는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제1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편은, 상기 외면 접촉편의 외면을 음각하여 형성되는 설치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회동편 본체; 상기 회동편 본체의 양 측부 또는 일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면 접촉편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제2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폰 파지부는, 상기 회동편 본체의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설치봉; 상기 설치봉의 말단에 구 형상으로 설치되는 결합구; 상기 결합부 외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편; 상기 결합편의 전면에 결합되며, 휴대폰을 분리가능하게 파지하는 파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편은, 좌우 대칭 형상으로 분리되어 제1 이동편과 제2 이동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이동편과 제2 이동편의 접촉면에는 인력이 발생하는 자석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부에는, 요부와 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에 따르면 거치대 자체가 간편 조립식 및 이동형으로 구성되어 침대 등 다양한 장소에서 별다른 설치 동작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파지된 휴대폰의 위치 및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부와 거치 폴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과 거치 폴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O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과 회동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부와 거치 폴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과 거치 폴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O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과 회동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100)는 도 1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폴대(110), 기립부(120), 이동편(130), 회동편(140) 및 휴대폰 파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거치 폴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을 가지며, 기립되어 휴대폰의 설치 높이를 확보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 폴대(110)는 전체적으로 원호의 일부와 같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다른 곡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 폴대(110)는 구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구성되며,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폴대(110)의 일측 방향이 절개된 구조를 가지며, 이 절개부(112)는 상기 거치 폴대(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 절개부(112)는 상기 이동편(130)의 안정적인 결합 및 이동에 이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립부(12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폴대(110)의 양 단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를 기립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기립부(12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이 한 쌍의 기립부(120)는 상기 거치 폴대(110)의 양 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치 폴대(110)를 기립시킨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립부(120)를 구체적으로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 본체(122), 폴대 삽입부(124) 및 걸림부(12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립 본체(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길이를 가져서 상기 거치 폴대(110)의 안정적인 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기립 본체(122)는 직선 형상이 아니고 'ㄱ' 또는 'ㄷ' 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립 본체(122)는 관 또는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거치 폴대(110)의 안정적인 기립을 위하여 충분한 길이 또는 무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폴대 삽입부(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립 본체(122)의 중앙 부분에 상기 기립 본체(122)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의 말단이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폴대 삽입부(124)는 상기 거치 폴대(110)의 내면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 폴대(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최대한 상기 거치 폴대(110) 내면과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부(1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대 삽입부(124)의 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의 말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탈시 걸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26)는 내부에 용수철과 같은 탄성체(128)에 의하여 외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가 폴대 삽입부(12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밀려서 후퇴하다가 상기 거치 폴대(100)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16)에 다다르면 탄성력에 의하여 돌출되어 상기 거치 폴대(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126)는 그 단면 형상이 부드러운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편(130)은 도 1,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폴대(110)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거치 폴대(11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를 타고 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이동편(130)은 상기 거치 폴대(110)의 곡선 형상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대폰(1)을 다양한 위치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편(130)을 구체적으로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삽입편(132), 외면 접촉편(134), 연결편(136) 및 제1 탄성 가압부(13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내부 삽입편(132)은 전체적으로 원형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거치 폴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 삽입편(132)은 상기 거치 폴대(110)의 내면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로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외면 접촉편(134)은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편(130)이 상기 거치 폴대(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 폴대(110)의 외면을 감싸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외면 접촉편(134)은 전체적으로 원형 관 형상을 가지며, 그 내면은 상기 거치 폴대(110)의 외면 직경보다 약간 큰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36)은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폴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112)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내부 삽입편(132)과 외면 접촉편(134)을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연결편(136)은 봉 형상의 상기 내부 삽입편(132)의 일측과 상기 외면 접촉편(134)의 일측을 상기 내부 삽입편(132)과 외면 접촉편(134)이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편(136)은 상기 내부 삽입편(132)과 외면 접촉편(134) 사이의 간격을 변동 없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12)의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탄성 가압부(13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136)의 양면 또는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12)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1 탄성 가압부(138)는 상기 절개부(112)에 상기 연결편(136)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112)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이동편(130)의 위치가 임의 변동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편(130)의 거치 폴대(110) 상에서의 위치가 더욱 확실하게 임의 변동되지 않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12)의 측면이 요부(114b)와 철부(114a)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절개부(112) 측면이 요부(114b)와 철부(114a)가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면, 상기 제1 탄성 가압부(136)가 일정 간격 이동하면서 상기 요부(114b)에 걸리면서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물론 더 이동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힘을 가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탄성 가압부(138)의 내측에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체(138a)가 구비되어 상기 제1 탄성 가압부(138)를 항상 외측으로 밀고 있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편(140)은 도 1,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편(130)의 외면에 상기 이동편(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이동편(130)이 상기 거치 폴대(11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휴대폰 위치에 자유도를 준다면, 상기 회동편(140)은 상기 거치 폴대(110)의 주위를 회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휴대폰 위치에 자유도를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편(140)을 구체적으로 도 1,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 본체(142)와 제2 탄성 가압부(144)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회동편 본체(142)는 상기 이동편의 설치홈(137)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회동편 본체(142)는 상기 설치홈(137)의 외면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내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설치홈(137)은 상기 외면 접촉편(134)의 외면 중 중앙 부분을 일정한 간격 만큼 음각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전 접촉편(134)의 다른 부분과 사이에 일정한 단턱(139)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 가압부(144)는 상기 회동편 본체(142)의 양 측부 또는 일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면 접촉편(134)의 단턱(139)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2 탄성 가압부(144)는 상기 회동편(140)이 상기 이동편(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면 접촉편(134)의 단턱(139) 부분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회동편(14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탄성 가압부(144)는 내측에 설치되는 용수철 등의 탄성체(146)에 의하여 항상 외측으로 가압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면 접촉편(134)의 단턱(139)면에는 상기 제2 탄성 가압부(144)의 말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부(도면에 미도시)와 철부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동편(14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편(1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편(130A)과 제2 이동편(130B)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편(130)은, 정확하게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 형상으로 분리되어 제1 이동편(130A)과 제2 이동편(130B)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편(130A)과 제2 이동편(130B)의 접촉면에는 인력이 발생하는 자석(도면에 미도시)이 설치되어 이 제1, 2 이동편(130A, 130B)을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이동편(130)의 경우에는 제1, 2 이동편(130A, 130b)을 분리한 상태에서 제1 이동편(130A)에 상기 회동편(140)을 먼저 결합시키고 나머지 제2 이동편(130B)을 상기 회동편(140)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제1 이동편(130A)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폰 파지부(150)는 도 1 또는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편(14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휴대폰(1)을 파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휴대폰 파지부(150)는 휴대폰(1)의 후면을 파지하되, 상기 회동편(140)에 자유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폰 파지부(150)를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봉(152), 결합구(154), 결합편(156) 및 파지 모듈(158)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설치봉(152)은 일단이 상기 회동편 본체(142)의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타단에는 상기 결합구(154)가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154)는 상기 설치봉의 말단에 구 형상으로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결합편(156)이 다양한 각도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편(156)은 상기 결합구(154) 외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도록 결합되며, 그 전면부에 상기 파지 모듈(158)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결합편(156)과 상기 파지 모듈(158)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지 모듈(158)은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편(156)의 전면에 결합되며, 휴대폰(1)을 분리가능하게 파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파지 모듈(158)은 사용자가 휴대폰(1)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도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파지하는 것이며,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지 모듈(158)이 그 전면에 상기 휴대폰(1)의 배면을 점착할 수 있는 점착면(159)을 가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면(159)은 분리시에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접착하는 접착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파지 모듈(158) 내부에는 예비 밧데리(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예비 밧데리는 상기 휴대폰이 상기 파지 모듈(158)에 파지된 상태에서 연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휴대폰과 연결되어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
110 : 거치 폴대 120 : 기립부
130 : 이동편 140 : 회동편
150 : 휴대폰 파지부 1 : 휴대폰
110 : 거치 폴대 120 : 기립부
130 : 이동편 140 : 회동편
150 : 휴대폰 파지부 1 : 휴대폰
Claims (3)
- 곡선 형상의 거치 폴대;
상기 거치 폴대의 양 단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기립시키는 기립부;
상기 거치 폴대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거치 폴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타고 이동하는 이동편;
상기 이동편의 외면에 상기 이동편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휴대폰을 파지하는 휴대폰 파지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폴대는,
일측 방향이 절개된 절개부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는,
직선 형상의 기립 본체;
상기 기립 본체의 중앙 부분에 상기 기립 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의 말단이 삽입되는 폴대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365A KR102329279B1 (ko) | 2019-11-11 | 2019-11-11 | 휴대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365A KR102329279B1 (ko) | 2019-11-11 | 2019-11-11 | 휴대폰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6652A true KR20210056652A (ko) | 2021-05-20 |
KR102329279B1 KR102329279B1 (ko) | 2021-11-19 |
Family
ID=7614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3365A KR102329279B1 (ko) | 2019-11-11 | 2019-11-11 | 휴대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927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0702B1 (ko) * | 2021-06-16 | 2022-11-25 | 박완희 | 스마트폰 거치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0212A (ko) * | 2009-04-02 | 2010-10-12 | 김록곤 | 휴대용 영상기기 받침대 |
WO2013006769A1 (en) * | 2011-07-07 | 2013-01-10 | Cygnus Broadband, Inc. | Communications base station with decision function for distributing traffic across multiple backhauls |
KR20170037258A (ko) * | 2015-09-25 | 2017-04-04 | 김의진 | 침대용 거치장치 |
-
2019
- 2019-11-11 KR KR1020190143365A patent/KR1023292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0212A (ko) * | 2009-04-02 | 2010-10-12 | 김록곤 | 휴대용 영상기기 받침대 |
WO2013006769A1 (en) * | 2011-07-07 | 2013-01-10 | Cygnus Broadband, Inc. | Communications base station with decision function for distributing traffic across multiple backhauls |
KR20170037258A (ko) * | 2015-09-25 | 2017-04-04 | 김의진 | 침대용 거치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https://www.amazon.ae/Laptop-Adjustable-Portable-Workstation-Notebook/dp/B07PFB7ZR9 (2019.07.14.) 1부.*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0702B1 (ko) * | 2021-06-16 | 2022-11-25 | 박완희 | 스마트폰 거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9279B1 (ko) | 2021-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30340B (zh) | 固持裝置 | |
US8967561B2 (en) |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 |
US9995993B2 (en) | Selfie device | |
US20160288730A1 (en) | Mobile Device Mount for Compact Disc Slot | |
US20080267613A1 (en) | Apparatuses and systems for supporting and positioning cameras and other equipment | |
KR20120099992A (ko) | 휴대 단말기의 슬림형 거치대 | |
US4932052A (en) | Self-adjusting headset-handset combination | |
EP3716590A1 (en) | Portable device holder | |
CN109707981B (zh) | 手持式三轴稳定器 | |
KR20210056652A (ko) | 휴대폰 거치대 | |
EP1292126A1 (en) | Floor-mounted camera device | |
KR20180011601A (ko) |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 |
US20140274228A1 (en) | Portable stand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 |
KR101146719B1 (ko) | 거치대 | |
CN213637855U (zh) | 便携式蓝牙自拍杆 | |
CN111050241A (zh) | 可穿戴设备 | |
KR102120437B1 (ko) |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 |
WO2019184049A1 (zh) | 支架结构及支架装置 | |
JP5357104B2 (ja) | 電子ペン | |
KR101904174B1 (ko) | 원터치형 거치대 | |
CN221577995U (zh) | 一种可伸缩鼻腔异物钩及手术器械 | |
KR200482913Y1 (ko)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 | |
JP3201014U (ja) | 携帯情報端末用のアクセサリセット体および三脚。 | |
JPH0141213Y2 (ko) | ||
CN212787769U (zh) | 耳机收纳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