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279A - 개복숭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개복숭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279A
KR20210056279A KR1020200148862A KR20200148862A KR20210056279A KR 20210056279 A KR20210056279 A KR 20210056279A KR 1020200148862 A KR1020200148862 A KR 1020200148862A KR 20200148862 A KR20200148862 A KR 20200148862A KR 20210056279 A KR20210056279 A KR 20210056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health functional
functional food
pe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666B1 (ko
Inventor
장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도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도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도담
Publication of KR2021005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복숭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Health Functional beverage composition, Health Functional beverage comprising same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개복숭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복숭아는 자연 상태에서 서식하는 야생 복숭아를 일컫는 것으로, 일명 돌복숭아라고도 한다. 개복숭아와 일반 복숭아는 원조는 같다고 할 수 있으나, 개복숭아는 자연 상태에서 자라는 야생임에 반하여, 일반 복숭아는 사람에 의하여 개량도 되고, 화학비료 등을 사용하여 재배되어 온 것이어서, 그 크기와 맛, 그리고 함유된 성분들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
개복숭아의 꽃, 잎, 줄기 또는 씨는 관절염 등에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민간요법을 통해 전해지고 있고, 개복숭아의 꽃이나 열매에는 제3인산칼슘과 제1인산칼슘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개복숭아 열매는 니아신, 나트륨, 당질, 베타카로틴, 비타민A, 비타민BA,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C, 비타민E, 식이섬유, 아연, 엽산, 인, 지질, 철분, 칼륨, 칼슘 및 회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개복숭아 잎은 비염의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개복숭아 잎은 기침, 천식 등에 대한 상승효과 및 피부개선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동의보감'과 '향약구급방'에서는 개복숭아의 효능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개복숭아는 어혈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도우며, 막힌 명치를 풀어주고, 월경통에 좋다. 또한, 구토를 멎게 하고 위장을 편안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도 역시 성대보호, 감기 예방, 염증 예방, 변비예방, 통증완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또한 '약이되는 우리 풀, 꽃, 나무'214페이지 (한문화, 최진규저-한국토양약초연구소 소장)를 보면 책에서도 객관적인 데이터와 임상 실험으로 그 효능이 입증되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더욱이 책에서는 “개복숭아의 효능이 일반복숭아에서는 찾아 볼 수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 라는 문구가 서술되어 있다.
개복숭아는 주로 들과 산에서 자라는 야생복숭아로써, 흔히 매실과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우리가 알고 있는 복숭아와는 그 외관에서부터 차이점이 다르다. 개복숭아의 열매 크기는 3 ~ 4cm의 지름을 가지며, 나무는 3 ~ 5m의 크기로 자란다. 열매는 8월~9월쯤 수확한다. 이와 같이 개복숭아잎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나, 대부분은 낙엽으로 버려지거나 민간요법상 관절염 등의 치료제로써 소규모로 이용되는 사례가 간간히 보고되고 있을 뿐 산업적인 규모로 이용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또한, 미국 농림부 자료에 의하면 현재 미국인들의 일일 평균 루테인 섭취량은 약 1.7 mg, 유럽인들은 약 2.2 mg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수치는 백내장과 AMD와 같은 눈 질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수준에 미치치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최근 식사보조제 및 특정 식품과 음료 성분에 루테인을 첨가하여 활용하는 형태가 증가됨에 따라 미국과 유럽에서 루테인의 섭취량을 보다 효과적인 수준으로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된 바있다.
이에 본 발명가들은 일상 생활에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고, 장기간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으며, 독성이 없고, 황반 변성 방지함께 위염을 방지할 수 있는 조성물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 공개특허문헌 제10-2010-0132101호
본 발명은 개복숭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개복숭아를 추출 용매로 추출한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정제수; 및 한약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로, 상기 한약재 혼합물은 홍삼, 지황, 우슬, 당귀, 황백, 창출, 황기, 오미자, 백삼, 백출, 산약, 두충, 구기자 및 토사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통상의 방법으로 법제 및 건조한 후 미세분말로 분쇄한 것이며, 상기 제1 유효 추출액은 마리골드 추출액 및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효 추출액은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 중량% 기준 15 중량% 이상 2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은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중량% 대비 1중량% 내지 5중량%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제1 유효 추출액 100 중량% 기준 상기 마리골드 추출액 20 중량% 내지 40 중량% 및 상기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60 중량% 내지 80 중량%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애엽 추출액; 갈근 추출액 및 은행엽 추출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액을 더 포함하는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및 갈근 추출액을 포함하는 제2 유효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효 추출액은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100중량% 대비 20중량% 이상 35중량% 이하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은행엽 추출액을 포함하는 제3 유효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효 추출액은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100중량% 대비 30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감미료, 조미료,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를 함유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알코올, 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는 비타민 복합제, 드링크제, 음료, 캡슐제, 현탁액, 겔제제 및 콜로이드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개복숭아의 핵을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하고,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3 내지 7시간씩 2회에 걸쳐 추출한 수층을 여과하여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통해 2회에 걸쳐 추출된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여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이 회수 제거된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수욕상에서 80 내지 150℃의 온도조건으로 1 내지 5시간 가열을 통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건조를 통해 제2 개복숭아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제2 개복숭아 추출액 1 내지 5중량%와 제1 유효 추출액 15 내지 25중량%을 정제수로 혼합하여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포장용기에 포장하여 80℃ 내지 95℃온도로 30분 내지 50분 동안 농축하여 진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 5 내지 50 중량%와 70% 에탄올 50 내지 9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70 내지 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1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한 번 추출한 개복숭아에 1차와 동일량의 70% 에탄올을 투여하여 70 내지 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1차 개복숭아 추출액과 상기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건강 기능성 식음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의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개복숭아 추출액을 기본 베이스로, 루테인을 포함하는 마리골드 추출액 및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헤마토코쿠스를 동시에 포함하는 제1 유효 추출액을 특정 함량부 포함함에 따라, 위장 질환 개선과 동시에 눈의 피로 회복에 탁월한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의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설탕, 의약품 등의 인공 물질 대신 단맛을 낼 수 있는 개복숭아 추출액 및 각종 천연 추출액을 포함하여,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으며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스틱(stick) 형으로 복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명세서의 추출액은 사전상 정의를 따르며, 특정 물질 또는 상태 속에서 뽑아낸 액체 상태의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농축액은 사전상 정의를 따르며, 증발이나 기타 처리 공정을 통하여 수분 또는 용매의 함량을 줄인 액체 상태의 물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진액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추출물은 사전상 정의를 따르며, 추출액에 있어 특정의 성분을 농축하여 얻는 것으로서, 특정의 활성 성분을 적당한 용매로 분리하고, 용매를 완전히 또는 대부분 증발시켜 남은 덩어리나 분말을 기준에 따라서 조정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추출물은 세 가지 형, 즉 반유동체(半流動體) 또는 시럽상, 환약상(丸藥狀) 또는 고형(固形), 건조된 분말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과육은 사전상 정의를 따르며, 과실 또는 과일의 내부 구조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과실 또는 과일에서 씨앗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살을 의미할 수 있고, 실 또는 과일에서 실제 식물로 성장해야 하는 씨앗 부위를 제외한, 실제 동물이 먹을 수 있는 당분과 수분이 많은 부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열매살과 동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음료(functional beverage)”이란 특정 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use, FoSHU)을 음료 또는 드링크제 형태로 변경한 것 외에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 조절 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양소를 조정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은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Health Functional beverage)”이란 일반 식음료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 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음료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일상 생활에서 획득할 수 있는 건강 보조 목적의 식음료를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 식품 또는 건강 보조 식품의 용어가 호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 기능성 식음료로 표현하였지만, 식음료는 식품으로도 표현될 수 있으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변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비타민 복합제, 음료, 껌 또는 드링크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개복숭아를 추출 용매로 추출한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정제수; 및 한약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 추출액은 마리골드 추출액 및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효 추출액은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 중량% 기준 15 중량% 이상 2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 추출액은 마리골드 추출액 및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효 추출액은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 중량% 기준 16 중량% 이상 24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7 중량% 이상 23 중량%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유효 추출액”이라는 것은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중 특정의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 또는 추출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이 상기 함량의 제1 유효 추출액을 포함함에 따라, 기관지 조직의 염증 회복에 우수한 효과를 가져, 가래, 기침 등 기관지 염증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기도 저항을 감소시켜 호흡 개선에 탁월한 특징을 갖게 되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은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중량% 대비 1중량%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2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복숭아 추출물을 상기 중량부로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에 포함하는 경우 위장장애의 개선과 동시에 한약재가 포함되어 쓴맛을 낼 수 있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에 단맛 및 향미를 우수하게 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 제1 유효 추출액에 포함되는 마리골드 추출액은 일반적으로는 감기로 인해 생기는 근육통을 풀어 주며, 열이 심해 땀을 내고자 할 때 마시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위염이나 위궤양 등의 소화기 계통의 병을 예방하는데 저먼카모마일과 섞어 마시면 잘 맞으며 방부성이 있고 염증을 가라앉히며 건성 피부와 민감성 피부, 특히 햇볕에 탄 피부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본 출원에 따른 마리골드 추출액은 루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마리골드 꽃으로부터 천연물 추출물의 통상의 일반적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열수 추출법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법일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으로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효 추출액에 포함되는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은 건강기능식품공전 내에 눈의 피로도개선으로 기능인정된 원료이다. 여기서 지표성분인 아스타잔틴(Astaxanthin)의 효과가 눈의피로 개선에 도움이 되는 성분이다. 아스타잔틴(Astaxanthin)의 중요 4대 작용은 우선 노화방지제(antioxidant)역할로 DNA, 단백질, 지질막을 손상시켜 노화의 원인이 되는 자유라디칼 (Hydroxyl, Peroxyl radicals)과 활성 산소종(Singlet Oxygen)은 신진대사 과정에서 발생 손상으로부터 다른 분자와 조직을 보호하고 Singlet oxygen의 활성 에너지를 흡수 (강력한 항산화제) 지방산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의 사슬 반응을 억제 과산화로부터 인지질과 다른 지질 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이 제1 유효 추출액만 포함하는 경우 위장장애, 혈관 축소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 유효 추출액의 함량부를 상기와 같이 특정 함량부로 조절하고, 천연 추출액인 개복숭아 추출액을 특정 함량부 포함하고, 설탕을 대신하여 단맛을 냄과 동시에 위장장애의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 추출액 100 중량% 기준 상기 마리골드 추출액 20 중량% 내지 40 중량% 및 상기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60 중량% 내지 80 중량%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 추출액 100 중량% 기준 상기 마리골드 추출액 20 중량%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3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 추출액 100 중량% 기준 상기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60 중량%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62 중량% 내지 7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중량%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제1 유효 추출액이 상기와 같이 각각의 조성 및 함량을 포함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 및 노인성 황반변성에 특히 탁월한 효과를 갖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이란 신체의 노화에 따라 황반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시력이 떨어지거나 상실되는 눈의 질환을 의미한다.
즉 본 출원에 따른 제1 유효 추출액은 상기와 같이 마리골드 추출액 및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포함하며, 특히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마리골드 추출액보다 많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기관지 개선효과와 더불어 황반 변성 및 항산화 효과에 특히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됨을 확인하였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애엽 추출액; 갈근 추출액 및 은행엽 추출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액을 더 포함하는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애엽은 쑥(Artemisia mongolica, A. asiatica, A. princeps var. orientalis, A. argyi, A. montana 등)은 국화과 (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대한약전외약(생약)규격집에서는 상기 쑥의 잎 및 어린줄기를 일컬어 애엽(艾葉, Artemisiae argyi Herb)이라 지칭하고 있다. 즉, 본 출원에 따른 애엽 추출물은 천연의 쑥의 잎 및 줄기를 통상의 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 원액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갈근은 콩과 (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만경식물인 칡 (Pueraria thunbergiana BENTH)의 괴경을 칭하는 것으로 푸에라린(puerarin), 푸에라린 자일로스 (puerarin xylose), 디이드진(daidzein), 시토스테롤 (sitosterol) 등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혈류증가작용, 진경작용, 해열작용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본 출원에 따른 갈근 추출물은 천연의 칡 줄기를 통상의 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 원액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은행엽은 은행나무의 잎을 의미하며, 은행엽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 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및 갈근 추출액을 포함하는 제2 유효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효 추출액은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중량% 대비 20중량% 이상 35중량% 이하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은행엽 추출액을 포함하는 제3 유효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효 추출액은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중량% 대비 30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효 추출액은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중량% 대비 21중량% 이상 3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이상 34중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7중량% 이상 33중량%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이 개복숭아 추출액 및 제1 유효 추출액을 기본으로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갈근 추출액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2 유효 추출액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 유효 추출액이 상기 중량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식음료의 향미가 우수하고, 특히 세포내 콜라겐 생성의 증가로 인한 피부 재생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되며, 특히 기관지의 염증 완화에 탁월한 효과를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은행엽 추출액을 포함하는 제3 유효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효 추출액은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중량% 대비 30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유효 추출액은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중량% 대비 30중량% 이상 4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5중량%이상 43중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7중량% 이상 40중량%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이 개복숭아 추출액 및 제1 유효 추출액을 기본으로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애엽 및 은행엽 추출액 추가로 포함하여 제3 유효 추출액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3 유효 추출액이 상기 중량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식음료의 위장 장애 개선에 특히 탁월한 효과를 갖게 된다.
즉, 본 출원의 발명자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의 경우 “유효 추출액”으로 표현되는 성분 및 이의 함량부를 특정 범위로 조정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특정의 효과를 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은 니아신, 항산화 물질 및 아미그달린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물질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발효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등과 같이 산화작용으로 손상된 피부 기능과 구조가 파괴되고 소진되는 현상을 상당 정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능력을 갖는 항산화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아세트아미도카프로산(acetamidocaproic acid), 아세틸 벤조일옥시 프라스테론(acetyl benzoyloxy prasterone), 아세틸시스테인(acetyl cysteine), 2-아세틸하이드로퀴논(2-acetylhydroquinone), 아다만타닐카르보사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adamantanylcarboxamido hydroxylbenzamide), 아미노에탄설핀산(aminoethanesulfinic acid), 아미노프로필 아스코빌 포스페이트(aminopropyl ascorbyl phosphate), 안고로사이드 C(angoroside C), 안세린(anserine), 어파제닌(apigenin), 알부틴(arbutin), 알파-알부틴(alpha-albutin),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벤조쿠안아민(benzoquanamine), BHA(butylhydroxyanisol),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비스-하이드록시에틸토코페릴석시노일아미도하이드록시프로판(bishydroxyethyl tocopherylsuccinoylamido hydroxypropane), 비스-테트라메틸 하이드록시피레리디닐 세바케이트(bis-(tetramethyl hydroxypiperidinyl) sebacate), 부틸레이티드 크실레놀(butylated xylenol), t-부틸베즈아마이도 하이드록시벤자마이드(t-butylbenzamido hydroxylbenzamide), 4-부틸레조시놀(4-butylresorcinol), 카페인산(caffeic acid), 아스코르빈산칼슘(calcium ascorbate),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키토산 아스코르베이트(chitosan ascorbate),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 코발트 디엔에이(cobalt DNA), 쿠퍼 ATP(copper adenosine triphosphate), 쿠퍼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copper pyridoxal 5-phosphate), 커큐민(curcumin), 시스테인(cysteine),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ysteine HCl), 데카펩타이드-6(decapeptide-6), 데카펩타이드-7(decapeptide-7), 데쿠시놀(decursinol), 데실 머캡토메틸이미다졸(decylmercaptomethylimidazole), 디아밀하이드로퀴논(diamylhydroquinone), 디-t-부틸하이드로퀴논(di-tbutylhydroquinone), 디세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cetyl thiodipropionate), 디사이클로펜타디엔/t-부틸크레솔 코폴리머(dicyclopentadiene/t-butylcresol copolymer), 디갈로일 트리올레이트(digalloyl trioleate), 디이소옥틸 세바케이트(diisooctyl sebacate),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메톡시벤즈아미도 페닐하이드록실아세타마이드(dimethoxybenzamido phenylhydroxylacetamide, 디메톡시 디p-크레졸(dimethoxy di-p-cresol), 디메틸메톡시 크로만올(dimethylmethoxy chromanol),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디올레일 토코페릴 메틸실란올(dioleyl tocopheryl methylsilanol), 디오스민(diosmine), 디레티닐 에테르(diretinyl ether), 디쇼듐 아스코빌 설페이트(disodium ascorbyl sulfate),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도데실 갈레이트(dodecyl gallate), 두날리엘라 바다윌(dunaliella bardawil) 분말, 엘라그산(ellagic acid),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에르고티오네인(ergothioneine), 비파나무 잎 원형질체(eriobotrya japonica leaf protoplasts), 에리소프빈산(erythorbicacid),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스 클로라이드(ethylbisiminomethylguaiacol manganese chloride),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 에틸헥실 페룰레이트 (ethylhexyl ferulate), 페눌산(ferulicacid), 페룰로일 소이 글리세라이드(feruloyl soy glycerides), 퍼퍼릴 팔미테이트(furfuryl palmitate), 게니스테인 글루코사이드(genistein glucoside), 은행 잎 테르페노이드(ginkgo leaf terpenoids), 글루코실루틴(glucosylrutin), 글리세릴 크로모닐 에테르(glyceryl chromonyl ether), 글리세릴 디 페룰레이트(glyceryl diferulate), 헤스페레틴(hesperetin), 헥실록시 트리메틸페놀(hexyloxy trimethylphenol), 호노키올(honokiol), 하이드롤라이즈드 프로안토시아니딘(hydrolyzed proanthocyanid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p-하이드록시아니솔(p-hydroxyanisole), 하이드록시데실 유비키논(hydroxydecyl ubiquinone), 하이드록시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hydroxylamine HCl), 하이드록시아민 설페이트(hydroxylamine sulfate), 하이드록시페닐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hydroxyphenyl dihydroxybenzamide), 이노시놀 헥사나이아시네이트 헥사아스코베이트(inositol hexaniacinate hexaascorbate), 이소옥틸 카프리레이트/카프레이트(isooctyl caprylate/caprate), 이소옥틸 티오글리콜레이트(isooctyl thioglycolate),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캠프페롤(kaempferol), 코직산(kojic acid), 코질 글루코사이드(kojyl glucoside),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홍차 추출물(kou-cha ekisu), 리코펜(lycopen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마그네슘 아스코베이트(magnesium ascorbate), 마그놀롤(magnolol), 망가네이즈 ATP(manganese adenosine triphosphate), 마트린(matrine), 멜라토닌(melatonin), 메톡시 PEG-7 아스코빈산(methoxy PEG-7 ascorbicacid), 메톡시트리메틸페닐 디하이드록시페닐 프로판올(methoxytrimethylphenyl dihydroxyphenyl propanol), 메틸-디-t-부틸 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methyl 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메틸렌 디-t-부틸크레솔(methylene di-t-butylcresol), 메틸-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클리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crosspolymer), 메틸 미리스트산(methyl myristic acid), 니아신아마이드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niacinamide hydroxybenzoate), 닉토플로린(nictoflorin),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nordihydroguaiaretic acid), 옥타니코티노일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octanicotinoyl epigallocatechin gallate), 옥타펩타이드-4(octapeptide-4), 올리고펩타이드28(oligopeptide-28), 패오놀(paeonol), 팔마틴(palmatine), PEG/PPG-2/5 토코페릴 에테르(PEG/PPG-2/5 tocopheryl ether), 페리릴 알코올(perillyl alcohol), 페네틸 카페이트(phenethyl caffeate), 페닐에틸 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페닐티오글리콜산(phenylthioglycolic acid), 플로레틴(phloretin),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피세아타놀 (piceatannol), 피퍼롱구미닌(piperlonguminine), 포피리듐 폴리사카라이드(porphyridium polysaccharide), 포타슘 아스코빌 토코페릴 포스페이트(potassium ascorbyl tocopheryl phosphate), 포타슘 설파이트(potassium sulfite), PPG-2 토코페레스-5(PPG-2 tocophereth-5),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프로토카테추이칼데하이드(protocatechuicaldehyde), 푸에라린(puerarin), 피리독신 하이드로벤조에이트(pyridoxine hydroxybenzoate), 피리딜옥사이드 t-부틸니트론(phridyloxide t-butylnitrone), 퀘세틴(quercetin), 레사케토페논(resacetophenone), 레조르시놀(resorcinol),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레티닐 포르밀 아스파라메이트(retinyl formyl aspartamate),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루틴(rutin), 루티닐 숙시네이트(rutinyl succinate), 녹차 추출물(ryoku-cha ekisu), 살나세딘(salnacedin), 소듐 아스코베이트(sodium ascorbate), 소듐 설파이트(sodium sulfite), 소듐 토코페릴 포스페이트(sodium tocopheryl phosphate), 소듐 에시쏘베이트(sodium erythorbate), 소듐 포스포노-피리독시리데네르호다닌(sodium phosphono-pyridoxylidenerhodanine), 서듐 티오글리코레이트(sodium thioglycolate), 소듐 징크 히스티딘 디티오옥타아마이드(sodium zinc histidine dithiooctanamide), 소프비틸 퍼퍼랄(sorbityl furfural), 스테아릴갈레이트(stearyl gallate), 숙시노일 아스코베이트 펜타펩타이드-6(succinoyl ascorbate pentapeptide-6), 탄제리틴(tangeritin), TBHQ(tert-butylhydroquinone]), 테트라부틸 에틸리딘비스페놀(tetrabutyl ethylidinebisphenol), 테트라하이드로디메톡시페룰로일메탄(tetrahydrodemethoxydiferuloylmethane),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디아세테이트(tetrahydrocurcumin diacetate), 테트라하이드로디페러로일메탄(tetrahydrodiferuloylmethane), 테트라메틸부틸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tetramethylbutyl dihydroxybenzamide), 테트라메틸크로만올 글루코사이드(tetramethylchromanol glucoside), 티옥산(thiocticacid), 티오디글리콜(thiodiglycol), 티오락틱산(thiolactic acid), 티오살리실산(thiosalicylic acid), 티오아우린(thioaurine), 티몰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토코사이스테아마이드(tococysteamide), 토코페레쓰-5(tocophereth-5),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르솔란(tocophersolan),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토코퀴논(tocoquinone), 톨루엔(toluene), o-톨릴 비구아나이드(otolyl biguanide), 토타롤(totarol), 트리프로필렌 글리콜(triprophylene glycol), 트리스- BHT 메시틸렌(tris-BHT mesitylen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phosphate), 트리소듐 아스코빌 이소팔미테이트 포스페이트(trisodium ascorbyl isopalmitate phosphate), 티로실 히스디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tyrosyl histidine HCl), 유비퀴놀(ubiquinol), 유비퀴논(ubiquinone), 참갈파래 분말(ulva lactuca powder), 우롱차 추출물(uuron-cha ekisu), 크실릴 디부틸벤조퓨라논(xylyl dibutylbenzofuranone), 징크 ATP(zincadenosine triphosphate),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butyldithiocarbamate), 징크 ㅍ럭토스 디포스페이트(zinc fructose diphosphate), 징크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zinc pyridoxal 5-phosphate)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항산화 물질은 아세트아미도카프로산(acetamidocaproic acid), 아세틸 벤조일옥시 프라스테론(acetylbenzoyloxy prasterone), 아세틸 시스테인(acetyl cysteine), 2-아세틸하이드로퀴논(2-acetylhydroquinone), 아다만타닐카르보사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adamantanylcarboxamido hydroxylbenzamide), 아미노에탄설핀산(aminoethanesulfinic acid) 및 아미노프로필 아스코빌 포스페이트(aminopropyl ascorbyl phosph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알코올, 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Ca-Cb라는 것은, 탄소수 a 내지 탄수소 b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20%(v/v) 내지 55%(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v/v) 내지 50%(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v/v) 내지 45%(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에탄올 수용액 중의 에탄올이 하한 값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개복숭아의 유효 성분 추출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고, 에탄올 수용액 중의 에탄올이 상한값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최종 수득되는 개복숭아 에탄올 추출 후 수득된 추출물의 효과가 저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감미료, 조미료,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를 함유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츠,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 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이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또는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또는 판토텐산(panthotenic ai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또는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또는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는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 나트륨, 살리실산 또는 데히드로초산 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 고도 표백분 또는 차아염소산 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틱히드록시아니졸(BHA) 또는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 착색제(타르 색소 등), 박색제(아질산 나트륨 또는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 (아황산 나트륨 등), 조미료(글루타민 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또는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또는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또는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검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한약재 혼합물은 인체 기초대사를 원활하게 하며, 섭취물의 인체 흡수율과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비타민 복합제, 드링크제, 음료, 캡슐제, 현탁액, 겔제제 및 콜로이드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현탁액 또는 겔제제로 사용될 수 있고, 스틱(stick)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건강 기능성 식음료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복숭아의 핵인 씨를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3 내지 7시간씩 2회에 걸쳐 추출한 수층을 여과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한다. 이때, 개복숭아는 완전히 익지 않는 상태인 미숙의 개복숭아를 사용하였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개복숭아의 핵을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하고,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3 내지 7시간씩 2회에 걸쳐 추출한 수층을 여과하여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통해 2회에 걸쳐 추출된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여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이 회수 제거된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수욕상에서 80 내지 150℃의 온도조건으로 1 내지 5시간 가열을 통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건조를 통해 제2 개복숭아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제2 개복숭아 추출액 1 내지 5중량%와 제1 유효 추출액 15 내지 25중량%을 정제수로 혼합하여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포장용기에 포장하여 80℃ 내지 95℃온도로 30분 내지 50분 동안 농축하여 진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 5 내지 50 중량%와 70% 에탄올 50 내지 9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70 내지 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1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한 번 추출한 개복숭아에 1차와 동일량의 70% 에탄올을 투여하여 70 내지 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1차 개복숭아 추출액과 상기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2회에 걸쳐 추출된 개복숭아 추출액은 혼합하여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개복숭아 추출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No.5 여과지를 이용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을 여과하여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을 통해 에탄올이 회수 제거된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은 수욕상에서 가열 농축을 통해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가열조건을 80 내지 150℃의 온도조건으로 1 내지 5시간 가열을 통해 개복숭아 추출액을 가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한 후에는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 건조를 통해 제2 개복숭아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처럼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 건조를 통해 제2 개복숭아 추출액을 제조한 후에는 상기 수득된 제2 개복숭아 추출액 1 내지 5중량%와 제1 유효 추출액 15 내지 25중량%을 정제수로 혼합하여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포장용기에 포장하여 80℃ 내지 95℃온도로 30분 내지 50분 동안 농축하여 진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건강 기능성 식음료를 제조한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20%(v/v) 내지 55%(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v/v) 내지 50%(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v/v) 내지 45%(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에탄올 수용액 중의 에탄올이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개복숭아의 유효성분 추출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고, 에탄올 수용액 중의 에탄올이 상한값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최종 수득되는 개복숭아 에탄올 추출 후 수득된 추출물의 피부 기능 개선 효과가 저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은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 100 중량부를 기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마리골드 추출액은 마리골드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마리골드 추출액 100 중량부를 기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은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마리골드 추출액 100 중량부를 기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갈근 추출액은 갈근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갈근 추출액 100 중량부를 기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은행엽 추출액은 은행엽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은행엽 추출액 100 중량부를 기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애엽 추출액은 애행엽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애엽 추출액 100 중량부를 기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제조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 제조예 >
각 종의 추출액의 제조
[ 제조예 1-1]- 개복숭아 추출액의 제조
전북 완주군에서 생산된 개복숭아를 구입하여 씨를 제거 하고 정제수로 세척한 후 음건하고 일반적으로 공지 된 추출 공정을 통해 제조한다. 음건된 과육을 취해 파우더로 형태로 분쇄한 뒤 과육의 2.5배로 95% 에탄올을 더하여 5시간씩 2회, 교반기(AGI 교반기, PLHP 400HS Poong Lim. Co)를 이용하여 250RPM으로 추출한다. 추출 후 6시간을 침지시킨후 여과지(Advantec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며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한다 (Rotary Vacuum Evaporator 감압농축기, 대한과학). 농축된 추출물의 장기 보관과 최종 화장료 조성물로써의 혼합의 용이함을 위하여 초저온냉동고 (Deep Freezer 그대로, ILSHIN Lab Co., Ltd)를 이용하여 급속 냉동하여, 동결건조기 (Freez dryer 본듸로, ILSHIN Lab Co., Ltd)를 이용하여 1.5토르(Torr)의 진공도에서 -60℃의 온도에서 건조한다. 동결건조된 개복숭아 추출물의 수득률은 원물대비 1.8%이다.
상기 동결건조된 개복숭아 추출물이 20 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를 용매로써 76.0%의 중량, 보존제의 기능을 위하여 1,2-헥산다이올 4%의 중량을 사용하여 최종 개복숭아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2-1]- 마리골드 추출액의 제조
마리골드 추출물은 종근당건강 제약에서 구입하였다. 마리골드 추출물의 경우 마리골드 추출물 100%의 건조된 분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후 마리골드 동결 건조 추출물이 50.0 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를 용매로써 50%의 중량을 사용하여 최종 마리골드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3-1]-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의 제조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은 종근당건강 제약에서 구입하였다.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의 경우 헤마토코쿠스 추출물 100%의 건조된 분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후 헤마토코쿠스헤마토코쿠스 동결 건조 추출물이 50.0 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를 용매로써 50%의 중량을 사용하여 최종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4-1]- 갈근 추출액의 제조
갈근은 퓨어마인드제약 (경북, 영천)에서 구입하였으며 시료는 서원대학교 공동실험실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약재는 500g을 측정하여 70% (v/v) 에탄올 용매 1,500 mL에 담가 냉침한 뒤 여과하여 보틀에 포집하였고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72시간 농축한 이후에 10일간 동결건조 하여 갈근 동결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갈근 원물 대비 최종 수율은 18.4% 확인하였다.
상기 갈근 동결 건조 추출물이 1.0 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를 용매로써 95%의 중량, 보존제의 기능을 위하여 1,2-헥산다이올 4.0%의 중량을 사용하여 최종 갈근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5-1]- 은행엽 추출액의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된 은행엽은 강원도 평창에서 채취한 것이며, 은행엽 100 g에 50% 에탄올 2.7 ℓ를 넣고, 항온조(water bath, 동서과학 DS-SWB-4)를 이용하여 6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한 여과액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BUCHI Rotavapor R-144, swizerland)를 이용하여 농축액을 얻고, 다시 이를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은행엽 100%의 분말을 얻었다.
이후, 식용가능한 정제수에 은행엽 분말을 혼합하였으며, 최종 은행엽 추출액 내의 은행엽 추출물의 농도는 약 20%로 확인할 수 있었다.
[ 제조예 6-1]- 애엽 추출액의 제조
애엽 건조 분말(머쉬텍 사)에 대하여, 상기 건조 중량의 7~8배 가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50℃에서 1500psi의 압력으로 3일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모듈 스핀(Modul spin) 건조 및 농축 시스템(Biotron Corporation)으로 40℃에서 24시간 동안 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액을 교반시키면서, 농축된 추출액 중량의 약 10배의 정제수를 적가하고, 5℃에서 30분간 방치 후, 진공 여과를진행하여 석출되는 분말을 얻었다.
이 후 식용가능한 정제수에 애엽 분말을 혼합하였으며, 최종 애엽 추출액 내의 애엽 추출물의 농도는 약 20%로 확인할 수 있었다.
- 제1 유효 추출액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마리골드 추출액 및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하기 표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1 유효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마리골드 추출액 (중량%) 헤마토코쿠스 추출액 (중량%)
제조예 A 30 70
제조예 B 35 65
제조예 C 40 60
제조예 D 60 40
-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식음료)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각 종의 추출액을 기초로 하기 표 2의 조성 및 함량으로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식음료)을 제조하였다.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갈근
추출액
애엽/은행엽 추출액 기타
(정제수+한약재)
실시예 1 4.5 중량부 제조예 A 20 중량부 - - 75.5 중량부
실시예 2 4.5 중량부 제조예 B 20 중량부 - - 75.5 중량부
실시예 3 4.5 중량부 제조예 C 20 중량부 - - 75.5 중량부
실시예 4 4.5 중량부 제조예 D 20 중량부 - - 75.5 중량부
실시예 5 2 중량부 제조예 A18 중량부 9 중량부 - 71 중량부
실시예 6 2 중량부 제조예 B18 중량부 9 중량부 - 71 중량부
실시예 7 2 중량부 제조예 B18 중량부 15 중량부 - 65 중량부
실시예 8 3 중량부 제조예 A21 중량부 - 4중량부/5중량부 67 중량부
실시예 9 3 중량부 제조예 B21 중량부 - 10중량부/14중량부 52 중량부
실시예 10 2 중량부 제조예 A18 중량부 9 중량부 6중량부/6중량부 59 중량부
비교예 1 2 중량부 - - - 98 중량부
비교예 2 10 중량부 제조예 A26 중량부 - - 64 중량부
비교예 3 0.5 중량부 제조예 A10 중량부 - - 89.5 중량부
비교예 4 - 제조예 A
30 중량부
- - 70 중량부
비교예 5 30 중량부 제조예 D
30 중량부
15 중량부 - 25 중량부
상기 표 2와 같은 조성 및 함량을 갖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식음료)에 대하여, -10℃의 냉장 상태에서 1일 보관 후, 최종의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획득하였다.
< 제형예시 -1>
상기 냉장된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식품 보존료(예를 들어, 안식향산나트륨)0.001mg을 포장재에 담아 건강 기능성 식음료의 제조를 위한 음료 베이스 제품으로 제조하였다.
< 제형예시 -2>
상기 냉장된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스틱형 포장재에 담아 밀봉하여 점성 음료 및 점성 시럽 제품으로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기관지 조직 염증에 미치는 영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음료로 기관지 기능 개선 여부를 실험하였다. 실험은, BALB/C 4주령 마우스의 암컷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Ovalbumin, alum 등은 SIGMA (St. Louis,US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주에서 4주 정도 된 암컷 BALB/c 마우스((주)오리엔트바이오, 경기도 성남)를 1일과 15일에 aluminum hydroxide (alum)로 흡착된 20 ug/마우스의 난알부민(ovalbumin, OVA, Sigma)를 복강 주사하여 감작시키고, 7일 후에 마우스에 OVA 분무하여 3번 재감작 시켜, 기관지 천식 동물모델을 만들었다.
기관지 천식 동물모델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결과물을 0.1mg/kg씩 7일간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하였다.
조직검사를 위해, BAL을 수행한 후 고정액 (4 % paraformaldehyde in PBS)을 lavage catheter로 주입하고, 폐조직을 제거하여 4시간 더 추가 고정하였다. 이후 이를 paraffin에 넣은 후, 4 절편 hematoxylineosin(H&E)으로 염색하고 검경하였다. 알러지성 기관지 천식은 기도의 협착 및 기관지에 염증성 세포의 침윤과 goblet 세포가 형성되어 점액을 분비하며 콜라젠의 침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0을 투여한 기관지는 정상 집단보다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기도의 협착 및 염증성 세포의 침윤이 현저하게 감소된 양상을 보였으며,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기관지는 정상 집단과 비슷한 수준을 보여 염증 개선과 관련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0의 식음료는 기관지 조직 염증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기도 저항 평가
상기 실험예 1의 기관지 천식 동물 모델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음료를 0.1mg/kg씩 7일간 경구투여한 후에 기도 저항 값을 측정하였다. 기도 저항은 one chamber plethysmography(All Medicus, Seoul)를 이용하여 기존의 연구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기도 저항의 정도는 enhanced pause(Penh)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Penh의 측정은 마우스를 chamber에 넣고 정상 호흡 상태에서 기저 값을 측정한 후 PBS를 네뷸라이저를 이용하여 5분간 흡입시킨 후 3분간 측정한다. 이후 메타콜린(methacholine, Sigma, St. Louis, MO)을 3, 6, 12mg/ml의 농도로 점차 증가시키면서 흡입시킨 후 Pehn의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기도 저항의 지표로 이용된 Pehn은 한 주기의 호흡에 대하여 최대호기유량(peak expiratory flow, PEF)/최대흡기유량(peak inspiratoryflow, PIF)의 비와 전반기 호기량(former expiratory volume)에 비례하는 무차원의 수로 표시되며 기도저항과상관관계가 좋아 기도 수축의 지표로 알려져 있다.
Penh=(Te/RT-1)(PEF/PIF)
(Te=expiratory time,RT=relaxation time,PEF=peak expiratory flow,PIF=peak inspiratory flow)
그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본원 발명의 식음료 조성물을 투입한 실시예 1 내지 10는 기도저항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호흡곤란을 완화시켜 호흡 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관지 천식 모델 메타콜린
3mg/ml 일 때
Penh
메타콜린
6mg/ml 일 때
Penh
메타콜린
12mg/ml 일 때
Penh
실시예 1 0.5 1.2 2.1
실시예 2 0.8 1.3 2.1
실시예 3 0.7 1.4 2.2
실시예 4 0.6 1.3 2.0
실시예 5 0.5 1.4 2.0
실시예 6 0.6 1.6 2.1
실시예 7 0.8 1.5 2.2
실시예 8 0.9 1.4 2.2
실시예 9 0.6 1.5 2.3
실시예 10 0.8 1.2 2.1
비교예 1 2.6 3.9 6.3
비교예 2 2.1 3.2 5.8
비교예 3 2.4 3.6 6.0
비교예 4 2.1 3.1 5.9
비교예 5 2.0 3.0 5.8
[ 실험예 3] 기관지 기능 개선 평가
기침, 가래, 등 기관지 증상이 있는 20~30대의 흡연자 50명을 선별하여 상기 실시예 1, 5, 8 및 비교예 1의 식음료 조성물을 각각 1일 1회 20m씩 섭취시켰다. 그리고, 20일이 지난 후 피시험자의 기침, 가래, 목쉼, 기관지 간지러움 상태 개선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완전한 개선이 이루어지는 경우 5점,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진 경우 4점, 중간 정도의 개선이 이루어진 경우 3점, 약간의 개선이 이루어진 경우 2점, 변화가 없는 경우 1점으로 각각을 개선 효과로 평가하였으며, 50명의 평균값을 계산하였고, 하기 표 4의 결과와 같았다.
기침 횟수 가래 목 쉼 기관지 간지러움
섭취 전 1 1 1 1
실시예 1 5 4.8 4.6 5
실시예 5 4 4.7 4.7 4.5
실시예 8 4.5 4.8 4.6 4.7
비교예 1 1.7 2.1 2.2 2.0
상기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에서 확인할 수 있듯, 본 출원에 따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이 제1 유효 추출액을 특정 함량부 포함함에 따라, 기관지 조직의 염증 회복에 우수한 효과를 가져, 가래, 기침 등 기관지 염증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기도 저항을 감소시켜 호흡 개선에 탁월한 특징을 갖게 되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관능 평가 및 당도 측정자료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0, 비교예 1 내지 5의 관능 평가로 성인 남녀, 나이 구분 없이 총 50명을 대상으로 색, 향, 맛 등의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5점 채점법으로 실시하였다. 이 때 채점기준은 아주 좋음:5점, 좋음:4점, 보통:3점, 나쁨:2점, 아주 나쁨: 1점으로 나타내었다. 2시간 간격으로 실시예 1 내지 10으로 구성된 실시예군 중 어느 하나를, 비교예 1 내지 5로 구성된 비교예 군 중 어느 하나를 시료의 번호를 바꾸어가며 같은 패널로 2회 반복 시행하였으며, 각 반복시 가장 높은 점수와 가장 낮은 점수를 제외하고 평균 득점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았다.
<당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에 대한 당도 측정을 시험하였다. 당도는 전자당도계(PR-32, ATAG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관능 평가에서 종합점수가 가장 좋았던 실시예 1의 5개 샘플 및 비교예 1의 5개의 샘플에 대해 측성하였으며, 각각을 브릭스(Brix) 단위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았다.
종합적 기호도 당도(Brix)
실시예군(당도 측정의 경우 실시예 1) 4.45 8.9±0.95
비교예군(당도 측정의 경우 비교예 1) 2.45 5.5±0.95
상기 실시예군 및 비교예군에서 알 수 있듯, 본원 발명의 경우 맛, 색, 향 등의 기호도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출원과 같이 쓴맛 및 향을 내는 한약재, 갈근, 애엽 등이 포함되는 음료에 있어, 개복숭아 추출물 및 마리몬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단맛을 내어 시중의 일반적인 음료에 비하여 종합적 기호도 평가에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 실험예 5] 세포 내 콜라겐 생성에 관련된 실험
상기 표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포 내 콜라겐 생성에 관련된 실험을 진행하였다.
콜라겐은 세포내에서 procollagen의 형태로 합성되며,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동안Propeptide가 잘린 후, 세포외 collagen fibrils을 형성한다. 측정된 free propeptide의 양은 세포에서 합성된 collagen의 양을 반영하였으며, 본 실험은 배양배지로 분비되는 free propeptide인 procollagen type 1 carboxyl-terminal peptide를 EIA법으로 측정하여 세포내 Collagen 생성 정도를 평가하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콜라겐 생성증가 정도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명세서에 따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이 개복숭아 추출액 및 제1 유효 추출액을 기본으로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갈근 추출액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2 유효 추출액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 유효 추출액이 특정의 중량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식음료의 경우 특히, 세포내 콜라겐 생성의 증가로 인한 피부 재생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되며, 특히 기관지의 염증 완화에 탁월한 효과를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 실험예 6] 위장장애 개선 평가 실험
위장장애 개선 평가와 관련하여 Ulcer index (UI)로 평가하였다.
실험동물
Male ICR mice, 케이지 당 5마리, 실온 (22±0.5℃), 밤낮 12시간 주기 조건으로 사육하였다. 물, 음식은 무제한 급여하고, 최소 실험 2시간전 동물을 실험에 적응 시키고 variation 을 줄이기 위해 light phase (10:00-17:00)에 진행하였다.
실험 동물 처리
처리군별로 syringe를 이용하여 아스피린을 5일간 300mg/kg를 투여하였으며(위장장애 유발), 이후본원 실시예 1, 5, 8 및 비교예 4의 조성물을 매일 1회씩 5일간 경구 투여 하였다.
해부 및 위 점막 관찰
경추탈골 시킨 후 즉시 위를 꺼내 greater curvature를 따라 열고 cork plate에 전개시켰다. 안쪽 면을 iced cold saline로 헹구어 피 등을 닦아낸 후, 위 내벽을 고해상도의 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위 손상의 정량적 측정을 위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위점막 병병률 등급 (Ulcer index (UI))을 측정하였다:
(Ⅰ) 점성출혈과 erosions 부위가 < 1mm: 위 점막부종, 충혈, 하나의 출혈이 존재;
(Ⅱ) erosions 부위가 1-3mm: 위 점막하 출혈이 작은 위 점막미란(erosion)과 동반된 경우;
(Ⅲ) erosions 부위가 > 3mm: 출혈이 일어난 가장자리가 심한 미란과 동반, 침식성 손상이나 궤양이 존재.
Ulcer index (UI): (1*n * (Ⅰ)) + (2*n*(Ⅱ)) + (3*n*(Ⅲ)) / number of animals (n은 I, II, 및 III 기준에 해당하는 개체의 수를 의미함)
상기 정량적 측정 방법에 따라 계산된 위장장애 관련 평가는 하기 표 6과 같았다.
Ulcer Index
실시예 1 1.6
실시예 5 1.5
실시예 8 1.3
비교예 4 2.0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쥐에 임의로 아스피린을 투입하여 위장장애를 발생시킨 후, Ulcer index (UI) 평가 값을 통한 위장장애 개선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엇다.
상기 표 6과 같이 실시예 1, 5 및 8과 비교예 4를 비교하였을 때, 본원 발명의 식음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위장장애 개선 능력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조성물 내 포함되는 개복숭아 추출물이 특정 함량 포함됨에 따른 효과로 판단된다.
상기 비교예 4의 경우, 본원 발명의 제1 유효 추출액만을 30 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아 위장장애 개선에 효과가 없으며, 더욱이 제1 유효 추출액만 포함하는 경우 위장장애, 혈관 축소 등의 부작용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식음료 조성물의 경우 제1 유효 추출액의 함량부를 특정 함량부로 조절하고, 천연 추출액인 개복숭아 추출액을 특정 함량부 포함하고, 설탕을 대신하여 단맛을 냄과 동시에 위장장애의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이 애엽 또는 은행엽 추출액을 포함하는 제3 유효 추출액을 특정 중량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식음료의 위장 장애 개선에 매우 탁월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개복숭아를 추출 용매로 추출한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정제수; 및 한약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로,
    상기 한약재 혼합물은 홍삼, 지황, 우슬, 당귀, 황백, 창출, 황기, 오미자, 백삼, 백출, 산약, 두충, 구기자 및 토사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통상의 방법으로 법제 및 건조한 후 미세분말로 분쇄한 것이며,
    상기 제1 유효 추출액은 마리골드 추출액 및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효 추출액은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 중량% 기준 15 중량% 이상 2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은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중량% 대비 1중량% 내지 5중량%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 추출액 100 중량% 기준 상기 마리골드 추출액 20 중량% 내지 40 중량% 및 상기 헤마토코쿠스 추출액을 60 중량% 내지 80 중량%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애엽 추출액; 갈근 추출액 및 은행엽 추출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액을 더 포함하는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및 갈근 추출액을 포함하는 제2 유효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효 추출액은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중량% 대비 20중량% 이상 35중량% 이하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 제1 유효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은행엽 추출액을 포함하는 제3 유효 추출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효 추출액은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100중량% 대비 30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은 감미료,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를 함유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알코올, 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의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로,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는 비타민 복합제, 드링크제, 음료, 캡슐제, 현탁액, 겔제제 및 콜로이드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
  10. 개복숭아의 핵을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하고,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3 내지 7시간씩 2회에 걸쳐 추출한 수층을 여과하여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통해 2회에 걸쳐 추출된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여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이 회수 제거된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수욕상에서 80 내지 150℃의 온도조건으로 1 내지 5시간 가열을 통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건조를 통해 제2 개복숭아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제2 개복숭아 추출액 1 내지 5중량%와 제1 유효 추출액 15 내지 25중량%을 정제수로 혼합하여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을 포장용기에 포장하여 80℃ 내지 95℃온도로 30분 내지 50분 동안 농축하여 진액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건강 기능성 식음료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 5 내지 50 중량%와 70% 에탄올 50 내지 9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70 내지 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1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한 번 추출한 개복숭아에 1차와 동일량의 70% 에탄올을 투여하여 70 내지 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1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1차 개복숭아 추출액과 상기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건강 기능성 식음료의 제조 방법.
KR1020200148862A 2019-11-08 2020-11-09 개복숭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07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640 2019-11-08
KR20190142640 2019-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279A true KR20210056279A (ko) 2021-05-18
KR102507666B1 KR102507666B1 (ko) 2023-03-08

Family

ID=7615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862A KR102507666B1 (ko) 2019-11-08 2020-11-09 개복숭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2130A (zh) * 2022-04-07 2022-07-12 云南雨藻生物科技有限公司 含雨生红球藻且抑制胃粘膜受损的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101A (ko) 2009-06-09 2010-12-17 영농조합법인 동상면사람들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13944A (ko) * 2009-08-04 2011-02-10 민경구 개복숭아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8951A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메디비젼 안구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101A (ko) 2009-06-09 2010-12-17 영농조합법인 동상면사람들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13944A (ko) * 2009-08-04 2011-02-10 민경구 개복숭아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8951A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메디비젼 안구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2130A (zh) * 2022-04-07 2022-07-12 云南雨藻生物科技有限公司 含雨生红球藻且抑制胃粘膜受损的组合物及其应用
CN114732130B (zh) * 2022-04-07 2024-01-23 云南雨藻生物科技有限公司 含雨生红球藻且抑制胃粘膜受损的组合物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666B1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4061B2 (en) Body fat-reducing agent
US20150125542A1 (en) TIE2 Activat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hibitor, Angiogenesis Inhibitor, Vascular Maturing Agent, Vascular Normalizing Agent and Vascular Stabilizing Agen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360231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8790727B2 (en) Morinda citrifolia and iridoid based formulations
KR101734896B1 (ko) 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333676B1 (ko) 달맞이꽃, 갈근, 솔잎 및 유근피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축소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조성물
KR102507666B1 (ko) 개복숭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6023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29547B1 (ko) 엉겅퀴 및 민들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100758266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구절초 추출물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405144B1 (ko)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KR101360233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21623B1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Marnewick Antioxidant properties of Rooibos (Aspalathus linearis)–in vitro and in vivo evidence
KR100690071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2590150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12290B1 (ko)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39;,4&#39;,6&#39;-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2214014B1 (ko) 구골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암용 조성물
KR100758267B1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120113459A (ko) 애엽, 레몬, 회향 및 소나무에서 추출한 정유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