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155A - 기중 차단기 - Google Patents

기중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155A
KR20210056155A KR1020190142904A KR20190142904A KR20210056155A KR 20210056155 A KR20210056155 A KR 20210056155A KR 1020190142904 A KR1020190142904 A KR 1020190142904A KR 20190142904 A KR20190142904 A KR 20190142904A KR 20210056155 A KR20210056155 A KR 2021005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uxiliary cover
auxiliary
overcurrent trip
trip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700B1 (ko
Inventor
양승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14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700B1/ko
Priority to JP2020076007A priority patent/JP6999736B2/ja
Priority to US16/857,793 priority patent/US11183352B2/en
Priority to CN202010354872.3A priority patent/CN112786343A/zh
Publication of KR2021005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6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H01H50/048Plug-in mounting or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2071/006Provisions for user interfaces for electrical protec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24Avoid unwanted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안전 커버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커버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설정부를 덮음으로써, 안전 커버를 열기 전에 설정부를 조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인가받지 않은 사람의 조작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
본 발명은 기중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조작부의 오작동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기중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회로 차단기는 전력계통의 회로에서 회로 상의 이상전류발생시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에서 회로 차단기의 후단에 접속되는 부하측 선로와 기기를 보호하는 전력기기이다. 공장과 같은 대규모 전력 수용가의 변압기 후단에는 주 회로 차단기(main circuit breaker)로서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er)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중 차단기는 전력회로 상의 과전류, 단락전류 등 이상전류의 검출과 그에 따른 회로차단을 목적으로 전력회로에 통전하는 전력의 특성 정보(역률, 상 전류, 상간 전압, 전력품질 정보)를 제공하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중 차단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중차단기는, 차단기 본체(10)의 전면판(11)의 일측에 과전류 트립 계전기(20)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기 본체(10)의 전면판(11)에서 과전류 트립 계전기(20)의 주변을 덮어 그 과전류 트립 계전기(20)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커버(12)가 상기 차단기 본체(10)의 전면판(11)의 일측부(도 1에서 좌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20)의 전면측 하반부에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 및/또는 신호부(21)가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그 하부에 과전류 트립 계전기(20)의 동작시 복수의 기준값 또는 동작감도를 설정하는 조정노브들이 설치된다. 조정노브는 보조커버(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윈도우 커버(window cover)에 의해 숨겨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조작부 및 신호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과전류 트립 계전기가 인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작동되거나, 실수로 인한 오작동이 일어날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3252호 (2017.04.19.)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중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단기 본체의 일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주 커버;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회로 차단 동작에 대한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가 구비되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
상기 주 커버와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 사이를 덮으며 상기 주 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하는 보조 커버;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설정부를 덮도록 상기 보조 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커버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안전 커버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단기 본체의 일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주 커버,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회로 차단 동작에 대한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가 구비되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 주 커버와 과전류 트립 계전기 사이를 덮으며 주 커버에 연결되고, 과전류 트립 계전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하는 보조 커버, 및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설정부를 덮도록 보조 커버에 연결되고, 보조 커버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안전 커버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를 제공한다.
또한, 보조 커버는, 보조 커버 상에서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안전 커버를 보조 커버와 결합되게 하거나 결합 해제하도록 형성되는 레버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버 후크는, 보조 커버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부재, 보조 커버의 후면에서 제1 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부재, 및 제2 부재와 보조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보조 커버를 중심으로 서로 결합되며, 탄성체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는, 배면에서 돌출되고, 보조 커버 및 제2 부재를 관통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제2 부재에는 결합돌기가 통과되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는, 보조 커버 및 제2 부재를 통과한 후 융착되어, 단면의 너비가 제2 부재의 결합홀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커버에는, 레버 후크의 일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의 영역이 제한되도록, 제1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 가능하게 두께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에는 제1 부재의 전면에서 측면을 향해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보조 커버에는, 레버 후크가 탄성체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압되어 배치되는 위치에서,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통홀은, 삽입홈의 전면 및 보조 커버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커버는 배면에서 돌출되고 탄성체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탄성체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레버 후크는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체가 제2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안전 커버가 보조 커버와 결합되는 제1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는, 보조 커버의 개구부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안전 커버는, 안전 커버로부터 배면측에서 돌출되는 고정 후크를 더 포함하고, 고정 후크는, 레버 후크가 제1 상태에 배치되는 경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보조 커버와 결합되고, 레버 후크가 제1 상태에서 이동되어 탄성체가 압축되는 제2 상태에서 걸림돌기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커버는, 일측에서 돌출되고, 보조 커버에 삽입되어 안전 커버를 보조 커버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회전부는, 연속적으로 휘어지는 곡면을 이루는 제1면,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면, 및 제2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제3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커버에 대하여 상대 회전을 하는 경우 안전 커버는, 제2면이 보조 커버 또는 주 커버와 접촉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제1 회전상태, 및 제1 회전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을 인가받아 원래의 회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제3면이 보조 커버 또는 주 커버와 접촉되는 제2 회전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설정부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표시되는 신호를 확인하고, 과전류 트립 계전기를 다시 복원시키는 복원버튼을 포함하고, 안전 커버는, 안전 커버가 보조 커버의 개구부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복원버튼을 누름조작 가능하도록, 복원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홀이 개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커버는 보조 커버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므로, 안전 커버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설정부를 덮음으로써, 안전 커버를 열기 전에 설정부를 조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인가받지 않은 사람의 조작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커버의 버튼홀이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복원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안전 커버가 보조 커버에 결합되어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전면에 폐쇄된 상황에서도 사용자는 버튼홀을 통해 복원버튼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 및 연통홀을 통해 와이어 등이 삽입되고, 이를 고정 및 접합시킴으로써 레버 후크가 제1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등이 제거되기 전에 안전 커버가 열리지 않아,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설정부가 오작동이나 인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는 안전 커버를 제1 회전상태에서 제2 회전상태로 이동시킨 후 안전 커버가 다시 닫힐 염려 없이 과전류 트립 계전기를 조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전 커버가 다시 보조 커버를 향해 닫히지 않고, 과전류 트립 계전기를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중 차단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중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중 차단기의 주 커버, 과전류 트립 계전기, 보조 커버 및 안전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보조 커버에 레버 후크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보조 커버 및 안전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안전 커버의 회전부 및 안전 커버가 보조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중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중 차단기의 주 커버, 과전류 트립 계전기, 보조 커버 및 안전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는 주 커버(100),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 보조 커버(300) 및 안전 커버(400)를 포함한다.
주 커버(100)는 차단기 본체(10)의 일면에 설치된다. 차단기 본체(10)의 일면은 차단기 본체의 전면일 수 있다. 주 커버(100)의 일측에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102)이 형성된다.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102)의 주변에는 보조 커버(300)의 결합 후크(30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 후크 삽입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는 주 커버(100)의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102)에 수용된다.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배면에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102)의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결합가능한 결합 후크(205)가 돌출된다.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는 전면에 회로 차단 동작에 대한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설정부(210)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동작시 복수의 기준값 또는 동작감도를 설정하는 조정노브(Adjusting Knob, 조정나사머리, 211),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를 다시 복원시키는 복원버튼(212),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등을 사용하여 특정 신호들이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는 디스플레이(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220)에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에서 측정되는 전압이나 사용되는 환경에 관한 정보, 및 기중 차단기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22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220)일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220)는 터치 입력이 인가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220)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20)는 상술한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설정부(210)에 포함될 수 있다.
보조 커버(300)는 주 커버(100)와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 사이를 덮으며 주 커버(10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보조 커버(30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결합 후크(305)가 주 커버(100)의 결합 후크 삽입홈(106)에 삽입되어, 보조 커버(300) 및 주 커버(100)가 결합된다.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은 주 커버(100)의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102)보다 크기가 작다. 이때, 보조 커버(300)가 주 커버(100)와 결합됨으로써,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 및 주 커버(100) 사이의 공간을 덮을 수 있다.
보조 커버(300)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302)를 구비한다. 보조 커버(300)의 개구부(302)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 전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커버(300)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둘레를 일부 덮을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커버(300)의 개구부(302)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설정부(210) 및 디스플레이(2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보조 커버(300)의 일측 장변(300a)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레버 후크(310)가 배치되고, 보조 커버(300)의 타측 장변(300b)은 안전 커버(400)의 회전부(420)와 결합하여 안전 커버(400)가 상대회전하는 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커버(300)의 일측 장변(300a)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안전 커버(400)의 날개부(407)가 삽입되는 날개홈(307)이 형성될 수 있다. 안전 커버(400)의 날개부(407) 및 보조 커버(300)의 날개홈(307)을 구비함으로써, 안전 커버(400) 및 보조 커버(300)는 매끄러운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안전 커버(400)를 보조 커버(300)로부터 회전시키는 경우 날개홈(307)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안전 커버(400)는 개구부(402) 및 버튼홀(430)이 형성되는 바디(401), 바디(401)의 우측 배면에 형성되는 고정 후크(410), 바디(401)의 우측 상단에 형성되는 날개부, 바디(401)의 좌측에 형성되는 회전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커버(400)는 보조 커버(300)의 개구부(3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설정부(210)를 덮도록 보조 커버(300)에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전 커버(400)는 보조 커버(300)의 타측 장변(300b)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안전 커버(400)의 회전부(420)가 보조 커버(300)의 회전부 삽입홈(33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안전 커버(400)는 보조 커버(3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안전 커버(400)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설정부(210) 및 디스플레이(220)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커버(400)는 보조 커버(300)의 개구부(302)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 커버(400)는 보조 커버(300)의 개구부(3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설정부(210)를 덮음으로써, 안전 커버(400)를 열기 전에 설정부(210)를 조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인가받지 않은 사람의 조작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커버(400)는 개구부(402)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402)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디스플레이(220)에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구부(402)를 통해 디스플레이(220)를 외부에서 더 잘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20)가 터치 가능한 경우, 안전 커버(40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220)를 조작할 수 있다. 다만,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와 결합된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20)가 터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커버(400)에 개구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에서 소정의 이벤트, 예를 들어 이상 신호 감지 등이 발생하는 경우, 상술한 디스플레이(220) 및/또는 신호부에서 신호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술한 복원버튼(212)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해당 이벤트를 확인하였다는 신호를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에 인가하고,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전 커버(400)는,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의 개구부(302)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복원버튼(212)을 누름조작 가능하도록 복원버튼(2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는 버튼홀(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버튼홀(4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버튼(2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에 결합되어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전면에 폐쇄된 상황에서도 사용자는 상술한 버튼홀(430)을 통해 복원버튼(212)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보조 커버에 레버 후크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c 각각은 제1 부재(312), 제2 부재(314), 탄성체(316) 및 보조 커버(300)의 일부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도 4a 및 도 4b는 서로 좌우 방향이 반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보조 커버(300)는 보조 커버(300) 상에서 일 방향(D1)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 후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 후크(310)는 일 방향(D1)으로의 왕복 이동됨에 따라, 안전 커버(400)를 보조 커버(300)와 결합되게 하거나 결합 해제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레버 후크(310)는 제1 부재(312), 제2 부재(314) 및 탄성체(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312)는 보조 커버(300)의 전면에 배치된다. 제1 부재(312)는 보조 커버(300)의 삽입홈(320)에 삽입되며, 일 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부재(312)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관통홀(312b) 및 제1 부재(312)의 상하 운동을 용이하게 해줄 조작돌기(31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부재(312)는 배면에서 돌출되고, 보조 커버(300) 및 제2 부재(314)를 관통하는 결합돌기(312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312a)는 보조 커버의 삽입홀(320a) 및 제2 부재의 결합홀(314b)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c를 참조하면, 제1 부재(312) 및 제2 부재(314)는 보조 커버(300)를 중심으로 서로 결합된다.
결합돌기(312a)는 보조 커버(300) 및 제2 부재(314)를 통과한 후 융착되어, 단면의 너비가 제2 부재의 결합홀(314b)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재(312) 및 제2 부재(314)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 부재(312)의 결합돌기(312a)는 보조 커버의 삽입홀(320a) 및 제2 부재의 결합홀(314b)를 통과한다. 그리고, 결합돌기(312a)의 단부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융착될 수 있다.
결합돌기(312a)의 단부가 융착됨에 따라, 결합돌기(312a)의 단부는 용융된다. 결합돌기(312a)의 단부가 용융된 후 시간이 흘러 경화되면, 결합돌기(312a) 단면의 너비가 제2 부재의 결합홀(314b)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부재(312)의 결합돌기(312a)의 단부가 녹았다가 다시 경화되면서 단면의 너비가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312a)가 제2 부재(314)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 부재(312) 및 제2 부재(314)가 서로 결합된다. 즉, 결합돌기(312a)가 제2 부재의 결합홀(314b)을 통해 다시 인출되지 않으므로, 제1 부재(312) 및 제2 부재(314)는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부재(314)는 보조 커버(300)의 후면에서 제1 부재(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재(312)의 결합돌기(312a)에 의해 제1 부재(312)와 결합된다.
제2 부재(314)는 바디(314a), 결합홀(314b), 탄성체 삽입돌기(314c), 걸림돌기(314d) 및 탄성체 사이드 지지돌기(314e)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314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재(312)의 결합돌기(312a)가 관통된다. 탄성체 삽입돌기(314c)에는 탄성체의 일단(316a)을 삽입되고, 삽입돌기(314c)는 탄성체(316)를 지지한다. 걸림돌기(314d)는 안전 커버(400)의 고정 후크(410)와 결합되어 안전 커버(400)의 고정 후크(410)를 지지한다. 사이드 지지돌기(314e)는 탄성체의 타단(316b)의 주변부(사이드)를 지지한다.
사이드 지지돌기(314e)는 서로 간격을 가지고 돌출되는 2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데, 2개의 사이드 지지돌기(314e) 사이로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 커버(300)의 지지돌기(335)가 삽입될 수 있다.
보조 커버(300)에는 상술한 레버 후크(310), 즉 제1 부재(312)가 삽입되는 삽입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320)은 레버 후크(310)가 일 방향(D1)으로 왕복 이동하는 영역이 제한되도록, 제1 부재(312)가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 가능하게 두께 방향으로 리세스된다.
한편, 보조 커버(300)의 삽입홀(320a)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홀(320a)에 삽입된 제1 부재(312)의 결합돌기(312a)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탄성체(316)는 보조 커버(300)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돌기(335) 및 제2 부재(314)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314c)에 의해, 보조 커버(300) 및 제2 부재(314) 사이에서 고정되어 상술한 제2 부재(314)를 가압할 수 있다. 즉, 탄성체(316)는 제2 부재(314)와 보조 커버(300) 사이에 개재되고, 제2 부재(314)는 탄성체(316)에 의해 일 방향(D1)으로 가압된다. 여기서 탄성체(316)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체의 일단(316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부재(314)의 삽입돌기(314c)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부재(314)가 보조 커버(300)와 결합되기 전에 탄성체의 일단(316a)이 제2 부재(314)의 삽입돌기(314c)에 삽입되면, 탄성체의 타단(316b)은 상술한 사이드 지지돌기(314e)에 고정된다.
제2 부재(314)에 탄성체(316)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 커버(300)와 결합되면, 사이드 지지돌기(314e) 사이로 보조 커버(300)의 지지돌기(335)가 삽입된다. 이때, 제2 부재(314)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2개의 사이드 지지돌기(314e) 사이로 보조 커버(300)의 지지돌기(335)가 통과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체(316)는 압축되어 제2 부재(314)를 상방으로 복원시키려는 힘이 커진다. 이에 따라, 제1 부재(312) 및 제2 부재(314)가 상술한 일 방향(D1)의 상방으로 가압 및 이동된다.
즉, 제1 부재(312) 및 제2 부재(314)가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체(316)는 일단이 제2 부재(314)의 삽입돌기(314c)에 끼움되고, 타단이 보조 커버(300)의 지지돌기(335)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제1 부재(312) 및 제2 부재(314)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부재(314)는 탄성체(316)에 의해 가압되어 상방으로 이동된다. 제2 부재(314)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부재(314)와 연결된 제1 부재(312)도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부재(312) 및 제2 부재(314)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제1 상태라고 정의한다.
레버 후크(310)는 제1 상태일 때 안전 커버(400)의 고정 후크(410)와 결합되어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즉, 레버 후크(310)는 지지돌기(335)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체(316)가 제2 부재(314)를 가압함으로써,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와 결합되는 제1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안전 커버(400)는 배면측에서 돌출되는 고정 후크(41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후크(410)는 안전 커버(400)의 배면측에 상술한 레버 후크(310)의 걸림돌기(314d)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 후크(410)는 상술한 일 방향(D1)의 상방으로 레버 후크(310)가 이동 시 결합돌기(312a)가 인입될 수 있도록, 고정 후크의 단부(411)는 상술한 일 방향(D1)으로 하방으로 꺽여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부재(314)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결합돌기(312a)가 고정 후크의 단부(411)와 안전 커버(400) 사이에 인입되어 안전 커버(400)가 고정된다.
고정 후크(410)는 레버 후크(310)가 제1 상태에 배치되는 경우 걸림돌기(314d)에 걸림되어 보조 커버(300)와 결합되고, 레버 후크(310)가 제1 상태에서 이동되어 탄성체(316)가 압축되는 제2 상태에서 걸림돌기(314d)와 분리된다.
한편,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이동될 때, 고정 후크(410)는 제1 상태에 있는 레버 후크(310)의 걸림돌기(314d)를 가압하여 레버 후크(31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2 상태에 가깝게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 후크(310)의 걸림돌기(314d)는 고정 후크(410)를 향한 일면이 곡선의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 후크의 단부(411)는 상술한 걸림돌기(314d)를 가압하며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에 가깝게 인접하면, 고정 후크의 단부(411)가 걸림돌기(314d)를 가압하여 걸림돌기(314d)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고정 후크의 단부(411)가 걸림돌기(314d)를 통과하면, 상술한 탄성체(316)에 의해 걸림돌기(314d)는 상방으로 다시 복원되며 고정 후크(410)와 안전 커버(400) 사이의 공간에 걸림돌기(314d)가 삽입되어,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레버 후크(310)가 상술한 일 방향(D1)의 상방으로 이동할 때 결합돌기(312a)가 스토퍼(304)에 걸림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 후크(310)가 상술한 일 방향(D1)의 하방으로 이동할 때 탄성체(316)의 압축력 및 지지돌기(335)가 탄성체(316)를 지지하는 힘에 의해 레버 후크(31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에 의하면, 탄성체(316)에 의해 레버 후크(310)가 제1 상태로 유지되며, 제1 상태에서 안전 커버(400)의 고정 후크(410)가 제2 부재(314)의 결림돌기(314d)에 의해 걸림된다. 이에 따라, 안전 커버(400)는 보조 커버(3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설정부(210)를 외부로 노출되어 오작동 및 인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레버 후크(310) 및 보조 커버(300)에는 레버 후크(3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레버 후크(310)를 보조 커버(300)에 봉인시키는 것이 가능한 봉인홀을 구비할 수 있다.
봉인홀은 제1 부재(312)에 형성되는 관통홀(312b) 및 보조 커버(300)에 형성되는 연통홀(32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부재(312)에는 제1 부재(312)의 전면에서 측면을 향해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31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커버(300)에는 레버 후크(310)가 탄성체(316)에 의해 일 방향(D1)으로 가압되어 배치되는 위치에서, 관통홀(312b)과 연통되는 연통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통홀(322)은 상술한 제1 상태에서 상술한 관통홀(312b)과 연통된다. 이때, 연통홀(322)은 삽입홈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연통홀(322a)에서, 보조 커버(300)의 측면 연통홀(322b)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봉인홀에 와이어 등을 삽입하고, 이를 고정 및 접합시킴으로써, 레버 후크(31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중 차단기에 따르면 상술한 와이어를 봉인홀로부터 제거하기 전에 안전 커버(400)를 보조 커버(300)로부터 열 수 없다. 이에 따라,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의 설정부(210)가 오작동이나 인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보조 커버 및 안전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안전 커버의 회전부 및 안전 커버가 보조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안전 커버(400)는 보조 커버(300)의 타측 장변(300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회전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420)는 안전 커버(400)의 일측에서 돌출된다. 회전부(420)는 보조 커버(300)의 회전부 삽입홈(330)에 삽입되어, 안전 커버(400)를 보조 커버(30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회전부(420)는 보조 커버(300) 또는 주 커버(100)와 접촉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는 회전바디(421) 및 상술한 회전바디(421)에서 돌출되는 연장핀(425)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커버(400)와 보조 커버(300)의 결합관계는 다음과 같다. 회전바디(421)는 회전부 삽입홈(330)에 삽입된다. 연장핀(425)은 회전부 삽입홈(330)의 상하에 배치된 지지부(300b1)에 형성된 연장핀 삽입홈(331)에 삽입된다.
연장핀(425)을 둘러싸고 지지부(300b1)가 배치됨으로써, 회전부(420)가 회전부 삽입홈(3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전 커버(400)를 보조 커버(3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커버(400)의 고정 후크(410)가 제2 부재(314)의 걸림돌기(314d)를 가압하면 레버 후크(310)는 일 방향(D1)의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바디(421)는 연속적으로 휘어지는 곡면을 이루는 제1면(421a), 제1면(421a)으로부터 연장되고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면(421b), 및 제2면(421b)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제3면(421c)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1면(421a)은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에 대하여 닫힌 상태에서 주 커버(100)에 접촉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면(421a)은 단면이 원주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제1면(421a)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안전 커버(400)를 회전시킬 때 제1면(421a)이 주 커버(100)에 추가적으로 더 큰 힘을 받도록 접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안전 커버(400)를 보조 커버(300)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 제1면(421a)이 주 커버(100)와 인접하는 경우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안전 커버(400)의 회전바디(421)는 회전하는 동안 주 커버(100)가 아닌 보조 커버(300)와 접촉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b)를 참조하면, 안전 커버(400)가 회전되어 제1면(421a)으로부터 연장되고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면(421b)이 주 커버(100)와 접촉된다. 이때, 제2면(421b)은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제2면(421b)이 주 커버(100)와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진다. 또한, 제2면(421b)과 주 커버(100)가 서로 접촉되므로, 소정의 힘 이상이 가해지지 않으면 추가적인 회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7의 (b)의 상태에서 원래의 안전 커버(400)의 회전방향으로 추가적으로 회전시키려고 할 때, 제2면(421b)과 제3면(421c) 사이의 절곡된 라인인 걸림부(421d)가 주 커버(100)에 걸림되어 안전 커버(400)는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지 않으면 회전되지 않는다. 도 7의 (a)에서 도 7의 (b)까지의 회전을 제1 회전상태라고 정의한다.
제1 회전상태에서는 안전 커버(400)가 일정한 힘 이하의 힘으로도 다시 보조 커버(300)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로부터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2면(421b) 및 걸림부(421d)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안전 커버(400)가 보조 커버(300)를 향해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대적으로 저항이 적게 일어나는 제1면(421a)이 주 커버(100)와 접촉 또는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도 7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안전 커버(400)를 원래의 회전방향(열리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을 가하면, 걸림부(421d) 및/또는 주 커버(100)는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변형되어 안전 커버(400)가 추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의 (c)를 참조하면, 주 커버(100)에 접촉되어 있던 제2면(421b)이 회전되어 주 커버(100)에는 제3면(421c)이 접촉될 수 있다. 즉, 안전 커버(400)의 걸림부(421d)가 주 커버(100)를 밀면서 회전된다.
이때, 제3면(421c)은 제2면(421b)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안전 커버(400)는 제3면(421c)과 주 커버(100)가 접촉된 상태에서 추가적인 회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제3면(421c)가 주 커버(100)와 접촉된 상태를 제2 회전상태라고 정의한다.
제2 회전상태에서 안전 커버(400)가 열리는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할 때, 제2면(421b)과 제3면(421c) 사이의 절곡된 라인인 걸림부(421d)가 재차 주 커버(100)에 걸림되어 안전 커버(400)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제2 회전상태에서 안전 커버(400)는 주 커버(100)와 결합되는 방향(닫히는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을 가해야만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면(421c)이 주 커버(100)에 접촉되는 것과 동시에, 걸림부(421d)가 주 커버(100)와 접촉되어 안전 커버(400)가 원래의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2 회전상태에서는 안전 커버(400)가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을 받는 경우에만 안전 커버(400)가 원래의 제1 회전상태로 복원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안전 커버(400)를 제2 회전상태로 오픈한 상태에서 안전 커버(400)의 회전 없이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제1 회전상태에서 안전 커버(400)는 적은 힘으로도 다시 보조 커버(300)를 향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 커버(400)를 오픈한 상태에서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를 조작하는데 안전 커버(400)가 다시 닫혀버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안전 커버(400)를 제1 회전상태에서 제2 회전상태로 이동시킨 후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전 커버(400)가 다시 보조 커버(300)를 향해 닫히지 않고, 과전류 트립 계전기(20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차단기 본체
100 : 주 커버
102 :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
106 : 결합 후크 삽입홈
200 : 과전류 트립 계전기
205 : 결합 후크
210 : 설정부
211 : 노브
212 : 복원버튼
213 : 신호부
220 : 디스플레이
300 : 보조 커버
300a : 보조 커버 일측 장변
300b : 보조 커버 타측 장변
300b1 : 지지부
302 : 개구부
304 : 스토퍼
305 : 결합 후크
307 : 날개홈
310 : 레버 후크
312 : 제1 부재
312a : 결합돌기
312b : 관통홀
312c : 조작돌기
314 : 제2 부재
314a : 바디
314b : 결합홀
314c : 탄성체 삽입돌기
314d : 걸림돌기
314e : 사이드 지지돌기
316 : 탄성체
316a : 탄성체 일단
316b : 탄성체 타단
320 : 삽입홈
320a : 삽입홀
322 : 보조 커버 연통홀
322a : 전면 연통홀
322b : 측면 연통홀
330 : 회전부 삽입홈
331 : 연장핀 삽입홈
335 : 지지돌기
400 : 안전 커버
401 : 안전 커버 바디
402 : 개구부
407 : 날개부
410 : 고정 후크
411 : 고정 후크의 단부
420 : 회전부
421 : 회전바디
421a: 제1면
421b: 제2면
421c: 제3면
421d: 걸림부
425 : 연장핀
430 : 버튼홀
D1 : 일 방향

Claims (13)

  1. 차단기 본체의 일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주 커버;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회로 차단 동작에 대한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가 구비되는 과전류 트립 계전기;
    상기 주 커버와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 사이를 덮으며 상기 주 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하는 보조 커버;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설정부를 덮도록 상기 보조 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커버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안전 커버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는,
    상기 보조 커버 상에서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안전 커버를 상기 보조 커버와 결합되게 하거나 결합 해제하도록 형성되는 레버 후크를 더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후크는,
    상기 보조 커버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부재;
    상기 보조 커버의 후면에서 상기 제1 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보조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상기 보조 커버를 중심으로 서로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가압되는,
    기중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보조 커버 및 상기 제2 부재를 관통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통과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기중 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보조 커버 및 상기 제2 부재를 통과한 후 융착되어, 단면의 너비가 상기 제2 부재의 결합홀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는,
    기중 차단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에는,
    상기 레버 후크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의 영역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 가능하게 두께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기중 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는 상기 제1 부재의 전면에서 측면을 향해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커버에는,
    상기 레버 후크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가압되어 배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기중 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삽입홈의 전면 및 상기 보조 커버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기중 차단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는 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탄성체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후크는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체가 상기 제2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안전 커버가 상기 보조 커버와 결합되는 제1 상태로 유지되는,
    기중 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보조 커버의 개구부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커버는,
    상기 안전 커버로부터 배면측에서 돌출되는 고정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후크는,
    상기 레버 후크가 상기 제1 상태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보조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레버 후크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이동되어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는 제2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분리되는,
    기중 차단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커버는,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보조 커버에 삽입되어 상기 안전 커버를 상기 보조 커버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연속적으로 휘어지는 곡면을 이루는 제1면;
    상기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면; 및
    상기 제2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제3면을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에 대하여 상대 회전을 하는 경우 상기 안전 커버는,
    상기 제2면이 상기 보조 커버 또는 상기 주 커버와 접촉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제1 회전상태, 및 상기 제1 회전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을 인가받아 원래의 회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상기 제3면이 상기 보조 커버 또는 상기 주 커버와 접촉되는 제2 회전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기중 차단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의 설정부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표시되는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과전류 트립 계전기를 다시 복원시키는 복원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커버는,
    상기 안전 커버가 상기 보조 커버의 개구부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원버튼을 누름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복원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홀이 개구되는,
    기중 차단기.
KR1020190142904A 2019-11-08 2019-11-08 기중 차단기 KR102262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904A KR102262700B1 (ko) 2019-11-08 2019-11-08 기중 차단기
JP2020076007A JP6999736B2 (ja) 2019-11-08 2020-04-22 気中遮断器
US16/857,793 US11183352B2 (en) 2019-11-08 2020-04-24 Air circuit breaker
CN202010354872.3A CN112786343A (zh) 2019-11-08 2020-04-29 空气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904A KR102262700B1 (ko) 2019-11-08 2019-11-08 기중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155A true KR20210056155A (ko) 2021-05-18
KR102262700B1 KR102262700B1 (ko) 2021-06-09

Family

ID=7574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904A KR102262700B1 (ko) 2019-11-08 2019-11-08 기중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83352B2 (ko)
JP (1) JP6999736B2 (ko)
KR (1) KR102262700B1 (ko)
CN (1) CN1127863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75483S (ko) * 2020-04-27 2020-12-21
USD971857S1 (en) * 2020-05-19 2022-12-06 National Breaker Services LLC Display panel for electric circuit brea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626A (ko) * 2002-11-15 2004-05-20 엘지산전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과부하 계전기
KR20090006679A (ko) * 2007-07-12 2009-0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조 커버 분리시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차단기
KR20150139344A (ko) * 2014-06-03 2015-12-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커버 조립장치
KR200483252Y1 (ko) 2016-12-28 2017-04-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과전류 계전기용 정격 설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277A (ja) * 1996-09-20 1998-04-14 Kokusa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KR100876407B1 (ko) 2007-07-12 2008-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과전류 계전기 봉인 기구를 갖는 기중 차단기
CN201465921U (zh) * 2009-05-09 2010-05-12 浙江天正电气股份有限公司 万能断路器外壳
KR101513210B1 (ko) * 2013-11-11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과전류 계전기
CN204992775U (zh) * 2015-09-24 2016-01-20 厦门宏发开关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断路器的控制器
JP6159384B2 (ja) 2015-12-28 2017-07-0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CN107196409B (zh) * 2016-03-14 2024-02-23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断路器的智能控制器
DE102016221093B4 (de) * 2016-10-26 2022-12-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stungsscha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626A (ko) * 2002-11-15 2004-05-20 엘지산전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과부하 계전기
KR20090006679A (ko) * 2007-07-12 2009-0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조 커버 분리시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차단기
KR20150139344A (ko) * 2014-06-03 2015-12-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커버 조립장치
KR200483252Y1 (ko) 2016-12-28 2017-04-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과전류 계전기용 정격 설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3352B2 (en) 2021-11-23
CN112786343A (zh) 2021-05-11
US20210142971A1 (en) 2021-05-13
JP2021077617A (ja) 2021-05-20
JP6999736B2 (ja) 2022-02-04
KR102262700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6155A (ko) 기중 차단기
US6627830B2 (en) Push button and teaching pendant with the push button
US3493707A (en) Electric switch operating means
JPH07272591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スイッチ
US8497438B2 (en) Emergency stop device
EP3044802B1 (en) Microswitches control device
KR0135406B1 (ko) 피벗형제어버튼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US5349147A (en) Protection device against water splashes for electric switches and the like
JP2005026106A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EP2911300A1 (en) Touch sensitive electrical control device with a haptic feedback
US6133538A (en) Keyswitch with rubber dome disposed within housing provided by the plunger
US4191874A (en) Manually operable switch
KR20090085977A (ko) 모터 보호용 배선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조립체
US3478179A (en) Multiposition selector switch for an enclosed electrical control station
US2942088A (en) Electric switch
KR102213037B1 (ko) 전동기 제어반
CN112071689B (zh) 复合操作开关
KR20150008578A (ko) 차단기 개폐 스위치의 트립 레버
US10388471B2 (en) Actuator having a mechanical signal display
KR20230141528A (ko) 차량용 커버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
JPH03283326A (ja) スイッチ機構
KR200172698Y1 (ko) 함몰식 스위치구조
JPH06230869A (ja) キースイッチ
GB2372015A (en) Keycap assembly including a resilient buffer suitable for use with keyboards located within indoor or outdoor public kiosks
KR20190142104A (ko) 순차폐쇄장치가 구비된 전기제어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