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517A -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517A
KR20210053517A KR1020190139213A KR20190139213A KR20210053517A KR 20210053517 A KR20210053517 A KR 20210053517A KR 1020190139213 A KR1020190139213 A KR 1020190139213A KR 20190139213 A KR20190139213 A KR 20190139213A KR 20210053517 A KR20210053517 A KR 20210053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lexible circuit
folded
extending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3517A/ko
Publication of KR2021005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72Busbars, i.e. thick metal bar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as high-current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직선부(111)와, 상기 제1직선부(111)의 선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직선부(111)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113)와, 상기 제1수직부(113)의 선단에 제1분기부(114)가 형성되는 제1연성기판(110)과,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직선부(121)와, 상기 제2직선부(121)의 선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직선부(121)의 연장방향과 수직이되 상기 제1수직부(113)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부(123)와, 상기 제2수직부(123)의 선단에 제2분기부(124)가 형성되는 제2연성기판(120)과, 상기 제1분기부(114)와 제2분기부(124)로부터 각각 복수개로 연장되는 수평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성기판(110), 제2연성기판(120) 및 수평부(130)는 모두 같은 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성회로기판의 일면에만 회로패턴이 구성되고, 부품소자들이 실장된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의 한 면에 대해서만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양 면에 대해서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보다 작업공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정이 간소화되고, 생산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성회로기판 조립체{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커넥터의 위치가 고정된 배터리모듈의 외면에 설치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배터리모듈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들 각각의 배터리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게 되면 그만큼 큰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배터리셀의 양단자와 음단자에 와이어와 연결된 단자를 연결하여 각각의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단자가 구비된 와이어를 사용하여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게 되면, 배터리셀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의 갯수가 많아져,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배터리셀을 단자가 구비된 와이어를 사용하여 연결하려면 각각의 와이어의 단자에 해당되는 배터리셀의 양단자나 음단자에 연결하는 작업이 번거로워지게 된다. 즉, 다수개의 배터리셀에 각각 양단자와 음단자가 있으므로, 다수개의 와이어를 정확하게 연결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배터리셀의 양단자와 음단자에 직접 결합되는 셀버스바를 인쇄회로기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장치를 만들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을 일반적인 경질의 판형상으로 된 것을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제작과정 및 사용과정에서 셀버스바와 기판 사이에서 진동의 전달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셀버스바의 물리적 연결 또한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FPC)이 사용되는데,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되는 배터리모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차량 등에서 요구되는 배터리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적은 공간에 최대한 많은 배터리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배터리모듈이 설계되는 과정에서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배터리모듈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커넥터 및 배터리 셀로부터 노출되는 버스바의 위치가 고정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외부와 연결되는 커넥터와 배터리 셀의 버스바의 위치가 너무 멀거나 연성회로기판의 설치 및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성회로기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연성회로기판이 여러번 절곡되어 배터리모듈에 설치되거나, 다수의 연성회로기판을 연결하여 설치된다.
한편, 연성회로기판에는 양면에 부품소자들이 실장되는데, 양면에 부품소자를 실장하기 위해서 일면과 타면에 각각 부품소자를 실장하는 과정을 두번 거치게 되므로 공정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미스터와 같이 연성회로기판의 버스바와 마주보는 면에 실장되어야 하는 부품소자들과, 그렇지 않은 부품소자들을 한 면에 모두 실장하기 위해서는 연성회로기판의 형상이 매우 복잡해지고, 다수의 연성회로기판이 필요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255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모듈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간편하게 설치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모듈에 설치되는 연성회로기판의 일면에만 회로패턴이 구성되고 스크랩을 최소화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모듈에 설치되는 연성회로기판은 하나로 구성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의 외면에 설치되고, 일면에만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단면 연성회로기판에 있어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의 선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직선부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선단에 제1분기부가 형성되는 제1연성기판과,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의 선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직선부의 연장방향과 수직이되 상기 제1수직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선단에 제2분기부가 형성되는 제2연성기판과, 상기 제1분기부와 제2분기부로부터 각각 복수개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성기판 및 제2연성기판은 상기 회로패턴이 상기 배터리모듈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회로패턴이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연성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직선부와 제1수직부 사이에서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절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첩부는 상기 제1직선부의 연장방향과 45도 기울어진 제1절첩선에 의해 90도로 한 번 절첩되고, 상기 제1직선부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제2절첩선에 의해 180도로 한 번 절첩된다.
상기 제2절첩선과 제1수직부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소정의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성회로기판에는 상기 제2직선부와 제2수직부 사이에서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절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분기부 및 제2분기부는 상기 수평부가 분기되는 가장자리에 곡률을 가지는 분기구획부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에는 연장방향을 따라서 배터리모듈의 버스바와 접촉되는 접촉부가 여러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에는 다단접힘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와 버스바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연성회로기판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성회로기판의 일면에만 회로패턴이 구성되고, 부품소자들이 실장된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의 한 면에 대해서만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양 면에 대해서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보다 작업공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정이 간소화되고, 생산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성회로기판은 제1연성기판과 제2연성기판은 분기부에 의해 최소한의 간격으로 수평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이 제작될 때 발생하는 스크랩이 최소화되어 동일면적대비 높은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절첩부에서 제2절첩선과 제1수직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회로패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성회로기판 조립체가 배터리모듈의 외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주요특징부A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주요특징부B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주요특징부C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접촉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주요특징부D를 보인 확대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연성회로기판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성회로기판(100)은 배터리모듈(도 1의 점선)의 외면에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모듈은 외부와 연결되는 커넥터(1)와, 배터리셀의 버스바(미도시)가 서로 이웃한 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1)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일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배터리셀의 버스바(미도시)는 이웃한 면에 상기 배터리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00)은 제1연성기판(110), 제2연성기판(120) 및 한 쌍의 수평부(130)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버스바(미도시)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성회로기판(100)이 배터리모듈과 맞닿는 면을 내면, 그 반대면인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외면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제1연성기판(110)과 제2연성기판(120)은 상기 커넥터(1)로부터 연장되는 연성회로기판(100)이 두갈래로 분기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연성기판(110)과 제2연성기판(120)은 상기 커넥터(1)가 설치된 면과 같은 면을 따라 설치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연성회로기판(100)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례의 연성회로기판(100)은 절첩되어 배터리모듈의 외면에 설치되기 이전의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연성회로기판(100)에는 뒤에서 설명될 제1절첩부(112)와 제2절첩부(122)가 나타나 있지 않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00)은 상기 제1, 제2절첩부(112,122)가 형성되는 위치 및 제1, 제2연성기판(110,120)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면에 설치되는 연성회로기판(100)의 형상이 달라진다. 이때, 상기 제1, 제2연성기판(110,120)은 한 쌍의 수평부(130)와 인접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본 실시례의 연성회로기판(100)이 제작될 때 발생하는 스크랩이 최소화되어 동일면적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연성회로기판(10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기판(100)은 도 2의 전개도에서 보이는 면에만 회로패턴이 구성되고, 부품소자들이 실장된다. 따라서, 양면에 회로패턴이 구성되는 연성회로기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제작비가 감소한다.
상기 제1연성기판(110)은 제1직선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직선부(111)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부품소자들이 실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직선부(111)의 선단에는 제1절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절첩부(112)는 제1절첩선(L1)에 의해 한 번, 제2절첩선(L2)에 의해 한 번, 총 두 번 절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절첩부(112)는 두 번 절첩되므로 뒤에서 설명될 제1수직부(113)에 형성된 회로패턴이 외면에 노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절첩부(112)는 상기 제1절첩선(L1)에 의해 상기 제1직선부(111)와 수직인 방향으로 접힌다. 이 때, 원래 제1직선부(111)의 외면에 형성되었던 회로패턴이 상기 배터리모듈의 외면과 마주보게 된다. 회로패턴은 배터리모듈의 외면과 맞닿지 않도록 하여 손상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절첩선(L2)을 따라서 상기 제1직선부(111)가 180도 반대로 접히면 상기 회로패턴은 외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수직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절첩선(L1)은 상기 제1직선부(111)의 연장방향과 45도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직선부(111)가 상기 제1절첩선(L1)을 따라 접히면 상기 제1직선부(111)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접힌다.
상기 제2절첩선(L2)은 상기 제1직선부(111)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직선부(111)를 가로지르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직선부(111)가 상기 제2절첩선(L2)을 따라 접히면 상기 제1직선부(111)의 연장방향과 180도 반대로 접힌다.
한편, 상기 제2절첩선(L2)과 상기 제1수직부(113) 사이에 소정의 간격(W)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W)은 상기 제2절첩선(L2)의 내측으로 형성된 회로패턴이 상기 제1수직부(113)의 가장자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직선부(111)의 선단에는 상기 제1절첩부(112)에 의해 상기 제1수직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수직부(113)는 상기 제1직선부(111)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1)가 설치된 면과 이웃한 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1수직부(113)는 상기 제1절첩부(112)가 두 번 접혀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1직선부(111)와 마찬가지로 외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직부(113)는 연장되는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면 상기 제1직선부(111)에 설치되는 부품소자들 중 일부가 상기 제1수직부(113)의 외면에 실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직부(113)는 상기 커넥터(1)가 설치된 면과 이웃한 면에 도달하면 선단이 제3절첩선(L3)에 의해 접혀 상기 제1직선부(111)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 선단에는 제1분기부(114)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분기부(114)는 상기 제1연성기판(110)과 수평부(130)를 연결한다. 상기 제1분기부(114)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기 커넥터(1)가 설치된 면과 이웃한 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분기부(114)로부터 제1갈래부(116), 제1수평부(131) 및 제2수평부(132)가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분기부(114)로부터 수평부(130)가 연장되는 경계에는 분기구획부(114a)가 형성된다. 상기 분기구획부(114a)는 가장자리에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분기부(114)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부(130)에 의해 연한 재질의 회로기판이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분기부(114)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15)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외면에 상기 연성회로기판(100)을 부착시키기 위한 지점이다. 상기 고정부(115)에는 열융착 또는 레이저용접 등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5)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분기부(114) 뿐만 아니라 상기 연성회로기판(100) 전체에 걸쳐서 여러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부(114)로부터 상기 제1갈래부(116)가 더 연장된다. 상기 제1갈래부(116)는 상기 수평부(13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4절첩선(L4)에 의해 절첩되어 상기 수평부(130)를 가로지르고, 상기 제5절첩선(L5)에 의해 상기 제2수평부(132)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갈래부(116)가 상기와 같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갈래부(116)는 그 형상 및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갈래부(116)에는 간격조절부(11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116a)는 다단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갈래부(116)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간격조절부(116a)가 상기 제1갈래부(116)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갈래부(116)의 연장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갈래부(116)의 선단에는 접촉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117)는 상기 연성회로기판(100)의 제1갈래부(116), 제2갈래부(126) 및 수평부(130) 전체에 걸쳐 여러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셀의 버스바(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117)는 상기 연성회로기판(100)으로부터 연장되는 결합부(117b)에 압착플레이트(117a)가 압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압착플레이트(117a)는 구리 또는 니켈을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7b)와 연성회로기판(100)의 사이에는 다단접힘부(117c)가 형성되어 상기 압착플레이트(117a)와 버스바(미도시) 사이의 미세한 거리조절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성기판(120)은 제2직선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직선부(121)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부품소자들이 실장된다.
상기 제2직선부(121)의 선단에는 제2절첩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절첩부(122)는 제1절첩선(L1)에 의해 한 번, 제2절첩선(L2)에 의해 한 번, 총 두 번 절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절첩부(122)는 두 번 절첩되므로 뒤에서 설명될 제2수직부(123)에 형성된 회로패턴 및 부품소자들이 외면에 노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절첩부(122)는 상기 제1절첩선(L1)에 의해 상기 제2직선부(121)와 수직인 방향으로 접힌다. 이 때, 원래 제2직선부(121)의 외면에 형성되었던 회로패턴이 상기 배터리모듈의 외면과 마주보게 된다. 회로패턴은 배터리모듈의 외면과 맞닿지 않도록 하여 손상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절첩선(L2)을 따라서 상기 제2직선부(121)가 180도 반대로 접히면 상기 회로패턴은 외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2수직부(12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절첩선(L2)과 상기 제2수직부(123) 사이에 소정의 간격(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미도시)은 상기 제2절첩선(L2)의 내측으로 형성된 회로패턴이 상기 제2수직부(123)의 가장자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의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직선부(121)의 선단에는 상기 제2절첩부(122)에 의해 상기 제2수직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부(123)는 상기 제2직선부(121)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1)가 설치된 면과 이웃한 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2수직부(123)는 상기 제2절첩부(122)가 두 번 접혀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2직선부(121)와 마찬가지로 외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부(123)는 상기 제1수직부(113)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2직선부(121)에 설치되는 부품소자들 중 일부가 상기 제2직부의 외면에 실장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수직부(123)는 상기 커넥터(1)가 설치된 면과 이웃한 면에 도달하면 선단이 제3절첩선(L3)에 의해 접혀 상기 제2직선부(121)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 선단에는 제2분기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분기부(124)는 상기 제2연성기판(120)과 수평부(130)를 연결한다. 상기 제2분기부(124)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기 커넥터(1)가 설치된 면과 이웃하고, 상기 제1분기부(114)가 형성된 면의 맞은편 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분기부(124)로부터 제1수평부(131) 및 제2수평부(132)가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분기부(124)로부터 수평부(130)가 연장되는 경계에는 상기 분기구획부(11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제1분기부(114)에 형성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제1수평부(131)로부터 상기 제2갈래부(126)가 더 연장된다. 상기 제2갈래부(126)는 상기 제1갈래부(116)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서 형성되는 위치, 형상 및 개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갈래부(126)는 대략 중간지점에 제3절첩부(127)가 형성된다. 상기 제3절첩부(127)는 제6절첩선(L6)에 의해 한 번, 제7절첩선(L7)에 의해 한 번, 총 두 번 절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절첩부(127)는 두 번 절첩되므로 상기 제2갈래부(126)에 형성된 회로패턴이 형성된 면이 내면이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절첩부(127)는 상기 제6절첩선(L6)에 의해 상기 제1수평부(131)와 수직인 방향으로 접힌다. 이 때, 원래 제1갈래부(116)의 내면에 형성되었던 회로패턴이 외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2갈래부(126)의 선단에는 접촉부(1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터리모듈의 외면과 맞닿도록 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7절첩선(L7)을 따라서 상기 제2갈래부(126)가 180도 반대로 접히면 상기 회로패턴은 내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7절첩선(L7)과 상기 제2갈래부(126) 사이에 소정의 간격(W')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W')은 상기 제7절첩선(L7)의 외측으로 형성된 회로패턴이 급격하게 접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구배를 두기 위해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수평부(130)는 상기 커넥터(1)가 설치된 면과 이웃한 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수평부(130)는 제1분기부(114) 및 제2분기부(124)로부터 연장되며, 한 쌍의 수평부(130)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분기부(114)와 제2분기부(124)는 형상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1분기부(114)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부(13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분기부(114)로부터 수평부(130)가 연장된다. 상기 수평부(130)는 제1수평부(131)와 제2수평부(1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수평부(131)는 상기 제1직선부(111)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수평부(132)는 상기 제1갈래부(116)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제1수평부(131)와 제2수평부(13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수평부(130)는 상기 커넥터(1)가 설치된 면과 이웃한 면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바(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수평부(131) 및 제2수평부(132)는 상기 제1분기부(114)로부터 절첩되는 부분 없이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부(130)의 내면에 부품소자들이 실장되고 회로패턴이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130)는 상기 버스바(미도시)와 인접해야 하므로 내면에 부품소자들이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수직부(113)와 제1분기부(114)의 사이에서 제3절첩부(127)에 의해 내면과 외면의 위치를 바꾸는 한 번의 절첩이 더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커넥터 100 : 연성회로기판
110 : 제1연성기판 111 : 제1직선부
112 : 제1절첩부 113 : 제1수직부
114 : 제1분기부 114a : 분기구획부
115 : 고정부 116 : 제1갈래부
116a : 간격조절부 117 : 접촉부
117a : 압착플레이트 117b : 결합부
117c : 다단접힘부 120 : 제2연성기판
121 : 제2직선부 122 : 제2절첩부
123 : 제2수직부 124 : 제2분기부
126 : 제2갈래부 127 : 제3절첩부
130 : 수평부 131 : 제1수평부
132 : 제2수평부
L1~L7 : 제1~제7절첩선

Claims (7)

  1. 배터리모듈의 외면에 설치되고, 일면에만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단면 연성회로기판에 있어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의 선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직선부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선단에 제1분기부가 형성되는 제1연성기판과,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의 선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직선부의 연장방향과 수직이되 상기 제1수직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선단에 제2분기부가 형성되는 제2연성기판과,
    상기 제1분기부와 제2분기부로부터 각각 복수개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성기판 및 제2연성기판은 상기 회로패턴이 상기 배터리모듈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회로패턴이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성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직선부와 제1수직부 사이에서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절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첩부는 상기 제1직선부의 연장방향과 45도 기울어진 제1절첩선에 의해 90도로 한 번 절첩되고, 상기 제1직선부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제2절첩선에 의해 180도로 한 번 절첩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첩선과 제1수직부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소정의간격이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성회로기판에는 상기 제2직선부와 제2수직부 사이에서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절첩부가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부 및 제2분기부는 상기 수평부가 분기되는 가장자리에 곡률을 가지는 분기구획부가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연장방향을 따라서 배터리모듈의 버스바와 접촉되는 접촉부가 여러개 이격되게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는 다단접힘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와 버스바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한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KR1020190139213A 2019-11-04 2019-11-04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KR20210053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13A KR20210053517A (ko) 2019-11-04 2019-11-04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13A KR20210053517A (ko) 2019-11-04 2019-11-04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17A true KR20210053517A (ko) 2021-05-12

Family

ID=7591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213A KR20210053517A (ko) 2019-11-04 2019-11-04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35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524A (ko) 2015-08-28 2017-03-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524A (ko) 2015-08-28 2017-03-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5042B1 (en) Circuit body and battery module
JP6289645B2 (ja) 信号収集電源接続アセンブリ、パワーバッテリモジュール、および車両
JP6249991B2 (ja) 配線モジュール
US20130061472A1 (en) Dual Compressive Connector
WO2018066343A1 (ja) 接続モジュール
CN102576845A (zh) 配线部件
JP6197925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
US20140198467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20013829A (ja) 回路体及び電池モジュール
CN101416358B (zh) 电路板连接器的外壳
US8586872B2 (en) Metal core substrate
CN116457990A (zh) 配线模块
JP5971271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
US12080914B2 (en) Connection module
US20110312213A1 (en) Flat Cable Wiring Structure
WO2020105244A1 (ja) 支持部材及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20210053517A (ko)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KR20210099259A (ko) 배터리 센싱 모듈
JP7298365B2 (ja)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
CN113225895A (zh) 柔性印刷布线板及电池模块
JP4453424B2 (ja) 燃料電池用配線
WO2024116885A1 (ja) バスバモジュール
WO2024116884A1 (ja) バスバモジュール
JP7468942B1 (ja) 充電端子ケーブル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TW202025538A (zh) 電池模組及包含它的儲能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