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288A - 향상된 터치 감지 선택 - Google Patents

향상된 터치 감지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288A
KR20210053288A KR1020217005834A KR20217005834A KR20210053288A KR 20210053288 A KR20210053288 A KR 20210053288A KR 1020217005834 A KR1020217005834 A KR 1020217005834A KR 20217005834 A KR20217005834 A KR 20217005834A KR 20210053288 A KR20210053288 A KR 20210053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lectable
selectable object
command
sensitiv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미르 테이무리안
Original Assignee
파트모스, 유니페쏠 엘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트모스, 유니페쏠 엘디에이 filed Critical 파트모스, 유니페쏠 엘디에이
Publication of KR2021005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방법, 전자 디바이스, 전자 핸드헬드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고, 특히 후속 선택을 위해 선택가능 오브젝트 중 하나를 점프/스크롤하고 하이라이팅하기 위해, 선택가능 오브젝트에 대한 하이라이팅 모드를 제안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터치 감지 선택에 관한 것이며, 사용자의 상호작용 영역으로부터 멀리 특히 사용자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가능한 멀리 배치된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하이라이팅 및 선택이 수행된다.

Description

향상된 터치 감지 선택
본 발명은 방법, 전자 디바이스, 전자 핸드헬드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object)의 터치 감지 선택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수준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아이콘 또는 심볼(이하 앱(app)이라고 함)과 같은 오브젝트의 선택, 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임의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 또는 입력 필드의 선택은, 전술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서의 터치 명령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스마트폰은, 특정 사용자 명령 후,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상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앱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으로 시프트하여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더 가깝게 가져 오는 기능을 제공한다. 전술한 접근 방식은 이전에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다른 앱을 숨기고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으로 시프팅하는 기간에는 숨겨진 앱은 더 이상 선택할 수 없다. 숨겨진 앱을 선택하려면, 다시 선택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다시 시프팅 명령을 수행하여 뒤로 시프트하고 숨겨진 앱을 다시 디스플레이해야 한다.
본 발명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터치 감지 선택에 관한 전술한 한정된 기능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의 오브젝트의 향상된 터치 감지 선택을 위한 방법, 전자 디바이스, 전자 핸드헬드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관련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특히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선택을 위한 터치 감지 선택의 대안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선택을 위한 대안적 선택 능력으로 가진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터치 감지 선택을 구현하기 위한 추가 엘리먼트로서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독립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의 운영체제와 협력하는 추가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로서 구현될 수 있음 - 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메인 양태에 따르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터치 감지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는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위치에서 터치 명령을 통해 선택가능함 - ;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 중 하나를 하이라이팅하기 위한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영역으로부터 제1 터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제1 터치 명령의 위치는 상기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위치와 상이함 - ; c) 상기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로 점프하여 상기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와는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팅하기 위해,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상기 터치 감지 영역으로부터 제2 터치 명령을 수신하고, 제3 터치 명령을 수신한 후에 상기 하이라이팅된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하이라이팅된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안으로서,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제2 터치 명령의 위치 및/또는 상기 제3 터치 명령의 위치는, 상기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기 하이라이팅된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메인 양태에 따르면, 선택가능 오브젝트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오브젝트라는 용어는 단독으로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로서 프로그램 아이콘, 앱 아이콘, 입력 박스, 입력 필드, 행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열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이메일, 링크, 또는 참조로서 이해된다. 오브젝트는, 전자 디바이스 상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터치 명령을 통해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디스플레이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오브젝트는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는 하이퍼링크가 될 수 있고, 이 하이퍼링크는 선택될 수 있거나, 이메일 구성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는 한줄씩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순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메일이 될 수 있으며, 각 이메일은 선택된 각 이메일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메인 양태에 따르면, 제1 터치 명령을 수신한 후에,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하고, 하이라이팅 모드에서, 선택가능 오브젝트 중 하나가 하이라이팅되고,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팅이 디스플레이되고, 이것은 제2 터치 명령을 수행한 후에 이미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선택을 위해 준비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터치 명령의 위치는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위치와 다르므로, 종래기술의 수준과 달리, 제1 터치 명령은, 대안이 제공됨에 따른 상이한 위치가 아닌,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일 위치에서 수행되지 않고, 종래기술의 수준과는 달리, 선택가능 오브젝트는 선택이 이루어지기 전에 하이라이팅되며 하이라이팅 없이 즉시 선택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우선 하이라이팅되고 제2 단계에서 선택이 수행될 수 있다.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선택은 또한 특정 기간 또는 미리 결정된 기간을 대기한 후에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하이라이팅을 위한 제1 터치 명령은 이미 대기 단계(waiting phase)를 갖는 터치 명령의 일종으로서 제2 터치 명령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기 단계가 종료되면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가 자동으로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메인 양태에 따르면, 제2 터치 명령은 또한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로 점프하여 이전에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와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팅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것은 하나 이상의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구비한 경우에, 하이라이팅을 위한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로 점프 또는 달리 표현하면 가고(go), 다른 단계에서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선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점프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이용가능한 선택 가능 오브젝트 중 하나를 하이라이팅하기 위해 제2 선택가능 오브젝트, 제3 선택가능 오브젝트 등으로 단계적으로 점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양 방향으로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이전에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로의 점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터치 명령, 제2 터치 명령, 및 제3 터치 명령 등의 전술한 터치 명령에 대한 상이한 타입의 터치 명령의 사용을 예견하거나, 하이라이팅을 위한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통해 점프하는 것을 위한 그리고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것을 위한 상이한 타입의 터치 명령을 전용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제1 터치 및 홀드 명령이 사용될 수 있고, 홀드를 유지하면서 터치 감지 영역 상으로의 추가 이동은 하이라이팅을 위한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로 점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원하는 터치 명령을 하이라이팅한 후, 미리 규정된 기간 동안의 탭 또는 대안적인 홀딩은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2 터치 명령을 위한 것과 같은 추가 터치 명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터치 명령은 터치 감지 영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터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터치 감지 명령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적어도 하나의 터치 명령 중 임의의 하나의 터치 명령은 특정 기간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터치 명령 중 임의의 하나의 터치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방향을 가진 터치 감지 영역 상에서의 슬라이딩(sliding)/스와이핑(swiping)/디스플레이싱(displacing)으로 수행될 수 있고, 터치 명령은, 동시에 또는 터치 명령을 위한 손가락의 사용 간의 타임 오프셋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용어 터치 감지 영역은 모든 영역, 즉 전자 디바이스 상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및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주변의 터치 감지 표면 모두로 이해되어야 하고, 이것은 전자 디바이스 상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주변의 터치 감지 표면 상에 제1 터치 명령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형태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메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거나 하이라이팅을 위한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로 가기 위해 그리고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가 아닌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된 위치에서 선택가능 오브젝트 자신을 터치할 필요 없이 전술한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 감지 영역 상에 터치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곳이 아닌 터치 명령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유리한 선택 방법을 제공하고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고 모두 선택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대조적으로 그리고 종래기술의 수준에 따르면, 터치 명령은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동일 위치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사용자는 선택을 위해 선택 가능 오브젝트 자체로 끝까지 이동해야 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선택을 위한 더 짧은 선택 궤적이 제공되고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에 필요한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수준에 따른 시프팅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은, 시프팅으로 인해 오브젝트가 숨겨지지 않기 때문에, 선택가능 오브젝트 모두가 선택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바이스의 사이즈가 커져서, 터치 명령을 수행하고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여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걸쳐 먼 거리를 앞뒤로 이동하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사용자 이동의 궤적을 단축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다른 유리한 효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오직 하나의 파지하는 손(holding hand)의 손가락의 동작 가능 영역으로부터 멀리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배치되어 있을 때, 오직 한 손으로만 디바이스를 파지하면서 모든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선택될 수 있고,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서 터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두번째 손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 편한 방식으로 핸드헬드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특히 다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고 다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서로 매우 가깝게 배치된 것으로 인해, 종래기술의 수준에 따르면 선택가능 오브젝트 중 하나의 위치에서의 터치 명령이 잘못되고 의도하지 않은 선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효과에 따르면, 선택을 위한 터치 명령이 수행되는 동안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더 높은 정확도로 선택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추가적인 터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또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내에 남겨두기 위해,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 중 어느 것이 처음에 하이라이팅되었는지에 대한 결정은 상기 제1 터치 명령의 위치에 의존한다. 이러한 유리한 양태에 기초하면, 하이라이팅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제1 터치 명령을 수행한 후에, 제1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이미 하이라이팅되고, 어떤 오브젝트가 하이라이팅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은 제1 터치 명령이 수행된 터치 감지 영역 또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따른다. 제1 터치 명령의 위치를 고려하여, 터치 감지 영역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경계가 자동으로 고려되므로, 터치 감지 영역 또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점프 및 하이라이팅을 위해 손가락 시프팅을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기 때문에, 하이라이팅을 위해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로 점프하는 슬라이딩 부분이 있는 터치 명령을 수행하는 것은 간섭없이 여전히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터치 명령의 위치가 터치 감지 영역 또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우측 경계 상에 있으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우측 경계 상의 위치를 갖는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하이라이팅되고, 또는 제1 터치 명령의 위치가 터치 감지 영역 또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하부 우측 손 코너에 있으면, 하부 우측 손 코너 상의 위치를 갖는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하이라이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영역은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주위의 터치 감지 표면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한 터치 감지 부분 모두가 본 발명의 대상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오브젝트로부터 결정되고, 상기 결정은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각각의 오브젝트와 상기 제1 터치 명령의 위치 사이의 거리 및/또는 상기 터치 가지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의 현재 사용 배향에 의존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오브젝트로부터 선택하는 것,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가능하게 만드는 것, 및 특정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 중 일부가 특정 디스플레이된 위치에서 터치 명령을 통해 선택가능 상태로 유지되는 적어도 선택가능 오브젝트 중 하나로부터 제외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주의가 산만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다 단순한 디스플레이의 이점을 갖는 하이라이팅 가능한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터치 명령, 상기 제2 터치 명령, 또는 상기 제3 터치 명령은, 싱글 터치 명령, 숏 터치 명령, 탭(tap), 더블 탭(double tap), 수평 또는 수직 스크롤, 스와이프, 터치 앤 홀드(touch and hold),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플리크(flick), 또는 프레스(press),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및/또는 적어도 2개의 손가락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명령은 특정 액션의 시작에 대응하는 명령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터치 명령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이라이팅은, 어떤 오브젝트가 선택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 중 어떤 것이 하이라이팅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개별 그래픽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것 및/또는 기하학적 형태, 컬러, 및/또는 패턴을 갖는 연결 엘리먼트 및/또는 참조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것 및/또는 수정된 사이즈를 통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어떤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하이라이팅되는지 시각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시각적 엘리먼트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라이팅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 기초하여, 수직 코스, 수평 코스, 만곡된 코스, 원형 코스, 및/또는 대각선 코스를 갖는 적어도 일부를 가진 코스를 따라 상기 터치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의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분포에 따라, 또는 터치 감지 영역의 위치에 따라, 별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전술한 코스 중 하나를 가진 상이한 타입의 터치 명령이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전술한 코스는 또한 사용자에게 현재 코스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될 수 있는 미리 정의된 코스에 대해 알리기 위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서 시각화될 수 있다. 이 유리한 양태에 따라, 어떤 타입의 코스가 제공되는지 보여주기 위해 그래픽 엘리먼트를 통해 코스가 시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코스 시각화는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팅 및 선택의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적어도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로부터의 그룹으로 확대된 뷰(view)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서브그룹의 멤버를 통해 점프하기 위해 확대 뷰는 선택가능 오브젝트로부터 서브그룹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룹으로의 확대 뷰에 기초한 감소된 감도로 인해 서브그룹의 다른 오브젝트로의 한번의 점프가 덜 정확한 터치 명령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서브그룹은 사용자에 대하여 소정 코스를 따른 선택을 쉽게 만드는 적은 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는 프로그램 아이콘, 앱 아이콘, 입력 박스, 입력 필드, 행으로 디스플레이된 정보, 열로 디스플레이된 정보, 전자우면, 링크, 또는 레퍼런스(reference)이다. 터치 명령을 통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서 선택될 수 있는 전술한 임의의 오브젝트는 선택가능 오브젝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제1 서브그룹에 대하여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되고, 제1 터치 명령은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제2 서브그룹보다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제1 서브그룹까지 더 큰 거리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손가락이 이미 제2 서브그룹의 선택가능 오브젝트까지 더 가까운 거리에 있지만, 제2 서브그룹의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터치 명령을 통해 직접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터치 명령에 더 가깝게 배치된 제2 서브그룹은 하이라이팅 모드를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잡도 비율이 감소하고 사용자의 주의가 산만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가진 터치 감지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전 양태 중 하나에 따른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감지 디바이스 또는 터치 감지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메모리 유닛, CPU, 무선 통신 유닛, 그래픽 프로세서 유닛(GPU), 사운드 변환기 유닛,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케이싱이 장착되어 있으며 장치의 운영 체제로서의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터치 감지 디바이스 또는 터치 감지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주위 위치에 바람직하게 배치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다른 터치 감지 영역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터치 감지 디바이스 또는 터치 감지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홈 버튼 및/또는 사이드 버튼과 같은 적어도 버튼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와치, 또는 노트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에 의한 실행시, 컴퓨터로 하여금 본 원에서 설명한 양태 중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제품은 운영체제의 일부일 수 있거나, 본 발명의 양태 중 하나에 따라 작동하도록 전자 장치에 로드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서의 추가 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기초하여 일부 바람직한 비배타적인 실시형태가 도면의 도움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의 오브젝트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선택가능 오브젝트(3)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1은 2개의 단계, 즉 제1 단계(S1.1) 및 제2 단계(S1.2)를 도시한다. 단계(S1.1 및 S1.2)에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는, 문자 "a", "b", "c", "d", "e", "f", "g", "h"(이하, "a"-"h") 및 "w", "x", "y", "z"(이하, "w"-"z")로 라벨링된, 복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3)를 디스플레이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선택은 검은색 별(4)로 표시된 터치 감지 명령(4)에 의해 수행되고, 단계(S1.2)에서 표시된 바와 같은 선택가능 오브젝트("g")의 위치에서 터치 감지 명령(4)을 수행함으로써 선택가능 오브젝트("g")의 선택이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는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 중 하나의 위치에서 터치 감지 명령(4)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모든 선택이 원하는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위치에서의 터치 명령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문자("a"-"h" 및 "w"-"z")로 라벨링된 선택가능 오브젝트(3)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2는 3개의 단계, 즉 S2.1, S2.2, 및 S2.3을 보여준다. 제1 단계(S2.1)는 전자 디바이스(1)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에 복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도시하고,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 각각은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은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의 디스플레이의 위치에서 수행될 터치 명령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S2.2)에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아래에 배치되고,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의 위치와 상이하고,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와 상이한 원으로 심볼화된 터치 감지 영역(5)에서 제1 터치 명령(4)을 수행한 후에,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한다.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한 후, 선택가능 오브젝트 중 하나가 처음으로 하이라이팅되고, 도 2의 단계(S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a"로 라벨링된 선택가능 오브젝트가 하이라이팅되고, 추가 터치 명령이 수행될 때 잠재적으로 선택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하고 선택가능 오브젝트("a")를 하이라이팅한 후, 제2 터치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a")를 선택할 수 있다. 언급된 제2 터치 명령(4)은 본 설명에서 정의된 터치 명령 중 하나이거나,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a")가 선택되고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a")이 시작된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을 갖는 대기 기간일 수도 있다(여기에 표시되지 않음).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a")의 선택에 대안적으로, 그리고 도 2 단계(S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가능 오브젝트("a")를 하이라이팅한 후에, 선택가능 오브젝트("b"-"h" 또는 "w"-"z") 중 다른 하나로 점프하여 하이라이팅하기 위해 제2 터치 명령(4)이 사용된다. 즉 여기서 단계(S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가능 오브젝트("b")가 하이라이팅된다.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a")를 선택하기 위한 전술한 제2 터치 명령(4)과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b")로 점프하기 위한 제2 터치 명령(4)은 이 둘을 구별하기 위해 상이한 타입이라는 것이 명확하다.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해, 화살표("m")으로 표시된 시프트는 단계(S2.2)에서의 손가락의 위치로부터 단계(S2.3)에서의 손가락의 상이한 위치로의 손가락 움직임을 나타낸다. 시프팅 또는 스와이핑은 단지 이동 또는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팅하는 것에 대한 대안이며 가능한 명령의 제한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팅은 터치 감지 영역 상에서의 탭핑, 터치 앤드 홀드 및 슬라이딩과 같은 본 출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모든 가능한 터치 명령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고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 즉 선택가능 오브젝트("b")로 점프하고 선택가능 오브젝트("b")를 하이라이팅한 후, 제3 터치 명령과 같은 추가 명령을 수신한 후에, 오브젝트("b")가 선택될 수 있지만, 오브젝트("b")의 전술한 선택 및 애플리케이션("b")을 시작하는 것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으며 도 2에 기초한 추가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브젝트("w"-"z")는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단계(S2.2)에서의 제1 터치 명령(4)의 위치와 가깝기 때문에,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로부터의 서브그룹, 즉 서브그룹("w"-"z")이 아닌 서브그룹("a"-"h")에 대해서만 하이라이팅 모들로 진입된다.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서브그룹에 대한 하이라이팅 모드로의 진입하기 위한 대체 실시형태는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서브그룹 및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제1 터치 명령 사이의 거리에 의존하고, 제1 터치 명령의 위치에 대한 더 큰 거리를 가진 서브그룹에 대하여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유리한 양태는 다음 도면과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여기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a"-"h" 및 "w"-"z"로 라벨링된 선택가능 오브젝트(3)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3에 따른 실시형태는, 터치 명령(4)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에서 수행되고 도 2에서와 같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주위의 터치 감지 표면 상에서는 수행되지 않는다는 차이를 가지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실시형태에 대응한다. 도 3 단계(S3.1)에서,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단계(S3.2)에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에서의 제1 터치 명령(4)을 수행한 후에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행하고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제2 터치 명령(4)을 수행한 후에 선택될 수 있는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a")가 처음으로 하이라이팅된다. 대안적으로, 제2 터치 명령(4)은 단계(3.3)에 따라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b")로 점프하여 선택가능 오브젝트("b")를 하이라이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3 터치 명령과 같은 추가 명령을 수신한 후에 오브젝트("b")가 선택될 수 있지만, 전술한 오브젝트("b")의 선택 및 애플리케이션("b")의 시작은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여기서,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a")를 선택하기 위한 전술한 제2 터치 명령(4)과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b")로 점프하기 위한 제2 터치 명령(4)은 이 둘을 구별하기 위해 상이한 타입이라는 것이 명확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문자("a"-"h")로 라벨링된 선택가능 오브젝트(3)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4에 따르면, 3개의 단계(S4.2, S4.3, 및 S4.4)가 표시된다.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하기 전의 초기 상태는 도 2에서의 단계(S2.2) 및 도 3에서의 단계(S3.1)와 유사하다. 즉 전자 디바이스(1)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에 복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가 디스플레이되고,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 각각은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의 디스플레이 위치에서 수행될 터치 명령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단계(S2.2)에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아래에 배치되고, 선택가능 오브젝트("a"-"h" 및 "w"-"z")의 위치와 상이하고,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와 상이한 원으로 심볼화된 터치 감지 영역(5)에서 제1 터치 명령(4)을 수행한 후에,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한다.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한 후에, 제2 터치 명령(4)이 수행되면, 선택가능 오브젝트("g")가 처음으로 하이라이팅되고 잠재적으로 선택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선택가능 오브젝트("g")를 하이라이팅하도록 점선(8)과 같은 그래픽 엘리먼트(8)가 디스플레이된다. 언급된 제2 터치 명령(4)은 본 설명에서 정의된 터치 명령 중 하나이거나,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g")가 선택되고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g")이 시작된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을 갖는 대기 기간일 수도 있다(여기에 표시되지 않음). 단계(S4.2)에서, 처음에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g")는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g")(미도시)를 향한 움직임과 결합된 터치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g")의 선택에 대안적으로, 그리고 도 4 단계(S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가능 오브젝트("g")를 하이라이팅한 후에, 선택가능 오브젝트("a"-"f" 또는 "h") 중 다른 하나, 즉 여기서 단계(S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가능 오브젝트("h")로 점프하여 하이라이팅하기 위해 제2 터치 명령(4)이 사용된다. 또한, 여기서,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g")를 선택하기 위한 전술한 제2 터치 명령(4)과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h")로 점프하기 위한 제2 터치 명령(4)은 이 둘을 구별하기 위해 상이한 타입이라는 것이 명확하다. 이해를 돕기 위해, 화살표("m")으로 표시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시프트는 단계(S4.2)에서의 손가락의 위치로부터 단계(S4.3)에서의 손가락의 상이한 위치로의 손가락 움직임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 즉 선택가능 오브젝트("h")로 점프하고 선택가능 오브젝트("h")를 하이라이팅한 후, 오브젝트("h")는 제3 터치 명령(4)과 같은 추가 명령을 수신한 후에 선택될 수 있다. 단계(S4.4)에 따르면, 제3 터치 명령(4)은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h")를 향한 움직임과 결합된 터치 명령을 사용하여 수행되지만, 오브젝트("h")의 오프닝(opening) 및 애플리케이션("h")의 시작은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4 및 도 3을 기초하여, 본 발명의 대체 실시형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도 4에 도시된 터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도 4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래픽 엘리먼트(8)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점선(8)으로 표시된 그래픽 엘리먼트(8)의 시작 위치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제1 터치 명령(4)의 위치이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선(8)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제1 터치 명령(4)의 위치와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g") 사이에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문자("a"-"h")로 라벨링된 선택가능 오브젝트(3)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5에 따른 실시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도 4의 실시형태와 유사하며 일부 추가 엘리먼트가 선택을 위해 제공된다. 단계(S5.2)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은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한 후에, 오브젝트("g")를 하이라이팅하는 점선과 상이한 방식으로 도시된 점선으로서 여기에 추가 그래픽 엘리먼트가 도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이라이팅 모드를 위해 이용 가능한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a"-"f" 및 "h")가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하이라이팅 가능한 오브젝트로의 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점프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이한 오브젝트 즉 "h"가 단계(S5.3)에서 하이라이팅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설명을 위해 도 4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3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대체 실시형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도 5에 도시된 터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도 5에 대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엘리먼트(8) 및 추가 엘리먼트가 선택을 위해 제공되고, 하이라이팅을 위한 그래픽 엘리먼트(8)의 위치 및 하이라이팅 가능한 오브젝트를 나타내기 위한 추가 엘리먼트는 각 오브젝트("a" - "h")로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제1 터치 명령(4)의 위치 사이에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는, 도 5의 실시형태와 유사하고, 두꺼운 점선과 같은 그래픽 엘리먼트(8) 및 얇은 점선과 같은 추가 엘리먼트의 시작 지점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위치로 시프트되고, 두꺼운 점선 및 얇은 점선의 종료지점은 단계(S5.2 및 S5.3)와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오브젝트("a"-"h")에 연결되어 유지되는 차이점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문자("a"-"e")로 라벨링된 선택가능 오브젝트(3)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6에 따르면, 도 2의 단계(S2.1, S2.2, 및 S2.3)에 대응하는 3개의 단계(S6.1, S6.2, 및 S6.3)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실시형태와 도 6의 실시형태 간의 차이점은, 도 6에서의 선택가능 오브젝트("a"-"e")가 복수의 행을 나타내는 도트 라인으로 도시된 텍스트의 상이한 라인에 걸쳐 분포된 입력 필드라는 것이다. 예컨대, 문자("a")로 라벨링된 제1 입력 필드는 제1 행에 있고, 문자("e")로 라벨링된 마지막 입력 필드는 제14 행에 있다. 단계(S6.1)에 따르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에 선택가능 오브젝트("a"-"e")가 디스플레이되고,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원(circle) 또는 대체 실시형태와 같은 터치 감지 영역 상에서 제1 터치 명령(4)을 수행한 후에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b")가 처음에 하이라이팅되고, 전술한 대안 중 하나에 따라 제2 터치 명령(4)을 수행한 후에 처음에 하이라이팅된 오브젝트("b")가 선택될 수 있고, 선택 후에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미도시). 도 2에서의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로의 점프와 마찬가지로, 단계(S6.3)에 따른 도 6에서의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a" 또는 "c"-"e")로의 점프는, 제2 터치 명령(4) 후에 수행될 수 있고, 단계(S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d")가 하이라이팅될 수 있다. 여기서 두 번의 점프가 수행된다는 것, 즉 오브젝트("b")로부터 오브젝트("c") 위로 점프하여 오브젝트("d")에 도달하기 위해 제2 터치 명령이 두 번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Claims (15)

  1.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를 구비한 터치 감지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1) 상에서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3)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3)는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3)의 위치에서의 터치 명령(4)을 통해 선택될 수 있음 - ;
    b)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의 터치 감지 영역(2, 5)으로부터 제1 터치 명령(4)을 수신하고 하이라이팅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3) 중 하나를 하이라이팅하고, 상기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6)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제1 터치 명령(4)의 위치는 상기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6)의 위치와 상이함 - ; 및
    c)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의 상기 터치 감지 영역(2, 5)으로부터 제2 터치 명령(4)을 수신하고 상기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6)를 선택하거나 다른 선택가능 오브젝트(3)로 점프하고 상기 하이라이팅된 선택가능 오브젝트(6)와는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7)를 하이라이팅하고, 상기 하이라이팅된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7)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터치 명령(4)을 수신한 후에 상기 하이라이팅된 상이한 선택가능 오브젝트(7)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3) 중 어느 하나가 처음에 하이라이팅되는지에 대한 결정은, 추가 터치 명령을 수행하기에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내에 유지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터치 명령(4)의 상기 위치에 의존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91)의 상기 터치 감지 영역(2, 5)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또는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주위의 터치 감지 표면인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팅 모드는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제1 서브그룹을 위해 진입되고,
    상기 제1 터치 명령은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제2 서브그룹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상기 제1 서브그룹까지의 더 큰 거리를 갖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는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오브젝트로부터 결정되고, 상기 결정은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의 각각의 오브젝트와 상기 제1 터치 명령의 상기 위치 사이의 거리" 및 "상기 터치 감지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1)의 현재 사용 배향"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명령, 상기 제2 터치 명령, 또는 상기 제3 터치 명령은, 단일 터치 명령, 짧은 터치 명령, 탭(tap), 더블 탭, 수평 또는 수직 스크롤, 스와이프(swipe), 터치 및 홀드(hold),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플릭(flick) 또는 프레스(press),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및 "적어도 2개의 손가락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팅은, 어느 오브젝트가 선택가능한지 및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 중 어느 것이 하이라이팅되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개별 그래픽 엘리먼트(distinguishing graphical element)를 사용하는 것, 기하학적 형태, 컬러,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 연결 엘리먼트(connecting element) 및 참조 엘리먼트(referencing el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 및 수정된 사이즈를 사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명령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에 수직 코스, 수평 코스, 만곡된 코스, 원형 코스, 및 대각선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 코스를 따라 수행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는, 어떤 타입의 코스가 제공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그래픽 엘리먼트에 의해 시각화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 시각화는,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상기 하이라이팅 및 선택의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로부터의 적어도 그룹으로의 확대도를 제공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오브젝트는, 프로그램 아이콘, 애플리케이션, 입력 박스, 입력 필드, 행으로 디스플레이된 정보, 열로 디스플레이된 정보, 전자우편, 링크(link), 또는 참조인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팅 모드는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제1 그룹을 위해 진입되고,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제2 그룹을 위해 진입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터치 명령의 위치와 상기 제1 그룹 사이의 갭(gap)은 상기 제1 터치 명령의 상기 위치와 상기 선택가능 오브젝트의 상기 제2 그룹 사이의 갭보다 큰 것인, 방법.
  13.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를 구비하고,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지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1)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워치, 또는 노트북인 것인,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
  15. 컴퓨터에 의한 실행 시,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05834A 2018-07-26 2018-07-26 향상된 터치 감지 선택 KR20210053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8/055608 WO2020021313A1 (en) 2018-07-26 2018-07-26 Enhanced touch sensitive sel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288A true KR20210053288A (ko) 2021-05-11

Family

ID=6336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834A KR20210053288A (ko) 2018-07-26 2018-07-26 향상된 터치 감지 선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28327B2 (ko)
EP (1) EP3814881A1 (ko)
JP (1) JP7421230B2 (ko)
KR (1) KR20210053288A (ko)
CN (1) CN113330408A (ko)
WO (1) WO20200213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1207B2 (en) * 2004-03-18 2008-10-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viewing and navigation of content
JP2006072489A (ja) * 2004-08-31 2006-03-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702231B2 (ja) 2006-09-05 2011-06-15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システム
US8122384B2 (en) 2007-09-18 2012-02-2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object within a user interface by performing a gesture
US8315672B2 (en) * 2008-12-01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348689B2 (ja) 2009-05-22 2013-11-20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990732B2 (en) * 2010-05-14 2015-03-24 Sap Se Value interval selection on multi-touch devices
US20120030566A1 (en) * 2010-07-28 2012-02-02 Victor B Michael System with touch-based selection of data items
US9169025B2 (en) * 2012-02-27 2015-10-27 Borealis Technical Limited Method for inflight deicing of landing gear and wheel bays in aircraft with onboard drive means
KR20140017429A (ko) 2012-08-01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69801A (ko) * 2013-12-16 2015-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079895B2 (en) 2014-10-15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9690463B2 (en) * 2015-01-06 2017-06-2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electing actionable item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puter system
US10613732B2 (en) * 2015-06-07 2020-04-07 Apple Inc. Selecting content items in a user interface display
US20170068416A1 (en) * 2015-09-08 2017-03-09 Chian Chiu Li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 Input
WO2018019050A1 (zh) * 2016-07-25 2018-02-01 北京拉酷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触敏表面—显示器的手势控制交互方法与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1313A1 (en) 2020-01-30
JP2021533511A (ja) 2021-12-02
US11928327B2 (en) 2024-03-12
US20210149560A1 (en) 2021-05-20
JP7421230B2 (ja) 2024-01-24
EP3814881A1 (en) 2021-05-05
CN113330408A (zh)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6724B2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EP2960752B1 (en) Character entry for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position sensing keyboard
EP2154603A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552961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EP255748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8405677B2 (en) Method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selecting a soft button displayed on a touch-sensitive screen and rela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3366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US20130067373A1 (en) Explicit touch selection and cursor placement
US9870144B2 (en) Graph display apparatus, graph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GB2492710A (en) Card metaphor for computing device has different display modes for card groups
WO2012159254A1 (en) Invisible control
JP6041742B2 (ja) タッチパネル表示制御装置
KR20160053547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US20160291832A1 (en)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20140117979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항목 선택 방법 및 시스템
JP590634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102257817B1 (ko) 전자장치에서 숫자의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2579139A1 (en) Terminal, process selection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210053288A (ko) 향상된 터치 감지 선택
JP2012208633A (ja) 情報端末、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230559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42470B2 (en) Method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entries on a user interface
JP619438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2013011981A (ja) 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JP2014232466A (ja) 画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