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429A - 화면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429A
KR20140017429A KR1020130082078A KR20130082078A KR20140017429A KR 20140017429 A KR20140017429 A KR 20140017429A KR 1020130082078 A KR1020130082078 A KR 1020130082078A KR 20130082078 A KR20130082078 A KR 20130082078A KR 20140017429 A KR20140017429 A KR 20140017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creen
small
objects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오 웨이
왕종규
장지타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210272556.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288039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210358230.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677556B/zh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1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포지셔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그 방법은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동작 및 검출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으로 매핑하고, 해당 영역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화면 동작 장치가 개시될 수 있다. 화면 동작 장치는 동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동작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동작 정보를 수집하고,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입력 모듈은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동작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도록 만들고,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에 해당하는 동작 오브젝트들이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포함되도록 만드는 제1모듈과, 큰 내부화면 영역을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동작 인터페이스 영역에 포함되게 하고,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후보 오브젝트들을 큰 내부화면 영역에 배열하게 하는 제2모듈 및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 동작 오브젝트들에게 동작 행위를 부여하여 큰 내부화면 영역 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도록 입력 모듈에 의해 전송된 동작 데이터를 처리하는 선택 엔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OF SCREEN OPER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OF}
본 개시는 화면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포지셔닝(positioning)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전자공학 산업과 통신 기술의 빠른 발달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기술과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의 빠른 발달은 더욱더 복잡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위한 기반을 갖는다.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를 처리하고 더욱더 강력한 기능들을 갖도록 단말 장치의 개인화를 달성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긴급하게 더 강력한 기능을 갖고 사용에 더 유연하고 편리한 단말기들을 요구한다. 정보 산업의 발달과 함께 단말기 기술은 지능성, 이동성 및 다기능을 향해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대형 화면을 갖고 터치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스마트 폰, PDA 및 태블릿 컴퓨터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넓은 화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키보드, 입력 스위치 등을 갖는 단말 장치는 더욱더 간단한 구동을 요구한다.
큰 화면을 갖는 단말 장치는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그러나 더 큰 화면과 어플리케이션들의 장착은 또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도전을 가져온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기능이 뒤떨어지고, 사용자가 어떤 어플리케이션(APP)의 이름을 잊어버리는 경우에는,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찾을 수 없어 사용자는 그 APP를 찾기 힘든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가 한 손으로 큰 화면을 제어하기는 어렵다. 첫 번째 이유는 사용자가 손으로 화면을 스크롤 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원하는 APP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 아래 및 앞, 뒤로 움직이고, 두 손을 사용하여야만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이유는 큰 화면을 가진 장치를 한 손으로 동작할 때, 핸드 홀딩(handholding)을 바꾸거나 원하는 APP가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큰 범위에서 앞뒤로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서서히 소비자 전자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해 왔고,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고 있다. 첨단 기술의 계속적인 발전과 함께 화면의 성능도 점점 향상되고 있는 반면, 그 가격은 점점 더 떨어지고 있어서, 일반 대중들은 기술 발전의 편리함을 누리고 있다. 사람들은 보통 아이콘이나 영역을 한 손으로 선택하지만 사람들이 밀집된 장소에서는 두 손으로 큰 화면을 구비한 휴대 장치를 동작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EP 1956472A (중국특허출원 No. 200810125875.9 대응)는 휴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아이콘을 이동시키거나 아이콘을 폴더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동될 아이콘이 선택되면 그 외관은 사용자에게 이동에 대한 시각적인 암시를 주도록 다른 아이콘들에 대해 변화된다. 또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 위로 이동되면 그 변화된 아이콘은 다른 아이콘과 겹친다. 현재 위치가 선택되면, 아이콘이 위치할 곳을 나타내는 이동 커서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폴더의 이름과 아이콘이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된 대화상자를 채용하는 것 또한 디스플레이에 새 파일 폴더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디폴트 이름과 폴더 아이콘들이 사용될 수 있고, 여분의 아이콘이 대화상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 선택에 대한 미리보기(preview)가 가능하다.
U.S.2006/265727 (중국특허출원 NO. 200480018377.4 대응)는 아이콘 검색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상에 서비스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시한 후 휴대장치가 동작하기 시작하고, 사용자 선호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장치로부터 필요한 ESG 데이터 필드를 검색한다. ESG 데이터 필드는 서비스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일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휴대장치는 ESG 데이터 스토리지에 목록이 만들어진 서비스들에 해당하는 아이콘 데이터 스토리지로부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될 아이콘들을 검색한다. 이는 ESG 데이터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어느 콘텐츠 기술자(descriptors)들이 이 서비스들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각 콘텐츠 기술자에 대해 아이콘 데이터 스토리지에서 해당 아이콘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이 아이콘들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선택된 개별 서비스에 대해 21단계에서 검색된 데이터 필드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개별 서비스들 이외의 해당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아이콘은 각 서비스 이외에 디스플레이되고, 그 아이콘은 무선으로 ESG 데이터에 첨부된 아이콘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 영화, 현재 이벤트 등과 같은 서비스 타입을 나타낸다. 이는 어느 서비스 타입이 이 서비스에 관련되는지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될 서비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26단계 후, 휴대 장치는 ESG 데이터와 관계된 서비스 콘텐츠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다른 아이콘들은 대안적으로 일부 서비스나 서비스 사업자와 관련될 수 있고, 이 아이콘들은 서비스 타입 아이콘들에 대해 우선권을 가진다.
U.S.2009/289903 (중국 특허출원 No. 200810301699.X 대응)는 터치스크린에 적용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아이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아이콘 제어 영역과 아이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각 디스플레이 그리드(grid)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그리드는 선택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선택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시작하여 터치스크린에 제어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소정 아이콘을 선택된 영역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어영역에서 터치 동작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검출되었다면, 이동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이동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지 않았다면, 터치 방향에 해당하는 순서에 따라 아이콘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그리드만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이동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했다면, 그 순서에 따라 아이콘을 두 개의 디스플레이 그리드만큼 회전시키고, 선택된 위치까지 두 개의 디스플레이 그리드 거리를 갖는 아이콘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필요한 아이콘을 빨리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종래의 기술 방식은 다음과 같이 기술적인 부적절함을 갖는다. 즉, 기존의 아이콘 선택 방법은 주로 손가락을 이용해 직접, 또는 일대일 대응 방식으로 선택한다. 또한, 작은 면적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전체 화면의 콘텐츠를 동작시키거나 사용하는 솔루션이 없다. 또한, 기존의 일대일 선택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아이콘이 빨리 선택될 수 있지만 영역을 모든 아이콘들을 선택하는데 사용하거나 아이콘들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콘텐츠를 동작시키는데 적용시킬 수 없다. 또한, 전체 화면에서 동작해 사람들이 화면의 길이와 폭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는 마우스에 의한 선택 혹은 직접 선택과 같은 기존의 선택 방법과 비교해 현재의 방법은 사람들이 편리하게 사용하게 하고 전체 스크린, 즉, 사람들의 동작 범위에 맞는 스크린을 동작시키게 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기술적인 해법을 제시해 단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을 빨리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큰 화면을 사용할 때 단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해 전체 항목을 동작 및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목적은 적어도 상술한 기술적인 결함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에게 소정 영역(region)에서 목적 페이지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조작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들을 빨리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면 동작 방법 및 화면 동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말 장비가 특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검출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으로 매핑하고, 해당 영역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게 포지셔닝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검출 모듈; 및 검출된 터치 동작을 원하는 페이지의 해당 영역으로 매핑하고, 해당 영역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매핑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동작 방법은 큰 화면 영역에서 후보 오브젝트들에 대한 동작, S1, 화면에 포함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서,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가 포함된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S2,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S3,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동작 행위를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과 동작 오브젝트들은 각각 아이콘, 간격, 영역, 블록, 콘텐츠,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행위들을 선택, 이동, 플립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상에서 상기 동작 행위들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에 대한 탐색, 선택 또는 제어 중 임의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 단계는 S31,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분리된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S32, 상기 선택 후, 상기 화면은 해당 선택된 영역으로 들어가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재배열을 완료하는 단계; 및 S33, 선택될 필요가 있는 후보 오브젝트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에 별도로 위치한 후보 영역으로 분리되었다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를 직접 선택하고, 아니면 상기 S31 및 S32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2단계 후 및 상기 S33단계 이전에, S34, 뒤로(back), 취소(cancel) 또는 시프트(shift) 동작을 선택하여 현재 내부화면 영역을 빠져나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뒤로, 취소, 또는 시프트 동작이 선택될 필요가 있을 때, 키 누르기, 펜으로 그리기, 및 드래깅 중 임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배열은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별도로 재배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주변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원형 배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단계는 동작 모드가 변경될 필요가 있을 때, 원래의 동작을 회복하거나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닫거나 스위칭하여 새 동작모드로 바꾸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고정 영역 또는 비고정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크기는 고정값 또는 조절가능한 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위치는 고정되거나 움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큰 화면영역 내의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의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은 전체 화면의 이동 및 회전을 지원하는 기능, 및 상기 화면의 일부에 대한 이동, 회전 및 줌을 지원하는 기능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은 아이콘들에 대한 칼럼 동작, 행(row) 동작, 또는 규정되지 않는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및 큰 내부화면 영역을 교대로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동작 장치는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동작 정보를 수집하고,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모듈은,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도록 만들고,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에 해당하는 동작 오브젝트들이 상기 작은 내부 화면영역에 포함되도록 만드는 제1모듈; 큰 내부화면 영역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 영역에 포함되게 하고,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후보 오브젝트들을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배열하게 하는 제2모듈;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 동작 오브젝트들에게 동작 행위를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 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도록 상기 입력 모듈에 의해 전송된 동작 데이터를 처리하는 선택 엔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과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은 각각 아이콘, 기간, 영역, 블록, 콘텐츠,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행위들은 선택, 이동, 플립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 엔진 모듈은 상기 동작 화면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에 대한 탐색, 선택 또는 제어 중 임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과정 1, 선택을 위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분리된 영역들; 과정 2, 상기 선택 후에, 상기 화면은 해당 선택 영역으로 들어가서, 상기 선택된 영역 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재배열을 완료하는 것; 및 과정 3, 선택될 필요가 있는 후보 오브젝트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별도의 후보 영역으로 분리된다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는 직접 선택되고, 그렇지 않다면 과정 1 및 2을 반복하는 것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과정 4, 뒤로, 취소 또는 스위치 동작을 선택하여 현재의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빠져나가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뒤로, 취소, 또는 스위치 동작이 선택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키 누르기, 펜으로 그리기 및 드래깅 중 임의의 동작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배열은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별도로 재배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주변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원형 배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동작 모드가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원래의 동작을 복원하거나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닫거나 스위칭하여 새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고정 영역 또는 비고정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크기는 고정값 또는 조절가능한 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위치는 고정된 위치 또는 움직일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 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은 전체 화면의 이동 및 회전을 지원하는 기능 및 상기 화면의 일부에 대한 이동, 회전 및 줌을 지원하는 기능 중 임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은 칼럼 동작, 열 동작 또는 규정되지 않은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 엔진 모듈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및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을 교대로 사용하여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모듈의 형태는 사각형, 삼각형, 원형 또는 섹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모듈은 2차원 입력 모듈 또는 3차원 입력 모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 동작 장치는 또한 장치 동작 시스템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 동작 장치는 또한 상기 제1모듈로 사용되는 외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동작 방법은 화면상에서 후보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동작 인터페이스 상에서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후보 오브젝트의 일부 또는 모두에 대한 동작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해당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시작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대한 동작 행위들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시작하는 단계는 설정에 대한 옵션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시작하는 단계는 슬라이더 바 이후에 드롭다운 메뉴를 추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시작하는 단계는 작은 동작 반투명 아이콘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동작들은, 키를 눌러서 선택 또는 슬라이딩에 의해 선택을 포함하는 아이콘 선택; 아이콘 화면들을 스위칭; 뒤로; 및 단축키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위치는 임의의 동작 인터페이스의 아이콘 그리드로 넣을 수 있거나, 또는 교차격자(cross-grid)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후보 오브젝트들은 플로팅 (floating) 오브젝트들이고, 상기 작은 내부 화면 영역은 직접 열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동작 방법은 후보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전체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작은 내부화면 직역은 조이스틱 링을 이용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해당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상에 상기 동작 행위들을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조이스틱 링을 이용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상기 원형 조이스틱을 배열하거나 상기 조이스틱 주변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조이스틱 링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상기 원형 조이스틱 주변에 배열하거나 상기 조이스틱 주변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이스틱을 굴리는 회수로 선택하는 단계는 파워 오프, 데이터 흐름의 개방/닫음, 블루투스의 개방/닫음, 및 음성 볼륨의 조정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상기 조이스틱으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아이콘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조이스틱 링의 각 각도에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이스틱 링에 위치한 아이콘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상기 조이스틱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조이스틱 선택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화면의 크기에 따라 적적한 크기를 갖는 조이스틱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상기 조이스틱 링 내에 해당 위치로 넣고,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조이스틱의 위치들로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이스틱에 의한 선택을 위해 작은 상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조이스틱으로 상기 동작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시계 방향 원 및 반시계 방향 원을 다음 원과 상기 다음 원으로 각각 정의하는 단계; 및 더블 클릭을 확인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동작 방법은 후보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키 영역을 이용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해당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에 동작 행위들을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영역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시작된 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로서 2n 또는 4n 키들 및 뒤로/스위치 키를 생성하는 단계; 현재 화면상의 후보 오브젝트들의 중심을 경계로 하여 블록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짝수 행들과 짝수 열들로 배열하는 단계; 및 행들과 열들의 개수가 2의 n제곱이 아니면, 상기 블록 영역 밖의 여분의 후보 오브젝트들을 별도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후보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전체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펜으로 그리기를 함으로써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해당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상에 동작 행위들을 부과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펜으로 그리기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시작된 후, 상기 화면상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중심을 경계로 하여 3x3 블록들을 갖는 영역을 생성하고, 3x3블록들을 갖는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생성된 다른 방향들에 대한 9개의 키에 대응시킨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대항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영문 이니셜(initial)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동작 행위들을 부과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영문 이니셜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시작된 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영문 이니셜에 따라 서로 다른 키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의 화면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상기 영문 이니셜들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그 영문 이니셜에 따라 분리된 키들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섹터 영역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동작 행위들을 부과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섹터 영역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시작된 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섹터 영역에 의해 제1섹터, 제2섹터 및 제3섹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섹터 영역에 의해 섹터 a, 섹터 b, 및 섹터 c를 생성하고, 현재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후보 아이콘들이 섹터 b에, 동작 인터페이스의 다음 계층상의 후보 아이콘들은 섹터 c에, 그리고 섹터 b 및 c의 후보 아이콘들을 제외한 다른 정보는 섹터 a에 넣어지는 단계; 및 상기 내부화면 영역에서 다른 각도 및 다른 거리들에 따라 해당 후보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섹터 영역의 크기 및 영역적 위치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다른 각도 및 다른 거리들에 따라 해당 후보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후보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기 섹터 원호의 중심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원호의 반경에 해당하는 후보의 위치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동작 행위들을 부과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시작된 후, 제1스크롤 스트립은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고, 제2스크롤 스트립은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선택을 위해 필요한 후보를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으로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손가락들은 장비를 조작할 때 큰 범위에서 앞뒤로 움직이는 대신 화면상의 작은 영역(area)만을 동작할 필요가 있도록, 소정 영역에서 원하는 페이지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조작함으로써 APP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큰 범위에서 손가락들의 슬라이딩 또는 전체 손의 상, 하, 앞, 뒤 움직임을 피하도록 목적 페이지가 전환되었을 때 손으로 화면을 앞뒤로 스크롤할 필요가 없고, 두 손을 함께 사용하여 동작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들은 장치의 핸드홀딩(handholding)을 바꾸지 않고, 손가락들은 익숙한 작은 영역의 범위 내에서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작은 자연스럽고, 편리하며 편안하여 큰 화면을 갖는 장비에 대해 한 손으로 APP의 정확한 포지셔닝에 더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 단말 장치를 약간 바꾸는 것이고 장치의 호환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단순함과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큰 화면을 사용할 때 한 손만을 사용하여 전체 아이템들을 동작 및 제어하여 빠른 선택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빠른 동작에 대한 입구로서 작은 영역을 사용하여 그 작은 영역에서 사용 동작을 분석하고 처리하며, 또 화면에서 다른 아이콘들 또는 간격들을 선택 및 동작시킴으로써 입구가 시작될 때, 작은 영역 선택 상태로 들어갈 수 있고, 입구가 닫히면 원래 아이콘 선택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작은 영역을 사용자의 빠른 동작을 위한 도입을 사용하여 그 작은 영역에서 사용 동작을 처리하고 분석함으로써 화면에서 다른 아이콘들 또는 구간들을 더 선택 및 동작시킬 수 있다. 그 도입이 시작되면, 작은 영역의 선택 상태로 들어갈 수 있고, 도입이 종료되면 원래의 아이콘 선택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부가적인 양태와 정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합하여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고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포지셔닝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정 영역이 화면상의 빈 영역인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정 영역이 화면에서 중지된 플로팅(floating) 윈도우인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정 영역이 마크를 갖는 플로팅 윈도우인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이 빈 영역에서 길게 누름에 의해 자동으로 스크롤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윈도우상에서 길게 누름에 의해 화면이 자동으로 스크롤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클릭에 의해 목적 화면이 스위치(switch)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적 페이지를 스위치하는 버튼을 클릭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APP가 어플리케이션 마크를 갖는 플로팅 윈도우에 정확하게 위치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동작이 교정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정 영역이 빈 플로팅 윈도우인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현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4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5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기호는 항상 동일하거나 유사한 콤포넌트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콤포넌트를 나타낼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이며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만 사용되지만,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없다.
여기서 사용된 "단말 장치"는 송신 능력이 없는 무선 신호 수신기만을 갖는 장치뿐만 아니라 양방향 통신 링크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수신 및 송신 하드웨어를 갖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다중 라인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셀들 또는 다른 통신 장치; 오디오 및 데이터 처리, 팩스 및/또는 데이터 통신 능력을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CS); 무선 수신기 및 페이저(pager),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웹 브라우저, 메모, 캘린더, 및/또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단말기(PDA), 및/또는 종래의 랩탑 및/또는 팜탑 컴퓨터 또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단말 장치"는 휴대가능하고, 이동가능하거나 (항공, 해양 선박 및/또는 지상의) 탈것에 장착될 수 있거나 지구 및/또는 우주의 임의의 장소에 국부적으로 또는 배포된 형태로 운영되도록 채용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생각, 개념, 목적, 사상, 기준 방식 및 보호 범위를 보다 철저하고, 완전하고, 그리고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전체 도면을 통해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명백하게 지시되지 않은 한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구비하는"은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엘리먼트(element), 및/또는 콤포넌트(component)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엘리먼트, 콤포넌트, 및/또는 그 그룹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더 이해되어야 한다. 콤포넌트가 다른 콤포넌트에 "연결된", 또는 "결합된" 것으로 언급되면, 그것은 다른 엘리먼트에 직접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중재 엘리먼트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연결된" 또는 "결합된"은 무선 연결 또는 결합을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들이 임의의 또는 모든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 포함)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공통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공통적으로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그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서 그렇게 정의되지 않았다면 이상적이거나 전체적으로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여기서 사용된 용어 "단말기"가 방출 능력을 갖지 않은 무선 신호 수신기를 갖는 장치뿐만 아니라 양방향 통신 링크 상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수신 및 방출 하드웨어를 포괄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런 종류의 장치들은 다중 회선 디스플레이를 갖거나 갖지 않은 셀룰러 또는 다른 통신 장치; 음성 및 데이터 처리, 팩시밀리 및/또는 데이터 통신 능력이 결합된 기능을 갖는 개인 통신 시스템(PCS)을 포함할 수 있고, RF 수신기 및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웹 브라우저, 노트 패드, 캘린더 및/또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수신기를 갖는 PDA; 및/또는 종래의 랩탑 및/또는 팜 컴포투 EH는 RF 수신기를 갖는 다른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이동 단말기"는 휴대용, 이동가능한, 이동수단(항공, 해상, 지상)에 고정되거나 국부적으로 및/또는 지상에 배포되어 운용되고 및/또는 공간의 다른 곳에서 운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이동 단말기"는 또한 음악/비디오 재생 기능이 있는 PDA, MID 및/또는 휴대폰을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이동 단말기"는 스마트 TV, 셋톱박스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체적인 구현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갖는 예시적인 휴대용 다기능 장치를 사용하여 설명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는 일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그 관련 처리방법이 물리적인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클릭 키들, 물리적인 트랙 휠, 및 물리적인 터치 감지 영역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다른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이 다음의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환경은 사용자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과 상호작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갖는다. API(들)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스토리지 할당, 및 시스템 자원관리를 조정한다. 한편, API는 또한 서비스 센터의 다양한 서비스들(각 서비스는 기능이다)을 호출하고, 어플리케이션들이 윈도우 오프닝, 그래픽 묘사 및 주변기기 사용 등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는 대형 서비스 센터이다. 다양한 서비스 호출 또는 메시지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및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간의 API들을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기능 호출 또는 메시지의 전송은 이러한 기능 호출 또는 메시지들을 제출, 시작, 호출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API 전송 기능 호출은 스크롤링, 제스처 및 애니메이션 동작을 구현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디바이스에 사용된다. API는 개시된 파라미터들 또는 다른 파라미터들의 결합을 수신할 수 있다. 공개된 API들 이외에, 다른 API들은 공개된 API들과는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공개된 API 기능들과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당업자는 언급된 디스플레이 영역이 윈도우 종류를 지칭함을 이해할 것이다. 윈도우는 그러한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그것은 경계가 없고 디스플레이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뷰(예를 들어, 웹 페이지, 텍스트 또는 이미지 콘텐츠)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의 뷰를 가질 수 있다. 개시된 방법, 시스템 및 장치들은 디스플레이 영역(들), 윈도우(들) 및/또는 뷰(들)을 갖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뷰 또는 윈도우들을 가질 수 있다. 각 윈도우는 메인 뷰들(수퍼뷰)와 서브 뷰(서브뷰)를 포함하는 다중 뷰를 가질 수 있다. 어느 윈도우, 뷰, 메인 윈도우 또는 서브뷰가 마우스의 올림(lifting), 누름(pressing) 또는 드래깅(dragging)에 의해 접촉되는가가 결정되면, API 설정은 이런 종류의 결정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모드들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항상 통과"모드에서 마우스 내리기(down), 마우스 올리기(lift) 및 드래그 입력은 가장 가까운 서브뷰로 보내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드래그 상에서 인터셉트(intercept)" 모드에서, 마우스 올리기 또는 내리기 입력은 서브뷰로 보내지고 드래그 입력은 메인 뷰로 보내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항상 가로막기" 모드에서, 모두 드래그, 마우스 올리기 및 누름 입력은 메인뷰로 보내진다. 서브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의 서브세트로서 소프트웨어 작업을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둘 이상의 포인트들 형태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장치의 다중 터치 장치 드라이버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벤트들을 이벤트 오브젝트에 꾸려넣을 수 있다. 윈도우 서버는 이벤트 오브젝트를 수신하여 그 이벤트 오브젝트가 제스처 이벤트 오브젝트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윈도우 서버가 이벤트 오브젝트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는 뷰와 관련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 제스처 호출을 송신하거나 시작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제스처 이벤트를 확인하고 그 제스처를 처리하는 호출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로 보낼 수 있다. 윈도우 서버 또한 제스처 이벤트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뷰와 상관시킬 수 있다. 라이브러리는 응답을 위해 제스처 처리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스처 변경 호출을 송신할 수 있다.
제스처 API는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소프트웨어 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스처를 처리할 수 있다. 제스처는 스케일링(scaling), 회전, 또는 뷰, 윈도우 또는 디스플레이의 다른 변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는 다른 변경들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특정 변경만을 허용할 수 있다. 모든 종류의 이벤트들이 그래픽 아키텍쳐(architecture)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이벤트들은 질문을 받고(queried), (필요한 경우)분해되거나 발송될 수 있다. 이 이벤트들이 시스템 레벨의 이벤트들이면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중지되어야 하거나,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는 등), 이 이벤트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인스턴스들의 클래스를 갖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보내어질 수 있다. 이 이벤트들이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손(hand) 이벤트라면 이 이벤트들은 이벤트가 일어난 윈도우로 보내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윈도우는 인스턴스의 마우스 및 제스처 방법을 호출하여 적합한 제어부로 이벤트들을 보내어질 수 있다. 마우스 누름 또는 마우스 입력 기능을 수신한 제어부는 손이 올려질 때까지 모든 향후 호출들을 계속 수신할 수 있다. 두 번째 손이 검출되면 제스처 방법 또는 기능이 호출될 수 있다. 이 기능들은 제스처 호출의 시작, 변경 및 중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미래의 변경 제스처들은 제스처가 종료될 때까지 시작 제스처를 수신한 제어부로 보내어질 수 있다.
아이콘은 아이콘 포맷이고 시스템 아이콘, 소프트웨어 아이콘 등으로 사용되고, 그 확장자는 *.icon 또는 *.ico 이다. 통상 윈도우 데스크탑에 보여지는 소프트웨어 또는 아이콘들은 ICON 포맷으로 되어 있다. 아이콘 엘리먼트는 작은 아이콘 서브 엘리먼트 및 큰 아이콘 서브 엘리먼트의 두 서브 엘리먼트 옵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이름은 웹 어플리케이션 아카이브(archive)(WAR) 파일의 루트(root)로의 상대적인 경로이다. 배치 기술자(deployment descriptors)는 아이콘 엘리먼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XML 툴들이 배치 엘리먼트들을 편집하는데 사용된다면, XML 편집자는 아이콘 엘리먼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아이콘들은 작은 비트맵의 특별 형태로 그 최대 크기는 32x32 픽셀이다.
기존 방식에서, 아이콘들의 선택은 직접 클릭하거나 일대일 대응 선택에 의해 수행된다. 사용자에게 편리한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는 탐색(search), 선택 및 제어 영역으로서 작은 영역을 제공하여 화면을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작은 영역에서 분리된 영역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이후, 화면은 선택된 영역에서 아이콘들과 콘텐츠를 재배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은 영역에서 새로 분리된 영역을 재선택하고 화면은 해당 영역으로 들어가서 선택된 오브젝트들을 정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선택될 필요가 있는 모든 콘텐츠가 분리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해당 콘텐츠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뒤로 또는 스위치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장치가 작은 영역 선택 방법을 인에이블(enable)하면, 그 작은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 작은 영역은 사용자 클릭, 드래그 및 다른 동작 특징들을 수집하고, 동작 콘텐츠는 모든 종류의 인식가능한 정보일 수 있다. 정보가 확인된 후, 현재 제시된 화면은 동작 콘텐츠를 분석함으로써 다시 처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화면에 제시되고 있는 정보는 재배열될 수 있고, 다른 경우에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의 디스플레이는 그 작은 영역 주위로 동작될 수 있다. 동작 전에 그 작은 영역은 개방될 필요가 있고, 동작 모드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면, 작은 영역을 닫고 원래의 동작으로 되돌아가거나 새 동작 모드로 시프트할 수 있다.
그 작은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동작에 따르면, 전체 화면을 동작시키는 방법은 작은 영역에서 다른 동작을 선택, 이동, 플립(flip), 회전 및 다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동작 후 전체 화면은 동작에 따라 아이콘들을 재배열하고 아이콘들은 특정 인터페이스에 넣을 수 있다. 큰 화면 아이콘들 또는 영역들이 이동, 플립, 회전, 리셋, 인에이블 등을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는 작은 영역은 고정된 영역에 있을 필요는 없다. 임의의 영역일 수 있다. 그 작은 영역의 크기와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 작은 영역에서 동작 후, 동작 콘텐츠는 인터페이스상의 변경과 관련되거나 전체적으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모드는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두 사람이 동일한 동작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더라도 동작효과는 다를 수 있다. 동작이 취소되거나 바뀔 필요가 있다면 그 작은 영역은 키를 누르거나, 펜으로 그리거나 혹은 드래그하여 확인해줄 수 있고, 다른 작은 영역들로 바뀔 수도 있다. 화면상의 어느 한 곳에서 사람은 그 작은 영역을 통해 그것을 동작 또는 처리할 수 있다. 화면은 화면 전체의 이동, 회전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고, 화면 일부에 대한 이동, 회전, 플립, 줌인 및 다른 기능도 지원할 수 있다. 아이콘들에 대해, 화면은 칼럼 동작, 라인 동작, 또는 규정되지 않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 작은 영역에 대한 사용자들의 동작은 큰 화면 하에서 모든 동작들을 포함할 것이다. 작은 영역은 또한 해당 영역을 보여주고, 이 영역 및 큰 화면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포지셔닝 방법을 제공하며, 그 방법은 단말 장치가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그 단말 장치가 검출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에 매핑하고 그 해당 영역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포지셔닝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그 방법은 다음 110 단계 내지 12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10단계에서 단말 장치가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현재의 단말 장치가 점점 더 커지고 점점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APP)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APP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진입한 후 목적 APP를 정확하게 포지셔닝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는 소정 영역에 목적 APP를 포지셔닝하고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소정 영역은 화면의 빈 영역 및/또는 화면에서 중지된 플로팅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기 전 그 단말 장치가 소정 영역 호출을 위한 동작을 검출한 후 그 소정 영역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인 화면을 터치한 것이 검출되었다면 빈 영역 또는 플로팅 윈도우가 호출되고 소정 영역에 대한 호출 동작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영역의 호출은 시작 키를 길게 누르거나 클릭하는 것과 같은 터치 동작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특히 호출된 소정 영역이 빈 영역일 때, 그 빈 영역은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호출된 소정 영역이 플로팅 윈도우일 때, 그 플로팅 윈도우는 그 플로팅 윈도우가 사용자에 의해 드래그(drag)될 수 있기 때문에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그 플로팅 윈도우는 사용자의 동작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있는 화면 영역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는 그 소정 영역이 화면상의 빈 영역임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2의 참조번호 1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선을 그리는 시작 포인트는 소정 영역의 시작 위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소정 영역은 1cm x 1cm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구성되거나, 일정 퍼센티지로 화면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도 3은 그 소정 영역이 화면에서 중지된 플로팅 윈도우인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3의 참조번호 2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선을 그리는 시작 포인트는 그 소정 영역의 시작 위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소정 영역은 1cm x 1cm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구성되거나, 일정 퍼센티지로 화면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도 4는 그 소정 영역이 마크를 갖는 플로팅 윈도우인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플로팅 윈도우는 예를 들어, 도면에서 405 영역으로, 도 4에서 401, 402, 403 또는 404 영역과 같은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목적 페이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치(switch)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 페이지는 단말 장치가 소정 영역이 길게 눌렸거나 소정 영역상의 목적 페이지를 스위치하기 위한 버튼이 클릭된 것을 검출할 때 스위치되고, 길게 누름이 종료되거나 스위치를 위한 버튼 클릭이 중단되었을 때 현재 페이지가 목적 페이지로 결정될 수 있다.
목적 페이지를 스위치하는 실시예로서, 도 5는 빈 영역에서 길게 누름으로써 자동으로 화면이 스크롤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고, 참조번호 101은 화면 자체, 102는 화면상의 APP(즉, 어플리케이션)를 지칭한다. 첫째, 화면상의 빈 영역은 사용자 손가락의 길게 누름 행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의 빈 영역을 길게 누르면, 화면상의 빈영역에서 사용자 손가락의 이 행위가 검출되고, 화면은 앞에서 뒤로, 또는 뒤에서 앞으로 횡단하도록 구성되어 자동으로 화면의 스크롤이 이뤄진다. 사용자는 특정 스크롤 행위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간 자동 횡단과 스위치 과정의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그 디폴트 설정은 2s(2초)이지만, 예를 들어, 그 시간은 노인들은 천천히 보기 때문에 더 늦춰질 수도 있다. 원하는 APP가 현재 화면상에 보이면, 손가락으로 길게 누르는 행위는 취소될 수 있다. 그 경우, 화면에서 손가락으로 길게 누른 행위가 취소됐음이 검출되어 화면이 더 이상 자동으로 스크롤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현재 화면에서 화면 스크롤이 중지되어 선택되어야 하는 APP가 온 상태인 화면이 포지셔닝될 수 있다.
목적 페이지를 스위칭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은 플로팅 윈도우를 길게 눌러 자동으로 화면이 스크롤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작은 빈 영역을 갖는 화면에 대해,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투명한 플로팅 윈도우가 호출되고, 플로팅 윈도우상에서 길게 누름으로써 화면이 자동으로 스크롤되어 선택되어야 할 APP의 목적 화면의 포지셔닝이 이뤄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은 손가락으로 화면을 터치하는 행위, 즉, 작은 빈 영역을 터치하는 행위로 해석될 수도 있는 어떤 APP를 선택하지 않는 행위를 모니터링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을 터치하면, 즉, 화면에서 손가락에 의한 화면 터치 행위가 검출되면, 투명한 플로팅 윈도우(202)가 호출되고, 이는 사용자에 의해 줌 인(zoom-in) 및 줌 아웃(zoom out)이 제어될 수 있으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즉, 플로팅 윈도우가 손가락이 움직이는 곳으로 움직인다. 장치가 한 손으로 지지된 후, 손가락이 큰 범위에서 앞뒤로 움직일 필요가 없고, 귀찮게 핸드홀딩 제스쳐를 바꿀 필요 없이 플로팅 윈도우가 자동 스크롤을 제어할 수도 있도록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 습관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플로팅 윈도우는 손가락에 의한 길게 누름 행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플로팅 윈도우를 길게 누르면, 플로팅 윈도우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길게 누름 행위를 검출하고, 그때 화면은 앞에서 뒤로 (또는 뒤에서 앞으로, 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횡단하기 시작하여 자동 스크롤이 이뤄질 수 있다. 원하는 APP가 현재 화면에 있다면, 손가락으로 길게 누름 행위는 취소되고, 그때 플로팅 윈도우는 손가락에 의한 길게 누름 행위가 취소됐음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화면은 더 이상 자동으로 스크롤되지 않는다. 즉, 자동 스크롤이 현재 화면에서 중단되어 선택되어야 하는 APP가 온 상태인 화면이 포지셔닝될 수 있다.
목적 페이지를 스위치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은 목적 페이지가 클릭에 의해 스위치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버튼 클릭에 의해 목적 페이지가 스위칭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플로팅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롤 버튼은 손가락으로 길게 누름 행위를 감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플로팅 윈도우의 스크롤 버튼을 길게 누르면, 플로팅 윈도우의 스크롤 버튼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길게 누름 행위를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향 스크롤 버튼이 선택되면, 화면은 앞에서 뒤로 횡단하기 시작해 자동 스크롤이 이뤄진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향 스크롤 버튼이 선택되면, 화면은 자동으로 뒤에서 앞으로 스크롤될 수 있다. 원하는 APP가 현재 화면상에 나타나면 손가락으로 길게 누름 행위가 취소되고, 그때 플로팅 윈도우의 스크롤 버튼은 손가락으로 길게 누름 행위가 취소됐음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은 더 이상 자동으로 스크롤되지 않는다. 즉, 현재 화면에서 자동 스크롤이 중지되고, 선택되어야 하는 APP가 온 상태에 화면이 포지셔닝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120단계에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에 매핑하고, 그 해당 영역상의 해당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될 수 있다.
120 단계에서, 단말 장치는 검출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에 매핑하고, 그 해당 영역상의 해당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영역은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목적 페이지상에 위치한 화면 영역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되거나,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가 목적 페이지상에 있는 화면 영역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영역의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목적 페이지상에 있는 화면 영역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되면 그 소정 영역의 각 서브영역들은 목적 페이지상에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각 화면 영역으로 매핑될 수 있다. 목적 영역이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가 목적 페이지상에 있는 화면 영역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되면, 소정 영역의 각 서브영역은 목적 페이지상에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영역들의 일부로 매핑될 수 있다. 매핑 관계는 정적인 매핑 관계일 수 있다. 즉, 소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초기 터치 포인트가 목적 페이지상의 고정 영역으로 매핑될 수 있다. 매핑 관계는 동적인 매핑 관계일 수 있다. 즉, 소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초기 터치 포인트가 목적 페이지상의 고정 영역으로 매핑되어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의 슬라이딩 트랙에 따라 다른 화면 영역으로 동적으로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초기 터치 포인트가 위로 슬라이드될 때, 초기 터치 포인트에 의해 매핑된 고정 영역은 목적 페이지상의 시작 포인트로 동작하고, 슬라이딩 트랙도 위로 움직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영역의 상술한 매핑은 보이지 않거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더 빨리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게 한다. 더욱이, 소정 영역상에 디스플레이된 매핑은 소정 영역상의 해당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영역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매핑을 포함하며, 이는 도 4의 소정 영역(405)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각 원은 클릭에 의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매핑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영역이 목적 페이지의 빈 영역이고, 그 빈 영역이 목적 페이지상의 모든 어플리케이션들과 일대일 대응하는 마크(마크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확실히 마크 프롬프트(mark prompt)를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목적 달성을 위해 위치 매핑 관계의 필요성이 있다)를 갖거나, 목적 페이지상의 일부 어플리케이션과 일대일 대응하는 마크들을 갖는다. 빈 영역이 목적 페이지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로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되면, 예를 들어, 이는 단지 상위 3개 라인들과 같이, 목적 페이지의 말단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매핑하지만, 하위 두 라인들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매핑하지는 않는다. 하위 두 라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범위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직접 조작될 수 있는 범위이므로 매핑할 필요는 없다. 매핑할 필요가 있다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직접 클릭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명백하게 소정 영역이 목적 페이지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매핑하는 범위는 사용자 자신의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영역이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가 목적 페이지상에 있는 화면 영역과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되면,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는 제1영역 밖의 화면 영역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이고, 제1영역은 목적 페이지 화면의 1/N 영역이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참조번호 404는 소정 영역(405)이 있는 영역이고, 그러면 404는 정확하게 제1영역이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영역(404)을 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영역을 매핑할 필요는 없지만, 401 영역, 402 영역, 및 403 영역과 같이 404 영역이 아닌 영역들은 매핑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제1영역은 일반적으로 소정 영역이 있는 영역을 지칭한다. 즉, 도 4에서 소정 영역(405)이 403 영역으로 움직인다면, 403 영역은 정확하게 여기서 지시된 제1영역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직접 이 제1영역을 동작시킨다. 즉, 제1영역이 터치되면, 제1영역상의 터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정 영역의 도움 없이 제1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팅 윈도우는 드래그될 수 있다. 플로팅 윈도우가 제2영역으로 드래그되면, 플로팅 윈도우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제2영역 밖의 화면상에 있는 화면 영역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되고, 제2영역은 목적 페이지 화면의 1/N 영역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검출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과 해당 영역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 매핑하고,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영역이 터치된 것으로 검출되면, 목적 페이지의 디폴트 위치상에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될 수 있다.
터치 포인트가 소정 영역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터치 포인트의 슬라이딩 트랙은 목적 페이지의 디폴트 위치를 시작점으로 하여 목적 페이지상으로 매핑되고, 슬라이딩 트랙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통과하면 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폴트 위치는 소정 영역과 목적 페이지 상의 영역간 매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목적 페이지 상에 고정 영역을 갖고 소정 영역의 초기 터치 포인트를 매핑하는 경우, 디폴트 위치는 일반적으로 목적 페이지상의 고정 위치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정 영역을 터치하는 것과 관계없이, 목적 페이지상의 고정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영역상의 고정 영역이 목적 페이지상의 고정 영역으로 매핑되면, 디폴트 위치는 매핑관계에 따라 결정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영역은 매핑된 어플리케이션이 위치한 화면 영역으로 확대되고, 터치 포인트는 매핑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화면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갖는 영역의 형태와 목적 페이지의 형태는 유사한 다각형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영역은 하이라이트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prompt).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는 빈 영역상에 APP를 정확하게 포지셔닝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손가락은 도 2의 참조번호 1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빈 영역에서 라인을 그리는 행위를 시작하고, 손가락으로 라인 그리기의 시작점은 라인들이 그려진 영역의 시작위치로 동작할 수 있다. 빈 영역에서 라인이 그려진 영역은 각 APP의 좌표를 화면상으로 매핑하도록 구성되고, 이때 손가락으로 그려진 라인들은 APP들을 화면상으로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인이 그려진 영역은 화면의 크기에 일정 퍼센티지로 비례한다. 예를 들어, 현재 화면의 제1APP를 시작점으로 하여 라인을 그리는 것에는 지정된 APP까지 많은 루트가 있을 수 있다. 해당 라인의 움직임 흐름 트랙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흐름 트랙은 실선 또는 점선에 따라 일정 효과를 만든 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참조번호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 트랙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손가락이 포지셔닝되어야 할 APP(104)까지 라인을 그린 후, 해당 화면에는 APP가 흐름 트랙의 말단부인 것이 디스플레이되고, 손가락으로 라인을 그리는 행위는 손가락을 느리게 한 후 완료될 수 있다. 손가락으로 라인을 그리는 행위가 이때 완료된 것이 화면에서 검출되면, 초점은 이 APP에 머무르고, 이 APP가 선택됨으로써 정확한 포지셔닝이 이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영역이 플로팅 윈도우이면, 플로팅 윈도우는 빈 플로팅 윈도우, 또는 목적 페이지의 어플리케이션들과 일대일 대응하는 마크를 갖는 플로팅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플로팅 윈도우상에서 정확하게 APP를 포지셔닝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빈 플로팅 윈도우를 예로 들면, 마크를 갖는 플로팅 윈도우의 경우는 이 경우와 동일하다). 단말 장치가 검출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에 매핑하는 것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빈 플로팅 윈도우가 터치된 것이 검출된다면, 목적 페이지의 디폴트 위치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고, 사용자가 플로팅 윈도우상을 슬라이딩하는 것이 검출되면, 터치 포인트의 슬라이딩 트랙은 목적 페이지의 디폴트 위치를 시작점으로 하여 목적 페이지로 매핑되며, 슬라이딩 트랙이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통과하면, 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빈 플로팅 윈도우의 형태와 목적 페이지의 형태는 유사한 다각형일 수 있다.
빈 플로팅 윈도우가 목적 페이지로 확대되면, 디폴트 위치가 고정 위치 또는 목적 페이지의 터치 포인트의 해당 위치이다. 예를 들어, 플로팅 윈도우의 중심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목적 페이지의 중심 위치로 정확하게 매핑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플로팅 윈도우는 사용자 손가락에 의한 길게 누름 행위 이외에 손가락으로 라인을 그리는 행위를 감시할 수 있다. 선택되어야 할 APP가 위치한 화면이 포지셔닝된면, 손가락은 도 2의 2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윈도우상에서 라인을 그리는 행위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인이 그려지는 영역은 플로팅 윈도우 내에서 제어되고 그 영역은 화면의 각 APP들의 좌표로 매핑되며, 라인이 그려진 영역은 일정 퍼센티지로 화면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화면의 제1APP를 시작점으로 하여 라인을 그리면 목적 APP까지 많은 루트들이 있다. 해당 라인의 움직임 흐름(movement running) 트랙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흐름 트랙은 실선 또는 점선에 따라 일정 효과가 만들어진 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참조번호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 트랙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손가락으로 포지셔닝되어야 할 APP(204)까지 그리면, APP가 흐름 트랙의 말단인 해당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손가락으로 라인을 그리는 행위는 손가락이 늦춰진(loosen) 후 완료될 수 있다. 플로팅 윈도우가 손가락으로 라인 그리기 행위가 이때 종료된 것을 검출하면, 초점은 이 APP에 모이게 되고, 그러면 이 APP에 직접 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져 정확한 포지셔닝이 달성될 수 있다.
도 9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마크를 갖는 플로팅 윈도우상에서 APP를 정확하게 포지셔닝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APP의 정확한 포지셔닝은 목적 화면의 플로팅 윈도우상에 작고 검은 원을 선택함으로써 이뤄진다. 플로팅 윈도우도 스크롤 버튼 이외에 현재 화면에서 APP에 의해 매핑된 작고 검은 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고 검은 원들의 배치는 화면상의 APP들의 배치와 일치하고, 화면상의 APP들의 좌표는 플로팅 윈도우상의 작고 검은 원들로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될 수 있다. 즉, 플로팅 윈도우상의 작고 검은 원들은 화면상의 APP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플로팅 윈도우상의 작고 검은 원들은 사용자 손가락의 선택을 감시할 수 있다.선택될 필요가 있는 APP가 있는 화면에 손가락이 포지셔닝된 후, 손가락은 플로팅 윈도우상의 임의의 작고 검은 원을 선택한다. 도 9의 참조번호 3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화면상의 APP(303)는 이 APP가 하이라이트 또는 애니메이션 방식으로 선택되도록 프롬프트되고, 선택은 손가락 늦춤으로써 완료된다. 작고 검은 원은 선택이 종료된 것을 검출하면, 직접 이 APP로 들어가서 정확한 포지셔닝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부정확한 동작이 있으면, 작고 검은 원을 사용해 라인을 더 그림으로써 APP를 다시 포지셔닝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은 부정확한 동작을 교정하는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은 도 9에서 화면상에 하이라이트된 APP를 포지셔닝하는 것이지만, 이번에는 작고 검은 원(305)이 선택됐고, 그러한 상황에서는 다른 APP로 부정확하게 들어가게 한다. 그런 상황을 피하기 위해, 작고 검은 원(305)이 선택되어 부정확한 동작이 일어나면, 손가락을 ?춰서는 안되며 라인을 그림으로써 선택을 다시 포지셔닝한다. 즉, 우측(307)에서 작고 검은 원(306)까지 라인을 그리면, 해당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흐름 트랙은 참조번호 308로 도시되어 있다. 해당 APP가 하이라이트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프롬프트된 후, 이번에는 손가락을 늦춤으로써 정확한 리포지셔닝이 이뤄진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가 소정 영역상에 터치 동작을 검출하기 전에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가 제1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할 때, 제1영역에서 APP의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거나 제1영역에서 중단된 플로팅 윈도우를 호출하며, 여기서 제1영역은 목적 페이지 화면의 1/N이고, N은 2 이상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 페이지 화면의 제1영역은 도 4에서 401, 402, 403 또는 404 영역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소정 영역은 소정 영역 (405)을 더 포함하고, 소정 영역(405)은 목적 페이지상에서 중지된 플로팅 윈도우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제1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면 제1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거나 제1영역에서 중지된 플로팅 윈도우를 호출할 수 있다.
플로팅 윈도우는 빈 플로팅 윈도우, 또는 제1영역과 다른 목적 페이지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과 일대일 대응하는 마크를 갖는 플로팅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영역이 빈 플로팅 윈도우라면, 단말 장치가 검출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으로 매핑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빈 플로팅 윈도우가 터치된 것이 검출되면, 목적 페이지의 디폴트 위치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빈 플로팅 윈도우를 슬라이딩하는 것이 검출되면, 터치 포인트의 슬라이딩 트랙은 목적 페이지의 디폴트 위치를 시작점으로 하여 목적 페이지로 매핑되고, 슬라이딩 트랙이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통과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서, 빈 플로팅 윈도우의 형태와 목적 페이지의 형태는 유사한 다각형일 수 있다.
빈 플로팅 윈도우가 목적 페이지로 확대될 때, 디폴트 위치는 고정 위치거나 목적 페이지상의 터치 포인트의 해당 위치가 된다. 예를 들어, 플로팅 윈도우의 중심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디폴트 위치는 목적 페이지의 중심 위치로 정확하게 매핑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동작에 익숙한 영역들은 사용자의 서로 다른 방식의 핸드홀딩 장치에 대해 서로 다르다. 한 손으로 장치를 동작시키는 경우, 특히 큰 화면을 갖는 장치라면, 사용자의 손가락은 일반적으로 한 영역만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편리하게 움직일 수 있는 화면 영역상의 APP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동작에 익숙한 영역에서 멀리 있는 APP를 선택하려 한다면 매우 불편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화면은 복수의 영역,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영역으로 분할되고, 따라서 임의의 사용자의 동작 방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동작에 익숙한 영역(401, 402, 403 또는 404)이 어느 곳이든지, 화면상의 모든 APP들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영역만을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 영역(404)을 예로 들면, 사용자는 직접 영역(404) 내 APP들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영역(404)이 아닌 다른 영역(401, 402 또는 403)에 대해, 이 영역들은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동작시키기 어렵고, 이때 소정 영역(4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404)을 길게 누르거나 터치하여 플로팅 윈도우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플로팅 윈도우에 의해 매핑된 손가락 범위를 벗어나는 다른 영역들(401, 402 또는 403)의 APP들은 작고 검은 원의 방식으로 매핑된 후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된다. 플로팅 윈도우상에 디스플레이된 작고 검은 원들의 매핑은 먼저 손가락 동작 영역을 판단함으로써 영역(401, 402 또는 403)의 APP의 매핑을 계산하고, 그런 다음 좌표에 따라 플로팅 윈도우상의 작고 검은 원들의 영역 (401, 402 또는 403)상의 APP로의 정확한 매핑을 달성한다. 그때, 플로팅 윈도우상에 매핑된 작고 검은 원들의 선택은 영역(401, 402 또는 403)상의 APP를 선택할 수 있다. 화면상의 APP(406)을 선택하기를 원한다면, 이는 플로팅 윈도우상의 작고 검은 원(407)을 선택하여서만 이룰 수 있고, 화면상의 모든 APP의 정확한 포지셔닝은 영역(404)을 동작시켜야만 이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401)만을 동작시켜 화면상의 모든 APP들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영역(401) 내의 APP들은 직접 선택될 수 있다. 영역 (401)과 다른 영역들 (402, 403 또는 404)에 대해, 호출 플로팅 윈도우는 영역(401)의 빈 영역을 길게 누르거나 터치하여 영역 (402, 402, 또는 404)상의 APP들을 매핑할 수 있다. 영역 (402, 402, 또는 404)상의 APP들은 플로팅 윈도우를 선택하여 포지셔닝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동작 영역(401)만을 동작시켜서 화면상의 모든 APP들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이룬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상의 모든 APP들을 정확하게 포지셔닝하는 것은 동작 영역(402 또는 403)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영역들이 동작되면, 플로팅 윈도우상에 디스플레이된 APP의 매핑도 달라진다. 따라서 사용자 손가락이 어떤 영역에서 동작하면, 그 영역 내 APP들은 직접 선택되고, 그 영역 밖의 APP들은 플로팅 윈도우로 매핑된 작고 검은 원들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다. 즉, 손가락으로 동작되기 편리한 영역들의 APP들은 직접 클릭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손가락이 미치는 범위 밖과 동작되기 불편한 영역들에 있는 APP들은 동작되기 편한 영역 내 플로팅 윈도우로 매핑되는 작고 검은 원들을 선택함으로써만 정확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고, 그 동작은 간단하고, 편리하며, 실시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지된 플로팅 윈도우는 드래그될 수 있고, 플로팅 윈도우가 제2영역으로 드래그되면, 플로팅 윈도우는 제2영역과 다른 목적 페이지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과 일대일 대응하는 마크들을 갖는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지된 플로팅 윈도우는 손가락 움직임과 함께 움직일 수 있다. 플로팅 윈도우가 영역(404)에서, 예를 들어, 401 영역으로 움직이면, 플로팅 윈도우상의 매핑은 영역(401, 402, 또는 403)의 매핑으로부터 영역(401, 402, 또는 403)의 매핑까지 변해, 사용자가 동작시키기가 더 편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팅 윈도우는 플로팅 윈도우가 매핑된 APP들의 작고 검은 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외하면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소정 영역이 빈 플로팅 윈도우인 것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1의 참조번호 4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에 편리한 영역 내에서 APP들을 직접 선택할 수 있고, 영역들 밖의 APP들을 선택하는데 불편하다면 빈 영역을 길게 누르거나 터치하여 투명한 플로팅 윈도우를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한 플로팅 윈도우는 영역들 밖의 APP들을 매핑하고 라인을 그리는 행위에 대해 응답한 것이다. 라인 그리기 행위가 종료되면, 즉, 손가락이 늦춰지면, 해당 화면상의 영역 밖의 APP들은 하이라이트되고, 이는 APP들이 포지셔닝을 위해 선택됐음을 나타낸다. 투명한 플로팅 윈도우가 호출되면, 예를 들어, 동작 영역의 대각선의 제1APP가 디폴트 자동 초점으로 구성됐다면, 제1APP는 하이라이트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선택된 것을 나타낸다. 그때 투명 플로팅 윈도우를 클릭하면 이 하이라이트된 APP로 들어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P(408)은 디폴트 초점이고 하이라이트로 디스플레이된다. APP(408)을 선택하기를 원한다면, 직접 투명 플로팅 윈도우를 클릭하여 APP로 들어갈 수 있다. 다른 APP를 선택하기를 원한다면, 라인 그리기 행위에 대응하는 화면상의 APP의 흐름 트랙 단말이 투명 플로팅 윈도우상에서 라인 그리기 행위를 통해 화면상의 APP들의 선택 흐름 트랙을 동시에 시작할 때, 손가락을 늦춰 이 APP로 들어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APP(411)를 선택하기를 원한다면, 플로팅 윈도우상에서 412와 같은 라인 그리기 행위만 수행할 필요가 있고, 라인이 그려진 트랙 412는 화면상의 APP의 흐름 트랙으로 매핑된다. 4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APP(411)로 움직이면 손가락을 늦춰 선택된 APP(411)로 직접 들어갈 수 있고, 라인 그리기를 이용해 다른 APP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화면상의 APP들에 대한 정확한 포지셔닝은 하나의 영역만을 동작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영역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고 터치 행위가 소정 영역에서 중단되면, 단말 장치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술한 방법은 소정 영역에서 목적 페이지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여 APP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달성할 수 있고, 여기서 사용자의 손가락은 큰 범위에서 앞뒤로 움직이는 대신 화면상의 작은 영역만을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치를 동작시킬 때, 큰 범위에서 손가락의 슬라이딩을 피하기 위해 목적 페이지가 스위치될 때 손으로 화면을 전후로 스크롤하거나 전체 손을 상하, 전후로 움직이거나 두 손을 사용해 동작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사용자들은 장치의 핸드홀딩 방식을 바꿀 필요는 없고, 손가락은 익숙한 작은 영역 범위 내에서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은 자연스럽고, 편리하며 편안하여, 큰 화면을 갖는 장치에 대해 한 손으로 APP를 정확하게 포지셔닝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상술한 방법은 기존 단말 장치에 약간의 변화를 주지만 장치의 호환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따라서 장치는 유용하게 사용되고 고효율을 갖는다.
상술한 방법에 대응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또한 검출 모듈(110) 및 매핑 모듈(120)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검출 모듈(110)은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데 사용되고, 매핑 모듈(120)은 검출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으로 매핑하며, 해당 영역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된다.
단말 장치(100)의 실시예에 따라, 검출 모듈(110)은 스크린의 빈 영역 및/또는 화면상의 중단된 플로팅 윈도우의 터치 동작을 검출한다.
단말 장치(100)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모듈(110)은 소정 영역이 길게 눌려졌는지 또는 소정 영역상의 목적 페이지를 스위치하려는 버튼이 클릭되었는지를 검출한다. 매핑 모듈(120)은 목적 페이지를 스위치한다; 검출 모듈(110)이 길게 누름이 종료됐거나 목적 페이지 스위치용 버튼 클릭이 중단됐음을 검출하면, 매핑 모듈(120)은 또한 이전 페이지를 목적 페이지로 매핑한다.
단말 장치(100)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모듈(110)은 또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기 전에 소장 영역 호출을 위한 동작을 검출하고, 매핑 모듈(120)은 검출 모듈이 소정 영역을 호출하는 동작을 검출한 후 그 소정 영역을 호출한다.
단말 장치(100)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핑 모듈(120)은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목적 페이지상에 소정 영역과 일대일 대응하여 존재하는 화면영역들을 매핑하거나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가 목적 페이지상의 소정 영역과 일대일 대응해 위치한 화면 영역들을 매핑한다.
단말 장치(100)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영역의 매핑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거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더욱이, 매핑 모듈(120)은 또한 어플리케이션들의 매핑 마크들을 소정 영역의 해당 위치상의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단말 장치(100)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핑 모듈(120)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가 목적 페이지에 소정 영역과 일대일 대응하여 위치하는 화면 영역을 매핑하면, 그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는 제1영역 밖의 화면영역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이고, 제1영역은 목적 페이지 화면의 1/N영역이다. 여기서 N은 2 이상이다. 소정 영역이 호출되면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더욱이, 검출 모듈(110)이 제1영역이 터치된 것을 검출하면, 매핑 모듈(120)은 제1영역상의 터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한다.
게다가, 플로팅 윈도우는 드래그될 수 있다; 플로팅 윈도우가 제2영역으로 드래그되면, 매핑 모듈(120)은 어플리케이션들이 제2영역 밖의 화면영역상에 있는 화면영역을 플로팅 윈도우로 매핑한다. 여기서 제2영역은 목적 페이지 화면의 1/N 영역이다.
단말 장치(100)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모듈(110)이 소정 영역이 터치된 것을 검출하면, 매핑 모듈(120)은 목적 페이지의 디폴트 위치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한다.
검출 모듈(110)이 터치 포인트가 소정 영역상에서 슬라이딩한 것을 검출하면, 매핑 모듈(120)은 터치 포인트의 슬라이딩 트랙을 목적 페이지의 디폴트 위치를 시작점으로 하여 목적 페이지로 매핑한다. 슬라이딩 트랙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통과하면 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된다.
소정 영역이 매핑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화면 영역으로 확대된다면, 매핑 모듈(120)에 의한 디폴트 위치는 고정 위치이거나 매핑 모듈(120)이 터치 포인트를, 매핑된 어플리케이션이 위치한 화면 영역으로 매핑하는 대응 위치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행 모듈(130)도 구비될 수 있다.
검출 모듈(110)이 해당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을 검출하면, 소정 영역에 대한 터치 행위는 중지되고, 실행모듈(130)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술한 장치는 소정 영역에서 목적 페이지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여 APP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달성할 수 있고, 여기서 사용자의 손가락은 장치를 동작시킬 때 큰 범위에서 전후로 움직이는 대신 화면상의 작은 영역만을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큰 범위에서 손가락의 슬라이딩을 피하기 위해 목적 페이지가 스위치될 때 손으로 화면을 전후로 스크롤하거나 전체 손을 상하, 전후로 움직이거나 두 손을 사용해 동작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사용자들은 장치의 핸드홀딩 방식을 바꿀 필요는 없고, 손가락은 익숙한 작은 영역 범위 내에서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은 자연스럽고, 편리하며 편안하여, 큰 화면을 갖는 장치에 대해 한 손으로 APP를 정확하게 포지셔닝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상술한 방법은 기존 단말 장치에 약간의 변화를 주지만 장치의 호환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따라서 장치는 유용하게 사용되고 고효율을 갖는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실시예들의 상술한 방법에 포함된 모든 또는 일부 단계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을 주어 완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그 프로그램은 구현시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과 그 결합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각 실시예들에서 각 기능 단위들은 하나의 프로세싱 모듈로 통합될 수 있고, 또한 물리적으로 단일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유닛들에 의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 있다. 상술한 통합 모듈은 하드웨어 형태 및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통합 모듈이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 형태로 수행되거나 독립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스토리지 매체는 독출만 가능한 스토리지, 디스크(disk) 또는 광 디스크(disc)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 및 14는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된 화면 동작 장치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각 모듈을 보인 것이다. 장치(130)는 장치 동작 시스템(131), 통신 모듈(132), 입력 모듈(133), 디스플레이 모듈(134), 선택 엔진 모듈(135) 및 외부 장치(136)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30)의 디바이스 동작 시스템(131) 및 통신 모듈(132)은 시스템 내 각 모듈들 간의 통신에 사용되고 내부 장치들과 외부 장치들 사이의 상호 연결에 사용된다. 어떤 환경하에서, 본 개시는 본 장치를 작은 모듈로, 큰 화면 및 나머지 장치들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사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입력 모듈(133)은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것을 선택 엔진 모듈(135)로 전송해 처리한다. 입력 모듈(133)은 반드시 고정된 작은 상자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해당하는 큰 기구를 가질 수 있다. 반드시 사각형일 필요는 없지만 섹터(sector)일 수 있거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입력 모듈은 반드시 2차원일 필요는 없지만 과학과 기술의 발달과 함께 3차원일 수 있다. 이 입력 모듈(133)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링크, 아이콘, 버튼, 텍스트 상자 등을 포함해 기존 화면의 콘텐츠에서 동작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동작은 또한 전체 화면 그 자체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동작 시스템(131)에 의해 시작되고 선택 엔진 모듈(135)에 의해 처리된 선택 또는 동작 명령을 수신할 것이다. 이 명령은 기존 디스플레이 모듈(135)을 변경할 것이다. 그 변경은 전체 화면 또는 화면상의 어떤 영역의 변경, 혹은 이 영역들 사이의 변경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변경한 후 다른 변경 또는 복원 명령을 기다린다. 외부 장치(136)는 장치(130)의 셀 블록(작은 영역)으로 동작한다. 또는 장치(130)는 외부 장치(136)가 큰 화면 장치로 동작하는 동안 셀 블록으로 동작한다. 통신 모듈(132)은 외부 장치(136)와 장치(13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고 선택 엔진 모듈(135)은 여전히 입력 모듈(133)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듈로 취급된다. 화면(141)은 화면 내의 작은 영역(141), 화면상의 작은 영역 스위치(143), 및 프로그래머블 모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정상적인 환경 하에서, 화면상의 작은 영역 스위치(143)를 클릭할 때, 작은 영역(142)은 동작 시스템의 프로그래머블 모듈(144)로 전송되고, 동작을 처리한 후, 리턴값은 화면(141)으로 리턴된다.
상세한 실시예:
시작과 작은 마퀴(marquee)의 기능들:
1. 선택을 위한 작은 대화상자가 (기존 인터페이스를 침해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다음 세 방식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1> 설정(Setting)에서 옵션을 추가하여 작은 마퀴를 시작한다.
<2>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바 이후 드롭-다운 메뉴를 추가하여 작은 마퀴 모드를 시작한다.
<3>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적인 반투명의 작은 아이콘을 시작하여 작은 마퀴를 시작한다.
2. 다음 기능들이 작은 대화 상자에서 설정될 수 있다:
<1> 아이콘 선택. 키를 누르거나 슬라이딩하여 선택으로 분할될 수 있다.
<2> 아이콘 화면 스위치.
<3> 뒤로(back).
<4> 단축키 동작.
3. 선택을 위한 작은 대화상자의 위치:
작은 상자는 주문형을 기반으로 할 수 있고, 임의의 인터페이스의 아이콘 그리드로 넣을 수 있거나, 또는 교차격자(cross-grid)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배너(floating icon)가 사용될 때, 작은 상자는 직접 열리거나 그리드를 사용하는, 즉, 레이어-탑(layer-top) 모드일 필요가 없다.
4. 작은 마퀴 생성하고 위치키시는 방법:
(1) 원래의 인터페이스가 영향받기를 원치 않는다면, 버튼 드롭다운 작은 상자가 다른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포인트 옆에 설정될 수 있다.
(2) 활발한 작은 상자의 표현이 인터페이스상에 설정될 수 있고, 작은 마퀴가 어느 곳에서라도 열릴 수 있다.
(3) 작은 상자는 설정(Setting)에서 설정을 사용하여 설정 및 위치될 수 있다.
몇 가지 작은 상자들의 구체화:
1. 조이스틱 링 방법: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상자 설계에서 조이스틱과 같은 설정을 사용하여 링에서 아이콘들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주변 원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둘째, 일부 편리한 단축키 기능들은 조이스틱을 사용하는 횟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오프, 데이터 트래픽 열림/닫힘, 블루투스 턴온/턴오프, 볼륨 조정 등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P의 ICON들은 큰 원에 대응하고, 조이스틱 각각의 각도에 대응한다. 원 하나에 놓이는 ICON 들의 개수가 화면 크기에 따라 결정되고, 슬라이딩의 정확성이 조이스틱의 크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화면이 크고 해상도가 높을수록, 정확도가 더 높아진다.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원은 다음 원과 그 다음 원으로 각각 정의될 수 있고, 더블 클릭은 확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2. 정방형 방법:
<1> 빠른 선택 방법: 시작의 작은 상자가 선택된 후, 작은 상자는 2 또는 4개의 키들과 뒤로/스위치 키로 분리된다. 현재 폰 화면상의 아이콘들은 짝수의 행들과 짝수의 열로 배열된다. 선택된 아이콘들의 중심을 경계로 함으로써 해당 아이콘 모듈들을 구별하고, 선택된 아이콘들을 상술한 방법에 따라 배열한다. 열과 선들의 개수가 2의 n제곱이 아니라면, 여분의 선들에 대한 아이콘들은 양측에 열거된다. 결국 모든 아이콘들은 결국 2 또는 4개 블록들로 개별적으로 배열될 것이다. 도 19에서 청색 아이콘은 4분법을 사용하여 선택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은 이분법(선들과 행의 개수가 2의 n제곱)을 사용하여 청색 아이콘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이 방법은 휴대폰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서 랜덤하게(randomly) 위치한 작은 상자에 적용될 수 있다.
선택 버튼을 사용하여, 이분법에 의해 좌우가 선택되고, 4분법을 사용하여 4개 4개 영역이 선택된다. 선택 후, 선택된 부분들은 다른 선택을 위해 화면상에 재배열된다. 이분법을 사용하여 2개만이 남겨지고, 4분법이 사용되면 4개만 있게 되며 해당 앱(app)이 선택될 것이다. 이 방법은 동일하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하에서 큰 화면에 적용가능하다.선택된 방법은 작은 마퀴로 넣어지고, 각 모서리 정보는 뷰 또는 동작을 위해 작은 상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이분법).
<2> 식별선택 방법: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들은 3x3블록들로 배열된다. 3x3블록들은 도 14-16에서 브러쉬(brush)로 표현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1의 입력이 작은 영역에 기입함으로써 아이콘이 결정된다. 작은 영역의 기능들의 종류는 쓰기 포맷을 뒤로 또는 스위치로 설정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다.
필기 매칭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개별 브러쉬들은 아이콘들에 해당한다.
<3> 문자 식별 방법: 방법은 빠른 선택 방법으로 확장된다. 아이콘 배열은 원래의 배열과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이니셜(initial)들의 재배열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이뤄진다. 어플리케이션들의 이니셜을 인식함으로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지도"를 선택하여 다시 소팅(sorting)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좌측 모서리에 있는 키가 먼저 눌려지고, 다음으로 해당 하부 좌측 모서리가 눌려진다.
빠른 선택방법과 유사하게, 결정 조건은 앱의 이름이 된다.
3. 섹터 방법:
<1> 섹터 영역 선택 키 누르기 방법: 작은 영역 선택 모드를 시작한 후, 섹터 선택 상자가 보여진다. "a"는 "통지 바" 또는 다른 정보를 나타내고, "b"는 개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놓이는 곳을 나타내며, "c"는 다음 아이콘 세트가 놓이는 곳을 나타내고, "1"은 선택 버튼을 나타내고, "2"는 키가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며, "3"은 다른 버튼을 나타낸다. 다른 기능들은 버튼 1,2 및/또는 3의 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2> 드래그에 의한 섹터 영역 선택 방법: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상에 두 개의 그리드 또는 하나의 그리드가 선택에 사용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은 작은 영역에서 다른 각도와 거리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필요가 있다면 적색 근처 영역이 선택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섹터 영역의 크기와 영역 위치는 다른 화면들에 채용될 수 있다.
섹터 영역 선택 방법은 주로 현재 작은 상자에 있는 위치와 호(arc)의 중앙 위치와 비교하여 반경의 위치에 있는 위치를 얻는다. 휴대폰 상의 섹터 영역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흐릿한(fuzzy) 영역의 구별이 불확실하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α는 선택된 각을 결정하고 점선은 선택된 경로이다. 원에서 점선 부분은 점선으로 방향이 표시된 경로상의 어플리케이션 수에 의해 구별된다. 다른 섹션들은 다른 멀거나 가까운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원점이 눌려지면 어플리케이션으로 들어간다.
4. 슬라이딩 선택 방법: 이 방법은 원래의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변환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우측 모서리 상의 작은 영역에서 좌우상하 슬라이더들이 설정된다. 이 작은 영역은 임의의 그리드에 넣어 질 수 있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되는 큰 화면들은 선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개시의 작은 마퀴로 사용될 수 있다. 해당 블록들은 현재 화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에 따라 생성된다. 해당 ICON은 슬라이딩하는 동안 마퀴로 말려 들어간다. 도 26 및 27을 참조하면, 작은 마퀴는 기존 인터페이스상에 만들어진다. 작은 마퀴는 어느 곳에나 위치할 수 있다. 작은 마퀴에서 선택 어플리케이션 기능들, 칼럼별로, 페이지별로 좌우로 스크롤하고, 라인별로 상하로 스크롤하여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을 스위칭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다양한 화면 동작 방법과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된 장치들이 다양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선택 방법은 휴대용 작은 마퀴를 만들기 위해 주로 작은 마퀴와 화면상의 각 영역 또는 블록들 사이의 관계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한 손으로만 전자기기를 들고 있을 때 빠르게 선택을 하고 휴대폰 또는 태블릿 PC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작은 마퀴가 생성된 후, 이 영역이 작은 영역에서 동작될 수 있는 동안 화면상에서 동작시키는 여러 방법이 있다. APP를 편리하게 사용하려면, 작은 마퀴는 더 많은 콘텐츠를 수용하도록 확대된다. 예를 들어, 빠른 선택 4분 방법의 경우, 작은 마퀴가 확대되면 동작 범위가 확대되더라도 선택단계들이 감소하여 해당 블록이 빠르게 선택되어 빠른 선택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휴대폰 또는 큰 화면과 같은 장치를 하나의 수치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개방되도록 선택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정의된 영역이 주어지면, 사람들은 빠르고 편리한 동작 체험을 갖기를 원하는 대로 더 많은 자유공간을 생각하면서 작은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동작 인터페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에서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화면에 포함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서,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가 포함된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동작 행위를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도 31 참조),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큰 화면 영역에서 후보 오브젝트들에 대한 동작(S1), 화면에 포함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서,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가 포함된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S2); 상기 작은 내부화면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S3);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동작 행위를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과 동작 오브젝트들은 각각 아이콘, 간격, 영역, 블록, 콘텐츠,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행위들을 선택, 이동, 플립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 상에서 상기 동작 행위들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에 대한 탐색, 선택 또는 제어 중 임의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도 32 참조), 상기 S3 단계는 S41,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분리된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S42, 상기 선택 후, 상기 화면은 해당 선택된 영역으로 들어가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재배열을 완료하는 단계; 및 S43, 선택될 필요가 있는 후보 오브젝트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에 별도로 위치한 후보 영역으로 분리되었다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를 직접 선택하고, 아니면 상기 S41 및 S42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도 33참조), 상기 S32단계 후 및 상기 S33단계 이전에, S34, 뒤로, 취소 또는 시프트 동작을 선택하여 현재 내부화면 영역을 빠져나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뒤로, 취소, 또는 시프트 동작이 선택될 필요가 있을 때, 키 누르기, 펜으로 그리기, 및 드래깅 중 임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배열은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별도로 재배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주변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원형 배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단계는 동작 모드가 변경될 필요가 있을 때, 원래의 동작을 회복하거나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닫거나 스위칭하여 새 동작모드로 바꾸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고정 영역 또는 비고정 영역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크기는 고정값 또는 조절가능한 값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위치는 고정되거나 움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큰 화면영역 내의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의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변화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은 전체 화면의 이동 및 회전을 지원하는 기능, 및 상기 화면의 일부에 대한 이동, 회전 및 줌을 지원하는 기능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은 아이콘들에 대한 칼럼 동작, 행(row) 동작, 또는 규정되지 않는 동작을 지원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및 큰 내부화면 영역을 교대로 사용하여 수행된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장치는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동작 정보를 수집하고,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모듈은,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도록 만들고,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에 해당하는 동작 오브젝트들이 상기 작은 내부 화면영역에 포함되도록 만드는 제1모듈; 큰 내부화면 영역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 영역에 포함되게 하고,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후보 오브젝트들을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배열하게 하는 제2모듈;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 동작 오브젝트들에게 동작 행위를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 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도록 상기 입력 모듈에 의해 전송된 동작 데이터를 처리하는 선택 엔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과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은 각각 아이콘, 기간, 영역, 블록, 콘텐츠,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행위들은 선택, 이동, 플립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 엔진 모듈은 상기 동작 화면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에 대한 탐색, 선택 또는 제어 중 임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도 32),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과정 1, 선택을 위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분리된 영역들; 과정 2, 상기 선택 후에, 상기 화면은 해당 선택 영역으로 들어가서, 상기 선택된 영역 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재배열을 완료하는 것; 및 과정 3, 선택될 필요가 있는 후보 오브젝트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별도의 후보 영역으로 분리된다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는 직접 선택되고, 그렇지 않다면 과정 1 및 2을 반복하는 것을 디스플레이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과정 4, 뒤로, 취소 또는 스위치 동작을 선택하여 현재의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빠져나가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도 33).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뒤로, 취소, 또는 스위치 동작이 선택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키 누르기, 펜으로 그리기 및 드래깅 중 임의의 동작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배열은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별도로 재배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주변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원형 배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동작 모드가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원래의 동작을 복원하거나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닫거나 스위칭하여 새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고정 영역 또는 비고정 영역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크기는 고정값 또는 조절가능한 값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위치는 고정된 위치 또는 움직일 수 있는 위치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 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변경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은 전체 화면의 이동 및 회전을 지원하는 기능 및 상기 화면의 일부에 대한 이동, 회전 및 줌을 지원하는 기능 중 임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은 칼럼 동작, 열 동작 또는 규정되지 않은 동작을 지원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 엔진 모듈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및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을 교대로 사용하여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모듈의 형태는 사각형, 삼각형, 원형 또는 섹터 중 어느 하나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모듈은 2차원 입력 모듈 또는 3차원 입력 모듈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 동작 장치는 또한 장치 동작 시스템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 동작 장치는 또한 상기 제1모듈로 사용되는 외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화면상에서 후보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동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후보 오브젝트의 일부 또는 모두에 대한 동작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해당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시작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대한 동작 행위들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시작하는 단계는 설정에 대한 옵션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시작하는 단계는 슬라이더 바 이후에 드롭다운 메뉴를 추가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시작하는 단계는 작은 동작 반투명 아이콘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동작들은, 키를 눌러서 선택 또는 슬라이딩에 의해 선택을 포함하는 아이콘 선택; 아이콘 화면들을 스위칭; 뒤로; 및 단축키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의 위치는 임의의 동작 인터페이스의 아이콘 그리드로 넣을 수 있거나, 또는 교차격자(cross-grid)로 디스플레이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후보 오브젝트들은 플로팅 (floating) 오브젝트들이고, 상기 작은 내부 화면 영역은 직접 열린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후보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전체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작은 내부화면 직역은 조이스틱 링을 이용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해당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상에 상기 동작 행위들을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조이스틱 링을 이용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상기 원형 조이스틱을 배열하거나 상기 조이스틱 주변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둘러싼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조이스틱 링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상기 원형 조이스틱 주변에 배열하거나 상기 조이스틱 주변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둘러싼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이스틱을 굴리는 회수로 선택하는 단계는 파워 오프, 데이터 흐름의 개방/닫음, 블루투스의 개방/닫음, 및 음성 볼륨의 조정에 적용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상기 조이스틱으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아이콘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조이스틱 링의 각 각도에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이스틱 링에 위치한 아이콘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상기 조이스틱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조이스틱 선택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화면의 크기에 따라 적적한 크기를 갖는 조이스틱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상기 조이스틱 링 내에 해당 위치로 넣고,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조이스틱의 위치들로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이스틱에 의한 선택을 위해 작은 상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장치 화면의 길이가 Length이고 그 폭이 Width이면, 조이스틱 링의 반경은 반경 R이고, R은 폭과 길이 중 더 작은 것의 1/2보다 더 작다. 반면 큰 조이스틱 링 주변의 후보 조이스틱 링 반경 r은 r<(min[Length, Width]-2R)/4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조이스틱으로 상기 동작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시계 방향 원 및 반시계 방향 원을 다음 원과 상기 다음 원으로 각각 정의하는 단계; 및 더블 클릭을 확인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후보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키 영역을 이용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해당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에 동작 행위들을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영역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시작된 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로서 2n 또는 4n 키들 및 뒤로/스위치 키를 생성하는 단계; 현재 화면상의 후보 오브젝트들의 중심을 경계로 하여 블록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짝수 행들과 짝수 열들로 배열하는 단계; 및 행들과 열들의 개수가 2의 n제곱이 아니면, 상기 블록 영역 밖의 여분의 후보 오브젝트들을 별도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후보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전체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펜으로 그리기를 함으로써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해당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상에 동작 행위들을 부과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펜으로 그리기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시작된 후, 상기 화면상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중심을 경계로 하여 3x3 블록들을 갖는 영역을 생성하고, 3x3블록들을 갖는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생성된 다른 방향들에 대한 9개의 키에 대응시킨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대항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영문 이니셜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동작 행위들을 부과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영문 이니셜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시작된 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영문 이니셜에 따라 서로 다른 키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의 화면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상기 영문 이니셜들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그 영문 이니셜에 따라 분리된 키들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섹터 영역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동작 행위들을 부과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섹터 영역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시작된 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섹터 영역에 의해 제1섹터, 제2섹터 및 제3섹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섹터 영역에 의해 섹터 a, 섹터 b, 및 섹터 c를 생성하고, 현재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후보 아이콘들이 섹터 b에, 동작 인터페이스의 다음 계층상의 후보 아이콘들은 섹터 c에, 그리고 섹터 b 및 c의 후보 아이콘들을 제외한 다른 정보는 섹터 a에 넣어지는 단계; 및 상기 내부화면 영역에서 다른 각도 및 다른 거리들에 따라 해당 후보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P가 O를 반경으로 갖는 섹터에서 있고, P는 반경 OA상에 위치한다. 반경 OA상에 있기 때문에, 선 AB는 AD의 연장에서 CD의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따라서 포인트 P는 단부 CD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다. 섹터 위치는 가변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90도 섹터 영역이 밑면 우측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중심(O)의 수평 반경과 접촉 OP의 실제 포인트 사이의 각도에 종속하여 해당 반경 OA 세그먼트의 어플리케이션의 연장선상의 어떤 선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섹터 영역의 크기 및 영역적 위치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에 따라 조정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다른 각도 및 다른 거리들에 따라 해당 후보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후보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기 섹터 원호의 중심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원호의 반경에 해당하는 후보의 위치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면 동작 방법은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에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동작 행위들을 부과함으로써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동작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시작된 후, 제1스크롤 스트립은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고, 제2스크롤 스트립은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선택을 위해 필요한 후보를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으로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화면 동작 방법 및 장치는 큰 화면을 사용할 때, 한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전체 아이템을 동작 및 제어하여 빠른 선택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작은 영역을 사용자의 빠른 동작에 대한 입문으로 사용하여 작은 영역에서 사용의 동작을 분석 및 처리하고, 화면에서 다른 아이콘 또는 간격을 선택 및 동작시키는 사용자의 빠른 동작을 이룸으로써 입구가 시작될 때, 작은 영역 선택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입구가 닫히면 원래의 아이콘 선택 방법이 사용된다.
상술한 특정 구현의 일부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입증될 수 있고, 이 증거들은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증거들은 기본적으로 그 효과를 실행하는 동작의 지시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동작들은 물리적인 동작 및 제어 또는 물리적인 변형을 필요로하거나 관련이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보통, 그러나 필수적이지는 않은, 이러한 변종들은 전기 또는 자기 신호 형태이고 이 신호들은 다른 방식으로 저장, 전송, 병합, 비교 또는 동작 및 제어됨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때로 (주로 범용적으로) 이 신호들은 비트, 값, 엘리먼트, 부호, 문자, 아이템, 숫자 등의 표현으로 지칭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리고 유사한 용어들이 적절한 물리적인 변형과 연관되고 이 변종들의 편리성만을 위해 사용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처리", "결정", "계산" 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용어들을 사용한 설명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전자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행위 또는 과정을 나타낼 수 있고, 행위 및 과정은 레지스터 및 스토리지에서의 물리적인 (즉, 전자적인) 변형에 의해 나타내진 데이터를 동작시키고, 스토리지, 레지스터 또는 다른 유사 기기에 저장, 전송, 디스플레이되는 물리적인 변형 형태로 나타내진 다른 데이터로 변환된다.
본 개시는 방법, 회로, 또는 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하드웨어 구현, 전체 소프트웨어 구현,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한 구현 형태로 될 수 있고, 이 모든 형태는 "회로"로 지칭된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의 결합에서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이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다른 종류의 스토리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현과 방법에서 수행되는 상술한 단계 모두 또는 그 일부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을 내리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완결될 수 있고, 프로그램은 컴퓨터 스토리지 매체 종류에 저장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그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구현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결합이 포함된다. 또한 각 구현에서 개별 기능 단위들은 프로세싱 모듈로 통합될 수 있거나 개별 단위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단위들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된다. 상술한 통합 모듈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모듈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독립 물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면,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그 스토리지 매체는 ROM, 자기 디스크 또는 디스크 등이다.
본 개시는 본 개시에서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와 관련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장치는 의도된 목적으로 설계 및 제조될 수 있거나,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알려진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컴퓨터는 그 안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재구성될 수 있다. 이 텀퓨터 프로그램은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자 명령을 저장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매체형태로 저장되어 버스에 결합된다.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는 임의의 형태의 디스크(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CD, CD-ROM 및 자기 디스크 포함), RAM,ROM, EPROM, EEPROM, 플래시, 자기 카드 또는 광 카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독출가능한 매체는 장치(컴퓨터) 독출가능한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는 RAM, ROM, 자기 스토리지 매체, 광 스토리지 매체, 플래시, 전기, 광 스토리지 매체, 플래시 및 전기, 광, 소리 또는 다른 것들(예를 들어, 캐리어 웨이브, 적외선, 디지털 신호) 등의 형태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현이 다른 형태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일부임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고,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예를 들어, 오락 시스템 또는 PDA, 범용 컴퓨터, 특화된 컴퓨터 시스템, 다른 장치에 내장된 내장 장치, 미디어 재생기를 포함하지 않은 휴대폰, 멀티 터치 제어 태블릿 장치 또는 다른 멀티 터치 제어 장지들 또는 다양한 양태와 이 장치들의 기능들을 결합한 장치이다.
자바®, 스몰톡(Smalltalk), 또는 C++과 같은 객체 지향(object-oriented) 프로그래밍 언어, "C"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종래의 순차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어셈블리 언어 및/또는 마이크로-코드와 같은 낮은 레벨 코드가 본 개시의 동작을 실행시키는데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작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독립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의 단일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고 및/또는 다른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일부로서 다중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구조도 및/또는 블록도 및/또는 방법 흐름도, 시스템, 및 본 개시가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래밍 제품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구조도 및/또는 블록들 및/또는 흐름도에서의 각 블록, 이 구조도들 및/또는 블록들 및/또는 흐름도에서의 블록들의 결합, 또는 블록들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명령을 사용해 구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 프로그래밍 명령은 범용 컴퓨터, 특화된 컴퓨터 또는 이 기계를 만들기 위한 프로그래버믈 데이터 처리 방법의 다른 프로세서들에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방법을 만들기 위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방법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이 구조도 및/또는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에서 상자들로 나타내진다.
이 컴퓨터 명령자들은 또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있고, 이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메모리는 컴퓨터 또는 특별한 방식으로 실행되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가이드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은 그러한 제품을 만들 수 있으며, 그 제품들은 구조도 및/또는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에서 상자들로 나타내진 명령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컴퓨터 프로그래밍 명령들은 또한 컴퓨터로 로드되거나 일련의 동작 단계들을 만들려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방법들은 컴퓨터로 혹은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는 프로세스들을 만드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로 혹은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 실행되는 명령들은 구조도 및/또는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에서 상자 또는 상자들에 나타내진 단계들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제공한다.
논의된 다양한 동작들, 방법들, 및 흐름도에서 단계들, 방법들, 방식들은 변형, 변경, 결합 및 제거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더욱이 논의된 다양한 동작들, 방법들 및 흐름도를 갖는 다른 단계, 방법, 방식 또한 변형, 변경, 재배열, 분해, 결합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종개 기술 또는 본 개시에서의 단계들, 방법들 및 방식들은 변형, 변경, 재배열, 분해, 결합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으로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상술한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일부이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원리를 잃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일부 개선 또는 변경을 이룰 수 있고, 이러한 개선과 변경도 본 개시의 보호범위로 간주되어야 함이 지적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본 개시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개선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과 개선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화면 자체 102: 화면상의 APP
130: 장치 131: 장치 동작 시스템
132: 통신 모듈 133: 입력 모듈
134: 디스플레이 모듈 135: 선택 엔진 모듈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화면의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검출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으로 매핑하는 동작; 및
    상기 해당 영역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목적 페이지를 다음 방식으로 스위치 및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되,
    상기 다음 방식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소정 영역이 길게 눌려졌거나 상기 소정 영역상의 상기 목적 페이지 스위치용 버튼을 클릭하면 목적 페이지를 스위치하는 동작; 및
    길게 누름이 종료됐거나 상기 목적 페이지 스위치용 버튼의 클릭이 중지됐을 때 상기 현재 페이지를 상기 목적 페이지인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다음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다음 영역들은 화면의 빈 영역 및 상기 화면에서 중지된 플로팅 윈도우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기 전에,
    상기 소정 영역을 호출하는 동작을 검출한 후, 상기 소정 영역을 호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상기 목적 페이지상에 있는 화면 영역에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되는 동작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가 상기 목적 페이지상에 존재하는 화면 영역에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터치 동작을 상기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으로 매핑하고, 상기 해당 영역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는 동작은,
    상기 소정 영역이 터치된 것이 검출되면, 상기 목적 페이지의 디폴트 위치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터치 포인트가 상기 소정 영역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슬라이딩 트랙은 상기 목적 페이지의 디폴트 위치를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목적 페이지로 매핑되는 동작; 및
    상기 슬라이딩 트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통과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모듈; 및
    상기 검출된 터치 동작을 목적 페이지의 해당 영역으로 매핑하여 상기 해당 영역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매핑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화면의 빈 영역 및/또는 상기 화면상에서 중지된 플로팅 윈도우에 대한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소정 영역에서 터치 동작을 검출하기 전에 상기 소정 영역을 호출하는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매핑 모듈은 상기 검출 모듈이 상기 소정 영역을 호출하는 동작을 검출한 후 상기 소정 영역을 호출하는 전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모듈은 어플리케이션들이 상기 목적 페이지상에 있는 화면 영역들을 상기 소정 영역과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가 상기 목적 페이지 상에 있는 화면 영역들을 상기 소정 영역과 일대일 대응하여 매핑하되,
    상기 소정 영역의 매핑은 보이지 않거나 상기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장치.
  11. 화면 동작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포함된 동작 인터페이스상에서,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의 해당 동작 오브젝트가 포함된 작은 내부화면 영역(region)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동작 인터페이스상의 영역(area)에서 큰 내부화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동작;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동작 행위(operation action)를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과 동작 오브젝트들은 각각 아이콘, 간격, 영역, 블록, 콘텐츠,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행위들은 선택, 이동, 플립(flip)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을 배열하는 동작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분리된 영역을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 후, 상기 화면은 해당 선택된 영역으로 들어가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재배열을 완료하는 동작;
    선택될 필요가 있는 후보 오브젝트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에 별도로 위치한 후보 영역으로 분리되었다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를 직접 선택하는 동작; 및
    뒤로(back), 취소 또는 시프트(shift) 동작을 선택하여 현재 내부화면 영역을 빠져나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고정 영역 또는 비고정 영역인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 내의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의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변화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전체 화면의 이동 및 회전을 지원하는 기능 또는 상기 화면의 일부에 대한 이동, 회전 및 줌을 지원하는 기능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은 아이콘들에 대한 칼럼 동작, 행(row) 동작, 또는 규정되지 않는 동작을 지원하고,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및 큰 내부화면 영역을 교대로 사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16. 화면 동작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동작 정보를 수집하고,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입력 모듈은,
    작은 내부화면 영역이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에 포함되게 하고, 후보 오브젝트들의 일부 또는 모두에 해당하는 동작 오브젝트들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포함되게 하는 제1모듈;
    큰 내부화면 영역을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상기 동작 인터페이스 영역에 포함되게 하고,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후보 오브젝트들을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에 배열하게 하는 제2모듈; 및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내 동작 오브젝트들에게 동작 행위를 부여하여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 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도록 상기 입력 모듈에 의해 전송된 동작 데이터를 처리하는 선택 엔진 모듈을 포함하는 화면 동작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과 상기 동작 오브젝트들은 각각 아이콘, 기간, 영역, 블록, 콘텐츠,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행위들은 선택, 이동, 플립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포함하는 화면 동작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엔진 모듈은 상기 동작 화면에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에 대한 탐색, 선택 또는 제어 중 임의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선택을 위해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영역들로 분리하고, 상기 선택 후에, 해당 선택 영역으로 진입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 내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재배열을 완료하고, 선택될 필요가 있는 후보 오브젝트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에서 별도의 후보 영역으로 분리된다면, 상기 후보 오브젝트는 직접 선택되고, 그렇지 않다면 영역들을 분리하고, 선택 영역내의 후보 오브젝트들의 재배열을 완료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동작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뒤로, 취소 또는 스위치 동작을 선택하여 현재의 작은 내부화면 영역을 빠져나가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뒤로, 취소, 또는 스위치 동작이 선택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키 누르기, 펜으로 그리기 및 드래그 중 임의의 동작 모드로 구성될 수 있는 화면 동작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은 고정 영역 또는 비고정 영역이고,
    상기 화면은 전체 화면의 이동 및 회전을 지원하는 기능 및 상기 화면의 일부에 대한 이동, 회전 및 줌을 지원하는 기능 중 임의의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은 칼럼 동작, 열 동작 또는 규정되지 않은 동작을 지원하고,
    상기 선택 엔진 모듈은 상기 작은 내부화면 영역 및 상기 큰 내부화면 영역을 교대로 사용하여 상기 후보 오브젝트들의 동작을 완료하고,
    상기 입력 모듈의 형태는 사각형, 삼각형, 원형 또는 섹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입력 모듈은 2차원 입력 모듈 또는 3차원 입력 모듈이고,
    상기 화면 동작 장치는 상기 제1모듈로 사용되는 외부 모듈을 포함하는 화면 동작 장치.
KR1020130082078A 2012-08-01 2013-07-12 화면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174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272556.7A CN102880399B (zh) 2012-08-01 2012-08-01 一种屏幕操作方法及装置
CN201210272556.7 2012-08-01
CN201210358230.6 2012-09-24
CN201210358230.6A CN103677556B (zh) 2012-09-24 2012-09-24 快速定位应用程序的方法及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429A true KR20140017429A (ko) 2014-02-11

Family

ID=5002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078A KR20140017429A (ko) 2012-08-01 2013-07-12 화면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40826A1 (ko)
KR (1) KR201400174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303A1 (ko) * 2014-08-29 2016-03-03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6048034A1 (ko) * 2014-09-23 2016-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
CN106201161A (zh) * 2014-09-23 2016-12-0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电子设备的显示方法及系统
KR20200006805A (ko) * 2018-07-11 202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WO2023128424A1 (ko) * 2021-12-29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4355S1 (en) * 2013-01-04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860S1 (en) * 2013-03-04 2016-08-16 Tixtrack,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3432S1 (en) * 2013-03-05 2015-11-17 Yandex Europe Ag Graphical display device with vehicle navigator progress bar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691291B2 (en) * 2013-05-24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USD737833S1 (en) 2013-06-09 2015-09-01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696882B2 (en) * 2013-08-28 2017-07-04 Lenovo (Beijing) Co., Ltd. Operation processing method, oper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50099297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CN104915132A (zh) * 2014-03-12 2015-09-16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设备
CN103914227B (zh) * 2014-03-27 2017-02-15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D768148S1 (en) * 2014-05-23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224161A (zh) * 2014-06-03 2016-0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终端屏幕的方法及终端
CN105278819B (zh) * 2014-06-30 2018-09-25 西安Tcl软件开发有限公司 用户交互界面的应用导航方法及智能设备
CN105204756A (zh) * 2014-06-30 2015-12-30 阿尔卡特朗讯 一种用于操作触摸屏设备的屏幕的方法与设备
USD788116S1 (en) * 2014-08-19 2017-05-30 Fujifilm Corporation Display screen for digital camera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787812B2 (en) 2014-08-28 2017-10-10 Honda Motor Co., Ltd. Privacy management
WO2016036413A1 (en) *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lti-dimensional object rearrangement
CN105528169A (zh) * 2014-10-23 2016-04-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设备和对触摸屏设备进行操作的方法
USD784400S1 (en) * 2014-11-04 2017-04-18 Workplace Dynamic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rating scale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765525A (zh) * 2015-03-18 2015-07-0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操作界面的切换方法及装置
USD761288S1 (en) * 2015-04-06 2016-07-12 Dom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492910B2 (ja) * 2015-04-13 2019-04-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携帯端末
US9959677B2 (en) * 2015-05-26 2018-05-01 Google Llc Multidimensional graphical method for entering and exiting applications and activities in immersive media
CN104898932A (zh) * 2015-06-25 2015-09-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5068735B (zh) * 2015-08-21 2018-04-20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用户界面布局的调整方法及装置
KR101938215B1 (ko) * 2015-08-26 2019-01-14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스마트 인터렉션 장치
CN105204659B (zh) * 2015-08-28 2018-09-28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待输入字符的选择方法及装置
USD862505S1 (en) 2015-10-02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4557S1 (en) 2015-10-02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892789A (zh) * 2015-11-10 2016-08-24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智能终端的资源交互方法及移动智能终端
USD817981S1 (en) * 2015-11-10 2018-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 object relation mapping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326822B2 (en) * 2015-12-03 2019-06-18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virtual operating system on a display device
CN105511723A (zh) * 2015-12-04 2016-04-20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USD816107S1 (en) * 2015-12-24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573590A (zh) * 2015-12-28 2016-05-11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管理图标的方法及终端
USD798893S1 (en) * 2016-06-11 2017-10-0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5612S1 (en) 2016-07-27 2018-08-1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6445275A (zh) * 2016-08-29 2017-02-22 上海航盛实业有限公司 一种车载信息系统
CN106445326A (zh) * 2016-08-31 2017-0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操作控制方法和移动终端
USD962954S1 (en) 2016-09-06 2022-09-0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307760B2 (en) * 2017-09-25 2022-04-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rminal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US10410387B2 (en) * 2017-09-27 2019-09-10 Fomtech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interface elements
CN109960445A (zh) * 2017-12-25 2019-07-0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图标移动方法、装置及系统
JP1616496S (ko) * 2018-02-27 2018-10-29
JP1616497S (ko) * 2018-02-28 2018-10-29
USD873851S1 (en) * 2018-05-04 2020-01-28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EP3814881A1 (en) 2018-07-26 2021-05-05 Patmos, Unipessoal Lda Enhanced touch sensitive selection
CN109358927B (zh) * 2018-09-21 2020-05-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显示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1338494B (zh) 2018-12-19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屏操作方法和用户设备
US11036932B2 (en) * 2019-01-30 2021-06-15 Blockpad Llc Technology platform having integrated content creation features
USD924912S1 (en) 2019-09-09 2021-07-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908559B (zh) * 2019-11-19 2024-01-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快捷应用面板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142723B (zh) * 2019-12-24 2021-07-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移动方法及电子设备
CN113050864B (zh) * 2019-12-27 2023-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截屏方法及相关设备
CN113448479B (zh) * 2020-03-25 2024-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单手操作模式开启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427505A (zh) 2020-04-09 2020-07-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页面操作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847294B2 (en) * 2020-10-22 2023-12-19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Method for generating desktop of mobile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4489451A (zh) * 2022-01-04 2022-05-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滑动定位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922B2 (ja) * 1992-05-29 1997-02-26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子黒板装置
JP4215549B2 (ja) * 2003-04-02 2009-01-28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モードと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モードで動作する情報処理装置
JP4412737B2 (ja) * 2007-09-06 2010-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JP4372188B2 (ja) * 2007-12-21 2009-11-2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5722642B2 (ja) * 2011-01-24 2015-05-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295328B2 (ja) * 2011-07-29 2013-09-18 Kddi株式会社 スクリーンパッドによる入力が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37036A1 (en) * 2012-11-15 2014-05-15 Weishan Han Operation Window for Portable Devices with Touchscreen Displays
US10691291B2 (en) * 2013-05-24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303A1 (ko) * 2014-08-29 2016-03-03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6048034A1 (ko) * 2014-09-23 2016-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
CN106201161A (zh) * 2014-09-23 2016-12-0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电子设备的显示方法及系统
CN106201161B (zh) * 2014-09-23 2021-09-0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电子设备的显示方法及系统
KR20200006805A (ko) * 2018-07-11 202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WO2023128424A1 (ko) * 2021-12-29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40826A1 (en)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7429A (ko) 화면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63586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642883B1 (ko)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03657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nd displaying icons on a screen
US20190369823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CN111666013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60357358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Application Windows
EP2372516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icons on a touch sensitive display
US1189990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3366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KR102004553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작업 공간 관리
EP2207342B1 (en) Mobile terminal and camera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US9766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N108121457B (zh) 提供字符输入界面的方法和设备
TWI522889B (zh) 管理使用者介面中之工作空間
EP2690543B1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4078693A (ja) 視野移動操作方法
KR20140098904A (ko)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TW201528054A (zh) 用於操縱使用者介面物件之使用者介面
EP26132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keypad o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KR20070039613A (ko) 터치 감지 입력 장치용 제스처
KR20150095541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81051B1 (ko)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US108959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nd displaying icons on a screen
KR20110011845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