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117A - 헬멧용 액션 카메라 - Google Patents

헬멧용 액션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117A
KR20210053117A KR1020200000080A KR20200000080A KR20210053117A KR 20210053117 A KR20210053117 A KR 20210053117A KR 1020200000080 A KR1020200000080 A KR 1020200000080A KR 20200000080 A KR20200000080 A KR 20200000080A KR 20210053117 A KR20210053117 A KR 2021005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unit
support
action camera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633B1 (ko
Inventor
전행복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PCT/KR2020/01127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85823A1/ko
Publication of KR2021005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3203
    • H04N5/232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는 쉴드(700)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호형(弧形)으로 연장되어, 쉴드(700)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고, 양단이 쉴드(700)와 함께 헬멧 본체(800)에 결합되는 지지부(100), 지지부(100)의 전방에 배치된 촬영부(200), 지지부(100)에 결합되어 촬영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지지부(100)에 결합되어 촬영부(200)와 제어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멧용 액션 카메라{Action Camera for Helmet}
본 발명은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액션 카메라는 헬멧, 옷, 자건거 등에 고정하여 손을 대지 않고도 촬영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캠코더를 의미한다. 즉, 활동 중에 원하는 장면을 녹화할 수 있는 핸즈프리 캠코더인 것으로, 각종 레포츠를 즐기면서 동시에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오토바이 탑승시 주행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액션 카메라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액션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마운트 등을 이용하여 헬멧의 상측에 고정된다. 하지만, 액션 카메라는 본래 1인칭 시점으로 촬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종래기술과 같이 액션 카메라가 헬멧의 상측에 고정되면 헬멧 착용자의 시야와 다소 다르게 촬영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액션 카메라는 헬멧의 상측에 고정되므로, 착용자가 오토바이를 운전하면서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존재한다.
게다가, 종래기술에 따른 액션 카메라는 샤프트 형태의 마운트로 지지되는데, 사고 발생시 샤프트 형태의 마운트가 헬멧을 관통하여 착용자의 두부에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KR 10-2014-0131641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촬영부가 헬멧 본체의 쉴드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헬멧 착용자의 시야와 거의 동일하게 촬영할 수 있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는 쉴드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호형(弧形)으로 연장되어, 상기 쉴드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쉴드와 함께 헬멧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된 촬영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촬영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쉴드와 함께 상기 헬멧 본체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쉴드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쉴드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또는 관통된 삽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쉴드와 마주보도록 호형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길이방향 중앙에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부의 내벽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지부의 설치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설치부와 마주볼 때,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설치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요철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설치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요철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에는 상기 요철부 방향으로 탄성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외면을 가압하면 이를 상기 제어부가 인식하여 상기 촬영부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의 외면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로 외부기기와 연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제2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전원부가 지지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되도록 소정깊이로 함몰된 삽입공간, 및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슬라이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체결공간을 포함하는 고정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원부는 제2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원부는 제2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지지부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체결돌기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어,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말단에 후크형태의 후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두께방향으로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가 상기 지지부의 일면과 마주볼 때,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에는 두께방향으로 제2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를 관통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후크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어, 상기 후크부에는 상기 제2 체결홀의 테두리가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전원부는 제2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지지부, 상기 하우징,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을 발산하는 광원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부가 헬멧 본체의 쉴드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헬멧 착용자의 시야와 거의 동일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헬멧 본체의 측면에 배치된 수용부에 수용됨으로써, 착용자가 오토바이를 운전하면서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쉴드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호형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이용하므로, 사고 발생시 지지부가 헬멧 본체를 관통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의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가 결합된 헬멧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영부 주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수용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수용부의 분해사시도,
도 7a 내지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제2 수용수의 평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2 수용부와 지지부의 제2 결합부의 분해사시도, 및
도 9a 내지 도 9b는 도 1에 도시된 제2 수용부와 지지부의 제2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가 결합된 헬멧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는 쉴드(700)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호형(弧形)으로 연장되어, 쉴드(700)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고, 양단이 쉴드(700)와 함께 헬멧 본체(800)에 결합되는 지지부(100), 지지부(100)의 전방에 배치된 촬영부(200), 지지부(100)에 결합되어 촬영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지지부(100)에 결합되어 촬영부(200)와 제어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촬영부(200), 제어부, 전원부 등을 헬멧 본체(800)에 고정/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지지부(100)는 쉴드(700)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호형(弧形)으로 연장되어, 쉴드(700)의 전방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3a 참조). 이때, 지지부(100)는 일단에 제1 결합부(130)가 구비되고, 타단에 제2 결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1,2 결합부(130, 140)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며, 두께방향으로 관통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50)에는 힌지핀(155)이 삽입되어, 지지부(100)는 쉴드(700)와 함께 헬멧 본체(8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700)가 헬멧 본체(80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때, 지지부(100)는 쉴드(70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100)는 반드시 관통홀(150)과 힌지핀(155)을 이용하여 쉴드(700)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종류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쉴드(700)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부(100)에는 쉴드(700)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170, 도 2 참조)가 형성되고, 쉴드(700)에는 지지부(100)의 돌기부(170)가 삽입되도록 함몰 또는 관통된 삽입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00)의 돌기부(170)가 쉴드(700)의 삽입부(710)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100)는 쉴드(70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0)는 쉴드(700)와 마주보도록 호형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재(110)와 제1 지지부재(110)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쉴드(700)와 마주보는 제1 지지부재(110)는 전체적으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헬멧 본체(800)의 종류 또는 쉴드(7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제2 지지부재(120)는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헬멧 본체(800)의 종류 또는 쉴드(700)의 종류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변형이 용이한 평판형의 제1 지지부재(110)는 헬멧 본체(800)의 종류 또는 쉴드(700)의 종류에 따라 다향한 형태로 제작하고, 상대적으로 제작이 어려운 입체형의 제2 지지부재(120)는 헬멧 본체(800)의 종류 또는 쉴드(700)의 종류와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110)는 헬멧 본체(800) 또는 쉴드(700)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곡률이 변형되거나, 헬멧 본체(800) 또는 쉴드(700)와 접촉되도록 헬멧 본체(800) 또는 쉴드(70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쉴드(700)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호형으로 연장된 지지부(100)를 이용하므로, 사고 발생시 지지부(100)가 헬멧 본체(800)를 관통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00)는 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촬영부(200)는 지지부(1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00)가 쉴드(700)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고, 촬영부(200)가 지지부(100)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촬영부(200)는 쉴드(700)의 전방 상측에 배치된다(도 3a 참조). 결국, 촬영부(200)는 헬멧 본체(800)의 쉴드(700) 전방에 배치되므로, 헬멧 착용자의 시야와 거의 동일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촬영부(200)는 지지부(100)의 길이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촬영부(200)는 지지부(10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200)는 지지부(10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약 ±10°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부(200)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부(100)에 결합됨으로써, 헬멧 착용자의 라이딩 포지션(riding position)에 따라 촬영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촬영부(200)가 회동하는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촬영부(200)는 원통형의 하우징(210) 내부에 수용되고, 하우징(210)은 지지부(100, 제2 지지부재(12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00, 제2 지지부재(120))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설치부(160)가 형성되고, 이러한 설치부(160) 내부에 하우징(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10)은 설치부(160)의 마주보는 내벽에 힌지(230)가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우징(210)의 일면이 설치부(160, 바닥면)와 마주볼 때, 하우징(210)의 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요철부(220)가 구비되고, 설치부(160, 바닥면)에는 요철부(2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삽입돌기(165)는 설치부(160, 바닥면)가 절개되어 형성된 탄성부(167)에 형성되므로, 요철부(220) 방향으로 탄성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삽입돌기(165)가 요철부(2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요철부(220)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특정각도에 하우징(210)이 고정될 수 있고, 착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하우징(210)의 일면에 요철부(220)가 구비되고, 설치부(160, 바닥면)에 탄성부(167)와 삽입돌기(165)가 구비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210)의 일면에 탄성부(167)와 삽입돌기(165)가 구비되고, 설치부(160, 바닥면)에 요철부(2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촬영부(200)는 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기기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쿼드에이치디(QHD) 급의 카메라일 수 있고, 화각은 148°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촬영부(200)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1 수용부(3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이러한 제1 수용부(300)는 지지부(100)의 일단에 구비된 제1 결합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용부(300)와 제1 결합부(130)에는 촬영부(200), 광원(600) 등을 제어하도록 제어부와 촬영부(200), 광원(600) 등을 연결하거나, 전력을 전달하거나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부와 전원부 를 연결하는 제1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300)의 일측에는 촬영부(200)에서 촬영한 영상이나 사진을 저장하는 메모리(예를 들어, 마이크로 SD 카드 등)이 삽입가능한 메모리 슬롯이 형성되고, 외부기기나 외부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용부(300)의 외면(330)을 가압하면 이를 스위치 등을 통해서 제어부가 인식하여, 촬영부(20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부(300)의 외면(330)을 1번 클릭하면 촬영부(200)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2번 클릭하면 촬영부(20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 이상 클릭하면 전원을 ON/OFF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300)의 외면(330)은 가압하면 눌려서 제어부의 스위치(35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부(300)의 외면(330) 내부에는 탄성을 갖도록 소정면적 이상으로 형성된 전달부(340)가 배치되고, 전달부(340)의 내부에는 제어부의 스위치(35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부(300)의 외면(330)을 가압하면, 전달부(340)가 휘어지고, 그에 따라 스위치(350)가 눌릴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는 음성인식을 통해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으로 스마트폰/노트북/PC 등 외부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스마트폰 등 외부기기를 통해서 제어될 수 있고,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촬영부(200)에서 촬영한 영상이나 사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와 연동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촬영부(200)에서 촬영한 영상이나 사진을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에 라이브 스트림밍(live streaming)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는 위치를 인식하는 GPS 기능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촬영부(200), 제어부 등에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원부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는 예를 들어 용량이 2000mAh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원부는 제2 수용부(400, 도 2 참조)의 내부에 수용되고, 이러한 제2 수용부(400)는 지지부(100)의 타단에 구비된 제2 결합부(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용부(400)와 제2 결합부(140)에는 전력을 전달하거나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부와 제어부 등을 연결하는 제2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400)는 전원부가 지지되는 본체부(420)와 본체부(4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430)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435)가 형성되고, 본체부(420)에는 슬라이딩 돌기(435)가 슬라이딩하여 체결가능하도록 고정부(4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425)는 슬라이딩 돌기(435)가 삽입되도록 소정깊이로 함몰된 삽입공간(425a), 및 슬라이딩 돌기(435)가 슬라이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425a)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되 슬라이딩 돌기(435)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체결공간(425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430)의 슬라이딩 돌기(435)를 본체부(420)의 삽입공간(425a)에 삽입한 후(도 7a 참조), 커버부(430)를 회전시키면 커버부(430)의 슬라이딩 돌기(435)가 본체부(420)의 체결공간(425b)에 삽입됨으로써(도 7b 참조), 커버부(430)는 본체부(4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4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면(도 7b-> 도 7a 참조), 커버부(430)의 슬라이딩 돌기(435)가 본체부(420)의 체결공간(425b)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커버부(430)는 본체부(420)에 분리될 수 있다. 결국, 본체부(420)에는 커버부(4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본체부(420)로부터 커버부(430)를 분리한 후, 전원부(예를 들어,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수용부(300, 400)는 지지부(100)의 제1,2 결합부(130, 140)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참고로, 도 8은 제2 수용부(400)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수용부(400)도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1,2 수용부(300, 400)에는 각각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돌기(500)가 형성되고,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에는 체결부재(530)가 구비된다. 이때, 체결부재(530)는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에 대해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체결돌기(500)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어, 체결돌기(500)와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체결돌기(500)의 말단에는 후크형태의 후크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에는 두께방향으로 제1 체결홀(520)이 형성되어, 제1 체결홀(520)에는 체결돌기(500)가 관통될 수 있다. 한편, 제1,2 수용부(300, 400)가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의 일면과 마주볼 때, 체결돌기(500)가 제1 체결홀(520)을 관통하여, 체결돌기(500)의 후크부(510)는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530)는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고, 체결부재(530)에는 두께방향으로 제2 체결홀(540)이 형성되어, 체결돌기(500)가 관통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530)는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의 타면에 형성된 가이드부(550)에 의해서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560)가 결합되어, 체결돌기(500)의 후크부(510)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돌기(500)의 후크부(510)에는 제2 체결홀(540)의 테두리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돌기(500)의 후크부(510)에 제2 체결홀(540)의 테두리가 삽입됨으로써, 제1,2 수용부(300, 400)는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에 결합될 수 있다. 결국,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수용부(300, 400)의 체결돌기(500)를 제1 체결홀(520)을 거쳐 제2 체결홀(540)을 관통시키면, 체결돌기(500)의 후크부(510)에 제2 체결홀(540)의 테두리에 삽입되어, 제1,2 수용부(300, 400)를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500)에 후크부(510) 방향과 반대방향(탄성부재(560)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면, 체결돌기(500)의 후크부(510)로부터 제2 체결홀(540)의 테두리가 분리되어, 제1,2 수용부(300, 400)를 지지부(100, 제1,2 결합부(130, 14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의 제1,2 결합부(130, 140)에는 관통홀(150)이 형성되고, 관통홀(150)에 힌지핀(155)이 삽입될 수 있는데, 제1,2 결합부(130, 140)의 외측에는 제1,2 수용부(300, 4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1,2 수용부(300, 400)에 의해서 관통홀(150)이나 힌지핀(155)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2 수용부(300, 400)로 관통홀(150)이나 힌지핀(155)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깔끔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 제2 지지부재(120))의 전방, 하우징(210), 및 제1,2 수용부(300, 400)의 외면 등에는 광을 발산하는 광원(60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600)은 예를 들어 LED일 수 있고,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광원(600)은 점멸되거나 점등될 수 있고, 헬멧 착용자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고, 유니크한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액션 카메라는 지지부(100)가 헬멧 본체(8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하나의 헬멧용 액션 카메라를 다양한 헬멧 본체(800)에 호환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지지부 110: 제1 지지부재
120: 제2 지지부재 130: 제1 결합부
140: 제2 결합부 150: 관통홀
155: 힌지핀 160: 설치부
165: 삽입돌기 167: 탄성부
200: 촬영부 210: 하우징
220: 요철부 300: 제1 수용부
330: 제1 수용부의 외면 340: 전달부
350: 스위치 400: 제2 수용부
420: 본체부 425: 고정부
425a: 삽입공간 425b: 체결공간
430: 커버부 435: 슬라이딩 돌기
500: 체결돌기 510: 후크부
520: 제1 체결홀 530: 체결부재
540: 제2 체결홀 550: 가이드부
560: 탄성부재 600: 광원
700: 쉴드 710: 삽입부
800: 헬멧 본체

Claims (18)

  1. 쉴드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호형(弧形)으로 연장되어, 상기 쉴드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쉴드와 함께 헬멧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된 촬영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촬영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쉴드와 함께 상기 헬멧 본체에 결합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쉴드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쉴드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또는 관통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쉴드와 마주보도록 호형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헬멧용 액션 카메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길이방향 중앙에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부의 내벽에 힌지결합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지부의 설치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설치부와 마주볼 때,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설치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요철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설치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요철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에는 상기 요철부 방향으로 탄성이 제공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외면을 가압하면 이를 상기 제어부가 인식하여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의 외면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로 외부기기와 연동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제2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전원부가 지지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되도록 소정깊이로 함몰된 삽입공간, 및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슬라이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체결공간을 포함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원부는 제2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원부는 제2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지지부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체결돌기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어,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말단에 후크형태의 후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두께방향으로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가 상기 지지부의 일면과 마주볼 때,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에는 두께방향으로 제2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를 관통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후크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어, 상기 후크부에는 상기 제2 체결홀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전원부는 제2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지지부, 상기 하우징,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을 발산하는 광원이 구비되는 헬멧용 액션 카메라.
KR1020200000080A 2019-11-01 2020-01-02 헬멧용 액션 카메라 KR102251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1272 WO2021085823A1 (ko) 2019-11-01 2020-08-24 헬멧용 액션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8456 2019-11-01
KR1020190138456 2019-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17A true KR20210053117A (ko) 2021-05-11
KR102251633B1 KR102251633B1 (ko) 2021-05-13

Family

ID=7591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080A KR102251633B1 (ko) 2019-11-01 2020-01-02 헬멧용 액션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6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602A (ko) * 2004-03-20 2005-09-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장치
KR200422194Y1 (ko) * 2006-04-19 2006-07-2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노이즈 캔슬링 2채널 무선 헤드폰
KR20130021060A (ko) * 2011-08-22 2013-03-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20140131641A (ko) 2013-05-06 2014-11-14 이동빈 블루투스를 이용한 액션캠 마운트
CN206025333U (zh) * 2016-05-07 2017-03-22 常州大果智能科技有限公司 头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602A (ko) * 2004-03-20 2005-09-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장치
KR200422194Y1 (ko) * 2006-04-19 2006-07-2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노이즈 캔슬링 2채널 무선 헤드폰
KR20130021060A (ko) * 2011-08-22 2013-03-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20140131641A (ko) 2013-05-06 2014-11-14 이동빈 블루투스를 이용한 액션캠 마운트
CN206025333U (zh) * 2016-05-07 2017-03-22 常州大果智能科技有限公司 头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633B1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7273B2 (en)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flash and camera controls
CN105049691B (zh) 拍摄装置及终端
EP2965501B1 (en) Wearable camera
JP3205359U (ja) ヘッドマウント式表示装置
US10887435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mprising a smart phone, a keyboard and a tablet, all fitted together, which can capture images
US9503146B1 (en) Waterproof device for cellphones
US11409336B2 (en) Camera lenses at computer devices
US20150256730A1 (en) Image-capturing device configured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2221468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US10122900B2 (en) Camera mounting device
KR102251633B1 (ko) 헬멧용 액션 카메라
JP4042717B2 (ja) アクセサリーシュー装置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アクセサリー
US20210229463A1 (en) Shell for a portab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080274650A1 (en) Accessory
WO2021085823A1 (ko) 헬멧용 액션 카메라
US2004008066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157798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09130526A (ja) 撮像装置
JP4110876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160012862A (ko) 카드 커넥터
KR101766071B1 (ko) 슬라이딩이 가능한 휴대용 홍채 인식기 및 이를 이용한 홍채인식시스템.
CN212156577U (zh) 手持云台
CN105575703A (zh) 按钮装置
KR101766542B1 (ko) 카메라의 슬라이딩 기능이 구비된 착탈식의 홍채 인식기 및 이를 이용한 홍채인식시스템.
CN211700633U (zh) 手持云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