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027A -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027A
KR20210053027A KR1020190138805A KR20190138805A KR20210053027A KR 20210053027 A KR20210053027 A KR 20210053027A KR 1020190138805 A KR1020190138805 A KR 1020190138805A KR 20190138805 A KR20190138805 A KR 20190138805A KR 20210053027 A KR20210053027 A KR 20210053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ass
feeder
value
supplied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906B1 (ko
Inventor
고호준
성운경
고성곤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9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returning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1/00Pretreatment of solid fuel
    • F23K2201/10Pulverizing
    • F23K2201/101Pulverizing to a specific particle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10Supply line fittings
    • F23K2203/104Me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은 바이오매스를 급탄기(341)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급탄기(341)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미분기(110)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미분기(110)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바이오매스를 보일러(120)로 공급하여 650~120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보일러(120)에서 연소된 바이오매스를 습식저회호퍼로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습식저회호퍼와 저회 크러셔 사이에 챔버를 설치하고 습식저회호퍼와 저회 크러셔 사이에 차단막을 유지한 상태에서 필터백을 사용하여 수분을 배출시키고 저회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Method for producing Bio-char using the process of the biomass fired boiler}
본 발명은 바이오차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차(biochar)는 바이오매스(biomass)를 열분해하여 생산한 고형물로 토양의 개량(산성화 방지), 작물생육 촉진, 오염물질 흡착, 온실가스 저감 및 축분냄새 저감 등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는 우드 팰릿 등의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보일러에서 연소시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를 고압터빈, 저압터빈으로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에서 바이오매스 원료(우드팰릿)는 셀룰로오스 성분이 많아 미분시 섬유질 형태로 석탄 등에 비해 분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정량은 보일러 내에서 완전 연소되지 않고 하부 호퍼로 낙하하여 회처리시스템을 통해 외부(회처리장)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이오매스 연소 후 저회로 외부 배출하지 않고 보일러의 연소조건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발전소의 운전공정을 통해 바이오차로 생산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은 바이오매스를 급탄기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급탄기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미분기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미분기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바이오매스를 보일러로 공급하여 650~120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보일러(120)에서 연소된 바이오매스를 습식저회호퍼로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습식저회호퍼와 저회 크러셔 사이에 챔버를 설치하고 습식저회호퍼와 저회 크러셔 사이에 차단막을 유지한 상태에서 필터백을 사용하여 수분을 배출시키고 저회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매스를 급탄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바이오매스가 사일로에 저장되고, 상기 사일로로부터 바이오매스가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지는 급탄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탄기(341)에는 컨베이어 벨트에 쌓인 바이오매스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값은 컨트롤러로 전송되며 상기 컨트롤러에서 로드셀 측정값(PV)과 설정값(SP)을 비교하여 연산한 후 상기 컨트롤러가 각 급탄기의 구동모터에 요구량(Demand)을 전송하여 구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설정값(SP)은 연료 마스터 요구량(Fuel Master Demand) 신호로부터 환산된 급탄기 요구량(Feeder Demand) 값과, 연료이송용 공기와 연소용 공기량의 합을 비교한 후 작은 값을 기준으로 한 급탄기 회전속도 요구량 신호로 결정되고, 상기 연료 마스터 요구량(Fuel Master Demand) 신호로부터 환산된 상기 급탄기 요구량(Feeder Demand) 값 후단에서 바이오매스 공급량에 대한 급탄기 구동모터 회전속도의 특성함수(f(x))값을 조정하여 바이오매스 공급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분기(110)는 상부 중앙에 공급관(1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주위에 배출관(70)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10)의 측면에는 깔대기 모양의 내부 콘(20)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10)의 하측에는 공급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바이오매스를 수용하고 회전시키는 접시 모양의 바울(30)이 구비되며, 상기 바울(30)에 수용된 바이오매스를 바울(30)과의 사이에서 분쇄시키는 그라인딩 롤러(40)가 구비되어 상기 바울(30)이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바이오매스가 원심력에 의하여 바깥 방향으로 밀려 나가면서 그라인딩 롤러(40)에 의해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라인딩 롤러(40)에는 롤러 가압장치(HPU)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 가압장치(HPU)에서 그라인딩 롤러(40)가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제어하며, 상기 롤러 가압장치(HPU)에서의 압력 제어는 상기 급탄기 요구량(Feeder Demand)에 대하여 바이오매스 공급량에 대한 롤러의 압력변화의 특성함수(F(x))를 통해 필요한 롤러의압력값을 환산하고, 환산된 값과 실제 롤러의 압력값과 비교하여 롤러의 압력 증감을 제어하여 바이오매스의 미분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분기(110)에는 상기 내부 콘(20) 상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날개편이 형성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되어 유입되는 미분탄을 입자별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류기(25)가 구비되고,
상기 분류기(25)는 분류기(25)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의 속도에 의해 제어하며, 상기 급탄기(341)에서 미분기(110)로 공급되는 바이오매스 공급량에 대하여 특성함수를 통해 필요한 분류기 회전속도 변환값과 바울 차압값을 연산하여 최종 분류기 회전속도 요구량(Demand)을 산출하고 상기 미분기(110)로 송출하며, 상기 최종 산출된 분류기 회전속도 요구량(Demand)값의 전단에서 바이오매스 공급량에 대한 분류기 회전속도에 대한 특성함수값을 조정하여 바이오매스의 미분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일러(120)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는 공급된 배출가스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찬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는 상기 미분기(110) 및 상기 보일러(120) 내부의 연소공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일러(120)에서 바이오매스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를 터빈에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토양의 개량, 작물생육 촉진, 오염물질 흡착, 온실가스 저감 등의 농업에 활용될 수 있는 우수한 바이오차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이오차 생산을 위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1에서 급탄기 제어로직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1에서 미분기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도3의 미분기에서 그라인딩 롤러의 압력제어로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3에 도시된 미분기의 분류기 속도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이오차 생산을 위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1에서 급탄기 제어로직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1에서 미분기의 상세도이고, 도 4는 그라인딩 롤러의 압력제어로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3에 도시된 미분기의 분류기 속도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120)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은 바이오매스를 급탄기(341)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급탄기(341)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미분기(110)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미분기(110)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바이오매스를 보일러(120)로 공급하여 650~120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보일러(120)에서 연소된 바이오매스를 습식저회호퍼로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습식저회호퍼와 상기 습식저회호퍼로부터 저회를 분쇄하는 저회 크러셔 사이에 챔버를 설치하고 습식저회호퍼와 크러셔 챔버 사이에 차단막을 유지한 상태에서 필터백을 사용하여 수분을 배출시키고 저회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우드펠릿 등의 바이오매스를 급탄기(341)로 공급한다. 원래 화력발전소에서는 저탄장에서 저장된 석탄이 석탄 사일로(Silo)로 운반된 다음 급탄기에 의해 미분기(110)로 공급된다. 따라서, 화력발전소에서는 석탄사일로로부터 공급된 석탄이 급탄기를 통해 미분기(110)로 공급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매스가 사일로에 저장되고, 사일로로부터 급탄기(341)로 공급된다. 급탄기(341)로는 일예로 드레그체인형 급탄기가 있다.
본 발명에서 각 급탄기(341)에는 로드셀이 설치되고, 로드셀은 각 컨베이어 벨트에 쌓인 바이오매스(우드팰릿)의 무게를 측정한다.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값은 제어판넬(미도시)의 컨트롤러로 전송되며 컨트롤러에서 로드셀 측정값(PV)과 설정값(SP)을 비교하여 연산한 후 컨트롤러가 각 급탄기의 구동모터(컨베이어 벨트 구동)에 요구량(Demand)을 전송하여 구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 결과 구동모터의 속도조절을 통해 미분기(110)로 공급되는 바이오매스(우드펠릿)의 양이 조절된다. 도2는 급탄기 제어로직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설정값(SP)은 연료 마스터 요구량(Fuel Master Demand) 신호로부터 환산된 급탄기 요구량(Feeder Demand) 값과, 연료이송용 공기(SA Flow)와 연소용 공기(PA Flow)량의 합(연료이송용 공기 + 연소용 공기)을 비교한 후, 작은 값을 기준으로 하여 급탄기 회전속도 요구량 신호(=컨트롤러에 입력되는 설정값(SP))로 결정된다.
이 때, 연료 마스터 요구량(Fuel Master Demand) 신호로부터 환산된 급탄기 요구량(Feeder Demand) 값 후단의 f(x)(급탄기에서의 우드펠릿 공급량에 대한 급탄기 모터 회전속도의 특성함수)값을 조정하여 우드펠릿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예로 X값(로드셀 측정값)에 대한 Y값(급탄기에서의 우드펠릿 공급량)을 정상치보다 상향 조정하면 공급량을 증대할 수 있어 바이오차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여기서, f(x)는 급탄기에서의 우드펠릿 공급량에 대한 급탄기 모터 회전속도의 특성함수이고, X는 로드셀 측정값, Y는 급탄기에서의 우드펠릿 공급량으로 출력값이 급탄기 모터 회전속도로 전송되며, Y값을 정상치보다 상향 조정하여 공급량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급탄기(341)에 의해 바이오매스가 이송되어 미분기(110)로 공급된다. 미분기(110)는 석탄(원탄)을 분쇄하여 미분상태로 보일러(12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미분기(11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미분기(110) 상부 중앙에 바이오매스(우드펠릿)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주위에 분쇄된 바이오매스가 배출되는 배출관(70)이 설치된다. 미분기(110) 내부에서 공급관(10)의 측면에는 깔대기 모양의 내부 콘(20)이 설치된다. 또한, 공급관(10)의 하측에는 공급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바이오매스를 수용하고 회전시키는 접시 모양의 바울(30)이 구비되고 따라서 공급관(10)을 통해 바울(30)의 중앙부로 낙하되는 바이오매스는 바울(30)이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바깥 방향으로 밀려 나가면서 그라인딩 롤러(Grinding Roller)(40)에 의해 분쇄된다. 그라인딩 롤러(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널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축에 연결되고 측면에서 비스듬히 배치되며 3개의 그라인딩 롤러(40)가 일정각도를 이루어 설치되어 바울(30)에 수용된 바이오매스를 그라인딩 롤러(40)와 바울(30) 사이에서 분쇄시키게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그라인딩 롤러(40)에는 롤러 가압장치(HPU; Hydro Power Unit)가 구비되고, 이 롤러 가압장치(HPU)에서 그라인딩 롤러(40)가 실질적으로 우드펠릿을 분쇄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도4는 그라인딩 롤러의 압력제어로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방식은 전술한 급탄기(341)에서의 급탄기 요구량(Feeder Demand)에 대하여 F(x)를 통해 필요한 롤러의압력값을 환산하고, 환산된 값과 실제 롤러의 압력값과 비교하여 롤러의 압력을 증가시킬지 감소시킬지를 제어한다. F(x) 값을 조정하여 우드펠릿의 미분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예로 X값에 대한 Y값을 정상치보다 하향 조정하면 미분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바이오차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F(x)는 급탄기로부터 우드펠릿 공급량에 대한 롤러의 압력변화의 특성함수로서, X값은 우드펠릿 공급량, Y는 롤러의 압력으로 Y값을 정상치보다 하향 조정하여 미분도를 감소시킨다.
그 다음, 분쇄된 바이오매스는 바울(30)의 하측에 설치된 공기 공급기(6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바울(30) 외측에 구비되는 베인 휠(vane wheel)(50)을 통해 바울(30)의 상부로 올라가면서 입자가 큰 바이오매스는 바울(30) 위로 떨어져 다시 분쇄된다. 그리고, 작은 바이오매스는 베인 휠(15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 함께 선회한다. 이 선회 각도와 속도에 따라서 1차로 입자가 큰 바이오매스가 분리되어 바울(30) 위로 떨어지고, 작은 바이오매스만 내부 콘(20) 상부의 분류기(25)를 거쳐 상부의 배출관(70)을 통해 보일러(120)로 공급되게 된다.
분류기(Dynamic Classifier)(25)는 내부 콘(20) 상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날개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되어 유입되는 미분탄을 입자별로 분리하여 배출한다. 이 분류기(25)는 분류기(25)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가 구비되고, 회전모터의 속도에 의해 제어한다. 도5는 미분기의 분류기 속도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급탄기(341)(Feeder)에서 미분기(110)로 공급되는 바이오매스(우드펠릿) 공급량에 대하여 f(x)(특성함수)를 통해 필요한 분류기 회전속도 변환값과 바울(30) 차압(Bowl Differential Pressure)(그라인딩 롤러와 바울 간 압력차)값을 연산하여 최종적으로 분류기 회전속도 요구량(Demand)을 산출하고 미분기(110)로 보내게 된다. 이 최종적으로 산출된 분류기 회전속도 요구량(Demand)값 바로 전단의 f(x)값(우드펠릿 공급량에 대한 분류기 회전속도에 대한 특성함수)(미도시)을 조정하여 우드펠릿의 미분도를 조절하고, f(x)에서 우드펠릿 공급량(X값)에 대한 분류기 회전속도값(Y값)을 정상치보다 하향 조정하면 미분이 덜 된 연료가 보일러로 공급되어 바이오차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미분기(110)에 의해 분쇄된 바이오매스는 공급관(120a)을 통해 보일러(120)로 공급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연소공기에 의해 연소된다. 보일러(120)로 공급된 바이오매스는 약 650~1200℃로 열처리 및 연소된다.
이와 같이 보일러(120) 내에서 바이오매스의 연소에 의해 수관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는 스팀드럼을 거쳐 고압 및 저압터빈으로 공급되어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바이오매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는 보일러(120) 상부에 형성되는 연소가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열교환기(190)를 거친 다음 집진기(140), 탈황설비(150) 등 후단 정화설비를 거친 후 연돌(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열교환기(190)는 보일러(1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찬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의 일부는 미분기(110)의 공기공급기(60)로 공급하며, 일부는 보일러(120) 내부의 연소공기로 공급한다.
한편, 보일러(120) 하부에는 바이오매스(우드펠릿)가 미연소되어 생성되는 저회를 수집하기 위한 저회호퍼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보일러(120)에서 열처리 후 완전연소 되지 못하고 낙하한 바이오매스 저회를 습식저회호퍼로 침전시켜 회처리장으로 이송전에 보일러의 부압을 저해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외부로 배출시켜 별도의 필터백(Filter Bag)에 수집한다.
이와 같은 저회에는 바이오차 성분과 클링커 성분이 있으며 저회호퍼에 일정시간동안 저장 후 적정량이 쌓이면 저회 크러셔를 통해 분쇄 후 회처리장으로 이송하여 매립한다. 회처리장까지는 수 km의 장거리 배관으로 발전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이송수는 고가의 담수가 아닌 해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저회(바이오차)는 다량의 염분이 함유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담수처리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비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저회호퍼와 저회 크러셔 사이의 챔버(호퍼의 1/10 크기)에서 직접 배출될 수 있도록 배관을 구성하여 저회호퍼와 저회 크러셔 사이의 차단막(게이트)을 유지한 상태에서 슬러지상태인 저회(바이오차)를 회수하는데 이때 특수 필터백을 사용하여 수분만 배출되고 저회는 백에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바이오차를 생산하였으며 본 발명자들은 생산된 바이오차의 성분 분석 결과 비료 및 유기농자재 규격에 만족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발전소의 보일러(120) 연소공정을 이용하여 발전함과 동시에 토양의 개량, 작물생육 촉진, 오염물질 흡착, 온실가스 저감 등의 농업에 활용될 수 있는 우수한 바이오차를 생산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5 : 분류기 30: 바울
50 : 베인 휠 60 : 1차 공기 공급기
70 : 배출관 110 : 미분기
120 : 보일러 341 : 급탄기

Claims (8)

  1. 바이오매스를 급탄기(341)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급탄기(341)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미분기(110)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미분기(110)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바이오매스를 보일러(120)로 공급하여 650~1200℃에서 열처리 및 연소하는 단계와,
    상기 보일러(120)에서 연소된 바이오매스를 상기 보일러(120) 하부의 습식저회호퍼로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습식저회호퍼와 상기 습식저회호퍼로부터 저회를 분쇄하는 저회 크러셔 사이에 챔버를 설치하고 상기 습식저회호퍼와 상기 저회 크러셔 사이에 차단막을 유지한 상태에서 필터백을 사용하여 수분을 배출시키고 저회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를 급탄기(341)로 공급하는 단계는 바이오매스가 사일로에 저장되고, 상기 사일로로부터 바이오매스가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지는 급탄기(341)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탄기(341)에는 컨베이어 벨트에 쌓인 바이오매스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값은 컨트롤러로 전송되며 상기 컨트롤러에서 로드셀 측정값(PV)과 설정값(SP)을 비교하여 연산한 후 상기 컨트롤러가 각 급탄기의 구동모터에 요구량(Demand)을 전송하여 구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설정값(SP)은 연료 마스터 요구량(Fuel Master Demand) 신호로부터 환산된 급탄기 요구량(Feeder Demand) 값과, 연료이송용 공기와 연소용 공기량의 합을 비교한 후 작은 값을 기준으로 한 급탄기 회전속도 요구량 신호로 결정되고, 상기 연료 마스터 요구량(Fuel Master Demand) 신호로부터 환산된 상기 급탄기 요구량(Feeder Demand) 값 후단에서 바이오매스 공급량에 대한 급탄기 구동모터 회전속도의 특성함수(f(x))값을 조정하여 바이오매스 공급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110)는 상부 중앙에 공급관(1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주위에 배출관(70)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10)의 측면에는 깔대기 모양의 내부 콘(20)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10)의 하측에는 공급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바이오매스를 수용하고 회전시키는 접시 모양의 바울(30)이 구비되며, 상기 바울(30)에 수용된 바이오매스를 바울(30)과의 사이에서 분쇄시키는 그라인딩 롤러(40)가 구비되어 상기 바울(30)이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바이오매스가 원심력에 의하여 바깥 방향으로 밀려 나가면서 그라인딩 롤러(40)에 의해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딩 롤러(40)에는 롤러 가압장치(HPU)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 가압장치(HPU)에서 그라인딩 롤러(40)가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제어하며,
    상기 롤러 가압장치(HPU)에서의 압력 제어는 상기 급탄기 요구량(Feeder Demand)에 대하여 바이오매스 공급량에 대한 롤러의 압력변화의 특성함수(F(x))를 통해 필요한 롤러의 압력값을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값과 실제 롤러의 압력값과 비교하여 롤러의 압력 증감을 제어하여 바이오매스의 미분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110)에는 상기 내부 콘(20) 상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날개편이 형성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되어 유입되는 미분탄을 입자별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류기(25)가 구비되고,
    상기 분류기(25)는 분류기(25)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의 속도에 의해 제어하며,
    상기 급탄기(341)에서 미분기(110)로 공급되는 바이오매스 공급량에 대하여 특성함수를 통해 필요한 분류기 회전속도 변환값과 바울 차압값을 연산하여 최종 분류기 회전속도 요구량(Demand)을 산출하고 상기 미분기(110)로 송출하며, 상기 최종 산출된 분류기 회전속도 요구량(Demand)값의 전단에서 바이오매스 공급량에 대한 분류기 회전속도에 대한 특성함수값을 조정하여 바이오매스의 미분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120)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는 공급된 배출가스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찬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는 상기 미분기(110) 및 상기 보일러(120) 내부의 연소공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120)에서 바이오매스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를 터빈에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KR1020190138805A 2019-11-01 2019-11-01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KR10228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05A KR102286906B1 (ko) 2019-11-01 2019-11-01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05A KR102286906B1 (ko) 2019-11-01 2019-11-01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027A true KR20210053027A (ko) 2021-05-11
KR102286906B1 KR102286906B1 (ko) 2021-08-06

Family

ID=7591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805A KR102286906B1 (ko) 2019-11-01 2019-11-01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381A (ko) * 2021-12-30 2023-07-07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 유래 바이오차 활용 제3종 복합비료 펠렛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7241A (ja) * 2003-05-22 2004-12-09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有機物燃料混合粉砕装置
JP2008080285A (ja) * 2006-09-28 2008-04-10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イオマス粉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6142531A (ja) * 2015-01-29 2016-08-0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システム及び燃焼システム運転方法
KR20180100637A (ko) * 2016-02-09 2018-09-11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분급기, 분쇄 분급 장치 및 미분탄 연소 보일러
KR20190050291A (ko) * 2017-11-02 2019-05-10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연료 공급 장치 및 연소 설비 및 고체 연료 공급 장치의 운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7241A (ja) * 2003-05-22 2004-12-09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有機物燃料混合粉砕装置
JP2008080285A (ja) * 2006-09-28 2008-04-10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イオマス粉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6142531A (ja) * 2015-01-29 2016-08-0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システム及び燃焼システム運転方法
KR20180100637A (ko) * 2016-02-09 2018-09-11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분급기, 분쇄 분급 장치 및 미분탄 연소 보일러
KR20190050291A (ko) * 2017-11-02 2019-05-10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연료 공급 장치 및 연소 설비 및 고체 연료 공급 장치의 운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381A (ko) * 2021-12-30 2023-07-07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 유래 바이오차 활용 제3종 복합비료 펠렛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906B1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6365B2 (ja) 石炭・バイオマス混焼システム及び混焼方法
JP4861318B2 (ja) 重い灰と軽い灰とを分離し、未燃焼物の含有量を低減させ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5848014B2 (ja) 流動層乾燥装置
JP6180218B2 (ja) 固体燃料燃焼装置
KR101622582B1 (ko) 불활성 작동 또는 비불활성 작동으로 석탄을 분쇄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
CN102889608B (zh) 烟气预干燥褐煤风扇磨直吹式制粉系统
JP2009291692A (ja) バイオマス粉砕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
JP2005291539A (ja) バイオマス燃料の前処理及び混焼方法と装置
CN212408675U (zh) 一种新型污泥干化焚烧系统
JP2012083017A (ja) バイオマス粉砕装置及びバイオマス・石炭混焼システム
CN110404650B (zh) 一种安全、高效得制备褐煤的磨煤系统及其方法
JP2014037897A (ja) バイオマス供給装置及びボイラシステム
CN214916977U (zh) 一种块煤制粉干燥系统
WO2008120109A1 (en) Method and plant for manufacturing cement clinker
JP2008080206A (ja) 石炭−バイオマス混合粉砕装置及びそれを装備したボイラ装置
KR102286906B1 (ko)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의 보일러 연소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방법
JP2013088033A (ja) バイオマス前処理ユニット及びバイオマス・石炭混焼システム
CN203229504U (zh) 一种高水分褐煤磨煤与干燥装置
CN210711236U (zh) 一种污泥分级干化气化耦合燃煤发电系统
CN202132966U (zh) 烟气预干燥褐煤风扇磨直吹式制粉系统
CN207394874U (zh) 一种污泥协同焚烧处理系统
JP2012078017A (ja) バイオマス貯蔵ユニット及び前処理ユニット
JP2016118346A (ja) 微粉燃料製造装置
CN212293283U (zh) 一种高效防堵塞的气流床污泥干化焚烧系统
JP2012078019A (ja) バイオマス貯蔵ユニット及び前処理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