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627A -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627A
KR20210052627A KR1020190135463A KR20190135463A KR20210052627A KR 20210052627 A KR20210052627 A KR 20210052627A KR 1020190135463 A KR1020190135463 A KR 1020190135463A KR 20190135463 A KR20190135463 A KR 20190135463A KR 20210052627 A KR20210052627 A KR 20210052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esin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scratch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675B1 (ko
Inventor
손용재
이동현
정영욱
박기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19013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6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유동화제 및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특정 함량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유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scratch resistance and flowability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유동화제 및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특정 함량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유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 A와 포스겐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되고, 유리전이온도가 150℃ 부근인 범용 열가소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수치 안정성, 내열성 및 광학적 투명성을 갖는 수지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결정성으로 투명성을 가진다. 또한 내열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소재, 가전기기의 하우징, 자동차용 소재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형태와 컬러를 가진 제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는 수지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투명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외관 용도로 사용되기에 적절한 특성을 지닌다. 하지만 취약한 내스크레치성으로 인하여 사출공정 시 표면 손상이 쉽게 발생하여 제품의 불량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소비자가 실제로 제품 사용 중 표면에 손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진 물성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내스크래치성을 개선한 제품 개발 요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투명도 등과 같이 폴리카보네이트가 지닌 고유의 물성상 장점은 유지하면서,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C) 유동화제, 및 (D)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며,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이 18 내지 88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이 10 내지 78 중량부이며, 상기 유동화제의 함량이 0.1 내지 1.8 중량부이고,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량이 0.1 내지 9.5 중량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유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투명도는 유지하면서, 향상된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을 나타내어, 사출 가공 안정성이 우수하며, 후처리 코팅에 있어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C) 유동화제, 및 (D)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가 페놀, 카보네이트 전구체 및 분자량 조절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2가 페놀류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단량체이다.
Figure pat00001
상기에서, X는 알킬기, 설파이드, 에테르, 설폭사이드, 설폰, 케톤 등의 작용기들을 포함하는 경우 및 작용기가 전혀 없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X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더 바람직하게는 X는 1 내지 10개의 탄소를 함유하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1과 R2는 수소, 할로겐 원자,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를 나타낸다. 한편, n 및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일 수 있다. 여기서 n 및/또는 m이 0인 경우는, R1 및/또는 R2가 수소임을 의미한다.
상기 2가 페놀류의 비제한적인 예시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나프틸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4-이소부틸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에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페닐-1,1-비스(4-히드록시페닐) 에탄, 1-나프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2-비스(4-히드록시페닐) 에탄, 1,10-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2-메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등을 포함하며, 이 중 대표적인 것은 비스페놀 A이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또 다른 단량체로서, 포스겐(카보닐 클로라이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비제한적인 예시는 카보닐 브로마이드, 비스 할로 포르메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물질 즉,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에 사용되는 모노머와 유사한 단일작용성 물질(monofunctional compound)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페놀을 기본으로 하여 그 유도체들(예를 들면, 파라-이소프로필페놀, 파라-터트-부틸페놀, 파라-쿠밀페놀, 파라-이소옥틸페놀, 파라-이소노닐페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밖에 지방족 알콜류등 여러 종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중 파라-터트-부틸페놀(PTBP)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2가 페놀, 카보네이트 전구체(precursor), 분자량 조절제로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예를 들어,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화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 25℃,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에서 측정한 점도평균분자량(Mv)이 15,000 내지 4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7,000 내지 30,000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평균분자량이 15,000 미만일 경우, 충격강도와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고, 4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점도의 상승으로 수지의 가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충격강도와 인장강도 등 기계적 물성의 측면에서는 점도평균분자량이 2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공성의 측면에서는 점도평균분자량이 3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18 내지 88 중량부로 포함된다.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함량이 18 중량부 미만이면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나빠질 수 있고, 88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스크래치성이 나빠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함량은, 20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상 또는 4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86 중량부 이하, 84 중량부 이하, 82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하 또는 78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B) 폴리아릴레이트 (PAR) 수지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와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 화합물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카르복실레이트(aromatic dicarboxylat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1,5-디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1,5-dinaphthalenedicarboxylic acid, 1,5-NDCA), 2,6-디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2,6-dinaphthalenedicarboxylic acid, 2,6-NDCA),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은 2가 페놀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나프틸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4-이소부틸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에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페닐-1,1-비스(4-히드록시페닐) 에탄, 1-나프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2-비스(4-히드록시페닐) 에탄, 1,10-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2-메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25℃,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에서 측정한 점도평균분자량(Mv)은 15,000 내지 40,000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7,000 내지 3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가,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78 중량부로 포함된다.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내스크래치성이 나빠질 수 있고, 78 중량부를 초과하면 충격 강도 등 기계적 특성, 유동성, 투명성 등이 나빠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함량은, 12 중량부 이상, 14 중량부 이상, 16 중량부 이상, 18 중량부 이상 또는 2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76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하, 74 중량부 이하, 73 중량부 이하 또는 72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C) 유동화제
상기 유동화제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을 개선하여 사출 성형품의 표면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화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동화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유동화제로는 시트르산(citric acid)과 같은 1,2,3-트리카르복시산(tricarboxylic acid)계 유동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유동화제가,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된다.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유동화제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유동성이 나빠지고 내스크래치성도 나빠질 수 있으며, 78 중량부를 초과하면 인장 강도 등 기계적 특성이 나빠지고 내스크래치성 역시 나빠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상기 유동화제 함량은, 0.15 중량부 이상, 0.2 중량부 이상, 0.25 중량부 이상, 0.3 중량부 이상 또는 0.35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1.6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하, 1.2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하 또는 0.8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D)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서 가공 안정성과 경도 개선 등을 고려하여 사용되며, 난연제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로는 방향족 포스페이트, 지방족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임의의 모노포스페이트 화합물, 포스페이트 올리고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시판되는 PX-200, PX-201, PX-202, CR-733S, CR-741, CR747(이상 DAIHACHICHEMICAL INDUSTRY Co., Ltd.), FP-600, FP-700, FP-800(이상 ADEKA C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의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R15, R16, R17 및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롬)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8 알킬기; C1-C4 알킬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5-C6 사이클로알킬; C1-C4 알킬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 또는 C1-C4 알킬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르알킬기이고(여기서, 특히 바람직한 아릴기는 크레실, 페닐, 크실레닐, 프로필페닐 또는 부틸페닐, 이들의 상응하는 브롬화된 유도체 또는 염소화된 유도체이며);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며;
N은 평균 치로서 0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며;
X는 C6-C30의 단핵 방향족기 또는 다핵 방향족기이고, 이는 디페닐페놀, 비스페놀 A, 레소시놀 또는 하이드로퀴논, 또는 이들의 염소화된 또는 브롬화된 유도체에서 유도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의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에서,
R15, R16, R17 및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롬)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8 알킬기; C1-C4 알킬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5-C6 사이클로알킬; C1-C4 알킬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 또는 C1-C4 알킬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르알킬기이고(여기서, 특히 바람직한 아릴기는 크레실, 페닐, 크실레닐, 프로필페닐 또는 부틸페닐, 이들의 상응하는 브롬화된 유도체 또는 염소화된 유도체이며);
R19 및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4 알킬;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바람직하게는 메틸, 염소 또는 브롬이며);
Y는 C1-C7 알킬리덴, C1-C7 알킬렌, C5-C12 사이클로알킬렌, C5-C12 사이클로알킬리덴, -O-, -S-, -SO-, -SO2- 또는 -CO-를 나타내고(바람직하게는 C1-C7 알킬리덴 또는 C1-C7 알킬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리덴 또는 메틸렌이며);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며;
N은 평균 치로서 0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며;
a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낸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로는, 모노포스페이트(N=0), 올리고포스페이트(N=1~10 범위의 평균값) 또는 모노포스페이트 및 올리고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예는 레소시놀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비스페놀-A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레소시놀 비스(디 2,6-디메틸페닐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9.5 중량부로 포함된다.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내스크래치성이 나빠지고, 78 중량부를 초과하면 강도 등 기계적 특성 및 투명성이 나빠지고 내스크래치성 역시 나빠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함량은, 0.2 중량부 이상, 0.4 중량부 이상, 0.6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상 또는 1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9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1종 이상의 기타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용화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부 기준하여, 5 중량부까지, 예컨대, 약 0.1 내지 5 중량부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HB 이상(예컨대, HB 또는 F)의 연필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STM D1238에 따라 300℃에서 1.2㎏ 추를 사용하여 5분 동안 흘러나오는 수지의 양(g)(용융지수, MI)이 1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상기 성형품은,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A): 점도평균분자량이 17,000~30,000인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삼양사, TRIREX)
(B): 열변형 온도가 170℃ 이상이고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잔기 단위와 비스페놀 잔기 단위로 구성되어 있는 폴리아릴레이트(PAR) 수지
(C): 1,2,3-트리카르복시산(tricarboxylic acid)계 유동화제(헥사젠, SU-55)
(D):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화합물(다이하치 가가쿠, PX-200)
실시예 1~9 및 비교예 1~9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구성 성분을 텀블러 믹서로 10분 동안 혼합한 후, 이축(twin screw type) 압출기에 첨가하고, 실린더온도 260~280℃ 및 교반 속도 250 rpm 조건에서 용융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100~120℃에서 4시간 이상 건조한 후, 260~280℃의 사출기(제조사: LG전선, 제품명: LGH-200N)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아이조드 ( IZOD ) 충격 강도(단위: kgf ·cm/cm)
ASTM D256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거하여, 1/8" 두께의 아이조드 시편에 노치(Notch)를 만들어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단위: kgf / cm 2 )
ASTM D638 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거하여 50㎜/min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3)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단위: kgf / cm 2 )
ASTM D790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거하여, 2.8㎜/min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4) 연필경도
ASTM D3363에 준하여 23℃, 상대습도 50%에서 48시간동안 방치한 후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시편 표면에 3회씩 가하여 긁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시편 표면에 연필 긁힘 표시가 2회 이상 발생 시 연필경도 등급을 아래와 같이 분류하였다.
6B-5B-4B-3B-2B-B-HB-F-H-2H-3H-4H-5H-6H
(5) Rockwell 경도
ASTM D785에 준하여 M scale로 측정하였다.
(6) 유동성
ASTM D1238에 따라 300℃에서 1.2㎏ 추를 사용하여 5분 동안 흘러나오는 수지의 양(g)을 용융지수(MI)로 측정하였다.
(7) 투과도
흐림도계에서 ASTM 1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4
[표 2]
Figure pat00005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들은 모두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향상된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의 조성물들은 내스크래치성이 떨어졌거나(비교예 1, 2, 6, 7, 9), 유동성이 떨어졌거나(비교예 1, 3, 4, 5, 8), 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었거나(비교예 3, 4, 5, 7, 9), 투명성이 저하되는 등(비교예 3, 4, 5, 7), 실시예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열악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8)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C) 유동화제, 및 (D)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며,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이 18 내지 88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이 10 내지 78 중량부이며, 상기 유동화제의 함량이 0.1 내지 1.8 중량부이고,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량이 0.1 내지 9.5 중량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릴레이트 수지가 방향족 디카르복실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와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유동화제가 1,2,3-트리카르복시산계 유동화제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방향족 포스페이트, 지방족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HB 이상의 연필경도를 나타내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ASTM D1238에 따라 300℃에서 1.2㎏ 추를 사용하여 5분 동안 흘러나오는 수지의 양(g)(용융지수, MI)이 10 이상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190135463A 2019-10-29 2019-10-29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81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63A KR102281675B1 (ko) 2019-10-29 2019-10-29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63A KR102281675B1 (ko) 2019-10-29 2019-10-29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627A true KR20210052627A (ko) 2021-05-11
KR102281675B1 KR102281675B1 (ko) 2021-07-27

Family

ID=7591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463A KR102281675B1 (ko) 2019-10-29 2019-10-29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6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4050A1 (ja) * 2007-07-24 2009-01-29 Teijin Chemicals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20069865A (ko) * 2010-12-21 2012-06-29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JP2013155278A (ja) * 2012-01-30 2013-08-15 Orient Chemical Industries Co Ltd レーザー溶着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溶着体
JP5420834B2 (ja) * 2007-10-31 2014-02-19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ならびに複合成形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4050A1 (ja) * 2007-07-24 2009-01-29 Teijin Chemicals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5420834B2 (ja) * 2007-10-31 2014-02-19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ならびに複合成形体
KR20120069865A (ko) * 2010-12-21 2012-06-29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JP2013155278A (ja) * 2012-01-30 2013-08-15 Orient Chemical Industries Co Ltd レーザー溶着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溶着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675B1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7531B2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EP2324078A1 (en) A blend of aromatic polycarbonate and polylactic aci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 use thereof
JP4868650B2 (ja) ポリアリ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102522880B1 (ko) 3d 프린팅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필라멘트
KR20180078908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240320B1 (ko) 투명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10776728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由其形成的模制品
JPH1180529A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KR102281675B1 (ko)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0150470A (ja) 帯電防止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10150458A (ja) 分子量低下の少ない帯電防止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03030B1 (ko)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9062500A (ja) 流動性の改良された光反射性難燃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2251561B1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뛰어나고, 치수안정성 및 열노화 특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101161299B1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808298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31147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583064B1 (ko) 향상된 충격강도와 내화학성을 가지는 투명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561492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102474098B1 (ko) 외관, 표면 특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유리 섬유-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03031B1 (ko) 외관, 표면 특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유리 섬유-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7188539A (ja) 共重合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08115253A (ja) 帯電防止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2199984B1 (ko) 우수한 표면 특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JP387603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