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306A - Fxr 활성효과를 가지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Fxr 활성효과를 가지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306A
KR20210052306A KR1020200141027A KR20200141027A KR20210052306A KR 20210052306 A KR20210052306 A KR 20210052306A KR 1020200141027 A KR1020200141027 A KR 1020200141027A KR 20200141027 A KR20200141027 A KR 20200141027A KR 20210052306 A KR20210052306 A KR 20210052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carbon atoms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513B1 (ko
Inventor
곽재환
정영석
권도영
김민우
김소현
Original Assignee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5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 C07D26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5/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07C235/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35/3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5/3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lpha-amino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1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by formation of carboxamide groups together with reactions not involving the carbox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 C07D26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FXR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FXR 활성효과를 가지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synthesis method of new cinnamic amide derivatives having FXR receptor activating effect}
본 개시내용은 FXR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등은 공통된 체내 대사 조절의 이상에 의해 발생되는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라는 병적 상태를 이루는 요소들이다. 이 대사증후군은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위험성을 높이는데, 미국에서는 그 유병률이 23.7%에 이른다고 알려져 그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표된 바에 따르면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29% 정도이며, 주로 사회경제학적 상태가 낮을수록 더 흔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그 치료와 예방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핵수용체(nuclear receptor; NR)가 대사증후군의 병태 생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밝혀지면서, 핵수용체의 활성 조절 물질과 그 기전에 대한 연구 및 이를 통한 대사증후군의 신약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핵수용체는 일종의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로 리간드에 의해 리간드-수용체 반응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펩티드 리간드에 의해 반응하는 세포외 수용체와는 달리, 세포 내로 들어온 지용성 호르몬 혹은 리간드와 직접 결합하여 핵 안에 위치한 목표 유전자까지 이동하여 전사 기전을 조절, 해당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이 주된 작용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FXR (farnesoid X receptor)는 담즙산에 대한 핵수용체로 담즙의 장간순환계, 신장, 부신에 발현된다. FXR은 담즙산에 의해 활성화되면 DNA의 FXR response elements (FXREs)에 결합하여 특정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한다. 이 때 FXR은 단량체(monomer) 혹은 다른 핵수용체인 retinoid X receptor (RXR)와 이형중합체(heterodimer)를 형성하여 FXR/RXR 형태로 작용한다. 인체 내에서 FXR은 FXRα1, FXRα2, FXRα3, FXRα4의 네 가지 아형(isoform)으로 존재하는데, FXRα3, FXRα4는 각각 FXRβ1, FXRβ2로 불리기도 하며, FXRα2와 FXRβ2가 FXRα1, FXRβ1보다 FXREs에 더 잘 결합한다. 이들 FXR 아형들은 담즙산의 대사에 관여하며, 조직에 따라 그 발현 정도에 차이가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FXR에 의해 발현 유도되는 유전자들은 주로 담즙산을 분비하거나 phospholipid를 담즙으로 배출하는 단백(bile salt efflux pump, multidrug-resistance protein 2, 3), 혈액 내 HDL에서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는 단백(phospholipid transfer protein)의 발현에 관여한다. 간접적으로는 담즙산 생성의 속도결정단계 효소인 CYP7A1를 음성 피드백을 통해 억제한다. FXR 결핍 쥐는 혈중 담즙산 농도가 증가하고 전체 담즙산의 양이 증가하며 대변으로의 담즙산 배출이 증가한다. 이는 간에서 담즙산이 생성되는 기전을 억제하는 피드백 기전이 손상되면서 담즙산의 생성과 배설의 균형이 무너진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증가시키면서 HDL의 분해를 억제하여 HDL 농도 역시 상승시킨다. 따라서 FXR 작용제를 투여하면 간과 혈청에서 중성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FXR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면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 포도당 대사를 정상화할 수 있고, 간세포를 보호하거나 재생시킬 수 있고, 장내에서는 박테리아 증식을 감소시키고 종양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발표되었다.
따라서 간, 장 및 대사질환의 관리를 위한 FXR의 조절할 수 있는 FXR 작용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GW4064는 FXR 작용제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만 보다 우수한 선도물질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다양한 작용기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는 등 구조의 다양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은 FXR 작용을 활성화시켜 에너지 항상성의 유지와 담즙산, 지질 및 포도당대사를 조절하여 대사성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과 이에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하기 화학식 1의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수산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6개의 알코올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아민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40의 시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3 내지 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구체예에 따른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이를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제시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따른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이를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은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동맥경화, 심뇌혈관 질환 등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이를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은 간질환[비알코올성지방간(NASH), 비알코올성지방간(NSFLD)], 폐질환[비소세포성 폐암(NSCLC)], 유방암, 허혈 재관류 손상 등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제시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따른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이를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은 FXR을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가 FXR 활성효과를 FXR 작용제인 GW4064와 비교데이터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가 제조되는 일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3 내지 8은 본 개시내용에 의해 합성된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기술적 특징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달리 명시하지 않았더라도, 본 개시내용에 사용된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마다 “약”이란 용어가 수식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식어 “약”은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대략적으로의 의미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수식된 값의 특정 퍼센트 이내의 의미로서 더욱 정확하게 해석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10%, ±5%, ±2% 또는 ±1% 또는 그 미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용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용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해되거나 습득될 수 있는 범주로 정의될 수 있다.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화수소에서 유래되는 체인형 또는 고리형(시클로) 그룹을 의미할 수 있으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탄소수 1 내지 6인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Me, -CH3), 에틸(Et, -CH2CH3), 1-프로필(n-Pr, n-프로필, -CH2CH2CH3), 2-프로필(i-Pr, i-프로필, -CH(CH3)2), 고리형프로필(cyclopropyl, -CH2CH2CH2-), -1-부틸(n-Bu, n-부틸, -CH2CH2CH2CH3), 2-메틸-1-프로필(i-Bu, i-부틸, -CH2CH(CH3)2), 2-부틸(s-Bu, s-부틸, -CH(CH3)CH2CH3), 2-메틸-2-프로필(t-Bu, t-부틸, -C(CH3)3), 고리형부틸(cyclobutyl, -CH2CH2CH2CH2-), 1-펜틸(n-펜틸, -CH2CH2CH2CH2CH3), 2-펜틸(-CH(CH3)CH2CH2CH3), 3-펜틸(-CH(CH2CH3)2), 2-메틸-2-부틸(-C(CH3)2CH2CH3), 3-메틸-2-부틸(-CH(CH3)CH(CH3)2), 3-메틸-1-부틸(-CH2CH2CH(CH3)2), 2-메틸-1-부틸(-CH2CH(CH3)CH2CH3), 고리형펜틸(Cyclopentyl, -CH2CH2CH2CH2CH2-), 1-헥실(-CH2CH2CH2CH2CH2CH3), 2-헥실(-CH(CH3)CH2CH2CH2CH3),3-헥실(-CH(CH2CH3)(CH2CH2CH3)), 2-메틸-2-펜틸(-C(CH3)2CH2CH2CH3), 3-메틸-2-펜틸(-CH(CH3)CH(CH3)CH2CH3), 4-메틸-2-펜틸(-CH(CH3)CH2CH(CH3)2), 3-메틸-3-펜틸(-C(CH3)(CH2CH3)2), 2-메틸-3-펜틸(-CH(CH2CH3)CH(CH3)2), 2,3-디메틸-2-부틸(-C(CH3)2CH(CH3)2) 및 3,3-디메틸-2-부틸(-CH(CH3)C(CH3)3, 고리형헥실(Cyclohexyl, -CH2CH2CH2CH2CH2-)이 있지만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내용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콕시기”는 -O-알킬기를 갖는 1가의 그룹으로서,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알킬기에 대해서는 앞서 정의한 알킬기를 모두 포함하며, 알킬기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릴기”는 단독 고리 또는 2 이상의 고리가 조합된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래된 1가의 그룹을 의미할 수 있으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고, 2 이상의 고리가 서로 단순 부착되거나 축합된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릴기의 예로, 페닐, 나프틸, 페난트릴, 안트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테로아릴기”는 포화고리, 불포화고리 및 방향족 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가 헤테로 원자(예를 들면, N, O 또는 S)로 치환되어 고리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헤테로고리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고, 이의 예로서 피롤, 피라졸, 이미다졸, 1,2,3-트리아졸, 1,2,4-트리아졸, 테트라졸,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트리아지닐과 같은 6원 모노사이클릭 고리; 페녹사티에닐(phenoxathienyl), 인돌리지닐(indolizinyl), 인돌릴(indolyl), 퓨리닐(purinyl), 퀴놀릴(quinolyl), 벤조티아졸(benzothiazole), 카바졸릴(carbazolyl)과 같은 폴리사이클릭 고리; 및 2-퓨라닐, N-이미다졸릴, 2-이속사졸릴, 2-피리디닐, 2-피리미디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보닐기”는 탄소와 산소의 이중결합을 가진 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의미할 수 있으며, 케톤기, 알데하이드기, 카복실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복실기”는 중심 탄소 원자에 산소원자가 이중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카보닐기와 하나의 산소원자가 더 결합된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탄소와 산소의 남은 결합위치에는 다양한 치환기가 올 수 있다.
“할로겐”은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의 예로서 불소, 브롬, 염소 또는 요오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반식에서 통상 X로 표시할 수 있다.
“알칼리”는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금속원자 또는 치환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의 예로서 리튬, 나트륨, 칼륨, 세슘, 루비듐 또는 프랑슘을 들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정의되지 않는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이고 상식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대사증후군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수산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6개의 알코올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아민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40의 시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3 내지 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의 이중결합은 trans-form 또는 cis-form일 수 있고, 또는 E-form 또는 Z-form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R1 및/또는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산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에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긴, 글루탐산, 글루타민,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또는 프롤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과 50%, 60%, 70%, 80%, 90%, 95% 및 99% 중 선택되는 한 개의 수치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은 C말단에서 에스터결합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말단에서 에스터결합하는 치환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6개의 알코올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아민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40의 시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3 내지 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C말단에서 에스터결합하는 치환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산소수 1 내지 6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일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에서
Figure pat00003
는 벤젠고리에 치환되는 치환기와 치환위치, 치환개수를 특정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at00004
는 R3가 2번, 3번, 4번, 5번 및 6번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치환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Figure pat00005
는 R3로 일괄적으로 표시했으나 서로 다른 R3로 표시되는 복수개의 치환기가 서로 다른 위치에 치환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3는 서로 다른 치환기인 R3’, R3’’, R3’’’, R3’’’’, R3’’’’’ 중 적어도 2개로 확장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치환기가 2번, 3번, 4번, 5번 및 6번 위치 중 적어도 2개의 위치에 치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산소수 1 내지 6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티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파이롤,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하이드로파이롤, 치환 또는 비치환된 파이롤리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하이드로피라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리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하이드로트리아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리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리딘,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하이드로이소옥소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퓨란,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하이드로퓨란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알킬옥시기, 카보닐기, 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알코올기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이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3는 수소, 수산화기, 할로겐기, 아민기,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및 핵원자수 5 내지 30인 헤테로아릴기가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benzyl) 또는 벤조일기(benzoyl)일 수 있고, 벤질기 또는 벤조일기에 치환된 치환기는 할로겐기(X), 니트로기(-NO2), 페닐기(-Ph),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O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치환된 위치는 2, 3, 4, 5 및 6번 위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대사증후군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2의 R2,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수산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6개의 알코올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아민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40의 시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3 내지 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3의 이중결합은 trans-form 또는 cis-form일 수 있고, 또는 E-form 또는 Z-form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2의 R2는 수소 또는 수산화기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화학식 2의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산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에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긴, 글루탐산, 글루타민,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또는 프롤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과 50%, 60%, 70%, 80%, 90%, 95% 및 99% 중 선택되는 한 개의 수치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은 C말단에서 에스터결합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말단에서 에스터결합하는 치환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6개의 알코올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아민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40의 시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3 내지 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의 R7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산소수 1 내지 6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의하면,
화학식 2의 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산소수 1 내지 6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의 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티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인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의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파이롤,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하이드로파이롤, 치환 또는 비치환된 파이롤리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하이드로피라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리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하이드로트리아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리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리딘,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하이드로이소옥소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퓨란,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하이드로퓨란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아릴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알킬옥시기, 카보닐기, 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알코올기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2의 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이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소, 수산화기, 할로겐기, 아민기,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및 핵원자수 5 내지 30인 헤테로아릴기가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2의 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benzyl) 또는 벤조일기(benzoyl)일 수 있고, 벤질기 또는 벤조일기에 치환된 치환기는 할로겐기(X), 니트로기(-NO2), 페닐기(-Ph),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O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치환된 위치는 2, 3, 4, 5 및 6번 위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2의 R6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아마이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2의 R7은 수산화기, 티올기, 아민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대사증후군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7
화학식 3의 R1, R2, R4, R5,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수산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6개의 알코올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아민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40의 시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3 내지 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2의 이중결합은 trans-form 또는 cis-form일 수 있고, 또는 E-form 또는 Z-form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R1 및/또는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산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에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긴, 글루탐산, 글루타민,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또는 프롤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과 50%, 60%, 70%, 80%, 90%, 95% 및 99% 중 선택되는 한 개의 수치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은 C말단에서 에스터결합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말단에서 에스터결합하는 치환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6개의 알코올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아민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40의 시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3 내지 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3의 R8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일 수 있다. 상기 R8에 치환되는 치환기는 할로겐기(X), 니트로기(-NO2), 페닐기(-Ph),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O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또는 핵원자수 6 내지 10의 헤테로아릴기일 수 있고, 치환된 위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의하면, 화학식 3의 R9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산소수 1 내지 6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아민기, 핵원자수 5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9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R9는 메틸(Me, -CH3), 에틸(Et, -CH2CH3), 1-프로필(n-Pr, n-프로필, -CH2CH2CH3), 2-프로필(i-Pr, i-프로필, -CH(CH3)2), 1-부틸(n-Bu, n-부틸, -CH2CH2CH2CH3), 2-메틸-1-프로필(i-Bu, i-부틸, -CH2CH(CH3)2), 2-부틸(s-Bu, s-부틸, -CH(CH3)CH2CH3), 2-메틸-2-프로필(t-Bu, t-부틸, -C(CH3)3), 1-펜틸(n-펜틸, -CH2CH2CH2CH2CH3), 2-펜틸(-CH(CH3)CH2CH2CH3), 3-펜틸(-CH(CH2CH3)2), 2-메틸-2-부틸(-C(CH3)2CH2CH3), 3-메틸-2-부틸(-CH(CH3)CH(CH3)2), 3-메틸-1-부틸(-CH2CH2CH(CH3)2), 2-메틸-1-부틸(-CH2CH(CH3)CH2CH3), 1-헥실(-CH2CH2CH2CH2CH2CH3), 2-헥실(-CH(CH3)CH2CH2CH2CH3),3-헥실(-CH(CH2CH3)(CH2CH2CH3)), 2-메틸-2-펜틸(-C(CH3)2CH2CH2CH3), 3-메틸-2-펜틸(-CH(CH3)CH(CH3)CH2CH3), 4-메틸-2-펜틸(-CH(CH3)CH2CH(CH3)2), 3-메틸-3-펜틸(-C(CH3)(CH2CH3)2), 2-메틸-3-펜틸(-CH(CH2CH3)CH(CH3)2), 2,3-디메틸-2-부틸(-C(CH3)2CH(CH3)2) 및 3,3-디메틸-2-부틸(-CH(CH3)C(CH3)3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대사증후군은 예를 들어,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동맥경화, 심뇌혈관 질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동맥경화, 심뇌혈관 질환, 간질환[비알코올성지방간(NASH),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 폐질환[비소세포성 폐암(NSCLC)], 유방암 및 허혈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본 개시내용의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간질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간암, 간염, 간섬유화증, 간경변, 지방간, 황달, 간부전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담즙정체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FXR 수용체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대사증후군이 발병할 수 있는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체는 동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동물은 인간,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원숭이 또는 고양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분말,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n중정(n은 2, 3 또는 4), 구강붕해정, 설하정 또는 필름정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또는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또는 보존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 내, 근육 내, 동맥 내, 골수 내, 경막 내, 심장 내, 경피, 피하, 복강 내, 비강 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에서,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회당 본 개시내용의 약학적 조성물을 유효한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유효한 양"은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경우 본 개시내용의 목적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 유효한 양은 본 개시내용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선택되는 세포 또는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사용된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효한 양은 0.000001 mg, 0.00001 mg, 0.00005 mg, 0.0001mg, 0.0002 mg, 0.0003 mg, 0.0005 mg, 0.001 mg, 0.002 mg, 0.003 mg, 0.005 mg, 0.01 mg, 0.02 mg, 0.03 mg, 0.04 mg, 0.05 mg, 0.07 mg, 0.1 mg, 0.2 mg, 0.3 mg, 0.4 mg, 0.5 mg, 0.6 mg, 0.7 mg, 0.8 mg, 0.9 mg, 1 mg, 2 mg, 3 mg, 4 mg, 5 mg, 6 mg, 7 mg, 8 mg, 9 mg, 10 mg, 15 mg, 20 mg, 30 mg, 40 mg, 50 mg, 60 mg, 70 mg, 80 mg, 90 mg, 100 mg, 200 mg, 300 mg, 400 mg, 500 mg, 600 mg, 700 mg, 800 mg, 900 mg, 1000 mg, 1500 mg, 2000 mg, 3000 mg, 5000 mg 및 10000 mg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개의 값으로 표시되는 수치범위의 양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 기준으로 0.001 mg/kg, 0.002 mg/kg, 0.003 mg/kg, 0.004 mg/kg, 0.005 mg/kg, 0.006 mg/kg, 0.007 mg/kg, 0.008 mg/kg, 0.009 mg/kg, 0.01 mg/kg, 0.02 mg/kg, 0.03 mg/kg, 0.04 mg/kg, 0.05 mg/kg, 0.06 mg/kg, 0.07 mg/kg, 0.08 mg/kg, 0.09 mg/kg, 0.1 mg/kg, 0.2 mg/kg, 0.3 mg/kg, 0.4 mg/kg, 0.5 mg/kg, 0.6 mg/kg, 0.7 mg/kg, 0.8 mg/kg, 0.9 mg/kg, 1.0 mg/kg, 1.5 mg/kg, 2.0 mg/kg, 2.5 mg/kg, 3.0 mg/kg, 3.5 mg/kg, 4.0 mg/kg, 4.5 mg/kg, 5.0 mg/kg, 10 mg/kg, 15 mg/kg, 20 mg/kg, 30 mg/kg, 40 mg/kg, 50 mg/kg, 60 mg/kg, 70 mg/kg, 80 mg/kg, 90 mg/kg, 100 mg/kg, 500 mg/kg 및 1000 mg/kg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개의 수치범위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투여횟수는 1 일 1회, 1 일 다회, 1주 1, 2, 3, 4, 5 및/또는 6회, 1달 1, 2, 3 및/또는 4회 또는 1년 1 내지 12회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사증후군에 대한 다른 약학적 조성물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약학적 조성물 등’이라 함은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동맥경화, 심뇌혈관 질환, 간질환[비알코올성지방간(NASH),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 폐질환[비소세포성 폐암(NSCLC)], 유방암 및 허혈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생약추출물이나 그 분획물 또는 약제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다른 약학적 조성물 등’이라 함은 간질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간암, 간염, 간섬유화증, 간경변, 지방간, 황달, 간부전에 대한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생약추출물이나 그 분획물 또는 약제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다른 약학적 조성물 등’이라 함은 FXR을 활성화시키는 조성물, 생약추출물이나 그 분획물 또는 약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약학적 조성물과 다른 약학적 조성물 등은 유효성분에 대한 비율로 예를 들어 1 : 약 0.001 내지 100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 : 약 0.01 내지 100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1 : 약 0.1 내지 10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혹은 다른 약학적 조성물 등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혹은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기타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당뇨병에 대한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는 설폰요소제, 바이구아나이드계 당뇨병 치료제,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 티아졸리딘디온계 당뇨병 치료제, 메글리티나이드계 당뇨병 치료제, DPP-4 억제제, SGLT-2 억제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만에 대한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는 지방흡수억제제, 식욕억제제, 대사촉진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혈압에 대한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는 베타-차단제, 이뇨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Ⅱ receptor blocker), 칼슘채널 차단제, 알파-차단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지혈증 치료제에는 스타틴제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심뇌혈관 질환에 대한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는 항혈소판제, 와파린제제, 비-비타민K 길항제 항응고제 등이 있다.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의 합성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는 제1반응물 및 제2반응물의 반응으로 생성될
제1반응물
본 개시내용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제1반응물은 쿠마릭산일 수 있다. 상기 쿠마릭산은 파라-, 메타- 및/또는 올쏘-쿠마릭산일 수 있다. 상기 쿠마릭산은 trans-form 및/또는 cis-form일 수 있으며, E-form 및/또는 Z-form일 수 있다.
제2반응물
본 개시내용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제2반응물은 아미노산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있는 유기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에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긴, 글루탐산, 글루타민,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및 프롤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미노산은 카르복실기 말단에 치환기가 에스터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3반응물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제3반응물은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8
[화학식 5]
Figure pat00009
화학식 4 및/또는 화학식 5의 R8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일 수 있고, 상기 R9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산소수 1 내지 6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아민기, 핵원자수 5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R10은 치환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탈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10은 할로겐기, 파라톨루엔술포네이트기 또는 메탄술포네이트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로겐기로는 불소(-F), 염소(-Cl), 브롬(-Br), 요오드(-I)일 수 있다.
화학식 5의 R1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benzyl) 또는 벤조일기(benzoyl)일 수 있고, 벤질기 또는 벤조일기에 치환된 치환기는 할로겐기(X), 니트로기(-NO2), 페닐기(-Ph),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O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치환된 위치는 2, 3, 4, 5 및 6번 위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계
상기 제1반응물, 제2반응물, 반응첨가제인 트리알킬아민,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등과 같은 펩타이드 커플링 시약들이 첨가되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아마이드 커플링 반응일 수 있다.
각 반응물과 반응첨가제가 첨가되는 양은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10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5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3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2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1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5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3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2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1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10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1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5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3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2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1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10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5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3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1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5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3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2당량일 수 있다.
상기 반응매질은 반응이 이루어지는 온도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액체 반응매질인 용매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용매는 1,4-디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톨루엔, 벤젠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용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용매는 비극성용매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반응물의 이온성 특징으로 높은 선택성과 높은 수율을 확보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극성 용매는 반응물과 전하결합을 이루어 이온성 특징을 상쇄시켜 선택성과 수율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1℃, 2℃, 3℃, 4℃, 5℃, 6℃, 7℃, 8℃, 9℃,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300℃, 400℃ 및 50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온도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0.5분, 1분, 3분, 5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35분, 40분, 45분, 50분, 60분, 70분, 80분, 90분, 100분, 150분, 200분, 250분, 300분, 350분, 400분, 450분, 500분, 600분, 700분, 800분, 900분, 1000분 및 2000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값의 사이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단계
제1단계에서 생성되는 반응중간체와 제3반응물, 반응첨가제인 탄산칼륨,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가 첨가되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Sn2 반응일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반응물과 반응첨가제의 양은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10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5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3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2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1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5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3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2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1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10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1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5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3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2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1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10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5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3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1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5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3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2당량일 수 있다.
상기 반응매질은 반응이 이루어지는 온도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액체 반응매질인 용매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용매는 1,4-디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톨루엔, 벤젠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용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용매는 비극성용매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반응물의 이온성 특징으로 높은 선택성과 높은 수율을 확보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극성 용매는 반응물과 전하결합을 이루어 이온성 특징을 상쇄시켜 선택성과 수율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1℃, 2℃, 3℃, 4℃, 5℃, 6℃, 7℃, 8℃, 9℃,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300℃, 400℃ 및 50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온도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0.5분, 1분, 3분, 5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35분, 40분, 45분, 50분, 60분, 70분, 80분, 90분, 100분, 150분, 200분, 250분, 300분, 350분, 400분, 450분, 500분, 600분, 700분, 800분, 900분, 1000분 및 2000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값의 사이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제3단계
제3단계는 선택적인 단계일 수 있다.
제2단계에서 생성된 반응중간체의 카르복실기 말단을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단계에서 생성된 반응중간체에 반응첨가제인 수산화리튬과 같은 염기들을 첨가하여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반응물과 반응첨가제의 양은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10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5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3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2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1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5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3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2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1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10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1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5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3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2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1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10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5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3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10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5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3당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2당량일 수 있다.
상기 반응은 1℃, 2℃, 3℃, 4℃, 5℃, 6℃, 7℃, 8℃, 9℃,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300℃, 400℃ 및 50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온도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0.5분, 1분, 3분, 5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35분, 40분, 45분, 50분, 60분, 70분, 80분, 90분, 100분, 150분, 200분, 250분, 300분, 350분, 400분, 450분, 500분, 600분, 700분, 800분, 900분, 1000분 및 2000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값의 사이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개시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개시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합성방법
파라-쿠마릴산(para-coumaric acid)와 글라이신 에틸 에스터를 건조 다이클로로메탄 용매에 녹이고 EDC, HOBt, TEA 존재하에서 EDC-mediated 아마이드 커플링 반응을 시켜, 아마이드 반응중간체를 생성하고, 이를 치환된 벤질 할라이드를 아세톤 용매에서 K2CO3, TBAI 존재하에서 Sn2 반응을 시켜 화합물을 생성한다. 또한 LiOH로 가수분해시켜 에스터 결합을 제거하여 화합물을 생성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10
이에 의하면 화학식 6 및 표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생성된다.
[화학식 6]
Figure pat00011
Entry Name R R' R'' Yield
KS-001 ethyl (E)-(3-(4-hydroxyphenyl)acryloyl)glycinate H Et H 60%
KS-002 ethyl (E)-(3-(4-(benzyloxy)phenyl)acryloyl)glycinate Bn Et H 79%
KS-003 ethyl (E)-(3-(4-((4-(trifluoromethoxy)benzyl)oxy)phenyl)acryloyl)glycinate 4-OCF3-Bn Et H 73%
KS-004 ethyl (E)-(3-(4-([1,1'-biphenyl]-4-ylmethoxy)phenyl)acryloyl)glycinate 4-Ph-Bn Et H 37%
KS-005 ethyl (E)-(3-(4-((4-fluorobenzyl)oxy)phenyl)acryloyl)glycinate 4-F-Bn Et H 52%
KS-006 ethyl (E)-(3-(4-((4-nitrobenzyl)oxy)phenyl)acryloyl)glycinate 4-NO2-Bn Et H 46%
KS-007 ethyl (E)-(3-(4-((3-(trifluoromethoxy)benzyl)oxy)phenyl)acryloyl)glycinate 3-OCF3-Bn Et H 64%
KS-008 ethyl (E)-(3-(4-((3-nitrobenzyl)oxy)phenyl)acryloyl)glycinate 3-NO2-Bn Et H 52%
KS-009 ethyl (E)-(3-(4-((2,4,5-trifluorobenzyl)oxy)phenyl)acryloyl)glycinate 2,4,5-triflouoro-Bn Et H 81%
KS-013 (E)-(3-(4-hydroxyphenyl)acryloyl)glycine H H H 90%
KS-014 (E)-(3-(4-(benzyloxy)phenyl)acryloyl)glycine Bn H H 92%
KS-015 (E)-(3-(4-((4-(trifluoromethoxy)benzyl)oxy)phenyl)acryloyl)glycine 4-OCF3-Bn H H 38%
KS-016 (E)-(3-(4-([1,1'-biphenyl]-4-ylmethoxy)phenyl)acryloyl)glycine 4-Ph-Bn H H 96%
KS-017 (E)-(3-(4-((4-fluorobenzyl)oxy)phenyl)acryloyl)glycine 4-F-Bn H H 76%
KS-018 (E)-(3-(4-((4-nitrobenzyl)oxy)phenyl)acryloyl)glycine 4-NO2-Bn H H 78%
KS-019 (E)-(3-(4-((3-(trifluoromethoxy)benzyl)oxy)phenyl)acryloyl)glycine 3-OCF3-Bn H H 98%
KS-020 (E)-(3-(4-((3-nitrobenzyl)oxy)phenyl)acryloyl)glycine 3-NO2-Bn H H 98%
KS-021 (E)-(3-(4-((2,4,5-trifluorobenzyl)oxy)phenyl)acryloyl)glycine 2,4,5-triflouoro-Bn H H 90%
파라-쿠마릴산(para-coumaric acid)와 아미노산 에스터를 건조 다이클로로메탄 용매에 녹이고 EDC, HOBt, TEA 존재하에서 EDC-mediated 아마이드 커플링 반응을 시켜, 아마이드 반응중간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반응중간체와 치환된 이소옥사졸을 아세톤 용매에서 K2CO3, TBAI 존재하에서 Sn2 반응을 시켜 화합물을 생성한다. 또한 LiOH로 가수분해시켜 에스터 결합을 제거하여 화합물을 생성한다.
[반응식 2]
Figure pat00012
이에 의하면 화학식 6 및 표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생성된다.
[화학식 6]
Figure pat00013
Entry Name R R' R'' Yield
KS-010 ethyl (E)-(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glycinat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methyl Et H 71%
KS-011 ethyl (E)-(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glycinat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methyl Et H 86%
KS-012 ethyl (E)-(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glycinate 3-phenyl-5-methyl-isoxazol-4-methyl Et H 75%
KS-022 (E)-(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glycin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methyl H H 88%
KS-023 (E)-(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glycin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methyl H H 93%
KS-024 (E)-(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glycine 3-phenyl-5-methyl-isoxazol-4-methyl H H 96%
KS-025 ethyl (E)-(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alaninat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e Et Me 79%
KS-026 ethyl (E)-(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alaninat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e Et Me 74%
KS-027 ethyl (E)-(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alaninate 3-phenyl-5-methyl-isoxazole Et Me 62%
KS-028 (E)-(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alanin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e H Me 95%
KS-029 (E)-(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alanin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e H Me 77%
KS-030 (E)-(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alanine 3-phenyl-5-methyl-isoxazole H Me 63%
KS-031 ethyl (E)-(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alanin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e Et i-pr 80%
KS-032 ethyl (E)-(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valinat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e Et i-pr 78%
KS-033 ethyl (E)-(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valinate 3-phenyl-5-methyl-isoxazole Et i-pr 89%
KS-034 (E)-(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valin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e H i-pr 90%
KS-035 (E)-(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valin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e H i-pr 50%
KS-036 (E)-(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valine 3-phenyl-5-methyl-isoxazole H i-pr 96%
KS-037 methyl (E)-(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
-yl)methoxy)phenyl)acryloyl)-L-phenylalaninat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e Me Bn 73%
KS-038 methyl (E)-(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
-yl)methoxy)phenyl)acryloyl)-L-phenylalaninat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e Me Bn 54%
KS-039 methyl (E)-(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
-phenylalaninate
3-phenyl-5-methyl-isoxazole Me Bn 83%
KS-040 (E)-(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phenylalanin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e H Bn 98%
KS-041 (E)-(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phenylalanin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e H Bn 72%
KS-042 (E)-(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L-phenylalanine 3-phenyl-5-methyl-isoxazole H Bn 83%
KS-043 methyl (E)-3-(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
-yl)methoxy)phenyl)acrylamido)propanoat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e Me H 75%
KS-044 methyl (E)-3-(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
-yl)methoxy)phenyl)acrylamido)propanoat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e Me H 78%
KS-045 methyl (E)-3-(3-(4-((5-methyl-3-phenylisoxazol-4
-yl)methoxy)phenyl)acrylamido)propanoate
3-phenyl-5-methyl-isoxazole Me H 78%
KS-046 (E)-3-(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amido)propanoic acid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e H H 96%
KS-047 (E)-3-(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amido)propanoic acid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e H H 87%
KS-048 (E)-3-(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amido)propanoic acid 3-phenyl-5-methyl-isoxazole H H 82%
KS-049 methyl (E)-(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
-yl)methoxy)phenyl)acryloyl)-D-alaninat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e Me Me 71%
KS-050 methyl (E)-(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D-alaninat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e Me Me 69%
KS-051 methyl (E)-(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D-alaninate 3-phenyl-5-methyl-isoxazole Me Me 83%
KS-052 (E)-(3-(4-((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D-alanine 3-(2,6-dichlorophenyl)-5-isopropyl-isoxazole H Me 96%
KS-053 (E)-(3-(4-((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D-alanine 3-(2,6-dichlorophenyl)-5-methyl-isoxazole H Me 97%
KS-054 (E)-(3-(4-((5-methyl-3-phenylisoxazol-4-yl)methoxy)phenyl)acryloyl)-D-alanine 3-phenyl-5-methyl-isoxazole H Me 99%
각 유도체에 대한 분석데이터는 표 3과 같다.
KS-001
1H NMR (400 MHz, CD3OD) δ 7.48 (d, J = 15.7 Hz, 1H), 7.41 (d, J = 8.4 Hz, 2H), 6.79 (d, J = 8.6 Hz, 2H), 6.47 (d, J = 15.7 Hz, 1H), 4.19 (q, J = 7.1 Hz, 2H), 4.03 (s, 2H), 1.26 (t, J = 7.1 Hz, 3H).
KS-002
1H NMR (400 MHz, CD3OD) δ 7.49 (m, 3H), 7.41 (d, J = 7.4 Hz, 2H), 7.35 (t, J = 7.3 Hz, 2H), 7.29 (d, J = 7.2 Hz, 1H), 6.99 (d, J = 8.8 Hz, 2H), 6.51 (d, J = 15.8 Hz, 1H), 5.09 (s, 2H), 4.17 (q, J = 7.1 Hz, 2H), 4.01 (s, 2H), 1.25 (t, J = 7.1 Hz, 3H).
KS-003
1H NMR (400 MHz, CD3OD) δ 7.52 (m, 5H), 7.27 (d, J = 8.8 Hz, 2H), 7.01 (d, J = 8.8 Hz, 2H), 6.52 (d, J = 15.8 Hz, 1H), 5.13 (s, 2H), 4.18 (q, J = 7.1 Hz, 2H), 4.02 (s, 2H), 1.26 (t, J = 7.1 Hz, 3H).
KS-004
1H NMR (400 MHz, CDCl3) δ 7.61 (m, 5H), 7.47 (m, 6H), 7.36 (t, 1H), 6.99 (d, J = 8.53 Hz, 2H), 6.34 (d, J = 15.6 Hz, 1H) , 6.10 (t, J = 4.8 Hz, 1H) 5.13 (s, 2H), 4.25 (q, J = 7.1 Hz, 2H), 4.17(d, J = 4.9 Hz, 2H), 1.31 (t, J = 7.1 Hz, 3H)
KS-005
1H NMR (400 MHz, CDCl3) δ 7.60 (d, J = 15.6 Hz, 1H), 7.46 (d, J = 8.7 Hz, 2H), 7.40 (dd, J = 8.5, 5.4 Hz, 2H), 7.08 (t, J = 8.7 Hz, 2H), 6.95 (d, J = 8.7 Hz, 2H), 6.34 (d, J = 15.6 Hz, 1H), 6.10 (s, 1H), 5.04 (s, 2H), 4.25 (q, J = 7.1 Hz, 2H), 4.17 (d, J = 5.0 Hz, 2H), 1.31 (t, J = 7.1 Hz, 3H).
KS-006
1H NMR (400 MHz, CDCl3) δ 8.26 (d, J = 8.8 Hz, 2H), 7.61 (m, 3H), 7.48 (d, J = 8.8 Hz, 2H), 6.96 (d, J = 8.8 Hz, 2H), 6.35 (d, J = 15.6 Hz, 1H), 6.09 (t, J = 4.9 Hz, 1H), 5.20 (s, 2H), 4.25 (q, J = 7.1 Hz, 2H), 4.15 (d, J = 5.1 Hz, 2H), 1.28 (t, J = 7.1 Hz, 3H).
KS-007
1H NMR (400 MHz, CDCl3) δ 7.61 (d, J = 15.6 Hz, 1H), 7.47 (d, J = 8.7 Hz, 2H), 7.42 (t, J = 7.8 Hz, 1H), 7.35 (d, J = 7.8 Hz, 1H), 7.30 (s, 1H), 7.19 (d, J = 7.8 Hz, 1H), 6.96 (d, J = 8.7 Hz, 2H), 6.34 (d, J = 15.6 Hz, 1H, ), 6.10 (t, J = 4.9 Hz, 1H), 5.10 (s, 2H), 4.25 (q, J = 7.2 Hz, 2H), 4.17 (d, J = 5.1 Hz, 2H), 1.31 (t, J = 7.1 Hz, 3H).
KS-008
1H NMR (400 MHz, CDCl3) δ 8.32 (s, 1H), 8.19 (m, 1H), 7.76 (d, J = 7.6 Hz, 1H), 7.59, (m, 2H), 7.46 (d, J = 8.8 Hz, 2H), 6.96 (d, J = 8.7 Hz, 2H), 6.36 (d, J = 15.6 Hz, 1H), 6.20 (t, J = 4.8 Hz, 1H ), 5.17 (s, 2H), 4.24 (q, J = 7.1 Hz, 2H), 4.17 (d, J = 5.1 Hz, 2H), 1.30 (t, J = 7.1 Hz, 3H).
KS-009
1H NMR (400 MHz, CDCl3) δ 7.60 (d, J = 15.6 Hz, 1H), 7.47 (d, J = 8.7 Hz, 2H), 7.34 (m, 1H), 6.96 (m, 3H), 6.35 (d, J = 15.6 Hz, 1H), 6.17 (t, J = 4.8 Hz, 1H), 5.08 (s, 2H), 4.25 (q, J = 7.1 Hz, 2H), 4.17 (d, J = 5.1 Hz, 2H), 1.30 (t, J = 7.1 Hz, 3H).
KS-010
1H NMR (400 MHz, CD3OD) δ 7.45 (m, 6H), 6.77 (d, J = 8.8 Hz, 2H), 6.48 (d, J = 15.7 Hz, 1H), 4.82 (s, 2H), 4.17 (q, J = 7.1 Hz, 2H), 4.01 (s, 2H), 3.39 (h, J = 6.9 Hz, 1H), 1.39 (d, J = 7.0 Hz, 6H), 1.25 (t, J = 7.1 Hz, 3H)
KS-011
1H NMR (400 MHz, CDCl3) δ 7.56 (d, J = 15.6 Hz, 1H), 7.39 (m, 4H), 7.32 (dd, J = 7.0 Hz, 1H), 6.76 (d, J = 8.7 Hz, 2H), 6.31 (d, J = 15.6 Hz, 1H), 6.09 (t, J = 4.5 Hz, 1H), 4.75 (s, 2H), 4.24 (q, J = 7.1 Hz, 2H), 4.16 (d, J = 5.1 Hz, 2H), 2.56 (s, 3H), 1.30 (t, J = 7.1 Hz, 3H)
KS-012
1H NMR (400 MHz, CDCl3) δ 7.68 (m, 2H), 7.61 (d, J = 15.6 Hz, 1H), 7.47 (d, J = 8.8 Hz, 2H), 7.43 (m, 3H), 6.94 (d, J = 8.8 Hz, 2H), 6.37 (d, J = 15.6 Hz, 1H), 6.23 (t, J = 5.0 Hz, 1H), 4.86 (s, 2H), 4.24 (q, J = 7.1 Hz, 2H), 4.17 (d, J = 5.1 Hz, 2H), 2.50 (s, 3H), 1.30 (t, J = 7.1 Hz, 3H)
KS-013
1H NMR (400 MHz, CD3OD) δ 7.46 (d, J = 15.7 Hz, 1H), 7.40 (d, J = 8.7 Hz, 2H), 6.77 (d, J = 8.7 Hz, 2H), 6.47 (d, J = 15.7 Hz, 1H), 3.99 (s, 2H).
KS-014
1H NMR (400 MHz, CD3OD) δ 7.48 (m, 3H), 7.41 (d, J = 7.4 Hz, 2H), 7.34 (t, J = 7.2 Hz, 2H), 7.29 (t, J = 7.1 Hz, 1H), 6.99 (d, J = 8.8 Hz, 2H), 6.51 (d, J = 15.8 Hz, 1H), 5.09 (s, 2H), 3.99 (s, 2H).
KS-015
1H NMR (400 MHz, DMSO-d6) δ 8.30 (t, J = 5.7 Hz, 1H), 7.53 (d, J = 8.8 Hz, 2H), 7.46 (d, J = 7.6 Hz, 2H), 7.40 (m, 2H), 7.37 (m, 1H), 7.34 (m, 1H), 7.06 (d, J = 8.8 Hz, 2H), 6.57 (d, J = 15.8 Hz, 1H), 5.15 (s, 2H), 3.86 (d, J = 5.9 Hz, 2H).
KS-016
1H NMR (400 MHz, DMSO-d6) δ 8.33 (t, J = 6.0 Hz, 1H), 7.68 (m, 4H), 7.54 (m, 2H), 7.47 (t, J = 6.0 Hz, 2H), 7.39 (m, 2H), 7.08 (d, J = 8.8 Hz, 2H), 6.57 (d, J = 15.8 Hz, 1H), 5.20 (s, 2H), 3.87 (d, J = 5.9 Hz, 2H).
KS-017
1H NMR (400 MHz, Acetone-d6) δ 7..54 (m, 5H), 7.17 (t, J = 8.8 Hz, 2H), 7.04 (d, J = 8.7 Hz, 2H), 6.67 (d, J = 15.7 Hz, 1H), 5.15 (s, - 2H), 4.08 (s, 2H).
KS-018
1H NMR (400 MHz, DMSO-d6) δ 12.60 (s, 1H), 8.34 (t, J = 5.6 Hz, 1H), 8.27 (d, J = 8.8 Hz, 2H), 7.73 (d, J = 8.8 Hz, 2H), 7.55 (d, J = 8.7 Hz, 2H), 7.40 (d, J = 15.8 Hz, 1H), 7.08 (d, J = 8.7 Hz, 2H), 6.58 (d, J = 15.8 Hz, 1H), 5.34 (s, 2H), 3.87 (d, J = 5.9 Hz, 2H), 1.23 (s, 2H).
KS-019
1H NMR (400 MHz, DMSO-D6) δ 8.31 (t, J = 5.9 Hz, 1H), 7.53 (m, J = 7.6 Hz, 4H), 7.45 (s, 1H), 7.39 (d, J = 15.8 Hz, 1H), 7.34 (d, J = 7.9 Hz, 1H), 7.07 (d, J = 8.8 Hz, 2H), 6.58 (d, J = 15.8 Hz, 1H), 5.21 (s, 2H), 3.87 (d, J = 5.9 Hz, 2H).
KS-020
1H NMR (400 MHz, CD3OD) δ 8.30 (s, 1H), 8.16 (d, J = 8.2 Hz, 1H) , 7.82 (d, J = 7.6 Hz, 2H), 7.60 (t, J = 8.0 Hz, 1H), 7.49 ( m, 3H), 7.02 ( d, J = 8.8 Hz, 2H) 6.52 ( d, J = 15.8 Hz, 1H), 5.22 (s, 2H), 4.00 (s, 2H).
KS-021
1H NMR (400 MHz, CD3OD) δ 7.47 (m, 4H),7.18 (m, 1H), 6.99 ( d, J = 8.8 Hz, 2H), 6.52 ( d, J = 15.8 Hz, 1H), 5.08 (s, 2H), 3.99 (s, 2H)
KS-022
1H NMR (400 MHz, CD3OD) δ 7.44 (m, 3H), 7.38 (m, 4H), 6.73 (d, J = 8.7 Hz, 2H), 6.45 (d, J = 15.7 Hz, 1H), 4.79 (s, 2H), 3.99 (s, 1H), 3.68 (s, 1H), 3.36 (hept, J = 7.0 Hz, 1H), 3.29 (s, 1H), 1.35 (d, J = 7.0 Hz, 6H).
KS-023
1H NMR (400 MHz, CD3OD) δ 7.44 (m, 7H), 6.73 (d, J = 8.5 Hz, 2H), 6.45 (dd, J = 15.7, 4.0 Hz, 1H), 4.79 (s, 2H), 3.98 (d, J = 9.4 Hz, 2H), 2.52 (s, 3H).
KS-024
1H NMR (400 MHz, CD3OD) δ 7.64 (m, 2H), 7.49 (m, 3H), 7.42 (m, 3H), 6.97 (d, J = 8.8 Hz, 2H), 6.53 (d, J = 15.8 Hz, 1H), 4.93 (s, 2H), 4.00 (s, 2H), 2.48 (s, 3H).
KS-025
1H NMR (400 MHz, CDCl3) δ 7.53 (d, J = 15.6 Hz, 1H), 7.38 (m, 4H), 7.31 (m, 1H), 6.75 (d, J = 8.8 Hz, 2H), 6.28 (m, 2H), 4.73 (s, 2H), 4.22 (q, J = 7.1 Hz, 2H), 3.31 (h, J = 7.0 Hz, 1H), 1.45 (d, J = 7.1 Hz, 3H), 1.41 (d, J = 7.0 Hz, 6H), 1.29 (t, J = 7.1 Hz, 3H);
KS-026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54 (d, J = 15.6 Hz, 1H), 7.41 - 7.36 (m, 4H), 7.32 (dd, J = 9.0, 6.9 Hz, 1H), 6.76 (d, J = 8.7 Hz, 2H), 6.28 (d, J = 15.6 Hz, 1H), 6.19 (d, J = 7.4 Hz, 1H), 4.75 (s, 2H), 4.70 (m, 1H) 4.22 (t, J = 7.1 Hz, 2H), 2.56 (s, 3H), 1.46 (d, J = 7.1 Hz, 3H), 1.30 (t, J = 7.1 Hz, 3H).
KS-027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69 (m, 2H), 7.60 (d, J = 14.7 Hz, 1H), 7.44 (m, 5H), 6.94 (d, J = 7.6 Hz, 2H), 6.35 (d, J = 15.1 Hz, 1H), 6.27 (s, 1H), 5.30 (s, 1H), 4.87 (s, 2H), 4.73 (s, 1H), 4.23 (q, J = 7.1 Hz, 2H), 2.51 (s, 3H), 1.48 (d, J = 6.6 Hz, 3H), 1.30 (t, J = 7.1 Hz, 3H).
KS-028
1H NMR (400 MHz, DMSO-d6) δ 8.26 (d, J = 7.3 Hz, 1H), 7.58 (m, 2H), 7.49 (dd, J = 9.1, 7.0 Hz, 1H), 7.38 (d, J = 8.8 Hz, 2H), 7.28 (d, J = 15.7 Hz, 1H), 6.77 (d, J = 8.8 Hz, 2H), 6.48 (d, J = 15.8 Hz, 1H), 4.80 (s,2H), 4.25 (p, J = 7.3 Hz, 1H), 1.28 (d, J = 7.0 Hz, 6H), 1.25 (d, J = 7.3 Hz, 3H).
KS-029
1H NMR (400 MHz, DMSO-d6) δ 8.26 (d, J = 7.5, 1H), 7.60 - 7.57 (m, 2H), 7.50 (dd, J = 9.1, 7.0 Hz, 1H), 7.39 (d, J = 8.8 Hz, 2H), 7.30 (d, J = 15.8 Hz, 1H), 6.78 (d, J = 8.8 Hz, 2H), 6.49 (d, J = 15.8 Hz, 1H), 4.82 (s, 2H), 4.27 (p, J = 7.3 Hz, 1H), 2.55 (s, 3H), 1.27 (d, J = 7.3 Hz, 3H).
KS-030
1H NMR (400 MHz, DMSO-d6) δ 8.30 (d, J = 7.3 Hz, 1H), 7.65 (dd, J = 6.7, 3.0 Hz, 2H), 7.51 - 7.43 (m, 5H), 7.35 (d, J = 15.8 Hz, 1H), 7.02 (d, J = 8.8 Hz, 2H), 6.53 (d, J = 15.8 Hz, 1H), 4.97 (s, 2H), 4.28 (p, J = 7.3 Hz, 1H), 2.48 (s, 3H), 1.27 (d, J = 7.3 Hz, 3H)
KS-031
1H NMR (400 MHz, CDCl3) δ 7.55 (d, J = 15.6 Hz, 1H), 7.39 (m, 4H), 7.39 (m, 1H), 6.76 (d, J = 8.7 Hz, 2H), 6.32 (d, J = 15.5 Hz, 1H), 6.12 (d, J = 8.8 Hz, 1H), 4.74 (s, 2H), 4.70 (dd, J = 8.8, 4.8 Hz, 1H), 4.22 (qq, J = 7.0, 3.7 Hz, 2H), 3.31 (h, J = 7.0 Hz, 1H), 2.22 (m, 1H), 1.41 (d, J = 7.0 Hz, 6H), 1.29 (t, J = 7.1 Hz, 3H), 0.96 (dd, J = 13.4, 6.9 Hz, 6H).
KS-032
1H NMR (400 MHz, CDCl3) δ 7.55 (d, J = 15.6 Hz, 1H), 7.39 (m, 4H), 7.32 (m, 1H), 6.76 (d, J = 8.8 Hz, 2H), 6.32 (d, J = 15.5 Hz, 1H), 6.12 (d, J = 8.8 Hz, 1H), 4.74 (s, 2H), 4.70 (dd, J = 8.8, 4.8 Hz, 1H), 4.21 (qd, J = 7.1, 3.1 Hz, 2H), 2.56 (s, 3H), 2.22 (m, 1H), 1.29 (t, J = 7.1 Hz, 3H), 0.96 (dd, J = 13.6, 6.9 Hz, 6H).
KS-033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71 - 7.67 (m, 2H), 7.61 (d, J = 15.6 Hz, 1H), 7.48 (d, J = 8.7 Hz, 2H), 7.44 (dd, J = 5.2, 2.0 Hz, 3H), 6.95 (d, J = 8.8 Hz, 2H), 6.37 (d, J = 15.5 Hz, 1H), 6.12 (d, J = 8.8 Hz, 1H), 4.87 (s, 2H), 4.72 (dd, J = 8.8, 4.8 Hz, 1H), 4.23 (qd, J = 7.1, 2.8 Hz, 2H), 2.51 (s, 3H), 2.24 (pd, J = 6.9, 4.9 Hz, 1H), 1.30 (t, J = 7.1 Hz, 3H), 0.97 (dd, J = 13.9, 6.9 Hz, 6H)
KS-034
1H NMR (400 MHz, DMSO-d6) δ 8.11 (d, J = 8.6 Hz, 1H), 7.62 (dd, J = 8.1, 0.9 Hz, 2H), 7.56 - 7.52 (m, 1H), 7.43 (d, J = 8.8 Hz, 2H), 7.33 (d, J = 15.7 Hz, 1H), 6.83 (d, 2H), 6.69 (d, J = 15.8 Hz, 1H), 4.85 (d, 2H), 4.27 (dd, J = 8.5, 5.6 Hz, 1H), 3.45 (hept, J = 7.0 Hz, 1H) 2.09 (hept, J = 6.8 Hz, 1H), 1.33 (d, J = 7.0 Hz, 6H), 0.90 (dd, J = 6.8, 2.6 Hz, 6H).
KS-035
1H NMR (400 MHz, DMSO-d6) δ 8.06 (d, J = 8.6 Hz, 1H), 7.57 - 7.53 (m, 2H), 7.47 (dd, J = 9.1, 7.0 Hz, 1H), 7.37 (d, J = 8.8 Hz, 2H), 7.27 (d, J = 15.7 Hz, 1H), 6.75 (d, J = 8.8 Hz, 2H), 6.63 (d, J = 15.8 Hz, 1H), 4.79 (s, 2H), 4.20 (dd, J = 8.6, 5.6 Hz, 1H), 2.52 (s, 3H), 2.04 (m, 1H), 0.84 (dd, J = 6.8, 2.5 Hz, 6H).
KS-036
1H NMR (400 MHz, DMSO-d6) δ 8.09 (d, J = 8.6 Hz, 1H), 7.64 (dd, J = 6.6, 3.0 Hz, 2H), 7.46 (m, 5H), 7.34 (d, J = 15.8 Hz, 1H), 7.01 (d, J = 8.7 Hz, 2H), 6.69 (d, J = 15.8 Hz, 1H), 4.97 (s, 2H), 4.23 (dd, J = 8.5, 5.7 Hz, 1H), 2.48 (s, 3H), 2.05 (m, 1H), 0.86 (dd, J = 6.8, 2.4 Hz, 6H)
KS-037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55 (d, J = 15.6 Hz, 1H), 7.33 (m, 10H), 7.10 (d, J = 6.5 Hz, 2H), 6.75 (d, J = 8.7 Hz, 2H), 6.23 (d, J = 15.6 Hz, 1H), 6.01 (d, J = 7.7 Hz, 1H), 5.03 (m, 1H), 4.74 (s, 2H), 3.75 (s, 3H), 3.33 (h, J = 6.9 Hz, 1H), 3.20 (m, 2H), 1.42 (d, J = 7.0 Hz , 6H).
KS-038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55 (d, J = 15.6 Hz, 1H), 7.34 (m, 8H), 7.10 (dd, J = 7.8, 1.5 Hz, 2H), 6.76 (d, J = 8.8 Hz, 2H), 6.24 (d, J = 15.6 Hz, 1H), 6.03 (d, J = 7.8 Hz, 1H), 5.03 (m, 1H), 4.75 (s, 2H), 3.75 (s, 3H), 3.20 (m, 2H), 2.56 (s, 3H).
KS-039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69 (m, 2H), 7.60 (d, J = 15.6 Hz, 1H), 7.45 (m, 6H), 7.29 (m, 3H), 7.12 (m, 2H), 6.94 (d, J = 8.8 Hz, 2H), 6.29 (d, J = 15.6 Hz, 1H), 6.07 (d, J = 7.6 Hz, 1H), 5.04 (m,1H), 4.87 (s, 2H), 3.76 (s, 3H), 3.21 (m, 2H), 2.51 (s, 3H).
KS-040
1H NMR (400 MHz, DMSO-d6) δ 8.32 (d, J = 8.1 Hz, 1H), 7.62 (m, 2H), 7.54 (m, 1H), 7.41 (d, J = 8.8 Hz, 2H), 7.26 (m, 6H), 6.81 (d, J = 8.8 Hz, 2H), 6.52 (d, J = 15.8 Hz, 1H), 4.85 (s, 2H), 4.55 (m, 1H), 3.45 (hept, J = 7.0 Hz, 1H), 3.01 (m, 2H), 1.33 (d, J = 7.0 Hz, 6H).
KS-041
1H NMR (400 MHz, DMSO-d6) δ 8.29 (d, J = 8.1 Hz, 1H), 7.57 (d, J = 8.1, 2H), 7.49 (dd, J = 9.1, 7.0 Hz, 1H), 7.37 (d, J = 8.8 Hz, 2H), 7.21 (m, 6H), 6.75 (d, J = 8.8 Hz, 2H), 6.46 (d, J = 15.8 Hz, 1H), 4.80 (s, 2H), 4.50 (m, 1H), 3.96 (m, 2H), 2.53 (s, 3H).
KS-042
1H NMR (400 MHz, DMSO-d6) δ 8.50 (d, J = 7.8 Hz, 1H), 7.69 (m, 2H), 7.50 (m, 5H), 7.36 (d, J = 15.7 Hz, 1H), 7.26 (m, 5H), 7.05 (d, J = 8.7 Hz, 2H), 6.55 (d, J = 15.8 Hz, 1H), 5.01 (s, 2H), 4.61 (m, 1H), 3.02 (m, 2H), 2.53 (s, 3H).
KS-043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52 (d, J = 15.6 Hz, 1H), 7.38 (m, 4H), 7.31 (dd, J = 9.1, 7.0 Hz, 1H), 6.75 (d, J = 8.8 Hz, 2H), 6.21 (d, J = 15.6 Hz, 2H), 4.73 (s, 2H), 3.71 (s, 3H), 3.63 (q, J = 6.1 Hz, 2H), 3.32 (hept, J = 7.1 Hz, 1H), 2.61 (t, 2H), 1.41 (d, J = 7.0, 6H).
KS-044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52 (d, J = 15.6 Hz, 1H), 7.39 (m, 4H), 7.31 (m, 1H), 6.75 (d, J = 8.6 Hz, 2H), 6.22 (m, 2H), 4.74 (s, 2H), 3.70 (s, 3H), 3.63 (q, J = 6.0 Hz, 2H), 2.61 (t, J = 5.9 Hz, 2H), 2.55 (s, 3H).
KS-045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68 (m, 2H), 7.58 (d, J = 15.6 Hz, 1H), 7.44 (m, 5H), 6.93 (d, J = 8.7 Hz, 2H), 6.28 (m, Ar-H, 2H), 4.86 (s, 2H), 3.71 (s, 3H), 3.65 (q, J = 6.0 Hz, 2H), 2.62 (t, J = 5.9 Hz, 2H), 2.50 (s, 3H).
KS-046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47 (m, 2H), 7.39 (m, 5H), 6.75 (d, J = 8.8 Hz, 2H), 6.40 (d, J = 15.8 Hz, 1H), 4.80 (s, 2H), 3.50 (t, J = 6.7 Hz, 2H), 3.38 (p, J = 7.0 Hz, 1H), 2.53 (t, J = 6.7 Hz, 2H), 1.37 (d, J = 7.0 Hz, 6H).
KS-047
1H NMR (400 MHz, DMSO-d6) δ 12.21 (s, 1H), 8.09 (t, J = 5.6 Hz, 1H), 7.61 (m, 2H), 7.53 (dd, J = 9.0, 6.9 Hz, 1H), 7.41 (d, J = 8.7 Hz, 2H), 7.31 (d, J = 15.8 Hz, 1H), 6.80 (d, J = 8.6 Hz, 2H), 6.45 (d, J = 15.8 Hz, 1H), 4.84 (s, 2H), 2.58 (s, 3H), 2.43 (t, J = 6.7 Hz, 2H).
KS-048
1H NMR (400 MHz, Acetone-d6) δ 7.75 (m, 2H), 7.50 (m, 6H), 7.05 (d, J = 8.8 Hz, 2H), 6.60 (d, J = 15.6 Hz, 1H), 5.04 (s, 2H), 3.55 (t, J = 6.5 Hz, 2H), 2.59 (t, J = 6.6 Hz, 2H), 2.55 (s, 3H).
KS-049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54 (d, J = 15.6 Hz, 1H), 7.38 (m, 4H), 7.32 (m, 1H), 6.76 (d, J = 8.8 Hz, 2H), 6.28 (d, J = 15.6 Hz, 1H), 6.19 (d, J = 7.7 Hz, 1H), 4.74 (m, 3H), 3.77 (s, 3H), 3.32 (m, 1H), 1.46 (d, J = 7.2 Hz, 3H), 1.41 (d, J = 7.0 Hz, 6H).
KS-050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53 (d, J = 15.6 Hz, 1H), 7.36 (m, 5H), 6.75 (d, J = 8.8 Hz, 2H), 6.29 (m, 2H), 4.73 (m, 3H), 3.76 (s, 3H), 2.55 (s, 3H), 1.45 (d, J = 7.1 Hz, 3H).
KS-051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68 (m, 2H), 7.59 (d, J = 15.6 Hz, 1H), 7.59 (m, 5H), 6.93 (d, J = 8.7 Hz, 2H), 6.34 (m, 2H), 4.86 (s, 2H), 4.74 (p, J = 7.2 Hz, 1H), 3.77 (s, 3H), 2.50 (s, 3H), 1.47 (d, J = 7.1 Hz, 3H).
KS-052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46 (m, 6H), 6.79 (d, J = 8.8 Hz, 2H), 6.51 (d, J = 15.7 Hz, 1H), 4.84 (s, 2H), 4.50 (q, J = 7.3 Hz, 1H), 3.41 (h, J = 7.0 Hz, 1H), 1.44 (d, J = 7.3 Hz, 3H), 1.41 (d, J = 7.0 Hz, 6H).
KS-053
1H NMR (400 MHz, Acetone-d6) δ 7.54 (m, 4H), 7.45 (m, 3H), 6.84 (d, J = 8.8 Hz, 2H), 6.61 (d, J = 15.7 Hz, 1H), 4.91 (s, 2H), 4.57 (m, 1H), 2.60 (s, 3H), 1.42 (d, J = 7.3 Hz, 3H).
KS-054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68 (m, 2H), 7.47 (m, 6H), 6.99 (d, J = 8.8 Hz, 2H), 6.56 (d, J = 15.8 Hz, 1H), 4.95 (s, 2H), 4.51 (q, J = 7.3 Hz, 1H), 2.51 (s, 3H), 1.45 (d, J = 7.3 Hz, 3H).
실시예 2
실시예 2-1_실험세포주의 배양
HepG2 세포는 ATCC (Manassas, VA, USA)에서 구입하였고 10% fetal bovine serum (FBS, Hyclone, Logan, UT, USA), 50 units/mL penicillin (Hyclone) 과 50 μg/mL streptomycin (Hyclone) 이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Hyclone)에서 배양하였다. 모든 세포는 37 ℃ 및 5% CO2 조건하에 약 80 - 90%의 confluency 를 갖도록 배양하였다.
실시예 2-2_Farnesol X receptor(FXR) reporter gene assay
FXR 전사인자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48-well 세포배양 plate (SPL Life Science Co., Gyeonggido, Korea) 에 HepG2 세포 (1×105 cells/well) 를 20시간 배양한 후 Lipofectamin L3000 (Invitrogen, San Diego, CA, USA) 을 사용하여 형질도입하였다. Luciferase는 발광 (light-emitting)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farnesol X receptor (FXR)에 firefly luciferase 유전자를 융합시킨 플라스미드와 thymidine kinase (TK) 에 renilla luciferase 유전자를 융합시킨 플라스미드를 형질도입에 사용하였다. FXR-firefly luciferase 플라스미드 0.5 μg, TK-renilla luciferase 플라스미드 10 ng 당 25 μL의 혈청과 항생제가 없는 Opti-MEM® (Life Technologies, Grand Island, NY), Lipofectamin L3000 0.5 μL 을 반응시켜서 세포에 24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0.1% 혈청이 포함된 DMEM배지에 약물을 24시간 처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약물이 처리된 배양액을 버리고 lysis buffer를 0.4 ml/well 씩을 넣어 세포를 떼어낸 후 96-well white plate (SPL Life Science Co.)에 분주하여 Dual-glo Luciferase Assay System (Promega, Madison, WI, USA)을 이용하여 발광정도를 측정하였다. Firefly luciferase 활성도 (FXR 발현 정도를 보기 위함) 와 Renilla luciferase 활성도 (일정한 발현을 보여 기준치를 제공함) 를 GloMax Multi Detection System (Promega)에서 발광 정도를 측정한 후 그 상대적인 비율 (firefly luciferase activity / Renilla luciferase activity) 을 구하였다.
하기 표 4와 같이 각 화합물의 FXR 활성효과를 확인하였다.
Number Dose FXR fold induction Number Dose FXR fold induction
Con 0 1.00
GW4064 5uM 2.92 KS-026 10uM 1.26
GW4064 10uM 3.96 KS-027 10uM 1.04
CDCA 50uM 5.07 KS-028 10uM 7.44
CDCA 100uM 13.23 KS-029 10uM 1.71
KS-001 10uM 1.22 KS-030 10uM 0.82
KS-002 10uM 1.22 KS-031 10uM 4.02
KS-003 10uM 1.10 KS-032 10uM 1.89
KS-004 10uM 2.03 KS-033 10uM 0.93
KS-005 10uM 1.21 KS-034 10uM 8.91
KS-006 10uM 1.38 KS-035 10uM 1.65
KS-007 10uM 1.02 KS-036 10uM 1.24
KS-008 10uM 1.50 KS-037 10uM 7.95
KS-009 10uM 1.44 KS-038 10uM 2.21
KS-010 10uM 10.51 KS-039 10uM 1.06
KS-011 10uM 1.65 KS-040 10uM 9.00
KS-012 10uM 1.61 KS-041 10uM 3.23
KS-013 10uM 1.46 KS-042 10uM 1.41
KS-014 10uM 1.42 KS-043 10uM 10.02
KS-015 10uM 2.65 KS-044 10uM 2.21
KS-016 10uM 1.99 KS-045 10uM 1.20
KS-017 10uM 1.14 KS-046 10uM 11.37
KS-018 10uM 1.28 KS-047 10uM 3.04
KS-019 10uM 1.19 KS-048 10uM 1.13
KS-020 10uM 1.39 KS-049 10uM 9.55
KS-021 10uM 2.01 KS-050 10uM 2.00
KS-022 10uM 3.34 KS-051 10uM 1.34
KS-023 10uM 1.93 KS-052 10uM 8.12
KS-024 10uM 1.68 KS-053 10uM 1.28
KS-025 10uM 10.93 KS-054 10uM 0.9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KS-010, KS-025, KS-028, KS-034, KS-037, KS-040, KS-043, KS-046, KS-049, KS-052가 FXR 작용제로 알려진 GW4064 대비 월등한 효과를 보여 우수한 FXR 활성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26)

  1. 하기 화학식 1의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14

    상기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수산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6개의 알코올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아민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40의 시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3 내지 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 또는 R2는 아미노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산소수 1 내지 6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와 에스터 결합하고 있는 아미노산이고,
    상기 R3는 수소, 수산화기, 할로겐기, 아민기,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및 핵원자수 5 내지 30인 헤테로아릴기가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이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할로겐기(X), 니트로기(-NO2), 페닐기(-Ph),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O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치환된 벤질기(benzyl), 벤질옥시기 또는 벤조일기(benzoyl)인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2]
    Figure pat00015

    상기 R2,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수산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6개의 알코올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아민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40의 시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3 내지 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R3는 수소, 수산화기, 할로겐기, 아민기,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및 핵원자수 5 내지 30인 헤테로아릴기가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이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할로겐기(X), 니트로기(-NO2), 페닐기(-Ph),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O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치환된 벤질기(benzyl) 또는 벤조일기(benzoyl)이고,
    상기 R6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고,
    상기 R7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산소수 1 내지 6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아민기, 핵원자수 5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아미노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와 에스터결합하고 있는 아미노산이고,
    상기 R2, R4 및 R5는 수소이고,
    상기 R3는 할로겐기(X), 니트로기(-NO2), 페닐기(-Ph),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O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메틸옥시기이고,
    상기 R6는 수소, 수산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젠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고,
    상기 R7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아민기, 핵원자수 5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3]
    Figure pat00016

    R1, R2, R4, R5,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수산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40의 헤테로아릴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6개의 알코올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0의 아민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40의 시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3 내지 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R1 또는 R2는 아미노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산소수 1 내지 6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와 에스터 결합하고 있는 아미노산이고,
    상기 R8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또는 핵원자수 6 내지 10의 헤테로아릴기이고,
    상기 R9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인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아미노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와 에스터결합하고 있는 아미노산이고,
    상기 R2, R4 및 R5는 수소이고,
    상기 R8은 할로겐기(X), 니트로기(-NO2), 페닐기(-Ph),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O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거나 비치환된 벤젠이고,
    상기 R9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인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는 하가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
  10. 제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1. 제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동맥경화, 심뇌혈관 질환, 간질환, 폐질환, 유방암 및 허혈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2. 제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간질환, 폐질환, 유방암 및 허혈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3. 제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지방간(NASH),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 비소세포성 폐암, 간암, 간염, 간섬유화, 간경변, 황달 및 간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4. 제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FXR 수용체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15. 제 10항에 있어서,
    대사증후군에 대한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생약추출물이나 그 분획물 또는 약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 11항에 있어서,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동맥경화, 심뇌혈관 질환, 간질환, 폐질환, 유방암 및 허혈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생약추출물이나 그 분획물 또는 약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7. 제 13항에 있어서,
    비알코올성지방간(NASH),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 비소세포성 폐암, 간암, 간염, 간섬유화, 간경변, 황달 및 간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생약추출물이나 그 분획물 또는 약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사증후군이 발병할 수 있는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동맥경화, 심뇌혈관 질환, 간질환, 폐질환, 유방암 및 허혈 재관류 손상이 발병할 수 있는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0. (a) 제1반응물, 제2반응물 및 반응첨가제 Ⅰ를 액상 용매 내에 첨가하는 단계; 및
    (b) a단계에서 생선된 반응중간체, 제3반응물 및 반응첨가제 Ⅱ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c) b단계에서 생성되는 반응중간체를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22. 제 20항 또는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물은 쿠마릭산이고, 상기 제2반응물은 아미노산 또는 에스터 결합하고 있는 아미노산이고, 제3반응물은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인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4]
    Figure pat00023

    [화학식 5]
    Figure pat00024

    상기 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고,
    상기 R9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8의 고리형알킬기, 산소수 1 내지 6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아민기, 핵원자수 5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0은 할로겐기이고,
    (a) 단계의 반응첨가제는 펩타이드 커플링 시약이고,
    (b) 단계는 Sn2 반응임.
  23. 제 10항 또는 15항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대사증후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
  24. 제 11항 또는 16항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동맥경화, 심뇌혈관 질환, 간질환, 폐질환, 유방암 및 허혈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
  25. 제 13항 또는 17항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비알코올성지방간(NASH),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 비소세포성 폐암, 간암, 간염, 간섬유화, 간경변, 황달 및 간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
  26. 제 14항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FXR 수용체를 활성시키는 방법.

KR1020200141027A 2019-10-30 2020-10-28 Fxr 활성효과를 가지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7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439 2019-10-30
KR20190136439 2019-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306A true KR20210052306A (ko) 2021-05-10
KR102647513B1 KR102647513B1 (ko) 2024-03-14

Family

ID=7571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027A KR102647513B1 (ko) 2019-10-30 2020-10-28 Fxr 활성효과를 가지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39870A1 (ko)
KR (1) KR102647513B1 (ko)
WO (1) WO202108599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1680A (en) * 1986-08-04 1991-01-01 Kao Corporation P-hydroxycinnamamide derivatives and melanin inhibitor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20437A1 (en) * 1989-07-05 1991-01-06 Yoshihide Fuse Cinnamamide derivative
CN101255124B (zh) * 2008-03-26 2010-06-02 山东大学 肉桂酰胺类组蛋白去乙酰化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1680A (en) * 1986-08-04 1991-01-01 Kao Corporation P-hydroxycinnamamide derivatives and melanin inhibitor compri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7, 제28권, 제10호, 페이지 1787-179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39870A1 (en) 2023-10-26
KR102647513B1 (ko) 2024-03-14
WO2021085991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60541B (en) Novel compounds
US20100203113A1 (en) Wnt signalling inhibito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EA018894B1 (ru) N,n-диметил-5-(2-метил-6-((5-метилпиразин-2-ил)карбамоил)бензо-фуран-4-илокси)пиримидин-2-карбоксамид,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атора глюкокиназы, и содержащая е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Zhu et al. Ligand-based substituent-anchoring design of selectiv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kinase 1 necroptosis inhibitors for ulcerative colitis therapy
KR102005068B1 (ko) 1,2 나프토퀴논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63924B (zh) Cxcr7受体调节剂
JP2022521081A (ja) Hbv感染若しくはhbv誘導性疾患の治療において有用なアミド誘導体
US10561681B2 (en) Antimetastatic 2H-selenopheno[3,2-h]chromenes, synthesi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same agents
JP2020500838A (ja) Α−アミノ−β−カルボキシムコン酸セミアルデヒドデカルボキシラーゼの阻害剤
EA020609B1 (ru) ИМИДАЗО[1,2-а]ПИРИДИН-2-ИЛФЕНИЛ ПРОИЗВОДНЫЕ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CN108929281B (zh) 三氮唑类化合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US9738613B2 (en) Substituted 1,2,3-triazoles as antitumor agents
Song et al. Discovery of bazedoxifene analogues targeting glycoprotein 130
CA2726666A1 (fr) Derives de 2-oxo-alkyl-1-piperazin-2-on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KR102647513B1 (ko) Fxr 활성효과를 가지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70766B2 (en) Sulfonyl amidine as indoleamine-2,3-dioxygenase inhibi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US10093609B2 (en) TAK1 kinase inhibitors, compositions, and uses related thereto
EP1525198B1 (fr) Derives d'acyloxypyrrolidine et leur utilisation en tant que ligands des recepteurs v1b ou v1b et v1a de avp
TW201031659A (en) Novel compound having 3-(5-alkoxypyrimidin-2-yl) pyrimidin-4(3H)-on structure and medicine containg same
JP2021528451A (ja) 二環式コア部分を有する新規lxrモジュレーター
JP4623604B2 (ja) 新規なオキシインドール誘導体
WO2022259993A1 (ja) PPARα転写活性化剤およびその医薬用途
KR20220094170A (ko) 세포보호효과를 지니는 신규 N-Phenyl cinnamic amide 유도체의 약학적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2017105729A (ja) ミトコンドリア病の治療剤
WO2020007273A1 (zh) 新型雄激素受体抑制剂及其合成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