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278A -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 Google Patents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278A
KR20210052278A KR1020200138346A KR20200138346A KR20210052278A KR 20210052278 A KR20210052278 A KR 20210052278A KR 1020200138346 A KR1020200138346 A KR 1020200138346A KR 20200138346 A KR20200138346 A KR 20200138346A KR 20210052278 A KR20210052278 A KR 20210052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chair
binding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528B1 (ko
Inventor
박재범
Original Assignee
박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범 filed Critical 박재범
Priority to PCT/KR2020/01463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85958A2/ko
Publication of KR2021005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278A/ko
Priority to US17/731,491 priority patent/US1177122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식 의자의 이동 또는 회전 반경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이동식 의자에 연결된 각종 케이블의 단선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MOVABLE CHAIR COMPRISING MEANS FOR PROTECT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식 의자의 이동 또는 회전 반경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이동식 의자에 연결된 각종 케이블의 단선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착좌 편의성 및/또는 이동 편의성 등을 제고하기 위해 각 제조사의 브랜드 특성에 따라 소재 또는 구조 등에 변형을 준 의자가 많이 제시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안마 장치와 의자를 병합한 안마 의자 또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자에 설치한 멀티미디어 의자가 소개된 바 있다.
이러한 기능성 의자의 경우에는 안마 장치,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용 케이블, 스피커용 케이블 및/또는 디스플레이용 케이블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보통 이동이 가능한 기구에 케이블이 설치된 경우, 상기 케이블의 단선 또는 단선 및 파손 문제가 대두될 수 밖에 없는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4631호(2016. 04. 26 공개)에 개시된 안마 의자(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경우, 안마 의자의 큰 부피 및 무게로 인해 이동이 불가하다는 점에서 상기 케이블의 단선 또는 단선 및 파손과 같은 문제는 크게 고려할 사항이 아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7040호(2012. 06. 05 공개)에는 진동의자용 케이블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케이블 고정장치는 영화관 등에 설치되어 음향 및 진동을 체감할 수 있는 진동의자의 케이블 결선 및 고정을 위한 장치로서, 등판측, 방석측 및 스위치측 케이블의 커넥터와 메인 케이블측 커넥터 묶음을 지각 내부의 빈 공간에 내장시킴으로써, 커넥터 묶음의 간섭이나 훼손 등을 막을 수 있고, 음료수 등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안마 의자와 마찬가지로 상기 진동의자는 이동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는 점 또한 상기 진동의자의 불규칙한 이동으로 인한 케이블의 단선 문제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이동식 의자에 설치된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4631호(2016. 04. 26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7040호(2012. 06. 05 공개)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이동이 전제된 이동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의자의 이동 또는 회전 반경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이동식 의자에 연결된 각종 케이블의 단선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의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이동식 의자의 헤드레스트부에 스피커 마운팅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한 이동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또는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등받이부 또는 상기 시트부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며, 메인 케이블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을 매개로 공급되는 임의의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수신부, 상기 메인 수신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 메인 결속부 및 일 단은 상기 메인 결속부에 결속되며, 타 단은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되어 상기 이동식 의자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메인 결속 케이블이 구비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이동식 의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측면 부분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에는 상기 측면 지지부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며, 메인 케이블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을 매개로 공급되는 임의의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수신부, 상기 메인 수신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 메인 결속부 및 일 단은 상기 메인 결속부에 결속되며, 타 단은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되어 상기 이동식 의자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메인 결속 케이블이 구비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이동식 의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식 의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스피커 마운팅 부재가 설치된 헤드레스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마운팅 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메인 케이블은 상기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용 케이블 및 상기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스피커용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보호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식 의자의 이동 또는 회전 반경이 제한될 수 있는 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동식 의자에 연결된 각종 케이블의 단선 및 파손에 대한 걱정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의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이동식 의자의 헤드레스트부에 스피커 마운팅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한 이동식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것만으로 실제 재생되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 존재하는 것과 같이 생동감 넘치는 사운드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이동식 의자에 설치된 메인 케이블과 메인 결속 케이블의 연장 길이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이동식 의자에 설치된 결합 하우징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상기 이동식 의자에 설치된 결합 하우징과 메인 결속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이동식 의자에 설치된 메인 케이블과 메인 결속 케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상기 이동식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의자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관련된 내용은 각각의 독립적인 실시예로서 이해될 것이며, 필요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실시예가 병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통해 충분히 설명되지 않은 구성 요소는 전술 또는 후술할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며, 메인 케이블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을 매개로 공급되는 임의의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수신부, 상기 메인 수신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 메인 결속부 및 일 단은 상기 메인 결속부에 결속되며, 타 단은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되어 상기 이동식 의자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메인 결속 케이블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의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헤드레스트부가 상기 등받이부와 별개로 마련된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부가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마련된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부와 상기 등받이부는 구분할 수 없는 하나의 구성으로서 제공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의자에 헤드레스트부가 도시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생략 또는 분리가능한 구성이거나,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형성 가능한 구성으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의자는 의자의 하부에 이동식 부재(예를 들어, 바퀴)가 마련된 이동식 의자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의자는 바퀴가 없는 의자 또는 소파 형태와 같은 비이동식 의자로도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의자(100)는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B),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S) 및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H)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B)의 상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헤드레스트부(H)는 필요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분리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부(H), 상기 등받이부(B) 및 상기 시트부(S)는 착석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전방 또는 내측(즉, 사용자의 사용자의 등, 허리 및 옆구리 등이 닿는 방향)은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가 덧대어진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의 전방 또는 내측 또는 후면에 우퍼 스피커(WS)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우퍼 스피커(WS)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생동감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의 내측에 구비된 우퍼 스피커(WS)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에는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스피커 출력 수단, 온열 수단, 통풍 수단 및 마사지 수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S)의 하부로는 하부 지지대(BT)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지지대(BT)는 바퀴와 같은 이동식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S)와 상기 하부 지지대(BT)는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구분이 불가능한 구성으로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 의자(100)는 사용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부(A)는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팔 부분을 지지하는 소위 암레스트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S)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는 별개의 구성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시트부(S) 및/또는 상기 등받이부(B)와 일체의 구성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부(S)의 소정의 영역에는 메인 케이블(RC)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RC)을 매개로 공급되는 임의의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수신부(RM)가 설치되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 지지부(A)의 소정의 영역에는 메인 케이블(RC)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RC)을 매개로 공급되는 임의의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수신부(RM)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메인 수신부(RM)가 설치되는 영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적어도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상기 메인 수신부(RM)와 상기 이동식 의자(100)로부터 떨어진 외부 구조물에 연결되어 임의의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적합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수신부(RM)는 상기 이동식 의자(100)로부터 떨어진 외부 구조물에 연결되어 임의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전원(PS)에 연결되어 전력을 수신하는 전원용 케이블인 경우, 상기 메인 수신부(RM)는 전원 수신부일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디스플레이 소스(예를 들어, 컴퓨터, 셋탑박스, 게임기 등)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용 케이블(예를 들어, 썬더볼트 케이블, HDMI 케이블, DVI 케이블 EMD)인 경우, 상기 메인 수신부(RM)는 디스플레이 수신부일 수 있으며(이 경우,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시각 범위 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련될 수 있음),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오디오 소스(AS,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 컴퓨터, TV, 셋탑박스, 게임기 등)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스피커용 케이블인 경우, 상기 메인 수신부(RM)는 오디오 수신부일 수 있다(이 경우,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청각 범위 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마련될 수 있음).
참고로, 도 1에는 상기 메인 수신부(RM)는 전원 수신부이며, 상기 메인 케이블(RC)은 전원용 케이블이며, 상기 전원 케이블(RC)의 일 단은 상기 메인 수신부(RM)에 연결되며, 타 단은 전원(PS)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상기 메인 수신부(RM)는 오디오 수신부이며, 상기 메인 케이블(RC)은 스피커용 케이블이며, 상기 전원 케이블(RC)의 일 단은 상기 메인 수신부(RM)에 연결되며, 타 단은 오디오 소스(AS)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시트부(S)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된 상기 메인 수신부(RM)와 인접한 위치에는 메인 결속 케이블(MUC)이 연결된 메인 결속부(MU)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일 단은 상기 메인 결속부(MU)에 결속되며, 타 단은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되어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이동 및/또는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일 단은 상기 시트부(S)에 설치된 상기 메인 결속부(MU)에 결속되며, 타 단은 책상(DESK)에 결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일 단은 상기 측면 지지부(A)에 설치된 상기 메인 결속부(MU)에 결속되며, 타 단은 책상(DESK)에 결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이동 및/또는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은 적정 수준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이 연장 가능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 또는 상기 이동식 의자(100)가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상게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연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연장 길이는 릴 등과 같은 공지된 수단을 적용한 권취부에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연장 길이는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길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최대 연장 길이는 상기 수신 케이블(RC)의 최대 연장 길이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연장 길이는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길이가 이탈 한계 길이 이하가 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 한계 길이란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상기 의자(100)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메인 수신부(RM)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길이를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은 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최대 연장 길이를 초과하도록 상기 이동식 의자(100)가 이동될 때 상기 메인 수신부(RM) 및/또는 상기 메인 케이블(RC)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최대 연장 길이는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최대 연장 길이 내지 이탈 한계 길이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이동식 의자에 설치된 메인 케이블과 메인 결속 케이블의 연장 길이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상기 메인 수신부(RM) 및 상기 메인 결속부(MU)에 각각 연결된 상기 메인 케이블(RC)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이 상기 이동식 의자(100)로부터 연장된 길이를 달리하여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의자(10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원(PS)에 연결된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연장 길이(L2)는 상기 이동식 의자(10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책상(DESK)에 결속된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연장 길이(L1)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연장 길이(L2)의 마진에 의해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최대로 신장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이동식 의자(100)가 어느 정도 이동하여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연장 길이(L1')가 늘어나더라도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연장 길이(L2)의 마진에 의해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최대로 신장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의자(100)와 전원(PS)의 위치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연장 길이(L2')가 줄어들더라도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최저 연장 길이(L2')는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연장 길이(L1)보다 길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이동식 의자에 설치된 결합 하우징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수신부(RM)의 외측을 둘러싸는 결합 하우징(CH)이 추가로 마련되며, 상기 메인 케이블(RC)은 상기 결합 하우징(CH)의 일 측에 형성된 개구부(HO)를 통해 인출입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하우징(CH)은 상기 메인 수신부(RM)가 설치된 상기 등받이부(B), 상기 시트부(S) 또는 상기 측면 지지부(A)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수신부(RM)의 외측에 상기 메인 수신부(RM)을 둘러싸는 상기 결합 하우징(CH)이 마련되며,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상기 결합 하우징(CH)의 개구부(HO)를 통해 인출입될 경우, 상기 메인 수신부(RM)에 연결된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연결 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상기 메인 수신부(RM)에 연결된 일 단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꺾인 상태로 상기 개구부(HO)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메인 케이블(RC)에 당겨지는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 메인 케이블(RC)과 상기 메인 수신부(RM)의 연결 부위에 상기 외력이 고스란히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결합 하우징(CH)은 상기 메인 수신부(RM)의 외측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수신부(RM)에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일 단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 수신부(RM)에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결합 하우징(CH)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메인 수신부(RM)와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연결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상기 메인 수신부(RM)에 연결된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연결 부위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 케이블(RC)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케이블(RC)은 상기 메인 수신부(RM)에 플러그 형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하우징(CH)은 상기 메인 케이블(RC)과 상기 메인 수신부(RM)의 연결 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상기 이동식 의자에 설치된 결합 하우징과 메인 결속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결속부(MU)는 상기 결합 하우징(CH)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인 결속부(MU)는 상기 결합 하우징(CH)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인 결속부(MU) 역시 필요에 따라 상기 결합 하우징(CH)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경우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속부(MU)는 상기 결합 하우징(CH)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결합 하우징(CH)이 상기 메인 수신부(RM)의 외측으로부터 탈착됨에 따라 동시에 탈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결속부(MU)에는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일 단이 결속되며,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결속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결속 방식(매듭, 갈고리, 켄싱턴 락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결속부(MU)는 상기 결합 하우징(CH)의 개구부(HO)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인 결속부(MU)는 상기 결합 하우징(CH)의 개구부(HO)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HO)를 통과한 상기 메인 케이블(RC)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결속부(MU)는 상기 메인 케이블(RC)을 감싼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 결속부(MU)가 상기 메인 케이블(RC)을 감싼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 하우징(CH)의 외측에 서브 결속부(SU)가 설치되며, 상기 서브 결속부(SU)에는 서브 결속 케이블(SUC)의 일 단이 결속된다. 상기 서브 결속 케이블(SUC)의 타 단은 상기 메인 결속부(MU)에 결속된다. 상기 서브 결속부(SU)는 상기 결합 하우징(CH)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 하우징(CH)의 외측에 설치된 상기 서브 결속부(SU)와 상기 서브 결속부(SU)에 일 단이 결속된 상기 서브 결속 케이블(SUC)과 상기 메인 결속부(MU)의 결속 구조에 의해 상기 메인 수신부(RM)에 연결된 상기 메인 케이블(RC)에 과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결속부(MU)에 일 단이 결속된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은 여전히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됨으로써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수신부(RM)와 인접한 위치 또는 상기 메인수신부(RM)과 일체로 상기 메인 케이블(RC)을 권취하는 제1 권취부(WM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결속부(MU)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을 권취하는 제2 권취부(WM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권취부(WM1) 및 상기 제2 권취부(WM2)는 상기 메인 케이블(RC)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이 필요 이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기 위해 상기 메인 케이블(RC)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의 최대 연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릴과 같은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수신부(RM) 및 상기 메인 결속부(MU)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구조물에 상기 메인 케이블(RC)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이 별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메인 수신부(RM)와 상기 메인 케이블(RC)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 결속부(MU)와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 수신부(RM), 상기 메인 결속부(MU)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이동식 의자에 설치된 메인 케이블과 메인 결속 케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메인 수신부(RM) 및 상기 메인 결속부(MU)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동식 의자(100)와 임의의 구조물간 연결 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 때,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구조적인 이점과 함께 안정성(케이블 보호)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케이블(RC)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은 단일의 클래드(CL)에 의해 감싸진 복합 케이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클래드(CL)는 상기 메인 케이블(RC)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비가역적인 클래드일 수 있으나, 상기 메인 케이블(RC)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을 소정의 길이만큼 감쌀 수 있는 분리 가능한 클래드일 수 있다. 상기 클래드(CL)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경우, 상기 메인 케이블(RC)의 종류가 달라질 경우에도 별도의 복합 케이블을 구매할 필요없이 상기 클래드(CL)를 분리한 후 상기 메인 케이블(RC)을 갈아끼워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래드(CL)는 임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CLH)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클래드(CL)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케이블(RC) 및/또는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MUC)이 상기 개구부(CLH)가 마련된 위치에서 상기 클래드(CL)의 외부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상기 이동식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SPE)가 설치 가능한 스피커 마운팅 부재(SM)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이동식 의자가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 마운팅 부재(SM)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내측 또는 후면에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상기 헤드레스트부(H)로부터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FR)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FR)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SPE)가 설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프레임(FR)에 설치되는 상기 스피커(SPE)의 무게로 인해 상기 이동식 의자(100)가 균형을 잃고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는 무게 보정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무게 보정 부재는 후술할 프레임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스피커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을 추가적으로 연장하여 상기 추가적으로 연장된 프레임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SPE)의 무게가 추가되더라도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무게 중심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S) 또는 상기 시트부(S)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BT)에 무게 보정 부재가 설치되거나, 상기 시트부(S) 또는 상기 시트부(S)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BT) 자체의 하중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FR)은 탄소 섬유와 같이 경량의 강성 소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부(S)와 하부 지지대(BT)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진동 완화 부재(OS)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완화 부재(OS)는 상대적으로 상기 시트부(S)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FR)이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내측에 설치될 경우, 상기 프레임(FR)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양 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FR)이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후면에 설치될 경우, 상기 프레임(FR)과 상기 헤드레스트부(H)를 고정하는 별도의 지지 부재(IM)가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FR)은 상기 지지 부재(IM)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것이다.
상기 스피커(SPE)는 상기 프레임(FR)과 일체형으로 마련되거나, 상기 프레임(FR)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피커(SPE)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프레임(FR)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설치된 상기 프레임(FR)은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SPE)는 스피커 완제품,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에 별도로 마련된 구동부에 연결되어 완제품으로서 동작하는 스피커 유닛, 디스플레이형 스피커 또는 박막형 스피커일 수 있으며, 원웨이 및 멀티웨이 스피커를 포함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 수신부와 상기 오디오 수신부를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용 케이블과 상기 스피커용 케이블은 서로 독립적인 케이블로서 마련되거나, 클래드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진 형태로 존재하되 양 단에서 상호 분리 가능한 복합 케이블로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SPE)가 디스플레이 스피커일 경우, 상기 메인 케이블(RC)은 적어도 전원용 케이블, 스피커용 케이블 및 디스플레이용 케이블을 포함할 것이며, 상기 메인 수신부(RM)는 적어도 상기 전원용 케이블을 통해 전원(PS)에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SPE)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는 전원 수신부, 상기 스피커용 케이블을 통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과 같은 오디오 소스(AS)에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SPE)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용 케이블을 통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과 같은 비디오 소스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수신부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의자(100)에 컴퓨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통신 기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케이블(RC)은 적어도 전원용 케이블 및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SPE)는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 상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과 상기 스피커(SPE) 사이에 별도의 스피커 설치대가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FR)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로부터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전방 방향(또는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직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직선이 아닌 형상, 꺾인 선, 곡선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SPE)는 상기 프레임(FR)의 내측면, 즉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를 지향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FR)은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동식 의자(100)의 임의의 영역에는 다채널 오디오 신호의 수신, 증폭 및 전송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리시버와 같은 채널 처리 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소스를 상기 채널 처리 장치에 연결하여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마련된 채널에 맞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의자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이 아니라 상기 이동식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부를 지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FR)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FR)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SPE)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FR)과 상기 프레임(FR)에 설치된 스피커(SPE)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구조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이상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프레임과 동일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또는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등받이부 또는 상기 시트부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며, 메인 케이블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을 매개로 공급되는 임의의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수신부;
    상기 메인 수신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 메인 결속부; 및
    일 단은 상기 메인 결속부에 결속되며, 타 단은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되어 상기 이동식 의자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메인 결속 케이블;
    이 구비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이동식 의자.
  2.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측면 부분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에는,
    상기 측면 지지부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며, 메인 케이블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을 매개로 공급되는 임의의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수신부;
    상기 메인 수신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 메인 결속부; 및
    일 단은 상기 메인 결속부에 결속되며, 타 단은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되어 상기 이동식 의자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메인 결속 케이블;
    이 구비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이동식 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신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결합 하우징이 추가로 마련되며,
    상기 메인 케이블은 상기 결합 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인출입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이동식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속부는 상기 결합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이동식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하우징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결속부가 마련되며,
    상기 서브 결속부에 일 단이 결속된 서브 결속 케이블의 타 단은 상기 결합 하우징의 개구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메인 결속부에 의해 상기 메인 케이블과 결속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의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블은 전원용 케이블, 디스플레이용 케이블, 스피커용 케이블 및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이동식 의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블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은 단일의 클래드에 의해 감싸진,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이동식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는 상기 메인 케이블이 인출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이동식 의자.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신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메인 케이블을 권취하는 제1 권취부가 마련된,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속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을 권취하는 제2 권취부가 마련된,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속부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은 일체형으로 구성된,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신부, 상기 메인 결속부 및 상기 메인 결속 케이블은 일체형으로 구성된,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의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스피커 마운팅 부재가 설치된 헤드레스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마운팅 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메인 케이블은 상기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용 케이블 및 상기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스피커용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마련된 이동식 의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의 후면에 프레임 지지 부재가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헤드레스트부로부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헤드레스트부로부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KR1020200138346A 2019-10-30 2020-10-23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KR10246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4634 WO2021085958A2 (ko) 2019-10-30 2020-10-26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US17/731,491 US11771229B2 (en) 2019-10-30 2022-04-28 Movable chair provided with cable protect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08 2019-10-30
KR20190136008 2019-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278A true KR20210052278A (ko) 2021-05-10
KR102468528B1 KR102468528B1 (ko) 2022-11-18

Family

ID=7591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346A KR102468528B1 (ko) 2019-10-30 2020-10-23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52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983A (ja) * 1998-06-26 2000-01-11 Toshiba Tec Corp スピーカー付き椅子及びこれを用いたマッサージ機
KR200187324Y1 (ko) * 2000-01-29 2000-07-01 문세건 입체음향을 위한 의자설치 스피커 장치
JP2002125786A (ja) * 2000-08-29 2002-05-08 Omron Corp 線状物ガイド機構
KR20070101708A (ko) * 2006-04-12 2007-10-17 청기의료기(주) 인체를 요동 및 온열시키는 체중감량용 의자
KR20090007765U (ko) * 2008-01-28 2009-07-31 이병주 컴퓨터용 케이블 정리 장치
KR20120057040A (ko) 2010-11-26 2012-06-05 (주) 아쿠브 진동의자용 케이블 고정장치
KR20160044631A (ko) 2014-10-15 2016-04-2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222993U (ja) * 2018-04-26 2019-09-12 鄭仲盛 インテリジェント椅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2993B2 (ja) * 1993-07-16 2001-10-29 松下冷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983A (ja) * 1998-06-26 2000-01-11 Toshiba Tec Corp スピーカー付き椅子及びこれを用いたマッサージ機
KR200187324Y1 (ko) * 2000-01-29 2000-07-01 문세건 입체음향을 위한 의자설치 스피커 장치
JP2002125786A (ja) * 2000-08-29 2002-05-08 Omron Corp 線状物ガイド機構
KR20070101708A (ko) * 2006-04-12 2007-10-17 청기의료기(주) 인체를 요동 및 온열시키는 체중감량용 의자
KR20090007765U (ko) * 2008-01-28 2009-07-31 이병주 컴퓨터용 케이블 정리 장치
KR20120057040A (ko) 2010-11-26 2012-06-05 (주) 아쿠브 진동의자용 케이블 고정장치
KR20160044631A (ko) 2014-10-15 2016-04-2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222993U (ja) * 2018-04-26 2019-09-12 鄭仲盛 インテリジェント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528B1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2419B2 (en) Wireless speaker chair
US20230054544A1 (en) Chair equipped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KR102153707B1 (ko) 다채널스피커가 장착된 이동식 의자
CN218942659U (zh) 具有多声道系统的椅子
CN212850974U (zh) 具有多声道音响系统的椅子用部件及包括此的椅子
US11812873B2 (en)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US20230148758A1 (en)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US20230059033A1 (en) Member for chair for implement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KR10233369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200461682Y1 (ko) 입체영상용 판독장치가 구비된 헤드셋
US11771229B2 (en) Movable chair provided with cable protecting means
KR102468528B1 (ko)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KR102406224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381959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CN110476438A (zh) 可穿戴式扬声器系统
JP4127835B2 (ja) ゲームシステム
JP5947798B2 (ja) オーディオ再生デバイスおよび当該デバイスを使用する方法
CN109076272A (zh) 音乐欣赏装置
US11998121B2 (en)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CA3156094C (en) Chair member provided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comprising same
JP7161653B2 (ja) ウエアラブル音響装置
CN220557687U (zh) 椅子防倒用下部支撑架及包括该下部支撑架的椅子
KR102491795B1 (ko)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KR20080001703U (ko) 무선 스피커를 갖춘 의자
CN205726261U (zh) 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