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002A -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002A
KR20210052002A KR1020190138001A KR20190138001A KR20210052002A KR 20210052002 A KR20210052002 A KR 20210052002A KR 1020190138001 A KR1020190138001 A KR 1020190138001A KR 20190138001 A KR20190138001 A KR 20190138001A KR 20210052002 A KR20210052002 A KR 20210052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urtain
door
inner cover
frame inn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220B1 (ko
Inventor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2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38Storag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2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커튼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장치는 차량 도어의 창부 저부에 마련되는 상기 도어의 벽부의 일측으로 내장되는 권취롤; 일단부를 통해 상기 권취롤에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를 통해 상기 창부 저부의 벽부 타측으로 호 형태의 궤적을 그리도록 풀리며 상기 창부의 개구를 가리는 도어커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커튼장치{door curtain device for vehicles}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차량용 도어커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중에는 도어커튼을 구비한 것이 있다. 도어커튼은 차량 도어의 창부를 가려 실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외부의 광이 실내로 비치는 것을 차단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어커튼은 도어 하부의 벽부 내측에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게 내장되어 창부가 위치하는 도어 상부 쪽으로 선택적으로 풀려지도록 인출된 상태에서 창부의 개구를 가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창부는 차량 별로 다양한 비대칭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상부로 풀림 가능하도록 벽부 내측에 감기도록 설치되는 도어커튼의 설치구조에서는 창부로 인출되는 도어커튼으로 창부의 개구가 빈틈이 없이 가려지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도어 창부의 개구를 빈틈이 없이 가릴 수 있는 차량용 도어커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장치는 차량 도어의 창부 저부에 마련되는 상기 도어의 벽부의 일측으로 내장되는 권취롤; 일단부를 통해 상기 권취롤에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를 통해 상기 창부 저부의 벽부 타측으로 호 형태의 궤적을 그리도록 풀리며 상기 창부의 개구를 가리는 도어커튼;을 포함한다.
상기 창부는, 상기 개구 둘레의 프레임; 상기 벽부 상부의 프레임의 내측 둘레에 결합하는 프레임 인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커튼은 감김 또는 풀림 동작시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에 대응하는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둘레가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에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를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튼은 신축이 가능한 원단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튼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둘레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홈이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의 연장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의 외측으로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에는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도어커튼에 결합하는 가이드홀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홀더에는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 외부로 손잡이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권취롤은 상기 도어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커튼장치는 상부로 개방되는 내부공간 일측으로 상기 권취롤을 수용하도록 상기 벽부에 내장되는 커튼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궤적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도어커튼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지지홈이 마련되며, 상기 권취롤 측방의 커튼하우징에는 상기 지지홈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어커튼장치에 따르면, 벽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호 형태의 궤적을 그리도록 펼쳐지는 도어커튼을 이용하여 도어 창부의 개구를 빈틈이 없이 가릴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장치가 적용되는 도어의 내측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차량용 도어커튼장치의 커튼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장치에서 도어커튼의 둘레와 도어의 창부에 마련되는 프레임 인너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장치에서, 도어커튼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장치에서, 권취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장치가 적용되는 도어의 내측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로, 도어커튼이 도어 창부의 개구의 일부를 가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도어커튼이 도어 창부의 개구를 완전히 가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장치(1)는 차량 도어(2)의 개구(3)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 도어커튼(10)을 구비한다.
차량의 도어(2)는 하부의 벽부(4)와, 상부의 창부(5)를 구비한다. 도어(2)의 개구(3)는 도어글라스(6)에 의해 개폐되도록 창부(5)에 마련되고, 도어커튼(10)은 도어글라스(6) 내측에서 개구(3)를 가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커튼(10)은 창부(5)의 개구(3)를 가려 실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외부의 광이 실내로 비치는 것을 차단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어커튼(10)의 설치를 위해 벽부(4)에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커튼하우징(20)이 내장될 수 있다.
도어커튼(10)을 창부(5) 쪽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커튼하우징(20) 상부의 벽부(4)는 개방될 수 있다.
커튼하우징(20)은 도시되지 않은 벽부(4)의 도어트림을 통해 외부로 노출이 방지된 상태로 벽부(4)에 내장될 수 있다.
커튼하우징(20)의 내부에는 도어커튼(10)이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게 결합하는 권취롤(30)이 마련될 수 있다.
권취롤(30)은 탄성수단(40)을 통해 도어커튼(10)이 감기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 될 수 있다.
탄성수단(40)은 도어커튼(10)이 풀리면서 권취롤(30)이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 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커튼(1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권취롤(30)은 탄성수단(40)의 복원력에 의해 감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풀려진 상태의 도어커튼(10)은 권취롤(30)에 자동적으로 감겨질 수 있게 된다. 탄성수단(40)은 커튼하우징(20)의 일 측단 쪽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수단(40)은 수동레버와 같이 권취롤(30)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권취롤(30)은 창부(5) 저부의 벽부(4) 일측되어 내장된다. 그리고 도어커튼(10)은 일단부(11)를 통해 권취롤(30)에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12)를 통해 창부(5) 저부의 벽부(4) 타측으로 호 형태의 궤적을 그리도록 풀리며 창부(5)의 개구(3)를 가리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도어커튼(10)의 풀림구조에서는 도어커튼(10)이 개구(3) 저부 일측에서 개구(3) 저부 타측으로 부채형태로 펼쳐지면서 개구(3)의 전면적을 고르게 경유하여 덮을 수 있게 된다.
권취롤(30)은 벽부(4) 일측으로 내장될 수 있도록 커튼하우징(20)의 중앙부 일측으로 수용되고, 커튼하우징(20)의 중앙부에는 후술하게 될 지지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권취롤(30)은 양단의 축이 탄성수단(40)과 지지부(21)에 결합됨에 따라 벽부(4) 일측에 내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창부(5)는 개구(3) 둘레의 프레임(7)과, 벽부(4) 상부의 프레임(7)의 내측 둘레에 결합하는 프레임 인너 커버(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커튼(10)은 감김 또는 풀림 동작시 프레임 인너 커버(8)에 대응하는 일단부(11)와 타단부(12) 사이의 상부 쪽 둘레가 프레임 인너 커버(8)에 파지된 상태에서 프레임 인너 커버(8)를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인너 커버(8) 쪽으로 도어커튼(10)의 일단부(11)와 타단부(12) 사이의 둘레는 상부 둘레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커튼(10)은 펼쳐진 상태에서 일단부(11)와 타단부(12)를 통해 형성되는 하부 둘레가 벽부(4) 내측으로 위치되고, 상부 둘레가 프레임 인너 커버(8)에 파지된 상태가 되어 창부(5)의 개구(3)를 빈틈이 없이 완전히 덮어 가릴 수 있게 된다.
도어커튼(10)은 상부 둘레가 권취롤(30)에서 풀려진 상태에서 프레임 인너 커버(8) 쪽으로 신장되어 파지될 수 있도록 신축이 가능한 원단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도어커튼(10)의 소재로는 탄력사를 통해 망사형으로 직조되어 탄력을 갖게 되는 직물 원단 등 신축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소재를 통해 마련되는 원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어커튼(10)은 창부(5)의 개구(3)와 동일한 형태를 취하고, 사이즈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구(3)보다 약간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궤적의 중심방향으로 도어커튼(10)의 일단부(11)와 타단부(12) 사이에는 지지홈(15)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권취롤(30) 측방으로 커튼하우징(20)의 내부 중앙 쪽에는 도어커튼(10)이 권취롤(30)에 감기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지지홈(15) 쪽을 지지하여 도어커튼(10)의 감김 동작이나 풀리 동작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지지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권취롤(30)은 도어(2)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권취롤(30)은 지지부(21)에서 탄성수단(40)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권취롤(30)의 구조에 따르면, 도어커튼(10)은 개구를 가린 상태에서 넓게 펼쳐지는 상부 둘레 쪽 영역과, 상대적으로 짧게 펼쳐지는 저부 안쪽의 영역이 동시에 권취롤(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롤(30)에 안정적으로 감겨질 수 있게 된다.
프레임 인너 커버(8)의 내측 테두리 안쪽에는 개구(3) 쪽으로 개방되는 파지홈(8a)이 마련되고, 도어커튼(10)은 상부 둘레가 파지홈(8a)에 파지된 상태에서 프레임 인너 커버(8)를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도어커튼(10)의 상부 둘레가 프레임 인너 커버(8)에 보다 안전하게 파지되도록 하기 위해 도어커튼(10)에는 일단부(11)와 타단부(12) 사이의 상부 둘레부(13)를 따라 걸림돌기(14)가 마련되고, 프레임 인너 커버(8)에는 걸림돌기(1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홈(8b)이 프레임 인너 커버(8)의 연장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걸림홈(8b)은 파지홈(8a)과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걸림돌기(14)는 도어커튼(10)의 원단과 별도로 마련되는 띠를 도어커튼(10) 표면에 결합하여 마련될 수 있다.
걸림홈(8b)의 외측으로 프레임 인너 커버(8)에는 그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홈(8c)이 마련되고, 가이드홈(8c)에는 도어커튼(10)과 결합하는 가이드홀더(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가이드홀더(50)에는 프레임 인너 커버(8) 외부로 손잡이(60)가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홀더(50)는 걸림돌기(14) 바깥 쪽으로 도어커튼(10)의 타단부(12)에 연결부재(71)로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홈(8c)과 걸림홈(8b) 사이의 프레임 인너 커버(8)에는 연결부재(71)의 연결을 위한 연결홈(8d)이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60)는 연결부재(72)를 통해 가이드홀더(5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 인너 커버(8)에는 가이드홈(8c) 쪽으로 가이드홈(8c)을 따라 슬릿(8e)이 마련되고, 연결부재(72)는 슬릿(8e)을 통해 손잡이(60)와 가이드홀더(5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71,72)는 끈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8c)과 슬릿(8e)은 도어커튼(10)의 펼침방향으로 끝단부에 걸림구간(8f)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구간(8f)은 가이드홀더(50)가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외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이용자가 손잡이(60)를 잡고 가이드홈(8c)을 따라 가이드홀더(50)를 이동시키면, 도어커튼(10)은 타단부(12)가 가이드홀더(50)에 이끌려 호 형태의 궤적을 이루면서 권취롤(30)에서 풀려지며 개구(3)를 가릴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가 도어커튼(1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진 상태에서 손잡이(60)를 더 당겨 가이드홀더(50)를 걸림구간(8f) 쪽으로 진입시킴에 도어커튼(10)은 개구(3)를 가리도록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개구(3)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용자는 가이드홀더(50)가 걸림구간(8f)에서 나오도록 손잡이를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커튼(10)은 권취롤(30)의 권취력에 의해 가이드홈(8c)을 따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호 형태의 궤적을 그리며 벽부(4) 내측의 권취롤(30)에 감겨질 수 있다.
1: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2. 도어
3: 개구 4: 벽부
5: 창부 8: 프레임 인너 커버
8a: 파지홈 8b: 걸림홈
8c: 가이드홈 8d: 연결홈
8e: 슬릿 8f: 걸림구간
10: 도어커튼 11: 일단부
12: 타단부 13: 상부 둘레부
14: 걸림돌기 15: 지지홈
20: 커튼하우징 21: 지지부
30: 권취롤 40: 탄성수단
50: 가이드홀더 60: 손잡이
71,72: 연결부재

Claims (7)

  1. 차량 도어의 창부 저부에 마련되는 상기 도어의 벽부의 일측으로 내장되는 권취롤;
    일단부를 통해 상기 권취롤에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를 통해 상기 창부 저부의 벽부 타측으로 호 형태의 궤적을 그리도록 풀리며 상기 창부의 개구를 가리는 도어커튼;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는,
    상기 개구 둘레의 프레임;
    상기 벽부 상부의 프레임의 내측 둘레에 결합하는 프레임 인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커튼은 감김 또는 풀림 동작시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에 대응하는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둘레가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에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를 따라 슬라이딩 하는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커튼은 신축이 가능한 원단을 통해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커튼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둘레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홈이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의 연장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의 외측으로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에는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도어커튼에 결합하는 가이드홀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홀더에는 상기 프레임 인너 커버 외부로 손잡이가 연장되는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은 상기 도어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로 개방되는 내부공간 일측으로 상기 권취롤을 수용하도록 상기 벽부에 내장되는 커튼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궤적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도어커튼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지지홈이 마련되며,
    상기 권취롤 측방의 커튼하우징에는 상기 지지홈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KR1020190138001A 2019-10-31 2019-10-31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KR10228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01A KR102282220B1 (ko) 2019-10-31 2019-10-31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01A KR102282220B1 (ko) 2019-10-31 2019-10-31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02A true KR20210052002A (ko) 2021-05-10
KR102282220B1 KR102282220B1 (ko) 2021-07-28

Family

ID=7591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001A KR102282220B1 (ko) 2019-10-31 2019-10-31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2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527U (ko) * 1996-06-29 1998-03-30 대우자동차주식회사 도어 내장형 햇빛가리개
KR200423679Y1 (ko) * 2006-02-10 2006-08-10 박강수 자동차 사이드윈도우용 선바이저
JP2008201249A (ja) * 2007-02-20 2008-09-04 Toyota Boshoku Corp サンバイ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527U (ko) * 1996-06-29 1998-03-30 대우자동차주식회사 도어 내장형 햇빛가리개
KR200423679Y1 (ko) * 2006-02-10 2006-08-10 박강수 자동차 사이드윈도우용 선바이저
JP2008201249A (ja) * 2007-02-20 2008-09-04 Toyota Boshoku Corp サンバイ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220B1 (ko)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160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made of thick material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JP6195582B2 (ja) ブラインド機能付き網戸
KR101659926B1 (ko) 블라인드 장치의 하부구조물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JPH04345522A (ja) 遮蔽装置
KR200439526Y1 (ko) 롤블라인드용 권취장치의 커버
KR20210052002A (ko)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KR101415901B1 (ko) 전동식 롤 방충망
JP6063683B2 (ja)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KR101909908B1 (ko) 줄 없는 이중 블라인드의 미끄럼방지 하단바
KR20110006484U (ko) 롤블라인드 권취기
KR101530325B1 (ko) 권취형 방충 장치
KR20210107347A (ko) 블라인드용 웨이트 바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KR101863245B1 (ko) 일체형 이중 롤 블라인드용 하단바장치
JP2017133206A (ja) 遮蔽装置の巻取軸収容装置
JP6516578B2 (ja) 巻き取り装置
KR200478475Y1 (ko) 장력 풀림을 방지하는 안전핀 장치
JP7002250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180137822A (ko) 블라인드 장치
KR20210045790A (ko)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KR101117518B1 (ko)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JP2017223003A (ja) ロールブラインド及び巻き取り装置
JP2018115472A (ja) スクリーン装置
JP4908308B2 (ja) 縦型ブラインド
JP680475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