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445A -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445A
KR20210051445A KR1020190136734A KR20190136734A KR20210051445A KR 20210051445 A KR20210051445 A KR 20210051445A KR 1020190136734 A KR1020190136734 A KR 1020190136734A KR 20190136734 A KR20190136734 A KR 20190136734A KR 20210051445 A KR20210051445 A KR 20210051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power
output
spec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호근
Original Assignee
남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호근 filed Critical 남호근
Priority to KR102019013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445A/ko
Publication of KR2021005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B60K2370/17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노면청소차 등과 같은 특수차량에서 배터리전압이 불규칙하여 전기부품이 파손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유지하여 안정화시키는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수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 부하를 담당하는 배터리(10)와,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스위치(20)와, 인가되는 배터리(10)의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정화장치(30)와, 출력된 전원에 의해 특수차량의 각 구동장치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계기판넬(40)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장치(30)는 전원스위치(20)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 1 경고등(32a)과 상기 안정화장치(30)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 2 경고등(32b)을 포함하여 정상작동 및 이상을 표시하는 경고등과; 상기 제 1 경고등(32a)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수단(33)과; 상기 증폭수단(33)의 입력측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레벨로 유지하여 출력하는 전압안정화수단(34)과; 상기 증폭수단(33)과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에 각각 연결되어 역기전력을 흡수하는 서지흡수수단(35a, 35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Stabilized Voltage Supply for Special Vehicles}
본 발명은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노면청소차 등과 같은 특수차량에서 배터리전압이 불규칙하여 전기부품이 파손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유지하여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면청소차 등과 같은 특수차량에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사이에 특수차량용 계기판넬이 구비되며, 차량의 각부에 상기 계기판넬에서 조작되는 스위칭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각 부품이 장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계기판넬 및 전기부품은 차량의 소정의 공간에 적재되어 연결되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는 차량의 시동, 점등, 점화시 전원을 공급하고, 차량의 전기부하가 공급장치의 용량을 초과할 경우 여분의 에너지공급원, 그리고 전기장치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DC 12V를 발생시키는 차량용 배터리는 과전압에 의한 차량 전기장치의 보호를 위해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으나, DC 24V를 이용하는 특수차량에서는 차량 전기장치의 보호를 위한 시스템 개발이 미흡하다. 즉, 특수차량의 배터리 전압은 시동시 또는 엔진의 분당회전수(RPM)조절에 따라서 DC 24V에서 29V까지 가변되기 때문에 배터리전압 자체가 불안하고 10A에서 최고 15A의 높은 전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특수차량에서 이용하는 전기장치의 부품은 24V ±10% 내에서 사용하여야 하나 불안정한 배터리전압과 높은 전류때문에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전압은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계기판넬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를 온하면 차량에 설치되는 각 특수목적에 따른 구동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며, 이와 같이 전원이 온되는 시점에서의 전압파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은 종래의 특수차량에서 전원이 온되는 시점에서의 전압파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특수차량의 계기판넬에 설치되는 차량의 전원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 이를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파형은 전원이 온되는 시점에서 0V를 유지하다가 갑자기 -25V정도로 떨어지다가 다시 248V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이 온되는 시점에서의 전압파형 측정과 아울러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에서의 전압파형을 측정하였으며,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은 종래의 특수차량에서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에서의 전압파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수차량의 계기판넬에 설치되는 차량의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키면, 전원이 유지되는 일정전압 레벨에서 갑자기 -300V정도로 떨어졌다가 다시 0V로 상승됨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특수차량용 배터리전압은 순간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불안정한 전압을 출력함에 따라 전기부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특수차량용 계기판넬 및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일정전압으로 유지시키고, 출력전압의 맥류제거 및 필터링을 통해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특수목적에 따라 제작되는 다수개의 구동장치를 구비하도록 제작된 특수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전기적 부하를 담당하는 배터리와; 스위칭온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치가 온됨에 따라 인가되는 배터리의 출력전압을 증폭 및 정류하여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정화장치와; 상기 안정화장치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해 온되어 상기 특수차량에 설치되는 각 구동장치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계기판넬과; 상기 계기판넬에서 인가되는 조작신호에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정화장치는 상기 전원스위치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 1 경고등과 상기 안정화장치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 2 경고등을 포함하여 정상작동을 표시하는 경고등과; 상기 제 1 경고등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의 입력측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레벨로 유지하여 출력하는 전압안정화수단과; 상기 증폭수단과 상기 전압안정화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역기전력을 흡수하는 서지흡수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정화장치는 상기 전원스위치의 출력측과 상기 계기판넬 및 상기 제 1 경고등의 입력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을 상기 계기판넬 또는 상기 제 1 경고등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바이패스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안정화장치는 상기 전압안정화수단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안정화장치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불안정한 전원에서 전류를 증폭하고, 전압을 일정레벨로 유지하도록 안정화시킴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시 순간적인 전압변동에 따른 전기부품의 소손이 방지되며, 아울러 바이패스스위치를 구비함에 따라 안정화장치의 고장시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가 증대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가 적용된 노면청소차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가 적용된 노면청소차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가 적용된 특수차량에서 전원이 온되는 시점의 전압변화를 측정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가 적용된 특수차량에서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의 전압변화를 측정한 그래프,
도 6은 종래의 특수차량에서 전원이 온되는 시점에서의 전압변화를 측정한 그래프,
도 7은 종래의 특수차량에서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에서의 전압변화를 측정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가 적용된 노면청소차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브러쉬(1)는 차량의 하면에서 돌출형성되어 노면에 접촉되어 회전되고, 흡입구(2)는 상기 브러쉬(1)의 일측에서 노면을 지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상기 브러쉬(1)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노면의 이물질(4)을 흡입하고, 적재함(3)은 차량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2)에서 흡입되는 이물질(4)이 저장되고, 운전석(5)은 차량의 전면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탑승하여 계기판넬(40)를 조작하고, 물탱크(6)는 상기 운전석(5)과 적재함(3)사이의 공간에서 내측에 소정량의 물을 저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1)에 물을 공급하고, 블로워(7)는 분할된 적재함(3)의 일측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2)의 부압을 발생시키며, 계기판넬(40)은 상기 운전석(5) 또는 조수석에 설치되어 각 전기적 구성에 각각 연결됨에 따라 각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신호의 입력 및 구동상태를 표시하고, 안정화장치(30)는 배터리(10)(도 2참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증폭 및 정류하여 일정레벨로 유지시키고, 바이패스스위치(31)는 상기 배터리(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계기판넬(40)과 안정화장치(30)에 선택적으로 인가하고, 제 1 및 제 2 경고등(32a, 32b)은 상기 안정화장치(30)의 구동상태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가 적용된 노면청소차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10)는 차량의 전원을 발생시키고, 전원스위치(20)는 상기 배터리(10)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통전시키고, 안정화장치(30)는 상기 배터리(10)에서 출력된 전원을 증폭 및 정류시켜 일정전압으로 유지하고, 계기판넬(40)은 특수차량의 각 구성요소의 조작신호의 입력 및 구동상태를 표시하고, 구동제어부(50)는 각 구성요소에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배터리(10)에서는 DC24V, 1A의 전원이 출력되어 상기 전원스위치(20)를 통하여 안정화장치(30)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안정화장치(30)는 인가되는 전원을 10A에서 최대 20A까지 증폭하고, 차량의 시동 및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DC24V에서 29V까지 가변되는 배터리(10)전압을 DC24V로 안정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계기판넬(40)은 상기 안정화장치(3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브러쉬(1), 흡입구(2) 등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신호 및 각 구성요소의 구동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계기판넬(40)에서 인가되는 조작신호에 따라서 상기 구동제어부(50)는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브러쉬(1), 흡입구(2) 등의 구성요소를 구동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패스스위치(31)는 배터리(10)와 안정화장치(30)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치(31a)와, 배터리(10)와 계기판넬(40)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치(31b)를 포함하고, 경고등(32a, 32b)은 안정화장치(30)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며, 증폭수단(33)은 배터리(10)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증폭하고, 전압안정화수단(34)은 상기 배터리(10)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 레벨로 안정화시키며, 서지흡수수단(35a, 35b)은 역기전력을 필터링하고, 냉각팬(36)은 상기 안정화장치(30)를 냉각시키고, 제 1 및 제 3 콘덴서(C1, C3)는 인가되는 전압의 맥류성분을 평활시키고, 제 2 및 제 4 콘덴서(C2, C4)는 순간전압변동을 방지하여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의 발진을 방지한다.
상기 전원스위치(20)는 상기 배터리(10)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스위치(31)는 상기 전원스위치(20)의 출력측에 연결된다. 이중 상기 제 1 스위치(31a)는 상기 전원스위치(20)가 연결되는 전원라인과 상기 안정화장치(30)에 연결되는 라인에 각각 연결되고, 제 2 스위치(31b)는 상기 전원스위치(20)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31)는 상기 전원스위치(20)가 연결되는 라인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스위치(31a)의 일측단자는 상기 안정화장치(30)에 연결되는 라인과 열결되는 제 1 접점(a)에 스위칭온되고, 또한 상기 안정화장치(30)에 연결되는 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 1 스위치(31a)의 타측단자는 상기 계기판넬(40)에 연결되는 제 2 접점(b)에 스위칭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치(31b)는 상기 계기판넬(40)에 연결되는 라인에 연결되는 제 3 접점(c)에 스위칭온된다.
그리고 제 1 경고등(32a)은 상기 제 1 접점(a)에 연결되는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경고등(32a)과 병렬로 과전압방지수단(Fuse)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경고등(32a)은 제 1 저항(R1)과 직렬연결된다.
또한 증폭수단(33)은 트랜지스터(Q1)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제 1 단자가 상기 제 1 경고등(32a)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제 2 단자가 배터리(10)의 (-)단자에 연결되는 라인에 연결되고, 제 3 단자가 상기 제 1 스위
치(31a)의 타측단자에 연결되는 라인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저항(R2)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제 1 단자의 입력측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저항(R2)의 출력측에는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의 입력측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의 입력측과 상기 제 2 저항(R2)사이에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의 출력측에는 냉각팬(36)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과 상기 냉각팬(36)사이에는 제 3 및 제 4 콘덴서(C3, C4)와 제 2 경고등(32b)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제 2 단자와 상기 배터리(10)의 (-)전원라인사이에는 제 1 서지흡수수단(35a)이 연결되고, 상기 제 4 콘덴서(C4)와 상기 제 2 경고등(32b)사이에는 제 2 서지흡수수단(35b)이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운전석(5)에 탑승하여 차량에 시동을 걸고, 운전석(5)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20)를 온하면, 상기 배터리(10)에서는 1A와 DC24V의 전원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바이패스스위치(31)를 스위칭하여 상기 제 1 스위치(31a)가 제 1 및 제 2 접점(a, b)과 온시키면, 상기 배터리(10)에서 출력된 전원은 상기 전원스위치(20)와 상기 바이패스스위치(31)를 경유하여 상기 안정화장치(30)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스위치(31)를 경유하는 전원은 과전압방지수단(Fuse)을 통해 상기 증폭수단(33)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1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서 이상상황에 따라 과전압이 발생되면 상기 과전압방지수단(Fuse)이 단락되어, 상기 제 1 경고등(32a)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경고등(32a)은 점등되어 과전압으로 인한 이상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경고등(32a)은 유색의 점등으로 갖고 형성됨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증폭수단(33), 즉 트랜지스터(Q1)는 제 2 단자를 통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온되어 제 1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1A의 배터리(10)출력전류를 10A에서 최대 20A까지 증폭하여 제 3 단자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제 2 단자에 형성된 제 1 서지흡수수단(35a)은 상기 배터리(10)의 출력전원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흡수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1)의 구동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은 입력단자(In)를 통해 인가되는 24V에서 29V까지의 가변되는 배터리(10)전압을 24V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3 콘덴서(C1, C3)는 인가되는 배터리(10)의 출력전압에서 맥류성분을 지닌 불안정한 전압흐름을 평활화시키고, 상기 제 2 콘덴서 및 제 4 콘덴서(C2, C4)는 상기 배터리출력전압의 ±200V의 순간변동전압을 필터링하여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의 발진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의 출력측(Out)에 연결되는 제 2 서지흡수수단(35b)은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의 출력전압에서 역기전력을 흡수하여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의 출력전압을 일정레벨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 및 증폭수단(33)에서 일정레벨로 증폭 및 정류된 전원은 상기 바이패스스위치(31)의 제1 스위치(31a)를 통하여 제 2 접점(b)을 통하여 계기판넬(40)에 출력된다.
이때 상기 냉각팬(36)은 인가되는 일정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안정화장치(30)가 발열됨을 방지하며, 상기 제 2 경고등(32b)은 점등되어 상기 안정화장치(30)의 정상구동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경고등(32a)은 과전압방지수단(Fuse)이 단락됨에 따라 점등되며, 그리고 상기 과전압방지수단(Fuse)이 단락됨에 따라 상기 제 2 경고등(32b)은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소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경고등(32a)이 점등되고, 제 2 경고등(32b)이 소등되면, 상기 안정화장치(30)의 이상이 발생했음을 확인하여 상기 바이패스스위치(31)를 스위칭하여 상기 배터리(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안정화장치(30)를 거치지않고 바로 상기 계기판넬(40)에 출력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바이패스스위치(31)의 제 1 스위치(31a)를 오프시키고, 제 2 스위치(31b)를 상기 제 3 접점(c)에 온시키므로써 상기 배터리(10)에서 출력된 전원은 상기 안정화장치(30)를 거치지않고 상기 계기판넬(40)에 직접 인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계기판넬(40)을 통해 조작신호를 입력하므로서 구동제어부(50)에 제어신호가 인가되고, 각 전기부품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노면청소차는 물탱크(6)의 물을 살수노즐을 이용하여 노면에 분사시키고, 브러쉬(1)를 이용하여 노면으로부터 이물질(4)을 분리시킨 후, 블로워(7)에서 발생된 부압을 이용하여 흡입구(2) 및 흡입호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노면의 이물질(4)을 흡입한 후 적재함(3)으로 적재시키는 과정을 연속적을 실시하여 노면을 청소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가 적용된 특수차량에서 전원이 온되는 시점의 전압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정화장치(30)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10)에 출력된 전압을 일정레벨로 유지시켜 출력함에 따라 도 6의 종래의 전원장치에서와 같이 -25V로 떨어짐에 비하여 0V에서 전압의 변동없이 248V로 유지됨이 측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가 적용된 특수차량에서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의 전압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수차량의 전원을 오프시켰을 때, 도 7의 종래의 전원장치에서와 같이 순간적인 전압의 변동없이 248V에서 0V로 변동함이 측정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 : 브러쉬 2 : 흡입구
3 : 적재함 4 : 이물질
5 : 운전석 6 : 물탱크
7 : 블로워 10 : 배터리
20 : 전원스위치 30 : 안정화장치
31 : 바이패스스위치 31a : 제 1 스위치
31b : 제 2 스위치 32a : 제 1 경고등
32b : 제 2 경고등 33 : 증폭수단
34 : 전압안정화수단 35a : 제 1 서지흡수수단
35b : 제 2 서지흡수수단 36 : 냉각팬
40 : 계기판넬 C1~C4 : 제 1 내지 제 4 콘덴서
50 : 구동제어부

Claims (3)

  1. 특수목적에 따라 제작되는 다수개의 구동장치를 구비하도록 제작된 특수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 부하를 담당하는 배터리(10)와, 스위칭온되어 상기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스위치(20)와, 상기 전원스위치(20)가 온됨에 따라 인가되는 배터리(10)의 출력전압을 증폭 및 정류하여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정화장치(30)와, 상기 안정화장치(30)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해 온되어 상기 특수차량에 설치되는 각 구동장치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계기판넬
    (40)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장치(30)는 전원스위치(20)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 1 경고등(32a)과 상기 안정화장치(30)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 2 경고등(32b)을 포함하여 정상작동 및 이상을 표시하는 경고등과;
    상기 제 1 경고등(32a)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수단(33)과;
    상기 증폭수단(33)의 입력측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레벨로 유지하여 출력하는 전압안정화수단(34)과;
    상기 증폭수단(33)과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에 각각 연결되어 역기전력을 흡수하는 서지흡수수단(35a, 3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장치(30)는
    상기 전원스위치(20)의 출력측과 상기 계기판넬(40) 및 상기 제 1 경고등(32a)의 입력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10)에서 출력된 전원을 상기 계기판넬(40) 또는 상기 제 1 경고등(32a)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바이패스스위치(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장치(30)는
    상기 전압안정화수단(34)의 출력측에 연결되므로서 상기 안정화장치(30)를 냉각시키는 냉각팬(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
KR1020190136734A 2019-10-30 2019-10-30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 KR20210051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734A KR20210051445A (ko) 2019-10-30 2019-10-30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734A KR20210051445A (ko) 2019-10-30 2019-10-30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445A true KR20210051445A (ko) 2021-05-10

Family

ID=7591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734A KR20210051445A (ko) 2019-10-30 2019-10-30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4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8333B2 (en) Motor with circuits for protecting motor from input power outages or surges
JPH04502848A (ja) 付加送風機付き発電機
JP2009085830A (ja) 産業車両における絶縁抵抗低下検出装置
JP2005339470A (ja) 車両用突入電流制限型電源スイッチ回路
KR100306009B1 (ko) 고장감지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냉각팬 구동장치
KR100799496B1 (ko) 차량용 센서의 보호장치
KR20210051445A (ko) 안정화된 특수차량용 전압공급장치
ES2544027T3 (es) Procedimiento de monitorización y dispositivo de monitorización para una instalación de revestimiento electrostática
JP4461156B2 (ja) 放電装置
KR100560145B1 (ko) 특수차량용 배터리전압의 안정화장치
KR200383030Y1 (ko) 특수차량용 배터리전압의 안정화장치
JP6457823B2 (ja) 電子機器
JP6014764B2 (ja) 電池システム監視装置
JP2002247771A (ja) 強電系バッテリの電圧センサ
KR101024496B1 (ko) 차량용 속도센서의 센서 보호 장치
CN115549054B (zh) 一种车载电压异常保护电路及车辆
KR20110022870A (ko) 전동차 보조전원장치
KR200439478Y1 (ko) 차량 배터리용 어댑터
JP5237716B2 (ja) 自動車用バッテリの瞬時ピーク電圧安定装置
US20180278145A1 (en) Overboost Suppressing Circuit for Boost Converter
JP3090819U (ja) 自動探知切換の自動車バッテリー充電装置
JPH03230863A (ja) 半田吸取器
KR200144237Y1 (ko) 로보트용 이상전원검출장치
KR0139784Y1 (ko) 회로 보호를 위한 선로 모니터 장치
JPH07147767A (ja) モータ駆動装置の電源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