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036A - 가스버너 - Google Patents

가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036A
KR20210051036A KR1020190135779A KR20190135779A KR20210051036A KR 20210051036 A KR20210051036 A KR 20210051036A KR 1020190135779 A KR1020190135779 A KR 1020190135779A KR 20190135779 A KR20190135779 A KR 20190135779A KR 20210051036 A KR20210051036 A KR 20210051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gas
burner
hole
fl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670B1 (ko
Inventor
김창현
이원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6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4Preventing flame lift-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6Protecting flame and burn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20Flame lift-off /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벤츄리바디를 구비하고, 이 벤츄리바디 상부에 버너바디를 설치하며, 버너바디 상면에 외면에 가스를 토출하는 주염공을 형성하되, 이 주염공에 대응하는 외면에 타깃부를 형성하고, 주염공을 기준으로 외면을 따라 보조염공을 형성한 버너헤드를 설치하며, 벤츄리바디의 체결홀에 화염발생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주염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가스에 화염발생부가 스파크를 일으켜 주염공에서 점화된 화염이 보조염공으로 불 옮김되도록 하되, 이때, 화염발생부가 주염공에서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여 가스버너의 정상작동 유무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염발생부재로 스파크를 일으켜 가스를 점화함과 동시에 주염공에서 점화된 화염을 화염발생부재로 감지할 수 있고, 단일의 화염발생부재로 스파크 및 화염감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부품수 감소와 동시에 원가가 절감되며, 단일의 화염발생부재를 유지보수 하여 청소가 간편하고, 교체가 손쉬운 장점이 있으며, 특히, 화염발생부재 상부가 리프트방지처마에 의해 커버되어, 화염발생부재로 국물이 낙하될 우려가 없고, 또한, 버너헤드의 주염공을 기준으로 외면을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보조염공을 형성하여, 보조염공을 통해 열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점화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가스버너{Gas burner}
본 발명은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바디에 설치된 화염발생부로 타깃부에 스파크를 일으켜 가스를 점화함과 동시에 점화된 화염을 화염발생부로 감지하는 가스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버너는 가스연료를 효율적으로 연소시켜 고온의 화염을 얻기 위한 장치로서, 가정용 풍로에 사용되는 소규모의 가정용 버너에서부터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 쓰이는 대규모의 공업용 버너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연료와 공기를 혼합시키는 방식으로서 예혼합형과 확산형의 2가지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주방의 싱크대 상판 하부에 내장시켜 사용하는 빌트인용 가스버너도 출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가스버너를 나타낸 것으로서, 버너와, 이 버너 상부에 설치되는 주열교환기와, 버너와 주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어 화염 여부를 식별하는 화염감시창과, 이 화염감시창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플러그로 구성된다.
여기서, 점화플러그는 플러그몸체와, 이 플러그몸체에 일단이 플러그몸체 일면으로 노출되되 타단이 타면으로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된 양극전극봉과, 음극전극봉 및 화염검지봉을 형성한다.
이때, 양극전극봉과 음극전극봉이 상기 플러그몸체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이 양극전극봉과 음극전극봉 사이에 화염검지봉이 형성된다.
특히, 양극전극봉과 음극전극봉은 화염검지봉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 형성되어, 버너에 스파크를 일으켜 버너에서 가스가 점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버너에서 화염이 생성되면 화염검지봉이 버너에서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여, 버너의 정상작동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양극, 음극전극봉 및 화염검지봉을 플러그몸체에 단순 결합한 것으로서, 양극전극봉, 음극전극봉 및 화염검지봉을 각각으로 설치하여 부품수가 증가되고, 이 부품수 증가로 인한 원가가 상승되며, 또한, 양극전극봉 또는 음극전극봉 중 어느 하나가 단락되는 경우 스파크를 일으키는데 제약이 발생되고, 이 제약으로 인해 양극전극봉, 음극전극봉 및 화염검지봉의 유지보수를 각각으로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주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가 플러그몸체로 낙하되어, 양극전극봉, 음극전극봉 또는 화염검지봉의 기능이 상실될 우려가 있고, 양극전극봉, 음극전극봉 및 화염검지봉이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점화플러그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없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1999-0019015 U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이 개방된 벤츄리바디를 구비하고, 이 벤츄리바디 상부에 버너바디를 설치하며, 버너바디 상면에 외면에 가스를 토출하는 주염공을 형성하되, 이 주염공에 대응하는 외면에 타깃부를 형성하고, 주염공을 기준으로 외면을 따라 보조염공을 형성한 버너헤드를 설치하며, 벤츄리바디의 체결홀에 화염발생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주염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가스에 화염발생부가 스파크를 일으켜 주염공에서 점화된 화염이 보조염공으로 불 옮김되도록 하되, 이때, 화염발생부가 주염공에서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여 가스버너의 정상작동 유무를 확인하는 가스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는, 상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체결홀을 형성하고, 상방으로 가스를 토출하는 벤츄리바디와; 상기 벤츄리바디 상부에 설치되고, 상방으로 가스를 통과시키는 버너바디; 상기 버너바디 상부에 설치되고, 외면에 상기 버너바디 상방으로 통과된 가스를 외측으로 토출하는 주염공을 형성하며, 상기 주염공에 대응하는 외면에 타깃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염공을 기준으로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보조염공을 형성한 버너헤드; 상기 벤츄리바디의 체결홀에 체결 고정되고, 그 말단이 상기 타깃부에 근접되어 상기 타깃부로 스파크를 일으키거나 혹은 상기 주염공에서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발생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는, 상기 주염공과 상기 타깃부 사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주염공을 통해 상기 화염발생부재 방향으로 토출되는 가스의 유속을 감쇠시키는 감쇠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감쇠턱은, 상기 타깃부와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상기 타깃부 방향으로 가스가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점화가스염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점화가스염공은, 상기 감쇠턱의 일면에서 상기 타깃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감쇠턱은, 상기 주염공과 마주보는 내벽면에 다단 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화염발생부재 방향으로 토출되는 가스의 유속을 감쇠시키는 감쇠단차턱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는, 상기 버너헤드 테두리 상면에서 상기 타깃부 상부를 커버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염발생부재에서 점화된 화염이 상기 버너헤드 테두리 상방으로 리프팅 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프팅방지처마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화염발생부재는, 상기 감쇠턱의 하단 높이에 대응하거나 혹은 상기 감쇠턱의 하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형성되어, 상기 감쇠턱을 경유하면서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타깃부는, 상기 화염발생부재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어, 상기 감쇠턱의 하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염발생부재로 스파크를 일으켜 가스를 점화함과 동시에 주염공에서 점화된 화염을 화염발생부재로 감지할 수 있고, 단일의 화염발생부재로 스파크 및 화염감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부품수 감소와 동시에 원가가 절감되며, 단일의 화염발생부재를 유지보수 하여 청소가 간편하고, 교체가 손쉬운 장점이 있으며, 특히, 화염발생부재 상부가 리프트방지처마에 의해 커버되어, 화염발생부재로 국물이 낙하될 우려가 없고, 또한, 버너헤드의 주염공을 기준으로 외면을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보조염공을 형성하여, 보조염공을 통해 열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점화성능이 향상되며, 단일의 화염발생부재 위치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 설치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의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벤츄리바디(100)는 상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체결홀(101)을 형성하고, 상방으로 가스를 토출한다.
상기 벤츄리바디(100)는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버너바디(200) 방향을 향해 직상방으로 토출한다.
상기 벤츄리바디(100)는 상기 체결홀(101)에 화염발생부재(400)를 고정하여, 상기 화염발생부재(400)의 말단을 상기 버너헤드(300)의 타깃부(302)에 근접 위치시킨다.
버너바디(200)는 상기 벤츄리바디(100) 상부에 설치되고, 상방으로 가스를 통과시킨다.
상기 버너바디(200)는 상기 벤츄리바디(100)로 부터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되, 이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가스를 상기 버너헤드(200) 방향으로 토출한다.
버너헤드(300)는 상기 버너바디(200) 상부에 설치되고, 외면에 상기 버너바디(200) 상방으로 통과된 가스를 외측으로 토출하는 주염공(301)을 형성하며, 상기 주염공(301)에 대응하는 외면에 타깃부(302)를 형성하고, 상기 주염공(301)을 기준으로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보조염공(303)을 형성한다.
상기 버너헤드(300)의 주염공(301) 크기는 상기 보조염공(303)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버너헤드(300)는 상기 주염공(301)과 상기 타깃부(302) 사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주염공(301)을 통해 상기 화염발생부재(400) 방향으로 토출되는 가스의 유속을 감쇠시키는 감쇠턱(304)을 형성한다.
상기 타깃부(302)는 상기 화염발생부재(400)에서 스파크가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상기 주염공(301)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를 점화한다.
상기 감쇠턱(304)은 상기 타깃부(302)와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상기 타깃부(302) 방향으로 가스가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점화가스염공(304a)을 더 형성한다.
상기 점화가스염공(304a)은 상기 타깃부(302) 일면에서 하방을 향해 절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화가스염공(304a)은 상기 감쇠턱(304)의 일면에서 상기 타깃부(302)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점화가스염공(304a)은 상기 주염공(301)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가 상기 타깃부(302)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감쇠턱(304)은 상기 주염공(301)과 마주보는 내벽면에 다단 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화염발생부재(400) 방향으로 토출되는 가스의 유속을 감쇠시키는 감쇠단차턱(304b)을 더 형성한다.
상기 감쇠단차턱(304b)은 상기 주염공(301)에서 토출되는 가스가 상기 감쇠턱(304)에 도달하기 전에 가스의 유속을 1차 감쇠시킨다.
상기 버너헤드(300)는 상기 버너헤드(300) 테두리 상면에서 상기 타깃부(302) 상부를 커버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염발생부재(400)에서 점화된 화염이 상기 버너헤드(300) 테두리 상방으로 리프팅 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프팅방지처마(305)를 더 형성한다.
상기 리프트방지처마(305)는 상기 버너헤드(300) 상방으로 낙하되는 국물이 상기 타깃부(302) 및 상기 화염발생부재(400)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타깃부(302)는 상기 화염발생부재(400)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어, 상기 감쇠턱(304)의 하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된다.
상기 타깃부(302)는 상기 감쇠턱(304)을 넘어오는 가스를 공급받아, 가스를 점화한다.
화염발생부재(400)는 상기 벤츄리바디(100)의 체결홀(101)에 체결 고정되고, 그 말단이 상기 타깃부(302)에 근접되어 상기 타깃부(302)로 스파크를 일으키거나 혹은 상기 주염공(301)에서 점화된 화염을 감지한다.
상기 화염발생부재(400)는 상기 감쇠턱(304)의 하단 높이에 대응하거나 혹은 상기 감쇠턱(304)의 하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형성되어, 상기 감쇠턱(304)을 경유하면서 점화된 화염을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체결홀(101)에 화염발생부재(400)를 결합한 벤츄리바디(100)를 구비하고, 이 벤츄리바디(100)의 상부에 버너바디(200)를 결합하여 상기 벤츄리바디(100)와 상기 버너바디(200)가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버너바디(200) 상부에 버너헤드(300)를 결합하여, 상기 버너바디(200)의 상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버너헤드(300)의 리프팅방지처마(305)로 상기 화염발생부재(400)의 상부를 덮어 커버한다.
이후, 상기 벤츄리바디(100) 내로 가스와 공기를 동시 공급하게 되면, 상기 벤츄리바디(100)의 상방을 통해 가스와 공기가 토출되고, 이어서, 상기 버너바디(200)로 공급된 후 상기 버너바디(200) 내에서 혼합되어 상기 버너헤드(300) 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러면, 상기 버너바디(200) 상부를 덮어 커버하는 상기 버너헤드(300) 저면에 충돌된 가스가 사방으로 퍼져 흩어지면서 상기 주염공(301) 및 보조염공(3023)을 통해 상기 버너헤드(300) 외측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버너헤드(300)의 타깃부(302)에 근접되게 설치된 상기 화염발생부재(400)로 스파크를 일으켜, 상기 화염발생부재(400)와 상기 타깃부(302) 사이에 스파크가 일어나도록 하면, 상기 주염공(301)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가 점화되어 화염이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염공(301)에서 생성된 화염은 상기 주염공(301)을 기준으로 상기 버너헤드(300) 외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보조염공(303)으로 불옮김되고, 이에따라, 상기 주염공(301) 및 보조염공(303)에서 화염이 생성되어 조리용기를 가열한다.
한편, 상기 주염공(301)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는 상기 감쇠턱(304)에 충돌한 후 상기 감쇠턱(304)을 넘어 상기 타깃부(302) 방향으로 토출됨으로써, 상기 주염공(301)에서 점화된 화염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속이 감쇠되어, 점화된 화염으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화염이 리프팅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감쇠턱(304)은 그 내벽면에 감쇠단차턱(304b)을 더 형성하고 있어, 상기 주염공(301)에서 토출된 가스가 상기 감쇠턱(304)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감쇠단차턱(304b)에서 1차 감쇠되고, 이어서, 상기 감쇠턱(304)에 의해 2차 감쇠되어, 상기 타깃부(302)와 상기 화염발생부재(400) 사이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속을 연속 감쇠시킨다.
이때, 상기 감쇠턱(304)은 화염발생부재(400) 방향으로 토출되는 가스를 상기 화염발생부재(4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상기 주염공(301)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와 상기 화염발생부재(4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켜, 상기 화염발생부재(400)로 부터 리프팅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쇠턱(304)에 충돌되는 가스중 일부는 상기 감쇠턱(304)의 일면에 형성된 점화가스염공(304a)을 통해 상기 타깃부(302)로 직접 공급되어, 상기 주염공(301)에서 점화된 화염으로 정해진 량의 가스가 공급되고, 이에따라, 상기 주염공(301)에서 점화된 화염의 성능이 향상된다.
만약, 상기 감쇠턱(304) 및 상기 점화가스염공(304a)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주염공(301)에서 점화된 화염이 리프팅 되는 경우에는, 화염이 상기 리프팅방지처마(305)로 치솟아 오름으로써 상기 리프팅방지처마(305)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주염공(301)에서 화염이 리프팅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 버너헤드(300)에서 점화된 화염에 의해 조리용기가 가열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조리용기 내의 국물이 넘쳐 흘러 상기 버너헤드(300)로 낙하되는 경우에는, 상기 버너헤드(300) 상면을 따라 이동하던 국물이 상기 버너헤드(300) 테두리에서 그대로 직하방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화염발생부재(400) 방향으로 흘러 내려가는 국물은 상기 리프트방지처마(305)에 차단되어 상기 화염발생부재(400) 및 타깃부(302)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화염발생부재(400) 및 타깃부(302)에 국물이 고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상기 버너헤드(300) 외면을 타고 국물이 흘러내려 상기 타깃부(302) 및 상기 감쇠턱(304)에 도달하게 되면, 하방을 향하도록 돌출된 상기 타깃부(302) 외면 및 상기 감쇠턱(304) 외면을 타고 흐르던 국물이 그대로 직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타깃부(302) 및 감쇠턱(304)에 국물이 고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화염발생부재(400)는 스파크를 일으켜 상기 버너헤드(300)에서 토출되는 가스를 점화한 후, 이어서, 상기 버너헤드(300)의 주염공(301)에서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여 가스버너의 정상작동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벤츄리바디(100)에 스파크 및 화염감지 기능을 겸비한 화염발생부재(400)를 고정 설치하되, 이 화염발생부재(400)의 말단이 버너헤드(300)의 타깃부(302)에 근접 위치되도록 하여, 화염발생부재(400)로 스파크 발생 및 화염을 동시에 감지하는 구조는, 화염발생부재(400)로 스파크를 일으켜 가스를 점화함과 동시에 주염공(301)에서 점화된 화염을 화염발생부재(400)로 감지할 수 있고, 단일의 화염발생부재(400)로 스파크 및 화염감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부품수 감소와 동시에 원가가 절감되며, 단일의 화염발생부재(400)를 유지보수 하여 청소가 간편하고, 교체가 손쉬운 장점이 있으며, 특히, 화염발생부재(400) 상부가 리프트방지처마(305)에 의해 커버되어, 화염발생부재(400)로 국물이 낙하될 우려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가스버너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벤츄리바디 101 : 체결홀
200 : 버너바디 300 : 버너헤드
301 : 주염공 302 : 타깃부
303 : 보조염공 304 : 감쇠턱
304a : 점화가스염공 304b : 감쇠단차턱
305 : 리프팅방지처마 400 : 화염발생부재

Claims (8)

  1. 상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체결홀(101)을 형성하고, 상방으로 가스를 토출하는 벤츄리바디(100)와;
    상기 벤츄리바디(100) 상부에 설치되고, 상방으로 가스를 통과시키는 버너바디(200);
    상기 버너바디(200) 상부에 설치되고, 외면에 상기 버너바디(200) 상방으로 통과된 가스를 외측으로 토출하는 주염공(301)을 형성하며, 상기 주염공(301)에 대응하는 외면에 타깃부(302)를 형성하고, 상기 주염공(301)을 기준으로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보조염공(303)을 형성한 버너헤드(300);
    상기 벤츄리바디(100)의 체결홀(101)에 체결 고정되고, 그 말단이 상기 타깃부(302)에 근접되어 상기 타깃부(302)로 스파크를 일으키거나 혹은 상기 주염공(301)에서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발생부재(4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300)는,
    상기 주염공(301)과 상기 타깃부(302) 사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주염공(301)을 통해 상기 화염발생부재(400) 방향으로 토출되는 가스의 유속을 감쇠시키는 감쇠턱(30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턱(304)은,
    상기 타깃부(302)와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상기 타깃부(302) 방향으로 가스가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점화가스염공(304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가스염공(304a)은,
    상기 감쇠턱(304)의 일면에서 상기 타깃부(302)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턱(304)은,
    상기 주염공(301)과 마주보는 내벽면에 다단 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화염발생부재(400) 방향으로 토출되는 가스의 유속을 감쇠시키는 감쇠단차턱(304b)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300)는,
    상기 버너헤드(300) 테두리 상면에서 상기 타깃부(302) 상부를 커버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염발생부재(400)에서 점화된 화염이 상기 버너헤드(300) 테두리 상방으로 리프팅 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프팅방지처마(305)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발생부재(400)는,
    상기 감쇠턱(304)의 하단 높이에 대응하거나 혹은 상기 감쇠턱(304)의 하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형성되어, 상기 감쇠턱(304)을 경유하면서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부(302)는,
    상기 화염발생부재(400)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어, 상기 감쇠턱(304)의 하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KR1020190135779A 2019-10-29 2019-10-29 가스버너 KR102281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779A KR102281670B1 (ko) 2019-10-29 2019-10-29 가스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779A KR102281670B1 (ko) 2019-10-29 2019-10-29 가스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036A true KR20210051036A (ko) 2021-05-10
KR102281670B1 KR102281670B1 (ko) 2021-07-26

Family

ID=7591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779A KR102281670B1 (ko) 2019-10-29 2019-10-29 가스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6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75A (ja) * 1997-07-08 1999-01-26 Rinnai Corp こんろバーナ
KR19990019015U (ko) 1997-11-15 1999-06-05 최병숙 화염감지봉과 일체화된 보일러의 점화플러그
KR20120126607A (ko) * 2011-05-12 2012-11-21 주식회사 동양 가스기기의 이중 화염 버너
KR101694208B1 (ko) * 2015-06-30 2017-01-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버너용 점화부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75A (ja) * 1997-07-08 1999-01-26 Rinnai Corp こんろバーナ
KR19990019015U (ko) 1997-11-15 1999-06-05 최병숙 화염감지봉과 일체화된 보일러의 점화플러그
KR20120126607A (ko) * 2011-05-12 2012-11-21 주식회사 동양 가스기기의 이중 화염 버너
KR101694208B1 (ko) * 2015-06-30 2017-01-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버너용 점화부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670B1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0214A (ko) 곤로용 버너
CN202973232U (zh) 可充分利用烟气余热的炉灶壁结构
JP7281067B2 (ja) 多炎孔バーナ
CN107340735B (zh) 蒸柜的双控制系统
KR101634784B1 (ko) 다용도 난로
KR20210051036A (ko) 가스버너
KR100882815B1 (ko) 곤로용 버너
JP6434250B2 (ja) ガスバーナー
CN109959008B (zh) 一种用于燃气灶的燃烧器火盖
CN106765337B (zh) 一种燃气蒸烤箱
CN212618563U (zh) 一种适用于圆底锅的家用燃烧器防风圈
JP6247545B2 (ja) ガスコンロ
US20130081611A1 (en) Hot surface igniter shield for a gaseous fuel appliance
CN209569772U (zh) 一种方便清洗且带有聚能环的触屏感应式灶具
CN217737198U (zh) 一种灶具双旋火燃烧器
CN112856492A (zh) 燃烧器及包含其的燃气灶具
CN107340736B (zh) 蒸柜的控制系统
CN106439938B (zh) 一种炉底全封闭式上进风高效燃气灶
KR100407205B1 (ko) 열효율을 개선한 가스 튀김기의 구조
CN109556144A (zh) 一种方便清洗、易调节且带有聚能环的灶具
CN216557133U (zh) 一种用于燃气灶的燃烧器
KR101623633B1 (ko) 조리기기
CN217875949U (zh) 一种带熄火保护的炉头
CN213577598U (zh) 多功能商用灶台
CN221076537U (zh) 防堵燃气炉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