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222A -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222A
KR20210050222A KR1020190134572A KR20190134572A KR20210050222A KR 20210050222 A KR20210050222 A KR 20210050222A KR 1020190134572 A KR1020190134572 A KR 1020190134572A KR 20190134572 A KR20190134572 A KR 20190134572A KR 20210050222 A KR20210050222 A KR 20210050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eam
injection port
guide duct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김진백
서응렬
이건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222A/ko
Priority to PCT/KR2020/009278 priority patent/WO2021085802A1/ko
Publication of KR2021005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222A/ko
Priority to US17/661,146 priority patent/US2022025177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5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phases,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Abstract

의류 관리기가 개시된다. 의류 관리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기계실에 마련되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상기 의류 관리실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스팀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스팀분사장치와, 상기 스팀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될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스팀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개시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인 의류 관리실과,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는 입구가 의류 관리실 내 고정된 장소에 위치해 있어 스팀이 의류 관리실 내부로 분사될 시 의류 관리실 내 스팀 유동이 고정된 분사 방향을 가진다. 한편, 여러 개의 의류지지부재가 의류관리실 상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옷이 다양한 위치에 걸릴 수 있고, 걸려있는 옷의 위치에 따라 스팀이 옷에 묻는 양이 달라질 수 있다.
옷이 스팀 유동 방향에 위치한 경우 많은 양의 스팀이 옷에 묻을 수 있지만, 옷이 스팀 유동 방향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적은 양의 스팀이 옷에 묻을 수 있다. 복수개의 옷이 위치해 있을 경우 고정된 스팀 유동 방향에 의해 옷에 묻는 스팀의 양이 옷 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스팀 유동 방향으로 인해 스팀이 옷에 균일하게 묻지 못할 수 있다. 옷에 묻는 스팀의 양이 작아지는 것으로 인해 옷의 주름 펴짐이 줄어들고 살균 및 탈취 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간단한 구성으로 스팀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의류의 걸리는 위치에 따른 묻는 스팀 양의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기계실에 마련되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상기 의류 관리실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스팀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스팀분사장치와, 상기 스팀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될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스팀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 연결되는 가이드 덕트와, 상기 가이드 덕트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공기를 강제 송풍 시키도록 구성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가이드 덕트 내에 유로의 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이드 덕트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1 분사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2 분사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2 가이드 덕트를 개폐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2 가이드 덕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덕트를 개방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덕트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실 내의 의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마련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조절장치에서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1 분사구로 공기를 송풍 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2 분사구로 공기를 송풍 시킬 수 있는 양방향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류 관리실 내의 의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도록 마련되는 위치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조절장치에서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와 연결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구와 연결되는 제1 밸브와, 상기 제2 분사구와 연결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기류 유입구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마련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기류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기류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기류 배출구에서 분사될 기류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풍향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바는 상기 회전바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기계실에 마련되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상기 의류 관리실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스팀분사장치와,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로부터 이격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분사구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2 분사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될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스팀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공기 분사구에 연결되는 가이드 덕트와, 상기 가이드 덕트를 통해 상기 의류관리실로 공기를 강제 송풍 시키도록 구성되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가이드 덕트 내 유로의 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덕트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2 분사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분사구로 공기를 송풍 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분사구로 공기를 송풍 시킬 수 있는 양방향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류 관리실 내의 의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도록 마련되는 위치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조절장치에서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스팀분사장치에서 의류 관리실로 분사되는 스팀의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므로, 스팀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의류에 고르게 묻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스팀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스팀이 의류에 고르게 묻기 때문에, 옷의 주름 펴짐과 살균 및 탈취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분리된 모습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스팀분사장치와 제1 가이드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스팀분사장치와 유량조절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분리된 모습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의류 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기(1)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의류 지지부재(50)와,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가열 또는 제습 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30)가 마련되는 기계실(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캐비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어(20)는 힌지, 링크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의류 관리실(11)은 캐비닛(13)에 마련되는 상면(13a)과, 하면(13b)과, 좌측면(13c)과, 우측면(13d)과, 후면(13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전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0)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의류 관리실(11)의 개구도 함께 개폐될 수 있다.
의류관리기(1)는 사용자로부터 의류 관리실(11) 내의 의류 위치를 입력 받도록 마련되는 위치입력장치(22)가 마련될 수 있다. 위치입력장치(22)의 입력에 따라 의류 위치를 고려하여 컨트롤러(160)에서 공기 분사구(121)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는 후술한다. 도면에서 위치입력장치(22)는 도어(20)에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의류관리기의 어디든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의류 관리실(11)의 내부에는 의류가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의류 지지부재(50)가 마련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의류가 거치될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의류 지지부재(5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제1기류 유입구(11a) 및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1기류 배출구(11b) 및 제2기류 배출구(12b), 그리고 증기 배출구(4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와 제1기류 배출구(1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3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3b)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1기류 배출구(1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3b)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류 유입구(12a)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3e)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3a)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2기류 배출구(1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 배출구(11b)에는 기류가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잘 퍼지게 하기 위한 배출 그릴(400)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배출구(12b)는 의류 지지부재(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의류 지지부재(50)에 형성된 에어 홀(미도시)을 통해 의류 지지부재(50)에 거치된 의류에 전달되게 된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은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급수통(15b)은 후술하게 되는 스팀발생장치(4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된다. 급수통(15b)의 물이 스팀발생장치(4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급수통(15b)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은 기계실(13)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13)은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된다. 기계실(13)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마련된다. 기계실(13)은 필요에 따라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3)의 내부에는 송풍팬(32), 열 교환장치(30) 그리고 스팀발생장치(40)가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3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열 교환장치(3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33), 압축기(35), 응축기(34)를 구비하며,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된다.
열 교환장치(30)의 증발기(3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35)를 거쳐 응축기(3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33)와 응축기(34)가 열 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송풍팬(32)에 의해 기계실(13)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33)와 응축기(3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게 된다.
기계실(13)에 설치되는 열 교환장치(30)는 증발기(33)와 응축기(34) 및 송풍팬(32)을 연결하는 제1덕트(31)를 포함하고, 제1덕트(31)는 의류 관리실(11)에 연결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1덕트(31) 사이를 순환하는 제1순환유로(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덕트(31)는 의류 관리실(11)의 제1기류 유입구(11a)와 제1기류 배출구(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제1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제1덕트(31)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기류 배출구(11b)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다시 배출한다.
제1덕트(31)는 제1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기류 배출구(11b)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송풍팬(32)은 제1덕트(31) 상에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를 제1덕트(3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제1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제1순환유로(39)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열 교환장치(30)를 통과하며 제습 및 가열되고, 제습 및 가열된 공기는 제1기류 배출구(11b)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기계실(13)의 급수통(15b)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급수통(15b)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부(41)와, 생성된 스팀을 후술하는 스팀분사장치(100)로 안내하는 스팀 공급관(4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장치(100)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발생부(41)의 내부에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어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후면에는 스팀분사장치(100)가 설치되기 위한 스팀분사장치 설치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스팀분사장치 설치부(4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스팀분사장치 설치부는 의류 관리실 후면 중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팀분사장치 설치부는 별도의 브라켓으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스팀분사장치 설치부(43)는 증기 배출구(4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응축수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도어 가이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가이드(21)는 도어(20)의 배면에 응결되어 형성되는 응축수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 가이드(21)는 도어(20)의 배면으로부터 의류 관리실(30)을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는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배수통(15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72)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제2덕트(71)를 포함하고, 제2덕트(71)의 내부에는 송풍장치(7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2덕트(71)를 순환하는 제2순환유로(70)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70)는 제2순환유로(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관리실(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관리실(11)의 후면 상측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필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는 의류 지지부재(50)에 연결되어 제2덕트(71)의 공기가 의류 지지부재(50)로 전달되게 된다.
제2덕트(71)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장치(72)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기류 유입구(12a)를 통해 흡입하여 제2덕트 배출구(71a) 및 제2기류 배출구(12b)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의류 관리실(11)의 내부 공기는 제2덕트(71)로 유입 시 제2기류 유입구(12a)의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 제2덕트(71)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부재(60)에 의해 먼지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의류 관리 시, 의류 지지부재(50)에 의류를 거치하고 도어(20)를 닫은 상태에서 동작시킨다. 이때, 의류 관리실(11)은 제1순환유로(39)와 제2순환유로(70)를 따라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 후면 하부에는 제1 가이드(410)가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의 후면 좌측부에는 제2 가이드(미도시), 후면 우측부에는 제3 가이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가이드(410)에 공기 분사구(121) 및 스팀분사노즐(110)이 마련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가이드와, 제3 가이드에도 공기 분사구(121) 및 스팀분사노즐(11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스팀분사장치와 제1 가이드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스팀분사장치와 유량조절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의류 관리실(11)의 후방 하측에는 스팀분사장치(100)와, 스팀분사장치(100)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방향을 바꾸도록 마련되는 공기 분사구(121), 공기 분사구(121)에서 분사될 공기 유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조절장치(120)가 배치될 수 있다. 조절장치(120)는 유량조절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분사구(121)와 스팀분사노즐(110)은 제1 가이드(410)에 마련될 수 있다.
스팀분사장치(100)는 스팀발생장치(40)로부터 공급받은 스팀을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팀분사장치(100)는 스팀을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분사하는 스팀분사노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10)과 공기 분사구(121)는 의류가 거치되는 의류 관리실(11)의 의류 지지부재(50)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10)과 공기 분사구(121)는 스팀을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3a)을 향해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10)은 스팀이 광범위하게 분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10)은 스팀이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갈수록 개구의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140)는 의류 관리실로 공기를 강제 송풍 시키도록 공기 분사구(121)의 후방에 마련되는 팬(143)과, 스팀을 원하는 방향으로 분사하도록 의류 관리실의 후면(13e)에 마련되는 공기 분사구(121)와, 팬(143)에서 발생한 바람을 공기 분사구(121)로 안내하는 가이드 덕트(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팬(143), 가이드 덕트(141), 공기 분사구(121)는 1개씩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41)는 공기 분사구(121)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1 부분(141a)과, 캐비닛(13)의 상면(13a)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141b)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분사구(121)로 인해 스팀분사노즐(110)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의 후면(13e)에서 보아 스팀분사노즐(110)의 좌측에 배치된 공기 분사구(121)가 스팀분사노즐(110)의 우측 방향을 향해 공기가 분사되기 때문에 스팀을 우측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140)는 공기 분사구(121)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스팀의 방향이 원활하게 바뀌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는 가이드 덕트(141)의 단부가 우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이드 덕트(141)가 의류 관리기(1)의 상면(13a)과 전면 사이를 향하도록 마련되고, 공기가 강하게 분사된다면 스팀을 좌측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공기 분사구(121)는 스팀분사노즐(110)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더 원활하게 스팀의 방향을 바꾸도록 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140)는 가이드 덕트(141)와, 팬(143)을 통해 공기 분사구(121)에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140)는 가이드 덕트(14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145)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45)는 가이드 덕트(141) 내의 유로 면적을 조절하여 공기 분사구(121)에 공급되는 공기 유량을 조절 할 수 있다.
댐퍼(145)는 가이드 덕트(141)와 충돌시 충격을 줄이기 위해 충격완화부재(145a)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완화부재(145a)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45)는 스텝 모터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 내의 의류 위치를 검출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센서(130)와, 센서(130)의 출력에 따라 공기 분사구(121)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0)는 의류 관리실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센싱하여 의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1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130)는 의류 관리실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컨트롤러(160)에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는 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정보에 따라 공기 분사구(121)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센서(130)는 공기 분사구(121)와 스팀분사노즐은 도면에서 센서(130)는 의류 관리실 후면(13e) 하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의류 관리실의 상면(13a), 하면(13b), 좌측면(13c), 우측면(13d)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130)는 의류 관리실(11) 내에 수용되는 의류를 인식하는 다양한 센서(130)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13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스위칭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은 댐퍼(145)가 가이드 덕트(141)를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로, 공기 분사구(121)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도 6(b)은 댐퍼(145)가 가이드 덕트(141)를 일부만 폐쇄하는 경우로, 공기 분사구(121)로 폐쇄한 경우보다 많은 공기가 공급된다. 도 6(c)은 댐퍼(145)가 가이드 덕트(141)를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로, 공기 분사구(121)로 팬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공기가 공급된다. 이를 통해, 공기 분사구(121)에 공급될 공기 유량을 조절하여 분사되는 스팀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분사구는 스팀분사노즐(110)을 향해 캐비닛의 우측면(13d)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스팀분사노즐(110)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분사구(221)와, 스팀분사노즐(110)을 향해 캐비닛의 좌측면(13c)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스팀분사노즐(110)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분사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240)는 제1 가이드 덕트(241)와, 제1 팬(243)과, 제2 가이드 덕트(242)와, 제2 팬(244)과, 제1 댐퍼(245)와, 제2 댐퍼(246)와, 제1 케이스(247)와, 제2 케이스(2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분사구(221)와 제2 분사구(222)로 인해 원하는 방향으로 스팀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240)는 제1 가이드 덕트(241)와, 제1 팬(243)을 통해 제1 분사구(221)에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덕트(242)와, 제2 팬(244)을 통해 제2 분사구(222)에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241, 242)는 공기 분사구(221, 222)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1 부분(241a)과, 캐비닛(13)의 상면(13a)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24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유량조절장치(340)는 제1 가이드 덕트(341)와, 제2 가이드 덕트(342)와, 양방향 팬(343)과, 제1 케이스(347)와, 제2 케이스(348)를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팬(343)은 제1 케이스(347)와 제2 케이스(348)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8(a)에서 양방향 팬(343)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팀의 방향을 바꾸도록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1 가이드 덕트(341)로 송풍시킬 수 있다. 제1 가이드 덕트(341)에서 제1 분사구(321)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2 분사구(322)를 통해 제2 가이드 덕트(342)로 회수될 수 있다.
도 8(b)에서 양방향 팬(343)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팀의 방향을 바꾸도록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2 가이드 덕트(342)로 송풍시킬 수 있다. 제2 가이드 덕트(342)에서 제2 분사구(322)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1 분사구(321)를 통해 제1 가이드 덕트(341)로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팬으로 제1 분사구(321)와, 제2 분사구(322)에 공기를 모두 송풍시킬 수 있다.
가이드 덕트(341, 342)는 공기 분사구(321, 322)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1 부분(341a)과, 캐비닛(13)의 상면(13a)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34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유량조절장치(440)는 공기 분사구와 연결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는 제1 가이드(41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440)는 제1 밸브(455)와, 제1 팬(444)과, 제1 케이싱(447)과, 제2 밸브(456)와, 제2 팬(444)과, 제2 케이싱(44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밸브는 2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440)는 밸브(455, 456)를 이용하여 팬(443, 444)의 세기와 무관하게 공기 분사구에 공급될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팬(443)의 세기와 상관 없이 제1 밸브(455)를 열고 닫음으로써 제1 분사구(421)에 공급될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팬(444)의 세기와 상관 없이 제2 밸브(456)를 열고 닫음으로써 제2 분사구(422)에 공급될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441, 442)는 공기 분사구(421, 422)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1 부분(441a)과, 캐비닛(13)의 상면(13a)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44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량조절장치(540)는 제1 가이드 덕트(541) 및 제2 가이드 덕트(542)를 개폐 할 수 있도록 가이드 덕트(541, 54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5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540)는 제1 분사구(521)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덕트(541)와, 제2 분사구(522)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덕트(5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0(a)에서 댐퍼(54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가이드 덕트(541)를 개방하여 제1 분사구(521)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도 10(b)에서 댐퍼(54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가이드 덕트(542)를 개방하여 제2 분사구(522)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댐퍼(545)가 회전하지 않고 중립 위치에 있을 경우 공기의 흐름이 멈출 수 있다. 중립 위치란 제1 가이드 덕트(541)와 제2 가이드 덕트(542)로 흐르는 유량이 없는 때의 댐퍼 위치이다.
댐퍼(545)는 유로와 충돌시 충격을 줄이기 위해 충격완화부재(545a)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완화부재(545a)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의류 관리기(1)는 의류 관리실(11) 내에 기류 유입구 및 기류 배출구의 풍향을 이용하여 스팀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장치(120)는 풍향조절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기류 유입구(11a)로 유입된 공기는 제1덕트(31)와 제1순환유로(39)를 통해 제1기류 배출구(11b)를 지나며 배출그릴(4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20)는 제1기류 배출구(11b)에서 분사될 기류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20)는 캐비닛의 후면(13e)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기류 유입구는 제1기류 유입구(11a), 기류 배출구는 제1기류 배출구(1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의류 관리기(1)의 전면에서 풍량조절장치(4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배출 그릴(400)이 생략되었다. 풍향조절장치(420)는 회전축(423)과, 회전축(42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바(424)와, 회전바(424)를 연결시키는 연결바(42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바(424)는 연결축(4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423)은 스텝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423)이 회전하여 회전바(424)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연결축(426)로 연결된 연결바(426)를 통해 다른 회전바(424)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축(423)은 적어도 하나가 회전하여 하나 이상의 회전바(424)를 회전시킬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20)는 복잡한 구성 추가 없이 간단한 구성을 통해 스팀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60)는 유량조절장치(140, 240, 340, 440, 540) 및 풍향조절장치(42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위치입력장치(22)를 사용하여 컨트롤러(160)에 의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유량조절장치(140, 240, 340, 440, 540) 및 풍향조절장치(4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실(11) 내에 마련된 센서(130)가 의류의 위치를 측정하여 컨트롤러(160)가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거나 컨트롤러(160)가 유량조절장치(140, 240, 340, 440, 540) 및 풍향조절장치(4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의류관리기 10 : 본체
11 : 의류 관리실 13 : 캐비닛
11a : 제1기류 유입구 12a : 제2기류 유입구
11b : 제1기류 배출구 12b : 제2기류 배출구
20 : 도어 30 : 열 교환장치
40 : 스팀발생장치 50 : 의류지지부재
100 : 스팀분사장치 121 : 공기 분사구
130 : 센서 160 : 컨트롤러
420 : 풍향조절장치 423 : 회전축
140, 240, 340, 440, 540 : 유량조절장치

Claims (20)

  1. 의류 관리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기계실에 마련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상기 의류 관리실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스팀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스팀분사장치;
    상기 스팀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될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스팀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 연결되는 가이드 덕트와, 상기 가이드 덕트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공기를 강제 송풍 시키도록 구성되는 팬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가이드 덕트 내에 유로의 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이드 덕트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1 분사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2 분사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2 가이드 덕트를 개폐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2 가이드 덕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덕트를 개방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덕트를 개방하는 의류 관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실 내의 의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마련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조절장치에서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시키는 의류 관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1 분사구로 공기를 송풍 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2 분사구로 공기를 송풍 시킬 수 있는 양방향 팬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류 관리실 내의 의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도록 마련되는 위치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조절장치에서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시키는 의류 관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와 연결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구와 연결되는 제1 밸브와, 상기 제2 분사구와 연결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기류 유입구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마련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기류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는 상기 기류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기류 배출구에서 분사될 기류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풍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바는 상기 회전바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6. 의류 관리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기계실에 마련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상기 의류 관리실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스팀분사장치;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로부터 이격되는 제1 분사구;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스팀분사노즐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분사구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2 분사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될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스팀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공기 분사구에 연결되는 가이드 덕트와, 상기 가이드 덕트를 통해 상기 의류관리실로 공기를 강제 송풍 시키도록 구성되는 팬을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가이드 덕트 내 유로의 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덕트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덕트와, 상기 제2 분사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분사구로 공기를 송풍 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분사구로 공기를 송풍 시킬 수 있는 양방향 팬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류 관리실 내의 의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도록 마련되는 위치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조절장치에서 공기의 유량 또는 풍향을 조절시키는 의류 관리기.
KR1020190134572A 2019-10-28 2019-10-28 의류 관리기 KR20210050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572A KR20210050222A (ko) 2019-10-28 2019-10-28 의류 관리기
PCT/KR2020/009278 WO2021085802A1 (ko) 2019-10-28 2020-07-15 의류 관리기
US17/661,146 US20220251774A1 (en) 2019-10-28 2022-04-28 Clothes car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572A KR20210050222A (ko) 2019-10-28 2019-10-28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222A true KR20210050222A (ko) 2021-05-07

Family

ID=7571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572A KR20210050222A (ko) 2019-10-28 2019-10-28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51774A1 (ko)
KR (1) KR20210050222A (ko)
WO (1) WO20210858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091A (ja) * 1997-02-26 1998-09-08 Hitachi Ltd 乾燥機及び衣類乾燥機
US6189346B1 (en) * 1997-07-25 2001-02-20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030126691A1 (en) * 2001-12-20 2003-07-10 Gerlach Christian Gerhard Friedrich Fabric articl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50223502A1 (en) * 2004-04-09 2005-10-13 Kleker Richard G Apparatus for processing garments including a hanger mechanism
US7235109B2 (en) * 2004-04-12 2007-06-26 Kleker Richard G Apparatus for processing garments including a water and air system
JP2006280434A (ja) * 2005-03-31 2006-10-19 Toto Ltd 衣類乾燥装置システム
KR101265605B1 (ko) * 2006-07-04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430457B1 (ko) * 2007-11-12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20074557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54875B1 (ko) * 2017-05-18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999535B1 (ko) * 2017-12-08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JP2020103367A (ja) * 2018-12-26 2020-07-09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衣類処理装置
KR20210064655A (ko) * 2019-11-26 2021-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51774A1 (en) 2022-08-11
WO2021085802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7626B2 (en) Cloth treating apparatus
US9764053B2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US8539694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220313061A1 (en) Shoe care apparatus
KR102627701B1 (ko) 의류 관리기
KR20200025946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WO2010109794A1 (ja) 暖房乾燥機および暖房乾燥機の制御方法
KR20210009694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151535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098986B2 (ja) 洗濯乾燥機
KR20200080962A (ko) 의류 관리기
KR20210050222A (ko) 의류 관리기
KR1012953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118689A (ko) 의류처리장치
JP5447586B2 (ja) 洗濯乾燥機
KR20210011699A (ko) 의류 관리기
KR102544464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138890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0088860A (ja) 洗濯乾燥機
KR10186393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6111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34875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