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142A -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142A
KR20210050142A KR1020190134392A KR20190134392A KR20210050142A KR 20210050142 A KR20210050142 A KR 20210050142A KR 1020190134392 A KR1020190134392 A KR 1020190134392A KR 20190134392 A KR20190134392 A KR 20190134392A KR 20210050142 A KR20210050142 A KR 20210050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ab
efficiency
busbar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옥
김경주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3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142A/ko
Publication of KR2021005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와 부스바 상호를 볼트부재를 통해 연결 및 고정하여 전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접촉 불량 발생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며, 불량이 발생한 전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는 복수의 전지를 상호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 스폿 용접 또는 납땜 공정 없이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 상호를 연결 및 접속시켜 전지에 고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폿 용접 또는 납땜 공정이 없어 불량이 발생한 전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전지와 부스바를 지속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접촉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Busbar connector for increasing secondary battery stability and efficiency}
본 발명은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와 부스바 상호를 볼트부재를 통해 연결 및 고정하여 전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접촉 불량 발생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며, 불량이 발생한 전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축전지는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전지이다. 소용량의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이차 전지는 전기 자전거, 스쿠터,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및 지게차(Fork lift)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과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의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이차 전지를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하기 위하여 단위 셀로 사용하거나, 대용량 구현을 위하여 복수의 단위 셀들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전지 팩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전지 팩은 복수의 단위 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탭 또는 부스바를 사용하며, 일 측의 탭이나 부스바에서 전류를 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 이차 전지 팩을 생산하는 경우 복수의 단위 셀들을 동일한 평면상에서 서로 접촉되게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고 각각의 단위 셀과 탭을 용접하는데, 이 용접 품질의 관리가 어렵고, 작업성 및 생산성 저하 및 트러블(trouble)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게 되고, 고열로 인한 전지의 손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제품 불량이 야기되거나 전지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0812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21987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6-000283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전지를 상호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 스폿 용접 또는 납땜 공정이 없어 전지에 고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폿 용접 또는 납땜 공정이 없어 불량이 발생한 전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전지와 부스바를 지속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접촉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는 전지의 길이방향 일 측의 양극단자부에 형성된 제1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1탭부와, 상기 제1탭부의 단부에 상기 제1탭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전지의 양극단자부에 접촉되는 제1부스바를 상기 전지의 양극단자부에 밀착시키는 제1헤드부를 포함하는 제1말단결합부와; 상기 전지의 길이방향 타 측의 음극단자부에 형성된 제2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2탭부와, 상기 제2탭부의 단부에 상기 제2탭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전지의 음극단자부에 접촉되는 제2부스바를 상기 전지의 음극단자부에 밀착시키는 제2헤드부를 포함하는 제2말단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지들을 직렬로 연결시 일 측 전지의 양극단자부와 타 측 전지의 음극단자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 전지를 서로 접속시키는 중간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결합부는 일 측 전지의 양극단자부에 형성된 제1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1연결탭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 전지의 음극단자부에 형성된 제2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2연결탭부가 타 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는 복수의 전지를 상호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 스폿 용접 또는 납땜 공정 없이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 상호를 연결 및 접속시켜 전지에 고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폿 용접 또는 납땜 공정이 없어 불량이 발생한 전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전지와 부스바를 지속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접촉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를 이용해 전지를 병렬로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를 이용해 전지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를 이용해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를 이용해 전지를 직렬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1)는 전지(100)들을 병렬로 접속시킬 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말단결합부(10)와, 제2말단결합부(20)를 구비한다.
제1말단결합부(10)는 제1탭부(11)와, 제1헤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탭부(11)는 전지(100)의 길이방향 일 측의 양극단자부(101)에 형성된 제1나사홈(10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1나사홈(102)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탭부(11)는 제1부스바(110)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제1헤드부(15)는 제1탭부(11)의 단부에 제1탭부(11)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며, 제1탭부(11)를 제1나사홈(102)에 나사 결합시킬 때, 제1말단결합부(10)와 전지(100)의 양극단자부(101) 사이에 배치되어 전지(100)의 양극단자부(101)에 접촉되는 제1부스바(110)를 전지(100)의 양극단자부(101)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킨다. 제1헤드부(15)는 제1부스바(110)에 형성된 관통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헤드부(15)에는 제1말단결합부(10)를 전지(100)에 결합시킬 때, 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제1말단결합부(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각 형상의 공구결합홈(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말단결합부(10)는 구리나 황동 등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말단결합부(20)는 제2탭부(21)와, 제2헤드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탭부(21)는 전지(100)의 길이방향 타 측의 음극단자부(105)에 형성된 제2나사홈(106)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2나사홈(106)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탭부(21)는 제2부스바(120)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제2헤드부(25)는 제2탭부(21)의 단부에 제2탭부(21)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며, 제2탭부(21)를 제2나사홈(106)에 나사 결합시킬 때, 제2말단결합부(20)와 전지(100)의 음극단자부(105) 사이에 배치되어 전지(100)의 음극단자부(105)에 접촉되는 제2부스바(120)를 전지(100)의 음극단자부(105)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킨다. 제2헤드부(25)는 제2부스바(120)에 형성된 관통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말단결합부(20)는 구리나 황동 등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1)는 전지(100)들을 직렬로 접속시킬 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말단결합부(10)와, 제2말단결합부(20)와, 중간결합부(30)를 구비한다.
제1말단결합부(10)는 복수의 전지(100)를 직렬로 연결하여 직렬전지어레이를 구성할 때, 직렬전지어레이에서 맨 끝단 측에 위치하는 전지(100)의 양극단자부(101)에 제1부스바(110)를 결합시킬 때 사용되고, 제2말단결합부(20)는 직렬전지어레이에서 제2부스바(120)와 대향되는 맨 끝단 측에 위치하는 전지(100)의 음극단자부(105)에 제2부스바(120)를 결합시킬 때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말단결합부(10)와 제2말단결합부(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1)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중간결합부(30)는 전지(100)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직렬전지어레이를 구성할 시, 직렬전지어레이에서 어느 일 측 전지(100)의 양극단자부(101)와 이와 인접하는 타 측 전지(100)의 음극단자부(105)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 전지(100)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으로서, 제1연결탭부(31)와, 제2연결탭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결합부(30)는 구리나 황동 등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결탭부(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직렬전지어레이에서 어느 일 측 전지(100)의 양극단자부(101)에 형성된 제1나사홈(102)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제1나사홈(102)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연결탭부(35)는 제1연결탭부(31)와 대향되는 측에 제1연결탭부(3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직렬전지어레이에서 어느 일 측 전지(100)와 인접하는 타 측 전지(100)의 음극단자부(105)에 형성된 제2나사홈(106)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제2나사홈(106)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연결탭부(31)와 제2연결탭부(35)에는 각각 서로를 향해 인입되게 형성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중간결합부(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각 형상의 공구결합홈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1말단결합부
11 : 제1탭부
15 : 제1헤드부
20 : 제2말단결합부
21 : 제2탭부
25 : 제2헤드부
30 : 중간결합부
31 : 제1연결탭부
35 : 제2연결탭부
100 : 전지
101 : 양극단자부
102 : 제1나사홈
105 : 음극단자부
106 : 제2나사홈
110 : 제1부스바
120 : 제2부스바

Claims (2)

  1. 전지의 길이방향 일 측의 양극단자부에 형성된 제1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1탭부와, 상기 제1탭부의 단부에 상기 제1탭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전지의 양극단자부에 접촉되는 제1부스바를 상기 전지의 양극단자부에 밀착시키는 제1헤드부를 포함하는 제1말단결합부와;
    상기 전지의 길이방향 타 측의 음극단자부에 형성된 제2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2탭부와, 상기 제2탭부의 단부에 상기 제2탭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전지의 음극단자부에 접촉되는 제2부스바를 상기 전지의 음극단자부에 밀착시키는 제2헤드부를 포함하는 제2말단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들을 직렬로 연결시 일 측 전지의 양극단자부와 타 측 전지의 음극단자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 전지를 서로 접속시키는 중간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결합부는 일 측 전지의 양극단자부에 형성된 제1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1연결탭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 전지의 음극단자부에 형성된 제2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2연결탭부가 타 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
KR1020190134392A 2019-10-28 2019-10-28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 KR20210050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92A KR20210050142A (ko) 2019-10-28 2019-10-28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92A KR20210050142A (ko) 2019-10-28 2019-10-28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42A true KR20210050142A (ko) 2021-05-07

Family

ID=7591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392A KR20210050142A (ko) 2019-10-28 2019-10-28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01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5107A1 (en) * 2021-11-29 2023-06-01 Abishek Hosangady Metal conductors with electromechanical flaps for energy storage cell interconnection in battery pack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123A (ko) 2012-07-10 2014-01-21 인셀(주) 전지 장착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전지 어셈블리
KR20150121987A (ko) 2014-04-22 2015-10-30 고철인 배터리 팩
KR20160002834U (ko) 2015-02-06 2016-08-17 (주)티에스식스티즈 전지 수용 케이스 및 전지 수용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123A (ko) 2012-07-10 2014-01-21 인셀(주) 전지 장착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전지 어셈블리
KR20150121987A (ko) 2014-04-22 2015-10-30 고철인 배터리 팩
KR20160002834U (ko) 2015-02-06 2016-08-17 (주)티에스식스티즈 전지 수용 케이스 및 전지 수용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5107A1 (en) * 2021-11-29 2023-06-01 Abishek Hosangady Metal conductors with electromechanical flaps for energy storage cell interconnection in battery pa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5961B2 (ja) 二次電池を利用した電池モジュール
KR100778511B1 (ko) 이차 전지 모듈
CN204497291U (zh) 电池模块阵列、电池组和电池操作系统
US8470467B2 (en) Battery connection topology
KR20110055255A (ko) 버스 바와 이를 구비한 전지 모듈
US20100216008A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JP2008091183A (ja) 角型電池と組電池
KR20070047378A (ko) 중대형 전지모듈용 이차전지
JP2010016043A (ja) 蓄電デバイス
JP2007323951A (ja) 組電池
KR20070006956A (ko) 이차 전지 모듈
EP2669968A1 (en) Cylindrical battery
JP2010118625A (ja) 電極接続具、それを備えた蓄電装置
KR20210050142A (ko) 이차 전지 안정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스바 연결장치
KR20150115251A (ko) 중앙 프레임 타입의 2 셀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어레이
US9531000B2 (en) Battery cell, battery cell module, method for producing a battery cell module, battery and motor vehicle
JP3731595B2 (ja) 組電池
CN201215816Y (zh) 一种圆柱形锂离子动力电池
KR20150115252A (ko) 케이스 프레임 타입의 2 셀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어레이
CN112117399B (zh) 单体电池、动力电池包和车辆
CN109244290B (zh) 能量体组的固定装置
CN209896159U (zh) 一种锂电池汇流片
CN218334035U (zh) 一种电芯极耳转接结构和方形电芯
CN218351629U (zh) 一种软包锂电池pack结构
CN209896158U (zh) 一种锂电池汇流连接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