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662A -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9662A KR20210049662A KR1020200084133A KR20200084133A KR20210049662A KR 20210049662 A KR20210049662 A KR 20210049662A KR 1020200084133 A KR1020200084133 A KR 1020200084133A KR 20200084133 A KR20200084133 A KR 20200084133A KR 20210049662 A KR20210049662 A KR 202100496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mple
- upper housing
- stopper
- blood
- storage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01L2200/027—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for microfluidic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05—Metering of fl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를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는 필름부 및 광확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 표면에는 중앙 통로를 가진 기둥 모양의 시료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표면에는 단차로서 상기 시료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중앙 통로의 구멍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시료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필름부와 맞닿아서 상기 시료 저장 공간에 유입된 시료가 상기 시료 스토퍼와 상기 필름부 사이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료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 소변, 타액 등의 검체를 통하여 특정 특성치를 검사하기 위하여 시료 수집 장치, 일명 센서 스트립(또는 바이오 센서 스트립)을 이용한 측정방법이 이용된다. 예를 들어 혈당측정을 하는 경우에는 혈당측정기에 있는 투입구에 끼워 넣고, 손가락 끝을 채혈하여 손끝에 채혈된 소량의 혈액을 측정기에 꽂힌 센서스트립에 대면 혈액이 센서스트립 투입구로 자동으로 빨려 들어가며, 결과 값이 혈당측정기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러한 센서스트립은 정량의 시료를 투입할 경우 가장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스트림의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에 따라 투입하는 시료의 양이 넘치게 투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측정값의 편차가 불규칙한 경우가 많았다.
본 명세서는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는, 상부 표면에 형성된 시료 주입구 및 하부 표면에 형성된 시료 스토퍼를 가진 상부 하우징; 외부 광 유입을 위한 광 유입구 및 상기 시료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시료의 촬영을 위한 촬영구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시료 주입구를 통해 투입된 시료의 퍼짐이 발생하는 필름부; 및 상기 광 유입구와 상기 촬영구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고, 상기 필름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필름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위치했을 때 상기 촬영구와 동일한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광확산부;를 포함하는 시료 수집 장치로서, 상기 시료 주입구는 중앙 통로를 가진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통로는 상기 시료 주입구의 최상단(이하 '접촉 부위')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표면까지 연결되고, 상기 시료 스토퍼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단차로서, 상기 단차가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중앙 통로의 구멍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시료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필름부와 맞닿아서 상기 시료 저장 공간에 유입된 시료가 상기 시료 스토퍼와 상기 필름부 사이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 주입구는 측면이 원형 기둥 형상이고, 상부는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료 주입구의 상부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원뿔대 형상의 측면에서부터 상기 접촉 부위까지 개방된 형태의 시료 주입 보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통로의 직경은 0.2mm ~ 1.5m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통로의 길이는 2.0mm ~ 7.0m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 스토퍼의 단차 높이는, 0.05mm ~ 0.20m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 스토퍼는 원형의 시료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단차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료 저장 공간의 직경은 1.0mm ~ 4.0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 통로의 직경은 0.7mm이고, 상기 중앙 통로의 길이는 3.5mm 이고, 상기 시료 스토퍼의 단차 높이는, 0.1mm이고, 상기 시료 스토퍼는 1.5mm의 직경을 가진 시료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단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사용자의 접촉 시간에 관계없이 정량의 시료가 채취될 수 있다. 정량의 시료를 바탕으로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정확도가 향상된 진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 평면도,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시료 주입구의 참고도이다.
도 5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표면 중 상기 시료 스토퍼가 형성된 부분의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시료 주입구의 참고도이다.
도 5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표면 중 상기 시료 스토퍼가 형성된 부분의 참조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 평면도,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100)는 상부 하우징(110), 필름부(120), 광확산부(130), 하부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재질은 고분자 합성 물질 이른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방식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시료 주입구(111)는 혈액, 소변, 타액 등 측정 대상이 되는 물질이 투입되는 구멍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시료 주입구(111)를 통해 시료를 시료 수집 장치(100)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14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맞물려 결합(예: 억지 끼움 방식)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140)에는 외부 광 유입을 위한 광 유입구(141) 및 상기 주입된 시료의 촬영을 위한 촬영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10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색법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장치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카메라와 빛을 발광하는 광원이 같은 면에 인접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100)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앞에서 위치시키고, 상기 광원으로 빛을 비춘 후 상기 시료를 촬영하여 비색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광 유입구(141)는 바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광원(예: LED)에서 나온 빛이 시료 수집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구멍이다. 그리고 상기 촬영구(14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가 시료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이다.
상기 촬영구(142) 및 상기 광 유입구(141)의 크기 및 위치는 사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광원 및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특정 이동통신단말기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름부(1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름부(120)는 상기 시료 주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시료액의 퍼짐이 발생하는 부분이다. 특히, 상기 필름부(120)는 다공성 구조를 통해 혈액이 투입된 경우, 전혈에서 혈장 성분만을 분리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부(120)의 재질 또는/및 구조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 제10-2018-0001815호(명칭: 생체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스트립)를 통해 출원된 내용을 원용하도록 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광확산부(130)는 상기 광 유입구(141)와 상기 촬영구(142)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고, 상기 필름부(120)와 상기 하부 하우징(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부(13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광원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상기 광 유입구(141)를 통해 시료 수집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었을 때, 빛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광확산부(130)를 통해 빛이 측면으로 확산 및 산란되면서, 시료가 투입된 필름부(120)까지 빛이 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확산부(130)는 상기 필름부(120)와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위치했을 때 상기 촬영구(142)와 동일한 위치에 개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131)는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필름부(120)의 시료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140)에는 상기 광확산부(130)가 안착될 수 있는 광확산부 안착홈(1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확산부 안착홈(144)의 깊이는 상기 광확산부(13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광확산부(130)의 길이 및 넓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시료 주입구(111)는 중앙 통로를 가진 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 주입구(111)는 측면이 원형 기둥 형상이고, 상부는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우측에 도시된 보조 이미지를 참조하면, 상기 시료 주입구(111)의 상부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원뿔대 형상의 측면에서부터 상기 접촉 부위까지 개방된 형태의 시료 주입 보조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혈액 채취를 위해 상기 시료 주입구(111)의 최상단(이하 '접촉 부위')을 손가락으로 덮었을 때, 상기 시료 주입 보조구(112)는 손가락에 의해 직접 덮어지지 않지만, 손 끝에 맺힌 혈액에 의해서 덮어 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촉 부위와 혈액이 접촉하는 표면적이 늘어나서 많은 양의 혈액이 상기 시료 주입구(11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중앙 통로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3 및 도 4는 시료 주입구의 참고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통로(113)는 상기 시료 주입구(111)의 최상단(접촉 부위)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 표면까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시료는 상기 중앙 통로(113)를 따라 시료 수집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필름부(120)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 표면에는 시료 스토퍼(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시료 주입구(111) 부분이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시료 스토퍼(114)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진 단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료 스토퍼(114)의 경계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계단식을 형성될 수 있고, 경사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 표면 중 상기 시료 스토퍼(114)가 형성된 부분의 참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중앙 통로(113)의 구멍(116)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멍(116)을 '스토퍼 구멍'이라 명칭하겠다.
상기 시료 스토퍼(114)는 상기 단차가 상기 스토퍼 구멍(116)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시료 저장 공간(1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시료 스토퍼(114)의 표면은 상기 필름부(120)와 맞닿게 된다. 이때, 상기 시료 스토퍼(114)와 상기 필름부(120)는 그 사이가 밀폐될 정도로 맞닿아서 시료가 상기 시표 스토퍼(114)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 즉, 상기 시료 스토퍼(114)는 상기 필름부와 맞닿아서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에 유입된 시료가 상기 시료 스토퍼(114)와 상기 필름부(120) 사이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료 스토퍼(114)와 상기 필름부(120) 사이의 밀폐될 정도는 유체 뿐만 아니라, 기체도 통과하지 못한 정도로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료 주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시료는 상기 스토퍼 구멍(116)을 통해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에 도달한 시료는 상기 시료 스토퍼(114)에 의해서 더 이상 퍼지지 않게되면,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의 크기만큼 채워지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 이른바, 센서스트립에 사용자에 의해 필요 이상의 시료(혈액, 소변 등)이 투입될 수 있다. 과다한 투입된 시료는 비색법 등 진단의 정확도가 낮아지게 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비색법 등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필름부(120)에 도포된 반응 시약의 양에 알맞는 시료의 주입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100)의 장점은 적정 시료의 투입을 달성이다. 사용자가 손가락 채혈을 통해 혈액을 시료 수집 장치(100)에 투입하는 상황을 가정해보겠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접촉 부위에 손가락을 올려 놓을 때(혈액 투입 단계), 혈액이 상기 시료 주입구(111)를 통해 상기 중앙 통로(113)를 거쳐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시료 스토퍼(114)에 의해서 혈액은 더 이상 퍼지지 않게 되고, 시료 저장 공간(115)부터 중앙 통로(113)을 거쳐 상기 접촉 부위까지 혈액이 가득 채워진다. 이로 인해 더 이상의 혈액은 시료 주입구(111)로 투입되지 않게 된다(혈액 유입 중단 단계).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접촉 부위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있는 동안 상기 중앙 통로(113) 등에 채워진 혈액은 대기압과 차단되어, 상기 혈액은 중앙 통로(113)은 채워진 상태에서 내려가지 않는다(투입된 혈액 정지 단계).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접촉 부위에서 손가락을 떨어뜨리면, 상기 중앙 통로(113) 등에 채워진 혈액은 상기 시료 주입구(111)를 통해 대기압에 의해서 아래로 흐르게 된다(혈액 투입 완료 단계). 상기 혈액 투입 단계, 혈액 유입 중단 단계, 투입된 혈액 정지 단계 및 혈액 투입 완료 단계를 거치게 되면, 상기 중앙 통로(113) 및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에 채워진 양만큼의 혈액만 시료 수집 장치(100) 내로 투입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접촉 부위와 접촉한 시간의 길이와 관계없이, 상기 중앙 통로(113) 및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의 면적에 해당하는 혈액만이 시료 수집 장치(100) 내로 투입되게 된다.
따라서, 투입되는 시료의 양은 상기 중앙 통로(113) 및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의 면적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지만, 시료의 밀도 및 점도 등 물질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중앙 통로(113) 및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의 면적을 결정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통로(113)의 직경은 0.2mm ~ 1.5m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통로(113)의 길이는 2.0mm ~ 7.0m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 스토퍼(114)의 단차 높이는 0.05mm ~ 0.20m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 스토퍼(114)는 원형의 시료 저장 공간(115)을 형성하는 단차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료 저장 공간의 직경은, 1.0mm ~ 4.0mm일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시료가 혈액인 경우, 각 구조의 크기에 따라 적정 혈액이 투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료 스토퍼(114)의 단차 높이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 (a)에서 시료 스토퍼(114)의 단차 높이는 0.1mm이고, 도 3의 실시예 (b)에서 시료 스토퍼(114)의 단차 높이는 0.05mm이고, 도 3의 실시예 (c)에서 시료 스토퍼(114)의 단차 높이는 0.2mm이다. 상기 실시예 (a), (b) 및 (c)를 대상으로 각각 5차례 혈액을 주입한 실험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상기 표 1에서 주입된 혈액의 무게 단위는 mg, 'AVER'은 주입된 혈액의 평균 무게, 'SD'는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 'CV'는 변동 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험에서 중앙 통로의 직경은 0.7mm, 중앙 통로의 길이는 3.5mm, 시료 저장 공간의 직경은 4.0mm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c)의 CV값이 가장 낮다. 그러나 2차와 4차에는 혈액이 주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상기 시료 스토퍼(114)의 단차 높이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부(120)에 가해지는 압력과 연관된다. 상기 시료 스토퍼(114)의 단차 높이가 너무 높으면 상기 필름부(120)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혈액 투입 전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 해하고, 그래서 혈앱이 투입되지 않는 것을 판단된다. 한편, 실시예 (b)의 경우, 상기 시료 스토퍼(114)의 단차 높이가 너무 낮아서, 투입된 혈액이 상기 시료 스토퍼(114)를 넘어서 옆으로 새버리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시료 스토퍼(114)의 단차 높이는 0.1mm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의 직경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 (a)에서 시료 저장 공간(115)의 직경은 4.0mm이고, 도 4의 실시예 (d)에서 시료 저장 공간(115)의 직경은 2.0mm이고, 도 4의 실시예 (e)에서 시료 저장 공간(115)의 직경은 1.5mm이다. 상기 실시예 (a), (d) 및 (e)를 대상으로 각각 5차례 혈액을 주입한 실험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상기 표 2에서 주입된 혈액의 무게 단위는 mg, 'AVER'은 주입된 혈액의 평균 무게, 'SD'는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 'CV'는 변동 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험에서 중앙 통로의 직경은 0.7mm, 중앙 통로의 길이는 3.5mm, 시료 스토퍼의 단차 높이는 0.1mm이다.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e)의 CV값이 가장 낮다. 따라서, 상기 시료 저장 공간(115)의 직경은 1.5mm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시료 수집 장치
110 : 상부 하우징
111 : 시료 주입구
112 : 시료 주입 보조구
113 : 중앙 통로
114 : 시료 스토퍼
115 : 시료 저장 공간
116 : 스토퍼 구멍
120 : 필름부
130 : 광확산부
140 : 하부 하우징
110 : 상부 하우징
111 : 시료 주입구
112 : 시료 주입 보조구
113 : 중앙 통로
114 : 시료 스토퍼
115 : 시료 저장 공간
116 : 스토퍼 구멍
120 : 필름부
130 : 광확산부
140 : 하부 하우징
Claims (1)
- 상부 표면에 형성된 시료 주입구 및 하부 표면에 형성된 시료 스토퍼를 가진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된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시료 주입구를 통해 투입된 시료의 퍼짐이 발생하는 필름부; 를 포함하는 시료 수집 장치로서,
상기 시료 주입구는, 중앙 통로를 가진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통로는 상기 시료 주입구의 최상단(이하 '접촉 부위')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표면까지 연결되고,
상기 시료 스토퍼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단차로서, 상기 단차가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중앙 통로의 구멍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시료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필름부와 맞닿아서 상기 시료 저장 공간에 유입된 시료가 상기 시료 스토퍼와 상기 필름부 사이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시료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134004 | 2019-10-25 | ||
KR1020190134004 | 2019-10-25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6689A Division KR102168919B1 (ko) | 2019-10-25 | 2020-03-03 |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9662A true KR20210049662A (ko) | 2021-05-06 |
Family
ID=730355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6689A KR102168919B1 (ko) | 2019-10-25 | 2020-03-03 |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 |
KR1020200084133A KR20210049662A (ko) | 2019-10-25 | 2020-07-08 |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6689A KR102168919B1 (ko) | 2019-10-25 | 2020-03-03 |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91189A1 (ko) |
EP (1) | EP4050318A4 (ko) |
KR (2) | KR102168919B1 (ko) |
WO (1) | WO2021080237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2356B1 (ko) | 2010-03-12 | 2011-09-05 |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 혈액 내의 단백 측정을 위한 센서스트립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55795A (ja) * | 1993-08-18 | 1995-03-03 | Kanebo Ltd | 分析用試験片 |
IL120587A (en) * | 1996-04-04 | 2000-10-31 | Lifescan Inc | Reagent test strip for determination of blood glucose |
US5948695A (en) * | 1997-06-17 | 1999-09-07 | Mercury Diagnostics, Inc. | Device for determination of an analyte in a body fluid |
EP1038176B1 (en) * | 1997-12-19 | 2003-11-12 | Amira Medical | Embossed test strip system |
WO2009148624A1 (en) * | 2008-06-06 | 2009-12-10 | Intuity Medical, Inc. | Detection meter and mode of operation |
KR100972108B1 (ko) * | 2008-07-09 | 2010-07-26 |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 바이오센서 |
KR101204299B1 (ko) * | 2010-04-15 | 2012-11-23 | 주식회사 인포피아 | 개선된 시료 채취/주입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측정 스트립 세트 |
KR20130080308A (ko) * | 2012-01-04 | 2013-07-12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바이오 센서 |
CA2911318C (en) * | 2014-05-31 | 2016-06-14 | James Samsoondar | Joint spectroscopic and biosensor system for point-of-care testing |
KR101848881B1 (ko) | 2016-06-28 | 2018-04-13 | 이스트힐(주) |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90134004A (ko) | 2018-05-24 | 2019-12-04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기판 브레이킹 장치 |
KR102268048B1 (ko) | 2019-07-11 | 2021-06-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오조립된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조립된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거방법 |
-
2020
- 2020-03-03 KR KR1020200026689A patent/KR10216891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7-08 KR KR1020200084133A patent/KR20210049662A/ko unknown
- 2020-10-14 WO PCT/KR2020/014001 patent/WO2021080237A1/ko unknown
- 2020-10-14 EP EP20879060.0A patent/EP4050318A4/en active Pending
- 2020-10-14 US US17/755,067 patent/US20220291189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2356B1 (ko) | 2010-03-12 | 2011-09-05 |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 혈액 내의 단백 측정을 위한 센서스트립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291189A1 (en) | 2022-09-15 |
EP4050318A1 (en) | 2022-08-31 |
WO2021080237A1 (ko) | 2021-04-29 |
KR102168919B1 (ko) | 2020-10-22 |
EP4050318A4 (en) | 2023-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44507B2 (en) | Screening device for analysis of bodily fluids | |
US9658217B2 (en) | Measuring phys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with mobile devices | |
US11026611B2 (en) | Rotatable disk-shaped fluid sample collection device | |
US9678069B2 (en) | Rotatable fluid sample collection device | |
CN100570332C (zh) | 微片 | |
JPH11504717A (ja) | 試験条片保持具とその使用方法 | |
US1065615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 lateral flow test strip holder | |
CN109425573B (zh) | 一种溶液检测装置及检测方法 | |
TW201721129A (zh) | 使用行動裝置作分析物偵測之方法及系統 | |
EP3726214A1 (en) | Immunochromatographic test device | |
US10495635B2 (en) | Testing device for testing analytes in liquid samples | |
KR102168919B1 (ko) |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 | |
CN220438355U (zh) | 一种可采集血液的便携式体外检测装置 | |
CN101443122A (zh) | 样本分析试管 | |
US11243201B2 (en) | Sample collection, holding and assaying | |
JPWO2020004590A1 (ja) | 試料採取デバイスおよび試料調製装置 | |
CN110736842A (zh) | 快速检测粪便乳铁蛋白一体化装置及检测方法 | |
TWM579726U (zh) | Portable cyanide detector | |
KR20210029588A (ko) |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 | |
KR20170076309A (ko)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샘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20094808A (ja) | マイクロサンプリングチップ | |
TWM513675U (zh) | 生化反應檢測器結構 | |
TW201620447A (zh) | 生化反應檢測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