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588A -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588A
KR20210029588A KR1020190111019A KR20190111019A KR20210029588A KR 20210029588 A KR20210029588 A KR 20210029588A KR 1020190111019 A KR1020190111019 A KR 1020190111019A KR 20190111019 A KR20190111019 A KR 20190111019A KR 20210029588 A KR20210029588 A KR 20210029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bodily fluid
fluid test
uni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223B1 (ko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인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트인 filed Critical (주)인트인
Priority to KR102019011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2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55Blood sample preparation for further analysis, e.g. by separating blood components or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Abstract

본 발명의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는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적절한 양 및 최적의 상태로 수집할 수 있어 체액 검사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CHAMBER FOR INSPECTING BODY-FLUID AND BODY-FLUID INSP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최적의 상태로 수집할 수 있어 체액 검사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건강상태, 신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문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그러나,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검진을 받기 위해서는 바쁜 일과시간을 쪼개어 시간을 내야 하며, 불편하고 복잡한 수속 및 진료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수속을 진행하더라도 장시간 대기해야만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반면, 실제 검진 및 검사는 매우 짧은 시간에 진행된다. 즉, 검진 및 검사를 받기 위해 시간, 비용 및 노력은 크게 소요되는 반면, 많은 불편이 따르는 실정이다. 이로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지간한 불편함은 감수하며 생활하고 견디기 힘들 정도의 고통 또는 불편함이 발생해야만 전문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각종 첨단장비를 이용하여 신체상황을 빈번하게 확인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문 의료기관에 전달하여 신체 상태를 확인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실제로 상용화되어 이용되는 기술은 극히 드문 실정이다.
오히려, 과거로부터 사용되어온 간단한 테스트기의 사용은 꾸준하며, 젊은 세대들은 편리한 사용법, 적은 소요시간 및 비용, 빠른 결과 확인이 가능하여 사용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테스트기는 신체에서 배출되는 분비물들 예를 들어 타액, 소변, 땀과 같은 분비물들을 이용하는 것으로, 분비물들에 포함된 호르몬을 검출하거나, 분비물의 상태변화와 같은 사항을 확인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러한 테스트기는 신체가 특정 상황 예를 들어, 특정 질병에 걸리거나, 감염되거나, 배란기와 같이 신체의 이상 또는 특이사항 발생시에 타액에 포함된 성분의 변화, 상태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이용한다. 때문에, 테스트기들은 비교적 정확도가 높아 사용이 간편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자가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빈번하게 사용되며, 대표적인 것으로 임신진단, 당뇨진단, 혈당측정과 같은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테스트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테스트기들은 체액을 시료로하고 시료의 상태변화를 측정하거나, 성분을 측정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표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테스트터기들은 시료인 채액을 채취할 수 있는 시료채취 수단을 구비한다. 사용자들은 테스트를 위해 이러한 시료채취 수단에 체액을 도포하고, 테스트기는 시표채취 수단에 도포된 체액의 상태를 분석하여 테스트의 결과를 산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테스트기에 사용되는 시료채취 수단의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체액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어렵고, 체액 시료를 최적의 상태로 효율적으로 담지하기가 어려워 테스트기를 통해 체액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정확성이 다소 떨어지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체액 시료의 정확한 양을 조절하기 어렵고, 특히 시료가 과하게 채취되는 경우 테스트기의 오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테스트기기들이 전자기기화 되어 종래에 비해 다양한 항목을 테스트할 수 있게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자 테스트기들의 종류가 많아 각 테스트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시료용 챔버의 선택이 용이하지 않고, 테스트기의 작동이 번거로운 경우가 많아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291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최적의 상태로 수집할 수 있어 체액 검사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액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체액 검사용 챔버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담지할 수 있는 시료부; 및 상기 시료부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료부의 측면과 상기 시트부의 측면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시료부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료부의 측면과 상기 시트부의 측면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여 시료부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의 간격은 5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부 상에는 격자 형상의 관측 대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액 시료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시료부로 주입되고, 상기 시료부 상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는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부 상의 일측면에 경사면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상기 시료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의 간격에 체액 시료를 주입하는 시료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부 상의 타측면에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료부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의 꼭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면취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정렬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면의 일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어느 하나의 체액 검사용 챔버를 이용하여 체액 분석결과를 관측할 수 있는 체액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는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적절한 양 및 최적의 상태로 수집할 수 있어 체액 검사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액 검사용 챔버의 분해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액 검사용 챔버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액 검사용 챔버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액 검사용 챔버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액 검사용 챔버의 정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테스트기에 사용되는 시료채취 수단의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체액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어렵고, 체액 시료를 최적의 상태로 효율적으로 담지하기가 어려워 테스트기를 통해 체액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정확성이 다소 떨어지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체액 시료의 정확한 양을 조절하기 어렵고, 특히 시료가 과하게 채취되는 경우 테스트기의 오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체액 검사장치에 탈착되는 체액 검사용 챔버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담지할 수 있는 시료부; 및 상기 시료부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를 제공하여 상기 한계점의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체액 시료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최적의 상태로 효율적으로 담지할 수 있는 체액 검사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적절한 양 및 최적의 상태로 수집할 수 있어 체액 검사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액 검사용 챔버의 분해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도 1(a)는 체액 검사용 챔버(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체액 검사용 챔버(1)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액 검사용 챔버(1)는 베이스부(10) 및 상기 베이스부(10) 상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시료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시료부(20)는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담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부(2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시트부(30)를 포함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시트부(30)는 상기 시료부(20) 상에 결합된다. 또한, 시트부(30)는 베이스부(10) 상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시료부(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끼임 결합할 수 있다.
먼저, 베이스부(10)는 시료부(20) 및 상기 시료부(20)와 결합되는 시트부(30)가 형성될 수 있는 베이스 기판의 역할을 수행한다.
베이스부(10)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체액 검사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체액 검사용 챔버를 형성하는 소재를 폭 넓게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성 물질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베이스 기판을 형성하는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선명한 관측 화면 획득을 위해 투명한 재질의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아크릴 등의 투명 합성수지, 천연고무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베이스부(10)의 두께는 체액 검사장치에 탈착되어 체액 시료를 관측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나,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0)의 두께는 3mm 이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이하일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10)의 꼭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면취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면취 가공이란 모따기(CHAMFER) 가공을 의미하는 것으로, 꼭지부를 경사지게 깎아 모서리를 형성하는 가공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꼭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면취 가공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 챔버의 상면 및 배면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어 체액 검사장치 장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의 4개의 꼭지부 중 하나의 꼭지부가 경사지게 깎여 모서리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취 가공을 하게 되는 경우 챔버의 상면 및 배면의 구별이 용이하여, 역방향 삽입을 방지할 수 있어 체액 검사장치에 장착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의 꼭지부 중 짝수 개에 대하여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챔버의 상면 및 배면의 구별이 가능한 일방향으로만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X-X'선을 기준으로 상기 X-X'선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2개의 꼭지부에 면취 가공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챔버의 상면 및 배면의 구별이 불가능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에, 상기 X-X'선을 기준으로 상기 X-X'선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2개의 꼭지부에 면취 가공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챔버의 상면 및 배면의 구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의 꼭지부 중 짝수 개에 대하여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챔버의 상면 및 배면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면취 가공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부(10) 상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담지할 수 있는 시료부(20)에 대해 설명한다.
시료부(20)는 검사하고자 하는 체액이 도포되는 공간으로, 체액 검사장치의 카메라 렌즈가 체액을 촬영할 수 있도록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담지하는 역할을 한다.
시료부(20)는 베이스부(10) 상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체액 시료를 용이하게 담지할 수 있도록 벽체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료부(20)는 베이스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료부(20)가 베이스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시료부(20)는 베이스부(10) 상면의 일부를 함몰된 형태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부(20)는 베이스부(10) 상에 함몰되어 요철(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의 상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시료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료부(20)는 일정한 양의 체액 시료가 도포될 수 있음과 동시에 시료부(20)의 전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서 체액 시료가 접촉되는 접촉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시료부(20)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체액 검사장치에 사용되어 체액 시료를 용이하게 담지하여 관측할 수 있는 소재를 폭 넓게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성 물질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베이스 기판을 형성하는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선명한 관측 화면 획득을 위해 투명한 재질의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아크릴 등의 투명 합성수지, 천연고무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료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시료부(20)가 베이스부(10)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광투과성의 투명한 재질로 시료부(20)를 형성하여 베이스부(10)와 결합함으로써 체액 검사용 챔버(1)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부(20) 상에는 격자 형상의 관측 대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관측 대상부는 체액 검사용 챔버(1)가 체액 검사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시료부(20) 상에 도포되어 있는 체액 시료를 관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 상에 시료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료부(20) 상에 격자 형상의 관측 대상부(21)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료부(20) 상에 관측 대상부(21)가 형성되는 경우, 체액 검사용 챔버(1)를 체액 검사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관측 대상부(21) 내에 있는 체액 시료에 대하여 관측을 수행하여 체액 시료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시료부(20)에 체액 시료가 고르게 분포되어 담지되는 경우 액체상태 그대로 체액 검사장치에 의해 관측 내지 분석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액체상태의 체액 시료가 도포된 후 자연 건조된 상태로 체액 검사장치에 의해 관측 내지 분석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료부(2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시트부(30)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부(30)는 시료부(20) 상으로 결합되어 시료부(20)에 도포되는 체액 시료가 흐르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시트부(30)가 시료부(20) 상에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기 시료부(2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이라는 의미는 시료부(20)의 상면 상으로 시트부(30)가 접근하여 결합하여 체액 검사용 챔버(1)를 구성하되, 상기 시료부(20)와 시트부(30) 사이가 이격되어 일정 간격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시트부(30)가 시료부(2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경우에는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가 유입되어 도포될 수 있게 되므로,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적절한 양 및 최적의 상태로 수집할 수 있어 체액 검사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액 검사용 챔버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X-X'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 상에 오목한 형상으로 시료부(20)가 형성된다. 또한, 도 2(b)는 도 1(b)의 A-A'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 상에 함몰된 형태로 시료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시료부(20) 상에 시트부(3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료부(20)와 상기 시트부(3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이와 같이 이격된 공간으로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가 유입되어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부(20)와 상기 시트부(30) 사이의 간격은 체액 시료를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가 골고루 분포될 수 있는 정도로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검사하고자 하는 대상 체액에 따라 상기 간격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부(20)와 상기 시트부(30) 사이의 간격은 검사하고자 하는 대상 체액에 함유된 측정 대상체의 평균 크기(평균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액에 포함되는 정자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자 머리의 평균 직경이 약 5 ~ 8㎛이므로, 상기 시료부(20)와 상기 시트부(30) 사이의 간격이 10㎛ 이하인 경우가 복수의 정자들이 여러 층으로 층층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정액에 포함되는 정자들이 단층으로 골고루 분포되도록 할 수 있어 정액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정자를 용이하게 관측 및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평균 직경이 16 ~ 20㎛인 백혈구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시료부(20)와 상기 시트부(30) 사이의 간격이 30㎛ 이하인 경우가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시료부(20)와 상기 시트부(30) 사이의 간격은 측정 대상체의 크기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검사하고자 하는 다양한 대상 체액에 따라 상기 간격의 두께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부(10)의 두께 혹은 시트부(30)의 두께 혹은 베이스부(10) 상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시트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관측하기 위한 체액 검사장치의 렌즈로부터의 초점거리는 0.40 ~ 0.50 m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초점거리의 수치범위 만족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의 두께, 시료부(20)의 깊이 또는 시트부(30)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0)의 두께는 체액 검사장치의 렌즈로부터의 초점거리와 시료부(20)의 깊이를 더한 값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점거리가 0.45 mm인 경우에는 베이스부(10)의 전체 두께를 약 1.5 mm 정도로 형성하되, 시료부(20)의 깊이를 1.05mm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액 검사용 챔버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a)의 X-X'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 상에 시료부(20)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료부(20) 상에 시트부(3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0)의 두께(B) 는 체액 검사장치의 렌즈로부터의 초점거리(F)와 시료부(20)의 깊이(S)를 더한 값 이상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트부(30)는 상기 시료부(20)의 측면과 상기 시트부(30)의 측면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시료부(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공정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지 않고도 시료부(20) 상에 시트부(3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시트부(30)에 의하여 시료부(20)에 도포되는 체액 시료가 흐르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체액 시료를 용이하게 관측 및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시트부(30)가 시료부(20)의 측면과 상기 시트부(30)의 측면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시료부(20) 상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시트부(30)의 크기 및 형상이 시료부(2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시트부(30)는 시료부(20) 상에 마찰력에 의한 끼움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체액 검사용 챔버(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료부의 측면과 상기 시트부의 측면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여 시료부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물리적 결합은 상기 시료부의 측면과 상기 시트부의 측면이 성분의 변화없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활용 가능한 결합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료부의 측면과 상기 시트부의 측면 사이의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시료부 상에 결합되거나, 결합제에 의하여 시료부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a)를 참조하면, 시트부(30)는 시료부(20) 상에 끼움 결합되거나 물리적 결합될 수 있도록 시료부(2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시트부(30)가 시료부(2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시료부(20) 상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또한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시료부(20)와 시트부(3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액 검사용 챔버의 상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 상에 시료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시료부(20) 상에 시트부(30)가 결합되어 상기 시료부(20)를 외부에서는 관측하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시료부(20)의 측면과 시트부(30)의 측면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시료부(20) 상에 상기 시트부(30)가 결합될 수 있고, 이들의 크기 및 형상은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끼움 결합 또는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시트부(30)에 의하여 시료부(20)의 상면이 완전히 덮이게 되어 시료부(20)에 도포되는 체액 시료가 흐르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시료부(20) 상의 일측면에 경사면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상기 시료부(20)와 상기 시트부(30) 사이의 간격에 체액 시료를 주입하는 시료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사하고자 하는 체액 시료를 보다 용이하게 시료부(20) 내로 주입할 수 있다. 또한,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적절한 양 및 최적의 상태로 수집할 수 있어 체액 검사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시료부(20) 상의 일측면에 경사면을 이루어 형성'이라는 의미는 시료부(20)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경사면을 이루되,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 상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시료부(20)가 연결되도록 비탈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료 주입부가 경사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체액 시료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시료부(20)로 흘러내려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가 시료부(20)에 담지되지 않아 체액 검사용 챔버(1) 또는 체액 검사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시료부(20) 상의 일측면에 경사면을 이루도록 시료 주입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시료 주입부(40)의 경사면을 따라 체액 시료가 시료부(20)로 유입되고, 상기 시료부(20)와 상기 시트부(30) 사이의 간격에 체액 시료가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액 시료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시료부(20)로 주입되고, 상기 시료부(20) 상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모세관 현상(毛細管現象, Capillary action)이란 분자 사이의 인력과 분자와 가느다란 관의 벽 사이에 작용하는 서로 간의 인력에 의해 가느다란 관을 채운 액체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 주입부(4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체액 시료가 시료부(20)로 유입될 수 있다. 검사하고자 하는 대상 체액 시료를 채취하여, 상기 시료 주입부(40) 상에 떨어뜨리면 체액 시료가 시료 주입부(40)를 따라서 시료부(20)와 시트부(30) 사이로 유입되게 된다. 이 때 시료부(20)와 시트부(30) 사이의 간격은 외부 공간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므로, 체액 시료를 이루는 분자와 상기 간격의 벽 사이에 작용하는 서로 간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간격으로 체액 시료들이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는 것이다.
시료 주입부(40)는 시료부(20)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시료부(20)의 일측면과 연결되도록 베이스부(10) 상에 함몰된 형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시료 주입부(40)는 시료부(20)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시료부(2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10) 상에 함몰된 형태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면은 시료부(20)와 연결되는 접선은 시료부(20)의 일측면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측을 이룰 수 있고, 이와 반대 측을 향하며 베이스부(10)의 상면과 연결되는 접선은 상측을 이루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시료 주입부(40)가 베이스부(10)를 상측으로, 시료부(20)를 하측으로 하여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시료 주입부(4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시트부(30)가 상기 시료 주입부(40)의 상면을 덮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부(30)는 시료부(20) 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시료부(20)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시료 주입부(40)의 상면을 덮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시료 주입부(40)가 베이스부(10)를 상측으로 하고 시료부(20)를 하측으로 하여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시트부(30)가 시료부(20) 상에 결합되어 있되 시트부(30)가 시료 주입부(40)의 상면을 덮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료 주입부(40)의 상면을 덮지 않도록 시트부(30)가 형성 및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보다 용이하게 시료 주입부(40) 상에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체액 시료가 시료 주입부(40)의 경사면을 따라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시료부(2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되어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가 시료부(20)에 담지되지 않아 체액 검사용 챔버(1) 또는 체액 검사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적절한 양 및 최적의 상태로 수집할 수 있어 체액 검사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료 주입부(40)가 형성되어 있는 시료부(20)의 일측면의 타측면에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료부(20)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료부(20) 상에 의도치 않게 유입되어 체액 시료의 관측 및 분석을 방해할 수 있는 외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어, 체액 검사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 상에 시료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료부(20)의 일측면에 시료 주입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료 주입부(40)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의 타측면에 홀 형상의 공기 배출구(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시트부(30)가 결합된 후의 체액 검사용 챔버(1)가 도시되어 있으며 시료부(20)의 타측면에 홀 형상의 공기 배출구(50)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배출구(50) 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시트부(30)가 상기 공기 배출구(50)를 덮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부(30)는 시료부(20) 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시료부(20)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공기 배출구(50)를 덮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시트부(30)가 시료부(20) 상에 결합되어 있되 시트부(30)가 공기 배출구(50)를 덮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시료부(20) 상에 의도치 않게 유입되어 체액 시료의 관측 및 분석을 방해할 수 있는 외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어, 체액 검사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는 베이스부(10)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베이스부(10)가 투명한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체액 검사용 챔버(1)를 손으로 집거나 만지는 경우에 손가락의 지문이나 이물질 등에 의하여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지문이나 이물질 등이 시료부(20) 주변에 묻는 경우에는 체액 시료를 관측할 수 있는 시야가 차단되어 시료의 관측 및 검사가 용이하지 않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부(10)와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별도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체액 검사장치에 체액 검사용 챔버(1)를 탈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정렬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체액 검사용 챔버(1)를 체액 검사장치에 장착하는 경우에 비뚤어지지 않게 정렬하여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의 일측면이 베이스부(10)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정렬홈(60)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렬홈(60)은 베이스부(1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체액 검사장치에 체액 검사용 챔버(1)를 장착하는 경우에 비뚤어지거나 기울지 않게 정렬되도록 하여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렬홈(60)은 베이스부(10)의 일측면의 중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부(10)의 일측면의 중간부'라 함은 일측면의 중간점을 중심으로 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정렬홈(60)이 베이스부(10)의 일측면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체액 검사용 챔버(1)를 체액 검사장치에 보다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정렬홈(60)이 베이스부(10)의 일측면의 중간 지점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체액 검사용 챔버(1)가 체액 검사장치 내에 관측부의 중간에 정렬될 수 있어, 검사 효율 향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면의 일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체액 검사용 챔버(1)를 체액 검사장치에 대하여 용이하게 탈착 내지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액 검사용 챔버의 정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액 검사용 챔버(1)의 정면 사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b)는 도 5(a)의 B-B'선에 대하여 수직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B-B'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돌기부(70)가 베이스부(10)의 하부면의 일부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70)가 베이스부(10)의 하부면에 형성됨으로써 체액 검사용 챔버(1)의 체액 검사장치에 대한 탈착 내지 부착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70)는 베이스부(10)의 하부면의 일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B-B'선에 평행하는 모서리의 길이가 상기 B-B'선에 수직하는 모서리의 길이보다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돌기부(70)가 상기 B-B'선에 평행하는 모서리의 길이가 더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체액 검사용 챔버(1)를 통해 수집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대상 체액은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분비물들로 수집 및 채취가 가능하여 인체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종류이면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정자, 질점막 세포, 구강세포, 세균 및 상기 세균에 감염된 세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체액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체액 검사용 챔버(1)를 이용하여 체액 분석결과를 관측할 수 있는 체액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체액 검사장치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체액 시료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렌즈가 부착되어 있어 렌즈를 통해 상기 검사용 챔버(1)에 수집되어 있는 체액 시료를 용이하게 관측 및 분석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체액 검사장치는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다양한 체액을 효율적으로 수집 및 채취하여, 이들을 검사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적은 시간 및 비용만을 소요하여 인체의 건강상태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임신진단을 위한 체액 검사장치에 활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임신 가능성 여부, 남성의 수정 능력과 같은 중요한 사항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체액 검사장치는 사용자들의 건강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체액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체액 검사용 챔버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검사 대상인 체액 시료를 담지할 수 있는 시료부;및
    상기 시료부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료부의 측면과 상기 시트부의 측면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시료부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료부의 측면과 상기 시트부의 측면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여 시료부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의 간격은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 상에는 격자 형상의 관측 대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시료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시료부로 주입되고, 상기 시료부 상에 고르게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 상의 일측면에 경사면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상기 시료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의 간격에 체액 시료를 주입하는 시료 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 상의 타측면에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료부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꼭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면취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정렬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면의 일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용 챔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체액 검사용 챔버를 이용하여 체액 분석결과를 관측할 수 있는 체액 검사장치.
KR1020190111019A 2019-09-06 2019-09-06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 KR102288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019A KR102288223B1 (ko) 2019-09-06 2019-09-06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019A KR102288223B1 (ko) 2019-09-06 2019-09-06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588A true KR20210029588A (ko) 2021-03-16
KR102288223B1 KR102288223B1 (ko) 2021-08-10

Family

ID=7522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019A KR102288223B1 (ko) 2019-09-06 2019-09-06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2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911A (ko) 2015-09-17 2015-10-07 최성숙 바이오센서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7308A (ko) * 2016-11-22 2018-05-30 (주)종로의료기 체액 검사장치용 시료부 및 이를 구비하는 체액 검사장치
KR20180091175A (ko) * 2017-02-06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체분석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분석 카트리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911A (ko) 2015-09-17 2015-10-07 최성숙 바이오센서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7308A (ko) * 2016-11-22 2018-05-30 (주)종로의료기 체액 검사장치용 시료부 및 이를 구비하는 체액 검사장치
KR20180091175A (ko) * 2017-02-06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체분석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분석 카트리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223B1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4009B2 (ja) リモートドーズ式分析物濃度計器
RU2201595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исследуемого вещества в пробе биолог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US5366902A (en) Collection and display device
RU218842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приборе для измер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исследуемого вещества в пробе биолог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US8460942B2 (en) Semen analysis
EP1701150B1 (en) Counting of white blood cells
EP2745779B1 (en) Capillary microcuvette having double collection means
KR19980025107A (ko) 혈당 시험편용 보호 차폐물을 구비한 혈당 검사장치
EP1692999A1 (en) Sample fluid collecting device
KR0177489B1 (ko) 임상기구 및 핸들
US2023001223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iratory secretion collection and analysis
CN116211296A (zh) 用于甲襞成像装置的手指插入件
CN105675352A (zh) 一种泪液采集器
KR102288223B1 (ko)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
WO2017028486A1 (zh) 泪糖检测装置
CN112105288A (zh) 体液分析用检查装置
JP2012519845A (ja) 生物学的流体のための収集および検定デバイス
JPS63501936A (ja) 使い捨て微小滴定用ステイツク
CN211426204U (zh) 一种血细胞分析仪
US11221324B2 (en) Portable diagnostic measurement device for determining analytical parameter of body fluid
JP5266400B2 (ja) 精液分析
KR20130054573A (ko) 시료 채취 기구
CN116106541A (zh) 一种血常规与免疫联合检测试剂卡
JPH075059U (ja) 糞便採取輸送用具
MXPA97006103A (en) Measurement of analytic concentration through the use of a hu troncoc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