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573A - 시료 채취 기구 - Google Patents

시료 채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573A
KR20130054573A KR1020110120035A KR20110120035A KR20130054573A KR 20130054573 A KR20130054573 A KR 20130054573A KR 1020110120035 A KR1020110120035 A KR 1020110120035A KR 20110120035 A KR20110120035 A KR 20110120035A KR 20130054573 A KR20130054573 A KR 2013005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ampling
housing
sensor strip
sam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727B1 (ko
Inventor
이중진
박현규
Original Assignee
(주)미코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코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미코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1012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727B1/ko
Priority to PCT/KR2012/002451 priority patent/WO2013073750A1/ko
Publication of KR2013005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B01L9/065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capillary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59Improved gripping, e.g. with high friction pattern or projections on the housing surface or an ergonometric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43Collection vessels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from the skin surface, e.g. test tubes, cuv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55Blood sample preparation for further analysis, e.g. by separating blood components or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01L2300/0838Capill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수용부를 가지는 시료 채취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의 일단에 시료 채취 오류 방지 구조 및 시료 침투의 영향을 개선하는 가압 방지 구조를 가지는 시료 채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시료 채취 기구는 모세관 힘(capillary force) 또는 중력에 의해 시료를 수용하는 복수개로 구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하우징의 끝단에 시료 채취 오류 방지부; 및 상기 시료 채취 오류 방지 구조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가압 방지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시료 채취 기구{CUVETTE}
본 발명은 복수개의 수용부를 가지는 시료 채취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의 일단에 시료 채취 오류 방지 구조 및 시료 침투의 영향을 개선하는 가압 방지 구조를 가지는 시료 채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생체 데이터 측정 장치들 중에, 측정 스트립에 예를 들면 혈액과 같은 시료를 떨어뜨리고, 반응 영역에서의 효소 반응 결과 나타나는 색깔의 변화 혹은 전기 화학적 변화를 검출하는 것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립의 반응 영역에 시료를 정량 분주하기 위해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 2010-0130121호에 개시되어 있는 시료 채취 기구나 스포이드 등의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시료 채취 기구의 경우, 하나의 시료만을 채취 할 수 있으며, 수용된 용액의 분주량을 미세 조절하기가 어려웠으며, 여러 가지 검사를 동시에 진행하기 위해서 각각의 시료를 채취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스포이드의 경우도 수용부로 시료 흡입시에 과다량이 흡입될 수 있으며, 수용된 용액의 분주량을 미세조절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시료 채취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서 시료가 구조물을 타고 올라가서 센서 스트립에 시료 분주시 불필요한 시료가 분주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센서 스트립에 시료 분주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시료 채취 기구가 센서를 누르고, 이때 센서 안의 필터가 눌러짐으로써 시료가 센서 내부로 침투하게 되어 정확한 측정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시료 채취 기구의 경우 모세관 힘을 이용해서 시료를 주입하는 방식이어서 기구의 재질에 제한이 되었으며, 친수처리 등의 별도의 공정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수용부와 이를 감싸는 하우징 및 손잡이를 가지는 시료 채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용되는 시료 채취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시료 채취 오류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료의 분주시 시료 채취 기구의 가압으로 인해서 센서 스트립의 필터에 시료가 침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료 채취 기구의 재질에 상관없으며, 친수 처리 없이, 모세관 힘 또는 중력에 의한 흡입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된 시료를 측정 스트립상에 분주하기 위한 시료 채취 기구에 있어서; 모세관 힘(capillary force)또는 중력에 의해 시료를 수용하는 복수개로 구성된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를 감싸는 하우징(120); 및 상기 하우징(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손잡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끝단에 시료 채취 오류 방지 구조(14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시료의 양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용부의 높이가 조절가능하며,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항응고제 또는 전처리제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시료 채취 오류 방지부의 모서리부에 가압 방지부(150)를 형성하고, 시료 채취 기구의 가압 방지부(150)가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200)의 하우징(220)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혈액과 같은 시료의 주입 및 분주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수용된 시료가 측정 스트립의 반응영역에 분주되는 것이 용이할 뿐 아니라 한꺼번에 여러 가지 시료를 처리할 수 있어 검사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료의 수용부의 길이 변화를 통해서 수용 시료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 할 수 있어, 정확한 양의 용액을 주입하여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시료 채취 기구에서 수용부의 외측의 구조물을 타고 시료가 올라가는 현상을 제거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압으로 인해 센서의 필터가 눌러져 시료가 센서의 필터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어서 시료 검사에 도움을 준다 할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수용부를 가지고 있어 센서 스트립에서 측정 가능한 여러 진단인자를 동시에 분석물질과 반응 시킬 수 있어, 여러 명 또는 여러 종류의 검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내부에 진단인자의 방해물질에 영향이 없는 항응고제나 전처리제를 코팅하여 전단인자의 반응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료 채취 기구의 재질에 제약이 없으며, 친수 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기구 제작의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시료 채취 기구의 주요 구성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시료 채취 오류 방지부와 시료 침투 영향 개선 및 가압 방지부를 갖춘 시료 채취 기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시료 채취 기구의 시료 채취 오류 방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시료 채취 기구와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시료 채취 기구의 수용부 크기를 다르게 하여 시료 채취 양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료 채취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기구(100)의 주요 구성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개로 구성되는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를 감싸는 하우징(120), 하우징(1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1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에서 1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110)의 개수가 3개 일 때가 시료의 채취 및 복합 센서 스트립과의 결합을 고려할 때 권장 된다. 손잡이부(130)는 하우징(120)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마련된다. 외곽은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그 모양이 타원형 또는 직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는 사용자가 잡기 편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20)은 수용부(110)를 감싸며 복수개의 수용부(110)를 안정적으로 상호간 연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수용부(110)의 시료 채취 입구로부터 시료 채취 입구 반대편의 공간을 제외하고 감싸는 구조로 연결되어 그 상단부가 손잡이부(1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기존의 시료 채취 기구는 모세관의 힘을 이용해서 혈액 등의 시료를 주입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식의 경우 시료 채취 기구의 재질이 유리 재질으로 제한이 되며, 별도의 친수 처리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세관의 힘이 일어나기 힘들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리 재질, 친수 물질 처리 과정이 필요하지 않는 중력 흡입 방식을 적용 할 수 도 있다. 시료 채취 기구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할 경우에는 모세관 힘만으로는 시료가 바로 흡입되기가 힘들다. 따라서 시료 채취 기구를 거꾸로 뒤집어서 시료를 흡입하면 중력에 의해 시료가 매우 잘 흡입되게 된다. 이렇게 흡입된 시료는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에 결합하여 시료 배출시 잘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귀 기구(100)에서는 모세관 힘 또는 중력을 이용해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중력을 이용할 경우에는 시료 채취 기구를 거꾸로 들어서 여기에 시료를 떨어뜨리면 입구를 통해서 아래 방향으로 시료가 들어가게 된다.
도 2는 시료 채취 오류 방지부(140)와 상기 시료 채취 기구(100)의 하우징(120)의 끝단 모서리부에 가압 방지부(150)를 형성하여 시료 침투 영향 개선 및 가압을 방지하는 시료 채취 기구(10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시료 채취 기구(100)는 시료 채취 오류 방지부(140), 시료 침투 영향 개선 및 가압을 방지하는 가압 방지부(150)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복수개의 수용부(110)를 가지는 시료 채취 기구(100)의 경우 하우징(120)의 구조로 인해서 시료 채취시 사용자의 오류로 시료가 하우징(120)과 수용부(110)의 구조물 사이로 주입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센서 스트립에 정확한 양의 시료 분주가 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시료 채취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10)의 일단과 하우징(120)을 연결하여 시료 채취 오류 방지부(140)를 추가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로, 시료 채취 기구와 센서 스트립의 결합시 별도의 지지부재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시료 채취 기구의 수용부 끝단이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의 필터를 눌려지게 함으로써 필터부분에 시료가 침투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가압 방지부(150)를 추가하는 구성이 제안 되었다.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하우징(120)의 모서리부에 가압 방지부(150)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 방지부(150)가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200)의 하우징부(220)에 걸리게 되어 사용자가 가압을 하더라도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200)의 필터가 눌러지지 않게 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서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검사결과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가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 기구(100)와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200)의 결합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시료 채취 기구(100),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200), 센서 스트립의 하우징부(220)의 대략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복합진단 센서의 경우, 동시에 측정하는 진단 인자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여러 가지 측정을 동시에 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구성만으로는 곤란하며, 시료를 주입하는 부분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제품들은 하나 하나 따로 시료를 주입하거나, 한곳에 시료를 주입하여 여러 곳으로 번져가는 래터럴 플로우 필터(Lateral flow filter)를 이용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멤브레인 필터 방식을 택하였고, 복수개의 수용부를 가지는 구조로 인해서 복합 진단인자에 시료를 동시에 주입할 수가 있다 할 것이다.
기존의 방식으로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에 시료를 동시에 주입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시료 주입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진단인자들의 반응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측정값의 오류가 생길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 실시예와 같은 복합진단 인자 반응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시료 주입을 최소화하며, 진단인자의 반응을 동시에 가능하게 함으로써 측정값의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사람마다 모세혈의 혈류 흐름이 다르기 때문에 일정량의 혈액을 버리고, 다시 채혈된 혈액을 이용하는 것이 정확한 측정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1회, 2회, 3회의 혈액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이러한 측정값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5는 시료 채취 기구의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시료의 주입양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의 경우, 진단인자마다 필요로 하는 시료의 양이 다르므로 시료에 맞는 정량의 주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시료 채취 기구의 수용부 구조를 시료 정량에 맞추어 구조화 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Membrane) 및 글래스 파이버(Glass Fiber)의 적층 수, 두께 등에 의해서 원하는 시료의 양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5, 10, 20uL에 해당하는 시료 양을 정량하기 위해 수용부의 구조를 변형할 수도 있다. 도 5 에서는 시료 채취 기구(100)와 복합진단 센서스트립(200)의 결합도로 복합진단 센서스트립 필터(210)이 표시되어 있다. 도 5의 제 1 수용부(111)는 시료의 양이 5uL이고, 제 2 수용부(112)는 시료의 양이 10uL이며, 제 3 수용부(113)는 시료의 양이 20uL인 것을 예시적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시료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의 진단인자마다 필요한 정확한 시료의 양을 주입할 수 있게 되어서 측정값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진단인자 맞춤형 항응고제 처리를 한 시료 채취 기구에 대한 것이 있다.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에서 시료 채취 기구를 이용하여 여러 진단인자를 동시에 측정해야 하므로, 필요로 하는 모세혈의 양이 상당히 많게 된다. 사용자가 채혈과정 중 시간 소요가 크게 되어서, 시료 채취 기구에 채혈된 혈액이 진단센서에 결합되기 전에 응고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시료 채취 기구의 시료 수용부에 항응고제를 처리를 해야지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진단인자에 따라서 항응고제가 저해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저해제 역할을 하지 않는 항응고제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제 1 수용부에는 Lipid 측정을 위해서 K3 EDTA를, 제 2 수용부에는 간질환측정을 위해서 헤파린(Heparin)을, 제 3 수용부에는 Hb 측정을 위해서 K2 EDTA를 각각 코팅하여 처리를 하면 상기 언급한 문제점 등을 효율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시료 채취 기구의 수용부에 전처리 물질을 처리한 것을 들 수 있다.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의 경우, 혈액 샘플의 전처리 반응을 유도한 후 측정반응에 참여시키는 진단인자들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처리 물질을 사전에 시료 채취 기구의 수용부 내부에 코팅을 함으로써, 시료 채취 단계에서 전처리를 할 수 있어 측정 시간의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할 것이다. 제 1 수용부에서는 HDL 측정을 위해서 Non-HDL침전물질(PTA, MgSO4)을, 제 2 수용부에서는 Hb 측정을 위해서 K2 EDTA계면활성제를, 제 3 수용부에서는 간질활 측정을 위해서 아미노산을 수용부 내부에 코팅하여 전처리를 한다면 상기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료 채취 기구 110: 수용부
120: 하우징 130: 손잡이부
140: 시료 채취 오류 방지부 150: 가압 방지부
200: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 210: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 필터
220: 복합진단 센서 스트립 하우징

Claims (6)

  1. 수용된 시료를 측정 스트립상에 분주하기 위한 시료 채취 기구에 있어서;
    모세관 힘(capillary force) 또는 중력에 의해 시료를 수용하는 복수개로 구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끝단에 배치되는 시료 채취 오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시료의 양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용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가 항응고제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기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가 전처리제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기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채취 오류 방지부의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가압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기구.
KR1020110120035A 2011-11-17 2011-11-17 시료 채취 기구 KR101915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035A KR101915727B1 (ko) 2011-11-17 2011-11-17 시료 채취 기구
PCT/KR2012/002451 WO2013073750A1 (ko) 2011-11-17 2012-04-02 시료 채취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035A KR101915727B1 (ko) 2011-11-17 2011-11-17 시료 채취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73A true KR20130054573A (ko) 2013-05-27
KR101915727B1 KR101915727B1 (ko) 2018-11-06

Family

ID=4842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035A KR101915727B1 (ko) 2011-11-17 2011-11-17 시료 채취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5727B1 (ko)
WO (1) WO20130737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689B1 (ko) 2016-06-08 2016-12-08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혈액 채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662A (en) * 1984-11-13 1987-03-17 Cedars-Sinai Medical Center Portable blood typing apparatus and method
CA2643767A1 (en) * 2006-05-03 2007-11-08 Ncl New Concept Lab Gmbh Device and method for chemical, biochemical, biological and physical analysis, reaction, assay and more
KR101204299B1 (ko) * 2010-04-15 2012-11-23 주식회사 인포피아 개선된 시료 채취/주입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측정 스트립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689B1 (ko) 2016-06-08 2016-12-08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혈액 채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727B1 (ko) 2018-11-06
WO2013073750A1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6031B (zh) 采样/样本注射装置以及包括其的生物数据测量套件
US9513249B2 (en) Sensor chip, and measurement device and blood test device in which this sensor chip is used
WO2018006865A1 (zh) 用于存放检测试纸的试纸盒和检测装置
JPWO2003068071A1 (ja) 一体収納アダプタ
WO2021222594A1 (en) Blood volume measurement with fluorescent dye
NO331851B1 (no) Innretning for provetaking av flytende medier
KR101589850B1 (ko) 분석물을 검출하기 위한 대칭적인 시험 요소
KR20210127180A (ko) 측방 유동 장치
KR101032691B1 (ko) 신속한 혈구분리가 가능한 질병진단용 바이오센서
US20080044842A1 (en) Biological Test Strip
JP2003107098A (ja) 計量型試験装置
KR20130054573A (ko) 시료 채취 기구
JP2022509817A (ja) 同時に行われる血液試料のスポット検査および保存
US20140138244A1 (en) Test strip for a medical meter
CN211668855U (zh) 一种用于基础医学的检验取样装置
JP7032454B2 (ja) グルコース試験配置及び方法
US20090204027A1 (en) Lancet with shielded lance
KR20170068968A (ko) 검체 분석 장치 및 그 분석방법
JP5937196B2 (ja) 測定装置およびテストエレメントを有する分析システム
JPWO2020004590A1 (ja) 試料採取デバイスおよび試料調製装置
JP6018779B2 (ja) 検体採取器具
CN215263234U (zh) 一种检测卡
JP7261526B1 (ja) 血液保存容器および血液採取器具
CN205809082U (zh) 血糖仪
KR20210029588A (ko)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