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444A -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444A
KR20210049444A KR1020190133752A KR20190133752A KR20210049444A KR 20210049444 A KR20210049444 A KR 20210049444A KR 1020190133752 A KR1020190133752 A KR 1020190133752A KR 20190133752 A KR20190133752 A KR 20190133752A KR 20210049444 A KR20210049444 A KR 20210049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
elevator
rail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442B1 (ko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3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4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 도어 및 승장 도어가 개폐 작동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강로에 카 도어 및 승장 도어의 좌우 직선 이동을 위한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과 승강로 측면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건물에 대한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승강로의 폭을 확장하지 않더라도, 탑승구의 폭을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전체 영역이 개방된 형태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시 여러명이 동시에 승하차할 수 있고 각 층에서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승객 운송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Elevator Do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 도어 및 승장 도어가 개폐 작동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강로에 카 도어 및 승장 도어의 좌우 직선 이동을 위한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과 승강로 측면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건물에 대한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승강로의 폭을 확장하지 않더라도, 탑승구의 폭을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전체 영역이 개방된 형태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시 여러명이 동시에 승하차할 수 있고 각 층에서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승객 운송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업무용 등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탑승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별도의 도어 구동 장치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카 도어와, 승강장의 승강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카 도어와 연동하여 개폐 작동하는 승장 도어로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구조 및 개폐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건물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로(10)가 설치되고, 승강로(10) 내부를 따라 엘리베이터 카(20)가 승강 이동하는데,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 중심부에는 탑승구(22)가 형성되고, 건물의 각층 승강장(30)에는 엘리베이터 카(20)의 탑승구(22)에 대응되는 승강구(31)가 형성된다.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부에는 탑승구(22)를 개폐하도록 카 도어(4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장(30)에는 승강구(31)를 개폐하도록 승장 도어(5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부에는 카 도어(4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카 도어 레일(41)이 설치되고, 승강장(30)에는 승장 도어(5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승장 도어 레일(51)이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카(20)가 목적층에 도달하면,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20)에 장착된 도어 구동 장치(미도시)에 의해 카 도어(40)가 카 도어 레일(4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탑승구(22)를 개폐하고, 승장 도어(50)는 별도의 연동 장치(미도시)에 의해 카 도어(40)와 함께 연동하여 승장 도어 레일(5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승강구(31)를 개폐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 도어(40) 및 승장 도어(50)가 개방 작동하면, 엘리베이터 카(20)의 탑승구(22) 및 승강장(30)의 승강구(31)를 통해 탑승객이 엘리베이터 카(20)에 탑승하거나 하차하게 된다.
이때, 카 도어(40) 및 승장 도어(50)의 개방 작동시 카 도어(40) 및 승장 도어(50)가 엘리베이터 카(20)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게 이동하게 되므로, 승강로(10)는 엘리베이터 카(20)를 수용하는 공간 이외에도 카 도어(40) 및 승장 도어(50)의 좌우 돌출 이동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승강로(10)의 폭(W1)은 상당한 여유 공간을 갖는 형태로 엘리베이터 카(20)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탑승구(22)는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이 전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전면 중심 영역에만 형성되며,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 양측단부는 패널에 의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고, 이러한 전면 양측단부에 버튼 조작부(21) 등이 장착된다. 따라서, 탑승구(22)의 폭(W3)은 엘리베이터 카(20)의 폭(W2)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탑승구(22)와 승강구(31)의 폭(W3)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승강로(10)에 카 도어(40) 및 승장 도어(50)의 좌우 이동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승강로(10)의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유지해야 하고, 이는 전체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설치 공간의 증가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전체 공간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20)의 탑승구(22)가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이 전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탑승구(22)가 좁아 승객의 승하차 과정에서 여러 승객이 동시에 탑승구(22) 및 승강구(31)를 통과하기가 어려워 승하차시 불편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탑승객의 승하차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탑승구(22)의 형태를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 좌우 방향으로 확장 형성하면, 탑승구(22)가 확장된 만큼 카 도어(40)의 좌우 이동 공간이 더 필요하게 되므로, 승강로(10)의 폭이 더 증가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5420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 도어 및 승장 도어가 개폐 작동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좌우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직선 이동하는 구조가 아니라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강로에 카 도어 및 승장 도어의 좌우 직선 이동을 위한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과 승강로 측면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건물에 대한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로의 폭을 확장하지 않더라도, 탑승구의 폭을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전체 영역이 개방된 형태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시 여러명이 동시에 승하차할 수 있고 각 층에서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승객 운송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탑승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별도의 도어 구동 장치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카 도어와, 승강장의 승강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카 도어와 연동하여 개폐 작동하는 승장 도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카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전면 카 도어 레일과, 상기 전면 카 도어 레일의 양측단으로부터 만곡지게 절곡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 영역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카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측면 카 도어 레일을 포함하는 카 도어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카 도어는 복수개의 카 도어 단위 패널이 상호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카 도어 레일과 상기 측면 카 도어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탑승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상기 승강장의 승강구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승장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전면 승장 도어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 외부 영역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면 승장 도어 레일과 함께 상기 승장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연속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전방 끝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만곡지게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측면 승장 도어 레일을 포함하는 승장 도어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장 도어는 복수개의 승장 도어 단위 패널이 상호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승장 도어 레일과 상기 측면 승장 도어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승강구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승장 도어 레일은 상기 승강장의 승강구 영역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측면 승장 도어 레일은 상기 측면 카 도어 레일의 외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주행하는 승강로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승장 도어의 비상 개폐시 상기 전면 승장 도어 레일과 함께 상기 승장 도어의 비상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비상 보조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승장 도어 레일은 상기 승강장의 승강구 영역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측면 승장 도어 레일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주행하는 승강로의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도어가 상기 탑승구를 개방 완료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카 도어의 전체 카 도어 단위 패널이 상기 측면 카 도어 레일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장 도어가 상기 승강구를 개방 완료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승장 도어의 전체 승장 도어 단위 패널이 상기 측면 승장 도어 레일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구동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후면에 장착되는 도어 구동 모터; 및 일단이 상기 도어 구동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카 도어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후 방향 이동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카 도어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 도어 및 승장 도어가 개폐 작동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좌우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직선 이동하는 구조가 아니라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강로에 카 도어 및 승장 도어의 좌우 직선 이동을 위한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과 승강로 측면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건물에 대한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로의 폭을 확장하지 않더라도, 탑승구의 폭을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전체 영역이 개방된 형태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시 여러명이 동시에 승하차할 수 있고 각 층에서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승객 운송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구조 및 개폐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구조 및 개폐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비상 보조 레일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카 도어 및 승장 도어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도어 구동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구조 및 개폐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비상 보조 레일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카 도어 및 승장 도어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 탑승구(22)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별도의 도어 구동 장치(500)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카 도어(100)와, 승강장(30)의 승강구(31)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카 도어(100)와 연동하여 개폐 작동하는 승장 도어(200)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카 도어(100)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카 도어 레일(300)과, 승장 도어(200)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승장 도어 레일(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 도어 레일(300)은,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카 도어(100)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전면 카 도어 레일(310)과, 전면 카 도어 레일(310)의 양측단으로부터 만곡지게 절곡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엘리베이터 카(20)의 측면 영역을 따라 설치되며 카 도어(100)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측면 카 도어 레일(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카 도어 레일(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채널 형상으로 카 도어(100)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 카 도어 레일(310)과 측면 카 도어 레일(320)은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카 도어(100)는 카 도어 레일(300)을 따라 중간 구간에서 만곡지게 절곡되는 경로를 따라 개폐 이동하게 되므로, 휨 변형 가능한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카 도어(100)가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강성이 약할 수 있으므로, 강성 보강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카 도어 단위 패널(110)이 상호 수직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 카 도어 레일(310)과 측면 카 도어 레일(320)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탑승구(22)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장 도어 레일(400)은, 승강장(30)의 승강구(31)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승장 도어(200)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과, 엘리베이터 카(20)의 측면 외부 영역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과 함께 승장 도어(200)의 개폐 이동 경로를 연속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전방 끝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만곡지게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승장 도어 레일(400) 또한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채널 형상으로 승장 도어(200)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과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은 서로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승장 도어(200)는 카 도어(100)와 마찬가지 형태로 복수개의 승장 도어 단위 패널(210)이 상호 수직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과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승강구(31)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승장 도어(200)와 카 도어(100)의 전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 연성 재질의 커버 플레이트(미도시)가 장착되는 형태로 외부 마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만 외부 노출되고 승장 도어(200)와 카 도어(100)의 복수개의 단위 패널로 분할 형성되는 구조는 외부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 디자인적 미감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카 도어(100) 및 승장 도어(200)가 개폐 작동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카(2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구조가 아니라 엘리베이터 카(20)의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카(20)의 측면과 승강로(10) 측면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카 도어(100)와 승장 도어(200)가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 영역인 탑승구(22) 및 승강구(31) 영역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지만, 엘리베이터 카(20)의 폭을 벗어난 구간에서는 엘리베이터 카(20)의 측면을 따라 절곡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별도의 카 도어(100) 및 승장 도어(200) 이동 공간이 불필요하여 엘리베이터 카(20)의 측면과 승강로(10) 측면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카(20)의 좌우에 카 도어(100) 및 승장 도어(200)의 좌우 직선 이동을 위한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비교하여 동일한 폭(W2)을 갖는 엘리베이터 카(20)를 설치하는 경우, 승강로(10)의 폭(W1)을 상대적으로 작게 감소시킬 수 있어 건물에 대한 전체적인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건물에 대한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20)의 탑승구(22)를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 전체 영역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카 도어(100) 및 승장 도어(200)를 좌우 확장하더라도, 카 도어(100) 및 승장 도어(200)가 각각의 레일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20)의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좌우 직선 이동 구간을 확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승강로(10)의 폭(W1)을 확장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승강로(10)의 폭(W1)을 확장하지 않더라도, 탑승구(22)의 폭(W2)을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 전체 영역이 개방된 형태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시 여러명이 동시에 승하차할 수 있고 각 층에서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탑승구(2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 전체 영역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버튼 조작부(23)는 엘리베이터 카(20)의 내부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카 도어(100)는 탑승구(22)를 개방 완료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카 도어(100)의 전체 카 도어 단위 패널(110)이 측면 카 도어 레일(320)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승장 도어(200)는 승강구(31)를 개방 완료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승장 도어(200)의 전체 승장 도어 단위 패널(210)이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과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승강로(10) 상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고, 상호 분리형으로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은 승강로(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은 엘리베이터 카(20)의 측면 영역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과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이 승강로(1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은 승강장(30)의 승강구(31) 영역에 고정 설치되고,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은 승강로(10)의 양측면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승장 도어 레일(400)가 카 도어 레일(300)은 엘리베이터 카(20)의 상하 주행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이격 간격(d)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과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이 서로 분리 형성되는 경우,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은 승강장(30)의 승강구(31) 영역에 고정 설치되고,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은 측면 카 도어 레일(320)의 외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 카(2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은 엘리베이터 카(20)와 함께 일체로 상하 주행하게 되고, 각 층의 승강장(30)에 정지한 상태에서 해당 승강장(30)의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과 연속적인 가이드 경로를 이루며 승장 도어(200)의 개폐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각 층의 승강장(30)에는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만 설치하면 되고, 측면 승장 도어 레일(420)은 1개만 엘리베이터 카(20)에 설치하면 되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화되고 설치 비용 또한 절감된다.
그러나,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카(20)가 정상적인 정지 레벨 위치에 정지하지 않으면, 다른 층에서 승장 도어(200)를 승장 도어 레일(400)을 따라 정상적으로 개방할 수 없으므로, 비상 상황에서 승객의 구조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로(10)의 내측 벽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장 도어(200)의 비상 개폐시 전면 승장 도어 레일(410)과 함께 승장 도어(200)의 비상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비상 보조 레일(43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도어 구동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 장치(500)는, 엘리베이터 카(20)의 외측 후면에 장착되는 도어 구동 모터(510)와, 일단이 도어 구동 모터(5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카 도어(100)의 끝단에 연결되어 도어 구동 모터(510)의 회전력을 전후 방향 이동력으로 전환하여 카 도어(10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력 전달 수단(520)은, 도어 구동 모터(510)의 모터축(51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 풀리(522)와, 엘리베이터 카(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종동 풀리(523)와, 양단부가 구동 풀리(522)와 종동 풀리(523)에 권취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벨트(521)와, 이동 벨트(521)의 일측에 결합되어 이동 벨트(521)와 함께 이동하는 결합 블록(524)과, 일단이 결합 블록(524)에 결합되는 작동 로드(5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로드(525)의 타단은 카 도어(100)의 카 도어 단위 패널(11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어 구동 모터(510)가 양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 로드(525)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카 도어(100)를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견인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카 도어(100)가 탑승구(22)를 개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도어 구동 장치(500)는 도어 구동 모터(510)가 엘리베이터 카(20)의 후면에 장착되므로, 도어 구동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20)의 전면 탑승구(22) 상단 공간에 형성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와 비교하여 도어 장치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카 도어
110: 카 도어 단위 패널
111: 수직 회전축
200: 승장 도어
210: 승장 도어 단위 패널
211: 수직 회전축
300: 카 도어 레일
310: 전면 카 도어 레일
320: 측면 카 도어 레일
400: 승장 도어 레일
410: 전면 승장 도어 레일
420: 측면 승장 도어 레일
430: 비상 보조 레일
500: 도어 구동 장치
510: 도어 구동 모터
520: 동력 전달 수단

Claims (7)

  1.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탑승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별도의 도어 구동 장치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카 도어와, 승강장의 승강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카 도어와 연동하여 개폐 작동하는 승장 도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카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전면 카 도어 레일과, 상기 전면 카 도어 레일의 양측단으로부터 만곡지게 절곡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 영역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카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측면 카 도어 레일을 포함하는 카 도어 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카 도어는 복수개의 카 도어 단위 패널이 상호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카 도어 레일과 상기 측면 카 도어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탑승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의 승강구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승장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전면 승장 도어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 외부 영역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면 승장 도어 레일과 함께 상기 승장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연속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전방 끝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만곡지게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측면 승장 도어 레일을 포함하는 승장 도어 레일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장 도어는 복수개의 승장 도어 단위 패널이 상호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승장 도어 레일과 상기 측면 승장 도어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승강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승장 도어 레일은 상기 승강장의 승강구 영역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측면 승장 도어 레일은 상기 측면 카 도어 레일의 외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주행하는 승강로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승장 도어의 비상 개폐시 상기 전면 승장 도어 레일과 함께 상기 승장 도어의 비상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비상 보조 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승장 도어 레일은 상기 승강장의 승강구 영역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측면 승장 도어 레일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주행하는 승강로의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가 상기 탑승구를 개방 완료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카 도어의 전체 카 도어 단위 패널이 상기 측면 카 도어 레일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장 도어가 상기 승강구를 개방 완료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승장 도어의 전체 승장 도어 단위 패널이 상기 측면 승장 도어 레일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후면에 장착되는 도어 구동 모터; 및
    일단이 상기 도어 구동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카 도어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후 방향 이동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카 도어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KR1020190133752A 2019-10-25 2019-10-25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KR10229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752A KR102293442B1 (ko) 2019-10-25 2019-10-25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752A KR102293442B1 (ko) 2019-10-25 2019-10-25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444A true KR20210049444A (ko) 2021-05-06
KR102293442B1 KR102293442B1 (ko) 2021-08-26

Family

ID=7591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752A KR102293442B1 (ko) 2019-10-25 2019-10-25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0137A (zh) * 2021-06-24 2021-11-09 陆新建 一种电梯门紧急手动开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740A (ja) * 1993-12-21 1995-07-1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ダムウェータの扉装置
JP2000192723A (ja) * 1998-12-28 2000-07-11 Norio Mitsui 扉構造
KR101354202B1 (ko) 2013-04-25 2014-01-23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엘리베이터용 다단 도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740A (ja) * 1993-12-21 1995-07-1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ダムウェータの扉装置
JP2000192723A (ja) * 1998-12-28 2000-07-11 Norio Mitsui 扉構造
KR101354202B1 (ko) 2013-04-25 2014-01-23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엘리베이터용 다단 도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0137A (zh) * 2021-06-24 2021-11-09 陆新建 一种电梯门紧急手动开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442B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16614B1 (en) Controller for elevators
JP5755033B2 (ja) 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CN110510487B (zh) 用于电梯系统的区域对象检测系统
US20210403288A1 (en) Elevator cars
EP3604192A1 (en) Elevator door control for deboarding passengers in multidoor elevators
KR102293442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JP6030209B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195346B1 (en) Elevator device
EP3564174B1 (en) Openable elevator car wall panels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EP1775250B1 (en) Door device of elevator
KR102337522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 지지 조립체
JP6275812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6145092A (ja) エレベータ装置
US5695024A (en) Car operated safety gate for horizontally transferrable elevator cab
US20080011556A1 (en) Elevator door operator and interlock arrangement
KR101172003B1 (ko) 엘리베이터 카의 밀폐를 위한 카도어 구조
JP4420187B2 (ja) 免震建築物用エレベータ装置
KR10135611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3192261A (ja) 家庭用エレベータ
KR102368155B1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클러치 장치
JP2022188957A (ja) ガイド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5055969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708840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26625B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