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963A -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963A
KR20210048963A KR1020190133309A KR20190133309A KR20210048963A KR 20210048963 A KR20210048963 A KR 20210048963A KR 1020190133309 A KR1020190133309 A KR 1020190133309A KR 20190133309 A KR20190133309 A KR 20190133309A KR 20210048963 A KR20210048963 A KR 20210048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al wheelchair
auxiliary power
wheel
power device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진
Original Assignee
박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진 filed Critical 박용진
Priority to KR102019013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963A/ko
Publication of KR2021004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by using auxiliary detachabl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휠체어를 쉽고 편리하게 전동식 휠체어로 전환하여 편안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바퀴와 보조바퀴가 구비된 수동식 휠체어에 결합되어 상기 수동식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동식 휠체어에 연결되면 상기 메인바퀴를 회동시켜 상기 수동식 휠체어를 운전 가능하게 하는 전동바퀴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바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AUXILIARY POWER DEVICE FOR MANUAL WHEELCHAIR}
본 발명은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식 휠체어를 쉽고 편리하게 전동식 휠체어로 전환하여 편안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란 걷는데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 앉아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채용된 의자이며, 프레임, 시트,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휠체어는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수동식 휠체어는 양측 바퀴의 측면에 핸드림(hand rim)이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핸드림을 직접 손으로 회전시켜 바퀴를 돌려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전동식 휠체어는 휠체어의 양측 바퀴를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시켜 사용자가 굳이 자신의 힘으로 바퀴를 돌리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수동식 휠체어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장거리 운행이 어렵고 불편할 뿐 아니라 경사진 곳을 이동시에는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뒤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는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동식 휠체어의 경우에는 통상 실외용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별도의 수동식 휠체어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수동식 휠체어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동력장치를 별도로 결합하여 전동식 휠체어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탈부착이 가능한 휠체어 보조동력장치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4653호(2012년 05월 08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개특허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식 휠체어(W)에 연결된 보조동력장치(P)와, 이 보조동력장치(P)와 수동식 휠체어(W)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장치(100)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면번호 'C'는 휠체어(W)에 설치되는 크로스바를 나타내 보인 것이고, W0은 휠체어(W)의 메인바퀴를 나타내 보인 것이고, W1은 보조바퀴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하지만, 상기 보조동력장치(P)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고중량이다.
또한, 보조동력장치(P)에 바퀴가 2개가 구성되어 있어 보조동력장치(P)의 구성을 더욱 복잡하게 하고, 핸들의 폭도 매우 협소하여 운전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상기 보조동력장치(P)를 수동식 휠체어(W)를 연결하여 운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바퀴(W1)가 지면에서 들어 올려야 편안한 운전이 가능한데, 현재까지 상기 보조바퀴(W1)를 들어 올리는 수단이 채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저중량이며 운전이 매우 편리하며 보조동력장치가 수동식 휠체어에 결합된 후 수동식 휠체어의 보조바퀴를 들어 올리는 수단을 채용하여 편안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메인바퀴와 보조바퀴가 구비된 수동식 휠체어에 결합되어 상기 수동식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동식 휠체어에 연결되면 상기 메인바퀴를 회동시켜 상기 수동식 휠체어를 운전 가능하게 하는 전동바퀴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바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바퀴가 설치된 휠체어 프레임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에는 상기 실린더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동력장치는 자전거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동력장치가 일반적인 자전거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어,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저중량이며, 운전이 매우 쉽다.
또한, 상기 보조동력장치가 수동식 휠체어에 간단히 결합되기만 하면, 간단한 구성의 승강장치에 의해 수동식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승강되므로, 편안한 운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작동스위치에 의해 승강장치가 승강되므로 보조바퀴를 승강시키는 것이 매우 쉽고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가 결합된 수동식 휠체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가 수동식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진.
도 3은 도 2의 승강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 사진.
도 4는 도 3의 평면 사진.
도 5는 도 2의 보조동력장치가 수동식 휠체어에 결합된 부분의 상세 사진.
도 6은 보조동력장치가 수동식 휠체어에서 분리된 것 중 연결 프레임을 나타내 보인 상세 사진.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승강장치에 의해 수동식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에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가 수동식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승강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 사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 사진이며, 도 5는 도 2의 보조동력장치가 수동식 휠체어에 결합된 부분의 상세 사진이다.
또한, 도 6은 보조동력장치가 수동식 휠체어에서 분리된 것 중 연결 프레임을 나타내 보인 상세 사진이고,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승강장치에 의해 수동식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에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200)는, 메인바퀴(301)와 보조바퀴(305)가 구비된 수동식 휠체어(300)에 결합되어 수동식 휠체어(30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메인 프레임(201)과, 이 메인 프레임(201)에 설치되어 수동식 휠체어(300)에 연결되면 상기 메인바퀴(301)를 회동시켜 수동식 휠체어(300)를 운전 가능하게 하는 전동바퀴(205)와, 상기 메인 프레임(201)에 설치되어 전동바퀴(205)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210)와, 상기 메인 프레임(201)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동식 휠체어(300)의 보조바퀴(305)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210)는, 충전이 가능한 충전배터리와, 이 충전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치(220)는,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201)에 설치된 지지프레임(221)과, 이 지지프레임(221)에 설치된 승강프레임(223)과, 이 승강프레임(223)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장치(225)와, 상기 승강프레임(223)에 설치되어 수동식 휠체어(300)의 보조바퀴(305)가 설치된 휠체어 프레임(310)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223)은 실린더장치(225)의 로드(225a)가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승강되는 링크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220)에는 실린더장치(225)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224)가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스위치(224)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가 구비되며, 예컨대, 청색 스위치를 누르면 실린더장치(225)의 로드(225a)가 전진 슬라이딩하여 승강장치(220)가 상승하고, 적색 스위치를 누르면 실린더장치(225)의 로드(225a)가 후진 슬라이딩하여 승강장치(220)가 하강한다.
한편, 상기 작동스위치(224)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원격 조정으로도 가능하고,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실린더장치(225)의 조작이 가능하고, 다양한 위치에 작동스위치(224)에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동력장치(2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전거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201) 상부 좌우에 핸들(203)이 구비되고, 이 핸들(203)에는 브레이크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200)는, 우선, 보조동력장치(200)의 연결프레임(230)을 수동식 휠체어(300)의 휠체어 프레임(310)에 연결한다.
그러면, 보조동력장치(200)가 수동식 휠체어(300)가 연결되어, 보조동력장치(200)와 수동식 휠체어(300)가 일체가 되며, 수동식 휠체어(300)가 전동식 휠체어로 변경된다.
이렇게 보조동력장치(200)의 연결에 의해 수동식 휠체어(300)가 전동식 휠체어로 변경된 후, 상기 작동스위치(224)의 청색 스위치를 누르면,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장치(225)의 로드(225a)가 전진 슬라이딩 작동하여 수동식 휠체어(300)의 보조바퀴(305)가 상승된다.
그런 후, 구동장치(210)를 구동시키면 사용자의 힘이 아닌 구동장치(210)의 구동모터에 의해 보조동력장치(200)의 전동바퀴(205)가 회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바퀴(205)의 회동으로 수동식 휠체어(300)가 전진 또는 후진 운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자는 보조동력장치(200)의 핸들(203)을 조정하여 수동식 휠체어(300)를 운전한다.
이어서, 수동식 휠체어(300)의 운전이 종료되면, 구동장치(210)를 정지시키고, 승강장치(220)의 작동스위치(224)의 적색 스위치를 누르면, 실린더장치(225)의 로드(225a)가 후진 슬라이딩 작동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동식 휠체어(300)의 보조바퀴(305)가 하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동력장치(200)가 수동식 휠체어(300)에 결합되기만 하면 간단한 구성의 승강장치(220)가 수동식 휠체어(300)의 보조바퀴(305)를 승강시키므로, 편안한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작동스위치(224)에 의해 승강장치(220)가 승강되므로 보조바퀴(305)를 승강시키는 것이 매우 쉽고 편리하다.
그리고 보조동력장치(200)가 일반적인 자전거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중량이며 바퀴가 하나만 구성되면 되므로, 보조동력장치(200)의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핸들(203)의 폭이 넓어 운전이 매우 쉽고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보조동력장치
201. 메인 프레임
203. 핸들
205. 전동바퀴
210. 구동장치
220. 승강장치
221. 지지프레임
223. 승강프레임
224. 작동스위치
225. 실린더장치
225a. 로드
230. 연결 프레임
300. 수동식 휠체어
301. 메인바퀴
305. 보조바퀴
310. 휠체어 프레임

Claims (4)

  1. 메인바퀴와 보조바퀴가 구비된 수동식 휠체어에 결합되어 상기 수동식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동식 휠체어에 연결되면 상기 메인바퀴를 회동시켜 상기 수동식 휠체어를 운전 가능하게 하는 전동바퀴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바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바퀴가 설치된 휠체어 프레임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에는 상기 실린더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동력장치는 자전거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20190133309A 2019-10-24 2019-10-24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20210048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309A KR20210048963A (ko) 2019-10-24 2019-10-24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309A KR20210048963A (ko) 2019-10-24 2019-10-24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963A true KR20210048963A (ko) 2021-05-04

Family

ID=7591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309A KR20210048963A (ko) 2019-10-24 2019-10-24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89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944A (ko) 2022-01-17 2023-07-25 박종범 휠체어 보조장치
KR20230110951A (ko) 2022-01-17 2023-07-25 박종범 가변 바퀴를 갖는 휠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944A (ko) 2022-01-17 2023-07-25 박종범 휠체어 보조장치
KR20230110951A (ko) 2022-01-17 2023-07-25 박종범 가변 바퀴를 갖는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5720B1 (en) Power add-on device for manual wheelchair
US8500095B1 (en) Electric floor jack device
KR20210048963A (ko) 수동식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JP2005502443A (ja) 起立補助車椅子
US10130531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variable configurations of an attachable/detachable motorized drive for standard wheelchairs
CA2842606C (en) Self-propel accessory
EP3578154B1 (en) Indoor and outdoor mobility device system
GB2061197A (en) Modular wheel chair
KR101545158B1 (ko) 접이식 전동 휠체어
JP2001212181A (ja) 車椅子の段差乗り越え装置
KR102150594B1 (ko) 휠체어
KR101237362B1 (ko)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KR20120134256A (ko) 휠체어
CN205339346U (zh) 基于行走轮摆动的双节四履带爬楼轮椅
US7425007B2 (en) Wheelchair and operating means for use in such a wheelchair
CN208910745U (zh) 一种多功能助残轮椅
JP2001341647A (ja) 車椅子連結車両
KR101254789B1 (ko)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KR102012597B1 (ko) 수동 휠체어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호자용 보조 동력장치
CN110448415B (zh) 一种轮椅床
TWI548546B (zh) A combination of a wheelchair and a car seat
CN214049396U (zh) 一种稳定性高的多功能攀爬轮椅
AU2005100261A4 (en) Mobility solution
CN219250724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电动轮椅
CN209996723U (zh) 一种偏瘫病人晴雨伞拐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