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348A - 스마트 방음 마스크 - Google Patents

스마트 방음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348A
KR20210048348A KR1020190132519A KR20190132519A KR20210048348A KR 20210048348 A KR20210048348 A KR 20210048348A KR 1020190132519 A KR1020190132519 A KR 1020190132519A KR 20190132519 A KR20190132519 A KR 20190132519A KR 20210048348 A KR20210048348 A KR 2021004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voice
coupling
receiving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954B1 (ko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김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우 filed Critical 김동우
Priority to KR102019013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954B1/ko
Priority to PCT/KR2019/014092 priority patent/WO2021080042A1/ko
Publication of KR2021004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7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microphones, e.g. in dummy hea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3Materials, e.g. special compositions or g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ultimedia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방음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는, 사용자의 입 주위 안면부에 밀착되기 위한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함에 따른 음성 신호를 외부로 전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음성 변환 모듈과, 차음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1 수용부와, 음성 변환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방음 마스크 {SMART SOUNDPROOF MASK}
본 발명은 스마트 방음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하며 차음성능이 확보되는 스마트 방음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개인 정보 도용과 같은 범죄를 방지하기 위해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현대 사회 사람들은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지 말아야 한다는 배려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사무공간이나 지하철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통화할 시에 통화 내용이 그대로 타인에게 전달되어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끄러운 통화 소리로 인해 상대방에게 불편함을 끼쳐 공공 예절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은 음성으로 통화할 경우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음성이 잘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마스크를 착용하고 통화할 경우 마스크에 차음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결국 작은 음성으로 통화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통화할 시 주위의 소음이 음성과 함께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전달되 통화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4-0030458호, 2005.01.14.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외부와 통신하여 전달할 수 있고, 차음 수단을 구비하여 통화 시 외부로 음성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해 타인에게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동시에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 방음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는, 사용자의 입 주위 안면부에 밀착되기 위한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함에 따른 음성 신호를 외부로 전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음성 변환 모듈과, 차음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1 수용부와, 음성 변환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는, 음성 변환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외부와 통신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의 수용 공간 내에 차음 수단을 구비하여 통화 시 외부로 음성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해 타인에게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동시에 통화내용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의 수용 공간 내에 차음부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통화할 시 주위의 소음이 음성과 함께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해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에 스트랩을 장착한 예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에 스트랩을 장착한 예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10)는 마스크부(100), 전면커버(210), 차음부(220), 음성 변환 모듈(230), 제1 수용부(240), 제2 수용부(250), 내부커버(260), 스트랩 장착부(270)를 포함한다.
마스크부(100)는 몸체(101)에 내부커버(26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입 주위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커버(260)는 제2 수용부(250)의 결합홈(257)과 결합되기 위하여 몸체(261) 일측에 결합부(263)가 형성되며, 내부커버(260)가 마스크부(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면 결합부(263)가 마스크부(100)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내부커버(260)의 결합부(263)는 기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부커버(260)의 결합부(263)가 형성된 몸체(261)의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마스크부(100)는 내부커버(260)의 결합부(263)가 돌출될 수 있도록 몸체(101)의 일면에 결합부(263)의 직경보다는 큰 홈(103)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40)는 몸체(241)와 제1 결합부(243)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는 사용자의 입 주위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마스크부(100)와 제2 수용부(2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 내부공간 저면의 타면 일측에는 차음부재를 구비하는 차음부(2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 수용공간의 저면에 중공(245)이 형성되며, 수용공간 저면의 타면에는 제2 수용부(250)의 중공(253)과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부(243)가 제1 수용부(240)의 내부공간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부(240)의 제1 결합부(243)는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 내부공간에 수용되도록 몸체(24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243)는 제2 수용부(250)의 중공(253)과 결합 시 제1 결합부(243)가 제2 수용부(250)의 결합홈(257)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기설정된 높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243)는 내부가 빈 오브라운드(obround)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결합부(243)는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 저면에 형성된 중공(245)과 연통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40)에는 수용공간을 둘러싸며 기설정된 높이 및 두께를 가지는 테두리가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의 테두리는 전면커버(210)의 결합부(213)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로부터 연장 형성된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테두리의 타면에는 전면 커버(210)를 제1 수용부(240)에 탈착하기 위한 탈착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용부(240)는 제1 결합부(243)가 형성되는 몸체(241)의 내부공간 저면에 돌출 형성된 기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2 결합부(2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의 내부공간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제2 결합부(247)는 제2 수용부(250)에 형성된 결합부(255)와 상호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240)는 몸체(241)의 내부공간 저면의 타면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스트랩 장착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 장착부(270)는 고정부재(271)와 스트랩이 통과하기 위해 고정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착홀(2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트랩 장착부(270)는 스트랩(20) 미사용 시에는 스마트 방음 마스크(1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스트랩(20)을 사용할 시에는 착용자가 스트랩 장착부(270)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밀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스트랩 장착부(270)의 장착홀(272)을 포함한 고정부재(271)가 돌출되게 되고, 돌출된 스트랩 장착부(270)에 스트랩(20)을 장착할 수 있다.
스트랩 장착부(270)는 별도로 구비되는 스트랩(20)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스트랩(20)이 장착된 스마트 방음 마스크(10)를 입을 포함한 안면 주위에 밀착하고 장착된 스트랩(20)을 후두부에 걸고 스트랩(20)을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조임으로써 스마트 방음 마스크(10)을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다.
스트랩(20)을 해제할 시에는 스트랩 장착부(270)에 스트랩(20)을 장착할 때의 역순으로 스트랩 장착부(270)를 스마트 방음 마스크(10)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4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차음부(220)는 차음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차음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음부(220)는 신슐레이트(thinsulate) 소재로 이루어지는 패드 형태의 제1 흡음부재(221)와, 신슐레이트 소재로 이루어지는 패드 형태의 차음부재(223)와, 신슐레이트 소재로 이루어지는 패드 형태의 제2 흡음부재(225)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신슐레이트는 초극세사 섬유로 이루어져 내부에 무수히 많은 미세 기공이 형성된 소재로, 차음부(220)가 신슐레이트 소재로 이루어지면 초극세사 섬유가 음파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음부(220)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동일한 무게 대비 우수한 차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신슐레이트 소재는 밀도가 높아질 수록 방음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나, 임계값 이상에서는 방음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차음부(220)의 밀도는 상기 임계값 보다는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부재(223)는 제1 흡음부재(221)와 제2 흡음부재(225)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것일 수 있다. 차음부재(223)는 높은 밀도로 인해 제1 흡음부재(221)와 제2 흡음부재(225)에 비해 방음 효과가 뛰어날 수 있다.
차음부(220)는 중공(245)이 형성된 몸체(241)의 수용공간의 저면과 차음부재(223)의 표면이 맞닿지 않도록 제1 흡음부재(221)와, 차음부재(223)와, 제2 흡음부재(225)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중공(245)이 형성된 몸체(241)의 수용공간의 저면에 차음부재(223)가 먼저 적층되면 제1 흡음부재(221)와 제2 흡음부재(225)에 비해 밀도가 높은 차음부재(223)가 중공(245)을 막아 제1 흡음부재(221)와 제2 흡음부재(225)가 중공(245)을 막을 때에 비해 착용자의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음부(220)는 제1 흡음부재(221)와, 차음부재(223)와, 제2 흡음부재(225)가 제1 흡음부재(221), 차음부재(223), 제2 흡음부재(225)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제1 흡음부재(221)와, 차음부재(223)와, 제2 흡음부재(225)는 제1 수용부(240)의 수용공간 내에 포함되며,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의 테두리에 밀착가능하도록 하는 기설정된 사이즈 및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흡음부재(221)와, 차음부재(223)와, 제2 흡음부재(225) 각각의 길이는 테두리 사이의 길이와 일치되거나 작은 것일 수 있으며, 제1 흡음부재(221), 차음부재(223), 제2 흡음부재(225)를 적층함에 따른 두께는 몸체(241)의 테두리 부분의 높이와 일치되거나 작은 것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40)의 몸체(241) 수용공간의 저면에 형성되는 중공(245)은 차음부(220)의 차음부재에 의해 덮혀지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40)는 전면커버(210)와 결합되어 제1 흡음부재(221)와, 차음부재(223)와, 제2 흡음부재(225)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밀폐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210)는 제1 수용부(240)와 결합 시 제1 수용부(240)의 제1 흡음부재(221)와, 차음부재(223)와, 제2 흡음부재(225)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테두리의 내면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전면커버(210)가 제1 수용부(240)에 제1 수용부(240)의 제1 흡음부재(221)와, 차음부재(223)와, 제2 흡음부재(225)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테두리의 내면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되면 상기 간격을 통해 공기 및 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전면커버(210)의 몸체의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전면커버(210)의 통공은 전면커버(210)가 제1 수용부(240)와 결합시 제1 수용부(240)의 중공(245)에 대응되는 몸체 일측의 부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수용부(250)는 마스크부(100)의 상면을 덮도록 마스크부(10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수용부(2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제2 수용부(250)는 몸체(251)의 일측에 음성 변환 모듈(230)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몸체(251)에 구비된 수용공간의 저면에 제1 수용부(240)의 제1 결합부(243)의 형상을 가지는 중공(253)을 포함한다.
제2 수용부(250)에는 수용공간을 둘러싸며 기설정된 높이 및 두께를 가지는 테두리가 제2 수용부(250)의 몸체(25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수용부(250)의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테두리는 제1 수용부(240)와 제2 수용부(250) 결합 시 제2 수용부(250)가 제1 수용부(240)의 내부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높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제2 수용부(250)의 중공(253)과 제1 수용부(240)의 제1 결합부(243)는 각각의 형상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2 수용부(250)의 중공(253)에 제1 수용부(240)의 제1 결합부(243)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수용부(250)의 중공(253)은 제2 수용부(250)의 수용공간 저면에 제1 수용부(240)의 제1 결합부(24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부(250)는 내부커버(260)를 내부에 수용하는 마스크부(100)와 제1 수용부(240) 사이에 구비되며, 제2 수용부(250)의 몸체(251)의 수용공간의 저면과 대응되는 타면에는 내부 커버(260)의 결합부(263)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5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부(250)의 몸체(251)의 수용공간의 저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형성된 결합홈(257)은 내부 커버(260)의 결합부(263)의 직경 또는 내부 커버(260)의 결합부(26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커버(260)의 결합부(263)는 제2 수용부(250)의 몸체(251)의 수용공간의 저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형성된 결합홈(257)에 억지끼움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수용부(250)의 몸체(251)의 저면의 일측에는 제1 수용부(240)의 제2 결합부(247)와 대응되는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결합부(25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부(250)에 형성된 결합부(255)는 제1 수용부(240)에 형성된 제2 결합부(24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 수용부(250)의 결합부(255)에 제1 수용부(240)의 제2 결합부(247)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음성 변환 모듈(230)은 제2 수용부(250)의 수용공간 또는 내부커버(260)의 결합부(263)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음성 변환 모듈(230)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부(234)와, 마이크부(234)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외부와 통신하여 전달하도록 하는 회로부(235)와, 마이크부(234) 및 회로부(235)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231)를 포함한다.
음성 변환 모듈(230)은 제2 수용부(250)의 중공(253)에 제1 수용부(240)의 제1 결합부(243)가 결합될 시 제2 수용부(250)의 수용공간 내에서 제2 수용부(250)의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테두리와 제1 수용부(240)의 제1 결합부(243)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제1 수용부(240)의 제1 결합부(24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음성 변환 모듈(230)은 제1 수용부(240)의 제1 결합부(243)와 제2 수용부(250)의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테두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별도의 결합 방식없이 제2 수용부(250)의 수용공간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음성 변환 모듈(230)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250)의 수용공간의 저면에 마이크부(234)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내부커버(260)의 결합부(263)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부(234)에 원활하게 전달되게 하기 위한 통공(259)이 형성될 수 있다.
음성 변환 모듈(230)은 배터리(231)를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단자인 충전단자(232)를 회로부(235)의 일측에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음성 변환 모듈(230)은 이어폰연결부(233)를 통해 변환된 음성 신호를 이어폰연결부(233)와 접속되는 이어폰에 전달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회로부(235)는 충전단자(232)를 통해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외부 전원을 통해 배터리(231)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배터리(231)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회로부(235)에는 스마트 방음 마스크(1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240)의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테두리의 일면에는 상기 회로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회로부(250)에는 스마트 방음 마스크(10)에 휴대용 단말기, 이어폰과 같은 외부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 외부 장치에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조절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회로부(235)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외부와 통신하여 전달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외부와 통신하여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4.1 버전 이상을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
블루투스 4.1 버전 이상을 지원하는 모듈을 구비할 경우 이전 버전에 비해 빠른 전송 속도로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며,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패킷 용량이 커 소비 전력이 감소해 동일한 용량의 배터리(231)를 사용하여도 보다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수용부(240)에는 배터리(23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232)와 이어폰연결부(233)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홈(249)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10)는 마스크부(100)를 사용자가 입부위 안면에 밀착하여 착용하는 경우 내부커버(26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제2 수용부(250) 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2 수용부(250) 내부에는 음성 변환 모듈(230)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외부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전기적인 신호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음 마스크(10)는 제2 수용부(250)부터 전면커버(210)까지 이르는 결합부재들에 통공이 형성되어 제2 수용부(250) 내부의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호흡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마트 방음 마스크, 20: 스트랩,
100: 마스크부, 101: 몸체, 103: 홈,
210: 전면커버, 213: 결합부
220: 차음부, 221: 제1 흡음부재, 223: 차음부재, 225: 제2 흡음부재,
230: 음성 변환 모듈, 231: 배터리, 232: 충전단자,
233: 이어폰 연결부, 234: 마이크부, 235: 회로부,
240: 제1 수용부, 241: 몸체, 243: 제1 결합부,
245: 중공, 247: 제2 결합부, 249: 홈,
250: 제2 수용부, 251: 몸체, 253: 중공, 255: 결합부,
257: 결합홈, 259: 통공,
260: 내부커버, 261: 몸체, 263: 결합부.
270: 스트랩 장착부, 271: 고정부재 272: 장착홀

Claims (5)

  1. 사용자의 입 주위 안면부에 밀착되기 위한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함에 따른 음성 신호를 외부로 전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음성 변환 모듈;
    차음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음성 변환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2 수용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방음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는 몸체의 타측면에 통공이 형성되는 내부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부는,
    상기 내부커버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것
    인 스마트 방음 마스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차음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수용공간이 구비된 몸체 저면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저면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
    인 스마트 방음 마스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음성 변환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면에 상기 제1 수용부의 결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중공; 및
    상기 몸체 타면에 상기 내부커버의 결합부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
    인 스마트 방음 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환 모듈은,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외부와 통신하여 전달하도록 하는 회로부; 및
    상기 회로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
    인 스마트 방음 마스크.
KR1020190132519A 2019-10-23 2019-10-23 스마트 방음 마스크 KR102341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19A KR102341954B1 (ko) 2019-10-23 2019-10-23 스마트 방음 마스크
PCT/KR2019/014092 WO2021080042A1 (ko) 2019-10-23 2019-10-24 스마트 방음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19A KR102341954B1 (ko) 2019-10-23 2019-10-23 스마트 방음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348A true KR20210048348A (ko) 2021-05-03
KR102341954B1 KR102341954B1 (ko) 2021-12-22

Family

ID=7562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519A KR102341954B1 (ko) 2019-10-23 2019-10-23 스마트 방음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1954B1 (ko)
WO (1) WO202108004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690A (ko) * 1999-06-11 1999-09-06 김일호 휴대용전화기
KR200322311Y1 (ko) * 2003-04-10 2003-08-06 이응률 유아용 흡음기
KR20100011610U (ko) * 2009-05-20 2010-11-30 최은희 마이크 삽입부를 갖는 방음 마스크
JP2016092630A (ja) * 2014-11-06 2016-05-23 防衛装備庁長官 防護マスク
KR101992671B1 (ko) * 2018-05-21 2019-06-25 최승용 상향 배치형 배기부를 구비하는 기능성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920A (ko) * 2009-06-23 2010-12-31 박성훈 호흡이 가능한 방음마이크 장치
JP5927667B2 (ja) * 2012-04-24 2016-06-01 興研株式会社 マスク
KR101887667B1 (ko) * 2018-04-30 2018-08-13 이성수 방음이 가능한 음향 마이크 장치
KR200489541Y1 (ko) * 2019-02-11 2019-07-03 박경원 정화공기 공급형 마스크 시스템
KR102030473B1 (ko) * 2019-03-07 2019-10-10 박길용 스마트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690A (ko) * 1999-06-11 1999-09-06 김일호 휴대용전화기
KR200322311Y1 (ko) * 2003-04-10 2003-08-06 이응률 유아용 흡음기
KR20100011610U (ko) * 2009-05-20 2010-11-30 최은희 마이크 삽입부를 갖는 방음 마스크
JP2016092630A (ja) * 2014-11-06 2016-05-23 防衛装備庁長官 防護マスク
KR101992671B1 (ko) * 2018-05-21 2019-06-25 최승용 상향 배치형 배기부를 구비하는 기능성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0042A1 (ko) 2021-04-29
KR102341954B1 (ko)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9519A (en) Headphones
US6370401B1 (en) Storage case and method for a wireless headset with a microphone suspended between earpieces of the headset
EP1104145B1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WO2005096599A1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WO2007058281A1 (ja) 送受話装置
US9912819B2 (en) Audio capture and transmission device having sound attenuation
JP2006222877A (ja) 音声送話装置及び音声送受話装置
WO2007099893A1 (ja) 音声入力イヤーマイク
KR100905252B1 (ko) 개방형 청취장치
JPH0739150U (ja) 携帯用電話機
KR102341954B1 (ko) 스마트 방음 마스크
KR20200068472A (ko) 송수신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안전모
CN214315255U (zh) 固定于头盔的蓝牙接听器
JP7279330B2 (ja) イヤホン及びイヤホンセット
CN209930315U (zh) 用于固定电话的骨传导振子及话筒
CN101184118A (zh) 隔音口罩
CN214014475U (zh) 一种防水蓝牙耳机
GB2439765A (en) Passive telephone privacy device
CN109089186A (zh) 一种便携式头戴耳机
US11736855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device to hearing protection equipment
CN216086975U (zh) 一种耳机盒及组合设备
CN210536902U (zh) 一种便于理线的降噪耳机
CN218006494U (zh) 一种稳定性较好的无线蓝牙耳机
JPS63199523A (ja) 作業用通話ヘルメツト
KR100392427B1 (ko) 수중 통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