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97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972A
KR20210047972A KR1020217012090A KR20217012090A KR20210047972A KR 20210047972 A KR20210047972 A KR 20210047972A KR 1020217012090 A KR1020217012090 A KR 1020217012090A KR 20217012090 A KR20217012090 A KR 20217012090A KR 20210047972 A KR20210047972 A KR 20210047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user
display device
optical imaging
neck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오 쟝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involving arrangement aiming to get less bulky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9Supporting or connecting means other than the external w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2Walk-in-place systems for allowing a user to walk in a virtual environment while constraining him to a given posi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 장착 구조로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 장착 구조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 이미지를 제시하기 위한 광학 이미징 구조, 및 상기 사용자의 경부에 착용 가능하고 상기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제공하여 제시하기 위한 경부 착용 구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이미징 표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표시 컨텐츠를 제시함으로써 대응한 정보전달, 정보 교류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는 통상적으로 TV,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에 따라 표시 장치는 점차적으로 휴대폰, 태템블릿등 휴대용 설비와 같은 소형화 및 경량화의 모바일 단말기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모바일 단말기의 범위는 한층 발전하여 휴대용 설비에서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착용형 장치(또는 착용형 장치로 칭함)로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착용형 설비는 안경식 단말기, 투구식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다.
하지만, 착용형 설비의 중량이 클 경우, 사용자가 착용 후 쉽게 무게중심을 잃게 되고, 짧은 시간 동안 착용하더라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므로 착용형 장치의 사용에 불리하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헤드 장착 구조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 장착 구조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 이미지를 제시하도록 사용되는 광학 이미징 구조, 및 상기 사용자의 경부에 착용 가능하고, 상기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제공하여 제시하도록 쓰이는 경부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헤드 장착 구조에 설치되며, 또는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는 상기 헤드 장착 구조와 일체형 구조를 형성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와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의해 획득된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송신하는 데이터 연결선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데이터 연결선의 제1 단은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연결되고 제2 단은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를 착용할 경우, 상기 제1 단이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상기 제2 단은 상기 사용자의 후경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헤드 장착 구조는 안경테이며, 상기 안경테에는 송신회로가 내장되고, 상기 송신회로의 일단은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경테의 적어도 1개 안경 다리의 단부에서 상기 데이터 연결선의 제1 단에 연결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는 제1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경부 착용 구조는 제2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모듈과 상기 제2 무선 통신모듈 사이에는 무선통신연결을 구축 가능하며,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는 상기 무선통신연결을 통하여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의해 획득된 상기 가상 이미지를 획득 가능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경부 착용 구조 내의 메인 전원 모듈과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전원 모듈이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전력을 공급하게 하는 전원 연결선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 또는 상기 헤드 장착 구조에 내장되도, 상기 메인 전원 모듈이 상기 광학 이미징 모듈에 전력공급을 중지할 경우,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메인 전원 모듈은 또한 상기 전원 연결선을 통하여 상기 보조 전원 모듈에 전력을 공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경부 착용 구조는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메인 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 또는 상기 헤드 장착 구조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 프로세서 모듈이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상기 가상 이미지 제공을 중지할 경우,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기본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보조 프로세서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가상 이미지의 획득 난이도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획득 난이도보다 낮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경부 착용 구조는 U형을 나타내며, 상기 사용자의 경부에 착용할 경우, U형 구조의 밑부분이 상기 사용자의 후경부에 위치하고 U형 구조의 양단 및 개구부가 상기 사용자의 가슴에 위치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경부 착용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조작 응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조작 응답 영역은 상기 사용자의 트리거링 조작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구현하는데 쓰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조작 응답 영역에는 버튼, 다이얼 및 터치패드 중 적어도 1개가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트리거링 조작을 감지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경부 착용 구조의 형상은 인체 경부 곡선에 맞물린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경부 착용 구조의 형상이 가변함으로써,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경부 곡선에 자동적으로 적응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경부 착용 구조는,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후경부에 위치하는 후경부 어셈블리,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한쪽 가슴에 위치하는 제1전방 어셈블리,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다른 한쪽 가슴에 위치하는 제2 전방 어셈블리, 상기 후경부 어셈블리와 상기 제1전방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고,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한쪽 경부 곡선에 자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제1 가변형 어셈블리, 및 상기 후경부 어셈블리와 상기 제2전방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고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다른 한쪽 경부 곡선에 자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제2 가변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사용자가 보고 있는 장면 컨텐츠를 감지하여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경부 착용 구조가 상기 장면 컨텐츠와 알맞는 상기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장면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사용자가 송신한 명령을 수집하여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경부 착용 구조가 대응한 처리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수집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재생하며, 또는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는 이어폰 잭이 설치되고, 상기 이어폰 잭에 삽입된 이어폰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재생하며, 또는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무선 이어폰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무선 이어폰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재생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헤드 장착 구조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헤드 장착 구조는 장식용 렌즈, 시력 교정용 렌즈 또는 미리 설정된 특성을 구비한 광학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표시 장치는 증강 현실형 표시 장치이다.
상술한 통상적인 설명과 뒷부분의 세부적인 설명은 예시적 및 해석을 위한 부분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할 수 없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도면은 명세서에 편입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개시에 적응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바 명세서와 마찬가지로 본 개시의 원리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착용형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이미징 구조와 헤드 장착 구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표시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경부 착용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표시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구성인 표시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면에 표시된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도면이 언급될 경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서로 다른 도면 중의 동일한 숫자는 동등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실시방식은 본 출원과 일치한 모든 실시방식을 대표하지 않으며 반대로 이런 실시방식은 단지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본 출원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또는 방법에 따른 실시예일 뿐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과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홀수 형식의 "일종", "상기" 및 "본"은 상하문에서 명확하게 기타 함의를 설명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식도 포함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 사용된 "및/또는"과 같은 용어는 1개 또는 복수의 관련 아이템을 포함하는 어느 한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가르킨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 사용될 수 있는 용어 "제1", "제2", "제3" 등은 각종 정보를 설명하지만 이런 정보들은 결코 이런 용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런 용어는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분하기 위할 뿐이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제1 정보는 제2 정보라고 호칭할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2 정보도 제1 정보라고 호칭할 수도 있다. 언어 장면 감지 모듈에 따라 사용되는 단어 "만약" 은 "...일 때" 또는 "...일 경우" 또는 "결정에 호응"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착용형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경부 착용 구조(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1)는 분리식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광학 이미징 구조(11)를 헤드 장착 구조(13)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헤드 장착 구조(13)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광학 이미징 구조(11)에서 사용자에게 재생 컨텐츠를 제시할 수 있으며, 경부 착용 구조(12)는 사용자의 경부에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표시 장치(1)를 착용할 경우 경부 착용 구조(12)를 통하여 사용자의 경부에서 일부분 무게를 분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 머리의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 무게중심의 뚜렷한 상향 이동을 방지하고 이동 시 현기증을 방지하는 한편, 장시간 착용 시의 피로감이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경부 착용 구조(12) 사이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14)을 통하는 유선 연결방식을 사용한다. 연성 재료로 조제된 연결선(14)은 사용자 머리 또는 경부 활동에 적응하며 표시 장치(1)의 보관에도 도움이 된다. 연결선(14)은 1개 또는 복수의 용도로 사용되는 바, 예를 들면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경부 착용 구조(12) 사이의 데이터 연결선로서 경부 착용 구조(12)에서 가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당해 연결선(14)을 통하여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송신하여 광학 이미징 구조(11)에서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경부 착용 구조(12) 사이의 전원 연결선로서 경부 착용 구조(12)에 메인 전원 모듈이 내장되고 연결선(14)은 메인 전원 모듈과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메인 전원 모듈이 연결선(14)을 통하여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연결선(14)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전원 송신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연결선과 전원 연결선을 서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헤드 장착 구조(13) 사이는 일체형 구조를 사용하여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헤드 장착 구조(13) 사이를 일정한 정도로 결합 및 융합시킴으로써 보다 통일화된 구조 및 외관을 구현한다. 예를 들면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이미징 구조와 헤드 장착 구조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장착 구조를 안경테라고 가설하면 본 안경테는 렌즈 장착부(131), 제1 안경 다리(132) 및 제2 안경 다리(133)를 포함하며, 안경테에는 송신회로(110)가 내장되고, 렌즈 장착부(131)에 광학 이미징 구조(11)를 장착하게 되면 송신회로(110)가 렌즈 장착부(131)에서 제1 안경 다리(132)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연결선(14)의 제1 단(141)에 연결되고, 도 1에서 제2 단(142)을 경부 착용 구조(12)의 중간점에 연결하듯이 연결선(14)의 제2 단(142)이 경부 착용 구조(12)에 연결된다.
연결선(14)의 제1 단(141)을 제1 안경 다리(132)의 단부에 연결시키고 제2 단(142)을 경부 착용 구조(12)의 중간점에 연결시켜 사용자가 표시 장치(1)를 착용할 경우 제1 단(141)은 사용자의 후두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제2 단(142)은 사용자의 후경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근접하며, 제1 단(141)이 사용자의 후두부에서 멀리 떨어지거나 또는 제2 단(142)이 사용자의 후경부에서 멀리 떨어지는 경우에 대비해 연결선(14)의 길이가 일정한 상황에서 연결선(14)이 사용자의 머리, 경부활동에 대한 제한성을 최대한 감소시키며 연결선(14)이 사용자에 대한 운동견제 또는 제한 등 불량한 느낌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선(14)의 제1 단(141)은 반드시 제1 안경 다리(132)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제2 단(142)도 반드시 경부 착용 구조(12)의 중간점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실제적으로, 기타 연결방식을 토대로 제1 단(141)은 여전히 사용자의 후두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제2 단 (142)은 사용자의 후경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근접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체험 및 사용 느낌을 개선할 수 있다.
연결선(14)을 통하여 유선 연결을 구현하는 외에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경부 착용 구조(12) 사에에 무선 연결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표시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이미징 구조(11)는 제1 무선 통신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고 경부 착용 구조(12)는 제2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무선 통신 모듈(110)과 제2 무선 통신 모듈(120) 사이에는 무선통신연결을 구축 가능하고 광학 이미징 구조(11)는 무선통신연결을 통하여 경부 착용 구조(12)에 의해 획득된 가상 이미지를 획득 가능하다.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헤드 장착 구조(13)가 일체형 구조일 경우, 제1 무선 통신 모듈(110)을 헤드 장착 구조(13) 내에 장착하여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연결할 수 있으며, 기타 상황에서는 기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무선방식을 통하여 경부 착용 구조(12)에서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바, 예를 들면 경부 착용 구조(12)에는 무선 전력 송신단이 내장되고 광학 이미징 구조(11)에는 무선 전력 수신단이 내장되어 경부 착용 구조(12)가 이를 통하여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데이터 송신과 전력 송신은 상호 독립적인 것이지 필연적인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며 일부 장면 감지 모듈에서만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유선 연결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결선(14)을 바탕으로 데이터 및 전력 송신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또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연결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형식을 통하여 데이터 송신과 전력송신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데이터 송신에 유선 송신방식을 사용할 경우 전력은 무선전력송신을 사용할 수 있고 연결선(14)은 데이터 연결선로만 쓰이며 또는, 데이터송신에 무선송신방식을 사용할 경우 전력은 유선전력송신을 사용하여 연결선(14)을 전력송신에만 쓰이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부 착용 구조(12)의 형상은 고정불변하여 경부 착용 구조 (12)의 형상을 인체 경부 곡선에 알맞는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경부 착용 구조(12)가 사용자의 어깨, 목, 가슴 등 부위에 압박감이나 기타 불편함을 조성하지 않게 하며, 경부 착용 구조(12)의 사용자 착용체험을 향상시키고 경부 착용 구조(12)에 따른 불편함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사전 조사연구를 통하여 약간의 사용자 경부 견본 데이터를 수집하고 경부 견본 데이터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일부분 또는 대부분 사용자에 알맞는 인체경부 곡선을 획득하고 이에 따라 경부 착용 구조(12)의 형상을 합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경부 착용 구조(12)가 일부분 또는 대부분 사용자의 경부상황에 적응하도록 한다. 물론, 서로 다른 연령대, 성별, 인종 등에 따른 인체구조적인 차별화로 인하여 사전에 다양한 유형의 개체군을 획분하고 각 유형의 개체군을 상대로 한 경부견본 데이터를 각각 수집하여 대응한 인체 경부 곡선을 분석함으로써 각 유형의 개체군에 대응하는 경부 착용 구조(12)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자체 실제상황에 따라 선택 및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부 착용 구조(12)의 형상은 변화가능하며, 사용자가 경부 착용 구조(12)를 경부에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경부 곡선에 자동으로 적응하게 함으로써 모든 사용자에 알맞는 동등한 경부 착용 구조(12)를 제공하여 경부 착용 구조(12)가 사용자의 경부 곡선에 적응 및 접합하도록 한다. 경부 착용 구조 (12)는 내부의 회로기판, 칩, 회로 등 기능성 어셈블리 및 외부의 포장어셈블리을 포함하며, 종래의 공법조건 하에서는 경부 착용 구조(12)의 모든 구성부분에 연성 재료를 사용하기 어려운 바, 상기 실시예로부터 적당하게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성재료를 사용하여 외부의 포장 어셈블리를 제조하고 내부의 기능성 어셈블리인 회로기판, 회로 등은 가능한 연성재료를 사용하지만 칩 등과 같이 연성재료를 사용할 수 없는 경질구조는 전체 경질구조의 집성을 방지하고 최대한 서로 다른 경질구조를 공간적으로 상호 분리시키며, 각 경질 구조 사이에 일정한 정도의 상대적인 변화를 조성하여 경부 착용 구조(12)가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경부 곡선에 적응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경부 착용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부 착용 구조(12)는, 착용될 경우 사용자의 후경부에 위치하는 후경부 어셈블리(12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오른쪽 가슴에 대응하게 착용될 경우 사용자의 한쪽 가슴에 위치하는 제1전방 어셈블리(12B); 도 5에서 사용자의 왼쪽 가슴에 대응하듯이 착용될 경우 사용자의 다른 가슴에 위치하는 제2전방 어셈블리(12C); 후경부 어셈블리(12A)와 제1전방 어셈블리(12B)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가변형 어셈블리(12D); 및 후경부 어셈블리(12A)와 제2전방 어셈블리(12C) 사이에 연결되는 제2 가변형 어셈블리(12E)를 포함한다.
후경부 어셈블리(12A), 제1전방 어셈블리(12B), 제2전방 어셈블리(12C)는 칩 등과 같이 연성재료를 사용할 수 없는 경질구조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가변형 어셈블리(12D), 제2 가변형 어셈블리(12E)는 내부에 경질구조가 설정되지 않고 외부의 포장구조도 연성재료로 구성되어, 제1 가변형 어셈블리(12D), 제2 가변형 어셈블리(12E)가 사용자의 경부 곡선에 각각 자동적으로 적응하며 전체적으로 경부 착용 구조(12)가 사용자의 경부 곡선에 자동으로 적응한다. 대응하게, 후경부 어셈블리(12A), 제1전방 어셈블리(12B), 제2전방 어셈블리(12C)의 외부 포장 어셈블리은 연성 재료를 사용하거나 경질재료를 사용하여 내부의 칩 등을 보호하고 충족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는 바 본 실시예의 구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경부 착용 구조(12)는 임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송신하고,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경부 착용 구조(12)는 임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렌더링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면 로컬 메모리에서 읽기, 클라우드 메모리에서 읽기, 로컬에 접속한 외부 저장장치에서 읽기 등)를 로딩하여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또는 기타 방식을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장면 감지 모듈을 포함하며, 장면 감지 모듈은 사용자가 보고 있는 장면 감지 모듈 컨텐츠를 감지하여 경부 착용 구조(12)에 송신하여 경부 착용 구조(12)가 장면 감지 모듈 컨텐츠에 알맞는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장면 감지 모듈 컨텐츠에 대하여 대응하는 증강 현실 기능을 구현하는데, 이때 표시 장치(1) 는 증강 현실 설비로 인정받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징 구조(11) 또는 헤드 장착 구조 (13)에는 카메라(15)를 장착할 수 있으며, 카메라(15)는 사용자의 안부 주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장면 감지 모듈 컨텐츠를 수집하고 상기 연결선(14) 또는 무선 통신연결을 통하여 경부 착용 구조(12)에 송신함으로써 경부 착용 구조(12)가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광학 이미징 구조(1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장면 감지 모듈은 기타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장면 감지 모듈은 포지셔닝 칩과 자이로 스코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지셔닝 칩을 통하여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고 나아가 자이로 스코프를 통하여 사용자의 안면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고 있는 장면 감지 모듈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명령수집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송신한 명령을 경부 착용 구조(12)에 송신하고 경부 착용 구조(12)에서 대응하는 조작을 구현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명령수집모듈은 광학 이미징 구조(11), 경부 착용 구조(12) 또는 헤드 장착 구조(13)에 장착된 마이크 등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댑터는 사용자가 내보낸 오디오방식의 명령을 수집하여 경부 착용 구조(12)를 제어하며, 이런 명령으로는 스위치 제어, 음량 조절, 가상 이미지 컨텐츠 조정, 가상 이미지 축소비율 조절 등을 예로 들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기타 실시예에서, 명령수집모듈은 기타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명령수집모듈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15)를 포함하며 카메라(15)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수집하고 손동작에 대응하는 명령을 식별함으로써 경부 착용 구조(12)에 대한 제어를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부 착용 구조(12)는 사용자의 트리거링 조작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조작 응답 영역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이런 조작기능은 스위치 제어, 음량 조절, 가상 이미지 컨텐츠 조절, 가상 이미지 축소비율 조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부 착용 구조(12)는 U형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경부에 착용 시 U형 구조의 밑부분이 사용자의 후경부에 위치하고 U형구조의 양단과 개구부가 사용자의 가슴에 위치한다. 사용자 조작의 편리성을 위하여 조작 응답 영역은 도 1 내지 도 2에서 경부 착용 구조(12)의 좌측 단부에 위치한 바와 같이 경부 착용 구조(12)의 적어도 일단에 설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응답 영역에 스위치 버튼(121), 음량확대버튼(122), 음량 축소버튼(123) 등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컨트롤이 설정될 수 있으며, 당연하게 버튼 이외에 다이얼, 터치패드 등 기타 방식의 터치 컨트롤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트리거링 조작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상술한 음량 조절에 있어서 경부 착용 구조(12)에 대응하게 내장된 오디오 재생 모듈로서 오디오 재생을 구현하는데 쓰인다. 일 실시예에서 경부 착용 구조(12)에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재생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경부 착용 구조(12)에는 이어폰 잭이 설치되고 이어폰을 이어폰 잭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재생하며, 또 일 실시예에서 경부 착용 구조(12)에는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되고,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이어폰에 연결할 수 있고 무선 이어폰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재생한다. 경부 착용 구조(12)는 상기 임의의 일종 또는 복수의 오디오 재생 방식을 지지하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같이, 헤드 장착 구조(13)는 특정기능을 구비하는 렌즈(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16)는 광학 이미징 구조(11) 가 사용자와 멀리 떨어진 한쪽에 위치하여 광학 이미징 구조(11)가 렌즈(16)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렌즈(16)는 광학 이미징 구조(11)를 차폐하기 위한 장식용 렌즈로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렌즈(16)는 근시용 렌즈 또는 원시용 렌즈와 같은 시력 교정용 렌즈로서 사용자의 시력교정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렌즈(16)는 자외선 필터 등 미리 설정한 특성을 구비하는 광학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미리 설정한 특성의 유형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서로 다른 장면 감지 모듈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렌즈(16)를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여 사용자가 서로 다른 장면 감지 모듈에서 편리하게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징 구조(11)의 작동은 완전히 경부 착용 구조(12)에 의뢰하는 바, 경부 착용 구조(12)에서 전력, 가상 이미지 등을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제공한다. 그렇게 되면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경부 착용 구조(12)가 연결을 차단하거나 또는 경부 착용 구조(12)가 전력 소모 등 이유로 정상적으로 작업할 수 없을 경우, 광학 이미징 구조(11)도 정상적으로 작업할 수 없게 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 이미징 구조(11)를 정상적인 상황에서 경부 착용 구조(12)에 의거하여 작업하고, 특수 상황에서는 일정한 정도에서 독립적으로 작업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적어도 사용자의 일부분 사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표시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전력공급의 차원에서 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부 착용 구조(12)에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전원 모듈 (124)이 내장되며, 광학 이미징 구조(11) 또는 헤드 장착 구조(13)에 보조 전원 모듈(17)이 장착되어 메인 전원 모듈(124)이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전력공급을 정지할 경우, 보조 전원 모듈(17)에서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메인 전원 모듈(124)은 정상적인 상황에서 직접적으로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전원 모듈(17)에도 충전함으로써, 보조 전원 모듈(17)이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데이터 처리 차원에서 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부 착용 구조(12)에는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메인 프로세서 모듈(125)이 내장되어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며, 표시 장치(1)는 광학 이미징 구조(11) 또는 헤드 장착 구조(13)에 내장되는 보조 프로세서 모듈(18)을 포함하며, 메인 프로세서 모듈(125)이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가상 이미지 제공을 정지할 경우, 보조 프로세서 모듈(18)에서 기본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제시한다. 보조 프로세서 모듈(18)의 프로세스 성능은 메인 프로세서 모듈(125)에 비해 낮거나 훨씬 낮기 때문에, 기본 가상 이미지의 획득 난이도는 가상 이미지에 비해 낮으며 보조 프로세서 모듈(18)에서 순조롭게 기본 가상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 모듈(18)의 프로세스 성능이 낮기때문에 전력 소모량이 보다 작아서, 보조 전원 모듈(17)은 작은 전력 하에서도 여전히 보조 프로세서 모듈(18)의 응용적 수요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보조 전원 모듈(17)과 보조 프로세서 모듈(18)이 사용자의 머리에 과다한 하중 증가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광학 이미징 구조(11)가 경부 착용 구조(12)에서 독립하여 사용하는 일정한 능력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에 있어서 쾌적함과 기능 확장의 보다 양호한 평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구성인 표시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경부 착용 구조(12)를 포함하며, 광학 이미징 구조(11)는 헤드 장착 구조(13)에 장착된다.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헤드 장착 구조(13) 사이는 서로 독립적이며 즉 사용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광학 이미징 구조(11)와 배합하여 설치된 헤드 장착 구조(13)를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광학 이미징 구조(11)를 사용하는 복수개 헤드 장착 구조에 각각 설치할 수 있으며, 광학 이미징 구조(11)를 기타 사용자와 공유하여 기타 사용자의 헤드 장착 구조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구조의 표시 장치(1)에서 광학 이미징 구조(11)는 양안 표시구조로 설명되고, 도 7에 도시된 분리식 구조의 표시 장치(1)에서 광학 이미징 구조(11)는 단안 표시구조로 설명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실제적으로 양안(兩眼) 표시구조도 분리식 구조의 표시 장치(1)에 응용될 수 있고 단안(單眼) 표시구조도 일체형 구조의 표시 장치(1)에 응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에서 광학 이미징 구조(11)는 관련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이미징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학 이미징 구조(11)는 투영원리를 이용함으로써 가상 이미지를 도 1에 도시된 렌즈(16)(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렌즈에 장착가능)에 투영하여 사용자가 볼수 있도록 한다. 또 예를 들면 광학 이미징 구조(11)는 프리즘 광학원리를 이용하여 프리즘을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사용자의 안부에 반사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광학 이미징 구조(11)는 광도파로 및 홀로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 이미지가 시준렌즈를 경유한 후 평행광으로 변화시키고 평행광을 평판식 도파관에 수직으로 방사한 후 제1 홀로그래픽 격자에 방사하며, 제1 홀로그래픽 격자의 회절 작용 하에 도파관을 따라 제2 홀로그래픽 격자에 전반사한 후 제2 홀로그래픽 격자에서 사용자의 안부에 평행으로 광선을 방사한다. 또 예를 들면 광학 이미징 구조(11)는 라이트 필드기술을 이용하여 광섬유 영사기(Fiber Optic Projector)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의 광선을 직접 사용자의 망막에 투사한다. 그 외, 또 기타 기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광학 이미징 구조(11)에 응용할 수 있는 바 여기서 하나씩 열거하지 않는다.
당업자들은 명세서 및 본 발명의 실천을 고려하고 나서 본 발명의 기타 실시안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런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가 본 발명의 통상의 원리에 따라 본 발명에서 미공개한 기술 분야의 상식 또는 관용기술 방법을 포함시키고자 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지적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각종 수정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서만 제한된다.

Claims (22)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헤드 장착 구조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 장착 구조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 이미지를 제시하기 위한 광학 이미징 구조, 및
    상기 사용자의 경부에 착용 가능하고, 상기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제공하여 제시하기 위한 경부 착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경부 착용 구조는 서로 다른 경질구조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상기 경질구조는 공간적으로 상호 분리되며, 서로 인접한 상기 경질구조사이에는 가변형 어셈블리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형 어셈블리의 내부에는 상기 경질구조가 설정되지 않고, 상기 가변형 어셈블리의 외부 포장구조는 연성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가변형 어셈블리가 사용자의 경부 곡선에 자동적으로 적응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기 경부 착용 구조가 상기 사용자의 경부 곡선에 자동으로 적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헤드 장착 구조에 장착되며, 또는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와 상기 헤드 장착 구조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와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의해 획득된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송신하는 데이터 연결선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결선의 제1 단은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연결되고 제2 단은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를 착용할 경우, 상기 제1 단이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근접하고,상기 제2 단은 상기 사용자의 후경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근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장착 구조는 안경테이며, 상기 안경테에는 송신회로가 내장되고, 상기 송신회로의 일단은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경테의 적어도 하나의 안경 다리의 단부에서 상기 데이터 연결선의 제1 단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는 제1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경부 착용 구조는 제2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모듈과 상기 제2 무선 통신모듈 사이에는 무선 통신연결을 구축 가능하며,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는 상기 무선통신연결을 통하여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의해 획득된 상기 가상 이미지를 획득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착용 구조 내의 메인 전원 모듈과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전원 모듈이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전력을 공급하게 하는 전원 연결선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 또는 상기 헤드 장착 구조에 내장되고, 상기 메인 전원 모듈이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전력공급을 중지할 경우,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 모듈은 또한 상기 전원 연결선을 통하여 상기 보조 전원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착용 구조는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메인 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 또는 상기 헤드 장착 구조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 프로세서 모듈이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상기 가상 이미지 제공을 중지할 경우, 상기 광학 이미징 구조에 기본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보조 프로세서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가상 이미지의 획득 난이도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획득 난이도보다 낮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착용 구조는 U형을 나타내며, 상기 사용자의 경부에 착용할 경우, U형 구조의 밑부분이 상기 사용자의 후경부에 위치하고 U형 구조의 양단 및 개구부가 상기 사용자의 가슴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착용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조작 응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조작 응답 영역은 상기 사용자의 트리거링 조작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응답 영역에는 버튼, 다이얼 및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트리거링 조작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착용 구조의 형상은 인체 경부 곡선에 맞물리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착용 구조의 형상이 가변함으로서,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경부 곡선에 자동적으로 적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착용 구조는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후경부에 위치하는 후경부 어셈블리,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한쪽 가슴에 위치하는 제1전방 어셈블리,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다른 한쪽 가슴에 위치하는 제2 전방 어셈블리,
    상기 후경부 어셈블리와 상기 제1전방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고,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한쪽 경부 곡선에 자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제1 가변형 어셈블리, 및
    상기 후경부 어셈블리와 상기 제2전방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고, 착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다른 한쪽 경부 곡선에 자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제2 가변형 어셈블리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보고 있는 장면 컨텐츠를 감지하여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경부 착용 구조가 상기 장면 컨텐츠에 알맞는 상기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장면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송신한 명령을 수집하여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경부 착용 구조가 대응하는 처리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 수집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재생하며, 또는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는 이어폰 잭이 설치되고, 상기 이어폰 잭에 삽입된 이어폰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재생하며, 또는
    상기 경부 착용 구조에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무선 이어폰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무선 이어폰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장착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장착 구조는 장식용 렌즈, 시력 교정용 렌즈 또는 미리 설정된 특성을 구비한 광학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증강 현실형 표시 장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17012090A 2018-02-09 2018-07-17 표시 장치 KR202100479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35959.4A CN108196629A (zh) 2018-02-09 2018-02-09 显示设备
CN201810135959.4 2018-02-09
PCT/CN2018/095900 WO2019153650A1 (zh) 2018-02-09 2018-07-17 显示设备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235A Division KR20190096929A (ko) 2018-02-09 2018-07-17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972A true KR20210047972A (ko) 2021-04-30

Family

ID=625929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090A KR20210047972A (ko) 2018-02-09 2018-07-17 표시 장치
KR1020197009235A KR20190096929A (ko) 2018-02-09 2018-07-17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235A KR20190096929A (ko) 2018-02-09 2018-07-17 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29524B2 (ko)
EP (1) EP3525031B1 (ko)
JP (1) JP6808751B2 (ko)
KR (2) KR20210047972A (ko)
CN (2) CN108196629A (ko)
RU (1) RU2724658C1 (ko)
WO (1) WO2019153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6629A (zh) * 2018-02-09 2018-06-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设备
IL259276B (en) * 2018-05-10 2021-08-31 Veeride Ltd An augmented reality device supported by a smartphone and a clip-on unit that can be variably attached to user glasses
CN108761795A (zh) * 2018-07-25 2018-1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穿戴式设备
CN109143615A (zh) * 2018-09-28 2019-01-04 深圳市莱克斯瑞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
CN110189665A (zh) * 2019-05-30 2019-08-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穿戴设备和存储介质
CN110187864A (zh) * 2019-06-05 2019-08-30 异起(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的智能辅助装置和方法
CN112083796A (zh) * 2019-06-12 2020-12-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头戴设备、移动终端和控制系统
CN111025636A (zh) * 2019-10-23 2020-04-17 芋头科技(杭州)有限公司 Ar眼镜和ar眼镜套件
KR102477067B1 (ko) * 2020-10-21 2022-12-14 주식회사 이엠텍 웨어러블 음향 장치를 이용한 증강 현실 구현 시스템
US11874709B2 (en) 2020-11-19 2024-01-16 Beijing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rotating shaft mechanism thereof
KR102438151B1 (ko) * 2021-01-29 2022-08-29 정재준 넥밴드형 의료용 헤드라이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016B2 (ja) * 1999-05-10 2001-01-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ネックマウント型ウェアラ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US6798391B2 (en) * 2001-01-02 2004-09-28 Xybernaut Corporation Wearable computer system
US20080144854A1 (en) * 2006-12-13 2008-06-19 Marcio Marc Abreu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JP5190070B2 (ja) * 2007-01-12 2013-04-24 コピン コーポレーション 単眼式の表示装置
US9217868B2 (en) * 2007-01-12 2015-12-22 Kopin Corporation Monocular display device
JP5223760B2 (ja) * 2009-04-07 2013-06-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8884984B2 (en) * 2010-10-15 2014-11-11 Microsoft Corporation Fusing virtual content into real content
US9519640B2 (en) * 2012-05-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lligent translations in personal see through display
KR102091520B1 (ko) * 2014-03-25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RU2551799C1 (ru) * 2014-04-09 2015-05-27 Алексей Леонидович УШАКОВ Составное носимое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связи
KR102253154B1 (ko) 2015-01-29 202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JP6182575B2 (ja) * 2015-02-27 2017-08-16 マイポー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メラを具備した端末機用据置台
US20170103440A1 (en) * 2015-08-01 2017-04-13 Zhou Tian Xing Wearable augmented reality eyegla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and mobile computing via virtual touch screen gesture control and neuron command
CN205318021U (zh) * 2015-12-07 2016-06-15 上海翊视皓瞳信息科技有限公司 分离式可穿戴智能视觉增强设备
US10317939B2 (en) 2016-04-26 2019-06-11 Westunitis Co., Ltd. Neckband type computer
CN206331183U (zh) * 2016-11-29 2017-07-14 北京知境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现实与虚拟现实两用显示设备和可穿戴设备
US10061352B1 (en) * 2017-08-14 2018-08-28 Oculus Vr, Llc Distributed augmented reality system
CN108196629A (zh) * 2018-02-09 2018-06-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5031B1 (en) 2023-06-07
WO2019153650A1 (zh) 2019-08-15
KR20190096929A (ko) 2019-08-20
CN109407757B (zh) 2021-05-04
CN108196629A (zh) 2018-06-22
JP6808751B2 (ja) 2021-01-06
RU2724658C1 (ru) 2020-06-25
CN109407757A (zh) 2019-03-01
EP3525031A1 (en) 2019-08-14
US11029524B2 (en) 2021-06-08
US20190250412A1 (en) 2019-08-15
JP2020517123A (ja)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7972A (ko) 표시 장치
US10261542B1 (en) Distribut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9766482B2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9316836B2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KR102308595B1 (ko)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착용가능한 디바이스
JP6513573B2 (ja) 秘匿されて不可視の光学系を備えるスペクタクル
CN104969115A (zh) 用于头部可安装显示器的模块化框架构造
WO2019001575A1 (zh) 可穿戴显示器
CN205620609U (zh) 模块化头戴式电子设备
US11762207B2 (en) Head mounted audio-visual display system
CN207976793U (zh) 显示设备
CN113900252A (zh) 一种增强现实的眼镜装置
CN114594602A (zh) 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