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852A -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852A
KR20210045852A KR1020190129360A KR20190129360A KR20210045852A KR 20210045852 A KR20210045852 A KR 20210045852A KR 1020190129360 A KR1020190129360 A KR 1020190129360A KR 20190129360 A KR20190129360 A KR 20190129360A KR 20210045852 A KR20210045852 A KR 20210045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ground
junction box
drain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5852A/ko
Publication of KR20210045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bstract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는, 전자 부품의 탑재되는 부품 탑재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박스 바디; 및 박스 바디의 측벽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drain hole)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드레인 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되 접지(earth) 기능을 구비하는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earth module with drain)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Functional junction box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와 달리 접지(Earth)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선박(ship), 특히 대형 선박은 일반 건축물보다 그 규모가 훨씬 큰 구조물이라서 건조 공정이 복잡하다. 즉 수많은 부재와 기자재를 조립해서 하나의 움직일 수 있는 구조물로 만들어야 하므로 건조 공정도 복잡하고, 공기도 무척 오래 걸린다.
선박을 건조하는 공사는 크게, 선각공사와 의장공사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의장공사는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주기관을 비롯한 각종 기계장치와 전기장치를 선체의 각 위치에 설치한 후, 설치된 장치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배관 및 배선 작업을 통해 진행된다.
이러한 배관 및 배선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와이어(wire) 또는 케이블(cable)의 연결작업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연결작업을 위해 정션박스(junction box)가 곳곳에 적용된다.
정션박스는 내부에 복수 개의 퓨즈, 릴레이 등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장치 혹은 구조물(box)로서 그 내부에서 복수의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연결되거나 분기되는 장소를 이룬다. 따라서, 정션박스는 측벽에서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연결되기 위한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정션박스에는 전술한 것처럼 퓨즈, 릴레이 등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야 하는 한편 이들로 전기가 공급되어야 해서 접지(Earth, Earth grounding) 기능을 반드시 적용해야 한다. 참고로, 접지란 익히 알려진 것처럼 전기회로 또는 전기 장비의 한 부분을 도체를 이용하여 땅(ground)에 연결하는 것을 뜻하며, 통상은 접지 볼트(earth bole)를 통해 구현된다.
그런데,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정션박스의 측벽에는 여러 종류 혹은 수많은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연결되어야 해서 복잡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접지 기능을 구현하기가, 즉 접지 볼트를 추가로 체결하기가 쉽지 않은데, 만약 접지 볼트를 설치할 자리가 없으면 불필요하게 정션박스가 커질 수밖에 없어 제조비 문제와 더불어 설치공간 제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11365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와 달리 접지(Earth)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어서 구조물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크게 제조함에 따른 제조비 또는 설치공간 제약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부품의 탑재되는 부품 탑재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박스 바디; 및 상기 박스 바디의 측벽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drain hole)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드레인 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되 접지(earth) 기능을 구비하는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earth module with drain)을 포함하는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은, 모듈 바디; 상기 모듈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 홀에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모듈 샤프트; 및 상기 모듈 바디의 타측을 이루는 모듈 헤드에 형성되되 상기 접지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 라인(earth wire)이 연결되는 접지 라인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 라인 연결부는 상기 모듈 헤드의 표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나사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접지 라인의 단부는 접지 단자를 형성하되 상기 접지 단자는 접지 볼트를 통해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박스 바디의 측벽에는 케이블(cable)이 기밀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와, 상기 케이블 글랜드의 설치를 위한 구멍을 선택적으로 막는 블라인드 플러그(blind plug)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이 상기 케이블 글랜드 또는 상기 블라인드 플러그에 이웃하게 상기 박스 바디의 측벽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접지(Earth)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어서 구조물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크게 제조함에 따른 제조비 또는 설치공간 제약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의 개략적인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에서 겸용 접지 모듈 영역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에서 겸용 접지 모듈 영역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의 개략적인 설치 상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선박(1)의 선체(10)에는 배관 및 배선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와이어(wire) 또는 케이블(cable)의 연결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100)가 곳곳에 적용된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선박(1)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및 특수 작업선 등 어떠한 것이 될 수 있으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100)는 앞서도 잠시 언급한 것처럼 복수 개의 퓨즈, 릴레이 등의 전자 부품(115, 도 2 참조)이 탑재되는 장치 혹은 구조물(box)로서 그 내부에서 복수의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연결되거나 분기되는 장소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100)는 특히,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면서도 구조적으로도 콤팩트해서 종래와 달리 접지(Earth)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종전처럼 구조물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크게 제조함에 따른 제조비 또는 설치공간 제약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100)의 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의 내부 구조도, 도 3은 도 2의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100)는 박스 바디(110)와, 박스 바디(110)의 측벽(114)에 탑재되는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130, earth module with drain)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100)에는 종래와 달리,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130)이 적용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크게 제조하지 않더라도 접지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박스 바디(110)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면, 박스 바디(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100)의 외관 골격을 이룬다.
박스 바디(110)의 내부에 전자 부품(115)의 탑재되는 부품 탑재 공간부(111)가 형성된다. 전자 부품(115)은 퓨즈, 릴레이 등의 각종 부품, 혹은 회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에 탑재되는 전자 부품(115)의 보호를 위해 박스 바디(110)는 측벽(114)이 밀폐된 구조를 취한다. 물론, 박스 바디(110)의 일측에는 부품의 유지보수를 위한 도어(door)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박스 바디(110)의 측벽(114)에는 금속 플레이트(112)가 적용된다. 금속 플레이트(112)는 합성수지의 사출로 제작되는 박스 바디(110)를 보강하는 한편 전자 부품(115)을 지지하고, 전자 부품(115)의 접지를 위해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130)이 설치되는 베이스(base)를 이룬다.
박스 바디(110)의 측벽(114)에는 복수의 케이블 글랜드(121, cable gland)와 블라인드 플러그(122, blind plug)가 설치된다.
케이블 글랜드(121)는 전자 부품(115) 중 예컨대 모터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C)이 설치되는 부품이다. 케이블(C)을 통해 물이나 가스 등이 박스 바디(110) 내로 유입되지 않게 고무로 된 패킹 등이 케이블 글랜드(121)에 부속될 수 있다.
블라인드 플러그(122)는 케이블 글랜드(121)의 설치를 위해 형성한 구멍에 연결되어 구멍을 막는 역할을 한다.
한편,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130)은 박스 바디(110)의 측벽(114)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113, drain hole)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드레인 홀(113)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접지(earth)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다시 말해,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130)을 제거하거나 돌리면 드레인 홀(113)을 통해 드레인 워터(drain water)가 드레인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130)에는 이러한 드레인 기능 외에도 접지 기능이 포함된다.
실제, 드레인 기능이 정션박스에 일반적으로 또한 반드시 적용되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보면, 이러한 드레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접지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종전처럼 접지 볼트를 설치하는 데 따른, 특히 공간상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130)은 케이블 글랜드(121)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122)에 이웃하게 박스 바디(110)의 측벽(114)에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130)은 드레인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서 박스 바디(110)의 측벽(114), 특히 하부 측벽(114)에 결합하는 편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130)은 모듈 바디(131), 모듈 샤프트(132) 및 모듈 헤드(135)를 포함한다.
모듈 바디(131)는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130)의 골격을 이룬다. 모듈 바디(131)의 양측으로 모듈 샤프트(132)와 모듈 헤드(135)가 적용된다.
모듈 샤프트(132)는 모듈 바디(1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축이며, 외벽에 수나사부(133)가 형성된다. 모듈 샤프트(132)의 수나사부(133)는 박스 바디(110)의 측벽(114)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113)에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모듈 헤드(135)는 모듈 바디(131)의 타측, 즉 모듈 샤프트(132)의 반대편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모듈 헤드(135)에 접지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 라인(141, earth wire)이 연결되는 접지 라인 연결부(134)가 적용된다.
다양한 형태의 접지 라인 연결부(134)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간단한 구조로써 접지 라인 연결부(134)를 모듈 헤드(135)의 표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나사부(134)로 적용하고 있다.
이럴 경우, 접지 라인(14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접지 단자(142)를 접지 라인 연결부(134) 영역에 배치한 후, 접지 볼트(143)를 삽입해서 암나사부(134)로서의 접지 라인 연결부(134)에 체결함으로써 접지 구조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접지(Earth)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어서 구조물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크게 제조함에 따른 제조비 또는 설치공간 제약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에서 겸용 접지 모듈 영역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230) 역시, 박스 바디(110)의 측벽(114)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물로서 드레인 기능과 접지 기능 모두를 포함한다.
이러한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230)은 모듈 바디(131), 수나사부(133)를 구비하는 모듈 샤프트(132), 그리고, 접지 라인 연결부(234)를 구비하는 모듈 헤드(135)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접지 라인 연결부(234)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모듈 헤드(135)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나사부(234)로 적용하고 있다.
이럴 경우, 접지 라인(14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접지 단자(142)의 구멍을 접지 라인 연결부(234)에 끼운 후, 접지 너트(243)를 접지 라인 연결부(234)에 체결함으로써 접지 구조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와 달리 접지(Earth)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어서 구조물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크게 제조함에 따른 제조비 또는 설치공간 제약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에서 겸용 접지 모듈 영역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330) 역시, 박스 바디(110)의 측벽(114)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물로서 드레인 기능과 접지 기능 모두를 포함한다.
이러한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330)은 모듈 바디(131), 수나사부(133)를 구비하는 모듈 샤프트(132), 그리고, 제1 및 제2 접지 라인 연결부(334a,334b)를 구비하는 모듈 헤드(135)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지 라인 연결부(334a)는 모듈 헤드(135)의 측면에 형성되는 슬롯이고, 제2 접지 라인 연결부(334b)는 모듈 헤드(135)에 모듈 샤프트(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공이다.
이럴 경우, 접지 라인(141)이 연결된 접지 단자(142)를 제1 접지 라인 연결부(334a)에 끼워 제2 접지 라인 연결부(334b) 영역에 배치한 후, 제2 접지 라인 연결부(334b)로 접지 볼트(343)를 체결해서 접지 단자(142)를 고정시키면 된다. 이럴 경우, 접지 단자(142)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파손되거나 오염되지 않게끔 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와 달리 접지(Earth)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어서 구조물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크게 제조함에 따른 제조비 또는 설치공간 제약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110 : 박스 바디
111 : 부품 탑재 공간부 112 : 금속 플레이트
113 : 드레인 홀 114 : 측벽
121 : 케이블 글랜드 122 : 블라인드 플러그
130 :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 131 : 모듈 바디
132 : 모듈 샤프트 133 : 수나사부
134 : 접지 라인 연결부 135 : 모듈 헤드
141 : 접지 라인 142 : 접지 단자
143 : 접지 볼트

Claims (4)

  1. 전자 부품의 탑재되는 부품 탑재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박스 바디; 및
    상기 박스 바디의 측벽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drain hole)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드레인 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되 접지(earth) 기능을 구비하는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earth module with drain)을 포함하는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은,
    모듈 바디;
    상기 모듈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 홀에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모듈 샤프트; 및
    상기 모듈 바디의 타측을 이루는 모듈 헤드에 형성되되 상기 접지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 라인(earth wire)이 연결되는 접지 라인 연결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라인 연결부는 상기 모듈 헤드의 표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나사부이며,
    상기 접지 라인의 단부는 접지 단자를 형성하되 상기 접지 단자는 접지 볼트를 통해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바디의 측벽에는 케이블(cable)이 기밀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와, 상기 케이블 글랜드의 설치를 위한 구멍을 선택적으로 막는 블라인드 플러그(blind plug)가 마련되며,
    상기 드레인 겸용 접지 모듈이 상기 케이블 글랜드 또는 상기 블라인드 플러그에 이웃하게 상기 박스 바디의 측벽에 결합하는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KR1020190129360A 2019-10-17 2019-10-17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KR20210045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60A KR20210045852A (ko) 2019-10-17 2019-10-17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60A KR20210045852A (ko) 2019-10-17 2019-10-17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52A true KR20210045852A (ko) 2021-04-27

Family

ID=7572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360A KR20210045852A (ko) 2019-10-17 2019-10-17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58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6499A (zh) * 2021-05-27 2021-10-0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一种线路接线试验箱
KR102385118B1 (ko) 2021-12-29 2022-06-03 엠에스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선박의 전동기 모터용 정션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65U (ko) 2009-05-13 2010-11-23 (주) 오름기술 함체 삽입형 철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65U (ko) 2009-05-13 2010-11-23 (주) 오름기술 함체 삽입형 철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6499A (zh) * 2021-05-27 2021-10-0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一种线路接线试验箱
CN113466499B (zh) * 2021-05-27 2024-04-09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一种线路接线试验箱
KR102385118B1 (ko) 2021-12-29 2022-06-03 엠에스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선박의 전동기 모터용 정션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4831B2 (en) Luminaire for use in harsh and hazardous locations
US8158884B2 (en) Angled slots for installation of outdoor metallic boxes
US5704400A (en) Electrical conduit assembly
KR20210045852A (ko) 선박용 기능성 정션박스
KR100909098B1 (ko)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KR200403590Y1 (ko) 단자함
KR101696326B1 (ko) 선박용 정션 박스
US20190097404A1 (en) Junction box
KR100647489B1 (ko) 가로등용 단자함
KR102113073B1 (ko) 개량된 전주 장착용 소형 분배중계기함
US6155871A (en) Electric cable junction box assembly
US20140054083A1 (en) Weatherproof corner box
US6047936A (en) Fixing bracket, particularly for transformers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KR20210134159A (ko) 선박의 선체 격벽의 케이블 하우징 설치구조
KR20170002134U (ko)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170002123U (ko) 방폭용 전기 배선함
CN216750436U (zh) 一种方舱外接口壁盒
KR20100008245A (ko) 와이어링 방수형 어스 커넥터
RU61493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KR200417301Y1 (ko) 수중 전선용 소켓
KR200382486Y1 (ko) 가로등용 단자함
JP2006318846A (ja) 埋め込み型照明器具
CN220586244U (zh) 一种防触电光伏组件
KR200287656Y1 (ko) 단자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