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269A - 투피스형 고강도 스크류 - Google Patents

투피스형 고강도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269A
KR20210044269A KR1020217007678A KR20217007678A KR20210044269A KR 20210044269 A KR20210044269 A KR 20210044269A KR 1020217007678 A KR1020217007678 A KR 1020217007678A KR 20217007678 A KR20217007678 A KR 20217007678A KR 20210044269 A KR20210044269 A KR 20210044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screw
head
torque transmiss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191B1 (ko
Inventor
마누엘 켈너
소르스텐 슈미트
스테판 발마이어
Original Assignee
카막스 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막스 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카막스 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04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2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indicating the attainment of a particular tensile load or limiting tensile load
    • F16B31/027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indicating the attainment of a particular tensile load or limiting tensile load with a bolt head causing the fastening or the unfastening tool to lose the grip when a specified torque is excee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44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 B21K1/46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with h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19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by interrupted quenching
    • C21D1/20Isothermal quenching, e.g. bainitic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93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crews; for bol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스크류(1)에 관한 것으로, 공구결합면(4)을 갖는 헤드(2)와, 헤드(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자유단(5)을 갖는 생크(3)를 가지고, 나사(7)를 갖는 나사영역(6)이 생크(3)에 배치되며, 나사(7)는 미터 ISO 나사 또는 인치 나사로 형성되고, 헤드(2)와 생크(3)는 실질적으로 독립된 부품이며, 헤드(2)는 방사상 내측에 배치되고 축방향력전달요소(9)와 토크전달요소(10)를 갖는 결합요구(8)를 가지고, 생크(2)는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고 그 외주면에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12)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를 갖는 결합요소(11)를 가지며, 결합요소(11)가 결합요구(8)에 결합되고, 축방향력전달요소(9)와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12)는 확실히 상호결합되게 구성되어 생크(3)의 자유단(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축방향 병진운동이 특히 분리됨이 없이 방지되거나 방지될 것이며,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은 상호결합되게 구성되어 나사(7)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회전운동이 방지되거나 방지될 것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피스형 고강도 스크류
본 발명은 공구결합면(tool engagement contour)을 갖는 헤드와 이러한 헤드의 반대쪽에 자유단을 갖는 생크(shank)를 갖는 고강도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나사를 갖는 나사영역이 생크에 배치되어 있고, 나사는 미터 ISO 나사 또는 인치 나사로 형성된다.
미터 ISO 나사 또는 인치 나사를 갖는 이러한 스크류는 나사공을 갖는 너트 등의 구성요소의 대응하는 내부나사에 스크류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우드 스크류(wood screw) 또는 기타 다른 자기고정형의 만능 스크류와는 구별된다. 이들의 고강도 특성에 의하여, 이들은 특히 자동차 산업분야, 항공기 산업분야 및 기계산업 엔지니어링 분야와 같이 고강도를 요구하는 특수기술분야에 사용되며, 공예분야, DIY 분야 및 취미분야에 사용되는 것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공구결합면을 갖는 헤드와 헤드 반대쪽에 자유단을 갖는 고강도 스크류가 유럽특허출원 EP 3 358 021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생크에는 ISO 미터 나사로 구성된 나사를 갖는 나사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여러 개의 독립된 부품으로 구성된 스크류가 중국특허출원 CN 103 438 076 A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들 부품에서 제1 부품은 스크류의 헤드이다. 이는 방사상 내측에 배치된 결합요소를 가지며 이는 그 헤드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결합요소는 거의 별모양의 형태, 즉 성형(星形)의 단면을 갖는다. 이들 부품에서 제2 부품은 생크부분이다. 이는 헤드를 향하는 그 자유단에 형성된 결합요소에 대응하는 결합요구를 갖는다. 결합요소는 또한 방사상 내측에 배치된다. 헤드와 생크부분의 연결을 위하여, 결합요소가 결합요구측으로 삽입된다. 이들 부품에서 제3 부품은 다른 생크부분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이한 길이의 스크류가 헤드와 수 개의 생크부분으로부터 조립된다.
여러 개의 독립된 부품으로 구성된 유사한 스크류가 중국특허출원 CN 103 438 072 A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결합요구는 내부나사를 갖는 나사공으로써 형성되고 결합요소는 외부나사를 갖는 나사영역으로써 구성되며, 외경이 감소된 생크의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융통성 있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고강도 스크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청구항의 특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라서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우선 실시형태는 종속청구항에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구결합면을 갖는 헤드와 이러한 헤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자유단을 갖는 생크를 갖는 고강도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나사를 갖는 나사영역이 생크에 배치되며, 이러한 나사는 미터 ISO 나사 또는 인치 나사로 형성된다. 헤드와 생크는 실질적으로 독립된 부품이다. 헤드는 방사상 내측에 배치되고 축방향력전달요소와 토크전달요소를 갖는 결합요구를 갖는다. 생크는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고 그 외주면에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와 토크전달대응요소를 갖는 결합요소를 갖는다. 환언컨데, 결합요소는 생크의 방사상 외측을 한정하는 생크의 한 부분을 형성한다. 결합요소는 결합요구에 결합된다. 환언컨데, 결합요소는 결합요구내에 배치되는 생크의 부분일 수 있다. 헤드가 생크와 관련하여 최종 또는 의도된 위치를 차지한 상태, 특히 조립된 상태가 결정적인 것이다. 축방향력전달요소 및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는 확실히 상호결합되게 설계되고 구성되어 생크의 자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크에 대한 헤드의 축방향 병진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토크전달요소 및 토크전달대응요소는 상호결합되게 설계되고 구성되어 나사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생크에 대하여 헤드의 회전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헤드 블랭크(head blank)와 생크 블랭크(shank blank)로부터 특히 상기 언급되었거나 또는 하기에 언급되는 스크류와 같은 고강도 스크류의 기계적인 제조을 위한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된다.
- 방사상 내측에 배치되고 축방향력전달요소와 토크전달요소를 갖는 결합요구를 구비한 스크류의 헤드가 제조될 수 있도록 성형공구에서 헤드 블랭크를 성형하는 단계.
- 결합요구에 의하여 헤드를 생크 블랭크에 나선결합하는 단계.
- 외주면에서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고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와 토크전달대응요소를 갖는 결합요소를 구비한 생크가 제조될 수 있도록 성형공구에서 생크 블랭크를 성형하는 단계.
- 결합요소가 결합요구에 결합될 수 있도록 헤드의 병진운동으로 헤드와 생크를 합체하는 단계.
이러한 본 발명의 단계들은 정하여진 순서에 따라서 수행된다. 그러나, 헤드를 생크 블랭크에 나선결합하는 단계는 결합요소를 형성하는 생크 블랭크의 성형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방법의 단계들 사이에 다른 단계가 수행될 도 있다.
정의
고강도 스크류: 본 발명에서, 고강도 스크류는 적어도 800N/㎟ 의 인장강도 Rm(또는 Rm)을 갖는 스크류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형적인 고강도 스크류는 강도클래스가 8.8, 10.9 또는 12.9 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스크류는 인장강도 Rm 이 적어도 1,400 N/㎟ 인 초고강도 스크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스크류는 적어도 고강도 스크류이지만, 초고강도 스크류일 수도 있다.
공구결합면: 헤드의 공구결합면은 스크류의 헤드에 형성된 면으로 이에 스크류를 작동시키는 작동공구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면은 통상적으로 서로 모서리에서 연결되는 다수의 기능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구결합면은 "구동부(driving feature)"라고도 불린다.
공구결합외면: 공구결합외면(tool engagement outer contour)은 스크류의 헤드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면으로, 이에 스크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작동공구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외면은 통상적으로 서로 모서리에서 연결되는 다수의 기능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구결합외면은 "외부 구동부(external driving feature)"라고도 불린다.
공구결합내면: 공구결합내면(tool engagement inner contour)은 스크류의 헤드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면으로, 이에 스크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작동공구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내면은 통상적으로 서로 모서리에서 연결되는 다수의 기능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구결합내면은 스크류의 헤드에서 중앙요구를 방사상 방향으로 한정한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구결합내면은 "내부 구동부(internal driving feature)"라고도 불린다.
다각형: 본 발명에서, 다각형(polygon)이라 함은 스크류의 헤드와 스크류의 생크의 토크전달대응요소의 공구결합외면("외부 다각형") 또는 스크류의 헤드와 스크류의 생크의 토크전달요소의 공구결합내면("내부 다각형")의 형태에 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서브유닛(sub-unit)내에서 다각형의 서브유닛의 대략 직선인 기능면들이 모서리를 통하여 120°의 각도로 서로 연결된다.
멀티-톱니형: 본 발명에서, 멀티-톱니형(multi-tooth)이라 함은 스크류의 헤드와 스크류의 생크의 토크전달대응요소의 공구결합외면("외부 멀티-톱니형") 또는 스크류의 헤드와 스크류의 생크의 토크전달요소의 공구결합내면("내부 멀티-톱니형")의 형태에 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서브유닛내에서 멀티-톱니형의 서브유닛의 대략 직선인 기능면들이 모서리를 통하여 90°의 각도로 서로 연결된다.
멀티-만곡형: 본 발명에서, 멀티-만곡형(multi-round)이라 함은 스크류의 헤드와 스크류의 생크의 토크전달대응요소의 공구결합외면("외부 멀티-만곡형") 또는 스크류의 헤드와 스크류의 생크의 토크전달요소의 공구결합내면("내부 멀티-만곡형")의 형태에 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만곡형 기능면이 만곡형 모서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성형: 본 발명에서, 성형(星形)은 스크류의 생크의 토크전달대응요소 또는 스크류의 헤드의 토크전달요소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성형의 서브유닛내에서 서브유닛의 대략 직선인 기능면들이 모서리를 통하여 60°의 각도로 서로 연결된다.
기하학적 형태: 본 발명에서, 기하학적 형태(geometry type)라 함은 공구결합면, 토크전달요소 및 토크전달대응요소의 기본적인 가하학적 형상에 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형적인 기하학적 형태는 다각형, 멀티-톱니형 및 멀티-만곡형이다. 예를 들어, 이는 외부 다각형과 내부 다각형은 동일한 제1 기하학적 형태에 속하고, 외부 멀티-톱니형과 내부 멀티-톱니형은 동일한 제2 기하학적 형태에 속하며, 외부 멀티-만곡형과 내부 먼리-만곡형은 동일한 제3 기하학적 형태에 속함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독립된 부분: 스크류의 헤드와 생크는 실질적으로 독립된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는 이들이 비결합형이고 비통합형인 독립된 부품으로 제조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스크류의 완성된 상태에서는 헤드와 생크가 함께 합체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은 이들이 별도 제작후에만 실현되는 것이다.
추가설명
미터 ISO 나사 또는 인치나사를 갖는 새로운 고강도 스크류는 특수한 방식으로 함께 합체되어 연결되는 헤드와 생크를 갖는 적어도 투피스형 스크류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은 용이하게 풀어질 수 있는 나사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연결은 헤드와 생크가 실질적으로 파괴하여서만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스크류는 다른 부속물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의 헤드와 생크 사이의 새로운 형태의 연결에 의하여, 무엇보다도 다음의 두가지 기술적 관점이 스크류를 조일 때 확인되어야 한다.
요구된 잠금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연결을 위하여, 충분히 큰 축방향 전부하력(axial preload force)이 스크류의 헤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의 헤드의 헤드접촉면을 통하여 가하여져야 한다("축방향력전달"). 이러한 전부하력을 얻기 위하여, 헤드와 생크는 나사의 조이는 방향으로 함께 나사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요구된 토크는 헤드의 공구결합면을 통하여 작동공구에 의하여 가하여지고 생크에 전달된다("토크전달"). 그러나, 헤드와 생크는 실질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토크전달은 생크의 자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크에 대한 헤드의 운동이 방지되는 것을 요구한다.
새로운 투피스형 고강도 스크류는 축방향력전달과 토크전달이라는 두가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헤드에 결합요구와 생크에 대응하는 결합요소를 갖는다. 그리고 다시 결합요구는 축방향력전달요소와 토크전달요소를 갖는다. 생크의 결합요소는 대응하는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와 토크전달대응요소를 갖는다. 축방향력전달요소와 축방향역전달대응요소는 요구된 전부하역을 얻기 위하여 협동한다. 따라서, 축방향력전달요소와 축방향역전달대응요소가 서로 결합될 때 생크의 자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크류의 헤드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축방향력전달요소와 축방향역전달대응요소는 요구된 토크가 헤드로부터 생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스크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협동한다. 이는 적어도 나사의 조임방향으로 가하여진다.
스크류는 비교적 기늘고 길 수 있다. 큰 길이대 두께비(L/T)를 갖는 이러한 스크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비교적 낮은 빈도수로만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빈도수는 다단형 프레스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스크류가 다단형 프레스의 각 단계에서 전체 생크길이를 통하여 방출되고 가압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더욱이, 스크류와 성형공구의 좌굴강도는 스크류의 길이가 증가하면 감소하므로 이러한 스크류의 제조에서 품질의 문제가 있다.
새로운 분리형의 스크류는 헤드와 생크로 구성되며, 스크류의 생크가 비교적 가늘고 길어도 고품질의 고강도 스크류가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의 새로운 디자인은 다른 구조의 스크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스크류의 헤드는 별도로 제조되므로, 헤드의 제조에 있어서 긴 길이의 생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결합요소를 얻기 위한 생크의 성형은 1-단계 공정만으로 가능하며, 탄성-소성변형이 되어야 하는 물질을 요구하지 않는다. 수행되어야 하는 성형을 위하여 종래기술의 낮은 빈도수와 너무 낮은 좌굴강도의 문제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스크류의 길이는 프레스의 설치공간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빈도수는 스크류 길이와 무관하다. 고강도 스크류는 프리하든 물질(pre-hardened material)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이후의 퀀칭(quenching)과 템퍼링(tempering)의 필요성을 배제하고 추가로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준다. 이러한 새로운 고강도 스크류는 표준화에 적합하며, 준비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
결합요구는 다단형일 수 있으며 제1 내경부인 제1 부분과 제2 내경부인 제2 부분을 갖는다. 유리하게,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은 조립된 상태에서 생크의 연장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대칭형인 원통형면 또는 원추형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유리하게, 단층영역이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내경부는 제2 내경부 보다 크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 보다 생크의 자유단에 더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는 제2부분이 축방향 정지부의 형태로 축방향력전달요소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하게, 축방향력전달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좋기로는 완전히 단층영역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축방향 정지부를 벗어나서는 생크의 자유단의 방향으로 헤드가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이러한 정지부에 의하여 확실히게 방지된다. 그러나, 다른 방향으로는 헤드가 정지부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은 특히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과 생크의 다른 부분들과의 억지끼워맞춤, 즉, 프레스 피팅(press fit)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유리하게 또는 부가적으로 좋기로는, 이러한 이동의 방지가 언더컷(undercut), 오버사이즈(oversize), 코킹(caulking) 또는 다른 탄성-소성변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이러한 별도의 고정과정이 실현되지 않고 이러한 고정과정이 나사영역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다.
결합요소는 적어도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 및/또는 제2 영역은 유리하게 각각 방사상 외측으로 결합요소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외면을 갖는다. 제1 영역 및/또는 제2 영역은 유리하게 생크의 연장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대칭으로 형성된다. 환언컨데, 제1 영역은, 예를 들어, 생크가 연장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원추형, 원주형, 또는 원통형일 수 있으며, 이는 제조상 특별히 간단하고 비용효율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생크의 연장방향은 특히 생크가 연장되는 방향 및/또는 생크의 길이가 측정되는 방향이다. 유리하게, 제1 영역의 외경은 제2 영역의 외경 보다 크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외경은 이러한 치수선정에 결정적이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이들 상이한 외경은 특히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하게, 제1 영역은 결합요구의 제1 부분에 접촉하고/접촉하거나 제2 영역이 결합요구의 제2 부분에 접촉한다. 유리하게, 제1 영역은 결합요구의 제1 부분과 프레스피팅되고 제2 영역은 결합요구의 제2 부분과 프레스 피팅된다. 이러한 프레스 피팅은 제1 영역과 결합요구의 제1 부분 사이 및/또는 제2 영역과 결합요구의 제2 부분 사이에서 생크와 헤드 사이에 마찰에 의한 토크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환언컨데, 토크전달대응요소는 제1 영역 및/또는 결합요소의 제2 영역에 의하여 형성되고, 특히 전적으로, 토크전달이 이러한 프레스 피팅 또는 이들 프레스 피팅을 통한 마찰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토크전달은 폼피팅수단(form-fitting means)이 제1 영역과 결합요구의 제1 부분 및/또는 제2 영역과 결합요구의 제2 부분에서 생성될 필요가 없으므로 특히 비용효율적이다. 달리 좋기로는 토크전달의 일부는 폼피팅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토크전달의 다른 일부는 마찰연결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결합요소의 제1 영역과 결합요구의 제1 부분 사이의 프레스 피팅은 생크의 자유단을 향하는 방향에서 증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환언컨데, 결합요소의 제1 영역의 표면과 결합요구의 제1 부분의 표면에서 프레스 피팅에 의한 압력이 그 크기에 있어서 생크의 자유단을 향하여 증가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특별히 강한 프레스 피팅이 이루어져 큰 토크를 신뢰가능하게 전달할 수 있다.
대안적 또는 부가적인 우선실시형태에서, 결합요소의 제2 영역과 결합요구의 제2 부분 사이의 프레스 피팅은 생크의 자유단을 향하는 방향에서 감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환언컨데, 결합요소의 제2 영역의 표면과 결합요구의 제2 부분의 표면에서 프레스 피팅에 의한 압력이 그 크기에 있어서 생크의 자유단을 향하여 감소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생크의 자유단을 향하는 결합요소의 제2 영역의 접촉부분 단부에서 절정의 스트레스 피크(stress peaks)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는 결합요소의 제2 영역을 원추체의 형태로 하고 이러한 원추체의 직경을 생크의 지유단을 향하여 감소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특별히 강한 프레스 피팅이 이루어져 큰 토크를 신뢰가능하게 전달할 수 있다.
유리하게, 중간영역이 결합요소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놓여 있으며, 여기에서 유리하게 중간영역은, 특히 전체가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특별히 콤팩트한 생크를 얻을 수 있다. 유리하게 이러한 중간영역은 부분적으로 원추형이어서 아주 간단한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하게, 생크의 제1 영역은 생크의 자유단을 향하는 방향에서 중간영역의 제1 전이영역에 의하여 경계를 이룬다. 환언컨데, 이는 중간부분이 제1 영역에 가장 근접하여 제1 전이영역을 가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1 전이영역은 경사형이거나 단층형이다. 유리하게, 그러나, 제1 전이영역은 만곡부로 구성되며 이러한 상기 만곡부는 제1 만곡반경을 갖는다. 제1 영역의 외경에 대한 이러한 제1 만곡반경의 비율은 유리하게 0.01~0.4의 범위, 좋기로는 0.02~0.25의 범위, 보다 좋기로는 0.04~0.15의 범위이다. 0.01~0.4의 비율이 중간영역을 특별히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다른 한편으로, 0.02~0.25의 비율은 노치효과(notch effect)가 아주 낮도록 하여 스크류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 본원 출원인은 놀랍게도 0.04~0.15 범위의 비율이 특히 변동하중(pulsating load) 하에서 스크류의 진동저항과 스크류의 정적강도(static strength) 사이에서 특별히 유리한 비율임을 확인하였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유리하게, 생크의 제2 영역은 생크의 자유단을 향하는 반대방향에서 중간영역의 제2 전이영역에 의하여 경계를 이룬다. 환언컨데, 이는 중간부분이 제2 영역에 가장 근접하여 제2 전이영역을 가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2 전이영역은 경사형이거나 단층형이다. 유리하게, 그러나, 제2 전이영역은 만곡부로 구성되며 이러한 상기 만곡부는 제2 만곡반경을 갖는다. 제2 영역의 외경에 대한 이러한 제2 만곡반경의 비율은 유리하게 0.01~0.4의 범위, 좋기로는 0.02~0.25의 범위, 보다 좋기로는 0.04~0.15의 범위이다. 0.01~0.4의 비율이 중간영역을 특별히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다른 한편으로, 0.02~0.25의 비율은 노치효과가 아주 낮도록 하여 스크류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 본원 출원인은 놀랍게도 0.04~0.15 범위의 비율이 특히 변동하중 하에서 스크류의 진동저항과 스크류의 정적강도 사이에서 특별히 유리한 비율임을 확인하였다.
제1 만곡반경에 대한 제2만곡반경의 비율인 0.8~1.8의 범위인 것이 특히 유리한데, 이는 이들 만곡부응 특별히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제1 만곡반경에 대한 제2 만곡반경의 비율이 1.01~1.6의 범위일 때 특히 최적한 노치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합요소가 축방향 정지부에 대응하는 축방향 대응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경은 생크의 외경보다 크고 결합요구의 제2 내경 보다 크다. 대응정지부는 유리하게 원추형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정지부와 대응정지부의 쌍은 생크의 자유단의 방향으로 헤드의 축방향 병진운동을 방지하여 전부하력이 가하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요구의 제1 부분은 토크전달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부분이 토크전달요소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두 부분이 토크전달요소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들 두 부분은 서로 직접 인접할 필요는 없다. 다른 부분이 중간에 배치되어 다른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전혀 그러하지 않을 수 있다.
토크전달요소와 토크전달대응요소는 확실히 상호결합되게 구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결합은 토크전달요소와 토크전달대응요소가 기하학적 형태의 다각형, 멀티-톱니형, 멀티-만곡형 또는 성형(星形)을 이루도록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요구된 상호결합이 이루어진다면 다른 기하학적 구조도 가능하다. 한 예로서 널(knurl)의 형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다른 토크전달형태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가지 가능성 있는 것은 마찰연결구성의 형태이다. 이는 특히 네거티브-얼라운스 피트(negative-allowance fit)가 적용되는 경우에 실현될 수 있다.
토크전달요소와 토크전달대응요소는 나사가 풀어지는 회전방향으로 생크에 대한 헤드의 회전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스크류가 제한없이 양회전방향으로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는 일반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토크전달요소와 토크전달대응요소는 주연방향으로 각각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대칭은 토크전달요소와 토크전달대응요소가 스크류가 일측방향의 회전으로 풀리거나 또는 타측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조여진다는 사실을 떠나 이들이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토크전달요소와 토크전달대응요소는 주연방향에서 비대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이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대칭은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생크에 대한 헤드의 회전운동이 방지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권한없는 제3자에 의하여 풀릴 수 없고, 또한 적어도 부가적인 수단을 사용하여서도 풀릴 수 없는 고정스크류결합을 얻을 수 있다.
토크전달요소와 토크전달대응요소는 이들이 스크류의 최대조임토크(maximum tightening torque)를 결정하고, 최대조임토크를 초과하는 경우, 나사의 조임방향으로 생크에 대한 헤드의 회전운동을 더 이상 방지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크류 자체에 의하여 토크안전기능이 제공된다. 이는 최대조임토크를 초과하여 스크류가 조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크류의 생크는 고강도강 또는 섬유복합물질(예를 들어, CFRP)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헤드도 고강도강 또는 섬유복합물질(예를 들어, CFRP)로 구성될 수 있다. 스크류가 두 부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고강도 스크류에서 강도조건만 맞는다면 기본적으로 많은 다른 물질들을 짝지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물질의 선택은 헤드와 생크에 대하여 전기적인 전도특성 또는 절연특성의 부여여하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금속, 특히 강철은 절연플라스틱 시스로 피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의 헤드는 전기적인 전도성을 가지고 스크류의 생크는 비전도성일 수 있다. 또한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새로운 방법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고강도 스크류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단계에서, 스크류는 상기 언급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결합요구에 의하여 생크에 헤드를 나사결합하는 단계 이전에, 헤드 블랭크에에 공구결합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헤드 블랭크가 성형공구에서 성형된다. 공구결합면은 공구결합외면 또는 공구결합내면일 수 있다. 이러한 공구결합면은 기하학적 형태의 다각형, 멀티-톱니형 또는 멀티-만곡형일 수 있다.
생크에 헤드를 결합하는 단계 이후에, 헤드는 생크의 자유단의 방향으로 생크에 대한 헤드의 축방향 병진운동을 방지하도록 생크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고정은 언더컷, 오버사이즈, 코킹 또는 다른 탄성-소성변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이러한 별도의 고정과정이 실현되지 않고 이러한 고정과정이 나사영역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다.
고강도 스크류의 기계적인 비절단생산의 성형공정은 특히 냉간성형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은 성형프레스, 특히 다단형 프레스에서 성형공구에 의하여 수행된다. 생크 블랭크는 그 축방향 단부영역의 성형중에 클램핑 조오(clamping jaws)에 의하여 성형공정중에 고정된다. 생크 블랭크의 축방향 단부영역의 성형은 병진운동형 펀치에 의하여 수행된다.
고강도 스크류를 얻기 위하여, 그 제조중에 열처리가 수행된다. 이러한 열처리는 베이나이트구조를 얻기 위하여 특히 베이나이티세이션(bainitisation)(내부퀀칭 및 템퍼링)될 수 있다. 나사영역의 제작을 위한 성형은 특히 롤링 또는 밀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는 냉간성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강도 스크류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된 출발물질은 통상 "와이어(wire)"로 불린다. 새로운 고강도 스크류를 위하여 사용되는 와이어는 냉간가공가능한 비단련 강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약 0.2%~0.6% 또는 약 0.2%~0.5%의 탄소함량을 갖는다. 강철은 특히 총량으로 약 1.1% 이상의 합금성분, 특히 Cr, Mo, Mn, Ni, V, Nb 또는 Ti를 갖는다.
새로운 고강도 스크류는 베이나이트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나이티세이션에 의하여 제조된다. 베이나이트구조는 같은 정도의 초고연성을 갖는 초고인장강도를 갖도록 한다. 이러한 고연성 또는 고인성은 베이나이트구조가 종래 잘 알려진 방법으로 후속 템퍼링에 의한 담금질로 제조되는 마텐자이트구조(martensite structure)와는 실질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한다. 내부퀀칭과 템퍼링의 경우에 있어서, 담금질은 대신에 베이나이트 상태에서 등온미세조직변태를 통한 오스테나이트 상으로부터 금속냉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정에서, 부품, 특히 스크류는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베이나이트로의 구조적인 변태가 전체 단면을 통하여 완성될 때까지 등온의 온도에서 염욕내에 남아 있게 된다. 마텐자이트 담금질을 위하여 요구된 템퍼링공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는 담금질 변형의 경향을 줄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징 및 여러 특징의 조합의 이점은 단순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의하여 반드시 달성되어야 하는 이점없이 대안적 또는 누적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주제를 변경하지 않고, 원 출원서류 및 특허의 공개내용과 관련하여 다음의 내용이 적용된다: 추가의 특징들, 특히 도시된 기하학적 구조 및 여러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치수와 이들의 상대적인 배치와 작동상의 연결구성 등은 도면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의 특징 또는 청구범위의 특징의 조합은 또한 특허 청구범위의 선택된 배경에 관계없이 가능하며 이에 의하여 제안된다. 또한 이는 별도의 도면에 표시되거나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특징들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다른 청구범위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허청구범위에 나열된 특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특징은 "적어도"라는 부사의 명시적인 사용없이 정확히 이들의 숫자 또는 언급된 숫자 보다 더 많은 숫자로 표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의 나사라고 언급되는 경우 이는 정확히 하나의 나사, 두 개의 나사 또는 그 이상의 나사가 존재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특징은 다른 특징으로 보완되거나 각 제품이 갖는 유일한 특징일 수 있다.
특허 청구범위에 포함된 도면부호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보호되는 대상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는 특허 청구범위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에 불과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융통성 있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고강도 스크류를 제공한다..
도 1은 새로운 고강도 스크류의 제1 예시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크류의 일부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스크류의 일부를 절개표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스크류의 부분단면도.
도 5는 새로운 스크류의 제2 예시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6은 새로운 스크류의 제3 예시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7은 새로운 스크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스크류의 일부를 절개표시한 사시도.
도 9는 새로운 스크류의 생크에 구성된 결합요소의 제1 실시형태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새로운 스크류의 생크에 구성된 결합요소의 제2 실시형태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새로운 스크류의 생크에 구성된 결합요소의 제3 실시형태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새로운 스크류의 생크에 구성된 결합요소의 제4 실시형태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새로운 스크류의 생크에 구성된 결합요소의 제5 실시형태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새로운 스크류의 생크에 구성된 결합요소의 제6 실시형태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결합요구를 갖는 새로운 스크류의 헤드의 제1 예시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16은 결합요구를 갖는 새로운 스크류의 헤드의 제2 예시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17은 결합요구를 갖는 새로운 스크류의 헤드의 제3 예시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18은 결합요구를 갖는 새로운 스크류의 헤드의 제4 예시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19는 결합요구를 갖는 새로운 스크류의 헤드의 제5 예시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20은 결합요구를 갖는 새로운 스크류의 헤드의 제6 예시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21은 새로운 스크류의 다른 예시 실시형태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따른 스크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23은 새로운 스크류의 또 다른 예시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따른 스크류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25는 결합요구를 갖는 새로운 스크류의 헤드의 다른 예시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따른 스크류의 헤드의 측단면도.
도 27은 도 25에 따른 스크류의 헤드를 다른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28은 도 25-도 27에 따른 헤드를 갖는 새로운 스크류의 생크의 예시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9는 도 28에 따른 생크의 측면도.
도 30의 (A)는 새로운 스크류를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1 단계를 보인 설명도.
도 30의 (B)는 새로운 방법의 제2 단계를 보인 설명도.
도 30의 (C)는 새로운 방법의 제3 단계를 보인 설명도.
도 30의 (D)는 새로운 방법의 제4 단계를 보인 설명도.
도 30의 (E)는 새로운 방법의 제5 단계를 보인 설명도.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새로운 스크류의 예시적인 제1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스크류(1)는 인장강도가 적어도 800 N/㎟ 인 고강도 스크류(1), 특히 인장강도가 적어도 1400 N/㎟ 인 초고강도 스크류(1)이다. 이는 다른 실시형태의 스크류에도 적용된다.
스크류(1)는 헤드(2)와 생크(3)를 갖는다. 헤드(2)와 생크(3)는 먼저 독립적으로 제작된 다음 함께 합체되는 별도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헤드(2)는 스크류(1)에 의한 스크류연결을 조이거나 풀어내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공구결합면(4)을 갖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는 공구결합외면이다. 그러나, 이는 공구결합내면일 수도 있다. 이들 형태의 공구결합면이 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공구결합면의 기하학적인 형태는 육각형이다. 그러나, 다른 기하학적 형태도 가능하다.
생크(3)는 헤드(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자유단(5)을 갖는다. 나사(7)로 이루어지는 나사영역(6)이 생크(3)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는 자유단(5)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달리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생크(3)의 다른 부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나사(7)는 미터 ISO 나사이다. 그러나, 이는 인치 나사일 수도 있다.
스크류(1)의 헤드(2)와 생크(3)는 실질적으로 독립된 부품으로써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헤드(2)는 축방향력전달요소(9)와 토크전달요소(10)를 갖는 방사상 내측의 결합요구(8)를 갖는다. 이에 대응하여, 생크(3)는 방사상 외측의 외주면에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12)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가 배치된 결합요소(11)를 갖는다. 결합요소(11)는 헤드(2)와 생크(3)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요구(8)에 결합된다.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다각형, 멀티-톱니형 또는 멀티-만곡형과 같은 폼피팅 수단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토크전달대응요소는 마찰결합형의 토크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토크전달요소와 프레스 피팅으로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축방향력전달요소(9)와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12)는 확실하게 상호결합되고 생크(3)의 자유단(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축방향 병진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나사(7)를 조이는 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회전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호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상호결합은 폼피팅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다른 토크전달 형식, 예를 들어, 힘전달 또는 마찰결합 등의 다른 토크전달 형식도 가능하다.
결합요구(8)는 다단형의 단층형이고 제1 내경부(15)를 갖는 제1 부분(14)과 제2 내경부(17)를 갖는 제2 부분(16)을 갖는다. 제1 내경부(15)는 제2 내경부(17) 보다 크고, 제2 부분(16)은 제1 부분(14) 보다 생크(3)의 자유단(5) 측으로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부분(16)은 축방향 정지부라 할 수 있는 축방향력전달요소(9)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서 보인 상태에서, 축방향력전달요소(9)는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12)와 접촉하는 단층영역에 의하여 형성되며,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12)는 결합요소의 제1 영역(14a)과 제2 영역(16a) 사이에 배치된 중간영역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1 부분(14)은 결합요소(11)의 제1 영역(14a)에 접촉하고 제2 부분(16)은 결합요소(11)의 제2 영역(16a)에 접촉한다.
결합요소(11)는 축방향 정지부에 대응하는 축방향 대응정지부를 형성하며, 그 외경은 생크(3)의 외경 보다 크고 결합요구(8)의 제2 내경부(17) 보다 크다.
제1 부분(14)은 토크전달요소(10)를 형성하나, 이러한 토크전달요소(10)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내경부(17) 또는 기타 다른 부분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그 기하학적 형대가 다각형, 특히 육각형이다. 그러나, 다른 기하학적 형태도 가능하다.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나사(7)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회전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호결합되게 구성되고 배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주연방향으로 대칭이 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토크전달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각각 주연방향으로 비대칭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25-도 29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새로운 스크류(1)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서, 불필요하게 설명이 반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스크류(1)의 예시적인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딘 것을 반복하지는 않을 것이다. 실시형태 사이의 각 차이점에 대하여 언급이 없는 한, 전체적으로 이들 설명에 대하여 언급된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것으로 새로운 스크류(1)의 예시적인 제2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결합요구(8)와 결합요소(11)는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토크전달요소(10)는 제1 부분(14)에 구성되어 있지 않고 제2 부분(16)에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생크(3)의 자유단(5)을 향하는 헤드(2)의 단부의 부분에서 토크전달이 이루어진다.
새로운 스크류(1)의 예시적인 제3 실시형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헤드(2)는 기다란 축방향의 칼라(18)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헤드(2)의 칼라(18)의 영역에서 대부분의 토크전달이 이루어진다.
도 7과 도 8은 새로운 스크류(1)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크류(1)는 두 개의 나사영역(6)을 갖는다. 헤드(2)는 이들 두 나사영역(6) 사이에 배치된다. 그밖에, 결합요구(8)와 결합요소(11)는 상기 언급된 스크류(1)의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생크(3)에서 결합요소(11)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하여 보인 것이다. 도 9에서,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육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12개의 면을 갖는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서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12개의 모서리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서,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12개의 톱니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서,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12개의 각으로 이루어진 별모양의 성형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서,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육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20은 새로운 스크류(1)의 헤드(2)의 여러 실시형태를 보이고 있다. 도 15에서, 헤드(2)에 구성되어 있는 결합요소(8)의 토크전달요소(10)는 육각형이다. 도 16에서, 이는 12개의 각으로 이루어진 별모양의 성형형태이다. 도 17에서, 이는 12개의 톱니를 갖는 형태이다. 도 18에서, 이는 12개의 모서리를 갖는 형태이다. 도 19에서, 이는 12개의 면을 갖는 형태이다. 도 20에서 이는 6개의 만곡부로 이루어진 형태이다.
도 21과 도 22에서, 새로운 스크류(1)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토크전달은 폼피트 방식이 아니고 억지끼워맞춤의 포스피트(force fit) 방식의 결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결합요소(11)는 결합요구(8)에 비하여 크기가 약간 커서 네거티브-얼라운스 피트 방식으로 결합요구(8)에 삽입된다. 도시된 예에서, 이러한 프레스 피트 방식의 결합은 제1 부분(14)과 제1 영역(14a) 사이와 제2 부분(16)과 제2 영역(16a) 사이에서 이루어져서, 이들 프레스 피트 방식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면 또는 이러한 면에 대응하는 면에 의하여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가 구성된다.
도 23과 도 24는 새로운 스크류(1)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크류(1)의 공구결합면은 공구결합내면의 형태로 구성된다.
도 25 내지 도 29는 새로운 스크류(1) 및 헤드(2)와 생크(3)의 여러 예시적인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는 각각 주연방향으로 비대칭이다. 이러한 비대칭의 구성은 나사(7)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토크가 안전하게 전달되는 한편, 토크전달요소(10)의 경사구조 때문에 나사가 풀어지는 방향으로는 토크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선택된다.
도 30의 (A) 내지 (E)는 상기 언급된 고강도 스크류(1)의 기계적인 생산을 위한 예시적인 성형방법을 간단히 보인 것이다. 도 30의 (A)는 생크 블랭크(19)를 보인 것이다. 도 30의 (B)에서, 헤드(2)는 결합요구(8)에 의하여 생크 블랭크(19)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헤드(2)는 성형공구에서 헤드 블랭크로부터 사전에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헤드(2)는 추후의 공정단계에서 생크 블랭크(19) 또는 생크(3)에 나선결합될 수 있다. 도 30의 (C)에서, 생크 블랭크(19)가 클램핑 조오(20)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하로 병진운동가능한 펀치(21)에 의하여 일부가 성형되어 결합요소(11)가 형성된다. 이것이 도 30의 (D)에 도시되어 있다. 이로써 생크 블랭크(19)는 생크(3)가 되었다. 도 30의 (E)는 또한 헤드(2)와 생크(3)가 결합요소의 영역에서 헤드(2)의 이동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공정을 보인 것이다.
1: 스크류, 2: 헤드, 3: 생크, 4: 공구결합면, 5: 자유단, 6: 나사영역, 7: 나사, 8: 결합요구, 9: 축방향력전달요소, 10: 토크전달요소, 11: 결합요소, 12: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 13: 토크전달대응요소, 14: 제1 부분, 14a: 제 영역, 15: 제1 내경부, 16: 제2 부분, 16a: 제2 영역, 17: 제2 내경부, 18: 칼라, 19: 생크 블랭크, 20: 클램핑 조오, 21: 펀치.

Claims (16)

  1. 공구결합면(4)을 갖는 헤드(2)와,
    헤드(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자유단(5)을 갖는 생크(3)를 가지고,
    나사(7)를 갖는 나사영역(6)이 생크(3)에 배치되며,
    나사(7)는 미터 ISO 나사 또는 인치 나사로 형성되고,
    헤드(2)와 생크(3)는 실질적으로 독립된 부품이며,
    헤드(2)는 방사상 내측에 배치되고 축방향력전달요소(9)와 토크전달요소(10)를 갖는 결합요구(8)를 가지고,
    생크(2)는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고 그 외주면에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12)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를 갖는 결합요소(11)를 가지며,
    결합요소(11)가 결합요구(8)에 결합되고,
    축방향력전달요소(9)와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12)는 확실히 상호결합되게 구성되어 생크(3)의 자유단(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축방향 병진운동이 특히 분리됨이 없이 방지되거나 방지될 것이며,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은 상호결합되게 구성되어 나사(7)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회전운동이 방지되거나 방지될 것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요구(8)가 다단형이고 제1 내경부(15)를 갖는 제1 부분(14)과 제2 내경부(17)를 갖는 제2 부분(16)을 가지며, 제1 내경부(15)는 제2 내경부(17) 보다 크고, 제2 부분은 제1 부분(14) 보다 생크(3)의 자유단(5)에 더 가깝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3. 제2항에 있어서, 제2 부분(14)이 축방향 정지부인 축방향역전달요소(9)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4. 제3항에 있어서, 결합요소(11)가 축방향 정지부에 대응하는 축방향 대응 정지부를 형성하고, 그 외경이 생크(3)의 외경 보다 크고 결합요구(8)의 제2 내결부(17) 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5.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14)이 토크전달요소(1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6.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부분(16)이 토크전달요소(1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7.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가 확실히 상호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고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8.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가 기하학적인 형태의 다각형, 멀티-톱니형, 멀티-만곡형 또는 별모양의 성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9.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가 상호결합되게 구성되어 나사(7)가 풀어지는 회전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회전운동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10.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가 주연방향으로 대칭이 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가 주연방향으로 비대칭이 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12. 제11항에 있어서,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가 나사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회전운동이 방지되거나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13.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크전달요소(10)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가 이들이 스크류(1)의 최대조임토크를 결정하고, 최대조임토크를 초과하는 경우, 나사(7)의 조임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회전운동을 더 이상 방지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14.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크(3)가 고강도강 또는 섬유복합물질로 구성되고, 헤드(2)도 고강도강 또는 섬유복합물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1).
  15. 고강도 스크류(1), 특히, 헤드 블랭크와 생크 블랭크(19)로부터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고강도 스크류(1)의 기계적인 제조을 위한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 방사상 내측에 배치되고 축방향력전달요소(9)와 토크전달요소(10)를 갖는 결합요구(8)를 구비한 스크류(1)의 헤드(2)가 제조될 수 있도록 성형공구에서 헤드 블랭크를 성형하는 단계;
    - 결합요구(8)에 의하여 헤드(2)를 생크 블랭크(19)에 나선결합하는 단계;
    - 외주면에서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고 축방향력전달대응요소(12)와 토크전달대응요소(13)를 갖는 결합요소(11)를 구비한 생크(3)가 제조될 수 있도록 성형공구에서 생크 블랭크(19)를 성형하는 단계;와
    - 결합요소(11)가 결합요구(8)에 결합될 수 있도록 헤드(2)의 병진운동으로 헤드(2)와 생크(3)를 합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의 셩형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 나선결합하는 단계 이전에, 공구결합면(4)이 형성되도록 성형공구에서 헤드 블랭크를 성형하는 단계 및/또는
    - 합체하는 단계 이후에, 생크(3)의 자유단(5)의 방향으로 생크(3)에 대한 헤드(2)의 축방향 병진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크(3)에 헤드(2)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 성형하는 단계가 냉간성형이고, 그리고/또는
    생크 블랭크(19)의 일부의 성형이 병진운동하는 펀치(21)에 의하여 수행되며, 그리고/또는
    생크 블랭크(19)가 성형중에 클램핑 조오(20)에 의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크류의 셩형방법.
KR1020217007678A 2018-09-26 2019-09-26 투피스형 고강도 스크류 KR102653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23690.5 2018-09-26
DE102018123690.5A DE102018123690A1 (de) 2018-09-26 2018-09-26 Zweiteilige hochfeste Schraube
PCT/EP2019/075992 WO2020064910A1 (de) 2018-09-26 2019-09-26 Zweiteilige hochfeste schra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269A true KR20210044269A (ko) 2021-04-22
KR102653191B1 KR102653191B1 (ko) 2024-03-29

Family

ID=6810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678A KR102653191B1 (ko) 2018-09-26 2019-09-26 투피스형 고강도 스크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199149A1 (ko)
EP (1) EP3837065B1 (ko)
JP (1) JP7418418B2 (ko)
KR (1) KR102653191B1 (ko)
CN (1) CN112805099A (ko)
DE (2) DE102018123690A1 (ko)
ES (1) ES2907230T3 (ko)
MX (1) MX2021003367A (ko)
PL (1) PL3837065T3 (ko)
WO (1) WO2020064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6616A1 (de) 2020-06-24 2021-12-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raube
FR3127994B1 (fr) * 2021-10-12 2023-12-01 Safran Aircraft Engines Elément de liaison d’un support de palier à un tube de canalisation d’huile et turbomachine équipée d’un tel élément de liaison
DE102022125700A1 (de) 2022-10-05 2024-04-11 Valeo Eautomotive Germany Gmbh Roto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mit verbesserten Halteelementen zur axialen Fixierung eines Rotorblechpake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333B1 (ko) * 1995-09-05 1998-12-01 전성원 과조임 방지용 볼트
JP2000213518A (ja) * 1999-01-26 2000-08-02 Minebea Co Ltd ボルトの構造
JP2001501717A (ja) * 1996-10-08 2001-02-06 トムソン―セーエスエフ ねじを留め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スリーブ
KR100931200B1 (ko) * 2007-12-24 2009-12-10 주식회사 포스코 압출 공정을 이용한 고강도 볼트의 제조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6467C (ko) *
US2237236A (en) * 1939-12-07 1941-04-01 Henry R Matthews Bolt
US3832747A (en) * 1967-09-28 1974-09-03 Plastic Ind Inc Bo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611862A (en) * 1969-10-06 1971-10-12 Standard Pressed Steel Co Bol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07553B1 (ko) * 1970-05-06 1975-03-26
JPS5046131Y2 (ko) * 1971-07-21 1975-12-27
US3978758A (en) * 1974-04-11 1976-09-07 Bright William L Bolt and process of forming same
US4321001A (en) * 1980-06-19 1982-03-23 Peter Gruich Fabricated industrial fastener
JPS5775219U (ko) * 1980-10-27 1982-05-10
US4413374A (en) * 1981-06-12 1983-11-08 Hirsh Company Three piece knob assembly including a cap
US4540322A (en) * 1983-01-13 1985-09-10 Grace Petroleum Corporation Security Device
JPS59121514U (ja) * 1983-02-01 1984-08-16 打本 友二 高抗張力ボルト
US4793319A (en) * 1987-03-12 1988-12-27 Norman Vaughan Archery bow limb adjustment bolt
JPH02118680U (ko) * 1989-03-14 1990-09-25
US5090853A (en) * 1991-03-18 1992-02-25 Madsen Morres F Fastener with taper attached component
US5480273A (en) * 1994-09-07 1996-01-02 Jou; Yuch-Chiou Bolt assembly
US20060024142A1 (en) * 2004-08-02 2006-02-02 Ducret Lucien C Torque-limiting stud
CN101050787A (zh) * 2007-05-18 2007-10-10 清华大学 一种分体式单向螺栓紧固件
DE102008041391A1 (de) * 2008-08-20 2010-01-14 Kamax-Werke Rudolf Kellermann Gmbh & Co. Kg Hochfeste Schraube mit Bainitgefüge
DE202008016456U1 (de) * 2008-12-15 2009-03-12 Fairchild Fasteners Europe - Camloc Gmbh Gewindebolzen und Aufsteckadapter
JP5604526B2 (ja) * 2010-10-19 2014-10-08 株式会社ロックン・ボルト ボルトおよび抜去工具
DE102011055497A1 (de) * 2011-11-18 2013-05-23 Kamax Holding Gmbh & Co. Kg Ultrahochfeste Schraube mit hohem Streckgrenzverhältnis
US20130136557A1 (en) * 2011-11-30 2013-05-30 Yuan Yu Wang Bolt assembly
KR102073541B1 (ko) * 2012-01-24 2020-02-05 신세스 게엠바하 압박 스크류 시스템
US8696283B1 (en) * 2012-09-25 2014-04-15 Callaway Golf Company Weight screw
CN103438072A (zh) * 2013-07-29 2013-12-11 芜湖福司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螺旋拼接式螺钉
CN103438076A (zh) * 2013-07-29 2013-12-11 芜湖福司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万节螺钉
CN203962624U (zh) * 2014-05-23 2014-11-26 汪炳娟 一种头部可转动的螺钉
CN204805270U (zh) * 2015-07-09 2015-11-25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组合式t型螺栓
CN206190690U (zh) * 2016-08-31 2017-05-24 宁波群力紧固件制造有限公司 一种可拆分螺丝
DE102017101931B4 (de) * 2017-02-01 2022-05-05 Kamax Holding Gmbh & Co. Kg Hochfeste Schraube mit einem enthärteten Gewindeende
JP6941468B2 (ja) * 2017-04-10 2021-09-29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 軸力部材の端部接合構造及びボル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333B1 (ko) * 1995-09-05 1998-12-01 전성원 과조임 방지용 볼트
JP2001501717A (ja) * 1996-10-08 2001-02-06 トムソン―セーエスエフ ねじを留め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スリーブ
JP2000213518A (ja) * 1999-01-26 2000-08-02 Minebea Co Ltd ボルトの構造
KR100931200B1 (ko) * 2007-12-24 2009-12-10 주식회사 포스코 압출 공정을 이용한 고강도 볼트의 제조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05099A (zh) 2021-05-14
WO2020064910A1 (de) 2020-04-02
ES2907230T3 (es) 2022-04-22
JP7418418B2 (ja) 2024-01-19
EP3837065B1 (de) 2021-12-29
EP3837065A1 (de) 2021-06-23
DE102018123690A1 (de) 2020-03-26
PL3837065T3 (pl) 2022-04-25
JP2022502612A (ja) 2022-01-11
MX2021003367A (es) 2021-05-27
KR102653191B1 (ko) 2024-03-29
WO2020064910A8 (de) 2020-07-23
DE202019005800U1 (de) 2022-03-10
US20210199149A1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4269A (ko) 투피스형 고강도 스크류
TWI386562B (zh) 緊箝螺帽及用於製造緊箝螺帽的方法
US9382935B2 (en) Elastic tubular attachment assembly for mating components and method of mating components
US10100908B2 (en) Shaft end adapter and ball screw assembly
JP4981049B2 (ja) 組部材と組部材の製造方法
JP4920040B2 (ja) 組部材と組部材の製造方法
US9157482B2 (en) Shaft assembly with anti-pull apart stake
JP2002061631A (ja) 自動車用の継手ロッド
EP1016801B1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US10281041B2 (en) Piston bolt
TW201813803A (zh) 用於擠出機中之螺桿及擠出機
CN203868075U (zh) 锁定螺栓套环和具有该套环的紧固件
JP2009522527A (ja) 粉末金属コンポーネントの精密配置と低圧力再位置決め
WO201815364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blind rivet, blind rivet, and fastening arrangement
US9028333B2 (en) Shaft for transmitting torques
US3415153A (en) Mechanical clamping device
US4321001A (en) Fabricated industrial fastener
CN108626223B (zh) 连接系统及方法
US20040232607A1 (en) Vibration-damping lin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link
JP4938240B2 (ja) 組部材と、組部材の製造方法
JP5740543B2 (ja) スエージ表示カラー
JP2019105344A (ja) 締結構造体
WO2018088913A1 (en) Lock washer
EP3006728B1 (en) Metal shell of glow plug for diesel eng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WO202006491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