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049A -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 Google Patents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049A
KR20210044049A KR1020190127132A KR20190127132A KR20210044049A KR 20210044049 A KR20210044049 A KR 20210044049A KR 1020190127132 A KR1020190127132 A KR 1020190127132A KR 20190127132 A KR20190127132 A KR 20190127132A KR 20210044049 A KR20210044049 A KR 20210044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bond
fixing device
applying
su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420B1 (ko
Inventor
윤삼열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7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4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2017/081Tissue approxim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는 상처 또는 수술에 의해 찢어지거나 절개된 피부에 대하여 피부봉합용 본드를 도포하기 전후에 봉합 부위를 고정시키는 기기로서, 봉합 부위의 주위 양단부의 피부를 잡아 봉합 부위가 벌어지는 것을 막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SKIN FIXING DEVICE FOR APPLYING ADHESIVE COMPOSITION FOR SKIN SUTURE}
본 발명은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상 또는 절개된 수술 부위 등에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해 피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피부를 고정시키는 피부 고정 기기에 관한 것이다.
자상 또는 수술시 절개된 수술 부위의 피부를 봉합시키기 위해서, 종래에는 봉합사로 피부를 꿰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봉합사로 꿰매는 방법 대신에 히스토 아크릴과 같은 피부봉합용 본드를 이용하여 피부를 봉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피부봉합용 본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종래 봉합사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수술 부위 합병증 발생 빈도 감소, 피부의 흉터 크기 감소, 접합력 등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봉합사로 꿰매는 방법의 경우 봉합사를 제거하기 위해 병원을 다시 방문해야 하고, 봉합사 제거시 통증이 발생하며, 상처에 물이 들어가지 않기 위해 붕대로 2차 처치를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피부봉합용 본드를 사용하더라도 피부봉합용 본드가 봉합부위에 도포되어 굳기 전에 봉합 부위가 벌어지거나 또는 피부봉합용 본드가 굳어지더라도 피부 사이의 봉합이 완료되지 않아 봉합 부위가 다시 벌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피부봉합용 본드를 이용하여 피부를 봉합시킬 때 봉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2665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봉합용 본드에 의해 봉합이 이루어지는 일정기간 동안 피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장력을 유지하고 진피의 가장자리 맞춤(edging)을 유지하도록 피부에 고정되며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피부봉합용 본드와 함께 자연스럽게 피부로부터 제거되는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처 또는 수술에 의해 찢어지거나 절개된 피부에 대하여 피부봉합용 본드를 도포하기 전후에 봉합 부위를 고정시키는 기기로서, 봉합 부위의 주위 양단부의 피부를 잡아 봉합 부위가 벌어지는 것을 막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에 의해 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복수의 집게형 발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집게형 발의 단부는 내측으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는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판상의 이격된 두 개의 파지면; 및 상기 파지면과 상기 고정부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는 폴리락틱 산(polylactic acid)과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의 중합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에 따르면 피부봉합용 본드에 의해 피부 조직의 봉합이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고정부에 의해 양단을 잡아 봉합 부위의 피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장력을 유지하고 진피의 가장자리 맞춤(edging)을 유지하도록 하여 피부봉합용 본드를 이용한 봉합 시술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피부봉합용 본드와 함께 피부로부터 자연스럽게 떨어져 제거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를 피부에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따라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를 피부에 고정시킨 후 피부봉합용 본드를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를 피부에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따라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를 피부에 고정시킨 후 피부봉합용 본드를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100)는 자상에 의한 상처 부위 또는 수술 중 절개된 부위 등의 피부를 피부봉합용 본드를 사용하여 접합시킬 때 피부봉합용 본드의 도포 전후에 절개된 부위의 피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피부를 고정시키는 기기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100)는 고정부(110) 및 파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고정부(110)는 절개된 부위의 주위 양단부를 잡아 지지하도록 하여 절개된 양쪽 가장자리의 위치를 잡아주고 봉합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고정부(110)는 복수의 집게형 발(112)이 좌우 양측으로 복수 개 대칭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집게형 발(112)은 원형으로 굴곡되어 아래로 갈수록 안쪽으로 만곡되는 형상인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웃하는 집게형 발(112)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고정 기기(100) 위에서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기구(200)를 이용하여 본드를 도포하더라도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본드가 아래로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절개된 피부 상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가 있다.
고정부(110)는 형상적 특징에 의해 소정 범위 이내로 탄성 변형이 가능할 수가 있고, 시술자가 절개된 피부의 양단의 위치를 잡아서 살짝 융기되도록 하여 융기된 부위가 좌우 양쪽의 집게형 발(112)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 후 시술자가 잡은 피부를 높으면 융기된 부위가 가라앉으면서 양단부의 피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집게형 발(112)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지지될 수가 있다.
머리핀과 같이 양쪽 집게형 발(112)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미도시)를 개제하여 고정부(110)에 탄성력을 임의로 부가하여 피부의 양단을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지는 않는다.
파지부(120)는 고정부(110)를 절개된 피부의 양단부 사이에 고정시킬 때 시술자가 손 또는 파지 기구를 이용하여 파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고정부(110)의 상단에 형성된다.
파지부(120)는 판상으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두 개의 파지면(124)이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파지면(124)의 하단부와 고정부(110) 상단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연결부(122)도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연결부(122)로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피부 고정 기기(100) 위에서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기구(200)를 이용하여 본드를 도포하더라도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본드가 아래로 스며들어 절개된 피부 상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10) 및 파지부(120)를 포함하여 도 1에 도시된 피부 고정 기기(100)의 전체 폭 및 높이는 대략 5mm ~ 10mm 일 수가 있으며,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절개 부위를 따라 복수 개의 피부 고정 기기(100)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10) 및 파지부(120)를 포함하는 전술한 피부 고정 기기(100)는 폴리락틱 산(polylactic acid)과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의 중합체로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물질은 피부 접합성 물질이며, 소정의 시간(14일 내지 21일)이 경과하면 녹아 떨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피부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피부에 고정된 상기 피부 고정 기기(100)는 피부봉합용 본드와 함께 자연스럽게 피부로부터 떨어져나가 피부에 흉터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100)를 이용하여 피부봉합 시술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피부봉합용 본드를 절개 부위에 도포하기 전에, 절개 부위를 따라 복수의 피부 고정 기기(100)를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시켜 절개된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시술자가 손 또는 파지 기구를 이용하여 파지부(120)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쪽 손을 이용하여 절개된 피부의 양단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이를 잡아서 살짝 융기되도록 하여 융기된 부위가 좌우 양쪽의 집게형 발(11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한 후 시술자가 잡은 피부를 높으면 융기된 부위가 가라앉으면서 양단부의 피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집게형 발(112)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지지될 수가 있다.
절개 부위를 따라 복수의 피부 고정 기기(100)를 고정시켜 절개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킨 다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기구(200)를 이용하여 절개 부위에 피부봉합용 본드를 도포한다. 이때, 피부 고정 기기(100)의 상부에서 피부봉합용 본드를 도포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22)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집게형 발(11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본드가 자연스럽게 아래로 스며들 수가 있어서, 피부 고정 기기(100)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한 상태로 피부접합용 본드를 절개 부위에 도포할 수가 있다.
피부접합용 본드가 도포된 후 접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피부 고정 기기(100)는 피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진피의 edging을 유지하도록 한다.
피부접합용 본드가 도포된 후 피부 접합에 소요되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피부접합용 본드는 피부로부터 자연스럽게 제거되는데, 상기 피부 고정 기기(100)도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자연스럽게 녹아 떨어지는 성질로 형성되어, 봉합 후에 본드와 함께 자연스럽게 제거되어 흉터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110: 고정부
112: 집게형 발
120: 파지부
122: 연결부
124: 파지면
200: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기구

Claims (6)

  1. 상처 또는 수술에 의해 찢어지거나 절개된 피부에 대하여 피부봉합용 본드를 도포하기 전후에 봉합 부위를 고정시키는 기기로서,
    봉합 부위의 주위 양단부의 피부를 잡아 봉합 부위가 벌어지는 것을 막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복수의 집게형 발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형 발의 단부는 내측으로 만곡된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는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형성되는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판상의 이격된 두 개의 파지면; 및
    상기 파지면과 상기 고정부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는 폴리락틱 산(polylactic acid)과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의 중합체로 형성되는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KR1020190127132A 2019-10-14 2019-10-14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KR10232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132A KR102320420B1 (ko) 2019-10-14 2019-10-14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132A KR102320420B1 (ko) 2019-10-14 2019-10-14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49A true KR20210044049A (ko) 2021-04-22
KR102320420B1 KR102320420B1 (ko) 2021-11-01

Family

ID=7573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132A KR102320420B1 (ko) 2019-10-14 2019-10-14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4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158Y1 (ko) * 2004-03-16 2004-06-23 이진명 기관튜브 고정구
KR20070026652A (ko) 2006-12-26 2007-03-08 유니버시티 오브 피츠버그 의료용 접착제 및 조직 접착 방법
KR101056384B1 (ko) * 2008-10-23 2011-08-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봉합 키트
US20140012316A1 (en) * 2007-12-03 2014-01-09 Howard D. Stupak Wound closure involving silicone
KR20160029006A (ko) * 2013-05-03 2016-03-14 사이트렐리스 바이오시스템즈, 인크. 피부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클로져 및 관련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158Y1 (ko) * 2004-03-16 2004-06-23 이진명 기관튜브 고정구
KR20070026652A (ko) 2006-12-26 2007-03-08 유니버시티 오브 피츠버그 의료용 접착제 및 조직 접착 방법
US20140012316A1 (en) * 2007-12-03 2014-01-09 Howard D. Stupak Wound closure involving silicone
KR101056384B1 (ko) * 2008-10-23 2011-08-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봉합 키트
KR20160029006A (ko) * 2013-05-03 2016-03-14 사이트렐리스 바이오시스템즈, 인크. 피부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클로져 및 관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420B1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89038B (zh) 用于皮肤闭合的方法和装置
US9492171B2 (en) Atraumatic wound care and closure system
US5531760A (en) Skin closure clip
US3068870A (en) Wound clip
US20100256675A1 (en) Absorbable surgical staple
US9549736B2 (en) Sutureless wound closure
US8777986B2 (en) Incision guide and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20050197699A1 (en) Tissue repair apparatus and method
RU2656549C2 (ru) Сетка в сборе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533074B1 (ko)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AU2012250699A1 (en) Devices for securely closing tissue openings with minimized scarring
WO2009035985A1 (en) Wound closing device
RU2718320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тяжения кожи
KR101668663B1 (ko)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CA2730093A1 (en) Resorbable membrane implanting methods for reducing adhesions
US20170049629A1 (en) Method, kit, and tape for wound care
US20090192529A1 (en) Soft tissue reattachment mechanism
KR20210044049A (ko)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CN113995459B (zh) 用于伤口闭合的装置
JP2005534441A (ja) 手術用糸を使用する半自動縫合装置
US20140012316A1 (en) Wound closure involving silicone
KR102383542B1 (ko) 신장 실질 결속 구조체, 신장 실질 결속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장 실질 결속 기기, 신장 실질 결속 구조체를 제공하는 어플라이어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신장 복원 키트
KR20090007421A (ko) 외과용 봉합도구 및 그 적용방법
JP7178748B2 (ja) 医療用縫合糸及び医療用縫合糸キット
KR101860226B1 (ko) 조직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