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981A -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981A
KR20210043981A KR1020190126995A KR20190126995A KR20210043981A KR 20210043981 A KR20210043981 A KR 20210043981A KR 1020190126995 A KR1020190126995 A KR 1020190126995A KR 20190126995 A KR20190126995 A KR 20190126995A KR 20210043981 A KR20210043981 A KR 20210043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amount
activity
exercise
health promotion
promo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박희정
박진주
채홍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라이프
Priority to KR102019012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981A/ko
Publication of KR2021004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동량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활동량을 수집하여 사용자들이 볼 수 있는 화면에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의 활동 경쟁을 유도하는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은 사용자 또는 사용기기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활동량 측정장치,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에서 수집된 활동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가공하는 활동량 수집장치, 및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활동량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HEALTH PROMOTION SYSTEM FOR USING REAL TIME ACTIVITY}
본 발명은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력에 대한 개념은 많은 변화를 거쳐왔으며, 최근에는 건강 체력이 강조되는 경향에 있다. 건강 체력은 활발한 신체활동을 통하여 습득된 체력으로써 활기차기 매일 활동하여 운동 부족의 조기발전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된 능력을 나타내는 체력으로 정의되며,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를 말한다.
체력은 건강과 건강증진에 다양한 형태로 관련이 있다. 체력은 다양한 활동으로 유지 개선될 수 있지만 적정수준의 체력은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의해서만 완성될 수 있다는 것이 보편적인 견해이다. 건강 체력의 요소들은 건강 부족 관련 위험 질환율 감소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건강 체력 요소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건강의 유지 및 증진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개인의 체력 평가는 운동부족이 가져오는 신체적인 위험도를 진단하고, 이러한 위험을 최소한으로 방지하기 위한 운동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개인이 전문기관을 방문하여 체력을 측정 받은 후, 그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을 제공받아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및 경제적인 면에서 부담이 된다.
나아가, 전문기관에서 제공받은 운동프로그램은 개개인의 체력상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장애 등으로 인해 개인의 의지만으로는 지속하기가 쉽지 않으며, 개인의 운동 상태에 따른 적절한 운동처방의 조절과 함께 운동 관련요인에 대한 전문적 가이드가 있어야 성공적으로 유지가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8622호(발명의 명칭 :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2019. 07. 29.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0299호(발명의 명칭 : 건강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2011. 04. 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활동량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활동량을 수집하여 사용자들이 볼 수 있는 화면에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의 활동 경쟁을 유도하는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은 사용자 또는 사용기기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활동량 측정장치,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에서 수집된 활동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가공하는 활동량 수집장치, 및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활동량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에 전송하는 복수개의 3축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와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3축 가속도센서에서 수집된 활동량을 가공할 수 있다.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에서 가공된 활동량 데이터는 칼로리 계산, 강도 계산, 및 목표 진척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에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는 적어도 2인 이상의 사용자에게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수집된 활동량을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에 나타냄으로써 사용자들의 활동 경쟁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에 따르면, 1인이 혼자 운동하면서 이용하거나 2인 또는 그룹 운동(GX: Group Exercise) 시에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실시간 활동량 및 활동량 경쟁을 통해 사용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환경이나 운동하는 사람의 숫자 또는 남녀노소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운동을 놀이하듯이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을 1인 운동에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을 1인 운동하는 어린이에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을 2인 운동에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을 통해 2인 운동 시 실시간 활동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을 그룹 운동에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1)은 활동량 측정장치(10), 활동량 수집장치(20), 및 활동량 출력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증진 시스템(1)을 통해 사용자의 활동량 경쟁을 유도하여 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10)는 사용자 또는 사용기기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20)는 활동량 측정장치(10)에서 수집된 활동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30)는 활동량 수집장치(20)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20)에 전송하는 복수개의 3축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1)은 사용자 또는 사용기기에 상기 3축 가속도센서(10a)를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3축 가속도센서(10a)에서 측정된 활동량을 수집하여 사용자들이 볼 수 있는 화면에 나타내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활동경쟁을 유도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10)와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20)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3축 가속도센서(10a)에서 수집된 활동량을 가공할 수 있고,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20)에서 가공된 활동량 데이터는 칼로리 계산, 강도 계산, 및 목표 진척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3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10)는 적어도 2인 이상의 사용자에게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수집된 활동량을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30)에 나타냄으로써 사용자들의 활동 경쟁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건강증진 시스템(1)은 1인이 혼자 운동하면 이용하거나 2인 또는 그룹 운동 시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을 1인 운동에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건강증진 시스템(1)을 1인 운동에 적용한 예로서, 1인의 경우 기본적인 모니터링 및 운동 목표를 설정해 놓고 달성되도록 진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운동기구인 트레드밀이나 게임기인 DDR 등 1인 운동 장치와 결합하여 개인의 활동량을 실시간으로 측정 및 출력하여 자신의 운동 목표 달성 및 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1인용 건강증진 시스템(1)의 화면에는 운동 목표 달성도, 지속 운동시간, 현재 운동 강도, 현재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활동들을 보여주거나 칼로리 등 운동 분석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을 1인 운동하는 어린이에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건강증진 시스템(1)을 1인 운동하는 어린이에게 적용한 예로서, 어린이가 화면의 영상을 따라하면서 운동을 진행하면, 운동 점수 및 칼로리, 및 운동 강도 등을 보여주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서비스 화면에는 운동 영상, 운동하는 어린이 영상, 및 목표 달성도 등을 그림이나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을 2인 운동에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건강증진 시스템(1)을 2인 운동에 적용한 예로서, 2인의 경우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30)의 화면에서 나오는 운동 또는 댄스 영상을 따라하며 2인 간의 활동 경쟁을 소모 칼로리 및 운동 점수로 보여주면서 운동의 동기 부여 및 활동 목표를 달성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30)의 화면에서 영상이 끝나거나 운동 목표가 달성되면 결과 화면으로 승자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화면에는 순위, 운동 강도, 운동 또는 댄스 영상, 및 안내 메시지나 제품 소개 및 광고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을 통해 2인 운동 시 실시간 활동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건강증진 시스템(1)을 2인 운동에 적용한 또 다른 예로서, DDR(댄스 게임) 이나 운동 또는 댄스 영상을 별도의 출력 화면으로 보여주면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30)의 화면에서는 운동 진행도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분석 화면만 보여줄 수 있다. 운동을 진행하면서 서로의 운동 상태를 비교해 보며 운동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을 그룹 운동에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건강증진 시스템(1)을 그룹 운동에 적용한 예로서, 그룹 전체가 활동량 측정장치(10)인 상기 3축 가속도센서(10a)를 부착하고 운동하면, 그룹에서 활동 정도를 화면으로 보면서 서로 경쟁하면서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운동을 마치면 결과값에 따른 운동 순위를 화면을 통해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30)의 화면에는 순위, 점수, 소모칼로리, 및 운동강도를 나타내는 운동 중 화면과 점수를 나타내는 운동 후 결과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1)을 통해 1인이 혼자 운동하면서 이용하거나 2인 또는 그룹 운동 시에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실시간 활동량 및 활동량 경쟁을 통해 사용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환경이나 운동하는 사람의 숫자 또는 남녀노소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운동을 놀이하듯이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건강증진 시스템 10: 활동량 측정장치
10a: 3축 가속도센서 20: 활동량 수집장치
30: 활동량 출력장치

Claims (5)

  1. 사용자 또는 사용기기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활동량 측정장치;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에서 수집된 활동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가공하는 활동량 수집장치; 및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활동량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에 전송하는 복수개의 3축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와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3축 가속도센서에서 수집된 활동량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량 수집장치에서 가공된 활동량 데이터는 칼로리 계산, 강도 계산, 및 목표 진척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량 측정장치는 적어도 2인 이상의 사용자에게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수집된 활동량을 상기 활동량 출력장치에 나타냄으로써 사용자들의 활동 경쟁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KR1020190126995A 2019-10-14 2019-10-14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KR20210043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995A KR20210043981A (ko) 2019-10-14 2019-10-14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995A KR20210043981A (ko) 2019-10-14 2019-10-14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981A true KR20210043981A (ko) 2021-04-22

Family

ID=7573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995A KR20210043981A (ko) 2019-10-14 2019-10-14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98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299B1 (ko) 2009-10-22 2012-12-10 (주)인성정보 건강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8622A (ko)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백선통신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299B1 (ko) 2009-10-22 2012-12-10 (주)인성정보 건강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8622A (ko)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백선통신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1339B1 (en) Performance testing and/or training
JP6539273B2 (ja) 活動リマインダによる活動認識
US84252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ting intensity of video games
WO2017118908A1 (en) Balance testing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KR101680972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실내 운동 시스템
Melton et al. Evaluating a physical activity app in the classroom: A mixed methodological approach among
Nunes et al. Motivating people to perform better in exergames: Competition in virtual environments
KR20210030855A (ko)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Farana et al. Current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in gymnastics research: biomechanics, motor control and coaching interface
JP2006345973A (ja) メディカル・オートフィットネス・システム
Codreanu et al. A proposed serious game architecture to self-management healthcare for older adults
KR101547946B1 (ko) 스트레스 관리용 기능성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43981A (ko)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Evans Physical activity level comparisons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ile playing active video games
JP2005102773A (ja) 学生の行動管理システム
JP7303595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Abd Malek et al. Exercise Intensity in Exergaming: An approach by GameFiTT
Jakubiak Haptic choice reaction time in elite judo competitors
Waterworth et al. What Do Elderly Users Want and Need from Fitness Technologies?: Findings from the ELF@ Home Project
Fairclough et al. Measuring physical activity behaviours and outcomes in children and adults
Verhoff The Effects of Attentional Focus on Performance, Perceived Exertion, Affect, and Kinematics in Recreational Runners
Guixeres et al. Could virtual reality be an effective tool to combat obesity and sedentariness in children? results from two research studies
Evans et al. Active Gaming: It Is Not Just for Young People
Alsoqairan Comparison of Physical Intensity between Interactive Video Game Cycling and Conventional Stationary Cycling in Adolesc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JP2006175240A (ja) 運動能力診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