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622A -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622A
KR20190088622A KR1020180006897A KR20180006897A KR20190088622A KR 20190088622 A KR20190088622 A KR 20190088622A KR 1020180006897 A KR1020180006897 A KR 1020180006897A KR 20180006897 A KR20180006897 A KR 20180006897A KR 20190088622 A KR20190088622 A KR 20190088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uasion
situation
message
inform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훈
황선호
김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선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선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선통신
Priority to KR102018000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8622A/ko
Publication of KR2019008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케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통한 건강증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건강증진 서비스에 따르면, 사용자의 건강, 식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인식, 상황을 정의하여 이에 따른 개인맞춤형 운동/식이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및 사용자 정서 분석을 통해 동기 유발을 위한 설득 메시지를 제공하여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 및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한 보편적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Persuasion based Health Promotion System for Continuous Lifestyle Management}
본 발명은 헬스케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통한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스마트폰 기반 건강증진 서비스는 체중조절 중심의 건강관리 서비스와 웨어러블 기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그리고 1:1 코칭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기존의 체중조절 중심의 건강관리 서비스는 건강 및 식이 상태를 직접 입력하게 되어 기록의 부담이 크고 보편적 운동/식이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 및 실행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효과가 적었다.
이런 이유로 스마트밴드 또는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가 개발되어 맥박, 체온, 체질량 등 생체 신호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개인맞춤형 생활습관의 분석 및 운동/식이 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제공된 운동 및 식이 프로그램의 실행은 사용자의 의지에 따를 수 밖에 없어 목표 및 랭킹 관리, 커뮤니티 활동 등 다양한 형태의 동기 유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지만 그 효과가 크지 않았다.
가장 확실한 동기 유발은 퍼스널 트레이너를 통한 운동/식이 관리이나 비용이 많이 발생하여 이와 유사한 1:1 코칭 서비스 앱이 개발되었지만 이 또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편적 서비스로 제공되는데 문제가 있다.
보편화된 생활습관 관리를 통한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개인맞춤형 동기유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개인 상황에 따라 퍼스널 트레이너들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설득 기술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자동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고려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의 운동, 식이 등 생활 습관에 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개인화된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자동화된 설득을 통한 효과적인 생활습관 관리로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건강증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품 구성 측면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데 요구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 수집된 정보를 가공, 분석하는 스마트폰,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사용자 건강 정보 분석을 통해 인식된 상황에 따라 개인맞춤형 운동/식이 프로그램 및 설득 메시지 등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증진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 측면의 건강증진 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데 요구되는 정보를 수집장치로부터 수집하여 특징값을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정보를 분석 인지하여 상황을 묘사하는 상황 인지 처리부; 상기 인지된 상황 및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묘사된 상황에 따라 개인맞춤형 운동 및 식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동/식이 프로그램 처리부; 상기 운동/식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묘사된 상황에 따라 개인맞춤형 설득 메시지를 제공하는 설득 메시지 처리부; 상기 설득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수집장치와의 접속을 관리하는 수집장치 관리부; 상기 수집된 건강 정보의 필터링 등을 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된 정보를 특징값으로 생성하는 특징값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황 인지 처리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제공되는 특징값을 저장하는 특징값 저장소; 특징값과 상황 DB를 매칭하여 상황 묘사값을 생성하는 상황 매칭 엔진을 포함한다.
상기 설득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상황 인지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상황 묘사값을 저장하는 상황 묘사값 저장소; 설득 규칙 베이스; 상황 묘사값과 설득 규칙 베이스, 설득 메시지 DB를 매칭하여 설득 메시지를 생성하는 설득 메시지 매칭 엔진을 포함한다.
상기 수집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웨어러블 기기, SNS, 웹 연동이 가능한 스마트폰, PC 등을 포함한다.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하는 정보로는 맥박, 체지방 등 생체 신호는 물론 위치, 가속도, 온습도, 조도, 소음, 음성 및 지문 인식과 SNS, 웹 등을 통한 텍스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 인지 처리부는 수집된 정보를 분석, 인지하여 상황을 묘사하는 과정에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정서분석도 포함한다.
운동 및 식이 프로그램 처리부는 운동/식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개인맞춤형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설득 메시지 처리부는 묘사된 상황에 따라 개인맞춤형 설득 메시지를 설득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제공하며, 음성 및 문자 챗봇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건강증진 서비스에 따르면, 사용자의 건강, 식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인식, 상황을 묘사하여 이에 따른 개인맞춤형 운동/식이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및 사용자 정서 분석을 통해 동기 유발을 위한 설득 메시지를 제공하여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 및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한 전 국민에게 보급이 가능한 보편적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품 측면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 측면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에 구비되는 건강증진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 측면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 측면 실시예에 따른 상황 인지 처리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 측면 실시예에 따른 설득 메시지 처리부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품 측면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강증진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가속도, 위치, 온도 등 건강 정보를 수집하는 웨어러블기기(100)와 수집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증진서버에 제공하고, 건강증진서버에서 제공하는 건강증진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110), 그리고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을 인지하여 운동/식이 프로그램 및 설득 메시지를 제공하는 건강증진서버(12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강증진 시스템은 수집장치(101-1, 101-2, 101-3, ..., 101-n)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필터링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수행하여 특징값을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130)와 상기 정보 수집부(130)로부터 입력되는 특징값을 분석하고, 상황에 따라 인지하여 상황묘사값을 생성하는 상황 인지 처리부(140)와 상황 모델을 규정하여 저장하는 상황 인지 DB(141)와, 상기 상황 묘사값에 기초하여 개인맞춤형 운동 및 식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 처리부(150)와 식이 프로그램 처리부(160), 그리고 운동/식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운동/식이 프로그램 DB(151)와, 상황 묘사값을 기초하여 개인맞춤형 설득 메시지를 제공하는 설득 메시지 처리부(170)와 설득 메시지 DB(171)를 포함하고, 운동/식이 프로그램 처리부와 설득 메시지 처리부(17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80-1, 180-2, 180-3, ..., 180-n)를 포함한다.
*
상기 정보 수집부(130)는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수집장치(101-1, 101-2, 101-3, ..., 101-n)와의 접속을 관리하는 수집장치 관리부(131)와 상기 수집된 건강 정보를 필터링 등으로 처리하는 전처리부(132), 그리고 특징값 처리부(133)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 측면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부(130)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수집부(130)는 수집장치(101-1, 101-2, 101-3, ..., 101-n)로부터 입력된 정형 데이터 및 텍스트, 영상, 생체신호 등의 비정형 데이터로 이루어진 원 데이터로부터 상황별 특징값들을 생성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수집장치(101-1, 101-2, 101-3, ..., 101-n)와의 접속을 관리하는 수집장치 관리부(131)와 상기 수집된 건강 정보를 필터링 등으로 처리하는 전처리부(132), 그리고 상황별 특징값 처리부(133)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 측면 실시예에 따른 상황 인지 처리부(140)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황 인지 처리부(140)는 정보 수집부(130)로부터 제공되는 특징값을 저장하는 특징값 저장소(142)와 상기 상황 인지 DB(141)와 특징값(142)을 매칭하여 상황 묘사값을 생성하는 상황 매칭 엔진(1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황 인지 DB(141)는 수면이 부족한 상황, 운동 목표량 달성한 상황 등 상황 모델을 표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 측면 실시예에 따른 설득 메시지 처리부(170)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설득 메시지 처리부(170)는 상황 인지 처리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상황 묘사값을 저장하는 상황 묘사값 저장소(172)와 (1) 설득 규칙 베이스(173), (2) 설득 메시지 DB(171)와 (3) 상황 묘사값 저장소(172)의 상황 묘사값을 매칭하여 상황에 따른 개인맞춤형 설득 메시지를 생성하는 설득 메시지 매칭 엔진(174)을 포함 한다. 여기서, 설득 규칙 베이스(173)는 상황 묘사(조건부)에 따른 설득 메시지 실행부(결론부)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설득 모델을 표현한 지식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수면이 부족하면, 수면 시간을 늘리라는 설득 메시지를 제공하라는 것과 같은 규칙들이 포함된다.

Claims (4)

  1.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생활습관을 확인하는데 요구되는 운동/식이 정보 등을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하고 처리하여 특징값을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특징값을 분석하고 상황에 따라 인지하여 상황 묘사값을 생성하는 상황 인지 처리부와 상황 모델을 저장하는 상황 인지 DB;
    상기 상황 묘사값을 근거로 개인맞춤형 운동 및 식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 처리부와 식이 프로그램 처리부; 그리고 상황별 개인 맞춤형 설득 메시지를 제공하는 설득 메시지 처리부와 설득 메시지 D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수집장치와의 접속을 관리하는 수집장치 관리부; 수집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원데이터를 필터링 등으로 처리하는 전처리부; 및 수집된 건강 정보의 특징값을 생성하는 특징값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 처리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제공되는 특징값을 저장하는 특징값 저장소;
    특징값과 상황 인지 DB를 매칭하여 상황 묘사값을 생성하는 상황 매칭 엔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설득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상황 인지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상황 묘사값을 저장하는 상황 묘사값 저장소; 상황에 따른 설득 모델을 표현한 설득 규칙 베이스; 상기 상황 묘사값 저장소의 상황 묘사값과 설득 규칙 베이스, 설득 메시지 DB를 매칭하여 설득 메시지를 제공하는 설득 메시지 매칭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80006897A 2018-01-19 2018-01-19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KR20190088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97A KR20190088622A (ko) 2018-01-19 2018-01-19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97A KR20190088622A (ko) 2018-01-19 2018-01-19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622A true KR20190088622A (ko) 2019-07-29

Family

ID=6748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897A KR20190088622A (ko) 2018-01-19 2018-01-19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86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981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비라이프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KR20220101983A (ko) 2021-01-12 2022-07-19 정요한 캐릭터 육성을 이용한 생활습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981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비라이프 실시간 활동량을 이용한 건강증진 시스템
KR20220101983A (ko) 2021-01-12 2022-07-19 정요한 캐릭터 육성을 이용한 생활습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ucco et al. Sentiment analysis and affective computing for depression monitoring
US20200364539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evaluating consumption of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to a user by analyzing user's eye tracking and bioresponse data
JP6881687B2 (ja) ユーザの精神/感情状態をモデリング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203926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face to provide activity recommendations
US10376197B2 (en) Diagnosing system for consciousness level measurement and method thereof
US20170004260A1 (en) Method for providing health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a user
Elzeiny et al. Machine learning approaches to automatic stress detection: A review
WO2021068783A1 (zh) 一种情绪识别方法、装置和设备
KR102276415B1 (ko) 개인 관심상황 발생 예측/인지 장치 및 방법
US20130172693A1 (en) Diagnosing system for consciousness level measurement and method thereof
JP2023547875A (ja) 個人化された認知介入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52122A (ko)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8622A (ko)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설득 기반 건강증진 시스템
Ferrari et al. Using voice and biofeedback to predict user engagement during requirements interviews
Callejas et al. A virtual coach for active ageing based on sentient computing and m-health
CN116529750A (zh) 用于产品个性化或推荐的接口的方法和系统
KR20170084790A (ko) 음성 인식 기반의 건강 관리 앱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137992A1 (en) Virtual agent team
JP6402345B1 (ja) 指導支援システム、指導支援方法及び指導支援プログラム
US10820851B2 (en) Diagnosing system for consciousness level measurement and method thereof
Akmandor et al. YSUY: Your smartphone understands you—Using machine learning to address fundamental human needs
KR102296885B1 (ko) 사용자 맞춤형 헬스 해빗 서비스 장치
KR101836985B1 (ko)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Piwek et al. Automatic tracking of behavior with smartphones: Potential for behavior change interventions
Flutura Mobile social signal interpretation in the wild for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