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985B1 -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 Google Patents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985B1
KR101836985B1 KR1020170143386A KR20170143386A KR101836985B1 KR 101836985 B1 KR101836985 B1 KR 101836985B1 KR 1020170143386 A KR1020170143386 A KR 1020170143386A KR 20170143386 A KR20170143386 A KR 20170143386A KR 101836985 B1 KR101836985 B1 KR 10183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learning
user
workshee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수현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아카데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아카데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아카데미
Priority to KR102017014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인증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진로탐색과 연관된 이러닝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응답정보를 포함하는 워크시트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워크시트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이러닝 콘텐츠의 진도에 따라 평가시트를 제공하여 학점을 관리하고, 상기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진로탐색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평가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진로탐색과 연관된 이러닝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SMART E-LEARNING MANAGEMENT SERVER FOR SEARCHING JOBS}
본 발명은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맞춤형의 진로탐색 이러닝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점을 관리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발과 발달,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한 개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소지하고 있으며 이들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미디어를 접하고 소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의 제공과 개인이 소지한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연결함으로써 개인적인 스마트 네트워크 공간(Personal Area Network; PAN)을 구성하고 각각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합한 이미지 콘텐츠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온라인 학습(Electronic learning, E-Learning, 전자교육, 이러닝)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누구나(anyone) 원하는 수준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이다. 특히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웹상에서는 특히 특정 콘텐츠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조명받고 있으며, 이러닝 시스템을 통해 어학을 학습하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고 제10-967555호 참조).
그런,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 평가만 관리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적성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직업적합도에 따라 취업을 유도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로탐색과 연관된 이러닝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이러닝 콘텐츠의 진도에 따라 평가시트를 제공하여 학점을 관리하고,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진로탐색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의 직업모델을 생성하여 취업이 가능한 사업장을 매칭시킬 수 있는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인증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진로탐색과 연관된 이러닝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응답정보를 포함하는 워크시트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워크시트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이러닝 콘텐츠의 진도에 따라 평가시트를 제공하여 학점을 관리하고, 상기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진로탐색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평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제1 직업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로탐색내역을 수집하여 제2 직업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이러닝 콘텐츠를 상기 제1 직업모델과 상기 제2 직업모델에 대한 가중치에 따라 수정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직업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직업모델에 대한 가상체험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체활동내역, 감정상태내역, 업무수행내역을 수집하여 상기 직업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로탐색과 연관된 이러닝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이러닝 콘텐츠의 진도에 따라 평가시트를 제공하여 학점을 관리하고,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진로탐색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직업모델을 생성하여 취업이 가능한 사업장을 매칭시킬 수 있다.
도 1은 스마트 이러닝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중 매칭부에서 추천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중 매칭부에서 사용자의 면접이력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스마트 이러닝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이러닝 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및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이러닝 콘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은 GPS, 카메라, 스피커,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로부터 진로탐색과 관련된 콘텐츠를 다운받거나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워크시트를 작성하여 전송하거나, 평가시트를 제공받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워크시트는 진로탐색의 분석자료가 되며, 평가시트는 사용자의 학점관리 등의 평가를 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사용자 단말(10)은 웨어러블 형태의 단말을 통해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되는 이러닝 콘텐츠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10)로 워크시트 및 평가시트를 제공하여 그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의 접속 여부, 이러닝 콘텐츠 실행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수신하여 관리한다.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 사용자의 적성에 맞는 진로탐색보고서를 작성하여 제공하고, 학점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는 통신부(110), 콘텐츠 관리부(120), 워크시트 관리부(130) 및 평가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진로탐색과 연관된 이러닝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로 워크시트, 평가시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110)는 이러닝 콘텐츠를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러닝 콘텐츠의 실행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획득하여 이러닝 콘텐츠의 실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검색기록, 위치정보, 영상정보, 음성정보, SNS 대화정보 등을 수집할 수도 있다.
콘텐츠 관리부(120)는 인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진로탐색과 연관된 이러닝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한다. 콘텐츠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제1 언어로 제작된 콘텐츠를 제2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러닝 콘텐츠 상의 언어에 대한 번역된 자막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수동으로 특정 언어로 번역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언어에 상관없이 같은 이러닝 콘텐츠를 다양한 국가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진로탐색내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기존의 이러닝 콘텐츠를 수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검색기록, 위치정보, 영상정보, 음성정보, SNS 대화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관심분야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기록의 키워드와 관련한 직업정보,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직업정보, 사용자가 시청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에 따른 직업정보, 사용자의 SNS 계정 상의 대화내용으로부터 분석된 직업모델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관심직업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검색정보
위치정보 영상정보 SNS 대화정보 합계
제1 직업모델
1 0 1 0 2
제2 직업모델
0 0 1 0 1
제3 직업모델
1 1 1 1 4
표 1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진로탐색내역에 따른 직업모델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진로탐색내역의 세부 분류에 따라 추정되는 직업모델에 해당하면 1, 해당하지 않으면 0을 부여하여 합산된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정보를 최종 관심직업모델로 결정될 수 있다. 표 1에서는 제1 직업모델은 2, 제2 직업모델은 1, 제3 직업모델은 4의 가중치를 가지므로, 제3 직업모델이 최종 관심직업모델로 결정된다.
콘텐츠 관리부(120)는 진로탐색내역에 따라 제1 이러닝 콘텐츠가 사용자의 진로탐색내역과 매칭하여 적합도를 산출하고, 이를 수정하여 제2 이러닝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표 1의 경우 제3 직업모델이 최종 관심직업모델인 경우 최초에 제공되는 제1 이러닝 콘텐츠가 제1 직업모델, 제2 직업모델, 제3 직업모델에 연관도를 비교하여 제2 이러닝 콘텐츠를 제3 직업모델 중심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러닝 콘텐츠는 반드시 하나의 직업모델과 연관될 필요는 없으며, 여러 직업모델에 대한 콘텐츠를 비율을 달리하여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워크시트 관리부(1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응답정보를 포함하는 워크시트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워크시트는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워크시트는 "꿈"에 대한 사용자의 생각, 계획, 목표 등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작성된 워크시트는 전자화되어 사용자의 적성을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워크시트 관리부(1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작성한 워크시트를 입력받아 각 주제별 키워드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계층적 구조로 데이터를 관리화할 수 있다.
평가부(140)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이러닝 콘텐츠의 진도에 따라 평가시트를 제공하여 학점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이러닝 콘텐츠의 실행정도와 평가시트의 내용에 따라 학점을 차등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시트는 이러닝 콘텐츠의 진도율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전자평가서이다. 평가부(1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된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학점을 산정하게 된다. 평가부(140)는 각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따른 학점을 관리하고, 기 설정치 미만의 학점의 경우에는 이러닝 콘텐츠를 차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평가부(140)는 워크시트를 데이터마이닝하여 워크시트를 분석하고, 사용자 단말로 진로탐색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진로탐색보고서는 사용자에게 최적의 직업모델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보고서이다. 평가부(14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감정정보, 진로탐색내역을 분석하여 최적의 직업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러닝 콘테츠를 시청하면서 웨어러블 형태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정보는 호흡, 맥박, 뇌파 등을 포함하는 신체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평가부(14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감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평가부(1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 SNS 대화기록, 위치정보, 통화내용을 분석하여 직업탐색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40)는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직업모델을 생성하고, 직업모델에 대한 가상체험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VR(Virtual Reality)과 같은 가상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직업모델이 경찰로 파악된 경우, 가상체험서비스를 경찰에 대한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으로 경찰이 된 상태로 업무를 수행하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체활동내역, 감정상태내역, 업무수행내역을 수집하게 된다. 평가부(140)는 이러한 신체활동내역, 감정상태내역, 업무수행내역에 따라 직업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한다. 평가부(140)는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획득한 직업모델과 가상체험서비스를 통해 획득한 직업 적합도를 진로탐색보고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40)는 사용자의 직업모델과 연관된 업체를 매칭시켜 입사이력서, 자기소개서를 기계적 알고리즘에 의해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사이력서, 자기소개서는 사용자가 이러닝 콘텐츠를 수강하면서 워크시트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평가부(140)는 기 설정된 기업체의 구인요강과 사용자의 직업모델을 기계적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매칭한다. 이에 따라, 각 기업체에서는 하나의 인증된 평가보고서를 통해 입사지원자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40)는 사용자의 직업모델의 적합도가 높은 사업장을 매칭하고, 사업장의 문자, 이메일, SNS 중 적어도 하나의 계정으로 사용자의 학점정보와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URL이 포함된 추천페이지를 제공한다. 또한, 평가부(140)는 사업장에서 면접을 희망하는 경우 추천페이지 상에서 댓글 형태로 면접 진행경과가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용자 계정에 하나의 추천페이지가 생성되고, 추천페이지 상에는 학점정보, 이력정보 등이 기록되며, 댓글 형태로 해당 사용자가 면접에 참여한 기업들의 면접 진행상태 및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응시한 면접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의 면접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40)는 사용자가 취업이 된 경우 업무상황에 따라 향후 이직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평가부(140)는 사용자의 직업모델과 사업장의 직업모델을 매칭하여 매칭도의 변화율을 기초로 기 설정치 이상이면 이직을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업모델에는 사업장 위치, 업무의 전문성, 근로시간, 급여, 인간관계, 발전가능성과 같은 지표들을 기초로 생성할 수 있다. 평가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취직한 사용자로부터 사업장의 직업모델을 업데이트하여 이직예측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4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사업장의 직업모델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직하는 사용자의 직업모델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이직 한계점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평균적인 사용자가 자신의 직업모델과 사업장의 직업모델이 어느 정도 격차가 벌어질때 이직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게 평균값을 제공할 수 잇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했던 직업모델과 현실 사업장에서의 직업모델과의 격차를 판단하여 본인의 만족도를 위해 이직시기를 객관적으로 결정할 수 잇다.
또한, 평가부(140)는 이직예측도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직업모델을 업데이트하면서 새로운 사업장을 가상매칭할 수 있다. 가상매칭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새로운 직업을 매칭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다니고 있는 사업장과 이직할 사업장을 비교하여 이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는 심리치료 제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심리치료 제공부(150)는 워크시트로부터 사용자의 심리장애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심리장애정보는 사용자가 겪고 있는 심리장애요소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동물이나 사물에 대한 두려움, 고소공포증,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상황을 기재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심리치료 제공부는 사용자에게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공포, 두려움 등의 불안장애를 유발하는 요소를 사용자가 이미지를 통해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심리치료 제공부(150)는 사용자 단말로부 테스트 이미지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심리장애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미지 형태의 심리장애정보는 본인이 목격한 정신적 충격이되는 사건의 이미지이거나, 특정 환경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심리치료 제공부(15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심리장애정보를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분류화하고, 심리장애요소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SNS 계정 상의 대화목록을 분석하여 심리장애요소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이미지를 보여주면서 사용자의 생체정보, 감정정보의 변화에 따라 스트레스가 높은 대상을 추출하여 심리장애요소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심리치료 제공부(150)는 가상현실컨텐츠를 제공한 후,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감정정보를 획득하여 심리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호흡, 맥박, 심장박동, 혈압, 체온, 근육경직도, 동공확대 여부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감정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자신의 심리상태나 스트레스 강도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감정정보는 사용자가 말하는 내용이나 비명, 신음 등의 무의식적 소리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스트레스 강도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심리치료서비스에는 사용자가 특정 직업과 관련된 심리장애요소에 대한 공포심이나 긴장감을 낮추기 위한 조언, 음악, 영상 등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는 운동, 취미, 도서 등을 추천하거나, 오프라인 상의 심리치료소를 매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심리치료서비스로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종교적 컨텐츠나 명상 요법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심리치료서비스는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는 보상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160)는 사용자가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이러닝 콘텐츠를 기 설정된 진도율 이상으로 청취하면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기 설정된 쿠폰, 포인트를 제공하여 보상할 수 있다. 보상부(160)는 이러닝 콘텐츠 상에서 제공하는 학습프로그램 현장에 참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1차적으로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현장에서의 식별태그를 2차적으로 획득하여 매칭함으로써 포인트나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상부(160)는 평가부(140)에서 매칭한 사업장에서의 제공되는 제1 음파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2 음파정보를 수신한다. 보상부(160)는 제1 음파정보와 제2 음파정보가 일치하면 사용자가 매칭된 사업장에서 직업을 구한 것으로 판단하면 기 설정된 포인트 또는 쿠폰을 제공한다. 이 경우, 제1 음파정보 및 제2 음파정보를 수집하는 시간 스케줄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전 10시, 오후 2시, 오후 5시에 제1 음파정보 및 제2 음파정보를 매칭하여 2 번 이상 매칭되면 근무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중 매칭부에서 추천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중 매칭부에서 관리하는 추천페이지(300)에는 사용자의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URL이 포함된 대화메시지(301)가 형성되며, 댓글(302)로 해당 이력서가 송부된 기업에서의 면접일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추천페이지(300)를 수신한 사업장에서 면접을 희망하는 경우 추천페이지(300) 상에서 댓글(302)로 면접 진행경과가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용자 계정에 하나의 추천페이지(300)가 생성되고, 추천페이지(300) 상에는 학점정보, 이력정보 등이 URL 형태의 링크로 확인되며, 댓글(302)로 해당 사용자가 면접에 참여한 기업들의 면접 진행상태 및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응시한 면접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의 면접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중 매칭부에서 사용자의 면접이력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여러 시점에 걸쳐 사용자 단말(10)에서 식별태그(400)를 획득한 것을 나타낸다. (a)는 제1 시점에 사용자 단말(10)이 'L' 문자의 식별태그(400)를 획득하고, (b)는 제2 시점에 'O' 문자의 식별태그(400)를 획득하고, (c)는 제3 시점에 사용자 단말(10)이 'V' 문자의 식별태그(400)를 획득하고, (d)는 제4 시점에 사용자 단말(10)이 'E' 문자의 식별태그(400)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10)이 사업장에서 순차적으로 문자로 된 식별태그(400)를 획득하면 이를 조합하여 'LOVE'라는 이벤트 조합이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10)의 계정으로 추가 포인트가 적립된다. 이 경우, 문자로 된 식별코드 사업장의 고유번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추천된 직업모델에 따라 면접을 보는 경우 기 설정된 포인트 또는 쿠폰 형태의 보상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사용자 단말
100 :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110 : 통신부
120 : 콘텐츠 관리부
130 : 워크시트 관리부
140 : 평가부
150 : 심리치료 제공부
160 : 보상부
300 : 추천페이지
301 : 대화메시지
302 : 댓글
400 : 식별태그

Claims (3)

  1.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인증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진로탐색과 연관된 이러닝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응답정보를 포함하는 워크시트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워크시트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이러닝 콘텐츠의 진도에 따라 평가시트를 제공하여 학점을 관리하고, 상기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진로탐색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직업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직업모델에 대한 가상체험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체활동내역, 감정상태내역, 업무수행내역을 수집하여 상기 직업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하고, 상기 적합도가 높은 사업장을 매칭하여 상기 사업장의 문자, 이메일, SNS 중 적어도 하나의 계정으로 상기 사용자의 학점정보와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URL이 포함된 추천페이지를 제공하는 평가부; 및
    상기 평가부에서 매칭한 상기 사업장에서 제공되는 제1 음파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2 음파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스케줄로 매칭하여 일치하면 기 설정된 포인트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제1 직업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로탐색내역을 수집하여 제2 직업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이러닝 콘텐츠를 상기 제1 직업모델과 상기 제2 직업모델에 대한 가중치에 따라 수정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3. 삭제
KR1020170143386A 2017-10-31 2017-10-31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KR10183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86A KR101836985B1 (ko) 2017-10-31 2017-10-31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86A KR101836985B1 (ko) 2017-10-31 2017-10-31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985B1 true KR101836985B1 (ko) 2018-03-09

Family

ID=6172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386A KR101836985B1 (ko) 2017-10-31 2017-10-31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56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가상현실을 이용한 공존 직업 체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6400A (ja) * 2005-06-29 2009-02-12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位置認識マルチモーダルマルチ言語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6400A (ja) * 2005-06-29 2009-02-12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位置認識マルチモーダルマルチ言語デバイ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56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가상현실을 이용한 공존 직업 체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09942B1 (ko) * 2018-05-17 2020-06-11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가상현실을 이용한 공존 직업 체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91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conversations
Croes et al. Social attraction in video-mediated communication: The role of nonverbal affiliative behavior
US20180096738A1 (en) Method for providing health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a user
US202203926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face to provide activity recommendations
US201800321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emotional state
KR101617114B1 (ko) 생리학적 데이터를 사용한 소셜 감성 결정
US2004021066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filing, matching and optimizing performance of large networks of individuals
JP2017062842A (ja) 健康管理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メッセージ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20180075763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recommendations to alleviate loneliness
US20140047316A1 (en) Method and system to create a personal priority graph
Fatima et al. Smart CDSS: Integration of social media and interaction engine (SMIE) in healthcare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Sprott Reimagining “kink”: Transformation, growth, and healing through BDSM
Silva et al. What allays loneliness? A fine-grained examination of daily social interactions
KR101836985B1 (ko)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 이러닝 관리서버
Boswell et al. A review and preview of developments in the measurement of sociability
EP41828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face for personalization or recommendation of products
Zeyda et al. Your body tells more than words–predicting perceived meeting productivity through body signals
US200601294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ersonal happiness index and improving it
US201601110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of an audio conversation
KR101816707B1 (ko) 셀프 및 상담 코칭 기반의 하이브리드 코칭 시스템, 그리고 셀프 및 상담 코칭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1601485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overcoming of addictive behavior
KR101548929B1 (ko) 책을 매개로 하는 소셜네트워크 시스템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Panjaitan et al. Enhancing Government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Effective Health In-formation and Public Health Education
Hadzidedic Bazdarevic et al. How emotions stimulate people affected by cancer to use personalised health websites
KR20200009740A (ko) 맞춤형 진로탐색을 위한 스마트러닝 컨텐츠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