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948A - 식도용 풍선 카테터 - Google Patents

식도용 풍선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948A
KR20210043948A KR1020190126926A KR20190126926A KR20210043948A KR 20210043948 A KR20210043948 A KR 20210043948A KR 1020190126926 A KR1020190126926 A KR 1020190126926A KR 20190126926 A KR20190126926 A KR 20190126926A KR 20210043948 A KR20210043948 A KR 20210043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ophagus
balloon catheter
expansion limiting
ballo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748B1 (ko
Inventor
이홍섭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7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18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A61B2017/00827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5Oesophag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식도로 삽입되어 팽창되는 풍선 카테터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외부에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로 상기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 주입관; 및 상기 본체 내주면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부위를 연결하는 복수의 팽창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팽창 제한부가 연결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팽창되는 식도용 풍선 카테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도로 삽입되는 풍선의 내측에 팽창 제한 수단을 배치하여, 환자의 식도에 삽입된 풍선이 식도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타원 형태 또는 '∞' 형태로 팽창되도록 하여 윤상인두근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Description

식도용 풍선 카테터{Balloon catheter for esophagus treatment}
본 발명은 식도용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도에 삽입된 후, 내측 중간에 팽창 제한 수단이 배치되어 식도의 내부에서 팽창되되 식도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도용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선 도관(balloon catheter)은 심혈관 관련 혈관 조영술 및 소화기 질환의 내시경 질환의 시술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내시경 도구이다.
풍선 도관 관련하여, 공개특허 2014-0030104호를 참조하면, 원형으로서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풍선이 개시되었다.
상기한 기술의 풍선은 신체 내로 삽입되어, 소정의 시술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윤상인두근은 인두에서 식도로 연결되는 부위에 위치하는 근육으로, 평소 지속적으로 수축하여 식도에서 음식물이 역류되는 것을 막아주고, 음식물을 삼킬 때는 적절히 이완된다.
윤상인두근 장애는 인두와 식도 사이에 위치한 근육에 이상이 생겨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질환으로, 윤상인두근 장애가 발생한 환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치료를 수행한다.
즉, 윤상인두근 장애 환자의 식도에 풍선은 삽입한 후, 풍선을 팽창시켜 식도를 확장시키는 확장술이 윤상인두근 장애의 치료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공개특허 2014-00301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풍선을 식도에 삽입하면 풍선이 배치된 부위의 치료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지만, 치료 부위에 따라서는 치료 효과가 제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상부 식도 조임근육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 식도 조임근육은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갖고 있어, 원형의 풍선을 삽입하면 풍선이 배치되는 식도의 일측으로는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식도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은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식도에 원형의 풍선을 복수로 삽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윤상인두근 장애를 치료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두 개의 풍선이 부풀면서 서로를 밀어내기도 하고 환자의 삼킴 운동에 의해 동시에 부풀리기가 쉽지 않아 치료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도로 삽입되는 풍선의 내측에 팽창 제한 수단을 배치하여, 환자의 식도에 삽입된 풍선이 식도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타원 형태 또는 '∞' 형태로 팽창되도록 하여 윤상인두근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인 식도용 풍선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식도로 삽입되어 팽창되는 풍선 카테터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외부에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로 상기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 주입관; 및 상기 본체 내주면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부위를 연결하는 복수의 팽창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팽창 제한부가 연결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팽창되는 식도용 풍선 카테터를 제공한다.
상기 팽창 제한부는, 상기 본체의 중앙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팽창 제한부는,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고, 양단이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상기 내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 제한부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갖고, 양측이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상기 내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메쉬(mes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식도로 삽입되는 풍선의 내측에 팽창 제한 수단을 배치하여, 환자의 식도에 삽입된 풍선이 식도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타원 형태 또는 '∞' 형태로 팽창되도록 하여 윤상인두근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은 상부 식도 조임근육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도용 풍선 카테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도용 풍선 카테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도용 풍선 카테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도용 풍선 카테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도용 풍선 카테터(100)는 본체(110), 기체 주입관(120) 및 팽창 제한부(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환자의 식도에 삽입된 후, 치료 대상 위치에 배치된 후 외부에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된다.
본체(110)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구 형태로 팽창될 수 있다. 본체(110)는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0)의 팽창 시, 원형의 구 형태로 팽창될 수도 있지만 식도가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고 있으므로, 본체(110)는 식도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길이와 형상으로 팽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의 팽창 시, 그 형태는 후술하는 팽창 제한부(13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는 팽창 제한부(130)에 의해 팽창 방향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기체 주입관(120)은 일단이 본체(110)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본체(110) 내측으로 본체(110)의 팽창을 위한 기체를 주입한다.
기체 주입관(120)의 타단으로는 본체(100) 내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기체 공급부는 기체 저장 탱크 또는 에어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 내로 공급되는 기체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 제한부(130)는 본체(110)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본체(110)의 팽창 방향이 제한되도록 한다.
본 실시에에서, 팽창 제한부(130)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팽창 제한부(1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의 양단이 본체(110) 내주면에서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각각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팽창 제한부(130)는 본체(110) 내측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행하며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식도용 풍선 카테터(130)는 본체(110)의 중앙으로 배치된다.
또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팽창 제한부(130)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도용 풍선 카테터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공기가 주입되지 않는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태가 잡히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소정의 기구를 사용하여 본체(110)를 환자의 식도로 삽입한다.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팽창 제한부(130)는 양단이 가장자리가 본체(110) 내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환자의 식도로 본체(110)가 삽입된 후, 사용자는 기체 주입관(120)을 통해 본체(110) 내로 소정의 기체를 주입한다.
본체(110) 내로 기체가 주입되면, 본체(110)는 팽창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도용 풍선 카테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체의 주입에 의해 본체(110)가 팽창하되 팽창 제한부(130)의 길이 방향으로는 팽창이 제한되고, 팽창 제한부(13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팽창하여, 본체(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 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단면이 타원인상부 식도 조임근육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팽창 제한부는 메쉬(mesh)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고, 소정의 눈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메쉬의 길이는 본체(110A)의 길이에 대응한다. 그리고, 메쉬의 폭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도용 풍선 카테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도용 풍선 카테터(100A)는 내부에 메쉬를 포함하는 팽창 제한부(130A)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팽창 제한부(130A)의 양측은 본체(110A)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A) 내로 기체가 주입되면, 본체(110A)는 팽창하되 팽창 제한부(130A)의 양측 방향으로는 팽창이 제한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 본체(110A)는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식도로 삽입되는 풍선의 내측에 팽창 제한 수단을 배치하여, 환자의 식도에 삽입된 풍선이 식도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타원 형태 또는 '∞' 형태로 팽창되도록 하여 윤상인두근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A : 식도용 풍선 카테터
110, 110A : 본체
120, 120A : 기체 주입관
130, 130A : 팽창 제한부

Claims (4)

  1. 환자의 식도로 삽입되어 팽창되는 풍선 카테터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외부에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로 상기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 주입관; 및
    상기 본체 내주면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부위를 연결하는 복수의 팽창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팽창 제한부가 연결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팽창되는 식도용 풍선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제한부는,
    상기 본체의 중앙으로 배치되는 식도용 풍선 카테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제한부는,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고, 양단이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상기 내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식도용 풍선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제한부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갖고, 양측이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상기 내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메쉬(mesh)를 포함하는 식도용 풍선 카테터.
KR1020190126926A 2019-10-14 2019-10-14 식도용 풍선 카테터 KR102310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926A KR102310748B1 (ko) 2019-10-14 2019-10-14 식도용 풍선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926A KR102310748B1 (ko) 2019-10-14 2019-10-14 식도용 풍선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948A true KR20210043948A (ko) 2021-04-22
KR102310748B1 KR102310748B1 (ko) 2021-10-08

Family

ID=7573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926A KR102310748B1 (ko) 2019-10-14 2019-10-14 식도용 풍선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7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207B1 (ko) * 1994-01-26 2003-01-24 마크 에이 레일리 뼈의고정에관련한외과적처치를위한개선된팽창기구
WO2007065137A2 (en) * 2005-11-30 2007-06-07 Stout Medical Group, L.P. Ballo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KR20140116894A (ko) * 2012-02-08 2014-10-06 콰트로 배스큘러 피티이 리미티드 비선형 축 버팀대를 갖는 구속 구조물
US20150088064A1 (en) * 2012-05-07 2015-03-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Office Of Technology Transfer Upper esophageal sphincter dilator
JP2018501068A (ja) * 2014-12-24 2018-01-18 チューター, ティモシー, エー.エムCHUTER, Timothy, A.M バルーン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207B1 (ko) * 1994-01-26 2003-01-24 마크 에이 레일리 뼈의고정에관련한외과적처치를위한개선된팽창기구
WO2007065137A2 (en) * 2005-11-30 2007-06-07 Stout Medical Group, L.P. Ballo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KR20140116894A (ko) * 2012-02-08 2014-10-06 콰트로 배스큘러 피티이 리미티드 비선형 축 버팀대를 갖는 구속 구조물
US20150088064A1 (en) * 2012-05-07 2015-03-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Office Of Technology Transfer Upper esophageal sphincter dilator
JP2018501068A (ja) * 2014-12-24 2018-01-18 チューター, ティモシー, エー.エムCHUTER, Timothy, A.M バルーン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748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7739B1 (en) Spiraled balloon arrangement for treatment of a tortuous vessel
US8419666B2 (en) Compression sleeve
JP5955310B2 (ja) 区画的な血管処置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7416996B2 (ja) フローコントロールステント
ES2854825T3 (es) Dispositivos para el control de la presión arterial
US1031500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ment of a bladder
JP5662165B2 (ja) 形状適合性ステントおよび製造方法
JP6498839B2 (ja) 膀胱内のマッピング及びアブレーション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S2867076T3 (es) Dispositivo de modulación de nervio endoluminal
JP2007511286A (ja) 腔内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法
JP2007518450A5 (ko)
US20180199981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vent or significantly inhibit gas progression during spray cryotherapy
JP2010004915A (ja) 嚥下障害治療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102150487B1 (ko) 요도 협착 억제장치
JP5601323B2 (ja) 血管用ステント
US9409000B2 (en) Balloon with fibers for treatment of blood vessels
KR102310748B1 (ko) 식도용 풍선 카테터
US10974032B2 (en) Balloon structure with anchoring portions for anchoring in a bodily passage
US20180014868A1 (en) Systems and methods to block or inhibit gas progression during spray cryotherapy
JP2002301020A (ja) 医療用固定バルーン
ES2957905A2 (es) Cateter medico y aparato medico
KR102487321B1 (ko) 의료용 임플란트
KR0142202B1 (ko) 요추 보호 및 치료용 복대
US9370645B2 (en) Deliver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CN112089951A (zh) 一种医用球囊、球囊导管及医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