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327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327A
KR20210043327A KR1020190126353A KR20190126353A KR20210043327A KR 20210043327 A KR20210043327 A KR 20210043327A KR 1020190126353 A KR1020190126353 A KR 1020190126353A KR 20190126353 A KR20190126353 A KR 20190126353A KR 20210043327 A KR20210043327 A KR 20210043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unit
display device
support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대
윤경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327A/ko
Publication of KR2021004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는 세트부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폴딩 영역은 디스플레이부의 네 모서리 부분이며, 세트부는 비폴딩 영역으로 폴딩 영역을 폴딩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장 및 축소 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이 축소된 폴딩 상태 시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화면 크기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실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높은 열을 견딜 수있도록 유리기판을 사용하므로 경량 박형화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차세대 평판 표시장치로 급부상중이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유리가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활용하여 내구성이 높은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깨지지 않으면서도 구부릴 수 있는 밴더블(Bendable),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화면을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슬라이더블(Slidable),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초박형, 경량화 및 소형화와 함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폴더블(Foldable)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는 세트부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폴딩 영역은 디스플레이부의 네 모서리 부분이며, 세트부는 비폴딩 영역으로 폴딩 영역을 폴딩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장 및 축소 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축소된 폴딩 상태 시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화면 크기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세트부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3의 K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서 C부분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b의 D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상태에서 회전된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 및 세트부(3)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는 폴딩 영역(P1)과 비폴딩 영역(P2)을 포함한다. 상기 세트부(3)는 비폴딩 영역(P2)으로 폴딩 영역(P1)을 폴딩시키기 위한 구동부(31)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P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네 모서리 부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폴딩 영역(P1)을 비폴딩 영역(P2)으로 폴딩시켜서 언폴딩 상태에 비해 크기가 더 작은 사각형 형태의 폴딩 상태를 구현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는 모서리가 직각인 정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폴딩 상태가 사각형 형태가 아닐 경우, 디스플레이부(2)는 정사각형이 아닌 다른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폴딩 영역(P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의 네 모서리 부분일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P1)은 상기 구동부(31)에 의해 폴딩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폴딩 영역(P2)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딩 영역(P1)은 디스플레이부(2)가 바깥쪽으로 폴딩되는 소위 말하는 아웃폴딩 방식으로 폴딩되어서 후방(BD, 도 1에 도시됨) 쪽을 바라보도록 비폴딩 영역(P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폴딩 영역(P2)은 디스플레이부(2)에서 상기 폴딩 영역(P1)을 제외한 부분일 수 있다.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가 폴딩 상태일 때, 전방(FD, 도 1에 도시됨)을 향해서는 비폴딩 영역(P2)만이 배치되고, 후방(BD)을 향해서는 폴딩 영역(P1)만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방을 향해서는 폴딩 영역(P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일 때, 상기 폴딩 영역(P1)의 거의 대부분은 상기 비폴딩 영역(P2)에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P1)과 상기 비폴딩 영역(P2)은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가 언폴딩 상태일 경우, 상기 폴딩 영역(P1)과 비폴딩 영역(P2)은 전방(FD)에 배치됨으로써,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폴딩 영역(P1)과 비폴딩 영역(P2)은 일체감 있는 하나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가 폴딩 상태일 경우, 상기 전방(FD)에는 비폴딩 영역(P2)만이 배치되어서 영상을 출력하고, 후방(BD)에는 폴딩 영역(P1)이 배치되어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폴딩 영역(P1)과 비폴딩 영역(P2)은 동일한 영상을 출력하거나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폴딩 상태 시 후방(BD) 쪽에 배치되는 폴딩 영역(P1)은 영상을 출력하지 않고, 조명으로 사용되도록 특정 색의 광만을 출력하거나 달력, 날짜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과 디스플레이 패널(21)의 배면에 결합되는 미드 프레임(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2)의 가장자리에는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베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젤은 디스플레이부(2)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1)은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미드 프레임(22)은 디스플레이 패널(21)이 편평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미드 프레임(22)은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강성을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미드 프레임(22)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1)의 배면에 접착 결합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드 프레임(22)은 디스플레이 패널(21)의 배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미드 프레임(22)은 패턴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221)는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이 폴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 간에 전환될 경우, 미드 프레임(22)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패턴부(22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과 비폴딩 영역(P2) 사이의 경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부(221)는 폴딩 영역(P1)과 비폴딩 영역(P2) 사이의 4군데 경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221)는 폴딩 영역(P1)과 비폴딩 영역(P2) 사이의 경계 부분에 배치된 미드 프레임(22)에 다수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부(22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가 폴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로 여러번 전환되더라도 미드 프레임(22)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미드 프레임(22)의 사용 수명이 증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트부(3)는 디스플레이부(2)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을 비폴딩 영역(P2)으로 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세트부(3)는 디스플레이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트부(3)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2)의 전면과 반대되는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트부(3)는 미드 프레임(22)에 결합되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22)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21)의 강성을 더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세트부(3)는 구동부(31), 제1 지지부(32), 연결부(33), 제2 지지부(34), 샤프트부(35), 백커버(36), 및 수납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세트부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1a는 도 3의 K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C부분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b의 D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3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을 비폴딩 영역(P2)으로 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구동부(31)는 폴딩 영역(P1)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폴딩 영역(P1)을 비폴딩 영역(P2)에 중첩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31)는 비폴딩 영역(P2)에 중첩된 폴딩 영역(P1)을 회전시켜서 비폴딩 영역(P2)에 중첩되지 않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31)는 모터 기어(311)와 몸체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기어(311)와 몸체부(312)는 샤프트부(35)를 설명한 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지지부(32)는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32)는 폴딩 영역(P1)의 형태와 동일하게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서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에 접착 결합되거나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의 네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32)의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 도 8에 도시됨)는 복수개로 구비된 제1 지지부(32)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33)는 샤프트부(35)가 갖는 샤프트 축(353, 도 9에 도시됨)의 끝단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32)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샤프트 축(3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33)가 샤프트 축(353)에 회전하지 않게 결합되면 언폴딩 상태와 폴딩 상태 전환 시 상기 샤프트 축(353)이 회전하기 때문에 연결부(33)가 비틀리거나 절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부(33)는 "ㄱ"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폴딩 상태 시, 상기 연결부(33)의 모서리 부분이 디스플레이부(2)의 모서리에 배치되는데, 상기 연결부(33)의 모서리 부분이 날카로우면 사용자가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3)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형태로 형성되면, 데코 측면에서도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는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및 탄성 있는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부(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딩 상태 시, 디스플레이부(2)의 모서리에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부(2)의 모서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도 추가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폴딩 상태 시 제1 지지부(32)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므로, 전방(FD)에서 연결부(33)의 모서리 부분이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언폴딩 상태 시 전방(FD)에서 연결부(33)의 모서리 부분이 보여지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2)의 크기가 제1 지지부(32)와 제2 지지부(34)를 합한 크기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33)가 복수개로 구비된 삼각형 형태의 제1 지지부(32)를 연결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제1 지지부(32)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제2 지지부(34)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에는 샤프트부(35)에 결합되지 않는 제2 지지부(34)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에 배치된 제2 지지부(34)는 디스플레이부(2)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34)는 디스플레이부(2)의 비폴딩 영역(P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비폴딩 영역(P2)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34)는 비폴딩 영역(P2)의 형태와 동일하게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비슷한 크기로 형성되어서 디스플레이부(2)의 비폴딩 영역(P2)에 접착 결합되거나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34)의 면적은 제1 지지부(32)의 면적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32)의 면적은 복수개의 제1 지지부(32) 전체의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32)에는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의 배면이 결합되고, 제2 지지부(34)에는 디스플레이부(2)의 비폴딩 영역(P2)의 배면이 결합되기 때문에 제2 지지부(34)의 면적이 제1 지지부(32)의 면적보다 작게 구비되면, 폴딩 상태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이 비폴딩 영역(P2)과 나란하게 배치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손으로 잡거나 휴대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34)의 면적이 제1 지지부(32)의 면적과 동일하게 구비되면, 폴딩 상태에서 공간적인 여유가 없기 때문에 후술할 버튼부(4)가 배치될 수 없다. 상기 버튼부(4)는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를 폴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지지부(34)의 면적이 제1 지지부(32)의 면적보다 크게 구비됨으로써, 폴딩 상태 시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의 대부분이 비폴딩 영역(P2)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거치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부(4)가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지지부(34)의 면적은 제1 지지부(32)의 면적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후술할 샤프트 축이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지지부(34)는 전면부(341), 배면부(342), 및 돌출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전면부(341)는 상기 제2 지지부(34)에서 디스플레이부(2)의 배면에 결합되는 면이다. 상기 제2 지지부(34)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비폴딩 영역(P2)과 비슷한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면부(341)는 상기 비폴딩 영역(P2)과 비슷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부(341)는 상기 미드 프레임(22)의 배면에 접착 결합 또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부(341)는 디스플레이부(2)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부(34)는 디스플레이부(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배면부(342)는 상기 전면부(341)와 반대면이다. 즉, 상기 배면부(342)는 미드 프레임(22)에 결합되지 않는 면으로, 후방(BD)을 향해 배치된 면이다. 상기 배면부(342)는 디스플레이부(2)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기 배면부(342) 쪽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에는 배터리, PCB 등과 같은 등과 같이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수장치들이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이 후술할 수납부(37, 도 11a에 도시됨)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3)는 전술한 수납부(37)를 형성함과 동시에 버튼부(4)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43)는 상기 배면부(342)로부터 후방(BD)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3)는 도 4와 같이, 언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의 각 변의 중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배면 쪽에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3)는 제2 지지부(34)로부터 후방(BD)을 향해 소정 두께로 돌출됨으로써 돌출부가 없는 경우에 비해 비틀림에 더 강하도록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43)는 언폴딩 상태 시 후방(BD)을 향해 소정 두께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로 기능하여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가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343)는 후술할 백커버(36)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됨으로써,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3)는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34)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지지부(34)와 일체로 금형 성형 또는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343)는 상기 백커버(36)의 끝단 일부, 제1 지지부(32)의 일부, 및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H, 도 11b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커버(36)의 끝단 일부는 도 2의 슬릿(SL)에 인접하는 백커버(36)일 수 있다. 다시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홈(H)에는 상기 백커버(36)의 끝단 일부가 삽입되고, 볼트와 같은 체결기구에 의해 상기 백커버(36)가 돌출부(34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43)는 상기 백커버(36)를 지지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3)는 폴딩 상태 시 도 11b와 같이, 상기 백커버(36)의 배면에 접촉되는 제1 지지부(32)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고, 제1 지지부(32)에 접촉되는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 일부도 함께 지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돌출부(343)가 지지하는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 끝단에는 디스플레이부(2)의 가장자리를 커버하기 위한 베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폴딩 상태 시 상기 베젤이 후방(BD) 쪽에 배치됨으로써 전방(FD)에서 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베젤이 없는 비폴딩 영역(P2)만을 볼 수 있으므로, 베젤이 있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면의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느껴지도록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8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샤프트부(35)는 제1 지지부(32)와 제2 지지부(34)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샤프트부(35)는 상기 제1 지지부(32)와 상기 제2 지지부(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35)는 제1 브라켓(351), 제2 브라켓(352), 샤프트 축(353), 샤프트 기어(354), 및 고정핀(3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351)은 도 9와 같이, 제1 지지부(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351)은 상기 제1 지지부(32)를 상기 샤프트 축(353)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브라켓(351)은 제2 지지부(34)에 결합되는 쪽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32)의 일변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통해 제1 지지부(3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브라켓(351)은 상기 제1 지지부(3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브라켓(351)은 상기 제1 지지부(3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351)은 제1 샤프트 하우징(35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 하우징(351a)은 상기 샤프트 축(353)이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써,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 하우징(351a)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제1 브라켓(351)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브라켓(351)과 금형 성형 또는 사출 성형과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샤프트 하우징(351a)에 샤프트 축(35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32)는 상기 제1 브라켓(351)을 통해 샤프트 축(3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 하우징(351a)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제1 샤프트 하우징(351a)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352)은 도 11a와 같이, 제2 지지부(3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352)은 상기 제2 지지부(34)를 상기 샤프트 축(353)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브라켓(352)은 제2 지지부(34)의 일변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통해 제2 지지부(34)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브라켓(352)은 상기 제2 지지부(34)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브라켓(352)은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은 상기 샤프트 축(353)이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써,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제2 브라켓(352)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브라켓(352)과 금형 성형 또는 사출 성형과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에 샤프트 축(35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 지지부(34)는 상기 제2 브라켓(352)을 통해 샤프트 축(3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샤프트 하우징(352a)들은 제1 샤프트 하우징(351a)들이 이격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와 같이 제1 샤프트 하우징(351a)과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샤프트 하우징(351a)과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이 샤프트 축(35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32)와 제2 지지부(34)는 샤프트 축(3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지지부(32)에 결합되는 폴딩 영역(P1)이 제2 지지부(34)에 결합되는 비폴딩 영역(P2)으로 폴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제2 지지부(34)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32)가 상기 샤프트 축(353)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축(353)은 제1 브라켓(351)과 제2 브라켓(352)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 하우징(351a)과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에 삽입됨으로서 제1 브라켓(351)과 제2 브라켓(352)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축(353)의 직경은 상기 제1 샤프트 하우징(351a)과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이 갖는 원형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 축(353)은 상기 제1 샤프트 하우징(351a)과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이 갖는 원형홀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 축(353)은 상기 제1 브라켓(351)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됨으로써, 양 끝단이 상기 제1 브라켓(351)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351)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 축(353)의 양 끝단에는 전술한 연결부(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1 지지부(32)는 상기 연결부(33)를 통해 하나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샤프트 축(353)이 제1 브라켓(351)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브라켓(352)이 제1 브라켓(351)보다 더 긴 길이로 구비될 경우, 상기 샤프트 축(353)은 제2 브라켓(352)보다 더 길게 구비되어서 양 끝단이 상기 제2 브라켓(352)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부(33)는 상기 제2 브라켓(352)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 축(353)의 양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기어(354)는 구동부(31)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샤프트 축(353)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샤프트 기어(354)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소정 개수의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기어(354)는 상기 샤프트 축(353)에 고정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부(31)의 구동력을 샤프트 축(353)에 전달할 수 있고, 샤프트 축(353)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기어(354)는 샤프트 축(353)과 일체로 금형 성형 또는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샤프트 기어(354)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351) 또는 제2 브라켓(352)의 중앙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1개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부(31)가 복수개일 경우 제1 브라켓(351)의 장변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55)은 제1 브라켓(351)을 샤프트 축(353)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고정핀(35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기어(354)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355)은 'Π' 형태 또는 'ㅠ'형태로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돌출된 핀들이 제1 샤프트 하우징(351a)을 관통하여 샤프트 축(353)에 결합됨으로써, 제1 브라켓(351)을 샤프트 축(353)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 축(353)이 구동부(31)가 제공하는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면 상기 제1 브라켓(351)과 제1 지지부(32)는 샤프트 축(353)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5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제2 샤프트 하우징(352a)의 폭보다 긴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핀들이 각각 서로 다른 제1 샤프트 하우징(351a)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9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31)는 모터기어(311)와 몸체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기어(311)는 상기 몸체부(312)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샤프트 기어(354)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터기어(31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소정 개수의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기어(311)는 나사산이 샤프트 기어(354)에 치합되고, 모터심을 통해 몸체부(312)에 연결됨으로써, 몸체부(312)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샤프트 기어(354)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312)는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제1 지지부(32)가 제2 지지부(34)에 중첩되도록 제1 지지부(32)를 제1 각도(θ1)만큼 폴딩시키거나 제1 지지부(32)가 제2 지지부(34)에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지지부(32)를 제1 각도(θ1)만큼 언폴딩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각도(θ1)는 180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부(312)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라켓(352)과 백커버(36)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3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312)는 제2 브라켓(352)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면부(34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312)가 배면부(342)에 결합될 경우, 상기 구동부(31)는 기어 또는 벨트 등을 통해 샤프트 축(353) 또는 샤프트 기어(35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312)는 전력이 인가되면 자기장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어서 모터심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모터심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과 제1 지지부(32)는 디스플레이부(2)의 비폴딩 영역(P2)과 제2 지지부(34)에 중첩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모터심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디스플레이부(2)의 비폴딩 영역(P2)과 제2 지지부(34)에 중첩된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과 제1 지지부(32)는 디스플레이부(2)의 비폴딩 영역(P2)과 제2 지지부(34)에 중첩되지 않도록 언폴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1)는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제1 지지부(32)가 제2 지지부(34)에 중첩되도록 제1 지지부(32)를 180도 각도로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구동부(31)와 샤프트부(35)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기어(311)와 샤프트 기어(354)의 회전수를 시뮬레이션해서 제2 지지부(34)에 대한 제1 지지부(32)의 회전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모터기어(311)가 2회전할 경우, 샤프트 기어(354)가 1회전을 하고, 이 때 제2 지지부(34)와 제1 지지부(32)가 이루는 각도가 60도라면, 모터기어(311)를 6회전시켜서, 제1 지지부(32)를 180도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언폴딩 상태에서 모터기어(311)를 시계 방향으로 6회전시켜서 제1 지지부(32)를 180도 각도로 회전시켜 폴딩 상태를 구현할 수 있고, 반대로 폴딩 상태에서 모터기어(311)를 반시계 방향으로 6회전시켜서 제1 지지부(32)를 180도 각도로 회전시켜 언폴딩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언폴딩 상태와 폴딩 상태는 모터기어(311)의 나사산의 개수 즉, 모터기어(311)의 기어수와 샤프트 기어(354)의 나사산의 개수 즉, 샤프트 기어(354)의 기어수를 적절한 비율로 맞추어 기어비를 조정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구동부(31)의 폭(W1, 도 11b에 도시됨)은 샤프트 축(355)의 직경(W2)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31)의 폭(W1)은 몸체부(312)의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1)의 폭(W1)이 샤프트 축(355)의 직경(W2)보다 크면 폴딩 상태로 전환 시 제1 지지부(32)가 180도 각도로 회전되지 못하고, 180도 미만으로만 회전되기 때문에 제1 지지부(32)가 백커버(36)에 밀착되지 못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지지부(32)와 백커버(36) 사이에 이물질이 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지지부(32)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부(31)의 폭(W1)이 샤프트 축(355)의 직경(W2)보다 작게 구비됨으로써, 폴딩 상태로 전환 시 제1 지지부(32)를 백커버(36)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지지부(32)와 백커버(36)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 지지부(32)와 백커버(36) 사이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외부 충격에 의한 디스플레이부(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제1 각도(θ1)는 18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구동부(31)의 폭(W1)이 샤프트 축(355)의 직경(W2)보다 작게 구비된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구동부(31)의 폭(W1)은 폴딩 상태로 전환 시 제1 지지부(32)를 백커버(36)에 밀착시킬 수 있으면 제1 샤프트 하우징(351a)의 폭보다 작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백커버(36)는 언폴딩 상태 시 수납부(37)에 수납된 배터리, PCB 등과 같은 부수장치들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부(37)에는 구동부(31)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백커버(36)는 도 11a와 같이, 전체적으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커버(36)는 도 2와 같이, 돌출부(343)가 삽입될 수 있는 십자 형태의 슬릿(S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SL)에 돌출부(343)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343)는 상기 백커버(36)를 관통하여 후방(BD) 쪽으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백커버(36)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돌출부(343)에 형성된 홈(H)에 삽입되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은 제2 브라켓(352)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백커버(36)는 돌출부(343)와 제2 브라켓(3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수납부(3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볼트에 의해 백커버(36)가 돌출부(343)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는 볼트의 체결을 해제하여서 백커버(36)를 제거한 뒤 수납부(37)에 수납된 배터리, PCB 등과 같은 부수장치들의 교체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백커버(36)는 일측이 돌출부(343)에 형성된 홈(H)에 삽입되어 접착 결합되거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타측이 제2 브라켓(352)에 접착 결합되거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부(37)로 먼지 등과 같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구동부(31)나 부수장치들의 사용 수명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백커버(36)는 경량화를 위해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백커버(36)에서 후방(BD)을 향하는 쪽에 배치된 배면에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턴 또는 마찰력이 큰 재질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백커버(36)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 축(355)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기 위해 샤프트 축(355)들이 이격된 간격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37)는 배터리와 PCB 등과 같은 부수장치들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부(37)에는 구동부(31)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부(37)는 제2 지지부(34)의 배면부(342)와 돌출부(343), 및 백커버(36)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7)의 깊이는 배면부(342)와 백커버(36)가 이격된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배면부(342)와 백커버(36)가 이격된 거리는 상기 돌출부(343)에 형성된 홈(H)의 깊이와 제2 브라켓(352)에 접촉되는 백커버(36)의 타측 길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홈(H)의 깊이가 낮고, 백커버(36)의 타측 길이가 길면 수납부(37)의 공간은 더 넓어질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수납부(37)의 깊이는 제1 지지부(32)가 180도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7)의 깊이가 너무 깊으면 수납 공간은 넓어지나, 제1 지지부(32)가 180도 미만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백커버(36)와 제1 지지부(32)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두께도 증가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43)의 두께(T1)가 디스플레이부(2)의 두께(T2)와 제1 지지부(32)의 두께(T3)와 백커버(36)의 두께(T4)를 합한 두께보다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어야 배면부(342)와 백커버(36) 사이에 수납부(37)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에 따른 돌출부(343)의 두께(T1)는 디스플레이부(2)의 두께(T2), 지지부(32)의 두께(T3), 백커버(36)의 두께(T4), 및 수납부(37)의 깊이를 합한 두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상태 시 후방(BD)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2)의 표면과 돌출부(343)의 표면이 단차없이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폴딩 상태 시 후방(BD)이 거의 평탄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후방(BD)으로 출력되는 영상이 일체감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343)의 폭(PW, 도 11b에 도시됨)은 샤프트 축(355) 직경(W2)의 약 2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이 샤프트 축(355)의 직경(W2)만큼 후방(BD)에 배치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폴딩 상태 시 후방(BD)에 배치되는 폴딩 영역(P1)들이 이격된 공간만큼 돌출부(343)를 배치시킬 수 있고, 상기 돌출부(343)에는 폴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버튼부(4)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버튼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4)는 디스플레이부(2)를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버튼부(4)는 돌출부(34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4)는 돌출부(343)에 배치됨으로써, 도 11a와 같이 언폴딩 상태에서 후방(BD)으로 돌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버튼부(4)를 찾아서 폴딩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4)는 도 11b와 같이 폴딩 상태에서도 후방(BD)으로 돌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버튼부(4)를 찾아서 언폴딩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버튼부(4)는 구동부(31)에 연결되어서 사용자가 버튼부(4)를 누름에 따라 구동부(31)를 작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버튼부(4)를 누르면, 상기 구동부(31)는 모터 기어(311)가 시계 방향으로 6회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 지지부(32)가 시계 방향으로 180도 각도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폴딩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4)를 누르면, 상기 구동부(31)는 모터 기어(311)가 반시계 방향으로 6회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 지지부(32)가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각도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언폴딩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터기어(311)의 회전수는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적절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즉,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가 버튼부(4)를 누르는 순서에 따라 구동부(31)가 구동력의 방향을 반대로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동 순서가 미리 입력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4)와 구동부(31)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첫번째로 버튼부(4)를 눌렀을 때 제어부는 구동부(31)가 시계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부(31)를 작동시켜서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언플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두번째로 버튼부(4)를 눌렀을 때 제어부는 구동부(31)가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부(31)를 작동시켜서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를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부(3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장 및 축소 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언폴딩 상태 시 디스플레이부(2)의 외곽에 배치되는 베젤이 폴딩 상태 시 후방(BD)에 배치됨으로써, 폴딩 상태 시 전방(FD)에서 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베젤이 없는 비폴딩 영역(P2)만을 볼 수 있으므로, 베젤이 있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면의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느껴지도록 사용자의 심미감과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상태에서 회전된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거치대(5)를 더 포함하고, 버튼부(4)가 상기 거치대(5)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1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1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버튼부(4)가 제2 지지부(34)의 돌출부(343)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 후방(BD)에 배치된 버튼부(4)를 눌러서 언폴딩 상태와 폴딩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휴대성을 높이면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의 크기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태블릿과 같은 휴대성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1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와 세트부(3)가 거치대(5)에 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와 세트부(3)를 거치할 필요가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경우에는, 도 1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버튼부(4)가 결합되는 돌출부(342)에 거치대(5)를 연결시킴으로써, 거치대(5)가 디스플레이부(2)와 세트부(3)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거치대(5)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 디스플레이부(2)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모니터, TV 등과 같은 대화면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버튼부(4)가 거치대(5)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와 폴딩 상태를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거치대(5)에 디스플레이부(2)와 세트부(3)를 연결시키므로, 배터리와 PCB 등과 같은 부수장치들을 거치대(5)에 수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별도의 수납 공간이 필요 없으므로 도 1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세트부(3)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5)는 회전부(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51)는 거치대(5)에 거치된 세트부(4)의 돌출부(34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는 세트부(3)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세트부(3)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부(51)는 세트부(4)와 거치대(5)를 연결하는 연결축, 및 연결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거치대(5)가 지지하는 디스플레이부(2)와 세트부(3)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거치대(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제어부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가 제어부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는 버튼부(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첫번째로 버튼부(4)를 눌렀을 때 구동부(31)가 시계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부(31)를 작동시켜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구동모터를 작동시켜서 세트부(3)를 시계 방향으로 제2 각도(θ2, 도 16에 도시됨)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도(θ2)는 바람직하게 45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폴딩 상태로 전환 시 세트부(3)를 제2 각도(θ2)만큼 회전시키는 이유는, 디스플레이부(2)의 일변을 지면과 나란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두번째로 버튼부(4)를 눌렀을 때 구동부(31)가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부(31)를 작동시켜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를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구동모터를 작동시켜서 세트부(3)를 반시계 방향으로 제2 각도(θ2)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5는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전환되도록 폴딩 영역(P1)을 제1 각도(θ1)만큼 회전시킨 도면이고, 도 16은 구동모터가 세트부(3)를 제2 각도(θ2)로 회전시킨 것을 각각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15와 도 16과 같이 언폴딩 상태와 폴딩 상태 전환, 및 제2 각도(θ2)로 회전되는 작동이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태 전환과 회전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각도(θ1)는 180도일 수 있고, 상기 제2 각도(θ2)는 45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부(3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의 폴딩 영역(P1)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부(5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장 및 축소 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축소된 폴딩 상태 시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화면 크기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디스플레이부 3: 세트부
4: 버튼부 5: 거치대
21: 디스플레이 패널 22: 미드 프레임
31: 구동부 31: 제1 지지부
34: 제2 지지부 35: 샤프트부
36: 백커버 37: 수납부

Claims (15)

  1.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는 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네 모서리 부분이며,
    상기 세트부는 상기 비폴딩 영역으로 상기 폴딩 영역을 폴딩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비폴딩 영역은 영상을 출력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미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 프레임은 상기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부는,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면적은 상기 제1 지지부의 면적보다 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샤프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샤프트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제1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2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을 연결시키기 위한 샤프트 축;
    상기 샤프트 축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 축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 기어; 및
    상기 샤프트 기어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을 상기 샤프트 축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샤프트 기어에 치합되는 모터 기어; 및
    상기 모터 기어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폭은 상기 샤프트 축의 직경보다 작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반대면인 배면부;
    상기 배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백커버; 및
    상기 백커버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두께와 상기 제1 지지부의 두께와 상기 백커버의 두께를 합한 두께보다 두꺼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기 위한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기 위한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돌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버튼부에 연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26353A 2019-10-11 2019-10-1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43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353A KR20210043327A (ko) 2019-10-11 2019-10-1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353A KR20210043327A (ko) 2019-10-11 2019-10-1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327A true KR20210043327A (ko) 2021-04-21

Family

ID=7574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353A KR20210043327A (ko) 2019-10-11 2019-10-1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3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1013A (zh) * 2021-06-18 2021-08-10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和可折叠显示装置的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1013A (zh) * 2021-06-18 2021-08-10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和可折叠显示装置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8501A1 (en) Multi display device
CN114779889B (zh) 铰接模块和包括铰接模块的可折叠电子设备
JP4445752B2 (ja) 携帯用マルチ表示装置
CN111182102B (zh) 一种可折叠显示装置、折叠显示终端
KR101221428B1 (ko) 휴대용 표시장치
JP2020034947A (ja) 携帯用端末機の軟性ディスプレイ装置
JP4601616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用カバー
JP2021536021A (ja) 折り畳み可能な表示装置
USD474780S1 (en) Computer generated image for a display panel or screen
KR20210151214A (ko)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롤링 디스플레이 장치
EP4163761A1 (en) Support apparatus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21004332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77002B1 (ko)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케이스
CN101649950B (zh) 支架
US20100216527A1 (en) Electronic Device
WO2004038941A1 (en) A portable display
JP5334195B2 (ja) 携帯型電子機器の筐体構造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CN218450182U (zh) 电子设备和折叠机构
KR100429449B1 (ko) 휴대용 멀티표시장치
JP2002134946A (ja) 情報処理装置
KR100467105B1 (ko) 휴대용 디스프레이 장치
KR100478310B1 (ko) 접이식 디스프레이 장치
CN117646759A (zh) 铰链机构及电子设备
KR20110068799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50092328A (ko) 휴대용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