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323A - 2단 도정 쌀 도정기 - Google Patents

2단 도정 쌀 도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323A
KR20210043323A KR1020190126345A KR20190126345A KR20210043323A KR 20210043323 A KR20210043323 A KR 20210043323A KR 1020190126345 A KR1020190126345 A KR 1020190126345A KR 20190126345 A KR20190126345 A KR 20190126345A KR 20210043323 A KR20210043323 A KR 20210043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illing
unit
case
provin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미화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쌀마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쌀마니(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쌀마니(주)
Priority to KR102019012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323A/ko
Publication of KR2021004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Abstract

본 발명은 쌀 도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2회에 걸친 도정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1 도정부에서 먼저 벼의 껍질을 벗겨내어 현미를 만들어내고 그 다음에 제2 도정부에서 현미를 분도조정하여 원하는 분도로 도정하기 때문에 의도한 분도로 정밀하게 쌀을 도정할 수 있고 쌀을 도정하는 과정에서 쌀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2단 도정 쌀 도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단 도정 쌀 도정기{polishing machine with twin milling unit}
본 발명은 2단 도정 쌀 도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껍질을 까지 않은 쌀을 투입하여 쌀의 껍질이 제거되는 것과 동시에 원하는 분도로 쌀을 도정할 수 있도록 한 도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정기는 하나의 도정유닛만을 사용하는 것인데 쌀 껍질을 제거하고 동시에 쌀을 원하는 분도로 도정하는 것이 하나의 도정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쌀에 수분이 많은 경우에는 쌀의 껍질이 잘 벗겨지지 않아서 도정된 쌀에 껍질이 안 벗겨진 쌀들이 섞여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쌀에 수분이 많은 경우에는 쌀이 단단하지 못하여 쌀눈이 도정과정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쌀의 영양분이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적으로 쌀 껍질을 제거하고 그 다음에 2차적으로 쌀을 원하는 분도로 도정하는 쌀 도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쌀 투입부와 연결되어 벼를 이송하는 벼 이송부와 상기 벼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벼를 수용하고 쌀겨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1 도정케이스와 상기 벼 이송부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도정케이스에 수용된 벼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가 형성된 제1 도정축과 상기 제1 도정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정케이스의 내부의 쌀을 눌러주는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정부와 상기 제1 도정케이스의 사이의 틈새로 상기 쌀이 배출되는 것인 제1 도정부와, 상기 제1 도정부에서 배출되는 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쌀을 이송하는 쌀 이송부와 상기 쌀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쌀을 수용하고 쌀겨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2 도정케이스와 상기 쌀 이송부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2 도정케이스에 수용된 쌀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가 형성된 제2 도정축과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내부의 쌀을 눌러주는 압력을 제어하는 분도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도조정부와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사이의 틈새로 상기 쌀이 배출되는 것인 제2 도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2단 도정 쌀 도정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도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모으는 쌀배출부와 상기 제2 도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에 섞인 잔겨를 바람으로 날려서 분리하는 송풍팬을 구비한 미강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도정부의 상기 압력조정부는 상기 투입된 벼의 쌀 껍질만을 벗겨내도록 하는 압력을 상기 제1 도정케이스에 가해주며, 상기 제2 도정부의 상기 분도조정부는 상기 제1 도정부에서 상기 안내부를 통해 유입되는 쌀의 분도를 의도한 분도로 조정하도록 하는 압력을 상기 제2 도정케이스에 가해주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에 의하면 제1 도정부에서 먼저 벼의 껍질을 벗겨내어 현미를 만들어내고 그 다음에 제2 도정부에서 현미를 분도조정하여 원하는 분도로 도정하기 때문에 의도한 분도로 정밀하게 쌀을 도정할 수 있고 쌀을 도정하는 과정에서 쌀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내부의 제1 도정부 및 제2 도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내부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도정케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도정케이스와 도정축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압력조정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미강분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내부의 제1 도정부 및 제2 도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내부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도정케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도정케이스와 도정축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압력조정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의 미강분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단 도정 쌀 도정기는 벼 이송부(1), 제1 도정케이스(21), 제1 도정축(22) 및 압력조정부(3)를 포함하는 제1 도정부(100)와 쌀 이송부(605), 제2 도정케이스(602), 제2 도정축(603) 및 분도조정부(604)를 포함하는 제2 도정부(600)와 제2 도정부(600)로부터 배출된 쌀에서 미강을 분리하는 미강분리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쌀 도정기의 본체 외부에는 온/오프스위치, 표시화면 등이 형성된 제어판(620)과 분도조정레버(611)와 쌀 투입부 덮개(614)와 쌀 배출통(612) 및 쌀겨배출통(613)이 형성된다.
몸체(11)는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01)로 구성되며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01)는 안내부(6)를 통해 연결된다. 상부몸체(5)에는 벼 이송부(1), 제1 도정케이스(21), 제1 도정축(22) 및 압력조정부(3)가 설치되고 하부몸
체(601)에는 쌀 이송부(605), 제2 도정케이스(602), 제2 도정축(603) 및 분도조정부(604)가 설치된다.
상부몸체(5)에는 후술할 벼 이송부(1)의 이송스크류(12)가 위치하는 위로 개구된 스크류삽입구(111)가 형성되고, 스크류삽입구(111)의 위로 개구된 부분은 벼 투입부(13)와 연결된다. 스크류삽입구(111)의 옆에는 제1 도정케이스(21)가 설치되며 제1 도정케이스(21)의 옆에는 압력조정부(3)가 설치된다. 제1 도정케이스(21)가
위치한 공간은 아래로 개구되어 있어서 제1 도정케이스(21)에서 배출되는 쌀 껍질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압력조정부(3)가 위치한 공간은 안내부(6)에 의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몸체(601)의 쌀 이송부(605)에 연결된다.
하부몸체(601)는 쌀 이송부(605), 제2 도정케이스(602), 제2 도정축(603) 및 분도조정부(604)가 설치되는 점이 상부몸체(5)와 대략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상부몸체(5)의 벼 투입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은 연결부의 하단에 이어진 부분으로 대체되고 분도조정부(604)의 아래에는 미강분리부(4)가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
상부몸체(5)에 형성되는 벼 이송부(1)는 구동축이 형성된 이송스크류(12) 및 스크류삽입구(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스크류(12)는 일측으로 구동축이 연장형성되며 이송스크류(12)에 연결된 구동축의 단부에는 풀리가 형성된다. 상부몸체(5)의 스크류삽입구(111)의 위쪽으로는 벼가 유입되도록 스크류삽입구(111)와 연결되어 상단으로 개구된 벼 투입부(13)가 형성된다. 이송스크류(12)는 일단에는 벼를 이송하는 나선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구동축(121)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부몸체(5)의 스크류삽입구(111)에 끼워지고, 구동축은 축고정편(14)에 끼워진다.
이때, 구동축(121)과 축고정편(14) 사이와 구동축(121)과 스크류삽입구(111) 사이에는 베어링(B1, B2)이 설치된다.
제1 도정케이스(21)는, 대략 원통형으로, 외면 둘레에는 벼 껍질이 벗겨지면서 쌀겨가 배출되는 경사진 복수의 배출공(211)이 관통 형성되고, 상부몸체(5)에 끼워져 고정된다. 즉, 제1 도정케이스(21)의 내부에 벼가 포화된 상태에서 회전날개(221)가 벼를 회전시키면 벼와 제1 도정케이스(21)의 마찰력에 의해 벼 껍질이 벗겨지면서 배출공(211)으로 쌀겨가 배출된다. 여기서, 제1 도정케이스(21)는 내부에 수용되는 벼가 포화된 상태에서 회전날개(221)가 벼를 회전시킬 때, 벼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도정케이스(21)의 재질을 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벼가 회전날개(221)와 제1 도정케이스(21) 사이에 낄 때, 제1 도정케이스(21)가 늘어남으로써, 벼를 부드럽게 통과시켜서 벼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도정축(22)은, 이송스크류(12)의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 제1 도정축(22)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회전날개(221)가 설치되어 제1 도정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송스크류(12)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회전날개(221)는 회전하는 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모서리가 라운드로 형성된다. 이는, 제1 도정축(22)이 회전하면서 회전날개(221)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서 벼 또는 쌀이 부서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예를 들면, 제1 도정케이스(21)의 내부에 벼가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제1 도정축(22)이 회전하면, 회전날개(221)의 날카로운 모서리가 벼와 부딪쳐 벼 또는 쌀이 부서지거나 패여서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날개(221)의 양 모서리 중 회전하는 방향의 전방 모서리를 라운드로 형성함으로써, 제1 도정축(22)이 회전할 때 벼가 회전날개(221)의 둥근 부분에 부딪히고 동시에 탄성 재질의 제1 도정케이스(21)가 늘어나기 때문에, 벼 또는 쌀이 부서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정케이스(21)의 내면에 축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4개의 고정날개(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회전날개(221)와 고정날개(212) 사이를 지나가는 벼가 더욱 빠르고 용이하게 껍질이 벗겨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벼가 제1 도정케이스(21)에 포화된 상태에서 벼는, 벼와 제1 도정케이스(21)의 마찰력과 벼끼리 비벼지는 마찰력 및 벼와 제1 도정축(22)의 마찰력에 의해 벼 껍질이 벗겨지는데, 제1 도정케이스(21)와 회전날개(221) 사이가 넓으면 껍질이 벗겨지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며, 벼 껍질이 제대로 벗겨지지 않아서 쌀의 분도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 도정케이스(21)의 내면에 4개의 고정날개(212)를 "X"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1 도정케이스(21)와 회전날개(221) 사이에 벼가 통과할 정도의 좁은 영역을 형성하여, 벼가 고정날개(212)와 회전날개(221)를 통과하면서 벼 껍질이 벗겨지도록 함으로써, 벼의 껍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벗길 수 있다. 여기서, 고정날개(2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날개(221)와 만나는 고정날개(212')의 첫 번째 또는 전후방의 양쪽 모서리를 라운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회전날개(221)의 모서리를 라운드로 형성하는 것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압력조정부(3)는 커버(31), 가압부(32) 및 조절부(33)를 포함한다.
커버(31)는 대략 원판의 후방에 스프링삽입부(311)가 돌출형성되고, 제1 도정케이스(21)의 일단이 결합된 상부몸체(5)의 관통공(521)을 개폐한다.
가압부(32)는, 일단의 안지름이 타단 보다 크게 관통 형성되어 상부몸체(5)에 설치되는 스프링수용부(321)와, 스프링수용부(3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수용부(321)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스프링가압편(322)과, 스프링삽
입부(311)와 스프링가압편(322)에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23)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코일스프링(323)이 커버(31)를 밀어서 상부몸체(5)의 관통공(521)을 막고 있다.
조절부(33)는, 조절노브(331)가 상부몸체(5)의 상부우측패널(55)에 끼워지고, 스프링가압편(322)을 삽입시켜 코일스프링(323)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끝단 면이 나선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조절편(332)이 조절노브(331)의 끝단에 설치되며, 조절편(332)의 끝단 면이 스프링가압편(322)과 밀착된다. 이에 따라, 조절노브(331)를 회전시키면 조절편(332)이 회전하고, 조절편(332)의 단차가 높은 면이 스프링가압편(322)을 점차 밀어내면서 스프링가압편(322)이 스프링수용부(3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코일스프링(323)을 압축한다. 그리고, 조절노브(331)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323)이 스프링가압편(322)을 밀어서 복원되고, 코일스프링(323)이 신장하여 코일스프링(323)의 탄성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조절부(33)가 코일스프링(323)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부몸체(5)의 관통공(521)을 막고 있는 커버(31)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제1 도정케이스(21)로부터 배출되는 쌀의 배출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쌀의 배출압력이라 함은 제1 도정케이스(21) 내부의 쌀에 가해지는 압력과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조절부를 통해서 압력을 조절하여 벼의 껍질이 모두 벗겨진 쌀이 배출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쌀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벼의 양이 많으면 압력을 증가시키는 쪽으로 조절부를 조정한다.
안내부(6)는 제1도정부의 압력조정부(3)의 아래에 설치되어 벼의 껍질이 벗겨진 상태의 쌀을 아래의 제2 도정부(600)의 쌀 이송부(605)로 안내한다.
제2 도정부(600)는 쌀 이송부(605), 제2 도정케이스(602), 제2 도정축(603) 및 분도조정부(6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도정부(600)의 쌀 이송부(605), 제2 도정케이스(602), 제2 도정축(603) 및 분도조정부(604)는 제1 도정부(100)의 벼 이송부(1), 제1 도정케이스(21), 제1 도정축(22) 및 압력조정부(3)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쌀 이송부(605)와 벼 이송부(1) 및 압력조정부(3)와 분도조정부(604)는 구조는 거의 동일하지만 용도의 구분을 위해 명칭을 달리한 것이다.
다만 분도조정부(604)는 제1 도정부(100)에서 이미 벼 껍질이 벗겨진 쌀을 원하는 분도로 도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원하는 분도에 맞게 조절부를 통해 쌀의 배출압력을 제어하는 점이 압력조정부(3)에서 단지 쌀의 껍질(왕겨)을 벗겨내기 위한 압력을 가해주는 점과 다소 차이가 있다.
구동모터(610)는, 제1 도정부(100)와 제2 도정부(600)의 이송스크류들(12, 608)과 제1 도정축(22) 및 제2 도정축(603)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스크류의 구동축에 형성된 풀리들과 아이들전동축(630)을 통해 제 1도정부(100)와 제2 도정부(600)의 이송스크류들(12, 608) 및 제1 및 제2 도정축(22, 603)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아이들전동축(630)의 양측에 형성된 풀리들(631, 632)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제1 도정부(100)와 제2 도정부(600)의 이송스크류들(12, 608)과 제1 도정축(22) 및 제2 도정축(603)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제2 도정부(600)의 분도조정부(604)의 아래에 위치하는 미강분리부(4)는 쌀겨배출부(41), 쌀배출부(42) 및 송풍팬(43)을 포함한다.
쌀겨배출부(41)는, 제 1 및 제2 도정케이스(21, 602)의 배출공에서 떨어지는 쌀겨를 모아서 배출하도록 대략 서랍형태로 쌀 도정기의 하단에 형성된다.
쌀배출부(42)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421)과, 제2 도정케이스(602)로부터 배출되는 쌀이 하우징(421) 하단으로 배출되도록 하우징(421) 내부에 경사진 복수의 안내플레이트(422a)를 구비한 경사안내부(422)가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안내플레이트(422a)는 하우징(421) 쪽으로 낙차를 두고 층층이 경사져 배치된다. 이때, 안내플레이트(422a)는 쌀의 운동에너지를 계속해서 보충하면서 쌀에 섞인 잔겨가 후방으로 날아가 배출되도록, 안내플레이트(442a)의 경사각도가 수평을 기준으로 대략 25°~35°사이의 각도로 형성되는데, 쌀이 송풍팬(43)의 바람에 의해 날려가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약 30°의 경사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에 따라, 제2 도정케이스(602)로부터 배출되는 쌀은 안내플레이트(422a)를 타고 하우징(421)의 하단으로 배출된다.
송풍팬(43)은, 하우징(421)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2 도정케이스(602)로부터 배출되는 쌀에 섞인 잔겨를 후방으로 불어서 복수의 안내플레이트(422a) 사이사이로 날아 들어가 쌀겨배출부(41)로 떨어지도록 한다. 이때, 송풍팬(43)은 발생하는 풍력은 쌀이 하우징(421)의 하부로 그대로 떨어지되, 잔겨는 바람에 의해서 날아갈 정도의 풍력을 가진다. 이에 따라, 하우징(421)으로부터 쌀이 배출될 때 잔겨를 제거함으로써, 도정된 쌀에 섞여있는 잔겨를 분리하는 추가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쌀이 배출될 때 발생하는 먼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단 도정방식 쌀 도정기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 도정기는 제1 도정부(100)에서 투입된 벼를 벼의 껍질(왕겨)만을 벗겨내고 속겨는 벗기지 않도록 하여 현미를 만든다.
제1 도정부(100)에서 배출되는 현미는 안내부(6)를 통해 제2 도정부(600)로 투입된다.
제2 도정부(600)는 투입된 현미를 원하는 분도의 쌀로 도정을 한다.
제1 도정부(100)와 제2 도정부(600)의 이송스크류와 제1 도정축 및 제2 도정축의 회전속도비는 아이들전동축(630)의 양측에 형성된 풀리들(631, 632)의 직경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회전속도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쌀 도정기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정하고자 하는 벼에 수분이 많은 경우에 제1 도정부(100)에서는 벼의 껍질만을 벗겨내는 정도로 압력조정부(3)를 통해 쌀의 배출압력을 제어한다. 그 결과 제1 도정부(100)에서는 벼의 껍질(왕겨)만 벗겨진 상태의 현미가 배출된다.
제1 도정부(100)에서 배출되는 현미는 안내부(6)를 통해 제2 도정부(600)로 유입된다.
제2 도정부(600)에서는 분도조정부(604)의 압력을 조정하여 투입된 현미를 원하는 분도의 쌀로 도정을 한다. 제2 도정부(600)는 벼 껍질을 벗겨낼 필요는 없고 현미를 원하는 분도로 도정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벼 껍질을 벗겨내는 것과 쌀을 원하는 분도로 도정하는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쌀 배출압력을 상대적으로 더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정부가 하나밖에 없는 도정기에서는 하나의 도정부에서 벼 껍질을 벗겨내는 동시에 분도조정까지 해야 하기 때문에 특정 분도로 벼를 도정할 경우 압력이 더 크게 필요하다.
그러나 2단 도정방식은 제1 도정부에서 먼저 벼의 껍질을 벗겨내고 그 다음에 제2 도정부에서 현미를 분도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분도로 도정할 때의 제2 도정부(600)의 쌀 배출압력이 상대적으로 작다. 그 결과 쌀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단의 도정방식을 적용하여 1차 도정에서는 벼의 껍질만을 벗겨내고 2차 도정에서 껍질이 벗겨진 쌀을 의도한 분도로 도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2차 도정에서는 껍질이 벗겨진 쌀을 도정하기 때문에 2차 도정의 과정에서 정밀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분도로 쌀을 도정할 수 있다. 즉 2차 도정의 과정에서는 쌀 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이 없이 분도조정만을 하면 되기 때문에 더 정밀하게 쌀의 분도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벼 껍질까지 벗겨내는 동시에 분도조정을 하는 방식에서는 쌀 배출압력을 크게 해야 하기 때문에 쌀 눈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은 2단 도정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1: 벼 이송부, 21: 제1 도정케이스, 22: 제1 도정축, 605: 쌀 이송부, 602: 제2 도정케이스, 603: 제2 도정축

Claims (3)

  1. 쌀 투입부와 연결되어 벼를 이송하는 벼 이송부와 상기 벼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벼를 수용하고 쌀겨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1 도정케이스와 상기 벼 이송부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도정케이스에 수용된 벼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가 형성된 제1 도정축과 상기 제1 도정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정케이스의 내부의 쌀을 눌러주는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정부와 상기 제1 도정케이스의 사이의 틈새로 상기 쌀이 배출되는 것인 제1 도정부;
    상기 제1 도정부에서 배출되는 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쌀을 이송하는 쌀 이송부와 상기 쌀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쌀을 수용하고 쌀겨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2 도정케이스와 상기 쌀 이송부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2 도정케이스에 수용된 쌀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가 형성된 제2 도정축과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내부의 쌀을 눌러주는 압력을 제어하는 분도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도조정부와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사이의 틈새로 상기 쌀이 배출되는 것인 제2 도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2단 도정 쌀 도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모으는 쌀배출부와 상기 제2 도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에 섞인 잔겨를 바람으로 날려서 분리하는 송풍팬을 구비한 미강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도정 쌀 도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정부의 상기 압력조정부는 상기 투입된 벼의 쌀 껍질만을 벗겨내도록 하는 압력을 상기 제1 도정케이스에 가해주며,
    상기 제2 도정부의 상기 분도조정부는 상기 제1 도정부에서 상기 안내부를 통해 유입되는 쌀의 분도를 의도한 분도로 조정하도록 하는 압력을 상기 제2 도정케이스에 가해주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도정 쌀 도정기.
KR1020190126345A 2019-10-11 2019-10-11 2단 도정 쌀 도정기 KR20210043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345A KR20210043323A (ko) 2019-10-11 2019-10-11 2단 도정 쌀 도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345A KR20210043323A (ko) 2019-10-11 2019-10-11 2단 도정 쌀 도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323A true KR20210043323A (ko) 2021-04-21

Family

ID=7574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345A KR20210043323A (ko) 2019-10-11 2019-10-11 2단 도정 쌀 도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3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876B1 (ko) * 2022-01-14 2023-03-17 문성원 인디카 쌀 전용 싸래기 분리 정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876B1 (ko) * 2022-01-14 2023-03-17 문성원 인디카 쌀 전용 싸래기 분리 정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479B1 (ko) 2단 도정방식의 쌀 도정기
KR900006494B1 (ko) 소맥 제분방법
TW20082933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rn grains for production of ethanol
KR20080028080A (ko) 대용량 착즙기
KR20120041358A (ko) 종자의 탈피방법 및 탈피장치
KR20210043323A (ko) 2단 도정 쌀 도정기
KR100738740B1 (ko) 곡물 껍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224085B1 (ko) 가정용 도정기
CN107051650A (zh) 磨粉机
KR20210000014A (ko) 원하는 분도로 도정가능한 2단 도정방식 쌀도정기
KR200381603Y1 (ko) 곡물 분쇄기
US11819045B2 (en) Integrated machine for processing nuts with hard or soft shells
CN206452782U (zh) 一种新型粉碎揉丝机
KR200492151Y1 (ko) 곡물 분쇄장치
CN105879956B (zh) 高效节能原粮脱皮脱胚抛光筛选多用机
WO2006041053A1 (ja) 脱ぷ機における摺り出し米の均分装置
KR20210103337A (ko) 다기능 탈곡기
CN109174376A (zh) 一种凉皮配料用花生米碾碎机构
KR100591778B1 (ko) 곡물 분쇄기
KR20210054274A (ko) 즉석 곡물 도정기
KR20080005514A (ko)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189394B2 (ja) 籾摺ロ−ルの間隙調節装置
KR200497440Y1 (ko)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JP7464909B2 (ja) 籾摺選別機
JP2002292300A (ja) ディスポー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