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261A - 애플리캐이션을 이용한 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애플리캐이션을 이용한 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261A
KR20210043261A KR1020190126229A KR20190126229A KR20210043261A KR 20210043261 A KR20210043261 A KR 20210043261A KR 1020190126229 A KR1020190126229 A KR 1020190126229A KR 20190126229 A KR20190126229 A KR 20190126229A KR 20210043261 A KR20210043261 A KR 20210043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agnosis
diagnosed
target produc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261A/ko
Publication of KR2021004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에서 정보 제공 방법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제품의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응답을 기반으로 진단 관련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가전 기기의 고장 여부를 원활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때 효과적으로 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애플리캐이션을 이용한 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product using application}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전자 제품의 상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품의 상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각각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 수행을 위한 설정값, 동작 중 발생되는 정보, 고장정보 등을 저장하는데, 특히 고장 발생시에는 소정의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가전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전기기는 단순히 동작완료 또는 고장발생을 알리기만 할 뿐 아니라, 구비되는 출력수단,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수단, 램프 등을 통해 구체적인 고장정보를 출력하기도 한다. 또한 가전기기의 사용 중 이상이 발생하였을 시, 통상 사용자는 서비스센터에 전화를 하여 가전기기의 이상 증상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문의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를 서비스센터 측에 설명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가전기기로부터 발생한 이상 증상이 가전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인한 경우에도 수리자가 불필요하게 사용자의 가정을 방문하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전 기기의 고장을 진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었으나, 이에 대한 사용성 향상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전 기기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장 진단을 수행할 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전 기기의 부품별 상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에서 정보 제공 방법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제품의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응답을 기반으로 진단 관련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사용자에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은 표시부; 및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정보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제품의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응답을 기반으로 진단 관련 UI(user interface)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가전 기기의 고장 여부를 원활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때 효과적으로 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전 기기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때 주요 부품의 우선순위에 따라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어, 고장 정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다른 가전기기들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통해 적응적으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고장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노드 사이의 정보가 교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제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대상 제품을 가전 제품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버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제품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전자 실시 예의 제품은 제품 중 일부가 전자적 동작을 지원하는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자동차와 같은 제품의 경우에도 전자 장치가 포함될 경우, 해당 전자 장치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10), 서버(120) 및 전자제품들(132-138)이 도시된다. 실시 예에서 전자제품은 세탁기(132), 에어컨(134), 로봇청소기(136) 및 정수기(138)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110) 및 서버(12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제품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전자제품은 적접적으로 서버(120)와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제품은 별도의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AP와의 정보 교화는 무선 통신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AP는 WIFI 공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제품은 AP와 WIFI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20)에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한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셀룰러 통신 및 와이파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서버(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10)과 전자제품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과 전자제품은 별도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유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하거나, 중계 AP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 단말(110)과 전자제품은 동일한 WIFI 네트워크 안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제품은 서버(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 서버(120) 및 전자 제품들(132-138)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20)를 통해서 혹은 전자 제품들(132-138)과 직접적인 통신을 통해서 전자 제품들(132-138)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제품들(132-138)에 대한 정보는 전자 제품들(132-138)의 각 부품에 대한 진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제품들(132-138)은 각각 자신의 부품의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를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1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는 각 부품에 대한 상태 정보, 각 부품의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각 부품 중 이상 상태의 부품에 대한 확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부품 중 이상 상태의 부품에 대한 확인 정보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부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고장 원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제품이 서버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거나, 직접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을 하는 것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제품이 서버와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진단 정보를 전자 제품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 제품은 수신한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한 진단 정보 응답을 사용자 단말에 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제품은 대상 제품으로 언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노드 사이의 정보가 교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대상 제품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와 각 노드에서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단계 210에서 사용자 단말은 진단 수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제품에 대한 진단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별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없이 진단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진단 요청 입력을 수신할 때 진단 대상 제품 정보, 진단 대상 부품 정보 및 진단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는 진단 대상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진단 대상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대상 제품일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안되는 대상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진단 대상 제품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진단 대상 부품 정보는 특정 대상 제품에서 진단을 원하는 부품을 선택하는 입력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진단 대상 부품을 선택하지 않고 대상 제품의 진단 가능한 전체 부품에 대한 진단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기 저장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서버로부터 진단 항목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 실시 예에서 설명된다. 또한 진단 방법과 관련해서 사용자가 특정 부품에 대해서 진단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부품에 대해서 일상적인 진단을 수행하거나 상세한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215에서 사용자 단말은 이전 단계에서 수신한 입력을 기반으로 진단 항목 정보를 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항목 정보 요청은 사용자 정보, 진단 대상 제품 정보 및 진단 대상 부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진단을 요청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며, 이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진단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다.
진단 대상 제품 정보는 진단 대상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서버는 이 정보를 기반으로 진단 대상 제품의 정보를 판단해서 진단 부품 항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는 복수의 전자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수신한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대상 제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확인한 정보는 대상 제품의 부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대상 제품의 부품들 사이에서 진단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에게 표시될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서버는 대상 제품에 대응한 진단 항목 정보 응답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항목 정보 응답을 대상 제품의 부품 정보 및 대상 부품의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부품 정보는 부품의 이름, 부품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다. 부품의 순서 정보는 부품과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때 표시되는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순서에 대한 정보는 서버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 항목 부품의 순서는 테스트에 걸리는 시간, 다른 사용자들의 제품에서 감지된 부품 이상 정보 및 진단을 수행하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225에서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 진단항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진단항목 정보 응답을 기반으로 진단 수행 입력 수신에 대응하는 제품의 진단 항목 부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항목 부품의 표시 순서는 진단항목 정보 응답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진단 항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진단을 원하는 부품 정보를 입력 받고 이를 기반으로 진단항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 대상 제품에 대한 진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정보는 대상 제품 정보 및 진단 항목에 해당하는 부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35에서 서버는 이전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제품을 식별하고 대상 제품에 진단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대상 제품은 WIFI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버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진단 정보 요청을 대상 제품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대상 제품에 전송되는 진단 정보 요청은 단계 230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진단 항목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단을 수행할 순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대상 제품은 수신한 진단 정보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 제품의 부품의 이상 여부를 테스트 하고 테스트 결과를 포함하는 진단 정보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부품 테스트 순서는 수신한 요청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대상 제품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대상 제품은 테스트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정보부터 서버로 전송할 수 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대상 제품은 진단 정보 응답에 테스트 진행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진단 진행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단계 245에서 서버는 단계 240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진단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결과 정보는 진단 항목의 부품의 이상 유무에 대한 정보, 이상이 있을 경우 이상에 대한 증상 및 대상 증상에 대한 해결 방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진단결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진단 항목에 대응하는 부품에 대한 진단 결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진단 항목에 대응하는 부품의 진단 진행 정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진단 결과 정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진단 정보 요청을 서버를 통해 대상 제품에 전송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은 진단 정보 요청을 대상 제품으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대상 제품이 통신 AP와 접속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은 AP를 통해 진단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UI가 도시된다.
화면(310)의 일부분에 단말에 대상 기능 정보 제공 영역(312)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대상 기능을 설명하는 사항은 화면 상단부 일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310)의 일부분에 기능 설명 제공 영역(314)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기능 설명은 화면 중단부 일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310)의 일부분에 진단 요청을 위한 아이템(316)이 표시될 수 있다. 진단 요청을 위한 아이템(316)과 관련된 입력이 수신되면, 진단과 관련된 정보가 단말에 표시될 수 있으며, 단말은 진단 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진단과 관련된 동작이 수행될 때 화면(330)에는 진단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과 관련된 정보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행 정도 표시 아이템(332)이 화면(33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또는 일부의 진단 정도를 수치 또는 이미지 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진단 정도에 대한 정보 역시 서버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대상 부품 리스트(334)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부품 명에는 해당 부품에 대한 진단이 진행을 나타내는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진단이 진행되는 부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부품에 대한 목록은 순차적으로 화면(33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서버에서 제공되는 부품의 목록 및 진단 순서를 기반으로 순차적으로 각 부품을 진단 대상 부품 리스트(334)에 나타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를 표시한 뒤에 테스트가 시작된 부품에 대해서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대상 부품 리스트(334)에 표시되는 부품의 순서는 서버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서버는 테스트에 걸리는 시간, 고장의 빈도, 일정한 시기에 획득된 고장 정보 및 부품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표시되는 부품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습도 센서, 도어 및 기타에 대한 테스트는 아직 진행 전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일정한 시기에 획득된 고장 정보는 대상 제품과 대응되는 제품에 대해서 해당 부품의 고장이 얼마나 빈번하게 일어났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테스트가 완료되면 화면(350)에 진행 정도 표시 아이템에 진단이 완료된 것이 표시되고, 각 부품 리스트 역시 테스트가 진행 또는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제품의 각 부품에 대한 테스트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부품 진단 수행이 완료되고, 부품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 대한 UI가 도시된다.
실시 예에서 각 부품에 대한 테스트가 완료될 경우 화면(410)에 아이콘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표시되었던 아이콘이 완료 아이콘(412)이 도 4의 아이콘과 같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부품에 대한 테스트가 완료되었고 이상이 없을 경우 화면(410)에 이와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후 전체 부품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었을 경우 이에 대한 결과 정보(420)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추가 정보(42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추가적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아이콘(424)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아이콘에 대응하는 터치입력으로 수신될 경우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고객 센터에 연락을 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객 센터에 연락을 취할 때 단말은 테스트한 제품에 대한 정보 및 테스트 결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이후에 설명하는 부품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부품 진단 수행이 완료되고, 일부 부품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대한 UI가 도시된다.
실시 예에서 부품 리스트에서 이상이 있는 부품의 경우 화면(510) 상에서 다른 부품과 구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위 센서와 온도 센서에 이상이 있으면, 화면(510)에 표시된 부품 리스트에서 해당 부품을 식별번호 512와 같이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화면(510)에 테스트에 대한 추가정보(520)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정보는 이상이 있는 부품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를 통해 대상 제품에서 이상이 있는 부품의 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화면(510)에 이상 제품 정보(522)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상이 있는 부품 정보, 이상의 원인 및 이상에 대한 해결책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는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상이 있는 부품의 명칭, 이상의 원인, 이상의 해결책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추가적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아이콘(524)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아이콘에 대응하는 터치입력으로 수신될 경우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고객 센터에 연락을 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객 센터에 연락을 취할 때 단말은 테스트한 제품에 대한 정보 및 테스트 결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대상 제품 정보, 이상 있는 부품의 정보 및 이상의 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센터에 같이 전송할 수 있으며, 고객 센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라 대상 제품의 진단을 실패한 경우에 대한 UI가 도시된다.
실시 예에서 대상 제품에 대한 진단이 실패할 경우 단말의 화면에 식별번호 610과 같이 진단이 실패했다는 메시지와 함께 진단 실패 이유를 도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실패 이유는 서버가 단말에 전달한 정보 및 단말이 자체적으로 감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대상 제품과의 연결이 어려운 경우 서버 또한 단말은 진단 실패 이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진단이 실패할 경우 이에 대한 이유를 단말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실패에 대한 추가적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아이콘(612)가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추가적인 입력을 통해 진단을 재시도 하거나 진단을 취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라 대상 제품의 진단을 실패한 경우에 대한 또다른 UI가 도시된다.
실시 예에서 Wi-Fi를 통한 진단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다는 실패 정보(710)가 단말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태그온 진단 아이콘(712)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태그온 진단은 단말과 대상 제품이 무선 통신을 통해 직접 정보를 송수신하여 진단을 진행하는 것으로 실시 예에서 Wi-Fi로 인한 진단이 불가한 상황에 대안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태그온 진단을 수행할 경우, 단말은 대상 제품에 진단 요청을 전송하고 대상 제품은 진단 결과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진단이 수행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가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태그온은 블루투스, NFC 및 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실패의 이유에 따라 제안되는 다른 방식의 진단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진단 실패에 대한 추가적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아이콘(714)가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추가적인 입력을 통해 진단을 재시도 하거나 진단을 취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서버의 동작이 개시된다.
단계 810에서 서버는 단말로부터 진단항목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항목 정보 요청은 사용자 정보, 진단 대상 제품 정보 및 진단 대상 부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진단을 요청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며, 이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진단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다.
단계 815에서 서버는 수신한 진단항목 정보 요청을 기반으로 진단항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수신한 대상 제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대상 제품에 포함된 진단 항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상 제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대상 제품의 진단 대상 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의 사용 제품을 확인하여, 이를 기반으로 진단 대상 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820에서 서버는 확인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에 진단항목 정보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항목 정보 응답을 대상 제품의 부품 정보 및 대상 부품의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부품 정보는 부품의 이름, 부품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다. 부품의 순서 정보는 부품과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때 표시되는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순서에 대한 정보는 서버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 항목 부품의 순서는 테스트에 걸리는 시간, 다른 사용자들의 제품에서 감지된 부품 이상 정보 및 진단을 수행하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825에서 서버는 단말로부터 대상 제품에 대한 진단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정보 요청은 단계 820에서 전송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에서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정보는 대상 제품 정보 및 진단 항목에 해당하는 부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제품 정보만 포함되는 경우 대상 제품의 진단 가능한 전체 부품에 대해 진단을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830에서 서버는 단계 825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제품에 진단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대상 제품은 WIFI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버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진단 정보 요청을 대상 제품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진단 항목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단을 수행할 순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835에서 서버는 대상 제품으로부터 진단 정보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대상 제품은 수신한 진단 정보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 제품의 부품의 이상 여부를 테스트 하고 테스트 결과를 포함하는 진단 정보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부품 테스트 순서는 수신한 요청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대상 제품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대상 제품은 테스트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정보부터 서버로 전송할 수 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대상 제품은 진단 정보 응답에 테스트 진행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진단 진행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대상 제품은 서버에서 제공한 진단 대상 부품의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상위 순서의 부품에 대한 진단 결과를 우선적으로 서버에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840에서 서버는 대상 제품이 제공한 진단 정보 응답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서버는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진단 대상 부품의 정보를 확인하여, 이상 여부, 이상 원인 및 해결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와 같은 확인 단계는 대상 제품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외부 노드에서 제공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845에서 서버는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 진단 결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단 결과 정보는 진단 항목의 부품의 이상 유무에 대한 정보, 이상이 있을 경우 이상에 대한 증상 및 대상 증상에 대한 해결 방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를 통해 사용자는 대상 제품의 진단 정보를 제공 받고, 진단 요청을 하여, 진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며, 단말(900)은 통신부(910), 저장부(920) 및 제어부(9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910)는 다른 노드와 정보를 통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900)은 통신부(910)를 사용하여 서버 및 대상 제품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9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저장부(920)는 단말(9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통신부(9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저장부(920)는 비 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30)는 단말(9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30)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단말(9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도면에 개시되지 않았지만 단말(90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며, 서버(1000)는 통신부(1010), 저장부(1020) 및 제어부(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1010)는 다른 노드와 정보를 통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통신부(1010)를 사용하여 단말 및 대상 제품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및 유선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서버는 다른 서버 또는 세룰러 망과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020)는 서버(10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통신부(10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저장부(1020)는 비 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30)는 서버(10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30)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서버(10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통신부(10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저장부(1020)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실시 예에 따른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제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제품이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며, 대상 제품(1100)는 통신부(1110), 저장부(1120), 진단대상부품(1130) 및 제어부(11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1110)는 다른 노드와 정보를 통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상제품(1100)은 통신부(1110)를 사용하여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및 유선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저장부(1120)는 대상제품(1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통신부(1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저장부(1120)는 비 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대상부품(1130)은 대상제품(1100)을 구성하는 부품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단대상부품(1130)은 단말 또는 서버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여부가 점검될 수 있다. 진단대상부품(1130)은 대상제품(110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40)는 대상제품(1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40)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대상제품(11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통신부(1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저장부(1120)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실시 예에 따른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0)는 진단대상부품(1130)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에 따라 이상의 원인 및 해결책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에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제품의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응답을 기반으로 진단 관련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대상 제품의 진단 부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진단 관련 UI상에 표시될 부품의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부품의 순서는 해당 부품의 진단에 걸리는 시간, 해당 부품의 고장 빈도, 대상 제품과 대응되는 다른 제품에서 보고된 부품의 고장 정보 및 부품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에 진단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응답을 기반으로 진단 관련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요청은 상기 대상 제품 정보 및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요청은 진단 대상 부품의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응답을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순서를 기반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관련 UI는 진단 대상 부품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진단 대상 부품에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진단 관련 UI는 이상 원인 및 해결방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이 있는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한 진단이 실패할 경우, 제품 진단을 위한 다른 방안을 제안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사용자에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표시부; 및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정보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제품의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응답을 기반으로 진단 관련 UI(user interface)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대상 제품의 진단 부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진단 관련 UI상에 표시될 부품의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부품의 순서는 해당 부품의 진단에 걸리는 시간, 해당 부품의 고장 빈도, 대상 제품과 대응되는 다른 제품에서 보고된 부품의 고장 정보 및 부품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에 진단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진단 응답을 기반으로 진단 관련 UI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요청은 상기 대상 제품 정보 및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요청은 진단 대상 부품의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응답을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순서를 기반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관련 UI는 진단 대상 부품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진단 대상 부품에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진단 관련 UI는 이상 원인 및 해결방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이 있는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한 진단이 실패할 경우, 제품 진단을 위한 다른 방안을 제안하는 UI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90126229A 2019-10-11 2019-10-11 애플리캐이션을 이용한 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43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229A KR20210043261A (ko) 2019-10-11 2019-10-11 애플리캐이션을 이용한 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229A KR20210043261A (ko) 2019-10-11 2019-10-11 애플리캐이션을 이용한 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261A true KR20210043261A (ko) 2021-04-21

Family

ID=7574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229A KR20210043261A (ko) 2019-10-11 2019-10-11 애플리캐이션을 이용한 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2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212A1 (ko) * 2022-07-25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단 로봇 및 그 진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212A1 (ko) * 2022-07-25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단 로봇 및 그 진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3384B2 (ja) プロセス制御または監視環境における無線通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918723B2 (ja) 車両診断システム
GB2408183A (en) Severing connection between a bus and an I/O or field device upon detection of a potential device fault
US10254921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CN103954011B (zh) 空调机组的室内、外机匹配方法和装置以及空调机组
CN105805893A (zh) 空调器的故障检测方法和装置
JP2014137621A (ja) 安全コントローラのユーザプログラムの設計を支援する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85291A (ko) 자동화설비의 고장분석장치 및 방법
JP2000324145A (ja) ネットワーク診断装置、ネットワーク診断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210043261A (ko) 애플리캐이션을 이용한 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4697484B2 (ja) Plcシステム
JP2014030574A (ja) 洗濯機の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
CN111338951A (zh) 无线智能家电检测方法及系统
WO2018046424A1 (en) Laundry machine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US10791001B2 (en) Diagnostic tools and methods of servicing consumer appliances
KR20020006816A (ko) 가전 기기의 원격 자가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852633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8023106A (ja) 故障ノードの診断装置、方法及び携帯端末
US10809687B2 (en) Field device with self-recovery
JP2014175842A (ja) テスト装置
JP3444737B2 (ja) 燃焼機器修理支援装置
JP2010118766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故障診断方法
KR1012278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진단 방법
JP7091034B2 (ja) 監視制御システムの試験支援システム、監視制御システムの試験支援方法及び端末装置
WO2018195978A1 (en)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device, an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