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951A - 배터리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951A
KR20210041951A KR1020190124813A KR20190124813A KR20210041951A KR 20210041951 A KR20210041951 A KR 20210041951A KR 1020190124813 A KR1020190124813 A KR 1020190124813A KR 20190124813 A KR20190124813 A KR 20190124813A KR 20210041951 A KR20210041951 A KR 20210041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hickness
length
coupled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홍성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2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951A/ko
Priority to PCT/KR2020/006290 priority patent/WO2021071043A1/ko
Priority to CN202080059475.1A priority patent/CN114302851B/zh
Priority to EP20874109.0A priority patent/EP4016661A4/en
Priority to US17/637,353 priority patent/US20220294063A1/en
Publication of KR2021004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B65D2585/88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배터리 운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는, 배터리 셀이 지지되는 프레임부재; 프레임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가변되며, 배터리 셀의 전극리드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 프레임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의 두께 방향으로 가변되며, 배터리 셀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셀지지부재; 및 프레임부재의 하측에 결합되고,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의 전폭 방향으로 가변되는 프레임지지가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운반 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운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 전폭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의 조절이 가능한 배터리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전 및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이하, 배터리로 통칭한다)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한편, 배터리의 생산라인에서는 공정간 이송시 또는 완제품 출하시 배터리를 수납하여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박형의 배터리를 다량으로 직립 수용할 수 있는 배터리 운반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배터리 운반 장치는 작업자가 직접 볼트와 너트 결합을 해제 후 메인 카세트를 이동시키며, 메인 카세트의 위치 이동 후 다시 작업자가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메인 카세트 사이의 간격 조절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배터리 운반 장치는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만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가변 가능하고, 두께 방향으로의 가변이 불가능하므로,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배터리 셀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각 배터리 셀의 두께에 맞는 배터리 운반 장치가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며, 이에 의해 작업이 불편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배터리 운반 장치는 전폭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충전 또는 방전 장치에 대해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시 배터리의 높이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114852호(공개일자:2017년10월16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전장 방향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배터리 셀에 대해서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통해 운반이 가능한 배터리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두께 방향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배터리 셀에 대해서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통해 운반이 가능한 배터리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전폭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배터리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셀이 지지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가변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리드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의 두께 방향으로 가변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셀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측에 결합되고,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의 전폭 방향으로 가변되는 프레임지지가변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전장용 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전장용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전장용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전장용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전장용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장용 회전축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용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전장용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장용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장용 회전축의 일측은 제4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전장용 회전축의 타측은 상기 전장용 회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전장용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전장용 회전축도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용 이동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전장용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용 회전축은, 상기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 전장용 제1 나사산부; 상기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 전장용 제2 나사산부; 및 상기 전장용 제1 나사산부와 상기 전장용 제2 나사산부의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전장용 무나사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용 제1 나사산부와, 상기 전장용 제2 나사산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용 회전부재는, 상기 제3 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 상기 전장용 회전축에 접촉되는 전장용 탄성부재; 및 상기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에 삽입되고, 상기 전장용 탄성부재를 탄성 수축시키도록 상기 전장용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전장용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용 커넥터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장용 커넥터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가압바가 구비되며, 상기 전장용 탄성부재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바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는, 내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된 전장용 제1 가이드; 및 내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전장용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용 커넥터는, 상기 전장용 제1 가이드에 대응되도록 외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된 전장용 제1 외면부; 및 상기 전장용 제2 가이드에 대응되도록 외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전장용 제2 외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두께용 회전축; 및 상기 셀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두께용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두께용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두께용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셀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두께용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셀지지부재는, 중공이 형성된 복수의 제1 지지부들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재; 및 복수의 제2 지지부들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1 지지부재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지지부들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부들의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직선; 상기 제1 직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직선; 및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제2 직선을 연결하는 제3 직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제2 직선 및 상기 제3 직선에 의해 형성된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지지가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지지가변부재를 이동시키는 전폭용 이동유닛; 및 상기 프레임지지가변부재에 결합된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지지가변부재는, 일측이 상기 전폭용 이동유닛에 결합되고, 타측이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제1 가변부재; 및 상기 제1 가변부재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가변부재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제2 가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변부재와 상기 제2 가변부재는 각각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서 교차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중심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는 전폭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변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가변부재의 타측 단부는 전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셀의 전극리드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가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가변되므로,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배터리 셀에 대해서도 운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셀지지부재가 배터리 셀의 두께 방향으로 가변되므로, 배터리 셀의 두께 방향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배터리 셀에 대해서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통해 운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을 지지하는 프레임부재가 프레임지지가변부재에 의해 전폭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가변되므로 배터리 셀의 전폭 방향으로 배터리 셀을 이동시켜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충전 또는 방전 장치에 대해서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통해 배터리 셀의 충전 또는 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장용 이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전극리드지지부재가 이동하므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두께용 이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셀지지부재의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가 이동하므로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폭용 이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지지가변부재가 전폭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프레임지지가변부재의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배터리 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보호부재를 제거하고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와 셀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으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으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저면도 및 전장용 회전축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의 전장용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 C 방향을 따라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전장용 회전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전장용 회전부재의 작동을 위해 전장용 커넥터가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 내측으로 이동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를 제거 후 도 3의 화살표 B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으로, 셀지지부재의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3에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를 제거 후 도 3의 화살표 B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으로, 셀지지부재의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3의 저면도 및 두께용 회전축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의 두께용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화살표 E 방향을 따라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두께용 회전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F-F'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두께용 회전부재의 작동을 위해 두께용 커넥터가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 내측으로 이동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2의 배터리 운반 장치의 다른 방향에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서 보호부재를 제거하고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와, 셀지지부재와, 프레임지지가변부재에 결합된 전폭용 이동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를 제거 후 도 21의 화살표 G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로부터 프레임지지가변부재가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된 모습의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에서 받침대에 결합된 프레임가변지지부재와 전폭용 이동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서 전폭용 회전축의 숫나사산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의 전폭용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서 화살표 H 방향을 따라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28은 도 26의 전폭용 회전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I-I'를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서 전폭용 회전부재의 작동을 위해 전폭용 커넥터가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 내측으로 이동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배터리 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보호부재를 제거하고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와 셀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으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으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저면도 및 전장용 회전축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의 전장용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 C 방향을 따라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를 바라본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전장용 회전부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D'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서 전장용 회전부재의 작동을 위해 전장용 커넥터가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 내측으로 이동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배터리 운반 장치(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호부재(600, 도 2 참조)가 구비된 배터리 운반 트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배터리 셀(510)의 전장, 전폭, 두께는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도 1의 X 방향이 배터리 셀(510)의 전장 방향이고, 도 1의 Y 방향이 배터리 셀(510)의 두께 방향이며, 도 1의 Z 방향이 배터리 셀(510)의 전폭 방향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10)는, 프레임부재(110)와,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와, 셀지지부재(310)와, 프레임지지가변부재(410, 도 22 참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10)는 배터리 셀(510)의 전장 방향, 전폭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의 조절이 가능하다.
우선, 배터리 운반 장치(10)에서 배터리 셀(510)의 전장 방향으로의 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부재(110)는 배터리 셀(5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배터리 셀(51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극리드(511)가 구비된다. 배터리 셀(510)에 구비된 전극리드(511)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일종의 단자로서 전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리드(511)는 양극 전극리드와 음극 전극리드를 포함한다. 양극 전극리드와 음극 전극리드는 배터리 셀(5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양극 전극리드와 음극 전극리드가 배터리 셀(5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전극리드(511)는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셀(510)은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되는 단위 셀(Unit Cell) 또는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세퍼레이터-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된 바이 셀(Bi-Cell)을 전지 용량에 맞게 복수개 적층시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셀(510)은 다양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파우치형 배터리 셀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프레임부재(110)가 배터리 셀(510)을 지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레임부재(110)에 전극리드지지부재(210)가 장착되고, 프레임부재(110)에 장착된 전극리드지지부재(210)가 배터리 셀(510)의 전극리드(511)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셀지지부재(310)가 프레임부재(110)에 장착되어 배터리 셀(510)의 중심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재(110)는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과, 제3 프레임(113)과, 제4 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부재(1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은 배터리 셀(510)의 전장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프레임(112)은 제1 프레임(11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 사이에는 미리 설정된 범위의 공간(116, 도 6 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전장용 회전축(220)은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 사이의 공간(116)에서 배터리 셀(510)의 전장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3 프레임(113)은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고, 제4 프레임(114)은 제3 프레임(113)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의 타측 단부를 연결한다.
전극리드지지부재(21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배터리 셀(510)의 전극리드(511)를 각각 지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극리드지지부재(210)에는 복수의 가이드슬롯(2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 셀(510)의 전극리드(511)는 복수의 가이드슬롯(212)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213)에 안착될 수 있다.
전극리드지지부재(210)는 프레임부재(11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장용 이동부재(230)가 전극리드지지부재(210)에 결합되어 이동하며, 전극리드지지부재(210)는 전장용 이동부재(230)와 함께 이동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는 배터리 셀(510)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510)의 전장 방향으로 가변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가 가변되면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 셀(510), 특히 전장 방향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각종 배터리 셀(510)들도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장용 회전축(220)은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장용 회전축(220)에는 전장용 제1 나사산부(221)와, 전장용 제2 나사산부(222)와, 전장용 무나사산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용 제1 나사산부(221)와, 전장용 제2 나사산부(2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전장용 무나사산부(223)는 전장용 제1 나사산부(221)와 전장용 제2 나사산부(222)의 사이에 마련된다.
그리고, 전장용 제1 나사산부(221)에는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230a, 230b)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고, 전장용 제2 나사산부(222)에는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230a, 230b)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된다.
여기서, 전장용 회전축(220)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5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230a, 230b)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전장용 회전축(220)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230a, 23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장용 이동부재(230)는 전장용 회전축(220)에 결합되어 전장용 회전축(220)의 회전시 전장용 회전축(220)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를 이동시킨다. 전장용 이동부재(23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230a, 230b)는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에 각각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장용 회전축(220)의 회전에 따라 전장용 회전축(220)에 결합된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230a, 230b)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230a, 230b)에는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230a, 230b)의 이동에 따라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도 이동한다.
즉,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230a, 230b)가 전장용 회전축(220)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230a, 230b)가 전장용 회전축(220)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장용 회전부재(240)는 전장용 회전축(220)에 결합되어 전장용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전장용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전장용 회전축(220)을 직접 회전시킬 수도 있고, 공구를 사용하여 전장용 회전축(22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는, 전장용 회전부재(240)가 전장용 회전축(220)에 결합되며, 전장용 회전부재(240)를 통해 전장용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4 프레임(114)에 전장용 회전축(220)의 일측이 결합되고, 전장용 회전부재(240)에 전장용 회전축(220)의 타측이 결합된다. 그리고, 전장용 회전부재(240)가 회전하면, 전장용 회전부재(24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전장용 회전축(220)도 회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장용 회전부재(240)는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241)와, 전장용 탄성부재(244)와, 전장용 커넥터(24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241)는 제3 프레임(113)에 결합되어 고정된다(도 6 참조).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241)는 전장용 제1 가이드(242)와, 전장용 제2 가이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용 제1 가이드(242)는 내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전장용 제1 가이드(242)는 내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장용 제1 가이드(242)의 내면이 정육각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전장용 제2 가이드(243)는 내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장용 제1 가이드(242)와, 전장용 제2 가이드(243)는 일체형일 수 있고, 또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장용 탄성부재(244)는 전장용 커넥터(245)에 삽입되어 전장용 회전축(220)에 접촉된다. 전장용 탄성부재(244)는 전장용 커넥터(245)에 탄성 회복력을 전달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장용 커넥터(245)는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241)에 삽입되며, 전장용 탄성부재(244)를 탄성 수축시키도록 전장용 탄성부재(244)를 가압한다. 예를 들어, 전장용 커넥터(245)에는 관통공(248)이 형성되고, 전장용 탄성부재(244)가 관통공(248)에 삽입된다. 그리고, 전장용 커넥터(245)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바(249)가 구비되며, 도 11에서와 같이, 전장용 커넥터(245)가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241)에 삽입될 때, 가압바(249)가 전장용 탄성부재(244)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전장용 커넥터(245)에는 전장용 제1 외면부(246)와, 전장용 제2 외면부(247)가 형성될 수 있다. 전장용 제1 외면부(246)는 전장용 제1 가이드(242)에 대응되도록 외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전장용 제1 외면부(246)의 외면이 정육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장용 제1 가이드(242)의 내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장용 제2 외면부(247)는 전장용 제2 가이드(243)에 대응되도록 외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전장용 커넥터(245)에 결합하여 가압하는 경우, 도 11에서와 같이, 전장용 커넥터(245)에 구비된 가압바(249)가 전장용 탄성부재(244)를 탄성 수축시키며 외면이 원형인 전장용 제2 외면부(247)가 전장용 제1 가이드(242)로 이동한다. 여기서, 외면이 정육각형인 전장용 제1 외면부(246)는 전장용 제1 가이드(242)로부터 이동하므로 전장용 커넥터(24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전장용 회전축(220)의 단부에는 정육각형의 육각결합부(224)가 형성되어 있고, 전장용 회전축(220)의 육각결합부(224)가 결합되는 전장용 커넥터(245)에도 정육각형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전장용 커넥터(245)의 관통공(248)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어, 전장용 회전축(220)의 육각결합부(224)에 결합되는 부분은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전장용 커넥터(245)에 결합하여 가압하면, 정육각형으로 형성된 전장용 커넥터(245)의 관통공(248)이 이동하여 전장용 회전축(220)의 육각결합부(224)에 더 깊이 결합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그리고,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전장용 커넥터(245)를 회전시키면 전장용 커넥터(245)에 결합된 전장용 회전축(220)도 전장용 커넥터(245)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전장용 회전축(220)의 회전이 종료되면, 육각렌치를 전장용 커넥터(245)로부터 제거한다. 전장용 커넥터(245)로부터 육각렌치가 제거되면 전장용 탄성부재(244)가 전장용 커넥터(245)의 가압바(249)에 접촉된채, 도 10에서와 같이, 전장용 탄성부재(244)의 탄성 회복력이 가압바(249)에 제공되므로, 전장용 커넥터(245)의 전장용 제1 외면부(246)가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241)의 전장용 제1 가이드(242)로 이동하여 삽입된다.
여기서, 전장용 제1 외면부(246)의 외면이 정육각형이고, 전장용 제1 가이드(242)의 내면도 정육각형이므로, 전장용 제1 외면부(246)가 전장용 제1 가이드(242)에 삽입되면 회전이 방지된다. 즉, 전장용 커넥터(245)로부터 육각렌치가 제거되면 전장용 커넥터(245)가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241)에 걸려 회전이 방지되며 전장용 커넥터(245)에 결합된 전장용 회전축(220)도 회전이 방지된다.
즉,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전장용 커넥터(245)를 회전시키면 전장용 회전축(220)도 전장용 커넥터(245)와 함께 회전하므로 전극리드지지부재(21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지만,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가 전장용 커넥터(245)로부터 제거되면 전장용 커넥터(245)의 전장용 제1 외면부(246)가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241)의 전장용 제1 가이드(242)에 결합되어 전장용 회전축(220)의 회전이 방지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에에는 레일 형상의 레일홈(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이동가이드(250)는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에 형성된 레일 형상의 레일홈(115)에 삽입되어 레일홈(115)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리드지지부재(210)는 제1 이동가이드(250)에 결합되어 제1 이동가이드(250)와 함께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극리드지지부재(210)에는 제1 이동가이드(2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동가이드(260)는 제1 이동가이드(250)로부터 이격되어 전극리드지지부재(210)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가이드(260)는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의 단부의 측면에 접촉되어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의 단부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이동가이드(250)와 제2 이동가이드(260)는 전극리드지지부재(210)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그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구성들에 의해 배터리 셀(510)의 전극리드(511)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가 배터리 셀(510)의 전장 방향으로 가변되므로, 전장 방향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배터리 셀(510)에 대해서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통해 운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장용 이동부재(230)의 작동에 의해 전극리드지지부재(210)가 이동하므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210a, 210b)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2는 도 3에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를 제거 후 도 3의 화살표 B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으로, 셀지지부재의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3에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를 제거 후 도 3의 화살표 B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으로, 셀지지부재의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도 3의 저면도 및 두께용 회전축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의 두께용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에서 화살표 E 방향을 따라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를 바라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의 두께용 회전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F-F'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서 두께용 회전부재의 작동을 위해 두께용 커넥터가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 내측으로 이동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다음, 배터리 운반 장치(10)에서 배터리 셀(510)의 두께 방향으로의 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셀지지부재(310)는 프레임부재(11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배터리 셀(510)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510)의 두께 방향으로 가변되며, 배터리 셀(510)의 중심부를 지지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셀지지부재(310)는 제1 지지부재(311)와, 제2 지지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311)는 중공(318)이 형성된 복수의 제1 지지부(313)들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313)는 제1 직선(315)과, 제2 직선(316)과, 제3 직선(31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직선(315)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직선(315)은 상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의 경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직선(316)은 제1 직선(315)으로부터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직선(316)도 상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직선(317)은 제1 직선(315)과 제2 직선(316)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제3 직선(317)은 제1 직선(315)과 제2 직선(316)의 상측에서 제1 직선(315)과 제2 직선(316)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지지부재(312)는 복수의 제2 지지부(314)들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부재(312)의 제2 지지부(314)가 제1 지지부재(311)의 제1 지지부(313)보다 작게 형성되고, 복수의 제2 지지부(314)들이 복수의 제1 지지부(313)들의 중공(318)에 삽입되어 중공(318)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314)는 제1 지지부(313)의 제1 직선(315)과, 제2 직선(316)과, 제3 직선(317)에 의해 형성된 중공(318)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510)의 중심부는 제1 지지부(313)와 제2 지지부(314) 사이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지지부(314)들이 복수의 제1 지지부(313)들의 중공(318)에 삽입되어 중공(318)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면,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제1 지지부(313)와 제2 지지부(314)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 셀(510), 특히 두께 방향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각종 배터리 셀(510)들도 제1 지지부(313)와 제2 지지부(314) 사이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께용 회전축(320)은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두께용 회전축(320)에는 두께용 제1 나사산부(321)와, 두께용 제2 나사산부(322)와, 두께용 무나사산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께용 제1 나사산부(321)와, 두께용 제2 나사산부(3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두께용 무나사산부(323)는 두께용 제1 나사산부(321)와 두께용 제2 나사산부(322)의 사이에 마련된다.
그리고, 두께용 제1 나사산부(321)에는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가 결합되고, 두께용 제2 나사산부(322)에는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가 결합된다.
여기서, 두께용 회전축(320)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와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두께용 회전축(320)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와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두께용 이동부재(330)는 두께용 회전축(320)에 결합되어 두께용 회전축(320)의 회전시 두께용 회전축(320)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셀지지부재(310)에 결합되어 셀지지부재(310)를 이동시킨다.
두께용 이동부재(330)는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와,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는 셀지지부재(310)의 제1 지지부재(311)에 결합된다. 그리고,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는 셀지지부재(310)의 제2 지지부재(312)에 결합된다.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와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는 두께용 회전축(320)에 결합되어 두께용 회전축(320)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두께용 회전축(320)의 회전에 따라 두께용 회전축(320)에 결합된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와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에는 셀지지부재(310)의 제1 지지부재(311)가 결합되어 있고,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에는 셀지지부재(310)의 제2 지지부재(312)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와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의 이동에 따라 셀지지부재(310)의 제1 지지부재(311)와 제2 지지부재(312)도 이동한다.
즉,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와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가 두께용 회전축(320)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12에서와 같이 제1 지지부재(311)와 제2 지지부재(312)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두께용 제1 이동부재(331)와 두께용 제2 이동부재(332)가 두께용 회전축(320)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13에서와 같이 제1 지지부재(311)와 제2 지지부재(312)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두께용 회전부재(340)는 두께용 회전축(320)에 결합되어 두께용 회전축(3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두께용 회전축(320)을 회전시키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두께용 회전축(320)을 직접 회전시킬 수도 있고, 공구를 사용하여 두께용 회전축(32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는, 두께용 회전부재(340)가 두께용 회전축(320)에 결합되며, 두께용 회전부재(340)를 통해 두께용 회전축(3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재(110)에 두께용 회전축(320)의 일측이 결합되고, 두께용 회전부재(340)에 두께용 회전축(320)의 타측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두께용 회전부재(340)가 회전하면, 두께용 회전부재(340)의 회전에 연동되어 두께용 회전축(320)도 회전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두께용 회전부재(340)는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341)와, 두께용 탄성부재(344)와, 두께용 커넥터(345)를 포함할 수 있다.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341)는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341)는 두께용 제1 가이드(342)와, 두께용 제2 가이드(343)를 포함할 수 있다. 두께용 제1 가이드(342)는 내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면, 두께용 제1 가이드(342)는 내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께용 제1 가이드(342)의 내면이 정육각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15를 참조하면, 두께용 제2 가이드(343)는 내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께용 제1 가이드(342)와, 두께용 제2 가이드(343)는 일체형일 수 있고, 또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두께용 탄성부재(344)는 두께용 커넥터(345)에 삽입되어 두께용 회전축(320)에 접촉된다. 두께용 탄성부재(344)는 두께용 커넥터(345)에 탄성 회복력을 전달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두께용 커넥터(345)는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341)에 삽입되며, 두께용 탄성부재(344)를 탄성 수축시키도록 두께용 탄성부재(344)를 가압한다. 예를 들어, 두께용 커넥터(345)에는 관통공(348)이 형성되고, 두께용 탄성부재(344)가 관통공(348)에 삽입된다. 그리고, 두께용 커넥터(345)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바(349)가 구비되며, 도 19에서와 같이, 두께용 커넥터(345)가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341)에 삽입될 때, 가압바(349)가 두께용 탄성부재(344)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두께용 커넥터(345)에는 두께용 제1 외면부(346)와, 두께용 제2 외면부(347)가 형성될 수 있다. 두께용 제1 외면부(346)는 두께용 제1 가이드(342)에 대응되도록 외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두께용 제1 외면부(346)의 외면이 정육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께용 제1 가이드(342)의 내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두께용 제2 외면부(347)는 두께용 제2 가이드(343)에 대응되도록 외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두께용 커넥터(345)에 결합하여 가압하는 경우 도 19를 참조하면, 두께용 커넥터(345)에 구비된 가압바(349)가 두께용 탄성부재(344)를 탄성 수축시키며 외면이 원형인 두께용 제2 외면부(347)가 두께용 제1 가이드(342)로 이동한다. 여기서, 외면이 정육각형인 두께용 제1 외면부(346)는 두께용 제1 가이드(342)로부터 이동하므로 두께용 커넥터(34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두께용 회전축(320)의 단부에는 정육각형의 육각결합부(324)가 형성되어 있고, 두께용 회전축(320)의 육각결합부(324)가 결합되는 두께용 커넥터(345)에도 정육각형이 형성되어 있다. 즉, 두께용 커넥터(345)의 관통공(348)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어, 두께용 회전축(320)의 육각결합부(324)에 결합되는 부분은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두께용 커넥터(345)에 결합하여 가압하면, 정육각형으로 형성된 두께용 커넥터(345)의 관통공(348)이 이동하여 두께용 회전축(320)의 육각결합부(324)에 더 깊이 결합된다(도 18 및 도 19 참조).
그리고,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두께용 커넥터(345)를 회전시키면 두께용 커넥터(345)에 결합된 두께용 회전축(320)도 두께용 커넥터(345)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두께용 회전축(320)의 회전이 종료되면, 육각렌치를 두께용 커넥터(345)로부터 제거한다. 두께용 커넥터(345)로부터 육각렌치가 제거되면 두께용 탄성부재(344)가 두께용 커넥터(345)의 가압바(349)에 접촉된채, 도 18에서와 같이 두께용 탄성부재(344)의 탄성 회복력이 가압바(349)에 제공되므로, 두께용 커넥터(345)의 두께용 제1 외면부(346)가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341)의 두께용 제1 가이드(342)로 이동하여 삽입된다.
여기서, 두께용 제1 외면부(346)의 외면이 정육각형이고, 두께용 제1 가이드(342)의 내면도 정육각형이므로, 두께용 제1 외면부(346)가 두께용 제1 가이드(342)에 삽입되면 회전이 방지된다. 즉, 두께용 커넥터(345)로부터 육각렌치가 제거되면 두께용 커넥터(345)가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341)에 걸려 회전이 방지되며 두께용 커넥터(345)에 결합된 두께용 회전축(320)도 회전이 방지된다.
즉,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두께용 커넥터(345)를 회전시키면 두께용 회전축(320)도 두께용 커넥터(345)와 함께 회전하므로 셀지지부재(310)의 제1 지지부(313)와 제2 지지부(314)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지만,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가 두께용 커넥터(345)로부터 제거되면 두께용 커넥터(345)의 두께용 제1 외면부(346)가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341)의 두께용 제1 가이드(342)에 결합되어 두께용 회전축(320)의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구성들에 의해 배터리 셀(510)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셀지지부재(310)가 배터리 셀(510)의 두께 방향으로 가변되므로, 배터리 셀(510)의 두께 방향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배터리 셀(510)에 대해서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통해 운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두께용 이동부재(330)의 작동에 의해 셀지지부재(310)의 제1 지지부재(311)와 제2 지지부(314)가 이동하므로 제1 지지부재(311)와 제2 지지부재(312)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20은 도 2의 배터리 운반 장치의 다른 방향에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서 보호부재를 제거하고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와, 셀지지부재와, 프레임지지가변부재에 결합된 전폭용 이동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2는 도 21에서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를 제거 후 도 21의 화살표 G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로부터 프레임지지가변부재가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된 모습의 도면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에서 받침대에 결합된 프레임가변지지부재와 전폭용 이동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에서 전폭용 회전축의 숫나사산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운반 장치의 전폭용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에서 화살표 H 방향을 따라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를 바라본 도면이며, 도 28은 도 26의 전폭용 회전부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I-I'를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0은 도 29에서 전폭용 회전부재의 작동을 위해 전폭용 커넥터가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 내측으로 이동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다음, 배터리 운반 장치(10)에서 배터리 셀(510)의 전폭 방향으로의 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프레임지지가변부재(410)는 프레임부재(110)의 하측에 결합되고, 배터리 셀(510)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510)의 전폭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마련된다.
프레임지지가변부재(410)는 제1 가변부재(411)와, 제2 가변부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변부재(411)는 일측이 전폭용 이동유닛(420)에 결합되고, 타측이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 가변부재(412)는 제1 가변부재(411)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제1 가변부재(411)에 결합되며, 일측이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받침대(460)에 결합된다.
제1 가변부재(411)와 제2 가변부재(41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가변부재(411)와 제2 가변부재(412)가 각각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서 교차하며, 교차되는 중심부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가변부재(411)와 제2 가변부재(412)는 대략 X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폭용 이동유닛(420)은 프레임지지가변부재(410)에 결합되어 프레임지지가변부재(410)를 이동시킨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전폭용 이동유닛(420)은 전폭용 이동부재(430)와, 전폭용 회전축(440)과, 전폭용 회전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폭용 이동부재(430)는 프레임지지가변부재(410)의 제1 가변부재(411)에 결합되어 전폭방향에 수직인 방향, 예를 들어 도 24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폭용 회전축(440)은 전폭용 이동부재(430)에 결합된다. 여기서, 전폭용 이동부재(430)의 내면에는 암나사산(431)이 형성되고, 전폭용 회전축(440)의 외면에는 숫나사산(441)이 형성되며, 전폭용 회전축(440)의 숫나사산(441)이 전폭용 이동부재(430)의 암나사산(431)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폭용 회전부재(450)는 전폭용 회전축(440)에 결합되어 전폭용 회전축(44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전폭용 회전축(440)이 전폭용 회전부재(450)에 결합되어 회전하면 전폭용 회전축(440)에 결합된 전폭용 이동부재(430)는 전폭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한다.
받침대(460)는 프레임지지가변부재(410)에 결합되어 프레임지지가변부재(410)를 지지한다.
받침대(460)에는 전폭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 가이드홀(46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변부재(411)의 일측 단부는 제1 가이드홀(461)에 삽입되어 제1 가이드홀(461)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가변부재(411)의 타측 단부는 전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가변부재(411)에 결합된 프레임부재(110) 역시 전폭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가변부재(412)는 중심부에서 제1 가변부재(411)와 교차하고 고정되므로, 제1 가변부재(411)의 작동에 연동되어 작동한다. 즉, 제2 가변부재(412)도 프레임부재(110)를 전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이드플레이트(470)는 프레임부재(110)의 하측에서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변부재(411)는 일측이 전폭용 이동유닛(420)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플레이트(470)에 결합된다.
가이드플레이트(470)에는 전폭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홀(47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변부재(412)의 일측 단부는 받침대(460)에 결합되고, 제2 가변부재(412)의 타측 단부는 제2 가이드홀(471)에 삽입되어 제2 가이드홀(471)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플레이트(470)를 전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전폭용 회전부재(450)는 전폭용 회전축(440)에 결합되어 전폭용 회전축(44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전폭용 회전축(440)을 회전시키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전폭용 회전축(440)을 직접 회전시킬 수도 있고, 공구를 사용하여 전폭용 회전축(44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는, 전폭용 회전부재(450)가 전폭용 회전축(440)에 결합되며, 전폭용 회전부재(450)를 통해 전폭용 회전축(44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폭용 이동부재(430)에 전폭용 회전축(440)의 일측이 결합되고, 전폭용 회전부재(450)에 전폭용 회전축(440)의 타측이 결합된다. 그리고, 전폭용 회전부재(450)가 회전하면, 전폭용 회전부재(45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전폭용 회전축(440)도 회전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전폭용 회전부재(450)는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451)와, 전폭용 탄성부재(454)와, 전폭용 커넥터(455)를 포함할 수 있다.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451)는 받침대(46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451)는 전폭용 제1 가이드(452)와, 전폭용 제2 가이드(4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폭용 제1 가이드(452)는 내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7을 참조하면, 전폭용 제1 가이드(452)는 내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폭용 제1 가이드(452)의 내면이 정육각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26을 참조하면, 전폭용 제2 가이드(453)는 내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폭용 제1 가이드(452)와, 전폭용 제2 가이드(453)는 일체형일 수 있고, 또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폭용 탄성부재(454)는 전폭용 커넥터(455)에 삽입되어 전폭용 회전축(440)에 접촉된다. 전폭용 탄성부재(454)는 전폭용 커넥터(455)에 탄성 회복력을 전달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폭용 커넥터(455)는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451)에 삽입되며, 전폭용 탄성부재(454)를 탄성 수축시키도록 전폭용 탄성부재(454)를 가압한다. 예를 들어, 전폭용 커넥터(455)에는 관통공(458)이 형성되고, 전폭용 탄성부재(454)가 관통공(458)에 삽입된다. 그리고, 전폭용 커넥터(455)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바(459)가 구비되며, 도 30에서와 같이, 전폭용 커넥터(455)가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451)에 삽입될 때, 가압바(459)가 전폭용 탄성부재(454)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전폭용 커넥터(455)에는 전폭용 제1 외면부(456)와, 전폭용 제2 외면부(457)가 형성될 수 있다. 전폭용 제1 외면부(456)는 전폭용 제1 가이드(452)에 대응되도록 외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전폭용 제1 외면부(456)의 외면이 정육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폭용 제1 가이드(452)의 내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폭용 제2 외면부(457)는 전폭용 제2 가이드(453)에 대응되도록 외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전폭용 커넥터(455)에 결합하여 가압하는 경우 도 30에서와 같이 전폭용 커넥터(455)에 구비된 가압바(459)가 전폭용 탄성부재(454)를 탄성 수축시키며 외면이 원형인 전폭용 제2 외면부(457)가 전폭용 제1 가이드(452)로 이동한다. 여기서, 외면이 정육각형인 전폭용 제1 외면부(456)는 전폭용 제1 가이드(452)로부터 이동하므로 전폭용 커넥터(45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전폭용 회전축(440)의 단부에는 정육각형의 육각결합부(442)가 형성되어 있고, 전폭용 회전축(440)의 육각결합부(442)가 결합되는 전폭용 커넥터(455)에도 정육각형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전폭용 커넥터(455)의 관통공(458)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어, 전폭용 회전축(440)의 육각결합부(442)에 결합되는 부분은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전폭용 커넥터(455)에 결합하여 가압하면, 정육각형으로 형성된 전폭용 커넥터(455)의 관통공(458)이 이동하여 전폭용 회전축(440)의 육각결합부(442)에 더 깊이 결합된다(도 29 및 도 30 참조)).
그리고,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전폭용 커넥터(455)를 회전시키면 전폭용 커넥터(455)에 결합된 전폭용 회전축(440)도 전폭용 커넥터(455)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전폭용 회전축(440)의 회전이 종료되면, 육각렌치를 전폭용 커넥터(455)로부터 제거한다. 전폭용 커넥터(455)로부터 육각렌치가 제거되면 전폭용 탄성부재(454)가 전폭용 커넥터(455)의 가압바(459)에 접촉된채, 도 29에서와 같이 전폭용 탄성부재(454)의 탄성 회복력이 가압바(459)에 제공되므로, 전폭용 커넥터(455)의 전폭용 제1 외면부(456)가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451)의 전폭용 제1 가이드(452)로 이동하여 삽입된다.
여기서, 전폭용 제1 외면부(456)의 외면이 정육각형이고, 전폭용 제1 가이드(452)의 내면도 정육각형이므로, 전폭용 제1 외면부(456)가 전폭용 제1 가이드(452)에 삽입되면 회전이 방지된다. 즉, 전폭용 커넥터(455)로부터 육각렌치가 제거되면 전폭용 커넥터(455)가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451)에 걸려 회전이 방지되며 전폭용 커넥터(455)에 결합된 전폭용 회전축(440)도 회전이 방지된다.
즉,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전폭용 커넥터(455)를 회전시키면 전폭용 회전축(440)도 전폭용 커넥터(455)와 함께 회전하므로 프레임부재(110)의 높이가 조절되지만,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가 전폭용 커넥터(455)로부터 제거되면 전폭용 커넥터(455)의 전폭용 제1 외면부(456)가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451)의 전폭용 제1 가이드(452)에 결합되어 전폭용 회전축(440)의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구성들에 의해 배터리 셀을 지지하는 프레임부재가 프레임지지가변부재에 의해 전폭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가변되므로 배터리 셀의 전폭 방향으로 배터리 셀을 이동시켜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충전 또는 방전 장치에 대해서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통해 배터리 셀의 충전 또는 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폭용 이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지지가변부재가 전폭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프레임지지가변부재의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터리 운반 장치 110 : 프레임부재
111 : 제1 프레임 112 : 제2 프레임
113 : 제3 프레임 114 : 제4 프레임
115 : 레일홈 116 : 공간
210 : 전극리드지지부재 211 : 삽입홈
212 : 가이드슬롯 213 : 가이드홈
220 : 전장용 회전축 221 : 전장용 제1 나사산부
222 : 전장용 제2 나사산부 223 : 전장용 무나사산부
224 : 육각결합부 230 : 전장용 이동부재
240 : 전장용 회전부재 241 :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
242 : 전장용 제1 가이드 243 : 전장용 제2 가이드
244 : 전장용 탄성부재 245 : 전장용 커넥터
246 : 전장용 제1 외면부 247 : 전장용 제2 외면부
248 : 관통공 249 : 가압바
250 : 제1 이동가이드 260 : 제2 이동가이드
310 : 셀지지부재 311 : 제1 지지부재
312 : 제2 지지부재 313 : 제1 지지부
314 : 제2 지지부 315 : 제1 직선
316 : 제2 직선 317 : 제3 직선
318 : 중공 320 : 두께용 회전축
321 : 두께용 제1 나사산부 322 : 두께용 제2 나사산부
323 : 두께용 무나사산부 324 : 육각결합부
330 : 두께용 이동부재 331 : 두께용 제1 이동부재
332 : 두께용 제2 이동부재 340 : 두께용 회전부재
341 : 두께용 커넥터 가이드 342 : 두께용 제1 가이드
343 : 두께용 제2 가이드 344 : 두께용 탄성부재
345 : 두께용 커넥터 346 : 두께용 제1 외면부
347 : 두께용 제2 외면부 348 : 관통공
349 : 가압바 410 : 프레임지지가변부재
411 : 제1 가변부재 412 : 제2 가변부재
420 : 전폭용 이동유닛 430 : 전폭용 이동부재
431 : 암나사산 440 : 전폭용 회전축
441 : 숫나사산 442 : 육각결합부
450 : 전폭용 회전부재 451 : 전폭용 커넥터 가이드
452 : 전폭용 제1 가이드 453 : 전폭용 제2 가이드
454 : 전폭용 탄성부재 455 : 전폭용 커넥터
456 : 전폭용 제1 외면부 457 : 전폭용 제2 외면부
458 : 관통공 459 : 가압바
460 : 받침대 461 : 제1 가이드홀
470 : 가이드플레이트 471 : 제2 가이드홀
510 : 배터리 셀 511 : 전극리드
600 : 보호부재

Claims (15)

  1. 배터리 셀이 지지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가변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리드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의 두께 방향으로 가변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셀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측에 결합되고, 배터리 셀의 전장, 전폭 및 두께 중 배터리 셀의 전폭 방향으로 가변되는 프레임지지가변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전장용 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전장용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전장용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전장용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전장용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장용 회전축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배터리 셀의 전장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용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전장용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장용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장용 회전축의 일측은 제4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전장용 회전축의 타측은 상기 전장용 회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전장용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전장용 회전축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용 이동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전극리드지지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전장용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용 회전축은,
    상기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 전장용 제1 나사산부;
    상기 한 쌍의 전장용 이동부재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 전장용 제2 나사산부; 및
    상기 전장용 제1 나사산부와 상기 전장용 제2 나사산부의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전장용 무나사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용 제1 나사산부와, 상기 전장용 제2 나사산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용 회전부재는,
    상기 제3 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
    상기 전장용 회전축에 접촉되는 전장용 탄성부재; 및
    상기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에 삽입되고, 상기 전장용 탄성부재를 탄성 수축시키도록 상기 전장용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전장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용 커넥터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장용 커넥터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가압바가 구비되며, 상기 전장용 탄성부재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바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용 커넥터 가이드는,
    내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된 전장용 제1 가이드; 및
    내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전장용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용 커넥터는,
    상기 전장용 제1 가이드에 대응되도록 외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된 전장용 제1 외면부; 및
    상기 전장용 제2 가이드에 대응되도록 외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전장용 제2 외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두께용 회전축; 및
    상기 셀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두께용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두께용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두께용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셀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두께용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셀지지부재는,
    중공이 형성된 복수의 제1 지지부들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재; 및
    복수의 제2 지지부들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1 지지부재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지지부들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부들의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직선;
    상기 제1 직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직선; 및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제2 직선을 연결하는 제3 직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제2 직선 및 상기 제3 직선에 의해 형성된 중공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지지가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지지가변부재를 이동시키는 전폭용 이동유닛; 및
    상기 프레임지지가변부재에 결합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지지가변부재는,
    일측이 상기 전폭용 이동유닛에 결합되고, 타측이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제1 가변부재; 및
    상기 제1 가변부재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가변부재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제2 가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변부재와 상기 제2 가변부재는 각각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서 교차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중심부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전폭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변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가변부재의 타측 단부는 전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반 장치.
KR1020190124813A 2019-10-08 2019-10-08 배터리 운반 장치 KR20210041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813A KR20210041951A (ko) 2019-10-08 2019-10-08 배터리 운반 장치
PCT/KR2020/006290 WO2021071043A1 (ko) 2019-10-08 2020-05-13 배터리 운반 장치
CN202080059475.1A CN114302851B (zh) 2019-10-08 2020-05-13 电池运输设备
EP20874109.0A EP4016661A4 (en) 2019-10-08 2020-05-13 BATTERY TRANSFER DEVICE
US17/637,353 US20220294063A1 (en) 2019-10-08 2020-05-13 Battery transpor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813A KR20210041951A (ko) 2019-10-08 2019-10-08 배터리 운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951A true KR20210041951A (ko) 2021-04-16

Family

ID=7543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813A KR20210041951A (ko) 2019-10-08 2019-10-08 배터리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94063A1 (ko)
EP (1) EP4016661A4 (ko)
KR (1) KR20210041951A (ko)
CN (1) CN114302851B (ko)
WO (1) WO2021071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368A (ko) *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운반 장치
CN113955281A (zh) * 2021-09-06 2022-01-21 浙江野马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干电池耐高温高湿腐蚀的包装方法
CN116851222B (zh) * 2023-07-17 2024-02-13 湖南聚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钠离子电池涂布钠层的厚度调整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852A (ko)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배터리 운반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692Y1 (ko) * 1995-10-26 1999-03-30 김광호 무인반송차의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
KR100541922B1 (ko) * 2004-10-15 2006-01-11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들의 피치 변환 장치
KR102451852B1 (ko) 2009-11-20 2022-10-1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JP5273187B2 (ja) * 2011-03-15 2013-08-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のバッテリ交換装置
KR101307876B1 (ko) * 2012-01-03 2013-09-13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 전지 소킹 팔레트
KR102091826B1 (ko) * 2014-06-17 2020-03-2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CN207417434U (zh) * 2017-06-16 2018-05-29 南京国轩电池有限公司 一种适用于方形电池的化成托盘
CN107380658B (zh) * 2017-07-10 2019-05-17 南京中欧威能新能源动力系统有限公司 一种锂电池运输固定装置
KR101973741B1 (ko) * 2017-07-17 2019-04-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공용 트레이
WO2020162661A1 (ko) * 2019-02-07 2020-08-13 (주)상아프론테크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852A (ko)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배터리 운반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02851B (zh) 2023-11-24
CN114302851A (zh) 2022-04-08
US20220294063A1 (en) 2022-09-15
WO2021071043A1 (ko) 2021-04-15
EP4016661A4 (en) 2022-10-12
EP4016661A1 (en)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1951A (ko) 배터리 운반 장치
US20150064542A1 (en) Battery pack
US9695004B2 (en) Removal equipment for an electric conduction plate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KR101713182B1 (ko) 이차 전지 고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방전 장치
KR101835710B1 (ko) 이차전지 극판 인서트 장치
KR20160134272A (ko) 배터리 모듈
KR20210043368A (ko) 배터리 운반 장치
KR20140105982A (ko) 조립형 권심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의 권취장치
CN114206750B (zh) 电池运输设备
KR20210043369A (ko) 배터리 운반 장치
KR101941257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20210242486A1 (en) Battery pack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pack
JP7045548B2 (ja) 分解用ツール及び分解用ツールを用い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US20240055734A1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movable electrode
CN217903193U (zh) 一种电芯限位装置
EP4108375A1 (en) Welding apparatus, welding method using same,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by same welding method
KR102203400B1 (ko) 전지 셀 부착용 지그
KR102354278B1 (ko) 전지 충방전기
KR20200107409A (ko)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KR20230080302A (ko) 전지 제조를 위한 스택 전극 조립체 정렬 장치
KR20230003832A (ko)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KR20170073168A (ko) 이차 전지 셀의 가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