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692Y1 - 무인반송차의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무인반송차의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692Y1
KR0133692Y1 KR2019950030459U KR19950030459U KR0133692Y1 KR 0133692 Y1 KR0133692 Y1 KR 0133692Y1 KR 2019950030459 U KR2019950030459 U KR 2019950030459U KR 19950030459 U KR19950030459 U KR 19950030459U KR 0133692 Y1 KR0133692 Y1 KR 0133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 member
width
conveyor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861U (ko
Inventor
강진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30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692Y1/ko
Publication of KR970017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8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6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 등과 같은 물체 이송용 이재장치에 있어서 이송물을 지지하는 패널부재의 폭을 이송물의 규격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물체 지지용 패널 폭 가변장치에 관하여 개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패널 폭 가변장치는 소정 물체의 지지 및 적재, 이송수단 등에 포함되는 물체지지용 패널부재가 이루는 폭을 대상물체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시키는 가변장치로서, 스크류 회전축상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부재를 마련하고, 이 너트부재에 링크부재를 연결하고, 이 링크부재에 각각 1쌍의 물체지지용 패널부재를 연결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너트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물체지지용 패널부재를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송시켜 원하는 규격의 너비로 조정가능케 된다. 특히, 본 고안 장치를 무인반송차에 탑재된 컨베이어에 적용할 경우에 이송 대상물의 규격에 구애됨이 없이 컨베이어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팔레트나 매거진 등과 같은 보조 용기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 향상 및 원가절감에 따른 생성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무인반송차의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반송차의 적재부 배면에 마련되는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가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평면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상태에서 무인반송차 적재부 상면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평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반송차의 적재부 배면에 마련되는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가작동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평면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상태에서 무인반송차 적재부 상면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평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프레임 11,12 : 가이드 레일
11a, 12a : 가이드 블록 13 : 제1판넬부재
14 : 제2판넬부재 13' : 지지부재
14' : 지지부재 21 : 구동 모터
22 : 벨트 풀리 23 : 스크류 회전축
23a, 23b : 고정부재 24a, 24b : 너트부재
25a, 25b : 제1링크부재 26a, 26b : 제2링크부재
본 고안은 컨베이어 등과 같은 물체 이송용 이재장치에 있어서 이송물을 지지하는 판넬부재의 폭을 이송물의 규격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물체 지지용 판넬 폭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인반송차에 구비되어 이송물을 지지하고 이재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 컨베이어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무인반송차(AGV; Auto Guided Vehicle)는 의미 그대로 무인화에 의해 부품이나 제품 등의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위 무인화공장의 생산라인 또는 보다 협소한 개념으로서 자동화된 생산공정에서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이나 생산완료 된 제품의 입고 등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의 이송수단으로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 반송차는 통상 정해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되어 생산라인의 현장 바닥에 매설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부품등의 출고와 이송 및 공급을 위한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인반송차는 통상 부품 등의 이송물을 스스로 출고하여 탑재하고, 이를 지지한 상태에서 해당 공정으로 운반한 다음, 적재된 이송물을 공급위치로 이재시킬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를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반송차에 탑재된 컨베이어는 본 명세서에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 그 폭이 일정한 너비를 가지도록 고정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무인반송차의 이송물 적재부 상면의 양측부에 각각 나란하게 벨트컨베이어 또는 로울러 컨베이어 등을 설치하거나, 아니면 벨트컨베이어 또는 로울러 컨베이어 등을 이송물 적재부 상면 전반에 걸쳐서 설치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이송물 적재부 상면의 양측부에 각각 나란하게 벨트컨베이어 또는 로울러 컨베이어 등을 설치한 경우에 대형의 이송물은 취급이 용이하지만, 소형의 이송물은 나란하게 설치된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부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인하여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영역에 포함되는 생산현장에서도 다양한 규격의 이송물을 적절하게 취급하기 위하여 각각 폭의 규격이 소정 범위 이내로 제한되어 선정된 컨베이어를 탑재하는 서로 다른 모델의 복수의 무인반송차를 별도로 구비하여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책은 결국 원가 상승 등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이송물 적재부 상면 전반에 걸쳐서 벨트컨베이어 또는 로울러 컨베이어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는, 다양한 규격의 이송물을 적절하게 취급하기 위하여 이송물의 규격에 적절한 팔레트나 매거진 등과 같은 보조 용기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또한 궁극적으로 원가상승, 작업성저하 등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생성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은 비단 무인반송차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운반 등을 위하여 소정 이송물을 지지하도록 된 판넬이나 플레이트부재 등을 포함하는 이송수단이나 적재수단 등에 있어서도 유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1의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물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상물의 규격에 따라 폭의 너비 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물체 지지용 판넬 폭 가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의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이송물을 지지하고 이재시킬 수 있도록 이송물의 규격에 따라 폭의 너비 조정이 가능한 컨베이어를 탑재한 무인반송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판넬부재의 폭 가변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판넬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판넬부재와 나란하게 마련된 제2판넬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제1판넬부재와 제2판넬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판넬부재와 상기 제2판넬부재를 직선 왕복운동 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제1판넬부재와 제2판넬부재가 직선왕복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판넬부재와 상기 제2판넬부재가 이루는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판넬 폭 가변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제1판넬부재와 상기 제2판넬부재를 상호 대칭적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축에 연결된 벨트풀리와, 이 벨트풀리에 연결된 스크류회전축과, 이 스크류회전축상을 이동하는 너트부재와, 이 너트부재에 각각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1판넬부재와 제2판넬부재에 지지된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판넬부재 및 상기 제2판넬부재 사이에는 각각 슬라이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과 상보적으로 치합되도록 상기 제1판넬부재 및 상기 제2판넬부재에 마련되는 가이드블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인반송차는,
이송물의 지지 및 이재용 컨베이어를 베이스 프레임에 탑재한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이송물의 규격에 따라 폭 너비 조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컨베이어 폭 가변수단을 구비하여 된 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폭 가변수단은 컨베이어의 양측을 제1판넬부재와 제2판넬부재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한 제1의 목적 달성을 위해 얻어진 본 고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판넬부재의 폭 가변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치를 적용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반송차의 적재부 배면에 마련되는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의 개략적 평면구성도로서,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가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그리고, 제2도는 제1도의 상태에 있어서 무인반송차의 적재부 상면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평면구성도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판넬 폭 가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무인반송차에 탑재된 컨베이어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판넬 폭 가변장치는 판넬형 베이스 프레임(10)에 1쌍의 가이드 레일(11)(12)이 상호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이 가이드 레일(11)(12)에는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가이드 블록(11a)(12a)이 다수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블록(11a)(12a)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제1판넬부재(13)와 제2판넬부재(14)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다른측면에는 상기 제1판넬부재(13)와 제2판넬부재(14)의 슬라이딩 운동과 연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11a)(12a)과 각각 결합된 1쌍의 지지부재(13')(14')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나 또는 로울러 컨베이어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판넬부재(13)와 제2판넬부재(14) 사이에는 본 발명을 특징짓는 이송수단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이송수단은 상기 제1판넬부재(13)와 상기 제2판넬부재(14)를 직선왕복운동 가능케 함으로써 상기 제1판넬부재(13)와 상기 제2판넬부재(14)가 상호 대칭적으로 이동하여 상호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판넬부재(13) 및 상기 제2판넬부재(14)와 연동하는 1쌍의 지지부재(13')(14') 즉, 1쌍의 컨베이어가 이루고 있는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결국 컨베이어 전체가 물체를 지지할 수 있는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지지된 구동모터(21)의 회전축에 벨트풀리(22)를 연결하고, 상기 벨트풀리(22)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이송되는 너트부재(24a)(24b)가 마련된 스크류 회전축(23)을 고정부재(23a)(23b)에 의해 양단을 지지한채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상에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24a)(24b)에는 일단이 상기 제1판넬부재(13)와 제2판넬부재(14)에 각각 연결된 2쌍의 링크부재(25a)(25b)(26a)(26b)의 타단이 지지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반송차의 적재부 배면에 마련되는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가 작동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평면구성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상태에서 무인반송차 적재부 상면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평면구성도이다.
상기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패널 폭 가변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판넬 폭 가변장치는 구동원인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의해 구동모터(21)의 회전축에 연결된 벨트풀리(22)를 통하여 상기 스크류 회전축(23)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 회전축(23)에 마련된 너트부재(24a)(24b)가 상기 벨트풀리(22)를 중심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스크류 회전축(23)상을 직선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부재(24a)(24b)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판넬부재(13)와 제2판넬부재(14)에 각각 연결된 링크부재(25a)(25b)(26a)(26b)가 상기 너트부재(24a)(24b)의 이송방향에 따라 상기 제1판넬부재(13)와 제2판넬부재(14)를 상기 가이드 레일(11)(12)을 통하여 밀어내거나 또는 끌어 당겨 슬라이딩 운동을 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1판넬부재(13)와 제2판넬부재(14)가 이루게 되는 너비를 조정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다른측면에서 상기 제1판넬부재(13)와 제2판넬부재(14)의 슬라이딩 운동과 연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11a)(12a)과 각각 결합된 지지부재(13')(14')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나 로울러 컨베이어 등이 이루게 되는 폭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판넬 폭 가변장치는 소정 물체의지지 및 적재, 이송수단 등에 포함되는 물체지지용 판넬부재가 이루는 폭을 대상물체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시키는 가변장치로서, 스크류 회전축상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 부재를 마련하고, 이 너트부재에 링크부재를 연결하고, 이 링크부재에 각각 1쌍의 물체지지용 판넬부재를 연결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너트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물체지지용 판넬부재를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송시켜 원하는 규격의 너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물체지지 및 적재, 이송 수단에 포함되는 물체지지용 판넬부재 특히, 무인반송차에 탑재된 컨베이어에 적용할 경우에 대상물의 규격에 구애됨이 없이 컨베이어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팔레트나 매거진 등과 같은 보조 용기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서 작업성 향상 및 원가절감에 따른 생성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베이스 프레임에 상호 나란하게 설치된 제1판넬부재 및 제2판넬부재와, 상기 제1판넬부재와 제2판넬부재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호간에 이루는 폭을 조정하여 가변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가지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구동모터, 상호 정,역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벨트풀리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된 제1스크류축 및 제2스크류축, 상기 제1스크류축과 상기 제2스크류축 상을 각각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너트부재 및 제2너트 부재, 상기 제1판넬부재와 상기 제1너트부재 및 상기 제2판넬부재와 상기 제2너트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지지용 패널 폭 가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각각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제3링크부재와 제4링크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지지용 패널 폭 가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넬부재와 상기 제2판넬부재의 슬라이딩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으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보적으로 치합되도록 상기 제1판넬부재 및 상기 제2판넬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보적으로 치합되는 가이드블록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지지용 패널 폭 가변 장치.
  4. 이송물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가 베이스 프레임에 탑재된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이송물의 외형 규격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의 폭을 가변시켜 조정할 수 있는 컨베이어 가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가변수단은,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호 나란하게 설치된 제1판넬부재 및 제2판넬부재와, 상기 제1판넬부재와 제2판넬부재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호간에 이루는 폭을 조정하여 가변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가지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구동모터, 상호 정,역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벨트풀리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된 제1스크류축 및 제2스크류축, 상기 제1스크류축과 상기 제2스크류축 상을 각각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너트부재 및 제2너트부재, 상기 제1판넬부재와 상기 제1너트부재 및 상기 제2판넬부재와 상기 제2너트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각각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제3링크부재와 제4링크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넬부재와 상기 제2판넬부재의 슬라이딩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으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보적으로 치합되도록 상기 제1판넬부재 및 상기 제2판넬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보적으로 치합되는 가이드블록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KR2019950030459U 1995-10-26 1995-10-26 무인반송차의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 KR0133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459U KR0133692Y1 (ko) 1995-10-26 1995-10-26 무인반송차의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459U KR0133692Y1 (ko) 1995-10-26 1995-10-26 무인반송차의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861U KR970017861U (ko) 1997-05-23
KR0133692Y1 true KR0133692Y1 (ko) 1999-03-30

Family

ID=1942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459U KR0133692Y1 (ko) 1995-10-26 1995-10-26 무인반송차의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6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043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운반 장치
WO2021071042A1 (ko) * 2019-10-11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운반 장치
KR20210069143A (ko) 2019-12-02 2021-06-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변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912B1 (ko) * 2001-06-08 2003-08-02 안웅권 파우치용기 호울더의 이송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043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운반 장치
CN114302851A (zh) * 2019-10-08 2022-04-08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运输设备
CN114302851B (zh) * 2019-10-08 2023-11-24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运输设备
WO2021071042A1 (ko) * 2019-10-11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운반 장치
KR20210069143A (ko) 2019-12-02 2021-06-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변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861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060B1 (ko) 제 1 기계에서 제 2 기계로 공작물을 이송하는 장치
TWI382951B (zh) Workpiece handling system
CN107826786B (zh) 物流设备
JPS6283257A (ja) 車輌組立搬送装置
US6247581B1 (en) Adjustable length conveyor
KR0133692Y1 (ko) 무인반송차의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
JP2766479B2 (ja) コンベヤ装置
US5332079A (en) Apparatus for conveying plate-form articles
JP2644137B2 (ja) パネルの自動積込み装置
JPH06271037A (ja) 搬送装置
US5086904A (en) Part supply arrangement
KR950005487Y1 (ko)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KR20020080671A (ko) 적재화물 이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운반차
JP4006832B2 (ja) 搬送装置
JPH0761811B2 (ja) 搬送装置
JP2006232022A (ja) 搭載装置及び搭載方法
JPH10194464A (ja) 荷積装置
CN213801788U (zh) 一种输送装置和传输设备
JP2617370B2 (ja) 長尺物の搬送装置
US6065584A (en) Loading device for a plate press
JP3002935B2 (ja) 積付装置
JPS61168459A (ja) 搬送装置
JP3105172B2 (ja) 移載機における供給装置
JPH06262442A (ja) 板状物搬送具および板状物搬送設備
JP2023053541A (ja) 搬送コンベヤ及び当該搬送コンベヤを備えた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