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900A -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900A
KR20210041900A KR1020190124695A KR20190124695A KR20210041900A KR 20210041900 A KR20210041900 A KR 20210041900A KR 1020190124695 A KR1020190124695 A KR 1020190124695A KR 20190124695 A KR20190124695 A KR 20190124695A KR 20210041900 A KR20210041900 A KR 2021004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ork
worker
terminal
matching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키마켓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키마켓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키마켓
Priority to KR102019012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900A/ko
Publication of KR2021004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로자를 구하고자 하는 기업이 실시하는 건설작업의 작업조건 및 건설작업의 근로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매칭조건에 따라 건설작업에 적합한 근로자를 매칭하여, 계약을 수행하고, 건설작업에 근로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일정을 개인 혹은 팀단위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human resources in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로자를 구하고자 하는 기업이 실시하는 건설작업의 작업조건 및 건설작업의 근로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매칭조건에 따라 건설작업에 적합한 근로자를 매칭하여, 계약을 수행하고, 건설작업에 근로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일정을 개인 혹은 팀단위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취업사이트에서 구인 또는 구직을 수행하는 경우, 구인업체는 취업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인력의 조건(업무분야, 급여, 근무시간, 근무조건 등)등을 게시글로 등록하고 접수된 이력서 또는 연락에 의해 지원한 구직자들이 원하는 조건을 갖추었는지를 판단하고 채용을 하는 방식으로 구인 활동을 수행하였다. 다만, 단기적으로 인력이 필요한 기업 또는 개인들은 취업사이트를 통해서 인력을 수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인력공급업체에 인력의 충원을 맡기는 경우가 많다. 건설업계에서는 이와 같이 단기적으로 인력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환경에 따라 직업소개소나 새벽 인력시장 등을 통해 일자리 알선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직업소개소 또는 인력시장에 일찍 나간 순서대로 일자리를 배당 받아 근로장소로 이동하거나 또는 건설사의 관리자에게 직접 뽑혀 근로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설근로자들은 기업을 소개 받고 전화 연락하여 일정, 공정, 희망지역, 보유공구 및 장비, 공사범위 등을 직접 확인하고, 기업의 조건에 맞게 조율해야 하므로 일자리를 구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건설근로자들은 대부분 팀을 단위로 고용되어 근로를 수행하기 때문에 팀에 속하지 않는 경우, 개개인이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따른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업이 공고하는 건설작업의 조건과 근로자가 보유한 경력 및 조건을 매칭하여 일자리를 알선하고, 개인 혹은 팀 단위로 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하나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기술은 전무하다.
본 발명은 근로자를 구하고자 하는 기업이 실시하는 건설작업의 작업조건 및 건설작업의 근로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매칭조건에 따라 건설작업에 적합한 근로자를 매칭하여, 계약을 수행하고, 건설작업에 근로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일정을 개인 혹은 팀단위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작업의 근로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단말기 및 건설작업의 근로자를 구하고자 하는 기업의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으로서,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작업조건정보를 수신하여 건설작업을 등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건설작업공고를 생성하는 건설작업등록단계;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에 대한 매칭조건정보 및 일정정보를 수신하는 매칭조건수신단계; 근로자의 단말기로 상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른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건설작업조회단계; 및 상기 작업조건정보, 상기 매칭조건정보 및 상기 근로자의 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에 일정이 없는 복수의 근로자를 필터링하고, 필터링 된 복수의 근로자의 단말기로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하는 자동매칭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일정정보 및 근로자의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근로자의 일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설작업조회단계는, 상기 매칭조건정보에 적합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 중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매칭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률을 도출하는 단계;및 상기 매칭률을 포함하는 해당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설작업조회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작업상세정보레이어;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레이어; 및 상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 및 상기 근로자의 일정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일정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설작업조회단계는, 상기 자동매칭단계에 의하여 근로자의 단말기로 송신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매칭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률을 도출하는 단계;및 해당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상기 매칭률을 포함하는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설인력 매칭 방법은,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지원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현황리스트를 제공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지원현황리스트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지원현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원현황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는,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레이어;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의 지원절차진행단계가 디스플레이되는 지원현황레이어; 및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상세정보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설인력 매칭 방법은, 계약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약관리단계는,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계약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현황리스트를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계약현황리스트 중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선택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상세정보제공단계; 및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계약을 완료하는 계약완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약관리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는,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레이어;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의 계약절차진행단계가 디스플레이되는 계약현황레이어;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에 대한 근로계약서가 디스플레이되는 계약서레이어; 및 기업의 단말기 및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댓글을 입력할 수 있는 댓글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설인력 매칭 방법은, 팀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팀관리단계는, 팀을 생성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팀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상기 팀요청을 수신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팀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팀을 생성하는 팀생성단계; 및 생성된 상기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팀일정정보관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팀일정정보관리단계는, 상기 팀을 생성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이 완료된 경우, 상기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상기 팀에 소속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작업의 근로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단말기 및 건설작업의 근로자를 구하고자 하는 기업의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서버에 의하여 구현되는 건설인력 매칭 시스템으로서,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작업조건정보를 수신하여 건설작업을 등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건설작업공고를 생성하는 건설작업등록부;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에 대한 매칭조건정보 및 일정정보를 수신하는 매칭조건수신부; 근로자의 단말기로 상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른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건설작업조회부; 및 상기 작업조건정보, 상기 매칭조건정보 및 상기 근로자의 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에 일정이 없는 복수의 근로자를 필터링하고, 필터링 된 복수의 근로자의 단말기로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하는 자동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일정정보 및 근로자의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근로자의 일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건설인력 매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작업의 진행기간과 근로자의 일정정보를 고려하여 근로자의 일정이 없는 기간에 수행되는 건설작업을 자동적으로 매칭 해줌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근로자는 건설작업의 공고에 지원할 수 있고, 계약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가 선호하는 지역, 보유공구, 희망급여, 공사종류와 같은 건설작업조건에 따라 근로자가 검색하는 건설작업의 공고와 근로자의 매칭조건간의 매칭률을 제공함으로써, 근로자가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건설작업의 공고를 직관적으로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가 지원한 건설작업의 공고를 한번에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보다 편리하게 자신이 지원한 건설작업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가 지원하여 기업측에서 계약을 하고자 희망하는 건설작업에 대한 공고를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근로자와 기업은 근로계약서를 서로 확인하고, 이에 관련하여 댓글을 통해 의사소통 할 수 있고, 계약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팀을 형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팀이 형성된 근로자들은 팀단위로 일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근로자를 고용하는 기업측에서 보다 필요한 인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고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팀을 형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팀이 형성된 근로자들은 팀단위로 일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근로자는 여러팀에 소속될 수 있음으로 자신이 원하는 조건의 건설작업공고와 매칭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인력 매칭 방법의 전체적인 시스템 형태를 수행하는 전체적인 시스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등록부의 수행에 따른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조건수신부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근로자의 일정정보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조회부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조회부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조회부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조회부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현황부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현황부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관리부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관리부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관리부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관리부의 수행에 따른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관리부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관리부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관리부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인력 매칭 방법의 전체적인 시스템 형태를 수행하는 전체적인 시스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의 기업의 단말기 및 근로자의 단말기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고, 서비스서버(100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기업의 단말기 및 근로자의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웹브라우져 프로그램을 통하여 접속하거나 혹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비스서버(1000)에 접속할 수 있다.
기업의 단말기 및 근로자의 단말기는 각각 상이한 형태의 계정, 예를 들어 기업회원 타입의 계정 혹은 개인(근로자)회원 타입의 계정으로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로그인 할 수 있다.
기업의 단말기 및 근로자의 단말기는 사용자 각각의 ID로 서비스서버(1000)에 로그인하여 서비스서버(1000)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서버(1000)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0)는 건설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근로자를 구하고자 하는 기업이 실시하는 건설작업의 작업조건 및 건설작업의 근로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매칭조건에 따라 건설작업에 적합한 근로자를 매칭하여, 계약을 수행하고, 건설작업에 근로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일정을 개인 혹은 팀단위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건설작업등록부(1100), 매칭조건수신부(1200), 자동매칭부(1300), 건설작업조회부(1400), 지원현황부(1500), 계약관리부(1600), 팀관리부(1700) 및 DB(18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설작업등록부(1100)는,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작업조건정보(1811)를 수신하여 건설작업을 등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건설작업공고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기업은 기업에서 진행하는 건설작업을 수행해 줄 근로자를 고용하기 위하여 건설작업에 대한 작업조건정보(1811)를 기업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건설작업공고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기업의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작업조건정보(1811)는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고, 지원자격(채용직종, 경력, 채용유형, 채용인원), 근무조건(근무기간, 계약조건(시급제, 도급제), 임금, 보험여부), 상세조건(업체지급 준비물, 개인지참 준비물, 부가제공조건, 우대경력)등의 건설작업에 대한 조건정보를 포함한다. 건설작업등록부(1100)는, 이와 같이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작업조건정보(1811)를 수신하여 건설작업을 등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건설작업공고를 생성할 수 있다.
매칭조건수신부(1200)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에 대한 매칭조건정보(1821) 및 일정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근로자는 기업에서 등록한 건설작업에 대한 공고에 지원하기 위하여, 근로자 자신의 경력, 보유공구, 희망급여와 같은 요구조건을 매칭조건정보(1821)로서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칭조건정보(1821)는 교통제공여부, 숙박제공여부, 근로자의 보유공구, 직종, 계약조건(시급제, 도급제), 희망급여(임금), 보험여부 등의 근로자의 이력 및 건설작업 조건에 따른 근로희망사항을 포함한다. 매칭조건수신부(1200)는, 이와 같이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에 대한 매칭조건정보(1821) 및 일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정보는 근로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근로자의 계정으로 기업이 등록한 건설작업공고를 통해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이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칭조건수신부(1200)는, 근로자가 회원가입을 할 때, 매칭조건정보(1821)를 입력 받아 수신할 수도 있고, 건설작업에 대한 검색을 통해 건설작업을 조회하는 건설작업조회부(1400)가 제공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화면을 통해 매칭조건정보(1821)를 입력 받아 수신할 수도 있다.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근로자의 단말기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른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공되는 건설작업공고는 등록된 건설작업공고를 모두 리스트로 제공하거나 혹은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근로자에 적합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후,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 중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 입력에 따른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세정보는 건설작업등록부(1100)에서 수신한 작업조건정보(1811)를 포함한다.
자동매칭부(1300)는, 상기 작업조건정보(1811), 상기 매칭조건정보(1821) 및 상기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에 일정이 없는 복수의 근로자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복수의 근로자의 단말기로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자동매칭부(1300)는,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작업조건정보(1811),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매칭조건정보(1821) 및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를 고려하여 상기 작업조건정보(1811)에 포함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에 일정이 없는 복수의 근로자를 필터링한다. 이후, 필터링된 복수의 근로자의 단말기로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는 수신된 건설작업공고를 선택하여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지원현황부(1500)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지원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현황리스트를 제공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입력에 따라 지원현황리스트의 상제정보를 제공한다. 건설작업조회부(1400)에 의하여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받은 근로자는 해당 건설작업의 근로를 희망하는 경우, 해당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지원요청이 수신된 복수의 건설작업공고를 지원현황리스트로 제공하고, 제공된 리스트 중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지원현황리스트에 포함된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요청을 수신한 서비스서버(1000)는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등록한 기업의 단말기로 지원요청을 송신하고, 해당 건설작업공고의 지원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계약관리부(1600)는,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계약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현황리스트를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입력에 따라 지원현황리스트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계약을 완료한다. 구체적으로,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요청을 수신한 서비스서버(1000)는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등록한 기업의 단말기로 지원요청을 송신하고, 기업의 단말기는 지원요청이 수신된 건설작업에 지원한 근로자 중 계약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단말기로 계약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약관리부(1600)는,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계약요청이 수신된 복수의 건설작업공고를 근로자의 단말기로 계약현황리스트로 제공하고, 제공된 리스트 중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계약현황리스트에 포함된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상세정보를 확인한 근로자는 근로자의 단말기를 통해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고, 서비스서버(1000)는 수신한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에 따라 계약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동작은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에 대한 작업조건정보(1811)를 수신하여 건설작업공고를 생성하고,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통해 매칭조건정보(1821) 및 일정정보에 기초하여 근로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단말기를 매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팀 단위로 근로를 희망하는 근로자에 따라서 팀 단위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 및 일정관리를 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기능을 팀관리부(1700)가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팀관리부(1700)는, 팀을 생성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팀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팀요청을 수신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팀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팀관리부(1700)의 동작으로 각각의 근로자들은 여러 팀에 소속됨으로써, 매칭확률을 높일 수 있고, 기업은 보다 건설작업에 적합한 인력을 채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서버(1000)의 DB(1800)에는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작업조건정보(1811) 및 기업과 근로자가 체결한 계약정보(1812)를 포함하는 기업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매칭조건정보(1821), 근로자가 속한 팀에 대한 팀정보(1822), 및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일정정보 및 근로자의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를 포함하는 근로자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서비스서버(1000)는 도시된 구성요소 외의 다른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표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등록부(1100)의 수행에 따른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업의 단말기에는, 건설작업등록부(1100)의 수행에 따라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작업조건정보(1811)를 수신하여 건설작업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과 같은 화면을 제공받은 기업 혹은 기업의 관리자는 기업의 단말기를 통해, 지원자격(채용공종, 경력, 채용유형(팀,개인), 채용인원), 근무조건(건설작업의 진행기간(근무기간), 계약조건, 임금, 보험여부), 상세조건(업체지급 준비물, 개인지참 준비물, 부가제공조건, 우대경력), 채용마감일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작업조건정보(1811)를 입력할 수 있다. 건설작업등록부(1100)는 이와 같이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작업조건정보(1811)를 수신하여 건설작업공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조건수신부(1200)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의 단말기에서는 매칭조건수신부(1200)의 수행에 따라 건설작업에 대한 매칭조건정보(1821)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와 같은 화면을 제공받은 근로자는 근로자의 단말기를 통해 예를 들어, 선호조건(교통, 숙박, 지역, 보유공구), 매칭조건(직종, 급여, 희망급여)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매칭조건정보(1821)를 입력할 수 있다. 매칭조건수신부는, 이와 같이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매칭조건정보(1821)를 수신하여 DB(18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매칭정보수신부는, 매칭조건정보(1821)와 함께 일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로자는 근로자의 단말기를 통해 근로자 본인의 일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매칭정보수신부는, 일정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서버(1000)의 DB(1800)에 저장할 수 있다. 혹은, 근로자의 단말기에 의하여 건설작업공고에 지원요청을 송신하고, 해당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이 체결되어 계약이 완료된 경우, 근로자의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이 서비스서버(1000)의 DB(1800)에 저장되어 있는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의 단말기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후, 자동매칭부(1300)는, 이러한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 작업조건정보(1811), 및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에 일정이 없는 복수의 근로자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복수의 근로자의 단말기로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일정이 예정된 근로자의 경우, 일정이 확정된 날짜를 제외한 일정이 없는 7월 9일부터 7월 13일까지 혹은 7월16일부터 7월 17일 까지 중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이 해당 날짜에 있는 경우, 관련 건설작업에 대한 공고를 자동매칭부(1300)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를 수신하고, 건설작업의 계약에 따라 업데이트하여 관리하여 저장함으로써,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와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고려하여 근로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건설작업공고를 매칭함으로써, 근로자는 직접 공고를 검색하는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건설작업에 지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조회부(1400)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매칭조건정보(1821)를 수신하고, 매칭조건정보(1821)에 적합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상기 매칭조건정보(1821)에 적합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100);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 중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10);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매칭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률을 도출하는 단계(S120);및 상기 매칭률을 포함하는 해당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단계 S100에서는,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매칭조건정보(1821)에 적합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다.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회원가입시 수신한 매칭조건정보(1821) 혹은, 건설작업조회부(1400)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화면에서 제공되는 매칭조건정보(1821)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매칭조건정보(1821)를 수신하고, 수신한 매칭조건정보(1821)에 적합한 건설작업공고를 필터링하여 해당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 중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한다. 근로자는 자신이 근로자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매칭조건정보(1821)에 따라 제공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 중 자신이 관심 있는 건설작업공고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는,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매칭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률을 도출한다.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는 각각의 세부조건의 일치하는 항목이 많을수록 매칭률은 높게 도출될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단계 S120에서 도출한 매칭률을 포함하는 해당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한다. 자신이 관심 있는 건설작업공고를 선택한 근로자는, 근로자의 단말기를 통해 건설작업조회부(1400)가 도출한 매칭률이 표시된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6의(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자동매칭부(1300)에 의하여 근로자의 단말기로 송신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상기 자동매칭부에 의하여 근로자의 단말기로 송신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140);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50);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매칭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률을 도출하는 단계(S160);및 해당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상기 매칭률을 포함하는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단계 S140에서는,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자동매칭부(1300)에 의하여 근로자의 단말기로 송신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다. 자동매칭부(1300)는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에 근로자의 일정이 없는 복수의 근로자의 단말기로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하고,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이와 같은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근로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계S140에서 제공한 리스트 중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한다. 근로자는 자신의 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일정이 없는 기간에 진행되는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 중 자신이 관심있는 건설작업공고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는,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매칭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률을 도출한다.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는 각각의 세부조건의 일치하는 항목이 많을수록 매칭률은 높게 도출될 수 있다.
단계S170에서는,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단계 S160에서 도출한 매칭률을 포함하는 해당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한다. 자신이 관심있는 건설작업공고를 선택한 근로자는, 건설작업조회부(1400)가 도출한 매칭률이 표시된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근로자는 자신이 입력한 혹은 계약성사에 따라 자동으로 업데이트된 자신의 일정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매칭된 건설작업공고를 수신함으로써, 건설작업을 알아보고 검색해야 하는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신이 입력한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근로자와 건설작업의 매칭률을 제공받음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자신과 적합한 건설작업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조회부(1400)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화면을 근로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건설작업조회부(1400)의 상기 S100단계 및/또는 S140단계의 수행에 따라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매칭조건정보(1821)에 적합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건설작업조회부(1400)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는, 자동매칭부(1300)에 의하여 근로자의 단말기로 송신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자동매칭리스트레이어(L1); 매칭조건정보(1821)를 입력할 수 있는 매칭조건정보입력레이어(L2); 및 매칭조건정보(1821)에 적합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매칭조건검색리스트레이어(L3);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매칭리스트레이어(L1)에서는, 자동매칭부(1300)에 의하여 근로자의 단말기로 송신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다. 자동매칭부(1300)는,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에 기초하여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에 일정이 없는 복수의 근로자의 단말기로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한다.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이와 같이, 자동매칭부(1300)에 의하여 송신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자동매칭리스트레이어(L1)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매칭조건정보입력레이어(L2)에서는, 근로자의 단말기에 매칭조건정보(1821)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근로자의 단말기를 통해 매칭조건정보(1821)를 매칭조건정보입력레이어(L2)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매칭조건정보입력레이어(L2)를 통해 매칭조건정보(1821)를 입력하게 되면 건설작업조회부(1400)는 수신한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매칭조건정보(1821)에 적합한 건설작업공고를 필터링하여 매칭조건검색리스트레이어(L3)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조건정보입력레이어(L2)를 통해 수신된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매칭조건검색리스트레이어(L3)에는 해당 매칭조건정보(1821)에 부합하는 건설작업공고가 디스플레이 된다. 근로자는 이와 같이,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입력한 매칭조건정보(1821)에 부합하는 건설작업공고를 제공받을 수 있고, 검색된 건설작업공고 중 관심 있는 건설작업공고를 선택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조회부(1400)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근로자의 단말기를 통해 도 7과 같은 화면을 제공받은 근로자는 자신이 보다 관심있는 건설작업공고를 선택하여 선택한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은 건설작업조회부(1400)의 상기 S130단계 및/또는 S170단계의 수행에 따라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매칭률을 포함하는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한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건설작업조회부(1400)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작업상세정보레이어(L4);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레이어(L5); 및 상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 및 상기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가 디스플레이되는 일정레이어(L6);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상세정보레이어(L4)에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선택 입력된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업의 단말기에서 건설작업공고 등록 시 입력한 지원자격(경력, 공종 등), 근무조건(유형, 급여, 지역, 근무기간 등), 채용내용, 건설장 위치, 및 제출서류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작업조건정보(1811)가 포함되는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매칭률레이어(L5)에는, 건설작업조회부(1400)가 상기 단계S110 혹은 단계S150의 수행을 통해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도출된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매칭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률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조건정보(1811) 및 상기 매칭조건정보(1821)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일치하는 항목의 수 및 일치하는 정도를 퍼센테이지로 환산하여 총 매칭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률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일정레이어(L6)에는 해당 건설작업의 진행기간 및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건설작업의 진행기간과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를 함께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근로자는 자신의 일정과 해당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설작업의 지원여부를 빠르게 결정하거나, 다른 건설작업의 일정과 조율하는 등 자신의 스케쥴을 효율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작업조회부(1400)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제공받은 근로자는 매칭률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근로자의 단말기를 통해 매칭률레이어(L5)를 선택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된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의 세부사항마다 매칭률이 계산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다 구체적인 매칭조건정보(1821)의 매칭률을 확인함으로써 근로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건설작업을 선택하여 지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현황부(1500)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설인력 매칭 시스템은, 지원현황부(1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원현황부(1500)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지원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현황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200);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지원현황리스트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1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지원현황부(1500)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지원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현황리스트를 제공한다. 상기 도 8 혹은 도 9와 같은 화면을 제공받은 근로자는 근로자의 단말기를 통해 확정지원 및/또는 협의지원과 같은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지원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현황리스트를 제공한다.
단계 S210에서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지원현황리스트에 포함되는 건설작업공고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도 10은 지원현황부(1500)의 상기 S200단계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도시하고, 도 11은 지원현황부(1500)의 상기 S210단계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현황부(1500)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지원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현황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은 화면을 제공받은 근로자는 자신이 지원한 건설작업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고, 각각의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절차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고에 따라 근로자가 지원요청만을 하고 기업에선 확인하지 않은 경우 검토대기의 상태로 나타나고, 기업에서 근로자의 지원요청을 확인 후 면접요청을 한 경우 면접요청의 상태로 나타남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원현황부(1500)가 제공하는 화면을 통해 근로자는 자신이 지원한 건설작업과 건설작업에 대한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후,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지원현황부(1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원현황부(1500)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는,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레이어(L7);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의 지원절차진행단계가 디스플레이되는 지원현황레이어(L8); 및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상세정보레이어(L9);를 포함한다.
상기 매칭률레이어(L7)에는,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근로자는 매칭률레이어(L7)에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을 통해 지원한 건설작업과 자신의 매칭정도를 고려할 수 있다. 매칭률레이어(L7)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인 매칭률에 관한 상세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지원현황레이어(L8)에는,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의 지원절차진행단계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의 단말기에서는, 지원현황레이어(L8)를 통해 자신이 지원한 건설작업의 지원절차진행단계가 디스플레이 된다. 지원현황레이어(L8)에 디스플레이되는 지원절차진행단계는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의 단말기에서 근로자의 지원요청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토대기상태가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지원현황레이어(L8)에 표시될 수 있고, 이후, 기업의 단말기에서 지원요청을 확인함에 따라 면접요청을 한 경우에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지원현황레이어(L8)에 면접요청상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상세정보레이어(L9)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건설작업에 지원한 지원일시, 지원형태, 상세정보(모집직종, 시공사, 진행기간, 급여, 현장위치, 유형 등) 및 문의처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지원현황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이 지원현황부(1500)는 지원요청이 수신된 건설작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근로자의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근로자는 보다 구체적인 정보 및 매칭률, 지원절차진행단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관리부(1600)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설인력 매칭 시스템은, 계약관리부(1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약관리부(1600)는,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계약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현황리스트를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300); 상기 계약현황리스트 중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선택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상세정보제공단계(S310); 및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계약을 완료하는 계약완료단계(S320);를 수행한다.
단계 S300에서는, 계약관리부(1600)는,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계약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현황리스트를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한다. 기업의 단말기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지원요청을 송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지원요청을 확인할 수 있고, 지원요청을 송신한 근로자의 단말기로 계약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0)는 이와 같이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계약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현황리스트를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한다.
단계 S310에서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계약현황리스트에 포함되는 건설작업공고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S320에서는, 계약관리부(1600)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계약을 완료한다.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계약요청이 수신된 건설작업에 대한 리스트 및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근로자는 계약을 원하는 경우,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계약관리부(1600)는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계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약관리부(1600)는 근로자가 지원한 건설작업에 대해 기업과 근로자간의 계약 체결에 대한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함으로써, 근로자와 기업간의 계약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관리부(1600)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계약관리부(1600)의 상기 S300단계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도시하고, 도 14는 계약관리부(1600)의 상기 S310단계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약관리부(1600)는,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계약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현황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은 화면을 제공받은 근로자는 자신이 지원한 건설작업 중 기업에서 계약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고, 각각의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절차진행단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고에 따라 기업에서 계약요청만을 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는 계약요청에 대한 어떠한 응답을 하지 않은 경우 계약대기의 상태로 나타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기업의 계약요청을 확인하여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한 경우 계약확인의 상태로 나타남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약관리부(1600)가 제공하는 화면을 통해 근로자는 자신이 지원한 건설작업 중 기업으로부터 계약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과, 해당 건설작업들에 대한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약관리부(1600)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된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약관리부(1600)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는,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레이어(L10);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의 계약절차진행단계가 디스플레이되는 계약현황레이어(L11);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상세정보레이어(L12);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에 대한 근로계약서가 디스플레이되는 계약서레이어(L13); 및 기업의 단말기 및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댓글을 입력할 수 있는 댓글레이어(L14);를 포함한다.
상기 매칭률레이어(L10)에는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근로자는 매칭률레이어(L10)에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을 통해 지원한 건설작업과 자신의 매칭정도를 고려할 수 있다. 매칭률레이어(L10)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인 매칭률에 관한 상세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계약현황레이어(L11)에는 근로자의 단말기 혹은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의 계약절차진행단계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의 단말기에서는, 계약현황레이어(L11)를 통해 자신이 지원한 건설작업의 계약절차진행단계가 디스플레이 된다. 계약현황레이어(L11)에 디스플레이되는 계약절차진행단계는 근로자의 단말기 혹은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요청을 확인하지 않거나,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지 않은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약대기단계가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계약현황레이어(L11)에 표시될 수 있고, 이후,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 경우에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계약현황레이어(L11)에 계약확인단계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상세정보레이어(L12)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건설작업에 지원한 지원일시, 계약일시, 상세정보(모집직종, 시공사, 진행기간, 급여, 현장위치, 유형 등) 및 문의처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계약현황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상기 계약서레이어(L13)에는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에 대한 근로계약서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는 기업과 근로자간의 체결될 계약에 대한 근로계약서를 계약서레이어(L1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댓글레이어(L14)에서는 기업의 단말기 및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댓글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기업(혹은 기업의 관리자) 및 근로자는 댓글레이어(L14)를 통해 댓글을 입력하여 서로의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약서레이어(L13)에 디스플레이 된 계약서의 내용의 수정을 원하는 경우, 근로자는 계약서 수정에 관한 의견을 댓글로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확인한 기업 혹은 기업의 관리자는 근로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근로계약서의 내용을 수정하고, 댓글을 통해 해당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계약관리부(1600)는 이와 같은 화면을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근로자 는 근로계약서 작성과정과 같은 번거로운 계약절차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기업과 근로자사이의 계약체결절차가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관리부(1600)의 수행에 따른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근로자의 단말기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요소는,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에 대한 근로계약서가 디스플레이되는 계약서레이어(L13); 및 기업의 단말기 및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댓글을 입력할 수 있는 댓글레이어(L14);를 포함한다. 상기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된 계약서에 대한 내용의 수정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기업의 단말기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계약서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약관리부(16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업의 단말기로 근로계약서를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근로계약서 세부항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근로계약서의 등록 및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관리부(1700)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건설인력 매칭 시스템은, 팀관리부(1700)를 더 포함하고, 도 1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팀관리부(1700)는, 팀을 생성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팀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상기 팀요청을 수신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팀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팀을 생성하는 팀생성단계(S400); 및 생성된 상기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를 업데이트하는 팀일정정보관리단계(S410);를 수행하고, 상기 팀일정정보관리단계는, 상기 팀을 생성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이 완료된 경우, 상기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상기 팀에 소속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에 업데이트한다.
팀생성단계(S400)에서는, 팀관리부(1700)는 복수의 근로자의 단말기에 팀을 생성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팀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상기 팀요청을 수신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팀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팀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단계 (a)에서는, 팀관리부(1700)에 의하여, 팀을 생성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다른 근로자의 단말기로의 팀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b)에서는 팀관리부(1700)에 의하여, 수신한 상기 팀요청을 해당 근로자의 단말기로 송신한다.
단계 (c)에서는 상기 팀요청을 수신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팀요청에 대한 응답을 팀관리부(1700)로 송신한다.
단계 (d)에서는, 팀관리부(1700)에 의하여, 수신한 상기 팀요청에 대한 응답에 따라 팀을 생성한다.
단계 (e)에서는, 생성한 상기 팀에 대한 알림을 각각의 근로자의 단말기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팀관리부(1700)는 팀을 생성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팀요청을 해당 근로자의 단말기로 전달하고, 팀요청에 대한 응답에 따라 팀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팀생성단계(S400)은 상기 단계 (a) 내지 단계 (e)에 상응할 수 있다.
이후, 단계 팀일정정보관리단계(S410)단계에서는, 생성된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를 업데이트한다. 팀관리부(1700)는, 단계 S400에서 팀이 생성되고 나면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를 팀을 생성한 근로자의 일정에 따라 관리할 수 있다. 팀이 생성되면 팀을 생성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는, 팀을 채용하는 건설작업공고에 지원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지원요청에 따라 상기 팀을 생성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이 완료된 경우, 상기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상기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를 업데이트 한다. 팀을 생성한 근로자는 본인 및 팀에 속한 근로자들의 일정 및 매칭조건(지역, 보유공구, 직종 및 급여 등)을 고려하여 자신의 팀에 적합한 건설작업의 공고에 지원요청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9년 10월 7일부터 2019년 10월 18일까지의 진행하는 건설작업공고에 팀을 생성한 관리자가 지원요청하여 계약이 체결된 경우, 해당 건설작업의 2019년 10월 7일부터 2019년 10월 18일까지의 진행기간이 팀에 속한 근로자들의 일정정보에 업데이트된다. 이와 같이, 팀을 생성하여 팀단위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고, 일정정보를 관리함으로써 개인은 자신의 역량에 따라 개인으로, 혹은 다른 근로자들과 협업하여 팀으로서 건설작업에 지원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팀에 속하여 보다 다양한 건설작업공고와 매칭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자동매칭부(1300)는, 이와 같은 팀관리부(1700)의 수행에 따라 생성된 팀 및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 매칭조건정보(1821) 및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1811)에 기초하여 팀 단위로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하여 자동매칭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동매칭부(1300)는, 등록된 상기 건설작업공고 중 상기 작업조건정보(1811)에 포함되는 채용유형이 팀인 경우, 상기 팀관리부(1700)에 의하여 생성된 복수의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 상기 매칭조건정보(1821) 및 상기 작업조건정보(1811)에 기초하여 채용유형이 팀인 상기 건설작업공고의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에 일정이 없는 적합한 복수의 팀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복수의 팀을 생성한 근로자의 단말기로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할 수 있다.
팀단위의 건설작업의 근로는 상기 팀관리부(1700)의 팀일정정보관리단계의 수행에 따라,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가 업데이트되어 관리되고, 각각의 근로자 개인의 근로 또한 근로자의 지원요청 및 계약체결 현황에 따라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가 관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매칭부(1300)는, 등록된 건설작업공고 중 팀을 채용하는 건설작업공고의 경우, 상기 팀관리부(1700)에 의하여 생성된 복수의 복수의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 상기 매칭조건정보(1821) 및 상기 작업조건정보(1811)에 기초하여 건설작업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팀을 필터링하고, 필터링한 팀을 생성한 근로자의 단말기로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자동매칭부(1300)의 동작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건설작업공고 1)
현대건설 성남 시영아파트 모집
지역 : 성남
근무기간 : 2019년 11월 4일 ~ 2019년 11월 22일
채용유형 : 팀
채용인원 : 4명
선호 채용직종 : 용접공 2명, 토목공 1명, 타일공 1명
일급 : 150,000
(팀A)
팀구성원 : 용접공 2명, 도장공 1명, 토목공 2명, 타일공 1명 소속
팀일정
XX건설 **아파트 공사 2019년 11월 1일 ~ 2019년 11월 15일
(팀B)
용접공 2명, 토목공 2명, 도장공 3명, 타일공 3명 소속
팀일정
OO건설 @@아파트 공사 2019년 11월 1일 ~ 2019년 11월 15일
(팀C)
용접공 3명, 토목공 2명, 타일공 1명, 철근콘크리트공 2명 소속
팀일정
YY건설 ++아파트 공사 2019년 11월 25일 ~ 2019년 12월 5일
이와 같은 경우에, 팀A, B 및 C는 건설작업공고1에서 구하고자 하는 직종인 용접공 2명, 토목공 1명 및 타일공 1명이 모두 충족되고 있다. 그러나, 팀 A의 경우, 이전에 계약이 체결된 다른 건설작업의 일정이 11월 1일부터 11월 15일 까지로 건설작업공고1의 근무기간에 겹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팀 B의 일정 또한, 11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로서 건설작업공고1의 근무기간에 겹치고 있다. 팀 C의 경우, 선호직종 및 모집인원을 모두 충족하고 있고, 팀의 일정 또한 상기 건설작업공고1의 근무기간에 겹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자동매칭부(1300)는, 팀C를 생성한 근로자의 단말기로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하여 해당 팀과 건설작업을 매칭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적합한 건설작업공고를 수신한 팀을 생성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는, 건설작업공고를 확인하고 이후 지원 및 계약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예는 최소한의 매칭조건만을 표시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매칭조건을 포함할 수 있고, 설명한 예시의 항목 외에도 다른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동매칭부(1300)의 동작에 있어서 기업의 단말기에서 입력한 작업조건정보(1811),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입력한 매칭조건정보(1821) 및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는 일부 혹은 전부가 고려되어 적합한 건설작업정보가 상기 팀관리리부에 의하여 생성된 팀과 매칭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팀단위로 적합한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해주는 자동매칭을 수행함으로써, 기업은 건설작업에 적합한 근로자를 보다 쉽게 채용할 수 있고, 근로자는 다양한 팀에 속하여 근로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만족도 높은 건설작업의 근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관리부(1700)의 수행에 따른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팀관리부(1700)에 의하여, 팀생성단계(S400) 수행에 따라 근로자의 단말기에 팀요청을 송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요소가 디스플레이 된 것을 도시하고, 도 18은 상기 팀생성단계의 수행으로 팀이 생성되어,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팀을 생성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팀생성을 위한 입력을 하게 되면, 팀관리부(17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합한 매칭조건을 가진 다른 근로자를 검색할 수 있다. 직군, 경력, 및 선호근무지역과 같은 각각의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입력한 매칭조건정보(1821)에 기초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매칭조건에 적합한 근로자의 리스트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검색리스트를 검색을 수행한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한다. 검색리스트를 제공받은 근로자의 단말기에서는, 팀요청에 대한 입력(예를 들어 클릭)을 하여 팀의 구성원으로서 초대하고 싶은 근로자의 단말기로 팀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팀요청을 수신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는, 팀요청에 수락하는 응답을 송신하거나 혹은 팀요청을 거절하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고, 팀요청에 수락하는 응답을 송신한 근로자는 해당 팀에 속할 수 있다.
도 18은 이와 같은 팀요청에 수락하는 응답을 송신한 1 이상의 근로자들로 팀이 생성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팀을 생성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는 자신의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고, 근로자 개인의 일정정보 및 팀단위로 체결된 계약의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근로자의 일정정보(1823)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어 자신의 일정을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 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건설작업의 근로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단말기 및 건설작업의 근로자를 구하고자 하는 기업의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으로서,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작업조건정보를 수신하여 건설작업을 등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건설작업공고를 생성하는 건설작업등록단계;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에 대한 매칭조건정보 및 일정정보를 수신하는 매칭조건수신단계;
    근로자의 단말기로 상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른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건설작업조회단계; 및
    상기 작업조건정보, 상기 매칭조건정보 및 상기 근로자의 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에 일정이 없는 복수의 근로자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복수의 근로자의 단말기로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하는 자동매칭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일정정보 및 근로자의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근로자의 일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설작업조회단계는,
    상기 매칭조건정보에 적합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 중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매칭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률을 도출하는 단계;및
    상기 매칭률을 포함하는 해당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설작업조회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작업상세정보레이어;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레이어; 및
    상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 및 상기 근로자의 일정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일정레이어;를 포함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설작업조회단계는,
    상기 자동매칭단계에 의하여 근로자의 단말기로 송신된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매칭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률을 도출하는 단계;및
    해당 건설작업과 근로자의 상기 매칭률을 포함하는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설인력 매칭 방법은,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지원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지원현황리스트를 제공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지원현황리스트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지원현황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원현황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는,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레이어;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의 지원절차진행단계가 디스플레이되는 지원현황레이어; 및
    지원요청된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상세정보레이어;를 포함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설인력 매칭 방법은, 계약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약관리단계는,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계약요청을 수신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현황리스트를 근로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계약현황리스트 중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선택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건설작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상세정보제공단계; 및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계약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계약을 완료하는 계약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계약관리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는,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의 작업조건정보 및 근로자의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매칭률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률레이어;
    근로자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의 계약절차진행단계가 디스플레이되는 계약현황레이어;
    기업의 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계약요청된 건설작업에 대한 근로계약서가 디스플레이되는 계약서레이어; 및
    기업의 단말기 및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댓글을 입력할 수 있는 댓글레이어;를 포함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설인력 매칭 방법은, 팀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팀관리단계는,
    팀을 생성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팀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상기 팀요청을 수신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팀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팀을 생성하는 팀생성단계; 및
    생성된 상기 팀에 속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팀일정정보관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팀일정정보관리단계는,
    상기 팀을 생성한 근로자의 단말기에서 건설작업에 대한 계약이 완료된 경우, 상기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상기 팀에 소속된 1 이상의 근로자의 일정정보에 업데이트하는, 건설인력 매칭 방법.
  10. 건설작업의 근로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단말기 및 건설작업의 근로자를 구하고자 하는 기업의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서버에 의하여 구현되는 건설인력 매칭 시스템으로서,
    기업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작업조건정보를 수신하여 건설작업을 등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건설작업공고를 생성하는 건설작업등록부;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작업에 대한 매칭조건정보 및 일정정보를 수신하는 매칭조건수신부;
    근로자의 단말기로 상기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근로자의 단말기의 건설작업공고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른 건설작업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건설작업조회부; 및
    상기 작업조건정보, 상기 매칭조건정보 및 상기 근로자의 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에 일정이 없는 복수의 근로자를 필터링하고, 필터링 된 복수의 근로자의 단말기로 해당 건설작업공고를 송신하는 자동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일정정보 및 근로자의 계약이 완료된 건설작업의 진행기간을 포함하는 근로자의 일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건설인력 매칭 시스템.
KR1020190124695A 2019-10-08 2019-10-08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1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695A KR20210041900A (ko) 2019-10-08 2019-10-08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695A KR20210041900A (ko) 2019-10-08 2019-10-08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900A true KR20210041900A (ko) 2021-04-16

Family

ID=7574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695A KR20210041900A (ko) 2019-10-08 2019-10-08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9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694B1 (ko) * 2022-03-22 2022-09-0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694B1 (ko) * 2022-03-22 2022-09-0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WO2023182724A1 (ko) * 2022-03-22 2023-09-2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1305B2 (en) Account level participation for underwriting components
US8285578B2 (en) Manag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infrastructure of an enterprise using a centralized logistics and management (CLAM) tool
US20050187881A1 (en) System and data structure for account management
US201503565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ulfilling labor requirements
KR101963442B1 (ko) P2p 기반 전문인력매칭을 이용한 건설사업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0260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virtual staffing agency
US20110055099A1 (en)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Healthcare Organizations on a Temporary Basis
US20170011325A1 (en) Provisioning An Integrated Recruiting, Training and Financing Service Via A Network
US20180012188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workforce relationships
US201503565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ulfilling labor requirements
KR20210103313A (ko) 급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1371A (ko) 아르바이트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41900A (ko)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
US114553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e opportunity management and volunteer management
US20030233586A1 (en) Total service support system for employees and method therefor
US201401294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labour resources
JP2008197726A (ja) 求人求職支援サーバ
JP7308382B2 (ja) 人材紹介業者間のアライアンスサポートシステム
JP7034457B1 (ja) 求人紹介システム
JP2007079900A (ja) 人材マッチ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マッチング方法
KR20150063971A (ko) 업체 유휴 인력을 활용한 아웃소싱 시스템 및 방법
JP2003108794A (ja) ジョブ管理方法およびアサインシステム
US2017035794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personnel records database
JP2020016990A (ja) 人材紹介方法および人材紹介システム
US202303344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agency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