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770A - 소마티드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용기 - Google Patents

소마티드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770A
KR20210040770A KR1020200082799A KR20200082799A KR20210040770A KR 20210040770 A KR20210040770 A KR 20210040770A KR 1020200082799 A KR1020200082799 A KR 1020200082799A KR 20200082799 A KR20200082799 A KR 20200082799A KR 20210040770 A KR20210040770 A KR 20210040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od
aging container
aging
somat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010B1 (ko
Inventor
변재현
Original Assignee
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현 filed Critical 변재현
Publication of KR2021004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1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for moulded articles undergoing a thermal treatment at high temperatures, such as burning, aft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0Dry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마티드(somatid)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소마티드 성분 1.0~2.1 중량%, 카올린나이트(kaolinite) 3~5 중량% 및 오색혈토 성분 92.9~96.0 중량%를 포함하는 점토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점토를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성형체를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마티드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용기{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aging container containing somatid ingredients and aging container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소마티드(somatid)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소마티드 성분 1.0~2.1 중량%, 카올린나이트(kaolinite) 3~5 중량% 및 오색혈토 성분 92.9~96.0 중량%를 포함하는 점토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점토를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성형체를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스퇴르와 동시대의 비쉠(Bechamp)이 발효의 원인이 되는 작은 생명체를 발견하고 이를 작은 생명체(tiny body), 혹은 발효체라는 의미를 갖는 마이크로지마(Microzyma)라고 이름을 붙였으며, 발효를 일으키는 생명체로서 이것이 있어야 발효가 일어나고, 인간이 만든 순수한 소재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죽지 않고 자연계에서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담당하고 있고, 생명체에 존재하는 독립적인 해부학적 요소, 혈액의 제3 구성 요소로 나타낸 바 있다.
아울러, 비쉠은 마이크로지마가 천연 광물 중에도 존재한다고 밝혔으나 이의 특성이나 응용에 대해서는 발효 외에 밝힌 바가 없다.
그리고, 비쉠 이후로 엔더라인(Gunther Enderlein), 버나드(Claude Bernard), 라이히(Wilhelm Reich), 라이프 (Royal Reif), 리빙스턴(Virginia Livingston-Wheeler) 등이 유사한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으며, 캐나다의 네센(Gaston Naessens) 박사가 자신이 개발한 30,000배 이상의 특수 광학 현미경으로 혈액을 관찰하면서 아주 작은 생명체를 발견하고 이를 소마티드(somatid)라고 명명하였다. 이어, 네센(Gaston Naessens)은 수십 년 동안 평생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소마티드가 갖는 인체에 대한 순기능적 특성을 아래와 같이 발표하였다.
(1) 소마티드는 DNA의 전구체(precursor)이며 이것은 소마티드가 물질 분자와 생명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DNA 간의 연결고리임을 의미한다.
(2) 물질과 생명의 중간이라고 평가되는 바이러스는 숙주가 있어야 계속 존재할 수 있으나 소마티드는 외부에서의 영양 공급이 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 생체 안에서나 유리(glass) 속에서나 살아 생존하는 특성이 있다.
(3) 소마티드는 에너지의 응결체(concretization of energy)이며, 이것이 있어야 세포분열을 유도하는 세포증식호르몬(trephone)이 생성되기 때문에 이것이 없으면 세포 분열이 불가능함. 따라서 소마티드는 생명의 근원이 된다.
(4) 소마티드는 DNA나 RNA가 없음에도 유전정보를 지니고 있음. 바이러스는 DNA 입자, 혹은 조각만을 가지고 있지만 소마티드는 DNA의 생성을 유도하는 전구체이다.
(5) 기본적으로 전기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소마티드의 핵은 양으로, 막은 음으로 대전되어 있다. 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나 세포보다 작은 0.2 um 이하의 크기로서 생명체의 최소 기본단위이다.
(6) 가장 작은 살아있는 에너지 응결체(tiny living condensers of energy)이어서 줄기세포보다도 더 근원적인 생명단위이며 따라서 줄기세포와 같은 응용이 가능하다.
(7) 아세포(subcellular) 상태로서 재생이 가능하며, 200
Figure pat00001
이상의 탄화가 일어나 고온에서도 죽지 않고, 강산에서도 견디며, 50,000rem 의 방사선에도 죽지 않고, 건조한 상태에서는 결정과 유사한 형태가 되는데 다이아몬드, 칼의 종류에도 잘라지지 않을 정도로 단단하고, 적절한 환경이 될 때까지 포자와 유사한 형태로 수백만 년도 견딜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인체에 순기능을 제공하는 소마티드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일본 공개특허 제2006-166738호 (2006.06.29)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현대 사회에서 즉석으로 조리하여 섭취하는 인스턴트 식품에 대한 유해성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발효 내지 숙성 조리된 식품이 건강식품으로서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식품들은 영약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식품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
하지만, 이러한 발효 또는 숙성 식품들은 숙성 시간이 장기간 소요되므로,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는 이용에 한계가 있다.
KR 10-1515208 B KR 10-1559138 B KR 10-1593108 B KR 10-1346306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마티드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음식물 숙성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된 음식물 숙성 용기에 음식물을 넣고 숙성시킴으로써, 음식물의 숙성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마티드(somatid)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a) 소마티드 성분 1.0~2.1 중량%, 카올린나이트(kaolinite) 3~5 중량% 및 오색혈토 성분 92.9~96.0 중량%를 포함하는 점토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점토를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성형체를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음식물 숙성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음식물 숙성 용기에 음식물을 투입하고 상기 음식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기간의 단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음식물은 김치, 육류, 치즈, 소금, 젓갈, 물 및 발효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용기는 장기간 숙성이 필요한 식품의 숙성 시간을 현저히 감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해한 미생물 균에 의해 음식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숙성 용기에서 숙성된 식품은 영양학적 성분 및 관능성이 우수하여 식품 산업에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마티드 성분을 추출 및 성형하여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음식물 숙성 용기의 실물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물 숙성 용기가 폐렴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 대한 우수한 제거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는 분석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소마티드 성분에 관심을 가져 이를 음식물 숙성 용기 제조 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숙성이 필요한 식품의 숙성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장기간 숙성시킨 식품과 비교하여 관능성 및 영양학적 평가가 동등 또는 더 우수한 결과를 얻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a) 소마티드(somatid) 성분 1.0~2.1 중량%, 카올린나이트(kaolinite) 3~5 중량% 및 오색혈토 성분 92.9~96.0 중량%를 포함하는 점토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점토를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성형체를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토는 소마티드 성분 1.0~2.1 중량%, 카올린나이트(kaolinite) 3~5 중량% 및 오색혈토 성분 92.9~96.0 중량%를 포함하는 점토를 성형 및 소성시켜 제조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소마티드 성분이라 함은 광물 중에 존재하는 광물계 소마티드가 포함된 광물계 소마티드 분말을 의미한다. 소마티드 성분의 바람직한 제조 공정은 아래와 같다:
1) SiO2, Al2O3, Fe2O3, MgO3, K 등의 성분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모두 함유된 천연 광석을 채취하는 단계;
2) 채취된 천연광물을 분쇄하는 천연광물 건식분쇄하는 단계;
3) 건식분쇄된 천연광물을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
4) 열처리된 천연광물을 습식분쇄시켜 천연광물에 포함된 광물계 소마티드를 추출하는 광물계 소마티드 추출단계; 및
5) 추출된 광물계 소마티드를 건조시켜 세라믹 파우더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 및 2)의 천연광물 채취 및 건식분쇄 공정은 식물이 건강하게 잘 자라는 특정 지역의 표층에 위치하는 광물을 채취하는 채취 공정과, 채취된 광물을 일정 크기로 분쇄하는 건식분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채취 공정은 황토, 맥반석, 옥, 게르마늄, 토르말린, 제오라이트, 고령토, 벤토나이트, 수정을 포함하는 천연광물 중에서 SiO2, Al2O3, Fe2O3, MgO3, K 등의 성분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모두 함유된 장석 계열의 점토광물을 채굴하되, 생체에 유해한 중금속이나 방사능 물질이 없고, 오염되지 않은 천연광물을 땅속에서 채굴하는 공정이다.
아울러, 천연광물 분쇄공정은 채취된 광물들을 알루미나볼밀(알루미나 회전 연마)과 제트밀(jet mill)을 이용하여 건식 공법으로 325 mesh 이하의 광물을 분말로 분쇄하는 공정으로, SiO2, Al2O3, Fe2O3, MgO3, K 등의 성분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모두 포함되어 있는 분말만을 분류 및 추출하도록 하는 광물분말 분류 단계를 더 수행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3)의 열처리 공정은 천연광물 채취 및 분쇄 공정으로부터 분쇄된 광물 분말을 200~1,000 ℃의 고온에서 1~2 시간 동안 가열하여 불순물과 잔류 유기물들을 제거함으로써, 광물분말들의 응집 현상을 완화시키고, 광물분말의 유동도를 극대화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단계 4)는 열처리가 완료된 광물분말을 습식분쇄시키는 공정과, 습식분쇄가 완료된 광물분말을 건조시켜 광물분말에 포함된 광물계 소마티드를 추출하는 광물계 소마티드 추출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습식분쇄 공정은 광물분말과 물 또는 증류수를 총중량에 있어서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고, 상온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습식분쇄시킴으로써, 광물분말 내에서 휴먼 상태로 존재하는 광물계 소마티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러한 습식분쇄 공정은 광물분말 10~80 중량%와, 물 또는 증류수 20~9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구성하고, 혼합이 완료되면, 이 혼합물을 소정의 용기에 저장한 뒤, 1일 동안 25℃, 습도60%에서 비중이 무거운 물질은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광물계 소마티드 추출공정은 침전된 혼합물을 소성기 안으로 투입하고, 180 ℃ 이내의 고온에서 30분 내지 2시간 회전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건조기를 통해 250 ℃의 온도로 3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1차 건조와, 800℃의 고온으로 가열 및 건조하는 2차 건조가 이루어지며, 2차 건조 후에도 생존하는 광물계 소마티드 분말을 광물분말로부터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카올린나이트(kaolinite)는 원적외선이 점토 내 공기, 더불어 상기 점토로 형성된 용기 내 공기를 이온화되기 쉽게 활성화시켜 준다. 원적외선은 독일의 물리학자이며 19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받은 빌헬름빈(Willhelm Wein 1864 ~ 1928)이 원적외선 및 열복사 이론을 완성시켰다. 이와 같은 원적외선의 방사는 진동적 분자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세포 조직에 대하여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원적외선이 발산하는 광석으로는 게르마늄, 포졸란, 맥반석 등이 있다. 또한, 카올린 나이트의 화학 성분은 Al2Si2O5(OH)4이며, 납석이 포함되는 천연 광물로 등전점이 pH6 내지 7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색혈토란, 항아리 만드는 많은 흙 중 가장 정점에 있는 흙으로서, 일반 황토와 다르게 국내에서는 도지사의 허가증을 받은 업체 및 개인 딱 2군데에서만 출토가 되고 있으며, 현재에는 영산강변에서만 출토하고 있다. 오색혈토는 실제로 보면 빨간색이며, 흙을 처음 파 보았을 시 사람의 핏줄처럼 흙에도 핏줄이 퍼져 있는 것이 보이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보통 이 흙을 옹기 장인들은 살아 있는 흙이라고 하며, 이 흙만으로도 옹기 안에서 발효되는 모든 것의 맛이 좋아지는 것을 직접 체험하였다는 증언도 있다. 또, 오색혈토는 점도도 높아서 손자국을 내었을 시 그 모양을 다른 외압에 의해 변형시키지 않는 한 모양이 흐트러짐이 없다. 오색혈토의 또 다른 특징은, 일반 항아리를 굽는 흙의 온도보다 15 ℃ 정도 높은 온도에서 구워야 하는 특징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토는 소마티드 성분 1.0~2.1 중량%, 카올린나이트(kaolinite) 3~5 중량% 및 오색혈토 성분 92.9~9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점도조절제, 코팅제, 보존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토를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데, 이 때, 상기 성형체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성형될 수 있으며, 식품을 투입한 후 숙성시키는 동안 외부 공기와 접촉을 가급적 제한하기 위하여 별도의 뚜껑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된 성형체는 일정 온도로 세팅된 가마에 투입하여 소성시킴으로써 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소성 온도는 1,280~1,350 ℃에서 5~4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80~1,350 ℃에서 30~40 시간 동안 수행한다. 소성 시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가 중요한 사항이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성형체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성 처리한 성형체에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항균 코팅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팅제는 장석 60~70 중량%, 카올린나이트(kaolinite) 5~10 중량%, 활석 1~5 중량%, 규회석 1~5 중량% 및 항균 물질 10~35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석, 카올린나이트(kaolinite), 활성, 규회석의 성분은 종래 도자기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성분이며, 이에 항균 물질을 더 혼합함으로써, 항균 코팅 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코팅제를 제조하여, 상기 소성시킨 용기에 분사 및 도포하여 코팅 처리를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음식물 숙성 용기를 제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음식물 숙성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숙성 용기는 다양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장기간 숙성을 요하는 식품의 숙성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식물 숙성 용기를 사용하여 식품을 숙성시키는 경우, 숙성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원래 알려진 식품의 숙성 기간 동안 숙성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우수한 관능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음식물 숙성 용기에 음식물을 투입하고 상기 음식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기간의 단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음식물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숙성 과정을 거치면 관능성이 보다 우수해지는 것으로 알려진 식품류, 예를 들면, 김치, 육류, 치즈, 소금, 젓갈, 물 또는 발효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숙성 기간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즈의 경우 1일의 숙성으로 7일 동안 장기 숙성시킨 치즈와 동일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고, 천일염의 경우 20일의 숙성만으로 통상 1년 이상 숙성시키는 천일염과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통주의 경우 5개월의 숙성만으로 2년 숙성시킨 전통주와 유사 또는 더 우수한 맛과 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숙성 기간 단축 방법을 사용하면, 3~10배 이상의 숙성 기간 단축 효과를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를 기재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의 기재 사항의 범위 내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
소마티드 성분 1.0~2.1 중량%, 카올린나이트(kaolinite) 3~5 중량% 및 오색혈토 성분 92.9~96.0 중량%로 배합된 점토를 준비하고, 상기 점토를 성형하여 용기 형태 및 용기의 뚜껑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체를 가마에 넣어 1,250 ℃에서 40 시간 동안 소성시킨 후, 상온에서 1일 동안 방치하여, 음식물 숙성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의 성분 분석을 한국MSDS시험원에서 실시하고, 성분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실험예 2. 안정성 평가
2-1. 중금속 검출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의 중금속(크로뮴, 비소, 카드뮴, 수은, 납 등) 검출 여부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는 중금속을 전혀 배출하고 있지 않아, 중금속으로부터 안전한 용기임을 알 수 있다.
2-2. 암모니아 소취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의 암모니아 소취 시험을 한국분석시험연구원에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는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하고, 30분 경과 후 최초 가스농도의 75%를 소취하였으며, 120분 경과 후에는 98%의 소취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상기 숙성 용기가 인체에 유해한 암모니아에 대하여 우수한 제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3. 폼알데하이드 탈취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의 폼알데하이드 탈취 시험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는 폼알데하이드를 주입하고, 30분 경과 시점부터 최초 가스농도의 97.4%를 탈취하여 우수한 제거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상기 숙성 용기가 인체에 유해한 폼알데하이드에 대하여 우수한 제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원적외선 방사율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의 원적외선 방사율 분석을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는 원적외선 방사를 발생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원적외선은 독일의 물리학자이며 19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받은 빌헬름빈(Willhelm Wein 1864 ~ 1928)이 원적외선 및 열복사 이론을 완성시켰다. 이와 같은 원적외선의 방사는 진동적 분자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세포 조직에 대하여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에 음식물을 투입하여 숙성시킬 때, 숙성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그럼에도 숙성도가 떨어지지 않는 음식을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 4. 항균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의 항균 효과를 한국분석시험연구원에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9
표 6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숙성 용기는 폐렴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99.9% 제거 가능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숙성 정도 및 시간 평가
동치미를 제조하고, 이를 숙성 용기와 일반 용기에 나눠 담고, 숙성 용기는 2일 동안, 일반 용기는 7일 동안 숙성시켰다. 주방장 그룹을 대상으로 아래 각 항목에 대하여 평가(1~10점)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숙성 용기
(48시간)
일반 용기
(7일)
외관 4.6 4.4
짠맛 3.7 4.8
단맛 5.3 4.4
감칠맛 5.5 4.8
매운맛 4.7 4.8
탄산감 5.7 5.1
풍미 5.4 4.8
조직감 4.8 4.5
전체적 기호도 5.6 4.8
표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음식을 일반 용기와 본 발명의 숙성 용기에서 숙성시켰을 때, 맛과 풍미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치미를 숙성시키는 경우, 일반 용기에서보다 숙성 용기에서는 현저히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맛과 풍미에 있어서는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숙성 용기가 숙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a) 소마티드(somatid) 성분 1.0~2.1 중량%, 카올린나이트(kaolinite) 3~5 중량% 및 오색혈토 성분 92.9~96.0 중량%를 포함하는 점토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점토를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성형체를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마티드 성분은 산화규소(SiO2) 40~45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35~40중량%, 산화칼슘(CaO) 1~3중량%, 산화철(Fe2O3) 0.5~1중량%, 산화나트륨(Na2O) 0.5~1중량%, 산화붕소(B2O3) 0.1~0.5중량%, 산화칼륨(K2O) 0.1~0.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1~0.5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0.1~0.5중량%, 삼산화황(SO3) 0.01~0.1중량% 및 산화망간(MgO3) 0.01~0.1중량%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올린나이트(kaolinite)의 화학 성분은 Al2Si2O5(OH)4이며, 납석이 포함되는 천연 광물로 등전점이 pH6 내지 7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올린나이트(kaolinite)는 고령토, 장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인,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는 점도조절제, 코팅제, 보존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시키는 단계는 1,280 내지 1,350 ℃의 온도에서 5~4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d)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코팅하는 단계는 장석 60~70 중량%, 카올린나이트(kaolinite) 5~10 중량%, 활석 1~5 중량%, 규회석 1~5 중량% 및 항균 광물질 10~35 중량%를 포함하는 항균제를 분사 및 도포하여 수행하는 것인,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음식물 숙성 용기.
  10. 제9항의 음식물 숙성 용기에 음식물을 투입하여 상기 음식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기간의 단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은 김치, 육류, 치즈, 소금, 젓갈, 물 및 발효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음식물 숙성 기간의 단축 방법.
KR1020200082799A 2019-10-04 2020-07-06 소마티드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용기 KR102432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23179 2019-10-04
KR1020190123179 2019-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770A true KR20210040770A (ko) 2021-04-14
KR102432010B1 KR102432010B1 (ko) 2022-08-16

Family

ID=7547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799A KR102432010B1 (ko) 2019-10-04 2020-07-06 소마티드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0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200A (ko) * 2003-05-31 2004-12-08 손상호 도자의 항균 코팅 방법
KR101346306B1 (ko) 2013-06-11 2014-01-02 이종두 광물성 소마티드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첨단 소재 제조방법
KR101515208B1 (ko) 2014-08-05 2015-04-24 이종두 천연 광물에 포함된 광물계 소마티드 캘비 융합 마스터 배치 칩을 이용한 다기능 섬유 제조방법
KR101559138B1 (ko) 2015-02-09 2015-10-13 이종두 천연광석으로부터 분리 추출된 광물계 소마티드 캘비 조성물
KR101593108B1 (ko) 2015-05-01 2016-02-12 이종두 천연 광물에 포함된 광물계 소마티드를 이용한 다기능 천연젤 및 천연 파우더 제조방법
KR20180017478A (ko) * 2016-08-09 2018-02-21 변재현 소마티드 캘비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200A (ko) * 2003-05-31 2004-12-08 손상호 도자의 항균 코팅 방법
KR101346306B1 (ko) 2013-06-11 2014-01-02 이종두 광물성 소마티드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첨단 소재 제조방법
KR101515208B1 (ko) 2014-08-05 2015-04-24 이종두 천연 광물에 포함된 광물계 소마티드 캘비 융합 마스터 배치 칩을 이용한 다기능 섬유 제조방법
KR101559138B1 (ko) 2015-02-09 2015-10-13 이종두 천연광석으로부터 분리 추출된 광물계 소마티드 캘비 조성물
KR101593108B1 (ko) 2015-05-01 2016-02-12 이종두 천연 광물에 포함된 광물계 소마티드를 이용한 다기능 천연젤 및 천연 파우더 제조방법
KR20180017478A (ko) * 2016-08-09 2018-02-21 변재현 소마티드 캘비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010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2285B (zh) 纯天然超微钙粉的制备工艺
KR100907656B1 (ko) 의료기기용 바이오 세라믹의 제조방법.
CN105669252B (zh) 一种阻垢功能卫生陶瓷及其制备方法
CN107857579A (zh) 一种陶瓷及陶瓷制品
KR20130033231A (ko)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CN108640509B (zh) 一种汝瓷仿古釉及其制作方法
KR100598694B1 (ko) 기능성 세라믹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0770A (ko) 소마티드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용기
CN106904941A (zh) 一种杀菌陶瓷薄板及其制造工艺
KR20180017478A (ko) 소마티드 캘비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숙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5023B1 (ko) 고령토를 주재로 하는 자기의 제조방법
WO2010069097A1 (zh) 用于净化、活化水的陶瓷材料
CN105036804A (zh) 养生抗菌陶瓷釉
KR100602522B1 (ko) 원적외선 황토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6335B1 (ko) 식품용기에 내장 또는 설치되어 원적외선 방사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세라믹체 및 그 제조방법
CN102924047A (zh) 一种瓷器素胎
KR100545046B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세라믹제품 및 그제조방법
KR20090111528A (ko) 칼슘을 포함하는 보조 음식물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42212B1 (ko) 황토를 이용한 생활자기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3791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 소지 조성물
CN110407558B (zh) 一种活态瓷瓷具
CN113307603A (zh) 一种纳米二氧化钛抗菌陶瓷模具及其制作方法
KR101469841B1 (ko) 음식물 쓰레기 전용 기능성 세라믹 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2252B1 (ko) 유골분의 부패와 악취 방지용 기능성 유골함의 제조방법
JP2001181021A (ja) 陶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