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361A - 윙 프로파일에서의 유리 패키지의 접착제 연결 및 보강 - Google Patents

윙 프로파일에서의 유리 패키지의 접착제 연결 및 보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361A
KR20210040361A KR1020217001660A KR20217001660A KR20210040361A KR 20210040361 A KR20210040361 A KR 20210040361A KR 1020217001660 A KR1020217001660 A KR 1020217001660A KR 20217001660 A KR20217001660 A KR 20217001660A KR 20210040361 A KR20210040361 A KR 2021004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profile
glass
adhesive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 브로크뮐러
마티아스 딕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1004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06B3/223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the hollow frame members comprising several U-shaped parts assembled around a reinforcing cor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putty, cement, or adhesive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06B2003/224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with reinforcing plastic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2003/228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separate reinforcements situated outside the cavity or in th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몇몇 유리판을 포함하는 유리 패키지(2)를 갖는 윙 프로파일(wing profile)에 관한 것이며, 상기 윙 프로파일은 상기 유리 패키지(2)의 전체 지지체 표면 하부에서 윙 프로파일 상에 실질적으로 탑재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보강 부재(3)를 갖는다. 상기 보강 부재(3)와 상기 유리 패키지(2) 사이에, 복수의 접착제 부재(4)에 의해서 응집성 연결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윙 프로파일에서의 유리 패키지의 접착제 연결 및 보강
본 발명은 유리 패킷(glass packet)을 갖는 새시 프로파일(sash profile)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새시 프로파일은 중합체로 구성되고, 본질적으로 유리 패킷의 전체 접촉 면적 아래에 설치된 보강 부재(reinforcing element)를 갖고, 보강 부재와 유리 패킷 사이의 물질-대-물질 접합(substance-to-substance join)은 접착제 부재(adhesive element)에 의해서 제공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이러한 새시 프로파일의 제조 방법, 및 새시 프로파일의 굽힘 강도(flexural strength)를 개선시키기 위한 접착제 부재와 보강 부재의 조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새시 프로파일, 특히 압출된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된 멀티 챔버 중공 프로파일의 형태의 프로파일은 창문 또는 문 프레임 프로파일로서 빈번하게 사용된다. 현재 창문 시스템에서, 단열 특성의 바람직한 개선으로 인해서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더 큰 다중창(multiple glazing)에 대한 경향이 존재하였고, 삼중창이 현재 표준이고, 사중창은 일반적이지 않다. 그 결과, 다중 유리층으로 인해서 이러한 창 및 문은 비교적 무겁고, 넓다.
그러나, 중량을 줄이고, 단열 효과를 개선시키려는 의도인 중공 프로파일 구성으로 인해서, 이러한 프로파일은 굽힘력에 영향을 받기 쉽고, 그 결과 프로파일은 뒤틀리거나 손상될 수 있다.
단열 효과를 상당히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러한 중공 프로파일의 굽힘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국제 특허 공개 제WO 2009/098068 A1호에는 외부 프로파일(즉, 정면에 접합된 프로파일의 부분) 및 내부 프로파일(즉, 유리에 접합된 프로파일의 부분)에 중공 프로파일에서 수직으로 배열된(즉, 설치된 상태에서 볼 때 전면(front side) 및 후면(rear side)에 평행한) 보강 부재가 제공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다중창, 및 특히 삼중창 또는 사중창에서, 특별한 문제는 중공 프로파일 상에서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유리 패킷의 중량이며, 이것은 중공 프로파일의 수직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국제 특허 공개 제WO 2009/098068 A1호에 기재된 보강 부재에 의해서 완전히 만족스럽게 해결되지 않는다.
독일 특허 제DE 10 2014 014 658호에는 하부에 설치된 보강 부재 및 유리 패킷을 포함하는 창문용 보강 프로파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 부재는 접착제 스트립에 의해서 유리 패킷에 접합되어 있다.
독일 특허 제DE 35 43 524 A1호에는 하부에 설치되고, 실리콘 또는 부틸 접착제 결합에 의해서 유리 패킷에 고정된 유리 패킷 및 유리 블록 프레임을 갖는 새시 프로파일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실리콘 접착제 결합은 룸-사이드 시일(room-side seal)을 형성하고, 부틸 접착제 결합이 웨더-사이드 시일(weather-side seal)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연성이고, 10㎫ 미만의 탄성률(moduli of elasticity)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시스템에 비해서 외력의 작용 하에서 개선된 판강도(flexural stiffness)를 갖는 문 및 창문용 새시 프로파일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유리판을 포함하는 유리 패킷을 갖는 새시 프로파일을 제공하며, 새시 프로파일은 중합체로 구성되고, 새시 프로파일 상의 유리 패킷의 전체 접촉 면적 아래에 본질적으로 설치된 보강 부재를 갖고, 보강 부재와 유리 패킷 사이의 물질-대-물질 접합은 적어도 2개의 접착제 부재에 의해서 제공되며, 접착제 부재는 적어도 100N/㎟의 ISO 37(23℃ 및 50% 상대 대기 습도에서)에 따른 E 모듈러스(E modulu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유리 패킷"은 서로의 상부 상에 배열되고, 스페이서에 의해서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복수의 유리 시트이다. 유리 패킷에서, 유리 시트는 일반적으로 유리 패킷 내의 또 다른 유리 시트에 대해서 하나의 유리 시트의 수평 이동이 허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서로의 상부 상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새시 프로파일"은 유리 패킷과 접촉된 프로파일의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새시 프로파일"은 유리 패킷을 둘러싼 전체 프로파일뿐만 아니라 이의 부분, 예를 들어, 프로파일의 상부 또는 하부 부분 또는 측면 부분을 포함한다.
접촉 면적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유리 패킷이 이의 연장(즉, 이의 두께가 아님) 방향에서 새시 프로파일과 접촉한 영역만을 지정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본질적으로 완전히"는 새시 프로파일 내의 보강 부재가 새시 프로파일 상의 유리 패킷의 접촉 면적의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를 피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리 패킷은 전면 또는 후면 상에서 돌출될 수 있어서, 어떠한 보강 부재도 이러한 영역 내에서 유리 패킷과 새시 프로파일 사이에 배열되지 않는다. 그러나, 또한 보강 부재가 프로파일의 단부에 존재하지 않거나, 갭(gap)이 보강 부재의 개별 섹션 사이에 존재하면서 보강 부재가 불연속적이거나, 보강 부재가 유리 패킷과 새시 프로파일 사이에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구멍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보강 부재가 유리 패킷의 전체 접촉 면적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보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패킷의 접촉 면적보다 더 큰 연장부를 가져서, 그것은 유리 패킷에 대해서 오버행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보강 부재는 보강 부재의 부분이 유리 패킷의 전면 또는 후면 상에 배열되고, 보강 부재의 또 다른 부분이 유리 패킷의 하부면 상에 배열되도록 각진(angled)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추가로 보강 부재는 보강 부재의 부분이 유리 패킷의 전면 상에 배열되고, 보강 부재의 또 다른 부분이 유리 패킷의 하부면 상에 배열되도록 각진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는 이러한 경우에 이롭게는 약 90°이다.
각진 보강 부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L-자형이며, 즉, 보강 부재의 하나의 면적이 다른 영역보다 더 크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더 큰 면적이 유리 패킷 하부에 위치되고, 더 작은 면적이 유리 패킷의 전면 또는 후면, 바람직하게는 전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새시 프로파일에 대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둘 다에서 새시 부재에서 바람직한 강성도(stiffness)가 발견된다.
본 명세서에서 유리 패킷의 "전면"은 외부 프로파일의 비드를 향하는 창문의 면인 반면, 유리 패킷의 "후면"은 이러한 비드 반대 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시 프로파일에서, 적어도 2개의 접착제 부재가 보강 부재와 유리 패킷 사이에 제공된다. 단지 하나의 접착제 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이러한 방식에서 대등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재료의 사용이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새시 프로파일의 접착제 부재 중 하나가 유리 패킷과 보강 부재 사이에 후면의 모서리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접착제 부재가 유리 패킷의 하부면 상에 배열된다. 유리 패킷과 보강 부재 사이의 전면 모서리의 영역에 배열된 접착제 부재를 갖는 새시 프로파일의 접착제 부재 중 하나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접착제 부재가 유리 패킷의 전면 상에 배열되는 것이 특히 이롭다. 적어도 2개의 접착제 부재를 갖는 새시 프로파일로서, 이들 접착제 부재 중 하나는 유리 패킷과 보강 부재 사이의 후면의 모서리 영역에 배열되고, 하나의 접착제 부재는 유리 패킷과 보강 부재 사이의 전면의 모서리 영역에 배열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보강 부재와 관련하여 어떠한 특정 제한에 적용되지 않되, 단, 보강 부재의 재료는 새시 프로파일의 중공 프로파일이 제조된 재료보다 더 큰 굽힘 강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보강 부재는 원칙적으로 임의의 열가소성으로 가공 가능한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으로 가공 가능한 중합체는 당업자에게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선행 기술에 빈번하게 기재되어 있다.
특히, 열가소성의 부분적으로 결정질이거나 비정질인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마이드, 특히, 폴리아마이드-6 및 폴리아마이드-6.6,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설폰 또는 폴리에터 설폰, 또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 또는 스타이렌 중합체 및 공중합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이 보강 부재의 제조에 적합하다. 특히 적합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언급되는 중합체는 순수한 형태로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종래의 중합체 보조제와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섬유성 또는 미립자 충전제와 함께 제공된 열가소성 중합체가 사용된다. 적합한 충전제는 유리 섬유, 유리 구체, 광섬유 또는 나노입자이다. 특히, 열가소성 중합체는 유리 섬유로 보강된다. 유리 섬유로 보강된 열가소성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1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중량%의 유리 섬유를 함유하고, 중량 백분율은 열가소성 중합체와 유리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특히 적합한 유리 섬유는 1㎛ 내지 1㎝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의 범위의 길이를 갖는다. 성분에서 바람직한 유리 섬유의 평균 길이-대-직경 비는 100:1, 바람직하게는 50:1, 특히 바람직하게는 30:1의 범위이다.
보강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23℃에서 시험 표준 ISO 527-1/-2에 따라서 3000N/㎟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00N/㎟ 초과의 E 모듈러스,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초과의 연화 온도 및 23℃에서 6·10-5K-1 미만, 바람직하게는 5·10-5K-1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4·10-5K-1 미만의 열 팽창 계수를 갖는다.
보강 부재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데, 이것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1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중량%의 유리 섬유를 함유하며(중량 백분율은 열가소성 중합체와 유리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 유리 섬유는 1㎛ 내지 1㎝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범위의 길이를 갖고, 성분에서, 100:1, 바람직하게는 50:1, 특히 바람직하게는 30:1의 범위의 평균 길이-대-직경 비를 갖고, 23℃에서 3000N/㎟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00N/㎟ 초과의 E 모듈러스 및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초과의 연화 온도, 및 6·10-5K-1 미만, 바람직하게는 5·10-5K-1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4·10-5K-1 미만의 팽창 계수를 갖는다. 이러한 재료로 제조된 보강 부재는 굽힘 하중 하의 유리에서의 응력이 유리 시트가 견딜 수 있고, 따라서 유리의 파괴가 예방되는 척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적합한 방식으로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강 부재는 상기에 언급된 재료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상이한 중합체에 의해서 형성된 엔벨로프(envelope)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엔벨로핑 재료는 예를 들어, PVC(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이다. 또한, 접착제 부재에 접합되는 보강 부재의 면은 접착제 부재와 보강 부재의 재료 간의 접착을 개선시키는 재료로 코팅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강 부재가 예를 들어, 높은 비율의 유리 섬유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 경우, 이러한 재료에 직접 적용되는 접착제의 접착은 불리하게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은 보강 부재에 바람직하게 접착하여 접착제 부재에 대한 양호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에 의해서 보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촉진 재료는 원칙적으로 보강 재료와 접착제 부재 사이에 양호한 접착을 매개하는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특히 적합한 접착-촉진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PVC)이다. 따라서 보강 부재, 특히 1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의 유리 섬유의 비율을 함유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의 형태의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된 보강 부재는 일 실시형태에서 특히 접착제 부재와 접촉하는 면 상에, 0.2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의 범위의 두께의 PVC의 층으로 코팅된다. 이러한 보강 부재는 예를 들어, 이롭게는 공압출 공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보강 부재는 접착-촉진층으로서 금속층을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PVD 공정 또는 다른 코팅 공정에 의해서, 접착제 부재와 접촉하는 보강 부재의 면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접착제 부재는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 재료를 기재로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보강 부재에 대한 유리 패킷의 안정적인 접합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이것은 경화된 상태에서 적어도 100N/㎟의 ISO 37(23℃ 및 50% 상대 대기 습도에서)에 따른 E 모듈러스를 갖는다.
따라서, 1-성분 접착제 조성물 및 다성분 접착제 조성물 둘 다가 접착제 부재를 위해서 가능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2-성분 접착제 조성물, 특히 자유-라디칼 중합성 2-성분(메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국제 특허 공개 제WO 02/70620호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조성물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기재로 하는 조성물이다. 이러한 유형의 적합한 접착제는 시카 슈바이츠사(Sika Schweiz AG)로부터 상표명 SikaFast®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추가로 적합한 예시적인 접착제는 상표명 SikaPower® 및 SikaForce®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추가로, 경화된 상태에서 적어도 160N/㎟,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N/㎟ 및/또는 2000N/㎟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0N/㎟ 이하의 ISO 37(23℃ 및 50% 상대 대기 습도에서)에 따른 E 모듈러스를 갖는 재료가 접착제 부재용으로 바람직하다. 추가로, 적어도 60의 DIN 53505에 따른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가 접착제 부재에 적합한 것으로 제시될 수 있고, 적어도 70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될 수 있고, 적어도 80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의 결과로서, 접착제 부재 또는 부재들은 보강 부재와 조합하여 새시 프로파일에 극히 이로운 판강도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강성도를 갖는다. 다른 한편, 이러한 사양은, 접착제 부재가 온도 변동의 사건에서, 예를 들어, 수송 동안 충분히 가요성이어서 접착제 및 유리의 상이한 팽창 거동의 결과로서 일어나는 응력이 약화되고, 유리에서 균열로 이어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비교적 큰 중량을 갖는 유리 패킷이 특히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패킷이 적어도 3개의 유리층,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또는 4개의 유리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따라서, 보강 부재는 접착제 부재를 통한 유리 패킷에 대한 물질-물질 결합에 의해서 접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보강 부재는 이러한 접합에서 접착제 재료에 직접 접합되어, 이와 접촉하고, 즉, 보강 부재와 접착제 재료 사이에 다른 재료, 예컨대 새시 부재의 중공 프로파일의 재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부재는 복수의 접착제 부재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중공 공간이 접착제 부재에 의해서 피복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보강 부재와 별개로, 새시 프로파일은 보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 특허 공개 제WO 2009/098068 A1호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시 프로파일의 외부에 또는 내부에, 새시 프로파일의 전면 또는 후면의 영역에 배열된 추가 보강 부재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가 새시 프로파일이 삽입되는 외부 프로파일에 배열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국제 특허 공개 제WO 2009/098068 A1호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로파일을 통해서 종축 방향으로 보강 부재 또는 부재들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추가 보강 부재 또는 부재들은 프로파일에 수직으로 또는 경사진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
추가 보강 부재가 제조된 재료는 새시 프로파일 내의 보강 부재가 제조된 재료와 동일한 재료이거나 상이한 재료이지만, 이러한 보강 부재와 추가 보강 부재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새시 프로파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 중공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단계,
- 중공 프로파일 상에 보강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 보강 부재 상에 복수의 접착제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접착제 부재(4)는 적어도 100N/㎟의 ISO 37(23℃ 및 50% 상대 대기 습도에서)에 따른 E 모듈러스를 갖는, 상기 설치하는 단계, 및
- 복수의 접착제 부재를 유리 패킷과 접촉시켜 접착제 부재를 통해서 보강 부재와 유리 패킷 사이에 물질-대-물질 접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보강 부재에 대한 유리 패킷의 접합이 이 공정에서 마지막에 일어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계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공 프로파일 상의 보강 부재의 설치는 제조 공정의 초기 단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경우 중공 프로파일 및 보강 부재가 하나의 단계에서 예를 들어, 공압출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의 또 다른 양상은 새시 프로파일의 굽힘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접착제 부재와 보강 부재의 조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유리 패킷은 접착제 부재를 통한 물질-대-물질 결합에 의해서 새시 프로파일 상에 배열된 보강 부재에 접합되고, 접착제 부재(4)는 적어도 100N/㎟의 ISO 37(23℃ 및 50% 상대 대기 습도에서)에 따른 E 모듈러스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시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새시 프로파일(1)은 3개의 유리판(5)을 갖는 유리 패킷(2)이 상부에 배열된 보강 부재(3)를 갖는 중공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2개의 접착제 부재(4)가 유리 패킷 사이에 설치되고, 유리 패킷(2)은 이들을 통해서 보강 부재(3)에 접합된다. 이들 접착제 부재(4) 사이의 영역에서, 유리 패킷(2)과 보강 부재(3) 사이에 작은 중공 공간이 존재한다. 새시 프로파일은 보강 부재를 마찬가지로 포함하는 외부 프로파일에 접합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하기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의 도움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이들은 본 출원의 보호 범주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PVC 새시, 유리 패킷, Ultradur로 제조된 보강 부재 및 다양한 접착제로 이루어진 다양한 유리 새시의 판강도를 유한 요소 모델(finite element model: FEM)로 계산하였다. 약 2㎫의 E 모듈러스(경화된 상태에서)를 갖는 전형적인 실리콘 접착제를 갖는 구조물을 참조 새시를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시 프로파일의 경우, 약 100M㎫의 E 모듈러스(경화된 상태에서)를 갖는 강성 접착제 또는 1000㎫의 E 모듈러스를 갖는 접착제를 기재로서 사용하였다. 접착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리 패킷 상에 설치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계산은 하기 구조에 기초하였다:
유리 시트의 치수: 2.0×1.0m
2개의 외부 유리 시트의 두께: 각각 4㎜
삼중 유리 패킷의 거리: 4㎜ 유리 + 16㎜ 공기 + 4㎜ 유리 + 16㎜ 공기 + 4㎜ 유리
보강 부재의 두께: 3㎜, E 모듈러스 14,000㎫
접착제의 두께: 3㎜, 폭 4㎜
유리 새시의 저장 동안 각각의 경우에 250N의 힘을 사용한 하중에 대한 유리 새시의 긴 면 또는 짧은 면의 중간에서의 유리 새시의 처짐(sag)을 단순화된 유한 요소 모델에 의해서 계산하였다. 이들 계산 결과를 하기 표 1에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계산은, 동일한 구조의 복합체를 사용하여, 접착제의 E 모듈러스가 증가하는 경우 힘 도입 지점에서의 처짐의 상당한 감소가 달성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15)

  1. 새시 프로파일(sash profile)로서,
    복수의 유리판을 포함하는 유리 패킷(glass packet)(2)을 갖되, 상기 새시 프로파일은 중합체로 구성되고, 본질적으로 상기 새시 프로파일 상의 상기 유리 패킷(2) 전체 접촉 면적 아래에 설치된 보강 부재(reinforcing element)(3)를 갖고, 상기 보강 부재(3)와 상기 유리 패킷(2) 사이의 물질-대-물질 접합은 적어도 2개의 접착제 부재(4)에 의해서 제공되며, 상기 접착제 부재(4)는 적어도 100N/㎟의 ISO 37(23℃ 및 50% 상대 대기 습도에서)에 따른 E 모듈러스(E modulu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3)는 상기 보강 부재의 부분이 상기 유리 패킷(2)의 전면(전면)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보강 부재의 또 다른 부분이 상기 유리 패킷(2)의 하부면(underside) 상에 배열되도록 각진(angl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3)는 상기 접착제 부재에 접합된 면 상에, 특히 금속 또는 PVC로 구성된 접착-촉진 재료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패킷(2)과 상기 보강 부재(3) 사이의 후면(rear side)의 모서리의 영역에 배열된 접착제 부재(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리 패킷의 상기 전면 상에, 상기 유리 패킷(2)과 상기 보강 부재(3) 사이의 전면의 모서리의 영역에 배열된 접착제 부재(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3)는 열가소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3)는 보강을 위해서 섬유 및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3)는 1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중량%의 비율의 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3)에서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상이한 중합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PVC로 제조된 엔벨로프(envelop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부재(4)는 자유-라디칼 중합성 2-성분 (메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조성물을 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부재(4)는 적어도 160N/㎟,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N/㎟ 및/또는 2000N/㎟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0N/㎟ 이하의 ISO 37(23℃ 및 50% 상대 대기 습도에서)에 따른 E 모듈러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패킷(2)은 적어도 3개의 유리층(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프로파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3)는 상기 접착제 부재를 통해서 상기 유리 패킷(2)에 접합되고, 그리고 상기 유리 패킷(2)의 방향으로 상기 보강 부재(3)에 인접하는 중공 공간(hollow space)이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새시 프로파일.
  14.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새시 프로파일의 제조 방법으로서,
    - 중공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중공 프로파일 상에 보강 부재(3)를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보강 부재 상에 복수의 접착제 부재(4)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접착제 부재(4)는 적어도 100N/㎟의 ISO 37(23℃ 및 50% 상대 대기 습도에서)에 따른 E 모듈러스를 갖는, 상기 설치하는 단계, 및
    - 상기 복수의 접착제 부재(4)를 유리 패킷(2)과 접촉시켜 상기 접착제 부재(4)를 통해서 상기 보강 부재(3)와 상기 유리 패킷(2) 사이에 물질-대-물질 접합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새시 프로파일의 제조 방법.
  15. 새시 프로파일의 굽힘 강도(flexural strength)를 개선시키기 위한 접착제 부재(4)와 보강 부재(3)의 조합물의 용도로서,
    상기 유리 패킷(2)은 상기 접착제 부재(4)를 통한 물질-대-물질 결합에 의해서 상기 새시 프로파일 상에 배열된 상기 보강 부재(3)에 접합되고, 그리고 상기 접착제 부재(4)는 적어도 100N/㎟의 ISO 37(23℃ 및 50% 상대 대기 습도에서)에 따른 E 모듈러스를 갖는, 용도.
KR1020217001660A 2018-08-09 2019-08-05 윙 프로파일에서의 유리 패키지의 접착제 연결 및 보강 KR202100403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8303.4 2018-08-09
EP18188303 2018-08-09
PCT/EP2019/071038 WO2020030601A1 (de) 2018-08-09 2019-08-05 Adhäsive anbindung und verstärkung von glaspaketen in flügelprofi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361A true KR20210040361A (ko) 2021-04-13

Family

ID=6320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660A KR20210040361A (ko) 2018-08-09 2019-08-05 윙 프로파일에서의 유리 패키지의 접착제 연결 및 보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55667B2 (ko)
EP (1) EP3833840A1 (ko)
JP (1) JP7362660B2 (ko)
KR (1) KR20210040361A (ko)
CA (1) CA3105209A1 (ko)
WO (1) WO2020030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815A1 (ru) * 2020-04-01 2021-10-07 Леонид Александрович ЛАЗЕБНИКОВ Светопрозрачная огражд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3718A (en) * 1955-11-08 1959-04-28 Persson Eric Sigfrid Window sashes with a supporting bed for at least three panes
US3667179A (en) * 1970-05-01 1972-06-06 Biltbest Corp Wooden window units having protective coverings
DE8202221U1 (de) 1982-01-29 1982-11-25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Profilleiste insbesondere fuer die herstellung von rahmen fuer fenster oder tueren
GB2122057B (en) * 1982-05-28 1985-10-23 Glaverbel Glazing panels
US4624091A (en) * 1984-07-20 1986-11-25 Winchester Industries, Inc. Thermally insulated window sash construction
DE3543524A1 (de) 1985-12-10 1987-06-25 Eltreva Ag Fenster- oder tuerfluegel
US4850168A (en) * 1988-09-21 1989-07-25 Therma-Tru Corp. Frame assembly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FR2708030B1 (fr) * 1993-07-19 1996-04-12 Alcan France Paroi vitrée isolante, à surface transparente maximale.
GB2309728B (en) * 1996-02-01 1999-09-08 Lorient Polyprod Ltd Structural frame member
FR2759410B1 (fr) * 1997-02-13 1999-03-12 Saint Gobain Vitrage Fenetre ou porte comprenant un vitrage isolant mince a haute performance
EP1239015A1 (en) 2001-03-08 2002-09-11 Sika AG, vorm. Kaspar Winkler & Co. Easy to manufacture meth (acrylic) adhesive compositions
US6662523B2 (en) * 2001-06-15 2003-12-16 Sashlite, Llc Insulating glass sash assemblies with adhesive mounting and spacing structures
US7997037B2 (en) * 2003-06-23 2011-08-16 Ppg Industries Ohio, Inc. Integrated window sash with groove for desiccant material
DE10339686B4 (de) * 2003-08-28 2007-11-08 Dipl. Ing.Gaulhofer GmbH & Co.KG, Fenster und Türen Fenster- oder Türkonstruktion
US20050210824A1 (en) * 2004-03-29 2005-09-29 Burton Cordell R Method for installing a fenestration unit in a composite panel
DE102007039009A1 (de) * 2007-08-17 2009-02-19 Rehau Ag + Co Rahmen-Baugruppe sowie Kunststoff-Profilrahmen hierfür
DE102008008343A1 (de) 2008-02-08 2009-08-13 Aluplast Gmbh Profil für Fenster- oder Türrahmen
GB201105453D0 (en) * 2011-03-31 2011-05-18 Novel Polymer Solutions Ltd Window frames, structural elements for a roofed construction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US9163449B2 (en) 2011-07-01 2015-10-20 Andersen Corporation Laminated glass retention system
DE102012107560A1 (de) * 2012-08-17 2014-02-20 Rehau Ag + Co Integrierter Fensterflügel sowie Fenster, das einen derartigen Flügel umfasst
US20160053528A1 (en) 2013-05-14 2016-02-25 Sika Technology Ag Composite element, in particular composite element for an insulating-glass unit
EP2886777A1 (en) * 2013-12-19 2015-06-24 Deceuninck NV Stiffening add-on profile for window frame and window frame comprising same
DE102014014658A1 (de) 2014-10-08 2016-04-14 Lohmann Gmbh & Co. Kg Verstärkungsprofil mit Glasverklebung
CA2942220A1 (en) * 2015-09-22 2017-03-22 Milgard Manufacturing Incorporated One piece window reinforcement for window frame assembly
US10619401B2 (en) * 2017-11-14 2020-04-14 Advanced Architectural Products, Llc Window opening insulation system
EP3505716A1 (en) * 2018-01-02 2019-07-03 Amcor Flexibles Denmark ApS Barrier window spacer with enhanced dur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5275A1 (en) 2021-09-16
US11655667B2 (en) 2023-05-23
EP3833840A1 (de) 2021-06-16
WO2020030601A1 (de) 2020-02-13
JP2021532290A (ja) 2021-11-25
JP7362660B2 (ja) 2023-10-17
CA3105209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0070A1 (en) Impact resistant multipane window
ES2907245T3 (es) Perfil para elemento de ventana, de puerta, de fachada y de revestimiento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US20050183351A1 (en) Composite profiles suitable for insulating window units
US20110041427A1 (en) Glazing panel
KR102567521B1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CZ20013921A3 (cs) Integrovaná vícetabulová okenní jednotka a sestava rámu okenního křídla a způsob jejich výroby
MXPA04004337A (es) Componentes para ensambles de bastidor de una unidad de ventana con vidrios multiples.
TW200946763A (en) Window film attachment article
US20120324810A1 (en) Modified glazing assembly for rough openings
CN113692473B (zh) 樘框和/或翼扇框的框架型材以及制造该框架型材的方法
KR20140132728A (ko) 인터스페이스 구성 요소를 가진 단열 유닛을 위한 스페이서 프레임을 위한 스페이서 프로파일과 단열 유닛
EP2188478A1 (en) A method for making a pane module and a window comprising such a pane module
CN113530035B (zh) 异形单元式玻璃幕墙及其施工方法
KR20210040361A (ko) 윙 프로파일에서의 유리 패키지의 접착제 연결 및 보강
US20170321473A1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US5487937A (en) Metal-polymer composite insulative spacer for glass members and insulative window containing same
CN109496246B (zh) 用于紧固窗格玻璃的装置
KR102002310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JP3948182B2 (ja) 板ガラスの支持構造
DE10109692B4 (de) Folienbahn zur Herstellung eines Wandanschlusses bei in einer Außenwand eingesetzten Fenster- oder Türrahmen
RU2486327C2 (ru) Оконный блок со створным оконным переплетом
US20230175314A1 (en) Insulating glazing comprising a spacer having a reinforcing profile
PT1353035E (pt) Janela ou porta
US20240110433A1 (en) Spacer with coextruded hollow profile
KR20200010999A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