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627A - 농수산물 해동 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627A
KR20210039627A KR1020190122072A KR20190122072A KR20210039627A KR 20210039627 A KR20210039627 A KR 20210039627A KR 1020190122072 A KR1020190122072 A KR 1020190122072A KR 20190122072 A KR20190122072 A KR 20190122072A KR 20210039627 A KR20210039627 A KR 20210039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nit
liquid
agricultural
defro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900B1 (ko
Inventor
강기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수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수산
Priority to KR102019012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9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1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해동시키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 내의 해동 공간에 위치하며, 해동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와 상기 챔버 내의 해동 공간에 해동을 위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부재와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을 해동 시 상기 액체 및 상기 수산물에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하는 기체 공급 부재와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을 해동 시 생성되는 지꺼기를 모아서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부재를 포함하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수산물 해동 장치 {Apparatus for thaw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aquatic products}
본 발명은 농수산물 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얼려져 있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녹일 수 있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경우 채취하거나 잡은 뒤 보관을 위해서 냉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수산물의 경우 먼 바다에서 생선을 잡을 경우 이를 상온에서 보관하여 이동하는 경우 생선이 상할 우려가 있어 냉동 보관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냉동상태의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경우 이를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해동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의 해동 작업의 경우 농산물이나 수산물에 적정 온도의 물을 담은 챔버 등에 담가두어 해동시켰다.
다만, 종래의 해동 작업의 경우 냉동된 농수산물의 해동 작업이 오래걸리며 찌꺼기 등의 처리가 문제가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5997호 (2018.01.3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농수산물의 해동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동되는 농수산물의 살균, 해동 시 적절한 온도 조절을 통해서 해동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해동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농수산물 해동 장치는 해동 공간을 가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해동 공간에 위치하며, 해동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와 상기 챔버 내의 해동 공간에 해동을 위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부재와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을 해동 시 상기 액체 및 상기 수산물에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는 기체 공급 부재와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을 해동 시 생성되는 지꺼기를 모아서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챔버는 외벽부와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개방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바닥 보호부를 복수개 구비하며 복수개의 상기 바닥 보호부 중 서로 인접하는 바닥 보호부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 보호부는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이 상기 챔버로 이송될 때 상기 바닥부와 충돌되어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 중 일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바닥 보호부는 상기 해동 공간의 내부 공간 중 외측면에서 중앙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이송 부재는 상기 바닥부에서 상기 챔버의 개방된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해동이 끝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이 이송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이 놓이는 전달부와 그리고 상기 상기 컨베이어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해동 시 지꺼기가 놓일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이물질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 부재는 상기 해동 공간에 해동을 위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와 상기 액체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액체가 상기 챔버 내에 기설정된 양 이상 공급되는 경우 상기 액체 양을 조절하는 액체 조절부와 그리고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이 해동이 끝난 경우 상기 해동 공간에 상기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 공급 부재는 상기 챔버 내의 공간으로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기 위해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와 일단은 상기 기체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기체가 이송되는 기체 이송부와 그리고 상기 기체 이송부에서 공급된 상기 기체는 토출되며, 상기 해동 공간 내에 위치하는 기체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 토출부는 상기 바닥 보호부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농수산물 해동 장치는 상기 해동 공간 내부 중 상기 챔버의 외벽부에 위치하며,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 해동 시 상기 농수산물을 살균하는 살균 부재와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의 해동 시 상기 해동 공간에 놓인 액체에 열을 가할 수 있는 히팅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 부재는 상기 해동 공간 내부 중 상기 챔버의 외벽부에 설치되며, 상기 해동 공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와 상기 살균부를 감싸며 보호하고, 투명한 재질로 제공되는 살균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부재는 상기 챔버의 외벽 또는 상기 챔버의 바닥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액체에 열을 가하는 히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농수산물 해동 장치는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 해동 시 상기 농산물, 상기 수산물 또는 상기 액체를 대류시키는 대류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류 부재는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홀을 가지는 대류판과 상기 대류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액체에 대류 흐름을 생성시키도록 상기 액체를 교반하는 대류 교반부와 그리고 상기 대류판과 결합되며, 외부에 가압된 유체를 상기 해동 공간에 공급하는 대류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류 유체 공급부는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에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며 기 대류 교반부는 복수개가 제공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농수산물 해동 장치는 상기 해동 공간의 액체 온도, 상기 해동 공간의 전체 무게 등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해동 공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벽에 위치하는 온도 센서부와 상기 바닥부의 내에 위치하며, 상기 해동 공간에 위치한 상기 농산물, 상기 수산물 그리고 상기 액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와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부 또는 상기 무게 감지부의 측정된 값을 기초로 상기 액체 공급 부재, 상기 기체 공급 부재, 상기 대류 부재, 상기 히팅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액체의 온도 또는 무게를 제어하는 감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농수산물 해동 장치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해동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해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액체 내의 대류 흐름, 마이크로버블, 가압 유체 등을 공급하여 해동 작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동 작업 시 실시간으로 내부 온도 측정, 무게 등을 측정하여 해동 작업 중 이상 상태를 즉시 파악하여 대응가능하여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농수산물 해동 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수산물 해동 장치 중 챔버의 일 외벽 부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수산물 해동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농수산물 해동 장치 중 이물질 제거 부재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부분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해동할 수 있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냉동 상태의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해동 시 사용될 수 있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1)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수산물 해동 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수산물 해동 장치 중 챔버의 일 외벽 부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수산물 해동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농수산물 해동 장치 중 이물질 제거 부재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농수산물 해동 장치(1)는 챔버(10), 이송 부재(20), 액체 공급 부재(30), 기체 공급 부재(40) 그리고 이물질 제거 부재(80)를 포함한다.
챔버(10)는 내부에 해동 공간(11)을 가진다. 해동 공간(11)은 냉동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해동시키는 공간이다. 일 예로, 해동 공간(11)은 냉동된 상태의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놓은 상태에서 기설정된 온도 범위를 가지는 액체를 넣어서 냉동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해동시킬 수 있다.
챔버(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챔버(10)는 외벽부(13)와 바닥부(15)를 가질 수 있다.
외벽부(13)는 해동 공간(11)을 둘러쌓도록 제공될 수 있다. 외벽부(13)는 해동 공간(11)의 4면에 제공될 수 있다.
바닥부(15)는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바닥부(15)는 외벽부(13)의 4면과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바닥부(15)는 전체적으로 외측에서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닥부(15)가 경사진 형태로 제공되며, 해동 공간(11)에서 해동 시 찌꺼기 등이 후술하는 이물질 배출부(25)로 보여, 이물질 제거 부재(80)를 통해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부(15)가 경사진 형태로 제공되어 컨베이어부(21)에서 해동이 끝난 농수산물을 받아서 이송할 수 있다.
바닥부(15)에는 바닥 보호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 보호부(17)는 바닥부(15)에서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방향이랑 바닥부(15)와 챔버(10)의 개방된 곳을 기준으로 바닥부(15)에서 개방된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부 방향이라 정의한다. 하부 방향은 상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정의한다.
바닥 보호부(17)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바닥 보호부(17)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와 같이 복수개의 바닥 보호부(17)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닥 보호부(17)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챔버(10) 내부의 해동 공간(11)으로 이동 시 바닥부(15)와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바닥 보호부(17)는 충격 흡수 역할 및 바닥 보호부(17)와 부딪혀 바닥부(15)가 일정 시간 이후에 하부 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 보호부(17)에는 후술하는 기체 토출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기체 토출부(45)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바닥 보호부(17)는 바닥부(15) 외측에서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닥 보호부(17)가 바닥부(15)와 동일한 경사 방향으로 제공되머, 액체 배출이 용이하며, 이물질을 모아 배출하기 쉽고 해동된 농수산물을 이송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복수개의 바닥 보호부(17) 사이에는 홈(19)이 형성될 수 있다. 홈(19)은 바닥 보호부(17)가 상부로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는 바닥부(15) 면일 수 있다.
이송 부재(20)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해동 후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 부재(20)는 컨베이어부(21), 전달부(23), 이물질 배출부(25), 이송 공간부(27) 그리고 이송 커버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21)는 해동 공간(1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21)는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부(21)는 상향 경사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컨베이어부(21)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해동 공간(11) 내에 위치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해동 공간(11)에 후술하는 액체 공급 부재(30)를 이용하여 액체를 채울 수 있다. 이 후 컨베이어부(21)를 통해서 냉동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컨베이어부(21)는 해동 작업이 끝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해동 시킨 후 컨베이어부(21)를 이용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부(21)는 전체적으로 "ㄴ" 자 형상으로 제공되며, 바닥부(15)에서부터 외부로 농수산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전달부(23)는 컨베이어부(21)의 상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전달부(23)에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이 놓일 수 있다. 전달부(23)에 놓은 농산물 또는 수산물은 해동 공간(11)으로 전달되거나, 반대로 해동 공간(11)에서 외부로 배출 시 작업을 위해 일시적으로 놓이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부(25)는 컨베이어부(21)의 하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부(25)는 바닥부(15)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부(25)에는 이물질이 놓이는 공간으로 사용되며, 이 후 후술하는 이물질 제거 부재(80)에 의해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컨베이어부(21)의 양측면에는 이송 공간부(27) 및 이송 커버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송 공간부(27) 및 이송 커버부(29)는 컨베이어부(21)로 농수산물 이송 시 발생하는 찌꺼기 등이 이송 공간부(27)로 모일 수 있게 한다. 모인 찌꺼기는 이송 커버부(29)을 개방해 내부에 모인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송 공간부(27) 및 이송 커버부(29)는 컨베이어부(21) 양 측에 한 쌍이 제공될 수 있다. 이송 공간부(27) 및 이송 커버부(29)가 제공되머, 컨베이어부(21)를 통해서 이송되는 농수산물의 발생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해동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 할 수 있다.
액체 공급 부재(30)는 해동 공간(11) 내부에 해동을 위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액체는 해동을 위한 기설정된 온도의 액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체는 물 또는 해수로 사용될 수 있다. 기설정된 온도는 15~ 25도의 온도를 가지는 액체일 수 있다.
액체 공급 부재(30)는 액체 공급부(31), 액체 조절부(33) 그리고 액체 배출부(35)를 포함한다. 액체 공급부(31)는 챔버(10)의 상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액체 공급부(3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액체를 챔버(10) 내의 해동 공간(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는 자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와 연결된 수도 형태 등으로 제공되어, 해동 공간(11)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액체 조절부(33)는 챔버(10)와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체 조절부(33)는 챔버(10) 내의 해동 공간(11)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액체 조절부(33)는 해동 공간(11) 내에 액체의 양을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체 조절부(33)는 액체 공급부(31)에서 공급된 액체의 양이 설정양 이상으로 공급되는 경우 과공급되는 액체를 외부로 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액체 배출부(35)는 해동 공간(11)에 액체를 이용하여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해동 작업이 완료된 후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액체 배출부(35)는 챔버(10) 내부의 해동 공간(11)과 연결될 수 있다.
액체 배출부는 도 6과 같이 이물질 제거 부재(80)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액체 배출 시 챔버(10)의 외측으로 액체를 배출 할 수 있다. 도면에서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액체 배출 시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액체를 배출하여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액체 조절부(33) 및 액체 배출부(35)는 도 1에는 한 개씩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기체 공급 부재(40)는 챔버(10) 내의 해동 공간(11)에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할 수 있다. 기체 공급 부재(40)는 기체 공급부(41), 기체 이송부(43) 그리고 기체 토출부(45)를 포함한다.
기체 공급부(41)는 외부에서 기체를 공급받아 기체 이송부(43)로 공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체 공급부(41)는 밸드 등을 가지어 기체 공급 여부, 기체 공급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급되는 기체는 공기 또는 비활성 가스 일 수 있다.
기체 이송부(43)는 기체 공급부(41)에서 공급되는 기체를 이송할 수 있다. 기체 이송 부는 챔버(10)에 형성된 바닥 보호부(17)의 하부에 일부분이 위치하여 기체를 이송할 수 있다.
기체 토출부(45)는 기체 이송부(43)에서 공급받은 기체를 챔버(10) 내의 해동 공간(11)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기체 토출부(45)는 미세할 홀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 토출부(45)는 바닥 보호부(17)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기체 토출부(45)는 필요에 따라 수밀리미터 내지 수마이크로 미터 단위로 형성되어 미세한 마이크로버블을 해동 공간(11)에 공급할 수 있다.
기체 공급 부재(40)가 공급하는 마이크로버블은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해동 시 해동 작업이 더 빨리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물질 제거 부재(80)는 해동 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부재(80)는 이물질 보관부(81) 및 커버부(83)를 포함한다.
이물질 제거 부재(80)는 챔버(1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부재(80)는 챔버(1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부재의(80)의 내부 공간에는 이물질 보관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이물질 보관부(81)에는 챔버(10)의 해동 공간(11)에서 모인 이물질이 이물질 보관부(25)를 통해서 이동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물질 보관부(81)에 모인 이물질은 추후 작업자가 커버부(83)를 개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커버부(83)는 이물질 보관부(81)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농수산물 해동 장치(1)는 살균 부재(50), 대류 부재(60), 히팅 부재(70) 그리고 감지 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 부재(50)는 해동 공간(11)에서 액체를 통하여 해동 되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살균할 수 있다. 살균 부재(50)는 살균부(51) 및 살균 보호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부(51)는 해동 공간(11)에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살균할 수 있다. 살균부(51)는 챔버(10)의 외벽부(13) 중 해동 공간(11)에 위치하는 외벽부(13)에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살균부(51)는 자외선 등을 내는 램프 등으로 제공되어 해동 공간(11) 내에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해동할 수 있다.
살균 보호부(53)는 살균부(51)를 보호할 수 있다. 살균 보호부(53)는 커버의 형태로 제공되어, 액체로부터 살균부(51)를 보호하는 역할 및 농산물 또는 수산물이 해동 작업 중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살균 보호부(53)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살균 보호부(53)는 살균부(51)와 대응대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대류 부재(60)는 해동 공간(11) 내에 위치하는 농산물, 수산물 또는 액체를 대류 시켜 해동 작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해동 공간(11) 내에 위치하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은 액체와 단순 접촉하여 냉동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 때, 대류 부재(60)는 통해서 내부에 액체의 대류 흐름을 형성하여 이동 시키는 경우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같이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면에 접촉하는 액체와 열교환 하여 해동 작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대류 부재(60)는 대류 유체 공급부(61), 대류 교반부(63) 그리고 대류판(65)을 포함한다.
먼저 대류판(65)을 설명한다. 대류판(65)은 챔버(10)의 바닥부(15)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대류판(65)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미세의 복수개의 홀을 가질 수 있다. 대류판(65)의 복수개의 홀을 통해서 액체 및 마이크로버블이 상승 또는 하강하여 대류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대류판(65)이 있어 해동 공간(11) 내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여 하부 공간은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공간으로 사용되며, 상부 해동 공간(11)은 농수산물이 대류의 흐름으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이 대류의 흐름으로 해동되는 작업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류 유체 공급부(61)는 대류 유체를 해동 공간(1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류 유체 공급부(61)는 가압된 유체를 해동 공간(11)에 공급하여 액체에 대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된 유체는 공기 또는 비활성 가스로 형성될 수 있다. 대류 유체 공급부(61)는 외부의 가압 유체를 공급받아 농산물 또는 수산물 해동 시 가압된 유체를 해동 공간(11)의 여러 곳에 공급하여 대류 흐름을 형성하여 해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대류 교반부(63)는 대류판(65)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대류 교반부(63)는 대류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교반기를 가동하여 액체의 흐름을 형성하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류 교반부(63)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대류 교반부(63)는 선풍기 날개를 가지는 형태로 제공되어, 회전 동력을 사용하여 액체에 대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대류 부재(60)를 제공하여 해동 공간(11)에 해동 시 액체 및 농산물 또는 수산물에 대류 흐름을 제공하여 마이크로버블의 혼합 및 다양한 면에 액체와 열교환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해동 작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히팅 부재(70)는 해동 공간(11) 또는 해동 공간(11) 내에 위치하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히팅 부재(70)는 복수개의 히팅부(71)를 가질 수 있으며, 챔버(10)의 외벽부(13) 또는 챔버(10)의 바닥부(15)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대류판(65)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히팅 부재(70)는 일 예로, 겨울철의 경우 액체를 외부의 액체 또는 해수를 사용할 경우 외부의 액체 또는 해수도 해동하기 적절한 온도가 아니거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액체가 설정온도보다 낮게 제공되는 경우 이를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감지 부재(90)는 액체 또는 해동 공간(11)의 전체 무게 등을 감지하여 농수산물 해동 장치(1)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감지 부재(90)는 온도 센서부(91), 무게 감지부(93) 그리고 감지 제어부(95)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부(91)는 챔버(10) 내의 외벽부(13)에 위치할 수 있다. 온도 센서부(91)는 챔버(10) 내의 해동 공간(11)과 인접하는 외벽부(13)에 위치할 수 있다. 온도 센서부(91)는 외벽부(13)에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온도 센서부(91)는 액체의 온도 또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감지 제어부(95)로 전송할 수 있다.
무게 감지부(93)는 액체,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무게 감지부(93)는 바닥부(15)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무게 감지부(93)는 해동 공간(11) 내의 무게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양 또는 무게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감지 제어부(95)에 전달하여 내부 무게를 조절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감지 제어부(95)는 온도 센서부(91) 또는 무게 감지부(93)에서 측정된 값을 기초로 해동 공간(11) 내부의 온도 또는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센서부(91)의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감지 제어부(95)는 히팅 부재(70) 또는 액체 공급 부재(30)를 동작하여 내부에 액체를 더 공급하거나 열을 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온도 센서부(91)는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감지 제어부(95)는 액체 배출부(35)를 통해서 액체를 배출하고 즉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감지 제어부(95)는 무게 감지부(93)의 측정된 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내부에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일부 과공급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읠 외부로 이송시키도록 이송 부재(20) 또는 액체 공급 부재(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 제어부(95)는 해동 공간(11) 내의 해동 작업이 지연되는 경우, 대류 부재(60), 기체 공급 부재(40)를 제어하여 해동 작업의 빠르게 이동 되도록 동작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농수산물 해동 장치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해동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해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액체 내의 대류 흐름, 마이크로버블, 가압 유체 등을 공급하여 해동 작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동 작업 시 실시간으로 내부 온도 측정, 무게 등을 측정하여 해동 작업 중 이상 상태를 즉시 파악하여 대응가능하여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농수산물 해동 장치 10: 챔버
11: 해동 공간 13: 외벽부
15: 바닥부 17: 바닥 보호부
19: 홈 20: 이송 부재
21: 컨베이어부 23: 전달부
25: 이물질 배출부 27: 이송 공간부
29: 이송 커버부 30: 액체 공급 부재
31: 액체 공급부 33: 액체 조절부
35: 액체 배출부 40: 기체 공급 부재
41: 기체 공급부 43: 기체 이송부
45: 기체 토출부 50: 살균 부재
51: 살균부 53: 살균 보호부
60: 대류 부재 61: 대류 유체 공급부
63: 대류 교반부 65: 대류판
70: 히팅부재 71: 히팅부
80: 이물지 제거 부재 81: 이물질 보관부
83: 커버부 90: 감지 부재
91: 온도 센서부 93: 무게 감지부
95: 감지 제어부

Claims (5)

  1. 농수산물을 해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해동 공간을 가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해동 공간에 위치하며, 해동된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와
    상기 챔버 내의 해동 공간에 해동을 위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부재와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을 해동 시 상기 액체 및 상기 수산물에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는 기체 공급 부재와 그리고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을 해동 시 생성되는 지꺼기를 모아서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부재를 포함하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챔버는,
    외벽부와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개방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바닥 보호부를 복수개 구비하며,
    복수개의 상기 바닥 보호부 중 서로 인접하는 바닥 보호부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 보호부는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이 상기 챔버로 이송될 때 상기 바닥부와 충돌되어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 중 일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바닥 보호부는 상기 해동 공간의 내부 공간 중 외측면에서 중앙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이송 부재는,
    상기 바닥부에서 상기 챔버의 개방된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해동이 끝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이 이송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이 놓이는 전달부와 그리고
    상기 상기 컨베이어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해동 시 지꺼기가 놓일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이물질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 부재는
    상기 해동 공간에 해동을 위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와
    상기 액체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액체가 상기 챔버 내에 기설정된 양 이상 공급되는 경우 상기 액체 양을 조절하는 액체 조절부와 그리고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이 해동이 끝난 경우 상기 해동 공간에 상기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 공급 부재는
    상기 챔버 내의 공간으로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기 위해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와
    일단은 상기 기체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기체가 이송되는 기체 이송부와 그리고
    상기 기체 이송부에서 공급된 상기 기체는 토출되며, 상기 해동 공간 내에 위치하는 기체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 토출부는 상기 바닥 보호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 해동 장치는
    상기 해동 공간 내부 중 상기 챔버의 외벽부에 위치하며,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 해동 시 상기 농수산물을 살균하는 살균 부재와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의 해동 시 상기 해동 공간에 놓인 액체에 열을 가할 수 있는 히팅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 부재는
    상기 해동 공간 내부 중 상기 챔버의 외벽부에 설치되며, 상기 해동 공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와
    상기 살균부를 감싸며 보호하고, 투명한 재질로 제공되는 살균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부재는
    상기 챔버의 외벽 또는 상기 챔버의 바닥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액체에 열을 가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 해동 장치는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 해동 시 상기 농산물, 상기 수산물 또는 상기 액체를 대류시키는 대류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류 부재는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홀을 가지는 대류판과
    상기 대류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액체에 대류 흐름을 생성시키도록 상기 액체를 교반하는 대류 교반부와 그리고
    상기 대류판과 결합되며, 외부에 가압된 유체를 상기 해동 공간에 공급하는 대류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류 유체 공급부는 상기 해동 공간에서 상기 농산물 또는 상기 수산물에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며,
    상기 대류 교반부는 복수개가 제공되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 해동 장치는 상기 해동 공간의 액체 온도, 상기 해동 공간의 전체 무게 등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해동 공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벽에 위치하는 온도 센서부와
    상기 바닥부의 내에 위치하며, 상기 해동 공간에 위치한 상기 농산물, 상기 수산물 그리고 상기 액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와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부 또는 상기 무게 감지부의 측정된 값을 기초로 상기 액체 공급 부재, 상기 기체 공급 부재, 상기 대류 부재, 상기 히팅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액체의 온도 또는 무게를 제어하는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농수산물 해동 장치.
KR1020190122072A 2019-10-02 2019-10-02 농수산물 해동 장치 KR10237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072A KR102374900B1 (ko) 2019-10-02 2019-10-02 농수산물 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072A KR102374900B1 (ko) 2019-10-02 2019-10-02 농수산물 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627A true KR20210039627A (ko) 2021-04-12
KR102374900B1 KR102374900B1 (ko) 2022-03-16

Family

ID=7544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072A KR102374900B1 (ko) 2019-10-02 2019-10-02 농수산물 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9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894A (ko) * 2009-07-27 2011-02-08 아그라나프루트코리아 주식회사 냉동과일 해동세정기
JP2011200187A (ja) * 2010-03-26 2011-10-13 Iwate Prefecture 冷凍品の解凍装置
KR101492136B1 (ko) * 2013-10-22 2015-02-10 케이엠씨 주식회사 생선 해동장치
KR20150108162A (ko) * 2014-03-17 2015-09-25 이지연 해동기
KR101825997B1 (ko) 2016-08-12 2018-02-08 효성산업기계 주식회사 고경도, 고내충격성 및 고내마모성 합금강을 이용한 길로틴 시어 블레이드 블록 및 길로틴 시어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894A (ko) * 2009-07-27 2011-02-08 아그라나프루트코리아 주식회사 냉동과일 해동세정기
JP2011200187A (ja) * 2010-03-26 2011-10-13 Iwate Prefecture 冷凍品の解凍装置
KR101492136B1 (ko) * 2013-10-22 2015-02-10 케이엠씨 주식회사 생선 해동장치
KR20150108162A (ko) * 2014-03-17 2015-09-25 이지연 해동기
KR101825997B1 (ko) 2016-08-12 2018-02-08 효성산업기계 주식회사 고경도, 고내충격성 및 고내마모성 합금강을 이용한 길로틴 시어 블레이드 블록 및 길로틴 시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900B1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5525B2 (en) Tunnel for conditioning of products, especially for sterilization of food in prepackaged containers
FI95206B (fi) Laite ja menetelmä terveydenhuollossa syntyvien ongelmajätteiden käsittelemiseksi
ES2303752B1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 residuos.
WO2018017548A1 (en) Microwave sterilization or pasteurization transport carriers and system
JPH11103835A (ja) 冷却コンベアを用いた袋詰め食品冷却方法
US6142396A (en) Nozzel assembly
EP3566722A1 (en) Disinfection system for wood barrels
KR20210039627A (ko) 농수산물 해동 장치
ES2958224T3 (es) Cámara de liofilización para un sistema de liofilización a granel
JP2008164198A5 (ko)
WO2000058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and then cooling contents of flexible containers
JP2008164198A (ja) 種子乾燥装置
KR101916167B1 (ko) 세정 장치
WO2005079594A1 (en) Gas treatment apparatus
US11186442B2 (en) Device for the dry cleaning and sanitization of flat sanitary conveyor belts
WO2000058630A9 (en) Centrifugal pump assembly and method for retrofitting centrifugal pumps
US7501550B2 (en) Method of destroying seeds
EP1752165A1 (en) Sterilizer
KR102046330B1 (ko) 수중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RU200512811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нефтезагрязненного грунта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JP5494738B2 (ja) 種子の温湯消毒装置
NL1009188C2 (nl) Inrichting, broeibak en werkwijze voor het broeien van geslacht pluimvee.
JP2005168358A (ja) 食材冷却装置
US5752467A (en) Brine shrimp egg convective cooler
CN213964507U (zh) 一种物流冷链快速消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